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317B1 -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 - Google Patents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317B1
KR102501317B1 KR1020200172056A KR20200172056A KR102501317B1 KR 102501317 B1 KR102501317 B1 KR 102501317B1 KR 1020200172056 A KR1020200172056 A KR 1020200172056A KR 20200172056 A KR20200172056 A KR 20200172056A KR 102501317 B1 KR102501317 B1 KR 102501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ddle
present
vertical
cognitive ability
loom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2294A (ko
Inventor
변미애
Original Assignee
(주)실비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실비스트 filed Critical (주)실비스트
Priority to KR1020200172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31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2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9/00Hand l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2Construction of loom framework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4Apparatus for threading warp stop-motion droppers, healds, or ree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5/00Shu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베틀 장치는, 제1 세로수단; 상기 제1 세로수단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세로수단; 상기 제1 및 제2 세로수단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 복수회 실이 감겨져 상기 제1 및 제2 세로수단과 평행한 제1 및 제2 실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가로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가로수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실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실의 위치를 교대로 전환하는 잉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세로수단과 제2 세로수단에는 각각 상기 잉아수단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에는 상기 잉아수단의 양측에 고정되어 상기 잉아수단을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가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및 어린이의 체험 학습과 노인들의 인지 능력을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베틀 장치는, 직물 작업을 할 때 잉아를 간편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실들의 교차시켜 직물을 짤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Loom Device for improvement of cognitive abilities}
본 발명은 베틀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을 짤때 실들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고 잉아수단을 간단히 회전함으로써 실들을 교차시킬 수 있는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연장되고 있고 2026년에는 노인인구가 20%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인구가 고령화되면 신체기능 저하는 물론 인지기능의 저하와 우울증상을 동반하는 비율이 증가하여 65~69세 대상자의 15.5%, 70~74세의 25.0%, 75~79세의 35.9%, 80~84세의 41.6%, 85세 이상의 67.1%에서 인지 저하가 있었으며, 2012년 노인인구의 28.5%가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가 있다. 정상노인에 비해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있지만 임상적으로 치매의 기준에는 맞지 않은 상태로, 동일 연령대에 비해 경미한 기억력 손상은 있으나 일상생활수행능력은 정상이며, 주관적인 기억력이 감퇴됨을 호소하나 일반적인 인지 기능은 정상범위에 있어, 정상에서 치매로 이행되는 중간단계를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라고 정의한다. MCI의 국내 유병률은 65세 이상 인구의 27.82%로 약 1/4을 상회하는 수준이며, 경도의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 경우 치매로 진행하는 비율이 년 10~15%로, 정상인이 치매로 진행하는 비율인 년 1~2% 보다 매우 높다. 동일한 대상자에게 각각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 정도를 조사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08년에는 대상자의 22.3%에서 인지기능 저하가 있었는데, 2011년에는 31.1%로 증가하여 적절한 중재가 제공되지 않은 경우 매우 빠르게 인지 기능이 저하된 연구 결과가 있다.
노령화 시대에 대응하여 인지 기능 개선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놀이 기구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과거 명사. 삼베, 무명, 명주 따위의 피륙을 짜는 틀을 소형화하여 소형 베틀이 개발되고 있고 누구나 쉽게 직물을 짤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 베틀은 단순히 간단한 직물을 짜는 행위뿐 만 아니라 노약자의 취미 활동, 놀이 등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4-004713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 및 어린이의 체험 학습과 노인들의 인지 능력을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 작업을 할 때 잉아를 간편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실들의 교차시켜 직물을 짤 수 있도록 한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잉아수단에 실위치조절바를 배치하고 잉아수단의 회전에 의해 실들의 교차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 어린이 및 노인들이 실들이 감겨진 가로수단들과 잉아수단을 간단히 회전시켜 직물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체험 학습 및 인지 능력 향상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의 종류에 맞게 실들의 텐션과 잉아의 회전 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학습자가 쉽게 베틀을 사용할 수 있는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 어린이 및 노인들이 베틀을 사용할 때 자신의 직물 작업 과정에 대한 정보 및 직물 작업에 대한 단계별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교정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제1 세로수단; 상기 제1 세로수단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세로수단; 상기 제1 및 제2 세로수단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 복수회 실이 감겨져 상기 제1 및 제2 세로수단과 평행한 제1 및 제2 실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가로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가로수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실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실의 위치를 교대로 전환하는 잉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세로수단과 제2 세로수단에는 각각 상기 잉아수단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에는 상기 잉아수단의 양측에 고정되어 상기 잉아수단을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가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잉아수단은, 상기 제2 실을 가이드하도록 복수의 실홈들이 형성된 잉아바디부; 상기 잉아바디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잉아바디부로부터 소정의 위치까지 연장된 복수의 실위치조절바; 상기 복수의 실위치조절바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실을 가이드하는 고정고리부; 및 상기 잉아바디부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와 체결되는 제1 및 제2 잉아고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실위치조절바는 상기 제1 및 제2 실 사이의 공간 확보를 위해 상기 고정고리부 영역이 유선형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는 각각 위치조절기어홈이 형성된 제1 위치조절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잉아수단의 제1 및 제2 잉아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의 위치조절기어홈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는 각각 상기 제1 위치조절기어와 대응되는 제2 위치조절기어가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고리부에 위치하는 제1 실을 상기 잉아바디부의 표면에 위치하는 제2 실의 보다 높거나 낮은 위치로 전환하고, 상기 제1 가로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실이 복수회 감긴 원기둥 형태의 제1 가로바디부; 상기 제1 가로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실들이 감겨지는 복수의 실홈들; 상기 제1 가로바디부의 양측에는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상기 제2 가로수단과의 사이에 위치한 제1 및 제2 실들의 텐션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에는 제1 및 제2 후방회전부가 체결되고, 상기 제2 가로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실이 교대로 감겨지도록 일면에 복수의 실홈들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 상기 가이드플레이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 제2 가로바디부; 상기 제2 가로바디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바디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상기 제1 가로수단과의 사이에 위치한 제1 및 제2 실들의 텐션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고정부에는 제1 및 제2 전방회전부가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상기 잉아수단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가로수단 보다 상기 제1 및 제2 세로수단의 하측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세로수단의 측면에는 제1 및 제2 세로수단커버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세로수단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베틀 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4 높이조절부가 더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세로수단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가 더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및 어린이의 체험 학습과 노인들의 인지 능력을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직물 작업을 할 때 잉아를 간편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실들의 교차시켜 직물을 짤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잉아수단에 실위치조절바를 배치하고 잉아수단의 회전에 의해 실들의 교차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어린이 및 노인들이 실들이 감겨진 가로수단들과 잉아수단을 간단히 회전시켜 직물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체험 학습 및 인지 능력 향상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직물의 종류에 맞게 실들의 텐션과 잉아의 회전 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학습자가 쉽게 베틀을 사용할 수 있는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어린이 및 노인들이 베틀을 사용할 때 자신의 직물 작업 과정에 대한 정보 및 직물 작업에 대한 단계별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교정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의 세로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의 전방회전부와 위치조절부 및 회전조절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다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짜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에서 잉아 수단과 가로 수단에 위치하는 날실들의 높이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의 잉아바디부, 제1 및 제2 가로바디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의 잉아바디부와 위치조절부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의 세로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의 전방회전부와 위치조절부 및 회전조절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100)는, 베틀 장치의 사각 틀을 구성하기 위한 제1 세로수단(150), 제1 세로수단(15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세로수단(160), 제1 및 제2 세로수단(150, 16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가로수단(130, 140)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가로수단(130, 140) 사이에는 날실들을 서로 상하 방향으로 교차 전환하는 잉아수단(120)을 더 포함한다.
