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065B1 - 영수증 발급 및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 Google Patents

영수증 발급 및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065B1
KR102500065B1 KR1020210113516A KR20210113516A KR102500065B1 KR 102500065 B1 KR102500065 B1 KR 102500065B1 KR 1020210113516 A KR1020210113516 A KR 1020210113516A KR 20210113516 A KR20210113516 A KR 20210113516A KR 102500065 B1 KR102500065 B1 KR 102500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pt
data
request
unit
issuance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930A (ko
Inventor
고일환
류정욱
최두용
조창균
이원세
장동화
Original Assignee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주)오케이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주)오케이포스 filed Critical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3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065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9Specified transaction journal output feature, e.g. printed receipt or voice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3Inventory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수증 발급 및 부가서비스 제공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결제 시스템, 그리고 이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결제를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수증 발급 및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Payment system and payment method for issuing receipts and 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본 발명은 영수증 발급 및 부가서비스 제공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결제 시스템, 그리고 이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결제를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POS 단말기는 판매 관리를 위해 가맹점 등에 설치된 시스템용 단말기, 또는 매장 전용 단말기로, 이런 류의 판매정보 관리용 단말기는 과거 1980년대 계산기와 주문서를 이용하던 것이 금전등록기(ECR)의 등장으로 인해 일반 매장들에 최초 도입이 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1990년대부터 2000년대에는 컴퓨터 관련 사업 및 네트워크 인프라의 발전으로 PC 형의 로컬 POS 단말기, 웹 기반 POS 단말기 등이 차례로 등장해 왔다. 이처럼 POS 단말기는 물건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모든 가맹점들에 30여년의 세월에 걸쳐 보급되어 왔으며, 현재에는 POS 단말기가 없는 가맹점을 찾기가 매우 어려울 정도로 보급이 이루어져 왔다.
한편, POS 단말기가 이처럼 상품 또는 서비스 판매자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꾸준히 발전을 해 오는 과정에서, POS 단말기에 대한 소프트웨어는 상대적으로 체계적인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해 왔으며 또한 POS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를 제작하는 주체들 역시 복수 개로 서로 나뉘어 개발을 진행해 온 여파로 현 시점에서 기존의 POS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를 새로운 환경에 맞추어 수정하는 것은 아예 처음부터 새로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지 않는 한 매우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특히, 상당수의 가맹점들의 경우 경제적 사정, 그리고 익숙한 조작환경 등을 이유로 기존에 사용해 오던 오래된 POS 단말기 및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며, 굳이 새로운 POS 단말기 및 시스템으로 바꾸고자 하는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반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 판매의 촉진을 위한 마케팅 업체의 입장에서는 앞으로의 시대 흐름이 구매자에게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쪽으로, 다시 말해 구매자가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쪽으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근 몇 년 동안에는 새로운 부가서비스들이 고안 및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가맹점들에 설치되어 있는 POS 단말기들 및 소프트웨어의 경우 구형 또는 구버전의 것들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부가서비스 혜택을 전역으로 넓혀 나가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불필요한 종이영수증 출력을 최소화 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소비자 입장에서도 많은 경우 종이영수증 출력을 필요로 하지 않음은 물론, 특히 가맹점주의 입장에서도 영수증 용지 비용이 부담되어 가능한 한 종이영수증 출력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현재의 POS 소프트웨어는 구버전의 것들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버전의 POS 소프트웨어 상에서는 반드시 종이영수증 출력이 이루어져야만 부가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있는바, 소비자나 가맹점주들이 낭비성 종이영수증 출력을 원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어쩔 수 없이 종이영수증 출력이 이루어져야만 하는 사용자 환경이 유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기존의 POS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 상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부가서비스가 접목되기 어려운 환경을 개선하고자 한 것으로, 본 상세한 설명을 통해 기술하게 될 발명은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8747호 (2007.05.09.)
