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623B1 -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623B1
KR102500623B1 KR1020220150319A KR20220150319A KR102500623B1 KR 102500623 B1 KR102500623 B1 KR 102500623B1 KR 1020220150319 A KR1020220150319 A KR 1020220150319A KR 20220150319 A KR20220150319 A KR 20220150319A KR 102500623 B1 KR102500623 B1 KR 102500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treatment
treatment tank
wastewater
infected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0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철
Original Assignee
박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철 filed Critical 박상철
Priority to KR1020220150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3Wastewater from hospitals, laboratories and the like, heavily contaminated by pathogenic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에서 배출되는 감염물질 또는 오염물질이 혼합된 폐수를 살균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격리하여 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입원하는 음압 격리병동 등과 같은 입원시설에서 감염물질 또는 오염물질이 혼합된 폐수를 내부에 차아염소산수가 채워져 있는 폐수처리탱크에 유입시켜 살균처리되도록 하되, 상기 폐수처리탱크가 상기 차아염소산수에 의한 부식에 강할 수 있도록 화학적, 열적 저항성이 높은 재질인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져 안정적으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차아염소산수에 의해 감염 및 오염된 폐수가 상기 폐수처리탱크의 부에서 원활하게 살균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폐수처리탱크 내부의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감염물질 또는 오염물질을 제균필터를 통해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한편, 차아염소산수에 의해 살균된 폐수를 폐수처리장으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Infectious waste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병원에서 배출되는 감염물질 또는 오염물질이 혼합된 폐수를 살균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격리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입원시키는 음압 격리병동 등과 같은 입원시설에서 감염물질 또는 오염물질이 혼합된 폐수를 차아염소산수가 채워져 있는 폐수처리탱크에 유입시켜 살균처리되도록 하되, 상기 폐수처리탱크는 차아염소산수에 의한 부식에 강한 화학적, 열적 저항성이 높은 재질인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져 안정적으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감염 및 오염된 폐수가 차아염소산수에 의해 폐수처리탱크에서 원활하게 살균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폐수처리탱크 내부의 공기는 감염물질 또는 오염물질를 제균필터로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한편, 차아염소산수에 의해 살균된 폐수를 폐수처리장으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배출되는 폐수는 의료시설로부터 유출되는 액상의 감염물질 또는 오염물질이 혼합된 것으로서, 주로 부유물질, 유기물질, 질소 및 인 등의 영양염류, 기타 병원성 박테리아, 바이러스, 유해화학물질 등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감염물질 또는 오염물질이 제거되지 않은 폐수가 하천으로 유입되는 경우, 하천의 부영양화로 인한 적조 또는 녹조현상이 발생되어 하천 내의 용존산소량을 저감하여 수중의 생태계가 파괴될 우려가 있으며, 나아가 상수도원을 오염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염물질이 전파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병원폐수의 멸균을 위해 병원에서 사용되는 소독제는 주로 염소화합물로써, 생물학적 처리공정에서 방해요소로 작용하며, 방사선 촬영중에 생성되는 수은, 납, 카드뮴 및 기타 중금속은 환경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와 처리에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병원폐수 및 의료시설의 특징은 감염성 질병, 결핵, 병원균 박테리아가 존재하며, 병원성 박테리아로 오염된 폐수로 인해 콜레라, 장티푸스, 살모넬라, 이질, 브루셀라증, 결핵, 탄저병, 간 질환, 장 바이러스 감염 및 기타 질병 등이 사람과 동물에게 2차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병원폐수의 처리는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도 필요로 하는 실정이고, 최근들어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에 의해 많은 격리병동이 운영되면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아울러,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하는 고질적인 환경문제인 수질오염 문제는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도시의 인구가 팽창하고 산업시설이 많이 생기는 반면, 하수 및 하천의 심각한 오염은 등한시하는 수질 환경에 대한 인식 부족과 수처리 관련 낮은 기술 수준에 기인하고 있다.
