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517B1 - Rpa를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Rpa를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517B1
KR102416517B1 KR1020200152061A KR20200152061A KR102416517B1 KR 102416517 B1 KR102416517 B1 KR 102416517B1 KR 1020200152061 A KR1020200152061 A KR 1020200152061A KR 20200152061 A KR20200152061 A KR 20200152061A KR 102416517 B1 KR102416517 B1 KR 102416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check
central management
standard rule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5484A (ko
Inventor
문성혜
Original Assignee
디비에프아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비에프아이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비에프아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2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517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28Indexing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Abstract

본 발명은 RPA를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사 시스템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가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을 처리하는 동작 방법으로서, 수신한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신규 테이블 구조에 따른 점검 필드 속성이 정의된 점검 필드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점검 필드 리스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점검 필드가 미리 설정된 표준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표준룰에 대응한 경우, 점검 필드 리스트의 점검 필드 속성이 미리 저장된 테이블 매트릭스의 데이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점검 필드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점검 필드에 대한 대응여부가 확인되어 모든 점검 필드가 대응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을 자동으로 승인하고, 상이한 것으로 확인된 점검 필드 또는 점검 필드의 속성이 있는 경우,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을 반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RPA를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ATABASE CENTRAL MANAGEMENT USING RPA}
RPA를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기술이 제공된다.
최근 데이터가 기업의 전략적 의사결정의 핵심 요소로 대두됨에 따라 데이터 통합 및 데이터 품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데이터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데이터의 표준화가 필수적으로 수반 되어야 한다.
하지만, 특정 단위의 시스템 단위나 각 부서별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관리함으로써, 데이터의 활용 및 관리에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의미의 데이터를 다른 명칭으로 중복 관리하거나 다른 의미의 데이터를 동일한 명칭으로 관리하는 등의 서로 상이한 데이터베이스 관리함으로써 필요 데이터를 파악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요되며, 산출한 필요 데이터에도 오류 발생률이 높다.
또한, 새로운 정보 요건이나 정보 요건 변경 또는 데이터베이스의 유지 보수 시 데이터 의미 파악이 어렵고, 새로운 정보 요건 반영 시 기존 데이터의 활용이 가능한지 파악이 어려워 유지보수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고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한다.
이처럼 전사적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표준화 작업 및 관리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다만, 이러한 표준화 작업 및 전사적 관리에도 전문 인력의 관리자가 시스템별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소요되는 작업 시간이 길고 관리자의 업무 기량에 따른 에러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그러므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를 통해 테이블 구조 생성 및 관리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관련 선행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 1654986 호는 " 서버 점검 자동화 절차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654986호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새로운 테이블 구조 생성시,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되도록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에 대한 표준룰과 기존의 구조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검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RPA를 활용하여 각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는 테이블구조 및 속성에 대한 매트릭스 구성을 확인하여 표준화 작업 여부를 점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사 시스템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가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을 처리하는 동작 방법으로서, 수신한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신규 테이블 구조에 따른 점검 필드 속성이 정의된 점검 필드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점검 필드 리스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점검 필드가 미리 설정된 표준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표준룰에 대응한 경우, 점검 필드 리스트의 점검 필드 속성이 미리 저장된 테이블 매트릭스의 데이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점검 필드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점검 필드에 대한 대응여부가 확인되어 모든 점검 필드가 대응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을 자동으로 승인하고, 상이한 것으로 확인된 점검 필드 또는 점검 필드의 속성이 있는 경우,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을 반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표준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점검 필드 중에서 하나 이상의 필드를 기준 필드로 선택하고, 기준 필드가 전사 기준의 표준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전사 기준의 표준룰에 대응한 경우, 신규 테이블 구조를 적용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을 추출하고, 추출된 시스템별로 설정된 표준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전사 기준의 표준룰과 상이하거나 시스템별로 설정된 표준룰과 상이한 경우, 상이한 기준 필드의 속성에 대한 부적합 사유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사 기준의 표준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점검 필드 속성 중에서 필드명을 기준 필드로 선택하고, 필드명으로 사용되는 키워드들 중에서 최대 N개의 조합으로 상기 필드명이 형성된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점검 필드 속성 중에서 필드 설명을 기준 필드로 선택하고 필드 설명 사용되는 키워드들 중에서 M개 이상의 조합으로, 상기 필드 설명이 형성된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N과 M은 서로 상이한 자연수)
테이블 매트릭스의 데이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점검 필드 중에서 필드명과 점검 필드의 속성이 테이블 매트릭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지 확인하는 단계, 필드명과 상기 점검 필드의 속성이 테이블 매트릭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필드명을 사용하고자 하는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해당 시스템에서 사용 상태가 아닌 경우, 해당 시스템에서 상기 필드명이 사용 가능 상태로 테이블 매트릭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 매트릭스의 데이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필드명은 일치하지만, 필드명과 연계된 점검 필드의 속성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치하지 않은 상기 점검 필드의 속성에 대한 부적합 사유를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 매트릭스의 데이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필드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필드명에 연계된 필드 설명에서 단어들을 추출하는 단계, 단어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가 포함된 문장들을 테이블 매트릭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테이블 매트릭스의 문장들과 필드명에 연계된 필드 설명에 기재된 문장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일치하지 않은 상기 필드명의 속성에 대한 부적합 사유를 기록하고, 유사도가 임계치 이하이면, 필드명과 필드 설명에 기초한 점검 필드를 테이블 매트릭스에 신규 필드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려하는 단계는, 테이블 매트릭스에서 필드명에 기초하여 해당 시스템의 사용 가능 상태로 업데이트하거나 신규 필드를 생성하는 업데이트를 하는 경우, 연동되는 관리자 단말로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에 대한 승인 권한을 전달할 수 있다.
반려하는 단계는,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을 자동으로 승인하면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기초하여 관련 시스템으로 신규 테이블 구조를 배포할 수 있다.
