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852B1 - 차량용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852B1
KR102500852B1 KR1020180031832A KR20180031832A KR102500852B1 KR 102500852 B1 KR102500852 B1 KR 102500852B1 KR 1020180031832 A KR1020180031832 A KR 1020180031832A KR 20180031832 A KR20180031832 A KR 20180031832A KR 102500852 B1 KR102500852 B1 KR 102500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nsor
sensor unit
mo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193A (ko
Inventor
나윤성
Original Assignee
(주)테크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윙 filed Critical (주)테크윙
Priority to KR1020180031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852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는 차량 내부의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에서 차량 내부에 물체가 존재하는 것이 감지된 경우 차량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와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온 정보를 통해 주차 상태에 있는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수단을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오는 정보 값이 허용 범위 내에 있도록 제어하거나 경고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상태에서 차량 내부에 방치된 유아의 뇌기능 손상, 고통, 사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그를 위한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사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제어장치{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자상태에 있는 차량 내부의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차량을 사용하는 경우 부모의 인성이나 주의력 부족 또는 부득이나 사정으로 인해 유아를 차량에 방치는 상황들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특히 여름철에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사람의 신체는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세포가 열로 괴사하면서 죽음에 이를 수 있을 정도로 연약하다.
그런데, 한 여름 차량 내부의 온도는 짧은 시간(예를 들면 5분)에 90도까지 상승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아가 차량 내부에 방지되면, 열사병으로 인한 사망 또는 뇌기능 이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유아가 유아용카시트에서 나오려다가 고정끈에 목이 감겨 질식사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더위로 인한 고통뿐 아니라 폐쇄공포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유아가 차량 내부에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으면 이산화탄소의 점진적인 농도 증가로 인하여 호흡이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기도 한다.
위와 같은 주차된 차량 내의 위험 사고에 대처하기 위하여 많은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실내 온도를 측정하여 도어의 창문을 열거나, 에어컨을 작동시키거나, 경보를 발생시키는 등의 기술들이다.
한편, 근래에는 내연기관용 차량보다는 전기차의 보급이 개발되었고, 그 판매가 시작되고 있으며, 환경적인 문제를 고려하여 전기차의 보급이 서둘러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축전지에 의해 가동되는 전기차의 가동용량은 내연기관용 차량의 가동용량보다는 떨어지고, 그나마 주유소에 비해 전기 충전소는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된 차량 내의 사고를 위한 기술들도 전기차의 에너지소모를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3950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8379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3033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211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686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4014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5516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475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769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884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의 위험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하면서도 전력의 사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의 생명성 있는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를 통해 차량 내부에 생명성 있는 물체가 존재하는 것이 감지된 경우 차량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와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온 정보를 통해 주차 상태에 있는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수단을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오는 정보 값이 허용 범위 내에 있도록 제어하거나 경고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센서부는, 차량 내부의 좌석에 놓인 물체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무게감지센서; 및 차량 내부에 있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물체의 생명성을 파악하기 위한 동작감지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차량 내부의 가스 농도를 감지하는 농도감지센서; 및 차량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물체의 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동작감지센서를 통해 물체의 생명성을 판단한 후, 상기 농도감지센서와 상기 온도감지센서로부터 온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가 허용 범위를 이탈하는 이탈값을 가질 때 동작수단을 동작시키거나 경고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주차상태가 시작되었다고 인지되면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해 주차된 차량 내부에 생명성 있는 물체의 존재가 파악되면 제1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제1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해 주차된 차량 내부에 생명성 있는 물체의 존재가 파악되지 않으면 제2 모드로 제어하며,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제2 센서부를 설정된 제1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동작시켜 차량 내부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필요시에 설정된 동작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활성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온도감지센서는 오프(OFF)시키고, 상기 농도감지센서는 온(ON)시켜서 제2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상기 농도감지센서를 동작시키는 대기모드이며, 상기 제2 주기는 상기 제1 주기보다 길고, 상기 제어부는 제2 모드일 때 상기 농도감지센서로부터 설정된 주기로 오는 정보의 변화를 파악하여 변화가 있는 경우 제1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온도센서로부터 오는 외부의 온도값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제2 모드의 시작 시에 차량 도어의 창문을 설정된 값만큼 열어 놓는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온 정보가 기존에 설정된 값과 동일하면 제3 모드로 제어하여 상기 제1 센서부와 상기 제2 센서부를 모두 오프시킨다.