본 발명은 구형 또는 구버전의 POS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를 구비한 가맹점에서도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한 고객들에게 부가서비스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POS 단말기들이 반드시 영수증 프린터를 통하여 영수증 출력을 하였을 때에만 포인트 적립과 같은 부가서비스 제공이 가능하였던 불편한 환경을 개선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특히, 종래의 POS 단말기들은 시리얼 통신포트를 통해 영수증 프린터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연결환경에서 종래 POS 단말기에서는 반드시 영수증이 프린터를 통해 출력이 되어야만 부가서비스(예: 포인트 적립)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불편함이 존재하여 왔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가맹점 단말기, 즉 POS 단말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맹점주들로 하여금 익숙한 거래 환경에서 거래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때 종래 POS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가 대대적인 소프트웨어 변경 내지 로직 수정 없이도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가맹점주들이 용이하게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 및 방법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POS 단말기 내에 배달대행 서비스의 소프트웨어와 같은 별도의 부가서비스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을 때에, POS 소프트웨어 부가서비스 소프트웨어가 동시에 구동됨에 따라 발생하였던 충돌문제, 예를 들어 둘 중 어느 하나의 주문이 누락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영수증 발급을 촉진 및 확대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종이영수증 사용의 감소를 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은 중앙처리유닛 및 메모리를 구비하며, 시리얼(serial) 통신으로 데이터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결제 시스템은 제1 판매정보관리부 - 상기 제1 판매정보관리부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영수증 발급요청을 생성함 - 로부터 영수증 발급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을 데이터 분석부로 전달하고, 종이영수증 출력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을 출력장치 -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결제 시스템과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됨 - 로 전달하는 데이터 중계부; 및 데이터 중계부로부터 수신한 영수증 발급요청으로부터 영수증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영수증 데이터를 부가서비스 제공주체에 전달하는 데이터 분석부; 를 포함하되,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으로부터 추출된 영수증 데이터는, 종이영수증 출력 여부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주체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중계부는 버추얼 시리얼통신포트를 통해 상기 제1 판매정보관리부로부터 영수증 발급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분석부로부터 영수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에 대응되는 거래에 대한 부가서비스 정보를 기록하는 부가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부가서비스 정보는 상기 영수증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문자열 또는 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시스템은 상기 결제 시스템의 외부에 존재하는 서버로 부가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연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부가서비스 정보는 상기 영수증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문자열 또는 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중계부는, 제2 판매정보관리부 - 상기 제2 판매정보관리부는 외부로부터의 주문접수 수신에 따라 주문서 발급요청을 생성함 - 로부터 주문서 발급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주문서 발급요청을 데이터 분석부로 전달하고, 종이주문서 출력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주문서 발급요청을 프린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중계부는, 상기 제1 판매정보관리부 및 제2 판매정보관리부로부터 복수의 영수증 발급요청 및 주문서 발급요청이 수신되면, 각 영수증 발급요청 및 주문서 발급요청을 순서에 따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처리유닛 및 메모리를 구비한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결제를 하는 방법은, 데이터 중계부가, 제1 판매정보관리부 - 상기 제1 판매정보관리부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영수증 발급요청을 생성함 - 로부터 영수증 발급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 중계부가,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을 데이터 분석부로 전달하는 단계; 데이터 중계부가, 종이영수증 출력요청 여부에 따라 종이영수증 출력요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을 프린터로 전달하고, 종이영수증 출력요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종료하는 단계; 및 데이터 분석부가,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으로부터 영수증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영수증 데이터를 부가서비스 제공주체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으로부터 추출된 영수증 데이터는, 종이영수증 출력 여부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주체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방법은 데이터 분석부가, 상기 추출한 영수증 데이터를 부가서비스 제공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부가,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에 대응되는 거래에 대한 부가서비스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방법은 데이터 분석부가, 상기 추출한 영수증 데이터를 부가서비스 연동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서비스 연동부가, 상기 결제 시스템의 외부에 존재하는 부가서비스 서버로 연동정보 - 상기 연동정보는 상기 영수증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문자열 또는 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생성된 것임 - 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중앙처리유닛 및 메모리를 구비하며, 시리얼(serial) 통신으로 데이터 송수신하는 결제 시스템이 결제를 실행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결제 시스템이 결제를 하는 방법은, 데이터 중계부가, 제1 판매정보관리부 - 상기 제1 판매정보관리부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영수증 발급요청을 생성함 - 로부터 영수증 발급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 중계부가,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을 