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430B1 -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 - Google Patents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430B1
KR102501430B1 KR1020210117035A KR20210117035A KR102501430B1 KR 102501430 B1 KR102501430 B1 KR 102501430B1 KR 1020210117035 A KR1020210117035 A KR 1020210117035A KR 20210117035 A KR20210117035 A KR 20210117035A KR 102501430 B1 KR102501430 B1 KR 102501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dle frame
semi
food container
food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홍
Original Assignee
김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홍 filed Critical 김준홍
Priority to KR1020210117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는, 중앙이 개방된 미들프레임; 상기 미들프레임의 하면에 부착되며, 음식물 저장부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미들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며, 전방 일측에 오픈된 개방부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개방부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프런트커버, 상기 프런트커버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측에 축결합되는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개방부가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축회전되는 도어; 상기 개방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전자석; 상기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 전자석에 자력에 상응하는 자성체; 상기 미들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미들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되는 사용자의 접근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 및 상기 미들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의 일측에 고정되는 이동편 및 상기 지지편과 이동편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의 내측에 부착되는 웨이트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SEMI-AUTOMATIC BUFFET FOOD CONTAINER}
본 개시(The Present Disclosure)는 반자동식 뷔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뷔페는 다양하게 준비된 음식이 형성된 장소로서, 사용자의 위생을 위해, 도어(또는 덮개)가 구비된 음식용기에 음식을 담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뷔페에서 사용되는 음식용기는, 음식의 특성에 적절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돕는 전기 장치가 구비되기도 한다.
뷔페에서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접시를 들고, 다른 한손으로 음식을 집어 접시에 담으므로, 사용자가 음식을 담은 후 음식용기의 도어를 닫지않고 지나가는 경우 빈번하다. 이에 따라, 음식용기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외부 열을 차단할 수 없으므로, 전기 장치의 보온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그래서, 뷔페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적절한 온도로 유지된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음식을 담은 후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는 음식용기가 필요하다.
또한, 뷔페에서 사용되는 음식용기는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므로, 위생을 위해 깨끗하게 세척되어야 한다. 하지만, 전기 장치가 구비된 음식용기는 분리와 재결합이 어려워 세척 시, 부분적으로 세척하는 경우가 많다.
KR 10-0531762 B1 (2005.11.29.)
사용자가 음식을 담아간 후 음식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자동으로 닫히는 도어가 구비되며, 세척을 위해 부품들을 간편하게 분리 및 재결합할 수 있는 음식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는, 중앙이 개방된 미들프레임; 상기 미들프레임의 하면에 부착되며, 음식물 저장부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미들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며, 전방 일측에 오픈된 개방부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개방부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프런트커버, 상기 프런트커버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측에 축결합되는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개방부가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축회전되는 도어; 상기 개방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전자석; 상기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 전자석에 자력에 상응하는 자성체; 상기 미들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미들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되는 사용자의 접근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 및 상기 미들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의 일측에 고정되는 이동편 및 상기 지지편과 이동편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링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런트커버는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전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냉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의 내측에 부착되는 웨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는 자동으로 닫히는 도어가 구비되어, 에너지를 절약하며, 음식의 온도와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는 외부로부터 부유 세균 차단에 효과적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는 구조이 단순하여, 세척 시, 간편하게 분리 및 재결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의 개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의 개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의 폐쇄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1)[이하,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1)'라 함]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1)의 개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상', '하', '좌', '우', '전', '후' 등]은 [도 1]을 기준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1)는 미들프레임(10), 하부케이스(20), 상부케이스(30), 도어(40), 링크(50), 자성체(60), 제1 전자석(70) 및 센서(90)를 포함한다.
미들프레임(10)은 중앙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되, 하면에 하부케이스(20)가 부착되고, 상면에 상부케이스(30)가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사각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들프레임(10)의 상면에는 완충장치(예를 들어, 스펀지, 고무 등)가 구비될 수 있다.
미들프레임(10)의 좌측 및 우측 테두리에는, 제1 끼움편(1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끼움편(11)은 외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클립, 핀 등)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0)는 미들프레임(10)의 하면에 부착되며, 음식물 저장부(21)가 형성된다.
음식물 저장부(21)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여러 구획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30)는 좌측과 우측이 반원 형태를 가지며, 하면과 전면이 개방되도록 구비된다.
상부케이스(30)는 레프트커버(31), 라이트커버(32), 백커버(33), 및 축(34)을 포함하며, 개방부(35)가 형성된다.
레프트커버(31)는 미들프레임(10)의 좌측 테두리에서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측면에서 바라볼 때, 반원 형태를 갖는다.