상기한 차량용 제어장치는 차량의 현재 상태를 운전자의 이동단말기 또는 지정인의 이동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단말기로 알리기 위한 통신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상태에서 차량 내부에 방치된 유아의 뇌기능 손상, 고통, 사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그를 위한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사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제어장치에서 이루어지는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차량용 제어장치의 구성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100)에 대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100)는 제1 센서부(110), 제2 센서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제1 센서부(110)는 차량 내부에 생명성 있는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제1 센서부(110)는 무게감지센서(111) 및 동작감지센서(112)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감지센서(111)는 차량 내부의 좌석에 놓인 물체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차량의 좌석마다 구비될 수 있다.
동작감지센서(112)는 차량 내부에 있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물체의 생명성을 파악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동작감지센서(112)는 압전센서나 충격감지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동작감지센서(112)는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통해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2 센서부(120)는 제1 센서부(110)를 통해 차량 내부에 생명성 있는 물체가 존재하는 것이 감지된 경우 차량 내부의 상태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제2 센서부(120)는 농도감지센서(121)와 온도감지센서(122)를 포함한다.
농도감지센서(121)는 차량 내부의 산소 농도를 감지한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농도감지센서(121)가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온도 감지센서(122)는 차량 내부의 온도를 감지한다.
제어부(130)는 제1 센서부(110)와 제2 센서부(120)로부터 온 정보를 통해 주차 상태에 있는 차량에 구비된 동작수단(DM)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동작시킴으로써 제2 센서부(120)로부터 오는 정보 값이 허용 범위 내에 있도록 제어하거나 경고를 발생시킨다. 즉 제어부(130)는 무게감지센서(111)를 통해 물체의 존재가 감지되면, 동작감지센서(112)를 통해 물체의 생명성을 판단한 후, 농도감지센서(121)와 온도감지센서(122)로부터 온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가 허용 범위를 이탈하는 이탈값을 가질 때 차량의 동작수단(DM)들 동작시키거나 경고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차량 내부의 공기 중 산소농도가 산소결핍 농도인 18%가 되기 바로 전 수치인 18. 5% 이하로 되거나 주차중인 차량 내부의 온도가 10도 ~ 39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해당 정보가 허용 범위를 이탈했다고 판단하고 차량의 동작수단(DM)을 동작시키거나 경보를 발생시킨다.
한편, 앞서 기재된 동작수단(DM)은 차량 안이나 밖에 존재하는 램프, 스피커, 창문개폐기, 에어컨 또는 히터 등일 수 있다.
램프는 차밖에 있는 안개등, 방향지시등, 헤드라이트나 차안에 있는 조명등일 수 있으며, 제어부는 그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동작시킬 수 있다. 물론, 차 안의 램프보다는 차 밖의 램프를 동작시키는 것이 주변에 있는 외부인의 관심도를 더 끌 수 있어서 더 바람직할 수 있으며, 기존 차량이 가지고 있는 점멸방식보다는 다른 경보성이나 가시성이 좋은 점멸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스피커는 경보를 청각적인 소리로서 경보를 발생시킨다. 이 때 스피커의 소리는 경적과 같이 차 안보다는 차 밖으로 소리가 나가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창문개폐기는 산소의 부족 등으로 인한 실내 환기의 필요성, 고온에 의한 화상, 화재 또는 질식 방지와 저온에 의한 저체온증 등을 방지할 목적으로 온도의 하강 또는 상승을 위해 동작된다.
