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541B1 - 재건축 또는 재개발 등의 정비사업을 진행하는 조합의 조합원들을 위한 관리 서버 및 이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재건축 또는 재개발 등의 정비사업을 진행하는 조합의 조합원들을 위한 관리 서버 및 이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541B1
KR102500541B1 KR1020210123222A KR20210123222A KR102500541B1 KR 102500541 B1 KR102500541 B1 KR 102500541B1 KR 1020210123222 A KR1020210123222 A KR 1020210123222A KR 20210123222 A KR20210123222 A KR 20210123222A KR 102500541 B1 KR102500541 B1 KR 102500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tems
sales
s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독
Original Assignee
우리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3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541B1/ko
Priority to KR1020230018492A priority patent/KR20230040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06Q50/165Land develo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Abstract

정비사업을 추진하는 조합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관리 서버는, 조합의 조합원들 각각에 대한 조합원 정보 및 정비사업의 진행 단계에 필요한 서류들에 대한 서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 조합원 정보에 기초하여 조합원들이 속한 조합의 정비사업의 진행 단계를 결정하고, 서류 정보에 기초하여 진행 단계에 대응하는 필요 서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및 필요 서류에 대한 정보를 조합원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건축 또는 재개발 등의 정비사업을 진행하는 조합의 조합원들을 위한 관리 서버 및 이의 작동 방법{MANAGEMENT SERVER FOR MEMBERS OF UNION FOR PROCEEDING RECONSTRUCTION PROJECT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재건축 또는 재개발 등의 정비사업을 진행하는 조합의 조합원들을 위한 관리 서버 및 이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비사업이란 도시기능의 회복이 필요하거나 주거환경 등이 불량한 지역을 정비하고, 노후 및 불량 건축물들을 개량하여 도시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이러한 정비사업의 예시로서, 재건축 사업 또는 재개발 사업이 있다. 대부분 정비사업이 이루어질 구역의 토지 또는 건축물 보유자들이 조합을 설립하여 허가를 받은 후 스스로 비용을 조달하여 진행한다.
정비사업은 많은 단계로 구성되어 있고, 각 단계마다 조합원들의 의견 수렴 및 서류 제출이 필요하며, 의견 수렴이나 서류 제출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혹은 지체되는 경우, 정비사업 자체가 지연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조합원들 각각에게 필요 서류가 무엇인지 혹은 안건이 무엇인지를 신속 및 적절히 안내해야 하는데, 조합원들 각각에 맞는 서류/안건을 안내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합원들 각각에 대해 정비사업 진행 시 필요한 서류들을 안내해줄 수 있는 관리 서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합원들 각각에 대해 정비사업 진행 시 필요한 서류들을 안내하고, 해당 필요 서류를 작성하기 위한 항목들을 입력 받아 자동으로 필요 서류를 생성할 수 있는 관리 서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정비사업을 추진하는 조합의 조합원들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서버는, 조합의 조합원들 각각에 대한 조합원 정보 및 정비사업의 진행 단계에 필요한 서류들에 대한 서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 조합원 정보에 기초하여 조합원들이 속한 조합의 정비사업의 진행 단계를 결정하고, 서류 정보에 기초하여 진행 단계에 대응하는 필요 서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및 필요 서류에 대한 정보를 조합원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정비사업을 추진하는 조합의 조합원들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은, 조합의 조합원들 각각에 대한 조합원 정보 및 정비사업의 진행 단계에 필요한 서류들에 대한 서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조합원 정보에 기초하여 조합원들이 속한 조합의 정비사업의 진행 단계를 결정하는 단계, 서류 정보에 기초하여 진행 단계에 대응하는 필요 서류를 결정하는 단계 및 필요 서류에 대한 정보를 조합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에 의하면, 조합원들 각각에 대해 정비사업 진행 시 필요한 서류들을 안내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필요 서류를 작성하기 위한 항목들을 입력받아 필요 서류를 작성하므로, 조합원들 각각은 필요 서류를 오프라인으로 직접 제출할 필요가 없어 정비사업의 진행이 훨씬 더 빨라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조합의 정비사업의 진행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조합원 정보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서류 정보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가 필요 서류 작성을 위해 항목을 입력 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필요 서류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가 분양 대상자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분양 정보 및 정산 정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들(200)을 포함하는 조합(20)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조합(20)은 재건축(또는 재개발) 정비사업 또는 지역주택조합 사업(이하, 정비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조합 계약에 의해 구성된 단체를 의미할 수 있다. 조합(20)에는 복수의 조합원들(200)이 포함될 수 있다.