데이터 분석부로 전달하는 단계; 데이터 중계부가, 종이영수증 출력요청 여부에 따라 종이영수증 출력요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을 프린터로 전달하고, 종이영수증 출력요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을 프린터로 전달하지 않는 단계; 및 데이터 분석부가,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으로부터 영수증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영수증 데이터를 부가서비스 제공주체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으로부터 추출된 영수증 데이터는, 종이영수증 출력 여부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주체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POS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가맹점들로 하여금 새로운 부가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결제환경을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반드시 영수증이 출력되어야만 포인트 적립이 될 수 있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POS 단말기 내에 부가서비스 사용을 위한 별도의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발생하였던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영수증 발급 촉진 정책에 맞추어 결제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 영수증 출력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맹점주의 입장에서는 그 동안 부담이 되어 왔던 영수증 용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POS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시리얼통신포트가 매우 제한적임에 따라 발생되는 여러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가맹점 내에 시리얼통신포트를 사용하여야 하는 여러 장치들이 존재하는 경우 POS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시리얼통신포트가 이들 장치들에 할당되고 나면 남는 것이 없어 또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리얼통신포트 할당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도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POS 소프트웨어가 어느 임의의 포트를 항상 점유하고 있는 경우, 다른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이 위 포트를 공유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도 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POS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였던 문제점, 특히 영수증 출력 시에만 포인트 적립이 가능하였던 문제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POS 단말기 및 그 내부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에서의 결제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에서의 결제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을 구체화 한 것으로, 전자영수증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의 결제 시스템 및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참고로 용어와 관련하여,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코드 기반의 결제 시스템 또는 코드 기반의 결제 중개 시스템(방법)이라는 용어를 혼용하고 있으나, 위 용어들은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결제 시스템에 대한 설명임을 이해해야 할 것이며, 다만 결제 중개 시스템(방법)이라는 용어는 후술하게 될 중개 서버의 입장에서 바라본 시스템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한 용어임을 이해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POS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에 따라 존재하였던 문제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POS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결제 및 부가서비스(포인트 적립)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맹점에서의 문제점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할 때, 기존의 POS 단말기에서는 종이영수증 출력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구매고객에게 포인트 적립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만일 구매고객이 종이영수증이 불필요하다고 하여 출력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포인트 적립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현실적으로 많은 수의 가맹점들에서는 구매고객이 종이영수증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어쩔 수 없이 종이영수증 출력을 하여 구매고객에게 포인트 적립이 가능하도록 한 후 출력된 종이영수증은 휴지통으로 버리는 등의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굳이 불필요한 영수증 출력용 종이 및 잉크를 낭비하는 결과를 낳고 있으며, 구매고객 입장에서도 자신의 영수증이 제대로 처리되었는지, 출력된 영수증으로 인해 자신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걱정을 할 수 있는 등 매우 많은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서와 같이 종이영수증 출력이 이루어져야만 부가서비스(포인트 적립) 제공이 가능할 수 밖에 없는 원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종래 POS 단말기 내부의 개념적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할 때, POS 단말기에는 기본적으로 POS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있으며, POS 소프트웨어에서 영수증 발급요청이 생성되면 이는 POS 단말기 내에 구비되어 있는 시리얼통신포트를 통해 출력장치로 전달되어 영수증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되어 있다. 또한, 해당 가맹점에서 구매고객에게 포인트 적립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POS 단말기 내에는 부가서비스 제공부가 별도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모듈이 구비되어 있었으며, 이 때 POS 단말기 내부적으로는 시리얼통신포트를 통해 전달되는 영수증 발급요청을 후킹(hooking)하는 시리얼 후킹모듈(serial hooking module)을 더 둠으로써 부가서비스 제공부로 후킹된 영수증 발급요청이 전달되도록, 더 정확하게는 영수증 발급요청 내 포함되어 있는 구매관련정보들이 전달되도록 구현되어 있었다.
정리하면, 도 2와 같은 종래 POS 단말기에서는 이미 POS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채 판매가 되어 왔었으며, POS 소프트웨어를 수정/변경하는 것이 실질적으로는 매우 어려운 여건에 놓여 있었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유지한 채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고안했었어야 하는데, 종래까지만 해도 최선의 방법은 시리얼통신포트를 통해 전달되는 영수증 발급요청을 중간에 후킹한 뒤 이로부터 구매관련정보를 추출해 내는 방식밖에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적 한계 때문에 부가서비스 제공부로서는 반드시 POS 소프트웨어가 영수증 출력을 요청(영수증 발급요청)하여야만 후킹 및 구매관련정보 추출이 가능하였기 때문에,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한계가 존재했었던 것이다.