한편,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운영과 관리 지침에 따르면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은 중증 급성호흡기 증후군(SARS),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Animal influenzain human), 신종인플루엔자(Pandemic influenza, PI), 메르스(MERS), 신종감염병 증후군, 생물테러감염병 등 환자 발생시 대응을 하고, 음압시설 및 적절한 오염제거 공간 등 감염예방을 위한 감염병관리시설을 갖춘 감염병관리기관으로서 병원 내 2차 감염을 억제하고 의료진의 안전 확보 및 지역사회로의 전파를 방지하는 것을 설치 및 운영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운영과 관리 지침에 따른 폐수처리설비 기준에 따라 병원폐수를 살균처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처리설비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나, 폐수처리설비 기준이 단순히 소독 또는 멸균에 중점되어 있기 때문에 소독 또는 멸균에 핵심인 살균수에 의해 처리설비가 급격히 부식될 뿐만 아니라 시스템이 완벽하지 못해 폐수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15904호(2021.10.15.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폐수처리설비는 살균수에 의해 시설이 급격히 부식되어 고장 및 빈번한 유지보수가 필요한 문제와, 복잡한 단계와 많은 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높은 설치비용이 소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감염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처리탱크에 수위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측정된 수위에 따른 적당량의 살균액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감염폐수의 소독 및 멸균 즉, 살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폐수처리탱크의 내부에 살균액과 에어버블이 함께 공급되도록 하여 감염폐수와 살균수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감염폐수의 살균이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살균수와 접촉되는 구성들을 화학적, 열적 저항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탱크내부에 보호코팅을 실시하여 유지보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기밀이 형성되고, 내부에 살균수가 채워져 있는 폐수처리탱크(100);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감염폐수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로 유입 또는 차단되도록 개폐되는 폐수유입부(200);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측면 하부에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의 살균수를 배출하는 배출부(300);와 상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 일측에 돌출되고, 하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까지 연장형성되는 약액주입관(400);과 상기 약액주입관(4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살균액을 공급하는 약액탱크(500);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균필터(620)가 구비되어 상기 폐수처리탱크(100) 내부의 감염된 공기를 살균하여 배출하는 에어벤트부(600); 및 상기 폐수유입부(200)의 개폐와 상기 약액탱크(500)를 통한 살균액을 공급 및 배출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폐수처리탱크(100)는 SUS304 재질로 이루어지고, 부식 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내면이 FRP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에어벤트부(600)는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610);과 상기 하우징(610)의 내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균필터(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출부(300)는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측면 하부와 폐수처리장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배출관(310);과 상기 배출관(310)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는 배수펌프(320); 및 상기 배출관(310)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는 보조배수펌프(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수펌프(320) 또는 보조배수펌프(330)와 상기 배출관(310)의 사이는 배관 막힘을 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소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 일측에 돌출되고, 하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까지 연장형성되는 에어관(110);과 상기 에어관(110)의 상부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는 에어컴프레셔(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에어관(110)은 하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까지 연장형성되되,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장형성되는 상기 하부는 외주연의 하측으로 복수 개의 에어분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액주입관(400)은 하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까지 연장형성되되,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장형성되는 상기 하부는 외주연의 하측으로 복수 개의 약액분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액탱크(500)는 상기 약액주입관(400)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주입펌프(510);와 상기 약액주입관(400)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주입펌프(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폐수처리탱크(100)는 측면 하부에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살균수의 농도 확인을 위해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샘플링밸브(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에 돌출되되, 개폐가능하도록 돌출되고, 하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과 