에어컨은 여름철 실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동작된다.
히터는 겨울철 실내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동작된다.
참고로, 위에서 예를 든 동작수단(DM)들은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하여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차량용 제어장치(100)에 의한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용 제어장치에서 이루어지는 제어방법>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100)에서 이루어지는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30)는 차량이 주차된 상태로 전환된 시점에서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차량의 시동을 모두 끄거나 탑승자들이 모두 내렸다고 판단하여 주차상태가 시작되었음을 인지하는 시점부터 1분) 동안 제1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해 주차된 차량 내부에 생명성 있는 물체의 존재를 파악하고, 그 파악된 결과에 따라서 제1 모드 내지 제 3모드로 제어한다.
먼저, 제어부(130)는 주차상태가 시작되었음을 인지<S100>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이 꺼졌거나, 시동이 꺼지지는 않았지만 기어장치가 파킹에 놓인 상태에서 도어의 열고 닫힘 정보를 통해 주차상태가 시작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 때,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경우에는 탑승자들의 하차 행위에 소요되는 일정 시간(예를 들면 10초)을 기다렸다가 일정 시간이 되면 주차상태가 시작되었음을 인지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주차상태가 시작되었다고 인지되면,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3분) 동안 제1 센서부(11)에 있는 무게감지센서(111)와 동작감지센서(112)를 통해 주차된 차량 내부에 생명성 있는 물체의 존재 여부를 파악<S200>한다. 그리고 이 단계 S200에서의 파악을 통해 제어부(130)는 제1 모드,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필요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각 모드별로 나누어 설명한다.
1. 제1 모드
무게감지센서(111)에 의해 좌석에 어떤 물체의 무게가 감지되고, 동작감지센서(112)에 의해 해당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제1 모드로 제어한다.
제1 모드에서 제어부(130)는 제2 센서부(120)를 설정된 제1 주기(예를 들면 10초)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동작시켜 차량 내부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S211>하면서 필요하다고 판단될 시에 동작이 요구되는 동작수단(DM)을 동작<S212>시키기 위한 활성모드이다.
즉, 제1 모드에서는 농도감지센서(121)에 의해 감지된 정보나 온도감지센서(122)에 의해 감지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허용 범위를 이탈하는 이탈값을 가지면, 제어부(130)는 창문개폐기를 동작시켜 차량 도어의 창문을 설정된 값만큼 열거나 닫으며, 또는 시동을 켜고 에어컨이나 히터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수단(DM)들의 동작은 제2 센서부(120)를 통해 주기적으로 오는 정보를 통해 필요한 정도로 적절히 제어된다.
참고로, 이러한 제1 모드가 시작되면 전력의 소모를 줄이기 위해 무게감지센서(111)는 오프(OFF)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제2 모드
무게감지센서(111)에 의해 좌석에 어떤 물체(예를 들면 차량 좌석에 실어놓은 무거운 가방 등)의 무게가 감지되지만, 동작감지센서(112)에 의해 해당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일단 해당 물체가 생명체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제2 모드로 제어한다.
제2 모드에서 제어부(130)는 온도감지센서(122)는 오프(OFF)시키고, 농도감지센서(121)는 온(ON)시키며, 제2 주기(예를 들면 1분)에 따라 주기적으로 농도감지센서(121)를 동작시킴으로써 산소 또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만을 주기적으로 감지<S221>하는 대기모드이다.
이 제2 모드에서는 단계 S221을 통해 감지된 정보로 가스 농도의 변화가 있는지를 파악<S222>한 후, 가스 농도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제1 모드로 전환하고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제2 모드를 유지한다.