도 3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을 참조할 때 POS 단말기(10) 내에는 판매정보관리부(50), 데이터 중계부(100), 데이터 분석부(200), 및 부가서비스 제공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POS 단말기(10) 외측으로는 제1통신포트(시리얼)에 연결된 출력장치(20), 그리고 제2통신포트에 연결된 부가서비스 단말기가 존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에 따른 결제 방법의 순서에 따라 각 단계 별로 설명하기로 하며, 그 과정에서 결제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들에 대해서도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POS 단말기(10)는 모두 기본적으로 연산이 가능한 장치로서 중앙처리유닛(CPU)과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중앙처리유닛은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유닛은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으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쉬(flash) 메모리, SRAM(Static RAM),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판매정보관리부(50)는 가맹점에서 구매고객이 임의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때에 해당 시점에서의 판매자의 입력에 따라 영수증 발급요청이 생성(S101)하는 구성, 그리고 생성한 영수증 발급요청을 데이터 중계부(100)로 전달(S103)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위 판매정보관리부(50)는 기존 POS 단말기(10)에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은 위 POS 단말기(10) 내에 판매정보관리부(50)가 이미 구비되어 있음을 전제로 제안된 것이다.
또한 참고로 본 판매정보관리부(50)는 기존의 POS 단말기(10) 내에 탑재되어 있는 POS 소프트웨어에 대응될 수 있는 것으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POS 소프트웨어라는 용어 대신 판매정보관리부(50)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하며, 또한 판매정보관리부(50)는 구매고객이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시점에 판매자 입력에 의하여 영수증 발급요청을 생성 및 전달할 수 있는 한 이러한 기능을 하는 모든 구성들과 대비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서두에 언급하였으나 판매정보관리부(50)는 위와 같은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들의 집합, 또는 모듈로 이해될 수 있으며, 그 실체적인 명령어들은 메모리에 저장된 채 실행은 중앙처리유닛에 의해 되는 것임을 이해한다.
판매정보관리부(50)가 영수증 발급요청을 생성한 후에는 이를 데이터 중계부(100)로 전달하게 되는데, 이 때 판매정보관리부(50)로부터 데이터 중계부(100)로 전달되는 데이터는 버추얼 시리얼통신포트(15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즉, 이 때의 통신포트는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통신포트가 아닌 가상적으로 생성된 통신포트 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POS 단말기(10)가 출력장치(20)(프린터)와 연결될 때에 사용되던 시리얼통신포트를 가상적으로 구현해 낸 것일 수 있다. 즉,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매정보관리부(50)는 도 2에서의 연결, 다시 말해 기존에 종이영수증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장치(20)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리얼통신이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인식할 수 있다. 다만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 판매정보관리부(50)는 마치 다른 출력장치(20)와 연결된 것처럼 인식할 것이나, 실제 판매정보관리부(50)와 버추얼 시리얼통신포트(150)를 통해 연결된 것은 데이터 중계부(100)가 될 것이다.
한편, 버추얼 시리얼통신포트(150)와 관련하여, 상기 데이터 중계부(100)는 자체적으로 복수 개의 버추얼 시리얼통신포트들을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는데, 데이터 중계부(100)의 이러한 기능은 POS 단말기(10)가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물리적 시리얼통신포트의 한계, 즉 연결되는 장치가 늘어남에 따라 포트가 부족해 지는 한계를 해소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POS 단말기(10)가 구비하고 있는 물리적 시리얼통신포트가 제한되어 있는 상황에서 가맹점 내 추가적인 장치, 가령 주방에서 주문내역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출력장치(프린터)가 상기 POS 단말기(10)의 포트를 점유하는 경우에 있어서, 배달대행 서비스용 주문 프로그램으로 하여금 주문서를 별도로 출력하게 하고 싶더라도 위와 같이 POS 단말기(10)의 포트 개수가 제한된 상황에서는 이것이 불가능한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데이터 중계부(100)가 구성으로 포함되는 경우 여러 개의 버추얼 시리얼통신포트를 통해 입력(주방용 출력장치로부터의 입력, 배달대행 서비스용 주문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입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물리적 시리얼통신포트로 전달할 수 있게 되므로 실질적으로는 POS 단말기(10)가 여러 개의 시리얼통신포트를 구비한 것처럼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 중계부(100)는 복수 개의 버추얼 시리얼통신포트를 생성하고 실제 물리적 시리얼통신포트를 사용하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POS 단말기(10)의 확장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소비자들에게 제공되는 부가서비스의 종류가 다양해 지면서 이에 따른 부수적인 장치들이 POS 단말기(10)에 연결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사용 환경에서 데이터 중계부(100)는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버추얼 시리얼통신포트(15)와 관련하여, 상기 데이터 중계부(100)가 자체적으로 복수 개의 버추얼 시리얼통신포트들을 생성 및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POS 단말기(10)와 연결된 타 장치, 그리고 POS 단말기(10) 내 설치되어 있는 판매정보관리부(POS 소프트웨어) 또는 또 다른 소프트웨어(예: 배달대행 서비스를 위한 주문 프로그램)가 포트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종래의 경우 POS 단말기(10)의 1번 통신포트를 영수증 출력을 위한 출력장치가 항상 점유하고 있는 경우, 배달대행 서비스를 위한 주문 프로그램 상에서 주문서를 출력하고자 하더라도 위 1번 통신포트를 통해서는 출력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중계부(100)가 버추얼 시리얼통신포트 2번 및 3번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POS 소프트웨어는 2번 포트에, 그리고 배달대행 서비스를 위한 주문 프로그램은 3번 포트에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위 출력장치를 서로 공유하는 것이 가능해 질 수 있다.