라이트커버(32)는 미들프레임(10)의 우측 테두리에서 형성되는데, 레프트커버(31)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백커버(33)는 미들프레임(10)의 후방 테두리에서, 레프트커버(31)의 테두리와 라이트커버(32)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되, 음식이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미들프레임(10)의 전방 테두리로부터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된다.
축(34)은 레프트커버(31)의 중앙 하부와 라이트커버(32)의 중앙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축(34)은 레프트커버(31)와 라이트커버(32)에 형성된 제1 결합공(36)에 결합될 수 있다.
개방부(35)는 상부케이스(30)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부케이스(3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음식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도어(40)는 개방부(35)가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축(34)을 기준으로 축회전되며, 프런트커버(41), 좌측 사이드패널(42) 및 우측 사이드패널(43)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런트커버(41)는 개방부(35)를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상부케이스(30)의 내부에서 축회전된다.
프런트커버(41)는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커버(41)가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 부재로 형성되면, 사용자는 공간부(35)를 통해 음식물 저장부(21)를 확인할 수 있다.
좌측 사이드패널(42)은 프런트커버(41)의 좌측 선단에서 축(34)까지 형성된다.
우측 사이드패널(43)은 프런트커버(41)의 우측 선단에서 축(34)까지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좌측 사이드패널(42)과 우측 사이드패널(43)에는, 축(34)이 지나가는 제2 결합공(45)이 형성되며, 후술할 링크(50)가 고정되는 제2 끼움편(44)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끼움편(44)은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42, 43)에 구비되되, 후방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성되며, 고정되기 위한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클립, 핀 등)로 구비될 수 있다.
링크(50)는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42, 43)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미들프레임(10)과 도어(40)를 연결시키며, 지지편(51), 이동편(52), 탄성부(53)로 구성된다.
지지편(51)은 미들프레임(10)에 구비된 제1 끼움편(11)에 결합되며, 직선 형태로 구비된다.
이동편(52)은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42, 43)에 구비된 제2 끼움편(44)에 결합되며, 직선 형태로 구비되되, 지지편(51)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53)는 지지편(51)과 이동편(52) 사이에 형성되며, 미들프레임(10)의 전방 테두리를 향해 이동편(52)이 축회전시킨다. 그리고, 탄성부(53)는 축(34)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자성체(60)는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42, 43)에 부착된다.
제1 전자석(70)은 개방부(35)의 일측에 구비되며, 전원이 공급되면 자성체(60)와 부착될 수 있다.
센서(90)는 미들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미들프레임(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사용자의 접근 상태를 검출한다. 센서(90)는 검출된 값에 따라 제1 전자석(7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91)를 포함한다.
제어부(91)는 센서(90)에 가까운 미들프레임(10)에 구비되며, 센서(90)로부터 미들프레임(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사용자의 접근 상태와 사용 시간에 따라 제1 전자석(70)에 전원 공급의 여부를 결정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의 개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의 폐쇄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1)의 작동과정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센서(90)는 미들프레임(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사용자의 접근 상태를 검출한다.
제어부(91)는 센서(90)로부터 검출된 사용자의 접근 상태를 기준으로, 제1 전자석(70)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프런트커버(41)를 축회전시키면,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42, 43)에 구비된 자성체(60)는 전원이 공급된 제1 전자석(70)에 부착된다. 이때, 링크(50)가 이동편(52)에 가하는 탄성력은, 사용자의 힘보다 작다.
상부케이스(30)의 개방부(35)는 도어(40)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링크(50)가 이동편(52)에 가하는 탄성력은, 제1 전자석(70)과 자성체(60) 간의 자력보다 작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91)는 사용자의 접근 상태와 개방된 시간에 따라 판단하고, 제1 전자석(70)을 제어한다.
센서(90)로부터 미들프레임(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사용자의 접근 상태가 검출되면, 개방된 시간에 관계없이, 제어부(91)는 제1 전자석(70)에 전원 공급을 유지한다.
센서(90)로부터 미들프레임(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사용자의 비접근 상태가 검출되되, 개방된 시간이 특정 값(예를 들어, 1분)보다 작다면, 제어부(91)는 제1 전자석(70)에 전원 공급을 유지한다.
센서(90)로부터 미들프레임(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사용자의 비접근 상태가 검출되고, 개방된 시간이 특정 값(예를 들어, 1분)보다 크다면, 제어부(91)는 제1 전자석(70)에 전원 공급을 해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동으로 닫히는 도어(40)에 의해 다칠 위험이 없다.
도 4를 참조하면, 링크(50)에 의해, 프런트커버(41)는 축(34)을 기준으로 미들프레임(10)의 전방 테두리를 향해 축회전된다.