조합원들(200) 각각은 조합(20)의 진행 단계에 따라, 다양한 서류들을 작성해야하며, 여러가지 안건들에 대해서 의견을 표시해야 한다. 종래의 경우, 오프라인 환경에서 서류들을 작성하고 안건들에 대한 투표를 해야하므로 접근성이 낮아 조합의 진행이 신속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들(200)이 속한 조합(20)에 대한 조합 정보 및 조합원들(200) 각각에 대한 조합원 정보를 이용하여 조합원들(200) 각각의 단말기(300)를 통해 조합(20)의 정비사업과 관련된 업무를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들(200)의 단말기(300)를 통해 조합원들(200)을 대상으로 하는 투표 또는 설문조사를 제공하거나, 조합원들(200)이 제출해야 하는 서류들을 안내하고 해당 서류들을 접수받거나, 조합원들(200)의 조합(20)에 대한 신청을 지원하거나, 또는, 조합원들(200)이 정비사업의 진행에 따라 납부해야 하는 금액을 안내 및 정산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들(200) 각각에 대해 현재 조합(20)의 진행 단계에서 조합원(200)이 제출해야 하는 필요 서류를 조합원(200) 각각의 단말기(300)로 제공하고, 해당 필요 서류를 작성하기 위한 정보들을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들(200)의 의견 수렴이 필요한 안건들을 단말기(300)로 제공하고,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되는 조합원들(200)의 의사결정을 수렴함으로써 안건을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들(200) 각각의 본인 인증을 수행하고, 본인 인증 결과에 따라 조합원들(200) 각각의 의결권을 부여하고, 전자 투표를 시행하고, 투표 결과를 결정 및 공고할 수 있다.
단말기(300)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기(300)는 통신 회로, 프로세서, 메모리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300)는 컴퓨터,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조합원들(200) 각각은 조합(20)의 정비사업 진행에 필요한 서류들이 무엇인지 쉽게 파악하고 작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사 결정이 필요한 안건들에 대한 의사를 쉽게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합(20)의 정비사업의 진행 속도가 획기적으로 빨라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조합의 정비사업의 진행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조합(20)은 재건축 정비사업을 진행하는 조합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역주택조합 정비사업을 진행하는 조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조합(20)의 재건축 정비사업은 기본계획 수립, 안전진단, 정비구역 지정, 추진위 설립, 조합 설립, 사업시행 인가, 관리처분 계획인가 및 착공/일반분양의 단계 순으로 진행된다.
기본계획 수립 단계는 정비사업에 대한 기본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로서, 지방자치단체장이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고시하는 단계이다.
안전진단 단계는 신청인들(조합 설립 전 조합원들)이 안전진단신청서를 작성하여 관청에 제출하며, 관청에서 안전진단을 수행한다.
정비구역 지정 단계는 안전진단 단계에서 기준 이하의 등급이 나온 경우, 해당 구역을 정비구역으로 지정하고 정비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신청인들은 정비계획 및 구역지정 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해야 한다.
추진위 설립 단계는 신청인들이 정비사업을 위한 조합을 설립하기 위한 추진위원회를 구성하는 단계로서, 신청인들의 동의서를 마련하여 추진위원회를 설립한다.
조합 설립 단계는 추진위원회가 조합을 설립하는 단계로서, 비로소 이 단계에서 신청인이 조합원이 된다.
사업시행 인가 단계는 조합이 정비사업의 시행 계획이 나타난 사업시행계획서를 제출함으로써 관청으로부터 사업시행인가를 받는 단계이다.
관리처분 계획인가 단계는 조합원들의 토지 등 재산을 어떻게 평가하고, 처분하고, 취득할 건축물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을 제출하고 이를 인가받는 단계이다.