여기서 제2 주기는 제1 주기보다 길다. 이러한 이유는 제1 모드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차량 안에 생명체 있는 물체가 없다고 고려되기 때문이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에 하나 있을지도 모를 생명체의 존재를 감안하고 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가스 농도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이므로 짧은 주기의 감지보다는 긴 주기의 감지를 수행함으로써 전력을 낭비를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이는 귀가 후 차량을 사용하지 않고 오랜 시간 주차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점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2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라도, 동작감지센서(112)는 주기적으로 동작함으로써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1 모드로 전환되도록 구현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모드에서의 동작감지센서(112)의 감지 주기는 제1 모드에서의 동작감지센서(112)의 감지 주기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30)는 외부의 온도감지기로부터 오는 외부의 온도값이 설정치 이상(예를 들면 30도)일 경우에는 제2 모드의 시작 시에 차량 도어의 창문을 설정된 값만큼 열어 놓도록 미리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모드로 판단되지만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 물체가 생명성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이고, 또한 차후 운전자 등이 탑승할 시점에서 실내의 온도가 너무 높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제2 모드에서도 무게감지센서(111)에 의해 물체의 존재가 파악되면, 무게감지센서(111)를 오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1. 제3 모드
제3 모드는 무게감지센서(111)에 의해 차량 내부에 다른 물체가 없다고 판단되었을 때 선택된다. 이는 예들 들어 무게감지센서(111)를 통해 온 정보가 기존에 설정된 값(차량 좌석에 어느 물체도 없는 경우의 값)과 동일하면 차량 내부에 다른 물체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30)는 제3 모드로 제어하여 제1 센서부(110)와 제2 센서부(120)를 모두 오프시켜 전력의 낭비를 없앤다.
<참고적인 사항>
위의 실시예에서의 주차는 차량의 시동을 완전히 끄고 주차되어 있는 상태 뿐만 아니라 주차된 상태와 유사하게 장시간 정차된 것을 의미한다. 이를테면, 5분 이상 또는 제어부에 설정된 시간 이상 정차한 경우도 포함된다. 즉, 시동의 켜짐과 꺼짐 등에 상관없이 차가 일정 장소에 머물러 있는 경우를 포괄한다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언급한 5분이란 시간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임의로 예시한 것이며, 시동을 켜둔 상황에서 상당 시간 마트나 기타 볼일을 보러 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차량을 운행하는 운행자의 목적과 상황을 고려하여 5분 단위 이하로도 또는 그 이상으로도 설정이 가능하다. 대게의 경우 차량의 시동 여하와 관련 없이 여름에는 에어컨을 겨울엔 히터를 켜두면 문제가 없다고 여겨질 수 있지만, 이는 매우 위험한 생각일 수 있다. 여름만이 아닌 겨울도 저체온증의 우려가 있음에 생명성의 인식기능을 갖춘 본발명은 매우 중요한 발명인 것이다. 단순히 베터리의 방전만이 아니라 과열에 의한 화재도 있으며, 주차 및 정차 장소가 밀폐된 장소라면 매연에 의한 질식도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실시한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차량의 시동 여부와 관계없이 예비전력을 이용한 실시간 대처가 가능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주차라는 의미는 통상적인 주차뿐만 아니라 설정된 시간 이상의 정차까지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추가적인 사항>
위의 실시예에서 더 나아가 도 1에서 추가적으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차량에 통신부(140)를 장착할 수 있고, 이 통신부(140)와 사용자(운전자 또는 기타 지정인)의 이동단말기(M1, M2)와 통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의 통신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일 수도 있지만, 구현하기에 따라서는 와이파이나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통신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40)는 통신모듈(140)을 통해 운전자나 지정인의 이동단말기(M1, M2)로 주기적으로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이 때, 운전자나 지정인의 이동단말기(M1, M2)로 보내지는 정보는, 차량을 떠난 후 얼마가 경과되었는지 여부, 차량 내 가스 농도나 온도 등은 얼마로 허용범위 초과가 예상되고, 또한 어떤 조치들을 취하였는지 등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통신부(140)와 이동단말기(M1, M2)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도록 하고, 통신부(140)를 통해 운전자나 지정인의 이동단말기(M1, M2)로 보내지는 정보들에는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여부, 현재의 거리상으로 어느 정도 시간 내에 차량에 도달이 가능한지 여부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운전자나 지정인의 이동단말기(M1, M2)로 보내도록 구현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으며, 이 때의 카메라는 별도로 구비되거나 기존 블랙박스용 카메라를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제어부(140)의 이러한 설정을 통해 자살과 같은 극단적인 상황도 대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차량 내의 온도와 가스농도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즉각적으로 환기 및 알람 상황을 운전자 외의 지정인에게도 전달하는 알림을 반드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 자신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운전자 및 지정인의 이동단말기(M1, M2)에까지 그 정보가 전달되어 조치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즉, 위급상황을 차량 스스로가 판단하고 이를 운전자나 지정인에게 알려주어야만 한다.