근접되도록 연장형성되는 비상배관(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수위를 측정하여 측정된 수위정보를 상기 제어부(700)에 전달하는 수위센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수위센서(140)로부터 전달된 수위정보를 이용하여 수위가 감소되는 경우 살균액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약액탱크(500)를 제어하고, 수위가 상승되는 경우 기설정된 수위 상승량에 따른 살균액량이 공급되도록 상기 약액탱크(50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은 감염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처리탱크에 수위센서를 설치하고, 유입되는 감염폐수의 양에 따라 상승되는 상기 폐수처리탱크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며, 측정된 수위에 대응되는 살균액이 상기 폐수처리탱크의 내부로 자동 공급되도록 하는 한편, 감염폐수의 살균 후 상기 폐수처리탱크 내부의 정화된 폐수 및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연속적으로 감염폐수를 원활하게 살균하여 2차 감염이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염폐수가 상기 폐수처리탱크의 내부로 유입에 따라 살균액이 공급되고, 상기 살균액이 공급됨과 동시에 에어버블이 상기 폐수처리탱크의 내부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살균액이 상기 폐수처리탱크의 내부에 고르게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감염폐수가 고착되어 살균되지 않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비를 부식시키는 살균수로부터 내구성이 강한 구성 즉, 폐수처리탱크, 에어벤트부 등을 상기 살균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살균수와 접촉되는 부분을 FRP 코팅을 통해 보호함으로써, 부식에 의한 유지보수를 최소화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폐수처리탱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때, 오염된 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에어벤트부에 제균필터를 설치함으로써, 폐수처리탱크 내부의 오염된 공기도 안전하게 처리하여 2차 감염이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폐수처리탱크 바닥면에 일측부터 타측까지 설치된 에어관의 외주연 하측에 복수 개의 에어분사홀을, 약액주입관의 외주연의 하측에 복수 개의 약액분사홀을 각 형성함으로써 분사되는 살균액이 에어버블에 의해 고르게 혼합되어 살균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폐수처리탱크 내부의 살균수 및 살균된 폐수(이하, '살균된 폐수'라 한다.)를 배출시키는 배수펌프와, 살균액을 상기 폐수처리탱크에 공급되도록 하는 주입펌프의 고장시 즉각 경보를 표시하는 등 작업자에 의해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조배수펌프와 보조주입펌프에 의해 감염폐수의 처리를 지속적으로 함으로써, 감염폐수의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 전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폐수처리탱크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폐수처리탱크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폐수처리탱크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배수펌프와 에어컴프레셔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약액탱크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에어벤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영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에어벤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병원에서 배출되는 감염물질 또는 오염물질이 혼합된 폐수를 살균하여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격리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입원시키는 음압 격리병동과 같은 입원시설에서 감염물질 또는 오염물질이 혼합된 감염폐수를 차아염소산수의 살균수로 채워져 있는 폐수처리탱크(100)에 유입시켜 살균처리되도록 하되, 상기 폐수처리탱크(100)를 내구성이 높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를 FRP 코팅함으로써, 상기 살균수에 의한 부식과 화학적, 열적 저항성이 높도록 하여 유지보수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제균필터(620)가 설치된 에어벤트부(600)를 통해 상기 폐수처리탱크(100) 내부의 오염된 공기와 오염물질이 제거된 후 배기되도록 하여 환경오염 및 2차 감염을 최소화하고, 유입되는 감염폐수의 양에 따른 살균액이 수위센서(140)를 통해 측정된 상기 폐수처리탱크(100) 내부의 수위 증감에 따라 공급되도록 하여 원활하게 감염폐수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살균된 폐수가 원활하게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기밀이 형성되고, 내부에 살균수가 채워져 있는 폐수처리탱크(100);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감염폐수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로 유입 또는 차단되도록 개폐되는 폐수유입부(200);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측면 하부에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의 살균수를 배출하는 배출부(300);와 상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 일측에 돌출되고, 하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까지 연장형성되는 약액주입관(400);과 상기 약액주입관(4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살균액을 공급하는 약액탱크(500);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균필터(620)가 구비되어 상기 폐수처리탱크(100) 내부의 감염된 공기를 살균하여 배출하는 에어벤트부(600); 및 상기 폐수유입부(200)의 개폐와 상기 약액탱크(500)를 통한 살균액을 공급 및 배출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폐수처리탱크(100)는 SUS304 재질로 이루어지고, 부식 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내면이 FRP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에어벤트부(600)는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610);과 상기 하우징(610)의 내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균필터(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출부(300)는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측면 