반려하는 단계는, 기록된 부적합 사유를 기재하여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을 자동으로 반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가 전사 시스템의 테이블 구조를 점검하는 동작 방법으로서, 설정된 스케줄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 로봇을 통해 상기 전사 시스템에 포함된 시스템들의 점검 테이블 리스트와 각 테이블에서의 점검 필드 리스트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단계, 점검 필드 리스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점검 필드가 미리 설정된 표준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거나 점검 필드 리스트의 상기 점검 필드 속성이 미리 저장된 테이블 매트릭스의 데이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점검 필드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점검 필드에 대한 대응여부가 확인되면 점검 테이블 리스트의 다음 테이블을 선택하여 점검 테이블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테이블에 대한 대응 여부를 확인하도록 반복하는 단계, 그리고 시스템들의 점검 테이블 리스트와 각 테이블에서의 점검 필드 리스트에 대한 대응 여부가 모두 확인되면, 점검 결과 내역을 생성하여 시스템별로 연동되는 단말 또는 이메일 주소로 점검 결과 내역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확인하는 단계는, 점검 필드 리스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점검 필드가 미리 설정된 전사 표준룰과 각 대응되는 시스템별 표준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여 상이한 경우, 상이한 점검 필드의 속성에 따른 부적합 사유를 기록하는 단계, 그리고 전사 표준룰과 상기 시스템별 표준룰에 대응한 경우, 점검 필드 리스트의 점검 필드 속성이 미리 저장된 테이블 매트릭스의 데이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여 상이한 경우, 상이한 점검 필드의 속성에 따른 부적합 사유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확인하는 단계는, 점검 필드 중에서 필드명이 테이블 매트릭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지 확인하고, 필드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필드명에 연계된 필드 설명에서 단어들을 추출하는 단계, 단어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가 포함된 문장들을 테이블 매트릭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테이블 매트릭스의 문장들과 필드명에 연계된 필드 설명에 기재된 문장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일치하지 않은 필드명의 속성에 대한 부적합 사유를 기록하고, 유사도가 임계치 이하이면, 필드명과 필드 설명에 기초한 점검 필드를 테이블 매트릭스에 신규 필드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인하는 단계는, 점검 필드 중에서 필드명과 상기 점검 필드의 속성이 테이블 매트릭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지 확인하는 단계, 필드명과 점검 필드의 속성이 테이블 매트릭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필드명을 사용하고자 하는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해당 시스템에서 사용 상태가 아닌 경우, 해당 시스템에서 필드명이 사용 가능 상태로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검 결과 내역은 점검 결과에 기초하여 상이한 점검 필드와, 해당 점검 필드의 속성에 대한 부적합 사유, 테이블 매트릭스에서 필드명에 기초하여 해당 시스템의 가능 상태의 업데이트 여부, 또는 신규 필드 생성의 업데이트 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설정된 스케줄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 로봇(Robotic Process Automation ,RPA)을 통해 전사 시스템에 포함된 시스템들의 점검 테이블 리스트와 각 테이블에서의 점검 필드 리스트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수집부, 점검 필드 리스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점검 필드가 미리 설정된 표준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거나 점검 필드 리스트의 점검 필드 속성이 미리 저장된 테이블 매트릭스의 데이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정책 점검부, 그리고 점검 필드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점검 필드에 대한 대응 여부가 확인되면 점검 테이블 리스트의 다음 테이블을 선택하여 점검 테이블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테이블에 대한 대응 여부를 확인하도록 반복하도록 제어하며, 점검 결과 내역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수집부는, 수신한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신규 테이블 구조에 따른 점검 필드 속성이 정의된 점검 필드 리스트를 추출하고, 제어부는 점검 필드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점검 필드에 대한 대응여부가 확인되어 모든 점검 필드가 대응한 경우,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을 자동으로 승인하고, 상기 표준룰 또는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와 상이한 점검 필드 또는 점검 필드의 속성이 있는 경우,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을 반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블 구조 생성시에 테이블 구조 및 속성을 확인하여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조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함으로써 테이블의 무분별한 생성을 억제하고 중복된 데이터로 인한 관리 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시스템에 적용되는 테이블 구조 및 속성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통해 잘못된 데이터의 활용으로 인한 의사결정의 오류를 최소화하고 시스템 간의 안정적인 협업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RPA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표준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관리 및 유지 보수에 대한 비용을 최소화하고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필드와 테이블 필드의 매트릭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의 테이블 구조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표준룰에 기초하여 점검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매트릭스에 기초하여 점검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구조 생성에 대한 승인된 인터페이스 화면과 반려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의 기존 데이터베이스 점검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기존 데이터베이스의 점검 내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통신 장치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로 구성되고, 지정된 장소에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하드웨어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구성과 성능을 가진다. 프로그램은 도면들을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동작 방법을 구현한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하고, 프로세서와 메모리 장치 등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본 발명을 실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송 또는 제공"은 직접적인 전송 또는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를 통해 또는 우회 경로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전송 또는 제공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의 테이블 구조를 생성하는 기안을 처리하는 방법과 기존 테이블을 점검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러한 구성은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중에서 하나의 실시예로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표준룰 또는 테이블 매트릭스와 대응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적합 여부를 확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때,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시스템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을 위해 필요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할 뿐 이러한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의 생성을 위한 결재를 요청하거나 점검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100-1,100-2)과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점검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 그리고 전사 시스템(300)을 포함하고 이들의 구성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 근거리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이들이 혼합된 네트워크 등 데이터를 전달하는 모든 형태의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용선을 이용하여 구축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 100-1,100-2)은 전사 시스템(30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에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입력, 수정 및 결재 승인 및 반려 등의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을 나타낸다.
여기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기업 또는 단체에 소속된 관계자로, 소속된 직위,직급, 직책, 직함, 소속 부서, 사번 중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개인 식별 정보가 할당되며, 사용자 단말(100)은 해당 개인 식별 정보를 통해 해당 사용자 또는 관리자 인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개인 식별 정보가 개별 ID와 비밀번호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개별 ID와 비밀번호를 통한 인증에 기초하여 확인된 권한 범위 내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련 작업에 접근할 수 있다.