착공/일반분양 단계는 재건축 착수를 위해 기존 건축물을 철거하고, 새로운 건축물을 착공한 후 이를 분양하는 단계이다.
이처럼, 정비사업이 완료되기 위해서는 많은 단계들이 진행되어야 하고, 각 단계들 마다 다양한 서류들을 제출하고 안건들이 결정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통신부(110)는 통신 가능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10)는 조합원들(200)의 단말기(300)와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또는, 조합(20)의 관리자의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저장부(120)는 관리 서버(100)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저장부(120)는 조합(20)과 관련된 조합 정보, 조합원들(200) 각각에 대한 조합원 정보 및 정비사업의 진행에 필요한 서류들에 대한 서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10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부(120)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관리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관리 서버(100)의 동작은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3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들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00)의 각 구성으로 동작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연산 처리 기능을 갖는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al processing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ed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조합원 정보를 나타낸다. 조합 정보(121)는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조합원 정보(121)는 조합(20)의 조합원들(200) 각각과 연관된 정보로서, 속성 정보, 토지 정보, 점유 정보, 건축물 정보, 분양 신청 정보, 분양 정보, 정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조합원 정보(121)는 조합원들(200) 각각 마다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조합원 정보(121)를 구성하는 각 정보는 미리 입력되어 저장될 수도 있으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입력되어 저장되고, 나머지는 조합원(200)의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저장될 수도 있다.
속성 정보는 조합원(200)의 조합(20)과 관련된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속성 정보는 조합원(200)의 신상 정보, 조합원 여부, 조합 내 지위, 정비구역 내 재건축 대상 주택의 소유 형태 및 조합원(200)의 각 진행 단계에 대한 동의 여부(즉, 동의서 제출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토지 정보는 조합원(200)이 보유한 토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토지 정보는 조합원(200)의 토지 소유 여부, 토지 소유 면적, 토지 취득일, 소유권 취득 일자, 소유 토지 내 건물의 소유 여부, 소유 토지의 분양 설계 대상 가부 및 토지 종전 평가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점유 정보는 조합원(200)이 점유한 국공유지에 대한 점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점유 정보는 조합원(200)에 의해 점유된 국공유지가 있는지 여부, 점유된 국공유지의 매수 여부, 점유된 국공유지의 개인별 매수 가능한 면적 및 점유된 국공유지 종전 평가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건축물 정보는 조합원(200)이 보유한 건축물(예컨대, 정비구역 내 건축물)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건축물 정보는 조합원(200)의 건축물 소유 여부, 소유 건축물의 허가 여부, 소유 건축물의 사용승인일, 소유 건축물의 무허가 증빙, 소유 건축물의 면적, 소유 건축물의 취득일, 소유 건축물의 분리취득일, 소유 건축물이 위치한 토지와의 분리 소유 여부, 소유 건축물의 분양 설계 대상 가부, 소유 건축물의 종전 평가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분양 신청 정보는 조합원(200)의 정비구역 내 신축 주택에 대한 분양 신청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분양 신청 정보는 조합원(200)의 분양 신청 여부 및 분양 신청 철회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분양 정보는 분양 신청 후 결정된 조합원(200)에 대한 분양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분양 정보는 조합원(200)의 분양이 단독 분양인지 공동 분양인지 여부, 분양 대상 평형 및 분양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산 정보는 조합원(200)에 대한 정산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정산 정보는 조합원(200)의 소유 물건에 대한 기준가액, 권리가액 및 분양가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납부 정보는 조합원(200)이 납부한 또는 납부해야 할 비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납부 정보는 계약금, 중도금, 잔금 및 미납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100)는 조합(20)의 정비사업 진행 시 필요한 조합원들(2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서류 정보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저장부(120)는 정비사업의 진행에 필요한 서류들에 대한 서류 정보(123)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서류 정보(123)는 정비사업의 각 진행단계인 안전진단 단계, 정비구역지정 단계, 추진위 설립 단계, 조합설립 단계, 사업시행인가 단계, 관리처분 계획인가 단계 및 착공/일반분양 단계에 필요한 서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류 정보(123)는 정비사업의 각 진행단계에 필요한 회의, 의견 수렴 또는 총회 진행에 필요한 서류들에 대한 정보들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서류들 각각의 서류정보와, 해당 서류와 대응하는 진행 단계를 태깅(tagging)하여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태그를 확인함으로써, 정비사업의 진행 단계에 맞는 필요 서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서류 정보(123)는 필요 서류의 양식(또는 서식), 필요 서류에 입력되어야 하는 항목, 필요 서류에 입력되어야 하는 항목 중 조합원 정보에서 추출 가능한 항목 및 필요 서류에 입력되는 항목 중 조합원(200)으로부터 새롭게 입력받아야 하는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100)는 조합(20)의 정비사업 진행 시 필요한 서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동작 방법은 관리 서버(100) 또는 제어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들(200) 각각과 연관된 조합원 정보를 저장한다(S110).