하부와 폐수처리장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배출관(310);과 상기 배출관(310)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는 배수펌프(320); 및 상기 배출관(310)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는 보조배수펌프(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수펌프(320) 또는 보조배수펌프(330)와 상기 배출관(310)의 사이는 배관 막힘을 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소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 일측에 돌출되고, 하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까지 연장형성되는 에어관(110);과 상기 에어관(110)의 상부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는 에어컴프레셔(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에어관(110)은 하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까지 연장형성되되,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장형성되는 상기 하부는 외주연의 하측으로 복수 개의 에어분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액주입관(400)은 하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까지 연장형성되되,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장형성되는 상기 하부는 외주연의 하측으로 복수 개의 약액분사홀이 형성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액탱크(500)는 상기 약액주입관(400)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주입펌프(510);와 상기 약액주입관(400)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주입펌프(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폐수처리탱크(100)는 측면 하부에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살균수의 농도 확인을 위해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샘플링밸브(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에 돌출되되, 개폐가능하도록 돌출되고, 하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과 근접되도록 연장형성되는 비상배관(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수위를 측정하여 측정된 수위정보를 상기 제어부(700)에 전달하는 수위센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수위센서(140)로부터 전달된 수위정보를 이용하여 수위가 감소되는 경우 살균액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약액탱크(500)를 제어하고, 수위가 상승되는 경우 기설정된 수위 상승량에 따른 살균액량이 공급되도록 상기 약액탱크(50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폐수처리탱크(100)는
기밀이 형성되고, 내부에 살균수가 채워져 있는 것으로, 격리병동 등과 같은 입원시설로부터 감염폐수가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살균수에 의해 상기 감염폐수의 감염물질 및 오염물질이 살균되도록 하고, 상기 감염폐수가 유입되어 상승되는 수위에 따라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약액탱크(500)로부터 살균액이 공급되어 내부에 채워진 살균수의 살균액 농도가 기설정된 만큼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감염폐수의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폐수처리탱크(100)는 내구성이 강하고 화학적, 열적 저항성이 높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되, 스테인레스 중 내약품성, 내열성이 우수한 SUS304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폐수처리탱크(100)는 상기 살균수 즉, 상기 살균수에 포함된 살균액에 의해 부식되어 누수에 의한 유지보수 수요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내면이 FRP(Fiber-reinforced plastic)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FRP는 폐수처리탱크(100)의 강도를 증가시켜주고, 부식에 매우 강해 상기 살균액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폐수처리탱크(100)는 전체적인 형상이 눕혀진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에어컴프레셔(800)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버블에 의해 폐수처리탱크(100) 내부의 살균수, 감염폐수, 살균액이 원활하게 혼합되어 상기 감염폐수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감염폐수의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감염폐수에 포함된 고형의 이물질에 의해 배출부(30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폐수처리탱크(100)는 상부에 내부의 유지보수를 위한 맨홀이 구비될 수 있으나, 감염폐수에 고형물이 많이 발생될 것이 우려되는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측면부에 유지보수를 위한 방수기능을 겸비한 맨홀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하부에는 복수 개의 지지빔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폐수처리탱크(100)는 측면 하부에 설치되되, 내부의 살균수의 농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샘플링밸브(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샘플링밸브(120)는 작업자에 의해 개폐되어 필요시 폐수처리탱크(100) 내부의 살균수 농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염폐수를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폐수유입부(200)는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감염폐수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로 유입 또는 차단되도록 개폐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고, 입원시설의 폐수 배출시설과 연결되어 상기 입원시설로부터 공급되는 감염폐수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유지보수 또는 필요시 폐쇄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배출부(300)는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측면 하부에 상기 폐수처리탱크(100) 내부의 