권한 범위는 해당 소속된 직위,직급, 직책, 직함, 소속 부서, 사번에 기초하여 설정되며, 관리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및 설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100)은 제공되는 웹 페이지, 전용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관련 작업을 신청 및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단말(100)은 각각 메모리 수단, 프로세서를 구비함으로써 연산 처리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스마트 기기, 태블릿(tablet) 등이 있다.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수집부(210), 정책 점검부(220) 그리고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설명을 위해, 수집부(210), 정책 점검부(220) 그리고 제어부(230)로 명명하여 부르나, 이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이다. 여기서, 수집부(210), 정책 점검부(220) 그리고 제어부(230)는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구현되거나, 별도의 컴퓨팅 장치에 분산 구현될 수 있다. 별도의 컴퓨팅 장치에 분산 구현된 경우, 수집부(210), 정책 점검부(220) 그리고 제어부(23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작성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충분하고, 예를 들면, 서버, 랩탑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또한, 수집부(210), 정책 점검부(220) 그리고 제어부(230)는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obotic Process Automation, RPA)로 구현이 가능하며, 각 개별적인 소프트웨어 로봇으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로봇으로 구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 로봇의 구성은 관리자에 의해 자동 로봇 프로세서의 기능과, 작업 조건, 작업 범위, 작업 시간 등을 설정받으면, 해당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수집부(210), 정책 점검부(220) 그리고 제어부(230)가 수행하는 기능 중에서 선택적으로 구현도 가능하다.
수집부(210)는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신규 생성과 변경 등과 관련한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은 기안 문서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조를 새로 생성하는 경우, 테이블 구조에 대한 점검 필드 및 점검 필드의 속성을 설정하고, 적용될 시스템을 한정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기안 문서에는 적용될 시스템 명(특정 시스템을 판별할 수 있는 번호, 문자, 코드 등)에 기초하여 테이블명, 테이블 한글명, 테이블 설명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테이블마다 필드명, 필드속성 등이 포함된다.
또한, 수집부(210)는 관리자의 지시 또는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전사 시스템에 포함된 시스템별로 점검 테이블 리스트와 각 테이블에서의 점검 필드 리스트들을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정책 점검부(220)는 수집부(210)에서 수집된 기안 문서 또는 전사 시스템의 시스템마다의 테이블 구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정책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세하게는 정책 점검부(220)는 전사 시스템에서 준수해야 하는 조건들을 점검하는 표준룰 점검부(221)와 개별적으로 테이블의 필드 속성을 점검하는 매트릭스 점검부(222)를 포함한다.
표준룰 점검부(221)는 전사 시스템에서 준수해야 하는 조건의 집합인 표준룰에 기초하여 기안 문서 또는 시스템마다의 테이블 구조를 점검한다.
상세하게는 표준룰 점검부(221)는 전사 표준룰과 시스템별 표준룰에 기초하여 각각 대응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표준룰 점검부(221)는 전사 표준룰과 키워드 리스트 DB에 기초하여 필수 조건에 대응한지 점검한다.
여기서 필수 조건에 해당하는 점검 필드는 이후 기준 필드로 설정되어 활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설정된 기준 필드는 매트릭스 점검부에서 세부적인 점검 필드를 확인할 때, 해당 기준 필드를 기준으로 점검 필드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룰 점검부(221)는 필수 조건으로 필드명(Field name)이 최대 3개의 키워드 조합으로 구성되는 지 여부와 필드 설명(Field Description)이 3개 이상의 키워드의 조합으로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필드명은 중복되지 않음이 원칙이나, 중복되는 경우 별도의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표준룰 점검부(221)는 전사 시스템에서 필드명과 필드 설명에 기초하여 키워드 조합 여부에 따른 전사 표준룰 대응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별로 표준룰이 설정된 경우, 각 시스템별로 표준룰에 기초하여 대응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표준룰 점검부(221)는 전사 시스템에 적용될 표준룰에 기초하여 점검을 한 후, 점검대상에 해당하는 시스템에 개별적인 표준룰이 있는 경우, 다시 개별적인 표준룰에 기초하여 대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표준룰 점검부(221)는 전사 표준룰 또는 시스템별 표준룰에 기초하여 상이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별도로 부적합한 사항을 기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매트릭스 점검부(222)는 세부적인 필드 속성의 집합인 테이블 매트릭스 DB에 기초하여 기안 문서 또는 시스템마다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점검한다.
여기서, 테이블 매트릭스 DB는 각 테이블 필드의 속성에 대한 정의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 이하에서는 테이블 매트릭스로 통칭한다.
매트릭스 점검부(222)는 각 테이블 필드의 속성에 기초하여 정해진 형식에 맞춰 작성되어 있는지를 점검하며, 기안 문서 또는 시스템마다의 테이블 필드 속성이 조건과 상이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별도로 부적합한 사항을 기록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매트릭스 점검부(222)는 표준룰 점검부(221)에서 점검한 필드명과 필드 설명을 기준으로 테이블 매트릭스와 매칭되는 필드 속성 정의 집합을 추출한다.
그리고 매트릭스 점검부(222)는 추출된 필드 속성 정의 집합에 기초하여 기안 문서 또는 시스템마다의 테이블 필드 속성이 일치하는지 점검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정책 점검부(220)의 점검 결과에 기초하여 기안 문서의 승인 또는 반려를 결정하며, 기안 문서를 반려하는 경우, 부적합 사항 기록에 기초하여 반려 사유를 함께 사용자 단말(100-1)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기안 문서의 승인을 결정하면, 전사 시스템에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배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기안 문서에 특정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제한하는 경우, 사용 가능한 시스템들을 선택하여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배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기안 문서에 대해서 새로운 필드 속성을 생성하거나 변경해야 할 경우, 자동으로 필드 속성을 업데이트하거나 별도로 관리자에 의해 결재가 진행되도록 관리자의 단말로 해당 내역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시스템마다의 데이터베이스 구조에 대한 점검 내역을 별도로 저장하고,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100-2)에 전송한다.