베틀 장치(100)는 제1 및 제2 세로수단(150, 160)과 제1 및 제2 가로수단(130, 140)이 직사각형 형태의 틀을 구성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1 및 제2 세로수단(150, 160)의 길이가 제1 및 제2 가로수단(130, 14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제1 및 제2 가로수단(130, 140)의 길이가 제1 및 제2 세로수단(150, 16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베틀을 이용하여 직물을 짜기 위해서는 날실들을 순차적으로 격자 형태로 위치시키며 작업이 진행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100)는, 실이 제1 가로수단(130)에 복수회 감기면서 제2 가로수단(140)에 감겨 제1 및 제2 가로수단(130, 140) 사이에서 실들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교차되도록 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실과 제2 실 사이에는 실이 감겨진 북이 반복적으로 통과되면서 직물을 짜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베틀 장치(100)에 배치되는 잉아수단(120)은, 제1 실을 가이드하도록 복수의 제2 실홈들(251b)이 형성된 잉아바디부(120a)와, 잉아바디부(120a)와 일체로 형성되고, 잉아바디부(120a)로부터 소정의 높이(위치)로 연장된 복수의 실위치조절바(120b)와, 복수의 실위치조절바(120b)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어 제2 실을 가이드하는 고정고리부(120c)와, 잉아바디부(120a)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잉아고정부(120d, 120e)를 포함한다.
잉아바디부(120a)는 원통형(원기둥) 구조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복수의 제2 실홈(251b)들이 형성되어 제1 가로수단(130) 또는 제2 가로수단(140)으로 인출된 두 개의 실 중 어느 하나의 실, 예를 들어 제1 실을 가이드한다. 또한, 복수의 제2 실홈(251b)들의 간격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고, 실홈들의 깊이도 동일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잉아바디부(120a)에 감기는 제1 및 제2 실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감겨지고 그 위치도 일정한 위치를 유지한다.
실위치조절바(120b)는 잉아바디부(120a)에 형성된 제2 실홈들(251b)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실위치조절바(120b)는 잉아바디부(120a)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위치로 인출되어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고리부(120c)에 의해 제2 실을 가이드한다. 또한, 실위치조절바(120b)는 고정고리부(120c)와 잉아바디부(120a) 사이에서 유선형 구조를 갖도록 하여 고정고리부(120c)의 제2 실과 잉아바디부(120a) 표면에 위치한 제1 실과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가로수단(130)은 제1 및 제2 실이 복수회 감긴 원기둥 형태의 제1 가로바디부(130a)와, 제1 가로바디부(130a)의 둘레를 따라 제1 및 제2 실들이 감겨지는 복수의 제3 홈들(261)과, 제1 가로바디부(130a)의 양측에는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부(130b, 130c)를 포함한다.
제2 가로수단(140)은 제1 및 제2 실이 교대로 감겨지도록 일면에 복수의 제1 홈들(241)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140b)와, 가이드플레이트(140b)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 제2 가로바디부(140a)와, 제2 가로바디부(140a)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바디고정부(140c, 140d)를 포함한다.
제1 세로수단(150)과 제2 세로수단(160)의 중앙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 위치가이드(122a)와 제2 위치가이드(122b)가 배치된다.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122a, 122b)에는 잉아수단(120)의 제1 및 제2 잉아고정부(120d, 120e)가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잉아수단(120)의 제1 및 제2 잉아고정부(120d, 120e)에 각각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121a, 121b)가 체결된다.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121a, 121b)에 각각 배치된 제1 위치조절기어(124)는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122a, 122b)의 내측에 배치된 제2 위치조절기어(123)와 맞물려 잉아수단(12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121a, 121b)는 잉아수단(120)의 제1 및 제2 잉아고정부(120d, 120e)와 고정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122a, 122b)에 배치된 제2 위치조절기어(123)를 따라 이동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하지 않은 FP는 고정핀이다. 고정핀(FP)은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121a, 121b)의 외측에서 제1 위치조절기어(124) 방향으로 삽입된 후, 잉아수단(120)의 제1 및 제2 잉아고정부(120d, 120e)의 측면과 맞닿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따라서, 고정핀(FP)은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121a, 121b)가 제1 및 제2 잉아고정부(120d, 120e)를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는 회전축 기능을 한다. 또한,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121a, 121b)가 제1 및 제2 위치 가이드(122a, 122b)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할 때, 잉아바디부(120a)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고정핀(FP)은 제1 및 제2 가로수단(130, 140)이 회전할 때에도 동일한 기능을 한다.
또한, 제1 세로수단(150)과 제2 세로수단(160)의 일측 가장자리 영역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쌍의 제1 회전조절홀(152)이 배치된다. 즉, 제1 회전조절홀(152)을 구성하는 조절홀들은 제1 세로수단(150)과 제2 세로수단(160)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마주한다. 제1 회전조절홀(152)에는 제1 및 제2 후방회전부(131a, 131b)가 제1 가로수단(130)의 제1 및 제2 고정부(130b, 130c)와 체결된 상태에서 삽입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후방회전부(131a, 131b)는 각각 제1 회전조절기어(134)가 형성(배치)되고 제1 회전조절기어(134)는 제1 회전조절홀(15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회전조절홀(152)에 형성된 제1 스톱퍼(153)에 의해 회전 정도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제1 회전조절기어(134)는 제1 회전조절홀(152)에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제1 스톱퍼(153)에 기어가 걸리면서 고정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핀(FP)이 제1 및 제2 후방회전부(131a, 131b)에 체결되고 고정핀(FP)의 끝단은 제1 회전조절기어(134)에 형성된 홈을 관통하여 제1 가로수단(130)의 제1 및 제2 고정부(130b, 130c)의 끝단과 맞닿으며 체결된다. 고정핀(FP)은 제1 및 제2 후방회전부(131a, 131b)가 제1 가로수단(130)과 체결되어 회전할 때, 회전축 기능을 한다. 또한, 제1 및 제2 후방회전부(131a, 131b)가 회전할 때, 제1 가로수단(130)의 제1 가로바디부(130a)가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1 가로수단(130)은 제1 및 제2 후방회전부(131a, 131b)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후방회전부(131a, 131b)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1 가로바디부(130a)에 감겨져 있는 제1 및 제2 실의 텐션을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베틀 장치(100)는, 잉아수단(120)을 사이에 두고 제1 가로수단(130)과 마주하는 제2 가로수단(140)을 포함한다. 제2 가로수단(140)은 제1 가로수단(130)이 배치된 제1 세로수단(150)과 제2 세로수단(160)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2 가로수단(140)이 배치되는 영역의 제1 및 제2 세로수단(150, 160)의 타측 가장자리 영역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쌍의 제2 회전조절홀(142)이 배치된다. 즉, 제2 회전조절홀(142)을 구성하는 조절홀들은 제1 세로수단(150)과 제2 세로수단(160)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마주한다.