살균수 및 살균된 폐수와 이물질을 배출하는 것으로, 감염폐수와 살균액이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에 유입 및 공급되어 살균되면 살균된 폐수와 상기 살균된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폐수처리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배출부(300)는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측면 하부와 폐수처리장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배출관(310)과, 상기 배출관(310)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는 배수펌프(320) 및 상기 배출관(310)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는 보조배수펌프(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출관(310)은 살균된 폐수와 살균수 및 이물질이 원활하게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내경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펌프(320)는 상기 배출관(31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폐수처리탱크(100) 내부의 살균된 폐수와 살균수 및 물티수, 화장지, 생리패드, 수술용 장갑과 같은 고형물 등 이물질의 배출도 용이하도록 구성하되, 고형물 이송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케이싱(CASING)과 장섬유질, 고형물, 농축슬러지 이송에 적합한 무폐쇄형(Non-Clob)구조로서 임펠러(IMPELLER) 내의 통로 폭이 크고 흡입구경에 상당하는 크기의 고용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구조된 스프르트 펌프(SPURT PUM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배수펌프(330)는 상기 배수펌프(320)와 마찬가지로 상기 배출관(310)에 연결설치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배수펌프(320)의 고장시 상기 폐수처리탱크(100) 내부의 살균된 폐수와 살균수 및 이물질이 강제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보조배수펌프(330)는 상기 배수펌프(320)의 고장시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가 만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지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배수펌프(320) 또는 보조배수펌프(330)와 상기 배출관(310)의 사이는 감염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한 배관 막힘을 해결하기 위해 소제구가 형성되는데, 상기 소제구는 개폐가 가능한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펌프(320) 또는 보조배수펌프(330)와 상기 배출관(310)의 사이에 막힘이 발생되었을 때, 작업자에 의해 원활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약액주입관(400)은
상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 일측에 돌출되고, 하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까지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폐수처리탱크(100) 내부로 유입되는 감염폐수량에 따라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약액탱크(500)로부터 살균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액주입관(400)은 하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까지 연장형성되되,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장형성되는 하부는 외주연의 하측으로 복수 개의 에어분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에 바닥면까지 고르게 살균액이 공급되어 혼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에어관(110)을 통해 하측으로 분사되는 에어버블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약액탱크(500)는
상기 약액주입관(4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살균액을 공급하는 것으로, 내부에 이미 설정된 농도로 제조된 살균액이 채워져 있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로 살균액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살균액은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상기 약액탱크(500)의 내부에 채워지고, 이후 제어부 제어에 따라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살균액 농도가 500~1,000PPM인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폐수처리탱크(100)로 유입되는 감염폐수를 살균한다
또한 폐수처리탱크(100)에 유입된 감염폐수는 약액탱크(500)로부터 살균액을 주입하여 반응 후 설정 수위에 도달하면 배수되도록 제어하도록 한다.
다만, 폐수유입과 동시에 배수설정 수위에 이르는 경우 상기 제어부(700)에서 약액 반응시간 이후에 배수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폐수유입부(200)는 폐수처리탱크(100)에 설치된 배출관(310) 보다 상부 역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폐수처리탱크로 유입된 살균되지 않은 감염폐수가 의도하지 않게 배출관으로 혼합배출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은 탁도가 높은 감염수도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고, 소독력이 강하며, 잔류효과가 크고, 희석이 쉬워 농도의 조절이 용이하며, 살균수가 살균작용 후 일반적인 물로 환원되어 2차 오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높은 수준의 소독으로 모든 미생물과 일부 세균의 아포를 사멸할 수 있으며, 30초 내지 10분 이내에 거의 모든 세균을 사멸시킬 수 있고, 각종 세균, 바이럿, 박테리아, 곰팡이를 약 99.9%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약액탱크(5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약액탱크(500)는 상기 약액주입관(400)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주입펌프(510)와, 상기 약액주입관(400)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주입펌프(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입펌프(510)는 평상시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어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로 살균액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보조주입펌프(520)는 상기 주입펌프(510)의 고장시 유지보수가 이루어지기 전에 