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사전에 조합원 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예컨대, 조합원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조합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조합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정비사업 진행에 필요한 서류와 연관된 서류 정보를 저장한다(S120).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서류의 양식(또는 서식), 필요 서류에 입력되어야 하는 항목, 필요 서류에 입력되어야 하는 항목 중 조합원 정보에서 추출 가능한 항목 및 필요 서류에 입력되는 항목 중 조합원(200)으로부터 새롭게 입력받아야 하는 항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들(200) 각각이 속한 조합(20)의 정비사업의 진행 단계를 결정할 수 있다(S130).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3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조합원 정보를 이용하여, 조합원들(200) 각각의 정비사업의 진행 단계에 대한 수행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조합(20)의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예컨대, 제어부(130)는 조합원 정보를 참조하여, 조합원(200)이 속한 조합(20)의 정비사업의 진행 단계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수행 상태에 기초하여, 조합원(200)에 의해 제출되어야 할 필요 서류를 결정할 수 있다(S140).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저장된 서류 정보를 이용하여, 조합원(200)이 정비사업의 진행을 위해 제출되어야 할 필요 서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정비사업이 조합설립 단계이면, 관리 서버(100)는 조합설립 단계에서 제출해야 할 필요 서류들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필요 서류에 대한 정보를 조합원(200)의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200)의 단말기(300)로 필요 서류를 작성하기 위한 입력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S150).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필요 서류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항목들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 페이지를 생성하여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서버(100)는 생성된 입력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링크를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100)는 입력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을 단말기(300)로 전송함으로써 입력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저장된 서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필요 서류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항목들을 결정하고, 해당하는 항목들을 입력 받기 위한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200)의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된 항목에 기초하여, 필요 서류를 생성할 수 있다(S160).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저장된 필요 서류의 서식에, 입력된 항목을 배치함으로써 필요 서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필요 서류는 텍스트 형태 또는 이미지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리 서버(100)는 입력된 항목들을 이용하여 조합원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170).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입력된 항목들을 조합원 정보의 필드로서 추가하여 새롭게 저장하거나, 또는, 기 존재하는 조합원 정보의 필드를 입력된 항목들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조합원들(200) 각각에 대해 정비사업 진행 시 필요한 서류들을 안내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필요 서류를 작성하기 위한 항목들을 입력받아 필요 서류를 작성하므로, 조합원들(200) 각각은 필요 서류를 오프라인으로 직접 제출할 필요가 없어 정비사업의 진행이 훨씬 더 빨라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화면은 조합원(200)의 단말기(300)에 표시되는 화면으로서, 관리 서버(100)에 의해 생성된 정보에 의해 구성된 화면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조합(20)에 대한 조합 정보 또는 조합원들에 대한 조합원 정보(121)를 참조하여, 조합원(200)이 속한 조합(20)의 정비사업의 진행 단계를 결정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저장된 서류 정보(123)를 참조하여, 결정된 진행 단계에 대응하는 필요 서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00)는 '분양신청 단계'에 대응하는 필요 서류들인 '분양신청서', '국공유지 매수포기 각서' 및 '국공유지 매수신청 위임장'을 결정할 수 있고, 필요 서류를 안내하기 위한 화면을 조합원(200)의 단말기(3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화면에는 필요 서류들 중에서 기 제출된 서류와, 제출되지 않은 서류가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예컨대, '등록완료' 및 '미등록').