제2 가로수단(140)을 고정하는 제1 전방회전부(141a)와 제2 전방회전부(141b)는 제2 가로수단(140)의 제1 및 제2 바디고정부(140c, 140d)와 체결된 상태에서 제2 회전조절홀(142)에 삽입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방회전부(141a, 141b)는 제2 회전조절기어(144)가 형성(배치)되고 제2 회전조절기어(144)는 제2 회전조절홀(1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회전조절홀(142)에 형성된 제2 스톱퍼(143)에 의해 회전 정도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제2 회전조절기어(144)는 제2 회전조절홀(142)에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제2 스톱퍼(143)에 기어가 걸리면서 고정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핀(FP)이 제1 및 제2 전방회전부(141a, 141b)에 체결되고 고정핀(FP)의 끝단은 제2 회전조절기어(144)에 형성된 제2 회전조절기어홈(144a)을 관통하여 제2 가로수단(140)의 제1 및 제2 바디고정부(140c, 140d)의 끝단과 맞닿으며 체결된다. 고정핀(FP)은 제1 및 제2 전방회전부(141a, 141b)가 제2 가로수단(140)과 체결되어 회전할 때, 회전축 기능을 한다. 또한, 제1 및 제2 전방회전부(141a, 141b)가 회전할 때, 제2 가로수단(140)의 제2 가로바디부(140a)가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2 가로수단(140)은 제1 및 제2 전방회전부(141a, 141b)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전방회전부(141a, 141b)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2 가로바디부(140a)에 감겨져 있는 제1 및 제2 실의 텐션을 조절한다.
따라서, 제2 가로수단(140)은 제1 및 제2 전방회전부(141a, 141b)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전방회전부(141a, 141b)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가이드플레이트(140b)에 감겨져 있는 제1 및 제2 실의 텐션을 조절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방회전부(141a, 141b)에도 각각 고정핀(FP)이 체결되고, 고정핀(FP)의 끝단은 제2 가로수단(140)의 제1 및 제2 바디고정부(140c, 140d)와 체결되어 제1 및 제2 전방회전부(141a, 141b)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축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베틀 장치(100)의 잉아수단(120)은 제1 및 제2 가로수단(130, 14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잉아수단(120)의 양측에 체결된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121a, 121b)는 제1 및 제2 가로수단(130, 140)의 양측 각각에 체결된 제1 및 제2 후방회전부(131a, 131b)와 제1 및 제2 전방회전부(141a, 141b)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베틀 장치(100)에 배치되는 위치조절부, 후방회전부 및 전방회전부의 구조와 세로수단의 구조를 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베틀 장치(100)의 틀을 구성하는 제1 세로수단(150)은, 중앙 영역에 잉아수단(120)을 고정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위치가이드(122a)와 제1 위치가이드(122a)를 중심으로 제1 세로수단(150)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2 회전조절홀(142)과 제1 회전조절홀(152)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세로수단(160)에도 제1 위치가이드(122a), 제1 회전조절홀(152) 및 제2 회전조절홀(142)과 대응되는 제2 위치가이드(122b), 제1 및 제2 회전조절홀(152, 142)을 구성하는 조절홀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회전조절홀(152, 142)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조절홀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세로수단(150, 160)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1 세로수단(150)은 외측벽과, 외측벽과 수직한 상하면으로 구성되고, 내측 영역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하면에는 제1 위치가이드(122a)를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제1 및 제2 받침턱(330, 331)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받침턱(330, 331)은 사각형 틀 형태의 베틀 장치(100)가 작업 중에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1 및 제2 받침턱(330, 331)은 잉아수단(120)이 회전하여 제1 및 제2 실과의 교차 공간을 크게하는 기능도 한다. 왜냐하면, 잉아수단(120)의 실위치조절바(120b)가 회전에 의해 베틀 장치(100)의 바닥면 영역으로 회전하면 제1 및 제2 받침턱(330, 331)의 높이 만큼 아래로 위치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베틀 장치(100)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실위치조절바(120b)와 잉아바디부(120a) 상면과의 높이 차가 커져 제1 실과 제2 실 사이 간격이 커진다.
제1 위치가이드(122a)는 제1 세로수단(150)의 바닥면에서 상면 위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제1 위치가이드(122a)는 타원 형태의 오픈 구조로 형성되고 내면에는 복수의 나사산 구조를 갖는 제2 위치조절기어(123)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위치조절부(121a)의 제1 위치조절기어(124)는 제1 위치가이드(122a)의 위치가이드홀(322)에 삽입되어 제2 위치조절기어(123)와 맞물린다. 제1 및 제2 위치조절기어(124, 123)는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제1 위치조절부(121a)의 회전에 의해 제1 위치가이드(122a)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 위치조절부(121a)에 고정된 잉아수단(120)도 제1 위치조절부(121a)와 대응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특히, 제1 위치조절기어(124)는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위치조절기어홈(124a)이 형성되고, 홈의 일측에는 잉아수단(120)의 제1 및 제2 잉아고정부(120d, 120e)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고정체결홈(124b)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잉아고정부(120d, 120e)의 양측단은 위치고정체결홈(124b)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세로수단(150)은 전방 위치에 제2 회전조절홀(142)이 배치되고, 후방 위치에 제1 회전조절홀(152)이 배치된다. 제2 회전조절홀(142)은 제2 세로수단(160)에도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한쌍의 조절홀 형태로 배치되고, 제1 회전조절홀(152)도 제2 세로수단(160)에 서로 대응되도록 한쌍의 조절홀 형태로 배치된다.