제어부(23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이메일로 점검 내역을 전송할 수 있다.
전사 시스템(300)은 하나 이상의 시스템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시스템마다 고유 명, 고유 ID, 코드 등을 통해 개별적으로 관리한다.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전사 시스템(300)의 시스템마다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수집하거나 확인 가능하지만, 변경 또는 삭제와 같은 업데이트 관련에서는 시스템마다 권한 설정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전사 시스템(300)에서 관리하는 테이블의 필드의 속성 그리고 테이블 매트릭스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필드와 테이블 필드의 매트릭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의 (a)는 테이블 속성과 필드 속성에 기초하여 표준화 기준을 나타낸 도표이고, (b)는 테이블 필드 속성에 대한 정의 집합으로 테이블 필드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도 2의 (a)와 같이, 각 테이블마다 테이블 ID를 나타내는 테이블 이름, 테이블 한글명칭, 테이블에 대한 간략한 설명, 사용되는 시스템, 필드의 속성이 정의된 리스트를 테이블의 속성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필드 속성으로는 필드 ID(Field ID), 필드 한글 명칭, 필드에 대한 간략한 설명, 데이터 유형, 길이(숫자), 소수점(숫자), Key 여부(주요 코드), 그리고 null여부 등을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필드 ID는 중복되지 않은 필드 고유 ID이고, 해당 필드 ID에 기초하여 해당 필드가 무엇을 의미하는 지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쉽도록 필드 한글 명칭이나 필드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기재될 수 있다. 데이터 유형은 문자 또는 숫자 등 입력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고, 입력 가능한 최대 길이값, 소수점은 소수점의 위치를 숫자로 표시한 것으로 소수점이 0인 경우, 정수만 입력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이외도 Key 여부나 null 여부는 yes와 no로 입력 가능하다.
여기서, 필드 속성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복수개의 리스트를 제시하면 그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하나의 카테고리가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의 속성과 필드의 속성은 표준화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로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표준화하기 위한 기준으로 테이블 속성 및 필드 속성을 설정하면, 해당 설정 내용에 기초하여 각 시스템마다의 정책이 설정된다.
다시 말해, 각 시스템마다의 정책을 통합하여 테이블 필드를 기준으로 나타내면 도 2의 (b)와 같이 테이블 필드 매트릭스로 나타낼 수 있다.
도 2의 (b)에서 보면, 테이블 형태로 각 필드의 속성과 시스템에 적용 여부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필드명이 CUS_NAM인 경우, 해당 필드는 고객이름을 의미하며, 데이터는 8비트 정수형 처리 변수로 문자(CHAR, character)가 입력되고 KEY의 값이고, Null의 값은 없는 필드 속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필드는 시스템 1과 시스템 2에서는 사용되지만, 시스템 3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이처럼, 전체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규화함에 따라 설정된 테이블 필드의 사용 여부를 함께 관리함으로써 테이블 매트릭스를 통해 각 시스템에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관리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7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가 테이블 생성하는 기안 문서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의 테이블 구조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기안 수신을 수신한다(S110).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연동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을 기안 문서 형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안 문서는 반드시 신규 생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변경, 삭제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기안 문서에서 테이블에 대한 점검 필드 리스트를 추출한다(S120).
앞서 도 2 의 (a)에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기안 문서에서 점검 필드의 속성이 정의된 점검 필드 리스트를 추출한다.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표준룰에 대응 여부를 점검한다(S130).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추출된 점검 필드 리스트에 기초하여 필수 조건에 해당하는 점검 필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점검 필드의 속성이 미리 설정된 표준룰에 적합한지 점검한다. 예를 들어, 필드명을 선택하여 해당 필드명이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필수 조건인 점검 필드의 속성이 표준룰과 상이한 경우, 부적합 사항을 기록한다(S140).
예를 들어, 필드명이 최대 3개 이상의 키워드의 결합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표준룰에 기초하여 점검한 필드명이 4개의 키워드 결합이거나 키워드 결합이 아닌 경우,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필드명 항목에 대한 부적합 사항을 별도로 기록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3개 키워드 결합 이라는 표준 룰의 부합되지 않음을 표시하거나 키워드 포함 요구와 같은 권고 조치 사항을 기록할 수 있다.
한편, 표준룰에 대응한 경우,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테이블 매트릭스와의 대응여부를 확인한다(S150).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점검 필드의 속성이 정의된 점검 필드 리스트 중에서 표준룰에 적합한 필수 조건인 기준 필드에 대한 속성을 기준으로 테이블 매트릭스에서 매칭되는 데이터들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필수 조건인 필드명에 기초하여 데이터 유형, 길이, 소수점, KEY 여부, Null 여부, 사용 시스템 종류 등에 대한 각각의 필드 속성 정의와 일치하는 지 확인한다.
이에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테이블 매트릭스와 상이한 필드 속성이 있는 경우 해당 부적합 여부 기록한다(S160).