지속적으로 살균액이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감염폐수의 처리를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은 상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 일측에 돌출되고, 하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까지 연장형성되는 에어관(110)과, 상기 에어관(110)의 상부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에어관(110)을 통해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셔(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관(110)은 앞서 설명된 약액주입관(400)과 마찬가지로, 폐수처리탱크(100)의 바닥면의 일측부터 타측까지 연장형성되는 하부는 외주연 하측으로 복수 개의 에어분사홀이 형성되어 폐수처리탱크(100)의 바닥면을 향해 공기가 버블의 형태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에어버블에 의해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로 유입된 감염폐수의 고착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약액주입관(400)으로부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살균액이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에 고르게 순환되어 혼합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에어벤트부(600)는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균필터(620)가 구비되어 상기 폐수처리탱크(100) 내부의 감염된 공기를 살균하여 배출하는 것으로, 개방된 상태로 상기 폐수처리탱크(100) 내부의 감염된 공기의 오염물질이 제거되어 배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폐수처리탱크(100) 내부의 살균수에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에어벤트부(600)는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610)과, 상기 하우징(610)의 내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균필터(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610)은 이물질 또는 빗물이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가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가 지면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610)은 상기 제균필터(620)를 교체할 수 있도록 분리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610)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와 결합되는 하부하우징(612)과, 상기 하부하우징(612)의 상부에 결합되는 본체하우징(614)과, 상기 본체하우징(614)의 상부에 결합되고, 지면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부하우징(6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에어벤트부(600)는 내부에 설치된 제균필터(620)를 열수로 소독하고, 건조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610)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히팅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에어벤트부(600)는 상기 본체하우징(614)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히팅부(630)와, 상기 본체하우징(614)의 외주연에 설치되되, 상기 히팅부(63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보호하우징(640)과, 상기 하부하우징(612)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드레인밸브(650)와, 상기 보호하우징(640)에 설치되고, 상기 히팅부(630)와 연결되는 온도조절부(6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에어벤트부(600) 즉, 상기 하부하우징(612)과 폐수처리탱크(100)의 사이에는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차단밸브(6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에어벤트부(600)는 상기 제균필터(620)의 열수 소독이 필요할 때, 상기 차단밸브(670)를 폐쇄한 후 상기 상부하우징(616)을 분리하여 내부에 물을 채워넣고, 상기 온도절부(660)와 히팅부(630)를 통해 채워넣은 물을 가열하여 제균필터(620)가 열수에 의해 소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호하우징(640)은 상부에 온도측정센서(64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온도측정센서(642)를 통해 측정된 온도정보가 상기 온도조절부(660)에 전달되어 상기 온도조절부(660)에 의해 상기 히팅부(630)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어 온도 상승에 의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균필터(620)는 헤파필터 또는 상기 헤파필터와 동등 이상의 능력을 갖는 필터로 이루어져 폐수처리탱크(100)로부터 배기되는 오염된 공기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제거하고, 열수에 의해 소독되어 필터링한 오염물질이 멸균됨으로써,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비상배관(130)은
상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에 돌출되되, 개폐가능하도록 돌출되고, 하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과 근접되도록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배출부(300)가 막혀 배수가 안되거나, 상기 폐수처리탱크(100) 내부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수거차량과 연결되어 상기 폐수처리탱크(100) 내부의 살균된 폐수와 살균수를 강제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수위센서(140)는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수위를 측정하여 측정된 수위정보를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어부(700)에 전달하는 것으로, 하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 내부 바닥면까지 형성되어 상기 폐수처리탱크 내부 수위를 측정하고, 살균액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폐수처리탱크(100) 내부에 설치된 하부의 외주연에 부식방지코팅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제어부(700)는
