KR101152918B1 -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918B1
KR101152918B1 KR1020110034135A KR20110034135A KR101152918B1 KR 101152918 B1 KR101152918 B1 KR 101152918B1 KR 1020110034135 A KR1020110034135 A KR 1020110034135A KR 20110034135 A KR20110034135 A KR 20110034135A KR 101152918 B1 KR101152918 B1 KR 101152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theft
communication device
alarm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정
Original Assignee
최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호정 filed Critical 최호정
Priority to KR1020110034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기기와 접속되어 상기 무선통신기기가 감지하는 통신신호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장치; 도난경보를 발생하는 알람 장치; 및 상기 AP 장치가 인식하는 통신신호가 미리 지정된 최저신호 세기 값보다 낮아지면, 상기 알람 장치에 경보발생신호를 전송하는 도난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AP)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AP) 장치를 이용하여 감지된 무선통신기기의 무선통신신호 세기가 미리 지정된 값 이하일 경우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자유로운 시연이 가능하면서도 도난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에 필요한 액세스 포인트(AP)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별도로 고가인 특수 재질의 연결 장치나 도난방지 태그 및 코일프레임 등을 설치할 필요 없이 도난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AN ANTITHEFT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USING AN ACCESS POINT DEVICE}
본 발명은 도난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품을 판매할 때에는 실제 상품을 전시하여 고객이 사용해볼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때, 전시상품이 도난을 당할 위험이 있으므로, 감시용 카메라를 설치하고 관리자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관찰하거나 기록매체를 재생하여 확인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상품을 홍보하기 위한 전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상품이 전시되는 공간은 넓어지고 상품의 크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감시용 카메라만으로는 전시상품의 도난을 예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고가이고 휴대성이 좋은 휴대폰이나 노트북 등의 무선통신기기의 경우는, 더욱 도난의 위험성이 크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통신기기를 거치대에 부착해놓거나, 특수 재질의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상품을 가져갈 수 없도록 하는 방법, 또는 각각의 상품에 특정 주파수의 전파에 반응하도록 설계된 라벨이나 태그를 부착하고, 출입구에 특정한 주파수를 발생하는 코일프레임을 설치하여 라벨이나 태그가 부적절하게 통과될 경우 경보가 울리도록 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도난방지 방법 및 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거치대에 부착해놓는 것은, 고객이 상품을 시연해보는 데 제약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특수 재질의 연결 장치를 이용하는 것은, 고가의 특수 재질의 연결 장치를 따로 구비하여야 하며, 연결 장치를 절단하여 가져가는 것에는 대응방법이 없다. 또한, 도난방지 태그와 코일프레임을 설치하는 방법은 고가의 설치비가 들며, 무선통신기기의 상품 특성상 태그의 부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액세스 포인트(AP) 장치를 이용하여 감지된 무선통신기기의 무선통신신호 세기가 미리 지정된 값 이하일 경우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자유로운 시연이 가능하면서도 도난방지 효과를 가지는,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필요한 액세스 포인트(AP)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별도로 고가인 특수 재질의 연결 장치나 도난방지 태그 및 코일프레임 등을 설치할 필요 없이 도난방지 효과를 가지는,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기기와 접속되어 상기 무선통신기기가 감지하는 통신신호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장치;
도난경보를 발생하는 알람 장치; 및
상기 AP 장치가 인식하는 통신신호가 미리 지정된 최저신호 세기 값보다 낮아지면, 상기 알람 장치에 경보발생신호를 전송하는 도난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난방지 장치는,
상기 AP 장치가 인식하는 통신신호에 대한 정보를 각각의 무선통신기기별로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통신신호의 최저신호 세기 값을 설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난방지 장치는,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난방지 장치는,
상기 AP 장치와 일체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통신기기는,
도난방지 응용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스마트기기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통신기기는,
상기 통신신호의 세기가 미리 지정된 값보다 낮아지면, 주의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통신기기는,
상기 통신신호의 세기가 미리 지정된 값보다 낮아지면, 도난메시지 및 도난당한 무선통신기기의 이동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리자에게 메시지 또는 이메일로 전송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USB포트를 포함하는 USB허브; 및
상기 무선통신기기와 상기 USB허브를 연결하는 USB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USB케이블이 분리나 절단되면, 상기 무선통신기기 또는 상기 알람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USB케이블이 분리나 절단되면, 도난메시지 및 도난당한 무선통신기기의 이동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리자에게 메시지 또는 이메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AP)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AP) 장치를 이용하여 감지된 무선통신기기의 무선통신신호 세기가 미리 지정된 값 이하일 경우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자유로운 시연이 가능하면서도 도난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에 필요한 액세스 포인트(AP)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별도로 고가인 특수 재질의 연결 장치나 도난방지 태그 및 코일프레임 등을 설치할 필요 없이 도난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P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 장치가 결합된 AP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P 장치 및 응용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스마트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에서 GPS를 이용하여 도난당한 전자기기의 위치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P 장치, USB 및 응용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P 장치 및 응용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의 구조를 도식화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P 장치, USB 및 응용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의 구조를 도식화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P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P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100) 도난방지 시스템은, AP(Access Point) 장치(200), 도난방지 장치(300), 및 알람 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기기(100)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도난방지 시스템의 보호객체이다. 핸드폰과 같은 모바일기기, 노트북, 스마트폰 및 아이패드 등이 이에 해당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WIFI나 블루투스 등을 통한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라면 그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무선통신기기(100)로서 얼마든지 도난방지 보호대상이 될 수 있다.