예를 들어 CUS_NAM 이라는 필드명에 따른 데이터 유형이 CHAR로 테이블 매트릭스 DB에 저장되어 있으나 추출한 속성 리스트에서는 CUS_NAM 이라는 필드명에 따른 데이터 유형이 NUM인 경우,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데이터 유형의 불일치, 데이터 유형의 속성 변경 등을 별도로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점검 필드가 마지막 점검 필드인지 확인한다(S170).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점검 필드가 마지막 점검 필드가 아닌 경우, 다음 점검 필드 선택한다(S180).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S130 단계로 회귀하여 선택한 다음 점검 필드에서의 표준룰의 대응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점검 필드가 마지막 점검 필드인 경우, 부적합 사항 기록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190).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부적합 사항 기록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수신한 기안 문서의 자동 승인, 자동 반려를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부적합 사항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에 대한 기안 문서를 반려한다(S200).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기안 문서를 반려하면서 해당 부적합 사항 기록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불일치 목록, 불일치 속성 등을 기준 필드에 기초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부적합 사항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테이블 구조 생성 기안문서를 승인한다(S210).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자동으로 기안 문서를 승인할 수도 있고, 부적합 사항이 기재되어 있지 않은 기안 문서를 최종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표준룰과 테이블 필드 매트릭스에 기초하여 대응한 경우 이외에도 새로운 필드를 생성해야 하는 경우나 특정 필드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도 최종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필드 생성이나 변경은 추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신규 테이블 구조를 관련 시스템에 배포한다(S220).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테이블 구조 생성 기안 문서를 일정한 배포 DB에 임시 저장하고,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자동으로 하나 이상의 시스템에 배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인된 기안 문서들에 대해서 익일 0시에 시스템에 동시에 배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스템에서는 배포된 기안 문서에 해당되는 경우, 해당 테이블 구조를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5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점검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에서는 표준룰에 해당하는 필수 조건에 해당하는 점검 필드가 필드명과 필드 설명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표준룰에 기초하여 점검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필드명이 키워드 N개 조합으로 형성되어 있는지 점검한다(S131).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앞서 S120 단계에서 추출된 필드의 속성이 정의된 리스트 중에서 필수 조건에 해당하는 필드명을 선택한다.
필드명에 대해서 설정된 표준룰을 확인하여 최대 N개의 키워드의 조합으로 형성되었는지 점검할 수 있다.(N은 자연수)
상세하게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필드명에 기초하여 설정된 표준룰 DB와 연동되는 키워드 DB에 기초하여 필드명으로 사용되는 키워드들 중에서 최대 3개의 키워드 조합으로 형성된 건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필드명에 사용되지 않는 키워드의 조합으로 필드명이 형성되거나 필드명에 사용되는 키워드의 조합이 4개 이상인 경우와 같이 표준룰에 적합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필드명이 표준룰과 상이한 경우 부적합 사항을 기록한다(S140).
한편,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필드 설명이 표준룰에 대응한 경우, 필드 설명이 키워드 M개 이상 조합으로 형성되어 있는지 점검한다(S132). (M은 N과 상이한 자연수)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필드 설명에 기초하여 설정된 표준룰 DB와 연동되는 키워드 DB에 기초하여 필드 설명으로 사용되는 키워드들 중에서 3개 이상의 키워드 조합으로 형성된 건지 확인할 수 있다.
표준룰 DB와 키워드 DB가 서로 연동되어 저장되어 있으므로 점검하는 필드 속성에 따라 점검하는 키워드들이 상이하게 설정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필드 설명이 표준룰에 상이한 경우, 부적합 사항을 기록한다(S140).
한편,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시스템별 표준룰에 따라 시스템별 표준룰에 대한 대응 여부 점검한다(S133).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시스템별 표준룰에 기초하여 점검 필드의 속성에 대한 대응 여부를 점검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ERP 시스템에서 SAP와 관련된 테이블에 대해서 테이블의 이름이 특정 영문자(예를 들어, z)로 시작되도록 설정된 시스템별 표준룰에 기초하여 부합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점검 필드의 속성이 시스템별 표준룰과 상이한 경우, 부적합 사항을 기록한다(S140).
이처럼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전사 시스템에서의 범용 표준룰을 점검하고 개별 시스템에서 설정된 시스템별 표준룰을 점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확인된 표준룰이 마지막 표준룰인지 확인한다(S134).
테이블 구조와 관련된 기안 문서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기안 문서에 설정된 시스템마다 표준룰을 모두 확인한다.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확인된 표준룰이 마지막 표준룰이면 해당 기안 문서에서는 표준룰에 적합한 것으로 추정하여 다음 S150 단계로 진행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매트릭스에 기초하여 점검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필드명이 일치한 데이터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151).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테이블 매트릭스에 기초하여 필드명을 기준으로 일치하는 데이터들 검색한다.
일치하는 필드명이 검색되면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점검 필드의 속성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S152).
S152 단계에서의 점검 필드의 속성은 필드명에 연계된 점검 필드의 속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테이블 매트릭스에 저장된 동일한 필드명의 필드 설명, 데이터 유형, 길이, 소수점, KEY 여부, Null 여부, 사용 가능한 시스템 리스트 등에 기초하여 점검 대상의 필드의 속성이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점검 필드의 속성이 일치하면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일치한 필드명이 시스템에서 사용 중인지 확인한다(S153).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해당 필드명을 적용하고자 하는 시스템에서 해당 필드명으로 사용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 매트릭스에 CUS_NAM의 필드명이 시스템 1과 시스템 2에서 사용하고 있지만, 시스템 3에서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기안 문서에 CUS_NAM의 필드명이 시스템 1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는 경우, 해당 기안 문서의 CUS_NAM의 필드명의 속성은 테이블 필드 매트릭스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다음 S170 단계로 진행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필드명과 점검 필드의 속성이 일치하지만, 사용가능한 시스템이 상이한 경우, 시스템 사용 업데이트 한다(S154).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기안 문서에 CUS_NAM의 필드명이 시스템 3에서 사용가능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는 경우, 테이블 필드 매트릭스에서는 시스템 3에서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테이블 필드 매트릭스를 변경하도록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해당 시스템의 보안 기준이나 기안 문서의 작성자의 권한 설정 등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테이블 필드 매트릭스에서 시스템 3에서 사용가능 하도록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해당 기안 문서는 자동 결재가 아닌 관리자 승인에 의한 결재로 전달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테이블 매트릭스에 필드명이 일치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필드 설명에서 명사 리스트 추출한다(S155).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필드 설명에 기재된 언어 중에서 조사, 형용사 또는 동사등과 같은 단어를 제외하고 명사만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추출된 명사 리스트에 기초하여 필드 목록 추출한다(S156).
여기서, 필드 목록은 테이블 매트릭스에서 추출된 명사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명사를 포함하는 필드를 의미한다.