한편, 영수증 발급요청이 전달된 이후, 이를 수신한 데이터 중계부(100)는 두 가지의 단계를 진행시킬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데이터 분석부(200)로 영수증 발급요청을 전달함으로써 데이터 분석부(200)로 하여금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후속적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사용자(판매자 또는 구매고객)로부터 임의의 입력을 수신한 후 종이영수증 출력이 필요한 경우에만 위 영수증 발급요청을 출력장치(20)로 전달하는 것이다.
먼저, 데이터 중계부(100)의 첫 번째 단계부터 설명하면, 언급한 것과 같이 데이터 중계부(100)는 일응 수신한 영수증 발급요청을 그대로 데이터 분석부(200)로 전달하거나 또는 영수증 발급요청 내 포함되어 있는 정보 중 일부만을 추출하여 데이터 분석부(200)로 전달(S105)할 수 있는데, 이 중 어떤 방식으로 전달하는지에 대해서는 설계자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우선 영수증 발급요청을 그래도 데이터 분석부(200)로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하겠으나, 실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한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데이터 중계부(100)와 데이터 분석부(200)가 서로 독립된 구성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데이터 중계부(100)와 데이터 분석부(200)는 하나의 모듈로도 구현한 것일 수 있다. 즉,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데이터 중계부(100)의 역할, 그리고 데이터 분석부(200)의 역할은 실제로는 하나의 모듈, 예를 들어 데이터 중계부(100)에 의해서 모두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이해한다.
한편, 데이터 중계부(100)로부터 영수증 발급요청이 수신된 후, 데이터 분석부(200)는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정보, 바람직하게는 구매관련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S107) 예를 들어, 영수증 발급요청 내에는 종이영수증 상에 출력되는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는데, 그 종류에는 가맹점 명칭, 가맹점 주소, 가맹점 대표, 전화, 사업자번호, 결제일자 및 결제시각, 구매한 상품 또는 서비스, 단가, 수량, 금액, 면세 대상, 매출전표정보(구매수단, 매출금액, 승인번호, 가맹점 식별번호, 승인일자, 할부개월, 밴사, 또는 거래승인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에 부가적으로 구매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구매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에는 구매고객의 이름, 전화번호, 생년월일, 회원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200)가 “영수증 발급요청”이라는 하나의 데이터 패킷 또는 묶음으로부터 유효한 정보를 추출해 내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존재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의 방식에는 파싱(parsing)이 이용될 수 있다. 즉, 데이터 분석부(200)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영수증 발급요청 내 문자열들을 추출해 냄으로써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편의상 데이터 분석부(200)에 의해 획득되는 일련의 정보들을 ‘영수증 데이터’라 칭하기로 한다.