AP(Access Point) 장치(200)는, 무선기기 간의 중계점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무선공유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AP 장치(200)는, 무선통신기기(100)와 접속되고 무선통신기기(100)가 감지하는 통신신호의 속도나 세기 등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P장치(200)는, 하나의 AP장치(200)에 복수의 기기가 동시 접속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AP장치(200)가 제공하는 통신 속도와 신호 세기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통신기기(100)의 도난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도난방지 장치(300)는, 도난방지전용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로서, AP장치(200)로부터 통신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고 도난상황을 판단하여 알람 장치(400)를 통하여 도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난방지 장치(300)는 도난방지전용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와 같은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나, AP장치(200) 자체가 도난방지 장치(300)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도난방지전용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는,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AP 장치(200)로부터 각각의 무선통신기기별로 신호 세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관리자에 의해 최저신호 세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무선통신기기(100)의 신호 세기가 미리 지정된 최저신호 세기 값보다 내려갈 경우나 접속이 끊어질 경우에 도난상황으로 판단하여 컴퓨터의 모니터와 스피커를 통하여 도난 기기를 표시하고 음성을 통하여 도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모든 설정은 컴퓨터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을 통하여 설정할 수 있다. 컴퓨터에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이용할 경우, 도난방지 장치기능을 부가한 새로운 AP 장치(200)를 구비할 필요 없이 기존의 일반적인 AP 장치(200)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 장치가 결합된 AP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난방지 장치(300)와 AP장치(200)가 일체형일 수 있다. 일체형의 도난방지 장치겸용 AP 장치(이하 도난방지전용 AP장치(200, 300)라 한다.)는 기존의 AP 장치(200)가 제공하는 인터넷 공유, 네트워크 공유 기능을 그대로 제공하면서, 도난방지 장치(300)의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즉, AP 장치(200)에 접속된 무선통신기기(100)별 신호 세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각각의 무선통신기기(100)에 대한 최저신호 세기 값을 설정하며, AP 장치(200)가 인식하는 통신신호가 미리 지정된 최저신호 세기 값보다 낮아지면, 알람 장치(400)에 경보발생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도난방지전용 AP장치(200,300)의 사용설정은, 기존 AP 장치(200)와 유사하게 컴퓨터나 웹브라우저가 사용가능한 기기를 통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만일의 정전사태를 대비하여 내장배터리를 통한 전원공급이 유지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알람 장치(400)는, 도난방지 장치(300)로부터 알람 신호를 전송받아 도난경보를 발생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람 장치(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난방지 장치(300)에 장착된 스피커일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따로 구비된 스피커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난방지전용 AP장치(200, 300)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별로도 구비되는 관리자의 관리시스템에 설치된 LED램프(도시하지 않음) 등이 알람 장치(400)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알람 장치(400)는, 추후에 설명할 USB허브(800)의 단선감지회로(820)와 연결되어 그로부터 알람 발생신호를 받아 도난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기기(100) 도난방지 시스템은, 도난으로부터 보호하려는 무선통신기기(100)가 스마트기기(110)인 경우에는, 스마트기기(110)에 도난방지 응용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도난방지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110)는,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기기로서, 대표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이 이에 해당한다.