마지막으로, 상부케이스(30)의 개방부(35)는 링크(50)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1)는 내부에 있는 음식을 위생적으로 보관하며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프런트커버(41)가 개방부(35)를 폐쇄시켜,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1)는 외부로부터 부유 세균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1)는 제2 전자석(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자석(80)은 개방부(35) 일측 하부에 구비되며, 프런트커버(41)의 하강속도가 감소되도록 자력을 형성한다.
제2 전자석(80)에는, 제어부(91)에 의해 제1 전자석(70)에 전원 공급이 해제될 때, 제어부(91)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제2 전자석(80)에는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제어부(91)에 의해 전원 공급이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2 전자석(80)을 포함한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1)의 작동과정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센서(90)는 미들프레임(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사용자의 접근 상태를 검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91)는 센서(90)로부터 검출된 사용자의 접근 상태를 기준으로, 제1 전자석(70)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프런트커버(41)를 미들프레임(10)의 후방 테두리로 축회전시키면,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42, 43)에 구비된 자성체(60)는 전원이 공급된 제1 전자석(70)에 부착된다. 이때, 링크(50)가 이동편(52)에 가하는 탄성력은, 사용자의 힘보다 작다.
상부케이스(30)의 개방부(35)는 도어(40)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링크(50)가 이동편(52)에 가하는 탄성력은, 제1 전자석(70)과 자성체(60) 간의 자력보다 작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91)는 사용자의 접근 상태와 개방된 시간에 따라 판단하고, 제1 전자석(70)을 제어한다.
센서(90)로부터 미들프레임(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사용자의 접근 상태가 검출되면, 개방된 시간에 관계없이, 제어부(91)는 제1 전자석(70)에 전원 공급을 유지한다.
센서(90)로부터 미들프레임(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사용자의 비접근 상태가 검출되되, 개방된 시간이 설정된 값(예를 들어, 1분)보다 작다면, 제어부(91)는 제1 전자석(70)에 전원 공급을 유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서(90)로부터 미들프레임(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사용자의 비접근 상태가 검출되고, 개방된 시간이 설정된 값(예를 들어, 1분)보다 크다면, 제어부(91)는 제1 전자석(70)에 전원 공급이 해제되며, 제2 전자석(80)에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40)에 의해 다칠 위험이 없다.
링크(50)에 의해, 프런트커버(41)는 축(34)를 기준으로 제2 전자석(80)까지 축회전된다.
프런트커버(41)가 미들프레임(10)의 전방 테두리를 향해 축회전되는 도중, 도어(40)에 구비된 자성체(60)은 전원이 공급된 제2 전자석(80)에 부착된다.
제어부(91)는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0초)가 지난 후, 제2 전자석(80)에 전원 공급을 해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링크(50)에 의해, 프런트커버(41)는 축(34)를 기준으로 미들프레임(10)의 전방 테두리를 향해 축회전된다. 여기서 프런트커버(41)가 짧은 거리만큼 축회전되어, 미들프레임(10)의 전방 테두리에 닿아 발생하는 소음이 감소된다.
마지막으로, 상부케이스(30)의 개방부(35)는 도어(40)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1)는 전열기(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열기(100)는 하부케이스(20)의 하면에 구비되며, 히터(101), 전열스위치(102) 및 전열레버(103)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101)는 음식물 저장부(21)의 온도를 높이고, 음식물 저장부(21)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한다.
전열스위치(102)는 히터(101)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열레버(103)는 히터(101)의 온도를 조절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1)는 냉동기(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동기(110)는 하부케이스(20)의 하면에 구비되며, 쿨러(111), 냉동스위치(112) 및 냉동레버(113)를 포함할 수 있다.
쿨러(111)는 음식물 저장부(21)의 온도를 낮추고, 음식물 저장부(21)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한다.
냉동스위치(112)는 쿨러(111)에 전원을 공급한다.