상기 폐수유입부(200)의 개폐와 상기 약액탱크(500)를 통한 살균액을 공급하고, 배출부(300)를 제어하는 것으로, 앞서 설명된 수위센서(140)로부터 수위정보를 전달받아 폐수처리탱크(100) 내부의 수위가 증가되면 즉, 감염폐수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로 유입되면 살균액이 상기 폐수처리탱크(100)로 지정된 약액만큼 유입되도록 상기 약액탱크(500)를 제어하고, 폐수처리탱크(100)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될 경우 폐수처리장으로 살균수가 배출부(30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2차 오염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700)는 살균액이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로 공급될 때, 앞서 설명된 에어관(110)과 에어컴프레셔(800)를 통해 에어버블이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살균액이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확산되어 혼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감염폐수가 고착되어 살균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700)는 상기 수위센서(140)로부터 수위정보를 전달받을 때,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가 만수로 판단되는 경우 작업자에게 알람 및 램프를 통해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즉각적으로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반대의 경우 즉,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보다 낮은 경우 배출부(300)의 오작동으로 인한 경보를 발생시켜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700)는 배수펌프(320)와, 주입펌프(510)의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보조배수펌프(330)와 보조주입펌프(520)를 작동시켜 끊김없이 감염폐수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경보를 발생하여 고장이 발생된 배수펌프(320)와 주입펌프(510)의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어부(700)는 외부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여 경보를 사용자의 포터블기기에 전송하고, 중앙관리부에 수위센서(140)로부터 전달받은 수위정보, 배출부(300), 에어컴프레셔(800), 약액탱크(500)의 작동 이상 유무 정보를 전송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폐수처리탱크(100)로 유입되는 감염폐수의 양을 수위정보를 통해 파악하여 이에 대응되는 살균액을 공급함으로써, 감염폐수의 살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의 바닥면을 향해 에어버블과 함께 살균액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살균액의 원활한 확산과 감염폐수의 살균이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활하게 감염폐수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보조배수펌프(330)와 보조주입펌프(520)를 통해 배수펌프(320)와 주입펌프(510)의 고장시에도 지속적으로 감염폐수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폐수처리탱크(100) 내부의 오염된 공기 또한 에어벤트부(600)를 통해 멸균되어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고, 제어부(700)를 통해 작동의 이상유무 발생시 작업자에게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감염폐수의 처리와 유지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폐수처리탱크 110 : 에어관
120 : 샘플링밸브 130 : 비상배관
140 : 수위센서 200 : 폐수유입부
300 : 배출부 310 : 배출관
320 : 배수펌프 330 : 보조배수펌프
400 : 약액주입관 500 : 약액탱크
510 : 주입펌프 520 : 보조주입펌프
600 : 에어벤트부 610 : 하우징
612 : 하부하우징 614 : 본체하우징
616 : 상부하우징 620 : 제균필터
630 : 히팅부 640 : 보호하우징
642 : 온도측정센서 650 : 드레인밸브
660 : 온도조절부 670 : 차단밸브
700 : 제어부 800 : 에어컴프레셔

Claims (13)

  1. 기밀이 형성되고, 내부에 살균수가 채워져 있는 폐수처리탱크(100);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감염폐수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로 유입 또는 차단되도록 개폐되는 폐수유입부(200);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측면 하부에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의 살균수를 배출하는 배출부(300);와
    상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 일측에 돌출되고, 하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까지 연장형성되는 약액주입관(400);과
    상기 약액주입관(4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살균액을 공급하는 약액탱크(500);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균필터(620)가 구비되어 상기 폐수처리탱크(100) 내부의 감염된 공기를 살균하여 배출하는 에어벤트부(600); 및
    상기 폐수유입부(200)의 개폐와 상기 약액탱크(500)를 통한 살균액을 공급 및 배출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벤트부(600)는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610);과 상기 하우징(610)의 내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균필터(620);를 포함하고,
    상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 일측에 돌출되고, 하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까지 연장형성되는 에어관(110);과 상기 에어관(110)의 상부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는 에어컴프레셔(800);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관(110)은 하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까지 연장형성되되,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장형성되는 상기 하부는 외주연의 하측으로 복수 개의 에어분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약액주입관(400)은 하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까지 연장형성되되,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장형성되는 상기 하부는 외주연의 하측으로 복수 개의 약액분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610)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히팅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처리탱크(10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부식 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내면이 FRP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300)는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측면 하부와 폐수처리장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배출관(310);과