스마트기기(110)에 설치되는 도난방지 응용소프트웨어는, 스마트기기(110)가 감지하는 통신신호 세기가 미리 지정된 값보다 낮아지면, 스마트기기(110)에서 미리 주의 알람을 발생할 수 있고, 주의 알람은 비프음 또는 “기기를 제자리에 놓아주세요!”라는 음성안내가 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세기가 미리 지정된 값 이하로 낮아지면, 스마트기기(110) 자체에서 도난상황을 판단하여 도난경고 알람을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난상황이 발생하면, 관리자의 휴대폰(500)에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 Message Service), 푸시알림 등으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이메일을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난방지 응용소프트웨어는, 관리자만이 조작할 수 있도록 비밀번호를 통하여서만 실행 및 종료할 수 있으며, 일반 사용자는 프로그램을 종료하거나 기기의 전원을 끌 수 없게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운영체제(애플IOS, 구글 안드로이드 등) 별로 제작하여 각 운영체제와 통신사의 앱스토어에 등록하고, 전시되는 스마트기기(110)에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P 장치 및 응용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스마트기기(110) 도난방지 시스템에서 GPS를 이용하여 도난당한 전자기기의 위치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난방지 응용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스마트기기(110)가 외부로 반출되었을 경우 내장 GPS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이동경로를 저장하고 스마트기기(110)가 인터넷에 연결되면 저장된 정보를 관리자에게 메시지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여 관리자의 휴대폰(500)이나 관리자의 컴퓨터(600)를 통해 도난당한 스마트기기(110)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GPS를 이용하는 방법 외에도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내장GPS가 없는 경우에도 WIFI를 통하여 이메일을 발송하는 경우는, 발송하는 위치의 IP주소가 함께 송신되므로 대략적인 위치파악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기기(110)의 배터리가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질 경우, 스마트기기(110) 또는 도난방지 장치(300)를 통해 배터리교체 알람을 발생하도록 하여, 도난방지 시스템이 지속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지원하지 않는 예외 상황의 경우에는, AP장치(200)를 이용하여 메시지나 이메일을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P 장치, USB 및 응용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은, AP 장치(200), 도난방지 장치(300), 알람 장치(400), USB케이블(700), USB허브(8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은, USB를 이용한 유선 감지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이중으로 도난을 방지하는 종합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AP(Access Point) 장치(200), 도난방지 장치(300) 및 알람 장치(400)에 대해서는 도 1과 관련하여 이미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USB케이블(700) 및 USB허브(800)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USB케이블(700)은, 무선통신기기(100)와 USB허브(80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전원+, 전원-, 데이터+, 데이터-, 접지의 총 5회선을 포함하고, 길이는 무선통신기기(100)의 전시 방법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할 수 있다. USB케이블(700)이 무선통신기기(100)와 USB허브(800)의 연결을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도난경보 발생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USB허브(800)는, USB포트(810)를 포함할 수 있는데, USB포트(810)의 수는 사용 환경에 따라 필요한 복수 개의 USB포트(810)를 포함하여 복수 개의 무선통신기기(10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USB케이블(700)과 연결되는 전원+, 전원-, 데이터+, 데이터-, 접지의 회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선감지회로(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선감지회로(820)는, 단선을 감지하는 단순 장치로서, [데이터+, 데이터-]회선, [데이터+, 접지]회선, 및 [데이터-, 접지]회선 중 2개 회선과 연결되어 USB케이블(700)이 분리나 절단되는 것을 감지한다. 단선감지회로(820)가 단선을 감지하면, 무선통신기기(100) 또는 단선감지회로(820)와 연결되어 그로부터 알람 발생신호를 수신하는 알람 장치(400)가 도난경보를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전원-]회선은 기기를 충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내장배터리를 구비함으로써 정전사태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전원공급이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통신기기(100)가 도난방지 응용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스마트기기(110)인 경우에는, USB케이블(700)의 분리 또는 절단 여부를 도난방지 응용소프트웨어를 통해 스마트기기(110) 자체가 감지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강제로 배터리 또는 USB케이블(700)을 분리하거나 절단할 경우 등 스마트기기(110)의 응용소프트웨어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USB허브(800)에 단선감지회로(820)를 부가 설치하여 이중으로 감지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P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의 구조를 도식화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P 장치, USB 및 응용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의 구조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응용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없는 모바일 무선통신기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 장치(200)로부터 통신신호정보를 수신받은 도난방지 장치(300)가 도난상황을 판단하여 알람 장치(400)에 신호를 보내게 된다. 반면, 스마트폰과 같이 도난방지 응용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110) 자체에서 도난상황을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할 수도 있고, 도난방지 장치(300)나 USB허브에 포함된 단선감지회로를 통해 스마트기기(110)나, 알람 장치(400)에 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무선통신기기 110: 스마트기기