제2 회전조절홀(142)은 관통홀 구조를 갖고 내측면에는 홈 형태의 제2 스톱퍼(143)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전방회전부(141a)의 제2 회전조절기어(144)가 제2 회전조절홀(14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며 제2 스톱퍼(143)에 의해 회전 정도가 조절된다. 즉, 제1 전방회전부(141a)가 회전하면서 제2 가로수단(140)의 제2 가로바디부(140a)의 회전 정도가 조절되어 가이드플레이트(140b)에 감겨 있는 제1 및 제2 실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회전조절기어(144)는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제2 회전조절기어홈(144a)이 형성되고, 홈의 일측에는 제2 가로수단(140)의 제1 및 제2 바디고정부(140c, 140d)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고정체결홈(144b)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바디고정부(140c, 140d)의 양측단은 제2 고정체결홈(144b)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세로수단(150)은 후방 위치에 제1 회전조절홀(152)이 배치된다. 제1 회전조절홀(152)은 관통홀 구조를 갖고 내측면에는 홈 형태의 제1 스톱퍼(153)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후방회전부(131a)의 제1 회전조절기어(134)가 제1 회전조절홀(15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며 제1 스톱퍼(153)에 의해 회전 정도가 조절된다. 즉, 제1 후방회전부(131a)가 회전하면서 제1 가로수단(130)의 제1 가로바디부(130a)의 회전 정도가 조절되어 제1 가로바디부(130a)에 감겨 있는 제1 및 제2 실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회전조절기어(134)는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제1 회전조절기어홈(134a)이 형성되고, 홈의 일측에는 제1 가로수단(130)의 제1 및 제2 고정부(130b, 130c)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고정체결홈(134b)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고정부(130b, 130c)의 양측단은 제1 고정체결홈(134b)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및 어린이의 체험 학습과 노인들의 인지 능력을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직물 작업을 할 때 잉아를 간편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실들의 교차시켜 직물을 짤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잉아수단에 실위치조절바를 배치하고 잉아수단의 회전에 의해 실들의 교차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어린이 및 노인들이 실들이 감겨진 가로수단들과 잉아수단을 간단히 회전시켜 직물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체험 학습 및 인지 능력 향상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직물의 종류에 맞게 실들의 텐션과 잉아의 회전 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학습자가 쉽게 베틀을 사용할 수 있는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어린이 및 노인들이 베틀을 사용할 때 자신의 직물 작업 과정에 대한 정보 및 직물 작업에 대한 단계별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교정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2와 함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100)는, 제1 세로수단(150), 제1 세로수단(15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세로수단(160), 제1 및 제2 세로수단(150, 16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가로수단(130, 140)과 제1 및 제2 가로수단(130, 140) 사이에 배치된 잉아수단(120)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세로수단(150, 160)은 각각 측면과 상면 및 바닥면으로 구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1 및 제2 세로수단(150, 160)의 개방 영역들은 서로 마주하는 구조로 배치된다. 제1 및 제2 세로수단(150, 160) 중 어느 하나의 내측 공간(X)에는 본원 발명의 베틀 장치 구동 시스템이 배치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제2 세로수단(160)의 내측 공간(X)에는 베틀 장치 구동 시스템이 배치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세로수단(150)의 내측 공간(X)에도 대응되는 베틀 장치 구동 시스템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세로수단(160)의 내측 공간(X)에는 제1 구동부(700)와 제2 구동부(800)가 각각 잉아수단(120)과 제1 가로수단(130) 사이와 잉아수단(120)과 제2 가로수단(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부(700)와 제1 가로수단(130) 사이에는 제1 동력전달부(710)가 배치되고 제2 구동부(800)와 제2 가로수단(140) 사이에는 제2 동력전달부(81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부(700)와 잉아수단(120) 사이에는 제3 동력전달부(900a)가 배치되고, 제2 구동부(800)와 잉아수단(120) 사이에는 제4 동력전달부(900b)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세로수단(150, 160)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는 제어판(75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세로수단(150)의 내측 공간(X)에도 제1 구동부(700), 제2 구동부(800), 제1 동력전달부(710), 제2 동력전달부(810), 제3 동력전달부(900a) 및 제4 동력전달부(900b)와 대응되는 구성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제1 세로수단(150)의 내측 공간(X)은 제1 및 제2 구동부(700, 800)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부(710), 제2 동력전달부(810), 제3 동력전달부(900a) 및 제4 동력전달부(900b)로부터 분기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제어판(750)은 전술한 베틀 장치 구동 시스템의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터치패드들과 작업자에게 직물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베틀 장치(100)는 작업자가 직물 공정을 하거나 직물 공정과 관련된 체험 학습 또는 노인들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 교구로 사용할 때, 작업자에게 각 직물 공정 단계에서 필요한 공정이나 잘못된 작업 공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직물 작업 공정을 할 때 가로수단들에 실을 감거나 잉아수단을 이용하여 실들을 교차하거나 북을 실들의 교차 공간에 삽입하는 경우 각 단계가 적절한 단계가 아닐 경우(순서가 바뀐 경우 등) 제어판(75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작업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작업자는 베틀 장치(1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제어판(75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직물 작업에서 요구되는 각 공정들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베틀 장치(100)는 제어판(75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작업자가 진행할 다음 공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베틀 장치(100)는 제어판(750)의 터치 패드들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가로수단(130, 140)의 회전 방향이나 회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제어판(750)을 이용하여 잉아수단(120)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실을 순차적으로 교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및 어린이의 체험 학습과 노인들의 인지 능력을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직물 작업을 할 때 잉아를 간편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실들의 교차시켜 직물을 짤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잉아수단에 실위치조절바를 배치하고 잉아수단의 회전에 의해 실들의 교차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어린이 및 노인들이 실들이 감겨진 가로수단들과 잉아수단을 간단히 회전시켜 직물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체험 학습 및 인지 능력 향상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직물의 종류에 맞게 실들의 텐션과 잉아의 회전 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학습자가 쉽게 베틀을 사용할 수 있는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어린이 및 노인들이 베틀을 사용할 때 자신의 직물 작업 과정에 대한 정보 및 직물 작업에 대한 단계별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교정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짜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100)는, 제1 세로수단(150), 제1 세로수단(15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세로수단(160), 제1 및 제2 세로수단(150, 16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가로수단(130, 140) 및 제1 및 제2 가로수단(130, 140) 사이에 배치된 잉아수단(120)을 더 포함한다.
베틀 장치(100)는 제1 및 제2 세로수단(150, 160) 방향으로 제1 실(Z1)과 제2 실(Z2)이 배치된다. 실은 제1 가로수단(130)에 감기면서 제2 가로수단(140)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베틀 장치(100)에서는 세로방향으로 제1 실(Z1)과 제2 실(Z2)이 배치된다.