상세하게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추출된 명사 리스트에 기초하여 테이블 매트릭스에서 동일한 명사를 가지는 필드 설명이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된 명사 리스트가 "은행"과 "코드"인 경우,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테이블 매트릭스에 저장되어 있는 필드 설명에서 동일한 "은행"또는 "코드"를 가지는 필드 속성을 검색할 수 있다.
이에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은행" 또는 "코드"가 필드 설명에 기재된 필드 목록을 테이블 매트릭스에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점거 필드 설명과 추출된 필드 목록의 필드 설명과의 유사도 산출한다(S157).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단어를 기반으로 추출된 필드 목록에서 문장을 기준으로 유사도를 산출한다.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필드 설명에 기재된 문장 전체에 대해 단어들마다 유사한 단어들로의 확장, 연결 관계 등에 기초하여 문장 전체의 유사도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유사도가 60% 이상의 필드 목록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158).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필드 목록마다 산출된 문장의 유사도가 60% 이상인 필드가 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유사도를 판단하는 기준인 60%는 임계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후에 관리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및 설정 가능하다.
이에 유사도가 60% 이상의 필드가 없는 경우,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해당 필드를 신규 필드로 등록한다(S159).
이때,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시스템 사용 업데이트와 동일하게 해당 시스템의 보안 기준이나 기안 문서의 작성자의 권한 설정 등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테이블 필드 매트릭스에서 신규 필드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신규 필드로 등록 요청에 따라 해당 기안 문서는 자동 결재가 아닌 관리자 승인에 의한 결재로 전달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유사도가 60% 이상의 필드가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유사 필드가 존재하기 때문에 부적합 사항으로 기록한다(S160).
다시 말해,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해당 필드명에 관해서 유사 필드에 해당하는 필드명으로 수정해야 하는 권고 조치를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테이블 매트릭스에 기초하여 대응 여부를 판단하며, 시스템 사용 업데이트 또는 신규 필드 등록 등과 같이 조건에 따라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유사 필드의 존재를 이유로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구조 생성에 대한 승인된 인터페이스 화면과 반려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테이블 구조 생성을 위해 제공되는 형식에 맞춰 문서 제목과 문서 내용 그리고 실행 기한 및 실행 방법을 설정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신규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기안 문서는 시간의 순서에 기초하여 번호가 생성되고,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해당 번호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기안 문서를 점검한다.
이에, 도 7의 (a)는 기안 문서를 승인한 인터페이스 화면이고 (b)는 기안 문서를 반려한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7의 (a)에서와 같이, 각각의 테이블 필드의 속성이 일치하는 경우, 자동으로 결재를 수행할 수 있고, 관리자에 해당 결재를 전달하여 관리자에 의해 결재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자동 결재와 관리자의 결재는 테이블 생성에 있어서, 별도의 필드가 생성 또는 변경이 되어야 하는 경우나, 시스템별 중요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7의 (b)에서와 같이, 기안 문서가 반려되는 경우에는 반려 사유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필드 이름을 기준으로 시스템 종류, 해당되는 오류 내용, 불일치 구분,기준 필드(표준룰 확인 필드) 그리고 권고 조치를 더 포함하여 반려할 수 있다.
이러한 반려 사유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도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가 로봇 자동 프로세서를 통해 전사 시스템의 테이블 구조를 점검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표준룰과 테이블 매트릭스에 기초하여 점검하는 과정은 앞서 도 4 및 5의 과정과 동일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의 기존 데이터베이스 점검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RPA 1을 통해 시스템의 테이블 리스트 추출한다(S310).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기초하여 RPA 1(소프트웨어 로봇1)를 통해 점검 대상이 되는 테이블 리스트를 추출한다.
이때, RPA 1은 시스템마다 접속하여 각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테이블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RPA 2를 통해 해당 테이블에서 점검 필드 리스트 추출한다(S320).
이때,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추출된 테이블마다 RPA 2(소프트웨어 로봇 2)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점검 필드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RPA 3(소프트웨어 로봇 3)을 통해 표준룰에 적합여부를 점검한다(S330). 이에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표준룰에 부적합한 필드 속성이 있는 경우, 부적합 사항을 기록한다(S340).
한편, 표준룰에 적합한 경우,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RPA 4(소프트웨어 로봇 4)를 통해 테이블 매트릭스에 적합여부를 점검한다(S350).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테이블 매트릭스에 부적합한 필드 속성이 있는 경우 부적합 여부 기록한다(S360).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점검 필드가 마지막 필드인지 확인한다(S370).