데이터 분석부(200)에 의해 영수증 데이터가 추출된 후, 이 추출된 영수증 데이터는 POS 단말기(10) 내 구비되어 있는 부가서비스 제공부(300)로 전달(S109)될 수 있으며, 부가서비스 제공부(300)는 위 영수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부가서비스를 등록(S111)할 수 있다. 부가서비스 제공부(300)는 구매고객에 대한 임의의 부가서비스, 또는 판매자를 대상으로 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존재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포인트 적립 서비스, 할인쿠폰 제공 서비스, 배달대행 요청 서비스, 전자영수증 발급 서비스 등이 부가서비스의 한 종류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부(300)가 구매고객을 대상으로 포인트 적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부가서비스 제공부(300)는, 앞서 수신한 영수증 데이터로부터 구매고객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름, 전화번호, 생년월일, 회원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으며, 또한 구매고객에게 얼마만큼의 포인트를 적립해 줄 것인지를 연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 예를 들어 구매한 상품 또는 서비스, 단가, 수량, 금액, 할부개월, 결제일자 및 결제시각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부가서비스 제공부(300)에서는 다양한 설정조건에 따라 포인트 적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총 구매금액에 기반한 포인트 적립을 비롯하여 특정 시간대에 구매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추가 포인트 적립,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추가 포인트 적립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포인트 적립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S111단계를 부가서비스 등록 단계라 도시하였으나, ‘등록’이라는 용어의 의미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구매고객 또는 판매자에 대한 부가서비스 혜택을 기록한다는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며, 이는 실제 구현환경에서는 구매고객 또는 판매자에게 부가서비스가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참고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부(300)는 POS 단말기(10)에 구비된 별도의 통신포트와 연결된 외부 단말기(40; 태블릿PC 등)를 통해 부가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정보들을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200)에 의해 추출된 영수증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서는 비단 앞서 설명한 실시예 이외에도 해당 로컬 POS단말기(10)에서 제공할 수 있는 부가서비스는 물론, 외부에 존재하는 별개의 서버(부가서비스 서버)와도 연동되어 부가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소비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과도 연동하여 부가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다시 데이터 중계부(100)에 관한 설명으로 돌아와 살펴볼 때, 데이터 중계부(100)는 사용자(판매자 또는 구매고객)로부터 종이영수증 출력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입력을 수신(S113)한 후, 만일 종이영수증 출력이 필요하다는 입력이 수신되었을 때에는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을 출력장치(20)로 전달(S115)하고, 종이영수증 출력이 필요없다는 입력이 수신되었을 때에는 그대로 절차를 종료(S117)시킬 수 있다. S115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중계부(100)는 POS 단말기(10) 내 구비된 시리얼 통신포트(15)를 통해 출력장치(20)까지 데이터(영수증 발급요청)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 때의 시리얼 통신포트(15)는 앞서 설명한 버추얼 시리얼통신포트(150)와는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S117단계에서 절차가 종료될 때에, 상기 데이터 중계부(100)는 앞서 수신한 영수증 발급요청을 삭제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S113 단계와 관련하여, 데이터 중계부(100)는 반드시 종이영수증 출력이 필요한지 여부를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통해서만 결정하지 않고, 자체적인 판단에 의하여 종이영수증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중계부(100)는 임의의 거래에 대해 최초에는 종이 영수증 출력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추후 동일한 거래에 대해 영수증 재발급요청이 있는 경우, 미리 저장되어 있던 식별자(이 때 식별자란 상기 거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또는 영수증 발급요청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등을 의미함)를 참조하여 종이 영수증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데이터 중계부(100)는 하나의 거래에 대해 종이 영수증 출력이 최초로 이루어졌을 때 해당 거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또는 영수증 발급요청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등을 저장하는 등의 방식으로 종이 영수증 출력사실을 기록해 둘 수 있으며, 동일한 거래 또는 동일한 식별번호의 영수증 발급요청이 수신되었을 때에는 자동으로 이를 인지하여 종이 영수증 출력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판매정보관리부(50)에 의해 '영수증 재발급요청'이 생성되었을 경우에도 상기 데이터 중계부(100)는 이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종이 영수증 출력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데이터 중계부(100)는 S113 단계에서 외부로부터 기 정해진 시간 동안 특별한 외부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다시 말해 사용자가 종이 영수증을 출력할 것인지 안 할 것인지에 대한 입력을 하지 않은 경우,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종이 영수증을 출력하거나 출력하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종이 영수증을 출력할 것인지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과정은 데이터 중계부(100) 및 데이터 분석부(200)의 상호 정보 교환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분석부(200)는 최초 영수증 발급요청을 수신한 뒤 이로부터 추출한 영수증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해 둘 수 있으며, 영수증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자 할 때에 동일한 영수증 데이터가 이미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 경우에는 이를 데이터 중계부(100) 측에 알림으로써 종이 영수증 출력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동일한 영수증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즉, 현재 저장하고자 하는 영수증 데이터가 최초 저장될 것인 경우)으로 파악된 경우에는 데이터 중계부(100) 측으로 별도의 알림을 하지 않음으로써 데이터 중계부(100)로 하여금 종이 영수증 출력을 위한 다음 단계를 진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상 S113 단계가 데이터 중계부(100)의 판단에 따라, 또는 데이터 중계부(100) 및 데이터 분석부(200)의 상호 정보 교환에 따라 종이 영수증 출력 여부를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상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 그리고 결제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은 POS 단말기(10) 내에 제1 판매정보관리부(50) 및 제2 판매정보관리부(55)가 동시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다. 제1 판매정보관리부(50)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유형, 즉 종래의 POS 단말기(10)에 탑재되어 있던 POS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것으로 구매고객이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시점에 판매자의 입력에 의해 영수증 발급요청을 생성 및 전달하는 구성이다.