200: AP장치 300: 도난방지 장치
400: 알람 장치 500: 관리자의 휴대폰
600: 관리자의 컴퓨터 700: USB케이블
800: USB허브 810: USB포트
820: 단선감지회로

Claims (9)

  1.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기기와 접속되어 상기 무선통신기기가 감지하는 통신신호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장치;
    도난경보를 발생하는 알람 장치; 및
    상기 AP 장치가 인식하는 통신신호가 미리 지정된 최저신호 세기 값보다 낮아지면, 상기 알람 장치에 경보발생신호를 전송하는 도난방지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통신기기는 도난방지 응용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스마트기기이고, 상기 스마트기기가 감지하는 통신신호 세기가 미리 지정된 값보다 낮아지면, 스마트기기에서 주의 알람 또는 도난 경고 알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 장치는,
    상기 AP 장치가 인식하는 통신신호에 대한 정보를 각각의 무선통신기기별로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통신신호의 최저신호 세기 값을 설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 장치는,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 장치는,
    상기 AP장치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기기는,
    상기 통신신호의 세기가 미리 지정된 값보다 낮아지면, 도난메시지 및 도난당한 무선통신기기의 이동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리자에게 메시지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기기는,
    USB포트를 포함하는 USB허브; 및
    상기 무선통신기기와 상기 USB허브를 연결하는 USB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USB케이블이 분리나 절단되면, 상기 무선통신기기 또는 상기 알람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알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SB케이블이 분리나 절단되면, 도난메시지 및 도난당한 무선통신기기의 이동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리자에게 메시지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
KR1020110034135A 2011-04-13 2011-04-13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 KR101152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135A KR101152918B1 (ko) 2011-04-13 2011-04-13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135A KR101152918B1 (ko) 2011-04-13 2011-04-13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2918B1 true KR101152918B1 (ko) 2012-06-07

Family

ID=4668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135A KR101152918B1 (ko) 2011-04-13 2011-04-13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9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734B1 (ko) * 2013-01-09 2014-10-08 주식회사 코맥스 무선 환경의 보안 자동 설정 방법
KR102501491B1 (ko) 2022-12-06 2023-02-23 (주)한승이엔씨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도난 방지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734B1 (ko) * 2013-01-09 2014-10-08 주식회사 코맥스 무선 환경의 보안 자동 설정 방법
KR102501491B1 (ko) 2022-12-06 2023-02-23 (주)한승이엔씨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도난 방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0228B2 (en) Security system with kill switch functionality
KR20120116599A (ko) 유에스비를 이용한 전자기기 도난방지 시스템
KR101386438B1 (ko)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usb 메모리 장치
JP4819721B2 (ja) 無線lan端末盗難防止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60220850A1 (en) Integral security apparatus for remotely placed network devices
CN101924790A (zh) 将网络接口中间件与插入式安全面板模块集成的方法
CN102487440A (zh) 实时监控装置、实时监控系统以及实时监控方法
JP5932507B2 (ja) 盗難防止対応サーバおよびシステム
CN103942903A (zh) 一种具有防盗功能的数据采集处理装置、系统及方法
KR101152918B1 (ko)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
US9449479B2 (en) Security system
US9202364B2 (en) Wireless alarm device for detecting and communicating environment and system specific states using the internet
US9521552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use smart phones to securely and conveniently monitor intel pcs remotely
GB2527504A (en) Monitoring system for data communication / electrical signalling cables
US20080316309A1 (en) Computer Network Security
CN108347715A (zh) 一种被动式nfc定位系统及定位方法
CN205373696U (zh) 基于有源rfid的物品监控装置及物品监控系统
KR101626611B1 (ko) 도난방지 동글 기반의 노트북 pc 도난방지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EP3115979B1 (en)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with burglarproof function, and method
CN202916930U (zh) 一种资产防盗主机控制系统
JP2013080370A (ja) 不審電波監視システム及びその不審電波監視プログラム
JP2020004243A (ja) 紛失防止ユニット
KR101825004B1 (ko) 저전력 기반의 도난 방지기 및 도난 방지 시스템
CN216252784U (zh) 蓝牙及热点信号监测系统
CN210466629U (zh) 一种用于商品防盗的监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