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00)는 '이주신청 단계'에 대응하는 필요 서류들인 '이주계획서', '이주 이행각서' 및 '거주자 세입자 현황'을 결정할 수 있고, 필요 서류를 안내하기 위한 화면을 조합원(200)의 단말기(3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화면에는 필요 서류들 중에서 기 제출된 서류와, 제출되지 않은 서류가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예컨대, '등록완료' 및 '미등록').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가 필요 서류 작성을 위해 항목을 입력 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200)의 단말기(300)로부터 필요 서류 작성을 위한 항목들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서버(100)는 필요 서류 작성을 위한 항목들을 입력 받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입력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입력 페이지를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조합원(200)은 단말기(300)를 통해 항목들을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항목들은 단말기(300)로부터 관리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00)는 '접수번호', '성명', '생년월일', '조합원번호' 및 '공동신청자'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 페이지를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필요 서류를 작성하기 위한 항목들 중에서 일부의 항목만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00)는 필요 서류를 작성하기 위한 항목들 중 저장부(120)에 저장된 항목들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 페이지를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목들 중에서 '접수번호', '성명', '생년월일' 및 '조합원번호' 항목은 관리 서버(100)에 의해 미리 채워져 입력이 불가능한 상태(NF)인 반면, '공동 신청자' 항목은 입력이 가능한 상태(F)일 수 있다. 즉, 조합원(200)은 단말기(300)를 통해 '공동 신청자' 항목만 입력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 정보(121) 및 서류 정보(123)를 모두 참조하여, 현재 조합원(200)이 작성해야 할 필요 서류를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 서류의 항목들 중 조합원(200)이 입력해야 할 항목과 미리 입력되어 있는 항목을 구분하고, 조합원(200)이 입력해야 할 항목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페이지를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입력되어 있는 항목은 입력 페이지 상에 입력할 수 없도록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필요 서류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필요 서류(DOC)의 항목들을 이용하여 필요 서류(DOC)를 작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정보(예컨대, 조합원 정보(121)) 및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필요 서류(DOC)의 양식에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필요 서류(DOC)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서류 정보(123)를 참조하여, 필요 서류(DOC)의 양식을 결정하고, 필요 서류(DOC)의 양식 각각에 항목들을 배치함으로써 필요 서류(DOC)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00)는 입력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신청인', '권리정보', '분양 희망 의견'에 대한 항목들을 실제 '분양 신청서' 양식에 반영함으로써, '분양 신청서'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필요 서류(DOC)의 생성 시, 조합원(200)의 전자 서명을 기록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서버(100)는 전자 서명을 위한 페이지를 단말기(300)로 제공하고, 조합원(200)은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필요 서류(DOC)에 대한 전자 서명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서명된 필요 서류(DOC)는 조합원(200)이 직접 작성한 필요 서류와 동등한 법적 효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200)의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된 항목들을 저장부(120)에 저장함으로써 조합원 정보(121)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서버(100)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입력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공동 신청자' 항목을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공동 신청자' 항목은 조합원 정보(121)로서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가 분양 대상자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분양 신청서를 접수한다(S210).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200)이 속한 조합(20)의 단계가 분양 신청 단계이면, 조합원(200)의 단말기(300)로 필요 서류인 분양 신청서를 작성하기 위한 입력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고, 단말기(300)로부터 분양 신청서 작성에 필요한 항목들을 수신함으로써, 분양 신청서를 접수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분양 신청서를 제출한 조합원(200)의 조합원 정보(121)를 리드할 수 있다(S220).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200)의 사업 정보, 토지 정보, 점유 정보, 건축물 정보 및 분양 신청 정보를 리드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 정보를 이용하여 조합원(200)이 분양 대상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0).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200)의 사업 정보, 토지 정보, 점유 정보, 건축물 정보 및 분양 신청 정보가 분양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분양 신청한 조합원(200)이 분양을 받을 수 있는 분양 대상자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분양 기준은 아래 기준들을 포함할 수 있다.