보다구체적으로 직물 짜기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실들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실은 베틀 장치(100)의 후방에 배치된 제1 가로수단(130)의 제1 가로바디부(130a)에 감긴 후에 잉아수단(120)을 경유해 제2 가로수단(140)의 가이드플레이트(140b)에 감긴다. 제1 가로수단(130)의 제3 홈(261)에 형성된 실은 각 홈들에 중첩하여 감기기 때문에 두 가닥의 제1 및 제2 실(Z1, Z2)이 인출된다.
제1 실(Z1)은 잉아수단(120)의 실위치조절바(120b)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 고정고리부(120c)에서 가이드된 후 제2 가로수단(140)의 가이드플레이트(140b)에 감긴다. 즉, 제1 실(Z1)은 가이드플레이트(140b)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홈들(241)에 삽입되어 감긴다.
반면, 제2 실(Z2)은 제1 가로수단(130)으로부터 인출된 후 잉아수단(120)의 제1 잉아바디부(120a)의 제2 홈(251b)을 경유하여 제2 가로수단(140)의 가이드플레이트(140b)에 감긴다. 즉, 제2 실(Z2)은 가이드플레이트(140b)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홈들(241)에 삽입되어 감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실(Z1)은 잉아수단(120)의 실위치조절바(120b) 끝단, 즉 고정고리부(120c)에 위치하고 제2 실(Z2)은 잉아수단(120)의 잉아바디부(120a) 표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간(SP1)이 형성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수단(130)과 제2 가로수단(140)을 회전시켜 제1 및 제2 실(Z1, Z2)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실의 텐션을 조절하는 방식은 도 2 내지 도 6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제1 실(Z1)과 하나의 제2 실(Z2)만을 도시하였지만, 실제 직물 작업을 진행할 때에는 실위치조절바(120b)들 각각에 제1 실(Z1)들이 위치하고, 제1 가로바디부(130a)의 제2 홈들(251b) 각각에 제2 실(Z2)들이 위치한다.
따라서, 도 9에서는 제1 실(Z1)들의 높이가 제2 실(Z2)들의 위치보다 높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공간(SP1)이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잉아수단(120)의 경우에도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회전에 의해 실위치조절바(120b)의 높이를 조절하여 제1 실(Z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베틀 장치(100)는 잉아수단(120)을 회전시켜 제1 실(Z1)과 제2 실(Z2) 사이의 제1 공간(SP1)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Z1)의 위치를 제2 실(Z2) 보다 아래로 전환하기 위해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121a, 121b)를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122a, 122b)를 따라 상승시킨다.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121a, 121b)의 회전에 의해 잉아수단(120)이 상승하는 원리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한다.
즉, 본 발명의 베틀 장치(100)는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121a, 121b)를 회전시켜 잉아수단(12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실위치조절바(120b)가 아래로 위치하게 한다. 즉, 잉아수단(120)이 상승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잉아바디부(120a)와 연결된 실위치조절바(120b)는 자연스럽게 아래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Z1)은 실위치조절바(120b)의 고정고리부(120c)에 걸려 있기 때문에 실위치조절바(120b)가 아래로 이동하면 제1 실(Z1)의 위치하게 된다. 즉, 제1 실(Z1)의 위치는 잉아바디부(120a)의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잉아바디부(120a)의 표면에 위치하는 제2 실(Z2)의 위치보다 낮게 된다.
따라서, 제1 실(Z1)과 제2 실(Z2) 사이의 제2 공간(SP2)이 형성되는데, 제2 공간(SP2)에서는 제2 실(Z2)의 위치가 제1 실(Z1)의 위치보다 높게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베틀 장치(100)는 제1 및 제2 가로수단(130, 140)을 간단히 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실(Z1, Z2)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베틀 장치(100)는 잉아수단(120)의 회전만으로 제1 및 제2 실(Z1, Z2)의 위치를 간편하게 바꿀 수 있어 직물 공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및 어린이의 체험 학습과 노인들의 인지 능력을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직물 작업을 할 때 잉아를 간편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실들의 교차시켜 직물을 짤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잉아수단에 실위치조절바를 배치하고 잉아수단의 회전에 의해 실들의 교차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어린이 및 노인들이 실들이 감겨진 가로수단들과 잉아수단을 간단히 회전시켜 직물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체험 학습 및 인지 능력 향상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직물의 종류에 맞게 실들의 텐션과 잉아의 회전 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학습자가 쉽게 베틀을 사용할 수 있는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어린이 및 노인들이 베틀을 사용할 때 자신의 직물 작업 과정에 대한 정보 및 직물 작업에 대한 단계별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교정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이에서 일부를 변형한 것으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명칭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 요소이다. 따라서, 별도의 추가 설명이 없는 경우에는 제1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한다. 여기서는 제1실시예의 베틀 장치와 구별되는 구성들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500)는, 베틀 장치의 사각 틀을 구성하기 위한 제1 세로수단(550), 제1 세로수단(55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세로수단(560),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가로수단(530, 540)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가로수단(530, 540) 사이에는 날실들을 서로 상하 방향으로 교차 전환하는 잉아수단(52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베틀 장치(500)의 잉아수단(520)은, 날실들을 가이드 하도록 복수의 실홈들이 형성된 잉아바디부(520a), 잉아바디부(520a)와 일체로 형성된 실위치조절바(520b), 잉아바디부(520a)에 위치한 날실과 교차하기 위해 날실을 가이드하는 고정고리부(520c), 잉아바디부(520a)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및 제2 잉아고정부(520d, 520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잉아수단(520)은 잉아바디부(520a)가 제1실시예와 다르게 타원형 단면을 갖는 입체형 구조 또는 플랫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3실시예에서는 잉아바디부(520a)에 수평한 평면이 형성되어 있고, 수평한 평면의 일측에 고정고리부(520c)가 형성된 실위치조절바(520b)를 형성하였다. 즉, 잉아바디부(520a)의 수평면과 실위치조절바(520b)는 소정의 각도를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직각이상의 각을 이루도록 한다.
본 발명의 베틀 장치(500)의 1 가로수단(530)은, 날실들이 복수에 감기고 표면에 실홈들이 형성된 제1 가로바디부(530a)와, 제1 가로바디부(530a)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부(530b, 530c)를 포함한다.