    상기 배출관(310)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는 배수펌프(320); 및
    상기 배출관(310)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는 보조배수펌프(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320) 또는 보조배수펌프(330)와 상기 배출관(310)의 사이는
    배관 막힘을 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소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탱크(500)는
    상기 약액주입관(400)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주입펌프(510);와
    상기 약액주입관(400)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주입펌프(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처리탱크(100)는
    측면 하부에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살균수의 농도 확인을 위해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샘플링밸브(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상부에 돌출되되, 개폐가능하도록 돌출되고, 하부가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바닥면과 근접되도록 연장형성되는 비상배관(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처리탱크(100)의 내부 수위를 측정하여 측정된 수위정보를 상기 제어부(700)에 전달하는 수위센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수위센서(140)로부터 전달된 수위정보를 이용하여 수위가 감소되는 경우 살균액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약액탱크(500)를 제어하고, 수위가 상승되는 경우 기설정된 수위 상승량에 따른 살균액량이 공급되도록 상기 약액탱크(50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
KR1020220150319A 2022-11-11 2022-11-11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 KR102500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319A KR102500623B1 (ko) 2022-11-11 2022-11-11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319A KR102500623B1 (ko) 2022-11-11 2022-11-11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623B1 true KR102500623B1 (ko) 2023-02-16

Family

ID=8532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0319A KR102500623B1 (ko) 2022-11-11 2022-11-11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6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2189A (ja) * 1988-03-22 1989-09-27 Mitsubishi Heavy Ind Ltd 排水処理装置
JP2002086154A (ja) * 2000-09-14 2002-03-26 Airtech Japan Ltd 排水消毒処理システム
KR20210116053A (ko) * 2020-03-17 2021-09-27 (주)녹십자이엠 폐수 멸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수 멸균방법
KR102315904B1 (ko) 2019-07-26 2021-10-25 주식회사 에싸 스크린 및 소독 산화장치를 구비한 병원폐수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2189A (ja) * 1988-03-22 1989-09-27 Mitsubishi Heavy Ind Ltd 排水処理装置
JP2002086154A (ja) * 2000-09-14 2002-03-26 Airtech Japan Ltd 排水消毒処理システム
KR102315904B1 (ko) 2019-07-26 2021-10-25 주식회사 에싸 스크린 및 소독 산화장치를 구비한 병원폐수 처리 시스템
KR20210116053A (ko) * 2020-03-17 2021-09-27 (주)녹십자이엠 폐수 멸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수 멸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Disinfection technology of hospital wastes and wastewater: Suggestions for disinfection strategy during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in China
US20120118799A1 (en) Self-contained, self-cleaning aqueous liquid sterilizer
US8025807B2 (en) Method for treating rinse water in decontamination devices
WO1998044956A2 (en) Steam delivery system for a decontamination apparatus
CN101182085A (zh) 回用水紫外光-氯消毒剂顺序消毒技术
EP2433909A1 (en) Device for the disinfection of water using ozone.
CN113429044B (zh) 一种医药废水处理一体机及其处理工艺
KR102500623B1 (ko) 감염폐수 처리 시스템
JP2012061413A (ja) 紫外線照射装置
JPH0724064A (ja) 生体機能補助・代行装置
CN107986545B (zh) 血液透析机废水处理装置
EP3412637A1 (en) Ultraviolet light water treatment unit for closed recirculation systems
JP3297419B2 (ja) 微生物及び/又はウィルス含有排水の殺菌方法及び装置
US109541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CN208617599U (zh) 一种具有循环供水消毒的内镜无菌纯化水一体化装置
KR200416967Y1 (ko) 상수도관의 오염 및 부식 방지장치
CN220317498U (zh) 化学消毒灭菌处理系统
CN205556335U (zh) 一种饮用水组合杀菌装置
AU2011203220B2 (en) Heat recovery in biowaste sterilization
JP2558543B2 (ja) 解剖室等から生ずる排水の殺菌設備
KR100455600B1 (ko) 배출꼭지 살균처리가 가능한 먹는 물 공급장치
CN214495951U (zh) 一种水杀菌系统
JPH04354578A (ja) 解剖室等から生ずる排水の殺菌設備
CN215799020U (zh) 一种医疗污水用处理装置
CN212610071U (zh) 一种用于医疗废水的臭氧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