- 현재 조합의 조합원일 것 (사업 정보)
- 토지 취득일/소유권 최초분리일자/토지건물 분리일자가 기준일(예컨대, 정비구역 지정일) 이내일 것(토지 정보)
- 건축물이 유허가일 것 (건축물 정보)
- 건축물 취득일/소유권 최초분리일자/토지건물 분리일자가 정비구역 지정일 이내일 것(건축물 정보)
- 분양 신청일이 분양신청 기간 이내일 것 (분양 신청 정보)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 정보(121)를 참조하여, 조합원(200)에 대한 조합원 정보가 상술한 분양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조합원(200)이 분양 대상자인 것으로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조합원(200)이 분양 대상자가 아닌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조합원(200)은 청산 대상자가 된다.
한편,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200)이 분양 기준들 중 보완 가능한 분양 기준을 미충족하는 경우, 분양 대상 가능자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관리 서버(100)는 미충족된 분양 기준과 조합원 정보를 비교하여, 미충족 분양 기준에 대한 보완 방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200)의 건축물이 무허가이지만, 나머지 분양 기준들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조합원(200)이 소유한 토지의 면적과, 점유한 토지의 면적을 합산하고, 합산된 토지 면적이 기준 면적을 초과하는 경우, 조합원(200)을 다시 분양 대상 가능자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관리 서버(100)는 점유한 토지 면적을 합산한 경우, 분양 대상자가 될 수 있음을 안내하는 문구를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에 대한 분양 대상자 여부 판단 결과를 조합(20) 측으로도 제공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이 분양 대상자일 때(S230의 Y), 조합원(200)에게 분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40).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분양 대상자인 조합원(200)의 단말기(300)로 단독 분양인지 공동 분양인지 여부, 분양 대상 평형 및 분양액 등 분양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분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관리 서버(100)는 분양 대상자인 조합원(200)의 단말기(300)로 조합원(200)의 소유 물건에 대한 기준가액, 권리가액 및 분양가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산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이 분양 대상자가 아닐 때, 즉, 청산 대상자일 때(S230의 N), 조합원(200)에게 청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50). 실시 예들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청산 대상자인 조합원(200)의 단말기(300)로 조합원(200)이 소유하는 물건에 대한 청산액 및 청산일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청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재건축 또는 재개발과 같은 정비사업은 기간이 긴 데다가, 조합원 스스로는 자신이 분양 대상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가 어렵기에, 본인이 청산 대상자임에도 분양 대상자로 알고 있다 현금 청산을 당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200)에 대한 조합원 정보를 기초로, 조합원이 분양 대상자인지 또는 청산 대상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조합원(200)에게 제공할 수 있어 조합원(200)은 본인이 분양 대상자인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200)이 분양 기준들 중 보완 가능한 분양 기준을 미충족하는 경우, 조합원(200)에게 보완 방향을 제공함으로써 분양 신청 기간 내 분양 대상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분양 정보 및 정산 정보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분양 대상자인 조합원(200)의 단말기(300)로 분양 결정 여부, 단독 분양인지 공동 분양인지 여부, 분양 대상 평형 및 분양액 등 분양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분양 정보를 조합원(200)의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조합원(200)의 소유 물건에 대한 기준가액, 권리가액 및 분양가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산 정보를 조합원(200)의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관리 서버 20: 조합
200: 조합원들 300: 단말기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제어부

Claims (15)

  1. 정비사업을 추진하는 조합의 조합원들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조합의 조합원들 각각에 대한 조합원 정보 및 상기 정비사업의 진행 단계에 필요한 서류들에 대한 서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
    상기 조합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합원들이 속한 조합의 정비사업의 상기 진행 단계를 결정하고, 상기 서류 정보에 기초하여 진행 단계에 대응하는 필요 서류를 결정하고, 상기 필요 서류를 구성하는 항목들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 페이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입력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조합원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합원 정보는 상기 조합원의 조합과 관련된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 상기 조합원이 소지한 토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토지 정보, 상기 조합원이 점유한 국공유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점유 정보, 상기 조합원이 소유한 건축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축물 정보 및 상기 조합원의 정비 사업에 대한 분양 신청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분양 신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필요 서류는 분양 신청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합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분양 신청서를 구성하는 항목들을 이용하여 상기 조합원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조합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분양 신청서를 작성하기 위한 항목들을 입력한 조합원의 조합원 정보 중 분양 신청과 관련된 정보를 리드하여 미리 정해진 복수의 분양 기준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조합원이 상기 복수의 분양 기준들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상기 조합원을 분양 대상자로서 결정하고, 상기 조합원이 상기 복수의 분양 기준들 중 어느 하나를 미충족할 때, 상기 미충족된 분양 기준이 보완 가능한 분양 기준인지 판단하고,