이에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점검 필드가 마지막 필드가 아닌 경우, 다음 필드 선택한다(S380).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S340 단계로 회귀하여 선택한 다음 필드에서의 표준룰의 적합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점검 필드가 마지막 필드인 경우,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점검 테이블이 마지막 테이블인지 확인한다(S390).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점검 테이블이 마지막 테이블이 아닌 경우, 다음 테이블을 선택한다(S400).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S330 단계로 회귀하여 선택한 다음 테이블에서 점검 필드 리스트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점검 테이블이 마지막 테이블인 경우,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RPA 5 (소프트웨어 로봇 5)부적합 사항 기록들에 기초하여 점검 내역을 생성하고 연동된 단말에 발송한다(S410).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하나의 시스템을 점검한 후 점검 내역을 생성할 수 있지만 전사 시스템을 모두 점검한 후 부적합 사항 기록들에 기초하여 점검 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점검 내역을 저장하거나 연동된 단말 또는 관리자 이메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200)는 소프트웨어 로봇을 각 기능별로 구현하여 소프트웨어 로봇을 통해 자동으로 데이터들을 추출하고 점검하여 자동 결재 또는 반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기존 데이터베이스의 점검 내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검 일시에 기초하여 점검 결과로 불일치 내역을 추출하여 자동으로 점검 내역이 저장되거나 해당 점검 내역을 연동되는 단말 또는 관리자의 이메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연동되는 단말과 관리자의 이메일은 각 시스템별로 하나 이상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수집부(210), 정책 점검부(220) 그리고 제어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400)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instructions)이 포함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컴퓨팅 장치(400)의 하드웨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 메모리(420), 스토리지(430), 통신 인터페이스(440)를 포함할 수 있고, 버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등의 하드웨어가 포함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400)는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운영 체제를 비롯한 각종 소프트웨어가 탑재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컴퓨팅 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들을 처리하는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서(410)일 수 있고,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 일 수 있다. 메모리(420)는 본 발명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이 프로세서(4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해당 프로그램을 로드한다. 메모리(420)는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 일 수 있다. 스토리지(430)는 본 발명의 동작을 실행하는데 요구되는 각종 데이터,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통신 인터페이스(440)는 유/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블 구조 생성시에 테이블 구조 및 속성을 확인하여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조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함으로써 테이블의 무분별한 생성을 억제하고 중복된 데이터로 인한 관리 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시스템에 적용되는 테이블 구조 및 속성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통해 잘못된 데이터의 활용으로 인한 의사결정의 오류를 최소화하고 시스템 간의 안정적인 협업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RPA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표준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관리 및 유지 보수에 대한 비용을 최소화하고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전사 시스템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가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을 처리하는 동작 방법으로서,
    신규 테이블을 구성하는 필드명, 필드속성 그리고 각 필드가 적용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테이블에서 점검해야 하는 점검 필드와 점검 필드 속성을 추출하여 점검 필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점검 필드 리스트에 기재된 각 점검 필드가, 상기 전사 시스템에 적용된 전사 기준의 표준룰에 대응하는지 확인하고, 해당 점검 필드가 적용되는 시스템에 개별적인 표준룰이 있는 경우, 상기 개별적인 표준룰에 대응하는지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표준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표준룰에 대응한 경우, 해당 점검 필드의 점검 필드 속성이 미리 저장된 테이블 매트릭스의 필드별 속성 정보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점검 필드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점검 필드가 상기 표준룰 및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에 대응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을 자동으로 승인하고, 승인된 상기 테이블의 구조를 상기 전사 시스템에 배포하며, 상이한 것으로 확인된 점검 필드 또는 점검 필드 속성이 있는 경우, 상기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을 반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표준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 필드 중에서 하나 이상의 필드를 기준 필드로 선택하고, 상기 기준 필드가 상기 전사 기준의 표준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사 기준의 표준룰에 대응한 경우, 상기 신규 테이블 구조를 적용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을 추출하고, 추출된 시스템별로 설정된 표준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사 기준의 표준룰과 상이하거나 상기 시스템별로 설정된 표준룰과 상이한 경우, 상이한 기준 필드의 속성에 대한 부적합 사유를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전사 기준의 표준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 필드 속성 중에서 필드명을 상기 기준 필드로 선택하고, 필드명으로 사용되는 키워드들 중에서 최대 N개의 조합으로 상기 필드명이 형성된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점검 필드 속성 중에서 필드 설명을 상기 기준 필드로 선택하고 필드 설명 사용되는 키워드들 중에서 M개 이상의 조합으로, 상기 필드 설명이 형성된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N과 M은 서로 상이한 자연수)
  4. 제1항에서,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의 필드별 속성 정보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 필드 중에서 필드명과 상기 점검 필드의 속성이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필드명과 상기 점검 필드의 속성이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필드명을 사용하고자 하는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해당 시스템에서 사용 상태가 아닌 경우, 해당 시스템에서 상기 필드명이 사용 가능 상태로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의 필드별 속성 정보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필드명은 일치하지만, 상기 필드명과 연계된 점검 필드의 속성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치하지 않은 상기 점검 필드의 속성에 대한 부적합 사유를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의 필드별 속성 정보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필드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필드명에 연계된 필드 설명에서 단어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어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가 포함된 문장들을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의 문장들과 상기 필드명에 연계된 필드 설명에 기재된 문장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일치하지 않은 상기 필드명의 속성에 대한 부적합 사유를 기록하고, 상기 유사도가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필드명과 상기 필드 설명에 기초한 점검 필드를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에 신규 필드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반려하는 단계는,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에서 상기 필드명에 기초하여 해당 시스템의 사용 가능 상태로 업데이트하거나 상기 신규 필드를 생성하는 업데이트를 하는 경우, 연동되는 관리자 단말로 상기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에 대한 승인 권한을 전달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반려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을 자동으로 승인하면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기초하여 관련 시스템으로 신규 테이블 구조를 배포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6항에서,
    상기 반려하는 단계는,
    기록된 부적합 사유를 기재하여 상기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을 자동으로 반려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10.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가 전사 시스템의 테이블 구조를 점검하는 동작 방법으로서,
    설정된 스케줄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 로봇을 통해 상기 전사 시스템에 포함된 시스템들에 배포된 테이블 구조에 대한 점검 테이블 리스트와 각 점검 테이블의 점검 필드 리스트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단계,