냉동레버(113)는 쿨러(111)의 온도를 조절한다.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1)는 프런트커버(41)가 개방부(35)를 폐쇄함으로서, 전열기(100) 또는 냉동기(110)가 설정한 온도에 도달하기 위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1)는 웨이트(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120)는 프런트커버(41)가 하중에 의해 미들프레임(10)의 전방 테두리를 향하도록, 좌측면에서 바라볼 때,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42, 43)의 우측 상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
10 : 미들프레임 11 : 제 1끼움편
20 : 하부케이스 21 : 음식물 저장부
30 : 상부케이스 31 : 레프트커버
32 : 라이트커버
33 : 백커버
34 : 축
35 : 개방부
40 : 도어 41 : 프런트커버
42 : 좌측 사이드패널
43 : 우측 사이드패널
44 : 제2 끼움편
50 : 링크 51 : 지지편
52 : 이동편
53 : 탄성부
60 : 자성체
70 : 제1 전자석
80 : 제2 전자석
90 : 센서 91 : 제어부
100 : 전열기
110 : 냉동기
120 : 웨이트

Claims (5)

  1. 중앙이 개방된 미들프레임;
    상기 미들프레임의 하면에 부착되며, 음식물 저장부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미들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며, 전방 일측에 오픈된 개방부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개방부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프런트커버, 상기 프런트커버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측에 축결합되는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개방부가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축회전되는 도어;
    상기 개방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전자석;
    상기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 전자석에 자력에 상응하는 자성체;
    상기 미들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미들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되는 사용자의 접근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 및
    상기 미들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의 일측에 고정되는 이동편 및 상기 지지편과 이동편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사이드패널의 내측에 부착되는 웨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커버는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전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냉동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
  5. 삭제
KR1020210117035A 2021-09-02 2021-09-02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 KR102501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035A KR102501430B1 (ko) 2021-09-02 2021-09-02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035A KR102501430B1 (ko) 2021-09-02 2021-09-02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430B1 true KR102501430B1 (ko) 2023-02-21

Family

ID=8532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035A KR102501430B1 (ko) 2021-09-02 2021-09-02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43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941U (ko) * 1994-07-28 1996-02-14 김종길 세정기의 뚜껑 개폐장치
JPH08299250A (ja) * 1995-05-12 1996-11-19 Matsushita Seiko Co Ltd 食器乾燥機
US20020125245A1 (en) * 2001-03-09 2002-09-12 Inducs Ag Device and method for keeping meals warm
KR20050035815A (ko) * 2003-10-14 2005-04-19 주식회사 차밍아트 뷔페용 음식수납용기의 뚜껑 자동 개폐장치
WO2009035980A2 (en) * 2007-09-11 2009-03-19 Wasatch Manufacturing, Llc Food pan having elastomeric heat and scratch resistant protective flange gasket
KR20120021552A (ko) * 2010-08-08 2012-03-09 박찬문 뷔페식 식탁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941U (ko) * 1994-07-28 1996-02-14 김종길 세정기의 뚜껑 개폐장치
JPH08299250A (ja) * 1995-05-12 1996-11-19 Matsushita Seiko Co Ltd 食器乾燥機
US20020125245A1 (en) * 2001-03-09 2002-09-12 Inducs Ag Device and method for keeping meals warm
KR20050035815A (ko) * 2003-10-14 2005-04-19 주식회사 차밍아트 뷔페용 음식수납용기의 뚜껑 자동 개폐장치
KR100531762B1 (ko) 2003-10-14 2005-11-29 주식회사 차밍아트 뷔페용 음식수납용기의 뚜껑 자동 개폐장치
WO2009035980A2 (en) * 2007-09-11 2009-03-19 Wasatch Manufacturing, Llc Food pan having elastomeric heat and scratch resistant protective flange gasket
KR20120021552A (ko) * 2010-08-08 2012-03-09 박찬문 뷔페식 식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9003B2 (ja) 冷蔵庫の扉開閉装置
CA2421892A1 (en) Tilt-out and pick-off basket assembly for a refrigerator door
RU2243462C2 (ru) Холодильник
KR20180024297A (ko) 냉장고
KR102501430B1 (ko)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
KR100930352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소형냉장고가 승강식으로 구비된 테이블
KR101190448B1 (ko) 냉장고
US4225203A (en) Energy saving inner door device for a refrigeration appliance
CN101669003B (zh) 用于冰箱的篮筐
CN106907898B (zh) 智能冰箱
KR100710718B1 (ko) 밀폐 기구용 도어의 개방 장치
CN107726695A (zh) 具有内置门的防串味冰箱
KR100768168B1 (ko) 서랍식도어를 갖는 김치저장고의 디스플레이부 구조
CN207147030U (zh) 一种具有内置门的防串味冰箱
KR200141324Y1 (ko) 냉장 진열대의 문 자동개폐장치
KR100603732B1 (ko) 밀폐 기구용 도어의 개방 각도 정지 장치
JP7017384B2 (ja) 冷蔵庫
NZ286508A (en) Refrigerator door having subcompartment, typically butter conditioner, which is heated by adjacent heater, typically light, in refrigerator cabinet when door is closed
JP3116050B2 (ja) 保温庫
CN108120196A (zh) 一种防串味冰箱
EP2652421A1 (en) Reclosable compartment for refrigerator
KR200350174Y1 (ko) 김치냉장고
JPS589175Y2 (ja) 冷蔵庫
KR0156723B1 (ko) 피자 자판기의 트레이 어셈블리
KR19980063205U (ko) 냉장고 도어의 자동 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