또한, 제2 가로수단(540)은, 날실들이 복수에 감기고 표면에 실홈들이 형성된 제2 가로바디부(540a)와, 제2 가로바디부(540a)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바디고정부(540b, 540c)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가로수단(530)과 제2 가로수단(540)에 배치되는 제1 가로바디부(530a)와 제2 가로바디부(540a)는 타원형 단면을 갖는 입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다른 베틀 장치(500)는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은 잉아수단(520), 제1 및 제2 가로수단(530, 54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제1 세로수단커버(551)와 제2 세로수단커버(561)가 추가로 배치된다. 제1 및 제2 세로수단커버(551, 561)는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의 내면 공간을 덮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 세로수단커버(551, 561)가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의 하측면과 제1 및 제2 세로수단커버(551, 561)의 하측면에는 단차부(st1. st2)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로수단(550)의 하측면에 형성된 제1단차부(st1)와 제1 세로수단커버(551)의 하측면에 형성된 제2단차부(st2)는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일측이 돌출된 단차면이면 타측은 함몰된 단차면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세로수단커버(551, 561)를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에 1차적으로 결합할 때에는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베틀 장치(500)는,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에 각각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522a, 522b)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522a, 522b)가 형성된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 영역은 다른 영역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522a, 522b)와 대응되는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에는 위치가이드홀(752)이 형성된다. 위치가이드홀(752)은 잉아수단(520)을 고정하거나 위치가이드홀(752)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521a, 521b)가 체결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에 제1 및 제2 세로수단커버(551, 561)이 체결되기 때문에 위치가이드홀(752)과 대응되는 제1 및 제2 세로수단커버(551, 561)에는 가이드홀(752a)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제1 및 제2 가로수단(530, 540)과 각각 체결되는 제1 및 제2 전방회전부(541a, 541b)와 제1 및 제2 후방회전부(531a, 531b)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제1 및 제2 회전조절홀(751, 753)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세로수단커버(551, 561)에는 제1 및 제2 회전조절홀(751, 753)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및 제2 조절홀(751a, 753a)이 형성된다.
즉,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에 제1 및 제2 세로수단커버(551, 561)이 각각 체결되면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에 형성된 제1 및 제2 회전조절홀(751, 753)과 위치가이드홀(752)은 제1 및 제2 세로수단커버(551, 561) 상에 형성된 제1 및 제2 조절홀(751a, 753a)과 가이드홀(752a)이 서로 중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전방회전부(541a, 541b)와 제1 및 제2 후방회전부(531a, 531b)는 각각 제1 및 제2 회전조절홀(751, 753)과 제1 및 제2 조절홀(751a, 753a)을 관통하여 각각 제1 및 제2 가로수단(530, 540)과 체결된다. 또한,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521a, 521b)는 각각 위치가이드홀(752)과 가이드홀(752a)을 관통하여 잉아수단(520)과 체결된다.
도면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및 제2 회전조절홀(751, 753)과 위치가이드홀(752) 내측에는 제1실시예의 베틀 장치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어 또는 스톱퍼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전방회전부(541a, 541b), 제1 및 제2 후방회전부(531a, 531b) 및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521a, 521b)에는 각각 회전핀(RP)이 체결되어 있다. 회전핀(RP)은 제1 및 제2 가로수단(530, 540)과 잉아수단(520)의 각 바디부와 체결(접촉)되어 제1 및 제2 가로수단(530, 540)과 잉아수단(520)이 회전할 때 회전축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베틀 장치(500)의 잉아수단(520)은 제1 및 제2 가로수단(530, 54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잉아수단(520)의 양측에 체결된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521a, 521b)는 제1 및 제2 가로수단(530, 540)의 양측 각각에 체결된 제1 및 제2 후방회전부(531a, 531b)와 제1 및 제2 전방회전부(541a, 541b)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베틀 장치(500)는,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의 양측 가장자리에 베틀 장치(500)를 지지하면서 수평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4 높이조절부(700a, 700b, 700c, 700d)가 배치된다. 제1 내지 제4 높이조절부(700a, 700b, 700c, 700d)는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과 하측(바닥면)에 체결되어 베틀 장치(500)의 높이를 제1 내지 제4 높이조절부(700a, 700b, 700c, 700d)의 높이만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높이조절부(700a, 700b, 700c, 700d)는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베틀 장치(50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베틀 장치(500)는,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하고 조립 강도를 높이기 위해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601, 602)를 배치한다.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601, 602)는 각각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지지플레이트(601)는 제1 베이스부(601a)와 제1 베이스부(601a) 양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601b, 601c)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601b, 601c)는 제1 베이스부(601a)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601b, 601c)는 각각 제1 및 제2 세로수단커버(551, 561)에 체결 고정된다.
또한, 제2 지지플레이트(602)는 제2 베이스부(602a)와 제2 베이스부(602a) 양측에 배치된 제3 및 제4 고정플레이트(602a, 602c)를 포함한다. 제3 및 제4 고정플레이트(602b, 602c)는 제2 베이스부(602a)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 제3 및 제4 고정플레이트(602b, 602c)는 각각 제1 및 제2 세로수단커버(551, 561)에 체결 고정된다.
제1 지지플레이트(601)의 제1 베이스부(601a)의 폭은 제2 지지플레이트(602)의 제2 베이스부(602a)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플레이트(601)는 잉아수단(520)과 제2 가로수단(540) 사이에 배치하고 제2 지지플레이트(602)는 잉아수단(520)과 제1 가로수단(530)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즉, 제1 가로수단(530)과 잉아수단(520) 사이의 간격은 제2 가로수단(540)과 잉아수단(520) 사이의 간격보다 좁을 경우 간격이 좁은 영역에 폭이 좁은 제2 지지플레이트(602)를 배치하고, 상대적으로 간격이 넓은 영역(잉아수단(520)과 제2 가로수단(540))에 제1 지지플레이트(601)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잉아수단(520)과 제1 가로수단(530) 사이의 간격과 잉아수단(520)과 제2 가로수단(540)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601, 602)의 위치는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및 어린이의 체험 학습과 노인들의 인지 능력을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직물 작업을 할 때 잉아를 간편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실들의 교차시켜 직물을 짤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잉아수단에 실위치조절바를 배치하고 잉아수단의 회전에 의해 실들의 교차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어린이 및 노인들이 실들이 감겨진 가로수단들과 잉아수단을 간단히 회전시켜 직물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체험 학습 및 인지 능력 향상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직물의 종류에 맞게 실들의 텐션과 잉아의 회전 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학습자가 쉽게 베틀을 사용할 수 있는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어린이 및 노인들이 베틀을 사용할 때 자신의 직물 작업 과정에 대한 정보 및 직물 작업에 대한 단계별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교정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에서 잉아 수단과 가로 수단에 위치하는 날실들의 높이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과 함께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베틀 장치(500)는 베틀 장치(500)의 전체 수평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4 높이조절부(700a, 700b, 700c, 700d)가 배치된다.