이와 같은 통신이 가능한 경우, 도 2의 흐름도에서 통신부(140)를 통해 알림을 주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운전자나 지정인이 자신의 이동단말기(M1, M2)에서 제어부(140)로 차량 제어를 위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이 명령을 수신한 제어부(140)가 해당 명령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여 동작수단들을 동작시키도록 구현할 필요성도 있다. 이러한 경우, 앞서 실시예에서 언급한 제어부(140)의 자기 판단에 따른 제어를 생략할 수도 있지만, 제어부(140)의 자기 판단에 따른 제어나 명령에 따른 제어가 모두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제어장치
110 : 제1 센서부
111 : 무게감지센서 112 : 동작감지센서
120 : 제2 센서부
121 : 농도감지센서 122 : 온도감지센서
130 : 제어부
140 : 통신부

Claims (6)

  1. 차량 내부의 생명성 있는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를 통해 차량 내부에 생명성 있는 물체가 존재하는 것이 감지된 경우 차량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와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온 정보를 통해 주차 상태에 있는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수단을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오는 정보 값이 허용 범위 내에 있도록 제어하거나 경고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상기 제1 센서부는,
    차량 내부의 좌석에 놓인 물체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무게감지센서; 및
    차량 내부에 있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물체의 생명성을 파악하기 위한 동작감지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차량 내부의 가스 농도를 감지하는 농도감지센서; 및
    차량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물체의 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동작감지센서를 통해 물체의 생명성을 판단한 후, 상기 농도감지센서와 상기 온도감지센서로부터 온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가 허용 범위를 이탈하는 이탈값을 가질 때 동작수단을 동작시키거나 경고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주차상태가 시작되었다고 인지되면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해 주차된 차량 내부에 생명성 있는 물체의 존재가 파악되면 제1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제1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해 주차된 차량 내부에 생명성 있는 물체의 존재가 파악되지 않으면 제2 모드로 제어하며,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제2 센서부를 설정된 제1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동작시켜 차량 내부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필요시에 설정된 동작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활성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온도감지센서는 오프(OFF)시키고, 상기 농도감지센서는 온(ON)시켜서 제2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상기 농도감지센서를 동작시키는 대기모드이며,
    상기 제2 주기는 상기 제1 주기보다 길고,
    상기 제어부는 제2 모드일 때 상기 농도감지센서로부터 설정된 주기로 오는 정보의 변화를 파악하여 변화가 있는 경우 제1 모드로 전환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온도센서로부터 오는 외부의 온도값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제2 모드의 시작 시에 차량 도어의 창문을 설정된 값만큼 열어 놓는
    차량용 제어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온 정보가 기존에 설정된 값과 동일하면 제3 모드로 제어하여 상기 제1 센서부와 상기 제2 센서부를 모두 오프시키는
    차량용 제어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차량의 현재 상태를 운전자의 이동단말기 또는 지정인의 이동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단말기로 알리기 위한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80031832A 2018-03-20 2018-03-20 차량용 제어장치 KR102500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832A KR102500852B1 (ko) 2018-03-20 2018-03-20 차량용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832A KR102500852B1 (ko) 2018-03-20 2018-03-20 차량용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193A KR20190110193A (ko) 2019-09-30