    상기 미충족된 분양 기준이 보완 가능한 분양 기준일 때, 상기 조합원의 현재 조합원 정보를 토대로 미충족된 분양 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보완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보완 방향을 상기 조합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미충족된 분양 기준이 보완 불가능한 분양 기준일 때 상기 조합원을 청산 대상자로 결정하되,
    상기 미충족된 분양 기준이 건축물의 허가 여부이고 상기 조합원이 소유한 건축물이 무허가이며 나머지 분양 기준들이 모두 충족되는 경우, 상기 조합원이 소유한 토지의 면적과 점유한 토지의 면적을 합산하고, 합산된 토지 면적이 기준 면적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미충족된 분양 기준이 보완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관리 서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류 정보는,
    상기 정비사업의 안전진단 단계, 정비구역지정 단계, 추진위 설립 단계, 조합설립 단계, 사업시행인가 단계, 관리처분 계획인가 단계 및 착공/일반분양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필요한 서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필요 서류를 구성하는 항목들을 결정하고,
    상기 항목들 중 상기 저장부에 이미 저장된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을 입력 받기 위한 상기 입력 페이지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항목들 중 상기 저장부에 이미 저장된 항목은 입력이 불가능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입력 페이지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
  7. 삭제
  8. 삭제
  9. 정비사업을 추진하는 조합의 조합원들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조합의 조합원들 각각에 대한 조합원 정보 및 상기 정비사업의 진행 단계에 필요한 서류들에 대한 서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 상기 조합원 정보는 상기 조합원의 조합과 관련된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 상기 조합원이 소지한 토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토지 정보, 상기 조합원이 점유한 국공유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점유 정보, 상기 조합원이 소유한 건축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축물 정보 및 상기 조합원의 정비 사업에 대한 분양 신청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분양 신청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조합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합원들이 속한 조합의 정비사업의 상기 진행 단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서류 정보에 기초하여 진행 단계에 대응하는 필요 서류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필요 서류는 분양 신청서를 포함함 ― ;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필요 서류를 구성하는 항목들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입력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조합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조합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분양 신청서를 구성하는 항목들을 이용하여 상기 조합원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갱신된 조합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분양 신청서를 작성하기 위한 항목들을 입력한 조합원의 조합원 정보 중 분양 신청과 관련된 정보를 리드하여 미리 정해진 복수의 분양 기준들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조합원이 상기 복수의 분양 기준들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상기 조합원을 분양 대상자로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조합원이 상기 복수의 분양 기준들 중 어느 하나를 미충족할 때, 상기 미충족된 분양 기준이 보완 가능한 분양 기준인지 판단하고,
    상기 미충족된 분양 기준이 보완 가능한 분양 기준일 때, 상기 조합원의 현재 조합원 정보를 토대로 미충족된 분양 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보완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보완 방향을 상기 조합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미충족된 분양 기준이 보완 불가능한 분양 기준일 때, 상기 조합원을 청산 대상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은,
    상기 미충족된 분양 기준이 건축물의 허가 여부이고 상기 조합원이 소유한 건축물이 무허가이며 나머지 분양 기준들이 모두 충족되는 경우, 상기 조합원이 소유한 토지의 면적과 점유한 토지의 면적을 합산하고, 합산된 토지 면적이 기준 면적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미충족된 분양 기준이 보완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류 정보는,