제1 내지 제4 높이조절부(700a, 700b, 700c, 700d)는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의 수직한 방향의 하측면(바닥면)에 배치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로수단(550)의 양측 가장자리 하측면에 배치된 제1 및 제3 높이조절부(700a, 700c)는 제1 세로수단(550)과 중첩되는 방향으로 접힐 경우 제1 및 제3 높이조절부(700a, 700c)의 바닥면(하측면)과 제1 세로수단(550)의 하측면은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높이조절부(700a, 700b, 700c, 700d)가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의 하측면으로 접힐 경우, 베틀 장치(500)는 상하 단차 없이 수평한 상태로 제1 내지 제4 높이조절부(700a, 700b, 700c, 700d)의 높이만큼 낮아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에는 각각 제1 위치가이드(522a)와 제2 위치가이드(522b)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522a, 522b)가 형성된 영역의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 높이(H1)는 다른 영역보다 높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522a, 522b)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잉아수단(520)이 체결되어 있는데, 잉아수단(520)의 실위치조절바(520b)와 고정고리부(520c)가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522a, 522b) 상측면 위로 올라와 있다. 즉,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521a, 521b)가 잉아수단(520)을 회전시키지 않을 경우, 실위치조절바(520b)의 일부와 고정고리부(520c)는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522a, 522b) 상측면 위로 노출된다.
만약, 제1 내지 제4 높이조절부(700a, 700b, 700c, 700d)가 베틀 장치(500)의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에 접힌 상태일 경우, 고정고리부(520c)의 높이(H2)는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의 하측면(바닥면)에서의 높이가 된다.
하지만, 제1 내지 제4 높이조절부(700a, 700b, 700c, 700d)가 베틀 장치(500)의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에 펼쳐진 상태일 경우, 고정고리부(520c)의 높이(H3)는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의 하측면(바닥면)에서 펴진 제1 내지 제4 높이조절부(700a, 700b, 700c, 700d)의 높이가 더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베틀 장치(500)는, 제1 내지 제4 높이조절부(700a, 700b, 700c, 700d)를 배치하여 베틀 장치(5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적합한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베틀 장치(500)는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521a, 521b)는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522a, 522b)에 형성된 위치가이드홀(752)을 따라 잉아수단(52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7은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521a, 521b)가 위치가이드홀(752)의 하측에 고정된 위치에 있는 경우 잉아수단(520)의 고정고리부(520c)와 제2 가로수단(540)의 제2 가로바디부(540a) 표면과의 거리가 L1인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521a, 521b)가 잉아수단(520)을 회전시켜 잉아수단(520)의 고정고리부(520c)가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 제2 가로수단(540)의 제2 가로바디부(540a) 표면과 잉아수단(520)의 잉아바디부(520a) 표면 사이의 거리가 L2인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베틀 장치(500)는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521a, 521b)에 의해 잉아수단(520)을 회전시킴으로써, 잉아수단(520)의 고정고리부(520c)에 위치한 날실과 제2 가로수단(540)의 바디부 표면에 위치하는 날실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격자 형태의 직물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직물 작업을 할 때 잉아를 간편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실들의 교차시켜 직물을 짤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잉아수단에 실위치조절바를 배치하고 잉아수단의 회전에 의해 실들의 교차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어린이 및 노인들이 실들이 감겨진 가로수단들과 잉아수단을 간단히 회전시켜 직물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체험 학습 및 인지 능력 향상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직물의 종류에 맞게 실들의 텐션과 잉아의 회전 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학습자가 쉽게 베틀을 사용할 수 있는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어린이 및 노인들이 베틀을 사용할 때 자신의 직물 작업 과정에 대한 정보 및 직물 작업에 대한 단계별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교정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의 잉아바디부, 제1 및 제2 가로바디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의 잉아바디부와 위치조절부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베틀 장치(500)의 잉아수단(520), 제1 가로수단(530) 및 제2 가로수단(540)들은 각각 가장자리 체결된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521a, 521b), 제1 및 제2 후방회전부(531a, 531b) 및 제1 및 제2 전방회전부(541a, 541b)에 의해 회전 정도를 조절하여 날실의 텐션 등을 조절한다.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521a, 521b), 제1 및 제2 후방회전부(531a, 531b) 및 제1 및 제2 전방회전부(541a, 541b)는 각각 잉아바디부(520a), 제1 가로바디부(530a) 및 제2 가로바디부(540a)의 양측에 체결되지만, 그중 일측에 체결되는 조절부와 회전부를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위치조절부(521a), 제1 후방회전부(531a) 및 제1 전방회전부(541a)를 회전시켜 잉아수단(520), 제1 가로수단(530) 및 제2 가로수단(540)을 회전시키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따라서, 제2 위치조절부(521a), 제2 후방회전부(531b) 및 제2 전방회전부(541a)를 이용하여 잉아수단(520), 제1 및 제2 가로수단(530, 540)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제2 위치조절부(521a), 제2 후방회전부(531b) 및 제2 전방회전부(541a)와 이와 각각 체결되는 잉아바디부(520a), 제1 가로바디부(530a) 및 제2 가로바디부(540a)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베틀 장치(500)의 잉아수단(520)은 잉아바디부(520a)를 포함하고, 제1 가로수단(530)은 제1 가로바디부(530a)를 포함하며, 제2 가로수단(540)은 제2 가로바디부(540a)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19에 도시한 바디(BO)는 잉아바디부(520a), 제1 및 제2 가로바디부(530a, 540a)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바디(BO)는 베이스바디부(B)와 베이스바디부(B)의 표면을 따라 복수의 실홈들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PR)가 형성된다. 돌출부(PR)들은 베이스바디부(B)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조립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PR)들이 이격된 간격마다 실홈들이 형성되고 실홈들에 위치한 날실들은 베이스바디부(B)의 표면에 위치한다. 또한, 베이스바디부(B)는 양측 제1 및 제2 가장자리(F1, F2) 영역에 제1 엣지부(E1)와 제2 엣지부(E2)가 형성된다. 제2 엣지부(E2)는 제1 체결엣지부(E2a)와 제1 체결엣지부(E2a)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제2 체결엣지부(E2b)를 포함한다. 즉, 제2 엣지부(E2)는 제1 위치조절부(521a), 제1 후방회전부(531a) 및 제1 전방회전부(541a)가 체결되기 위해 제1 엣지부(E1)보다 길이가 길게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왜냐하면, 제1 위치조절부(521a), 제1 후방회전부(531a) 및 제1 전방회전부(541a)는 잉아수단(520), 제1 가로수단(530) 및 제2 가로수단(540)을 회전시키기 위해 외측 방향으로 이격시킨 후 회전에 의해 잉아수단(520), 제1 가로수단(530) 및 제2 가로수단(540)을 회전시키기 때문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잉아수단(520)의 잉아바디부(520a) 양측에는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521a, 521b)가 체결되어 있다. 전술한 베이스바디부(B)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엣지부(E1, E2)는 제1 및 제2 세로수단(550, 560)에 형성된 위치가이드홀(752)을 관통하여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521a, 521b)와 체결된다.