    임의 점검 필드 리스트에 기재된 점검 필드가 미리 설정된 표준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거나 상기 임의 점검 필드 리스트에 기재된 점검 필드 속성이 미리 저장된 테이블 매트릭스의 필드별 속성 정보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임의 점검 필드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점검 필드가 상기 표준룰 및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에 대응하면, 상기 임의 점검 테이블 리스트의 다음 테이블을 선택하여 상기 표준룰 및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에 대한 대응 여부를 확인하도록 반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시스템들의 점검 테이블 리스트와 각 테이블에서의 점검 필드 리스트에 대한 대응 여부가 모두 확인되면, 점검 결과 내역을 생성하여 시스템별로 연동되는 단말 또는 이메일 주소로 상기 점검 결과 내역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임의 점검 필드 리스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점검 필드가 미리 설정된 전사 표준룰과 각 대응되는 시스템별 표준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여 상이한 경우, 상이한 점검 필드의 속성에 따른 부적합 사유를 기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사 표준룰과 상기 시스템별 표준룰에 대응한 경우, 상기 임의 점검 필드 리스트의 상기 점검 필드 속성이 미리 저장된 테이블 매트릭스의 데이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여 상이한 경우, 상이한 점검 필드의 속성에 따른 부적합 사유를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 필드 중에서 필드명이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지 확인하고, 상기 필드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필드명에 연계된 필드 설명에서 단어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어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가 포함된 문장들을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의 문장들과 상기 필드명에 연계된 필드 설명에 기재된 문장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일치하지 않은 필드명의 속성에 대한 부적합 사유를 기록하고, 상기 유사도가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필드명과 상기 필드 설명에 기초한 점검 필드를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에 신규 필드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0항에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 필드 중에서 필드명과 상기 점검 필드의 속성이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필드명과 상기 점검 필드의 속성이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필드명을 사용하고자 하는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해당 시스템에서 사용 상태가 아닌 경우, 해당 시스템에서 상기 필드명이 사용 가능 상태로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서,
    상기 점검 결과 내역은
    상기 점검 결과에 기초하여 상이한 점검 필드와, 해당 점검 필드의 속성에 대한 부적합 사유,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에서 상기 필드명에 기초하여 해당 시스템의 가능 상태로의 업데이트 여부, 또는 신규 필드 생성의 업데이트 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15. 설정된 스케줄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 로봇(Robotic Process Automation,RPA)을 통해 전사 시스템에 포함된 시스템들에 배포된 테이블 구조에 대한 점검 테이블 리스트와 각 점검 테이블의 점검 필드 리스트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수집부,
    임의 점검 필드 리스트에 기재된 점검 필드가 미리 설정된 표준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거나 상기 임의 점검 필드 리스트에 기재된 점검 필드 속성이 미리 저장된 테이블 매트릭스의 필드별 속성 정보에 대응한지를 확인하는 정책 점검부, 그리고
    상기 임의 점검 필드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점검 필드가 상기 표준룰 및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 대응하면 상기 임의 점검 테이블 리스트의 다음 테이블을 선택하여 상기 표준룰 및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에 대한 대응 여부 확인을 반복하도록 제어하며, 점검 결과 내역을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정책 점검부는
    상기 임의 점검 필드 리스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점검 필드가 미리 설정된 전사 표준룰과 각 대응되는 시스템별 표준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여 상이한 경우, 상이한 점검 필드의 속성에 따른 부적합 사유를 기록하고,
    상기 전사 표준룰과 상기 시스템별 표준룰에 대응한 경우, 상기 임의 점검 필드 리스트의 상기 점검 필드 속성이 미리 저장된 테이블 매트릭스의 데이터에 대응한지를 확인하여 상이한 경우, 상이한 점검 필드의 속성에 따른 부적합 사유를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수집부는,
    신규 테이블을 구성하는 필드명, 필드속성 그리고 각 필드가 적용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테이블에서 점검해야 하는 점검 필드와 점검 필드 속성을 추출하여 해당 신규 테이블의 점검 필드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규 테이블의 점검 필드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점검 필드에 대한 대응여부가 확인되어 모든 점검 필드가 대응한 경우, 상기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을 자동으로 승인하고, 상기 표준룰 또는 상기 테이블 매트릭스와 상이한 점검 필드 또는 점검 필드의 속성이 있는 경우, 상기 신규 테이블 구조 생성 요청을 반려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
KR1020200152061A 2020-11-13 2020-11-13 Rpa를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416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061A KR102416517B1 (ko) 2020-11-13 2020-11-13 Rpa를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061A KR102416517B1 (ko) 2020-11-13 2020-11-13 Rpa를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484A KR20220065484A (ko) 2022-05-20
KR102416517B1 true KR102416517B1 (ko) 2022-07-01

Family

ID=81801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061A KR102416517B1 (ko) 2020-11-13 2020-11-13 Rpa를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5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41091A (zh) 2022-05-27 2024-04-26 株式会社Lg新能源 锂二次电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365A (ko) * 2005-07-28 2007-02-01 (주)인우기술 데이터 정보의 표준화 관리방법
KR101026107B1 (ko) * 2008-12-29 2011-04-05 한국수자원공사 하천 지리정보 검수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1535A (ko) * 2012-06-29 2014-01-29 중소기업은행 자동 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
KR101415528B1 (ko) * 2012-10-30 2014-07-0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분산된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 오류 처리 장치 및 방법
US11487732B2 (en) * 2014-01-16 2022-11-01 Ab Initio Technology Llc Database key identification
KR101654986B1 (ko) 2014-10-31 2016-09-06 농협은행(주) 서버 점검 자동화 절차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484A (ko)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2490B2 (en) Account manager virtual assistant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US20180075138A1 (en)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using classification taxonomy
US202000126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olumn-oriented data structure repository for columns of single data types
US88066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and selective access for editing and aggregation of electronic document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US200701275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visual comparison of incoming data with existing data
CN113454662A (zh) 实施数据处理系统管理的数据对象的工作流的有限状态机
US20120330914A1 (en) Server, inter-business enterprise inform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Mugridge et al. Using batchloading to improve access to electronic and microform collections
KR102416517B1 (ko) Rpa를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앙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7079673B2 (ja) 費用負担部署設定装置、費用負担部署設定方法および費用負担部署設定プログラム
US200702711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transaction browser
CN113919680A (zh) 一种基于通用任务构建管理信息系统的方法
US11153379B2 (en) Metadata synchronization system
CA3125153A1 (en) Account manager virtual assistant staging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US10467334B1 (en) Computing system for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US11222010B2 (en) Value transformations that enable data services to update data objects
JP2010113454A (ja) データ照合システム
JP4262655B2 (ja) 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及び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の管理方法
JP2005332049A (ja) ポリシ変換方法、ポリシ移行方法およびポリシ評価方法
CN114238273A (zh) 数据库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010091899A (ko) 네트워크 환경에의 액세스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11226245A (zh) 基于计算机的用于分析协定的学习系统
JP2014203293A (ja) 開発支援システム、開発支援方法、および開発支援プログラム
JP6940343B2 (ja) 配信管理システムおよび配信管理方法
JP7064300B2 (ja) 配信情報取得装置、配信情報取得方法および配信情報取得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