KR102500852B1 true KR102500852B1 (ko) 2023-02-17

Family

ID=68098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832A KR102500852B1 (ko) 2018-03-20 2018-03-20 차량용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8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166B1 (ko) * 2020-08-20 2023-01-11 최승원 차량용 안전 알림 시스템
US20230211753A1 (en) * 2022-01-06 2023-07-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nsor control for optimized monitor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613B1 (ko) * 2016-10-19 2017-11-24 주식회사 세일테크놀러지 차량 내부 위험상황 경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6233A (ja) * 1996-04-23 1997-11-04 Fujitsu Ten Ltd 幼児保護システム
KR100189188B1 (ko) 1996-11-27 1999-06-01 류정열 자동차의 실내온도 상승에 따른 어린이 보호방법
KR19980055164U (ko)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의 실내 산소량 자동조절장치
KR19980083794A (ko) 1997-05-19 1998-12-05 윤종용 내부 온도 자동 감지 및 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
KR100373648B1 (ko) 2000-10-17 2003-02-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내에서의 유아들 질식사고 방지장치
KR100514863B1 (ko) 2003-06-30 2005-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질식사 방지장치
KR100513875B1 (ko) 2003-07-10 2005-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서의 유아 질식사고 방지를 위한 알림장치
KR20050019498A (ko) * 2003-08-19 2005-03-03 (주)씨텍시스템 차량내 질식사방지 제어 장치
KR100804757B1 (ko) 2006-11-30 2008-02-19 도준선 차량 실내 환기겸용 질식사 방지 안전장치
KR101207692B1 (ko) 2011-06-03 2012-12-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디텍터를 사용한 자동차용 질식사고 예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식사고 예방방법
KR20170054014A (ko) 2015-11-09 2017-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원 관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68847B1 (ko) 2016-06-13 2017-08-18 김동철 차량 내부 모니터링 및 알림기능이 구비된 블랙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613B1 (ko) * 2016-10-19 2017-11-24 주식회사 세일테크놀러지 차량 내부 위험상황 경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193A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0605A (ko) 차량 및 이의 생명 보호 조치 방법
US989595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interior vehicle temperature to protect occupants from extreme heat
CN105501113A (zh) 具有co2检测的乘坐者安全系统
CN206421553U (zh) 基于物联网的乘客滞留车内监测及预警管控系统
US8655547B1 (en) Motion-activated response system
WO2016025680A1 (en) Integrated vehicle sensing and warning system
CN205022458U (zh) 车辆安全监控装置、监控系统及车辆
JP2002063668A (ja) 車内の人検出通報装置及び危険状態回避装置
KR102500852B1 (ko) 차량용 제어장치
EP33309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enhanced garage door opener remote control
US11804123B2 (en) Child and pet monitoring system for use in vehicles
CN106218571A (zh) 一种防车内窒息装置
CN105882510A (zh) 安全监控方法、装置和车辆
CN108909667A (zh) 一种车载生物遗漏报警装置
CN114212044A (zh) 一种保护车内遗留生物生命安全的整车分级控制方法以及系统
JP2020093684A (ja) 車内事故防止装置、車内事故防止システム
JP3233868U (ja) 自動車用ガス検知装置
CN215552866U (zh) 一种车辆告警系统及汽车
KR101919143B1 (ko) 차량 잔류인원 보호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시스템
CN210970838U (zh) 一种自动监测与保护车内儿童与宠物的装置
CN206003283U (zh) 锁车后异常情况报警系统及车辆
CN206719082U (zh) 一种车门应急阀位置指示系统及使用该指示系统的客车
CN215663327U (zh) 一种车内滞留儿童应急脱险装置
JP5201531B2 (ja) 車室内事故防止装置
CN210822142U (zh) 一种汽车用儿童被锁应急系统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