제2 가장자리(F2) 영역에 배치된 제1 위치조절부(521a)는 잉아수단(520)의 실위치조절바(520b)와 고정고리부(520c)를 아래로 위치시키기 위해 제1 세로수단(550)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격 시킨 후 회전시킨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로수단(550)의 제1 위치가이드(522a)가 형성된 제1영역(800a)과 이와 대응되는 제1 세로수단커버(551)의 제2영역(800b)은 고정나사(810p)에 의해 체결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베틀 장치(500)는 체결을 위해 사용되는 고정나사가 동일한 크기가 사용될 수 있도록 체결 구조를 동일하게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동일한 고정나사를 사용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및 어린이의 체험 학습과 노인들의 인지 능력을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직물 작업을 할 때 잉아를 간편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실들의 교차시켜 직물을 짤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잉아수단에 실위치조절바를 배치하고 잉아수단의 회전에 의해 실들의 교차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어린이 및 노인들이 실들이 감겨진 가로수단들과 잉아수단을 간단히 회전시켜 직물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체험 학습 및 인지 능력 향상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직물의 종류에 맞게 실들의 텐션과 잉아의 회전 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학습자가 쉽게 베틀을 사용할 수 있는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는, 유아, 어린이 및 노인들이 베틀을 사용할 때 자신의 직물 작업 과정에 대한 정보 및 직물 작업에 대한 단계별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교정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500: 베틀 장치
120, 520: 잉아수단
130, 530: 제1 가로수단
140, 540: 제2 가로수단
150, 550: 제1 세로수단
160, 560: 제2 세로수단
121a, 521a: 제1 위치조절부
121b, 521b: 제2 위치조절부
122a, 522a: 제1 위치가이드
122b, 522b: 제2 위치가이드
123: 제2 위치조절기어
124: 제1 위치조절기어
131a: 제1 후방회전부
131b: 제2 후방회전부
141a: 제1 전방회전부
141b: 제2 전방회전부
700: 제1 구동부
710: 제1 동력전달부
750: 제어판
800: 제2 구동부
810: 제2 동력전달부
900a: 제3 동력전달부
900b: 제4 동력전달부

Claims (14)

  1. 제1 세로수단;
    상기 제1 세로수단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세로수단;
    상기 제1 및 제2 세로수단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 복수회 실이 감겨져 상기 제1 및 제2 세로수단과 평행한 제1 및 제2 실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가로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가로수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실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실의 위치를 교대로 전환하는 잉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세로수단과 제2 세로수단에는 각각 상기 잉아수단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에는 상기 잉아수단의 양측에 고정되어 상기 잉아수단을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가 배치되고
    상기 잉아수단은,
    상기 제2 실을 가이드하도록 복수의 실홈들이 형성된 잉아바디부;
    상기 잉아바디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잉아바디부로부터 소정의 위치까지 연장된 복수의 실위치조절바;
    상기 복수의 실위치조절바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실을 가이드하는 고정고리부; 및
    상기 잉아바디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와 체결되는 제1 및 제2 잉아고정부를 포함하는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위치조절바는 상기 제1 및 제2 실 사이의 공간 확보를 위해 상기 고정고리부의 영역이 유선형 구조를 갖는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는 각각 위치조절기어홈이 형성된 제1 위치조절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잉아수단의 제1 및 제2 잉아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의 위치조절기어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위치가이드는 각각 상기 제1 위치조절기어와 대응되는 제2 위치조절기어가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위치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고리부에 위치하는 제1 실을 상기 잉아바디부의 표면에 위치하는 제2 실의 보다 높거나 낮은 위치로 전환하는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00172056A 2020-12-10 2020-12-10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 KR102501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056A KR102501317B1 (ko) 2020-12-10 2020-12-10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056A KR102501317B1 (ko) 2020-12-10 2020-12-10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294A KR20220082294A (ko) 2022-06-17
KR102501317B1 true KR102501317B1 (ko) 2023-02-17

Family

ID=8226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056A KR102501317B1 (ko) 2020-12-10 2020-12-10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3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96011A (ja) 2016-12-16 2018-06-21 株式会社Xoxzo 手芸用織機の開口形成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33844B (it) * 1975-08-21 1979-08-10 Attucci E Macchina per la lavorazione di materiale plastico a pellicola tubolare e simile
US4160467A (en) * 1978-01-05 1979-07-10 Woodruff Jed R Hand loom having rotary heddle assembly
KR20040047131A (ko) 2002-11-29 2004-06-05 김성현 간이 베틀
KR20210001585U (ko) * 2019-12-31 2021-07-08 변미애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96011A (ja) 2016-12-16 2018-06-21 株式会社Xoxzo 手芸用織機の開口形成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294A (ko)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1317B1 (ko)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
KR101213903B1 (ko) 산업용 레노직물 및 그 제직방법, 종광장치
US11384598B2 (en) Screen device
KR20210001585U (ko)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베틀 장치
CA2769966C (en) Ladder tape for window covering and slat adjusting apparatus using the ladder tape
KR910018607A (ko) 2중-셔틀-홀더직기에서 2중 제직물의 리플-퍼엄변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크로싱 장치
JPH076477Y2 (ja) 横型ブラインド
RU2175697C1 (ru) Ремиз и жаккардовый ткацкий станок с ремизом
EP3568512B1 (en) Selvedge device
JP2011256578A (ja) 横型ブラインド
KR20210082463A (ko) 특히 프라이버시 및/또는 눈부심 방지 보호용 직물, 및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0722581B1 (ko) 제직기를 위한 개구형성장치
JP6700530B1 (ja) 手芸用織り機
JPH088233Y2 (ja) 横型ブラインドにおけるスラットの組付構造
CN114815296A (zh) 基于复合偏振片和渐变狭缝光栅的双视3d显示装置
JP2001020145A (ja) 伸縮型アイボード
JP7123297B2 (ja) 映写用スクリーン
JPH06264325A (ja) 箱形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TWI430381B (zh) 測試處理機的開啟器與緩衝台
JPS6014769Y2 (ja) 上下分割型の手織機用そうこう
JPH01207438A (ja) タテ糸密度の調節可能なジャカード製織方法及びその装置
JPH11173039A (ja) ブラインド用のラダーテープ
JPH1046442A (ja) 弾力性仕切り糸による綜目を持つ綜絖
JPS5842465Y2 (ja) 織込みスライドファスナ−製造用の織機
JP2002201546A (ja) 手織機のヘ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