    상기 정비사업의 안전진단 단계, 정비구역지정 단계, 추진위 설립 단계, 조합설립 단계, 사업시행인가 단계, 관리처분 계획인가 단계 및 착공/일반분양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필요한 서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서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필요 서류를 구성하는 항목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항목들 중 이미 저장된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을 입력 받기 위한 상기 입력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항목들 중 상기 관리 서버에 이미 저장된 항목은 입력이 불가능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입력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
  15. 삭제
KR1020210123222A 2021-09-15 2021-09-15 재건축 또는 재개발 등의 정비사업을 진행하는 조합의 조합원들을 위한 관리 서버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500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222A KR102500541B1 (ko) 2021-09-15 2021-09-15 재건축 또는 재개발 등의 정비사업을 진행하는 조합의 조합원들을 위한 관리 서버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0230018492A KR20230040312A (ko) 2021-09-15 2023-02-13 재건축 또는 재개발 등의 정비사업을 진행하는 조합의 조합원들을 위한 관리 서버 및 이의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222A KR102500541B1 (ko) 2021-09-15 2021-09-15 재건축 또는 재개발 등의 정비사업을 진행하는 조합의 조합원들을 위한 관리 서버 및 이의 작동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8492A Division KR20230040312A (ko) 2021-09-15 2023-02-13 재건축 또는 재개발 등의 정비사업을 진행하는 조합의 조합원들을 위한 관리 서버 및 이의 작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541B1 true KR102500541B1 (ko) 2023-02-16

Family

ID=853259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222A KR102500541B1 (ko) 2021-09-15 2021-09-15 재건축 또는 재개발 등의 정비사업을 진행하는 조합의 조합원들을 위한 관리 서버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0230018492A KR20230040312A (ko) 2021-09-15 2023-02-13 재건축 또는 재개발 등의 정비사업을 진행하는 조합의 조합원들을 위한 관리 서버 및 이의 작동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8492A KR20230040312A (ko) 2021-09-15 2023-02-13 재건축 또는 재개발 등의 정비사업을 진행하는 조합의 조합원들을 위한 관리 서버 및 이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05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047A (ko) * 2008-07-15 2010-01-25 이윤휘 주택재개발정비사업의 단독시행에 관한 회원 간의정보공개와 금융거래에 관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96355A (ko) * 2010-02-22 2011-08-3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의사결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047A (ko) * 2008-07-15 2010-01-25 이윤휘 주택재개발정비사업의 단독시행에 관한 회원 간의정보공개와 금융거래에 관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96355A (ko) * 2010-02-22 2011-08-3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의사결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312A (ko) 202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6246B2 (en) Predictive modeling and data analysis in a secure shared system
WO2019100308A1 (zh) 差旅项目的报销方法、系统、存储介质及终端
CN111902814A (zh) 以基于区块链的文档传递、协作和传播为动力的去中心化的市场和生态系统
JP2002526819A (ja) クロスアプリケーションタイムシート
US20180341896A1 (en) Enterpris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and Business Integration System
CN112184158A (zh) 租赁业务审批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100339643B1 (ko) 무역업무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7079673B2 (ja) 費用負担部署設定装置、費用負担部署設定方法および費用負担部署設定プログラム
JP2021099627A (ja) 相続手続システム、相続手続管理方法、プログラム
KR101472324B1 (ko) 건축구조도면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도면 자동화 방법
KR102500541B1 (ko) 재건축 또는 재개발 등의 정비사업을 진행하는 조합의 조합원들을 위한 관리 서버 및 이의 작동 방법
JP6133529B1 (ja) 電子稟議書の更新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6098685B2 (ja) 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ワークフローサーバ、ワークフローサーバ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16517B1 (ko) Rpa를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1611502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912904A (zh) 项目交付状态确定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612055A (zh) 股权激励中的订单业务管理方法、系统、设备和可读介质
JP2006072884A (ja) 業務案件処理システム
CN113468626A (zh) 图纸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990424B (zh) 银行系统以及由银行系统执行的方法
JPWO2016157252A1 (ja) 与信事務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190101868A (ko) 경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경비 관리 방법
JP6603426B1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2041741A (ja) ビジネスプロセス管理システム
JP6078270B2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