제2 판매정보관리부(55)는 외부로부터 주문이 수신되었을 때 주문서를 생성하여 다음 구성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판매정보관리부(55)는 POS 단말기(10)에 설치된 별도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더 구체적인 예시를 들자면 배달대행 서비스를 위한 주문 프로그램일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2 판매정보관리부(55)를 통해 주문 접수가 되어 주문서 발급요청이 생성되었을 때, 그리고 제1 판매정보관리부(50)를 통해서는 영수증 발급요청이 생성되었을 때 결제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가장 먼저 제2 실시예에 따른 결제 방법은 데이터 중계부(100)가 제1 판매정보관리부(50)로부터 영수증 발급요청을, 그리고 제2 판매정보관리부(55)로부터 주문서 발급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들(S201, S202)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이들 영수증 발급요청 및 주문서 발급요청은 데이터 중계부(100)의 스풀링 기능에 의하여 차례대로 처리될 수 있는데, 특히 데이터 중계부(100)의 스풀링 기능은 위 발급요청들이 동시에 수신이 되더라도 어느 하나의 발급요청에 대한 누락 없이 모든 발급요청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종래의 POS 단말기(10)에 있어서, 고유의 POS 소프트웨어와 배달대행 서비스를 위한 주문 프로그램이 동시에 설치되어 있을 때, POS 소프트웨어에 의한 영수증 발급요청과 주문 프로그램에 의한 주문서 발급요청이 동시에 생성되어 출력장치(20)로 전달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발급요청은 누락이 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즉, 가맹점 매장 내에서 구매고객이 상품을 구매하는 와중에 주문 프로그램을 통해 새로운 주문이 접수되는 경우 구매고객의 영수증이 출력되지 않거나 또는 새로운 주문의 주문서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던 것이다. 특히 종래 가맹점 입장에서는 새로운 주문의 주문서가 출력되지 않아 해당 주문을 놓치는 경우 곤란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는 종래 POS 단말기(10) 및 소프트웨어가 출력장치(20)와 시리얼 통신포트로 연결되어 있을 때에, 시리얼 통신포트가 한꺼번에 입력되는 주문을 병렬적으로 처리할 수 없는 한계에 기인하여 생긴 문제점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는 바로 이러한 문제점까지 해소하고자 한 것이다. 즉,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판매정보관리부(50) 및 제2 판매정보관리부(55)로 하여금 버추얼 시리얼통신포트(150)를 통하여 데이터 중계부(100)를 출력장치(20)로 인식하게끔 유도하고, 종전과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 중계부(100)를 향해 영수증 발급요청, 주문서 발급요청을 전달하면, 데이터 중계부(100)에서는 이를 순서대로 수신한 뒤 스풀링 처리를 하도록 함으로써 어떤 발급요청도 누락되지 않은 채 처리가 가능하게 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POS 단말기(10)에 탑재되어 있던 주문 프로그램, 즉 제2 판매정보관리부(55)도 데이터 중계부(100)를 새로운 출력장치(20)로 인식하고 종전과 다름 없이 주문서 발급요청을 전달하게 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특징이 존재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제1 판매정보관리부(50), 제2 판매정보관리부(55)가 종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발급요청을 내보낼 때에 종전 시리얼 통신포트(15)에 연결된 출력장치(20)로 전달하는 것과 동일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후단에서 이를 받아주는 구성들을 버추얼 시리얼통신포트(150), 데이터 중계부(100)로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POS 단말기(10) 및 소프트웨어들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한편, 데이터 중계부(100)에서 스풀링 기능을 이용하여 수신된 발급요청들이 차례대로 누적된 이후, 데이터 중계부(100)는 데이터 분석부(200)로 처리 순서가 앞서는 주문서 발급요청을 전달(S205)할 수 있으며, 데이터 분석부(200)에서는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영수증 발급요청으로부터 여러 정보들을 획득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주문서 발급요청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추출(S207)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200)가 추출하여 획득할 수 있는 정보(본 발명에서는 이를 주문서 데이터라 칭하기로 한다)에는 적어도 구매한 상품 또는 서비스, 단가, 수량, 금액, 구매수단 중 하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 정보들은 가맹점주가 적어도 고객에게 판매를 하거나 또는 배달대행 서비스에 배달업무를 맡기는 데에 필요한 것일 수 있다.
S207단계 이후, 데이터 분석부(200)는 앞서 주문서 발급요청으로부터 추출된 주문서 데이터를 부가서비스 연동부(400)로 전달(S209)한다. 부가서비스 연동부(400)란, POS 단말기(10)의 외부에 존재하는 임의의 서버 또는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을 의미하며, 앞선 제1 실시예에서의 부가서비스 제공부(300)가 POS 단말기(10) 내부에 존재하여 내부적으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었다면, 본 부가서비스 연동부(400)는 POS 단말기(10) 외부에 존재하는 임의의 서버 또는 디바이스로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서는 부가서비스 연동부(400)가 주문서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이를 기초로 외부의 부가서비스 서버(30)를 향해 부가서비스 요청을 전달(S211)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부가서비스 서버(30)의 종류에는, 구매고객 또는 가맹점주를 위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에 해당하는 한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할 것이며, 예를 들어 부가서비스 서버(30)에는 구매고객에게 포인트 적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가맹점주가 배달대행 업무를 맡기기 위한 서버, 전자영수증 발급을 위한 서버 등일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중계부(100)는 S203 단계에서의 스풀링 수행과는 별개로, 사용자로부터 종이주문서 출력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입력을 수신(S213)한 후, 만일 종이주문서 출력이 필요하다는 입력이 수신되었을 때에는 상기 주문서 발급요청을 출력장치(20)로 전달(S215)하고, 종이주문서 출력이 필요없다는 입력이 수신되었을 때에는 그대로 절차를 종료(S217)시킬 수 있다. S215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중계부(100)는 POS 단말기(10) 내 구비된 시리얼 통신포트(15)를 통해 출력장치(20)까지 데이터(주문서 발급요청)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 때의 시리얼 통신포트(15)는 앞서 설명한 버추얼 시리얼통신포트(150)와는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S217단계에서 절차가 종료될 때에, 상기 데이터 중계부(100)는 앞서 수신한 주문서 발급요청을 삭제할 수 있다.
이상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도 5는 앞서 본 제1 실시예를 조금 더 구체화 한 것으로, 기존의 POS 단말기(10) 및 소프트웨어가 그대로 탑재된 상태에서 버추얼 시리얼통신포트(150), 데이터 중계부(100), 데이터 분석부(200), 및 전자영수증 연동부(450)를 활용함으로써 전자영수증 발급 서비스가 가능하게 한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할 때, 대부분의 구성들은 도 4에서 살펴본 구성들과 동일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중복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 데이터 분석부(200)가 전자영수증 연동부(450)를 향하여 영수증 데이터를 전달한다는 점, 그리고 전자영수증 연동부(450)가 POS 단말기(10) 외부에 존재하는 전자영수증 서버(35)로 전자영수증 발급요청을 할 수 있다는 점, 나아가 전자영수증 연동부(450)는 POS 단말기(10) 외부에 연결된 전자영수증 전송장치(60; NFS, BLE 동글)와도 연동하여 발급된 전자영수증을 구매고객의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제3 실시예는 기존의 시리얼 통신포트(15)를 이용하는 POS 단말기(10) 및 소프트웨어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POS 소프트웨어(도 5에서는 판매정보관리부에 해당)로 하여금 데이터 중계부(100)를 가상의 출력장치(20)로 인식하도록 하여 종전과 같은 방식으로 영수증 발급요청을 전달하게 하고, 데이터 중계부(100)가 이를 데이터 분석부(200)에 전달하게 함으로써 전자영수증 발급에 필요한 영수증 데이터가 추출되도록 하며, 이러한 과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POS 단말기(10) 및 소프트웨어 수정 내지 교체 없이도 전자영수증 발급 서비스 연동이 매우 쉽게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향후에는 여러 이유로 전자영수증 발급을 촉진 및 확대시키기 위한 환경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에 대비하여 전자영수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은 카드사와 제휴하거나 소비자의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 문자메시지를 후킹하여 결제와 관련된 정보(특히 신용카드 문자 메시지)를 획득하여 왔다. 그러나 이렇게 하여 획득할 수 있는 정보에는 가맹점, 결제금액에 불과할 뿐 자세한 주문내역까지 포함되어 있는 정보는 획득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어 왔다. 또한, 전자영수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은 POS 단말기(10) 또는 소프트웨어 업체와 연동 개발을 요청하고 실제 연동 개발도 해 왔으나, POS 단말기(10) 상에서 전자영수증 서비스를 연동하고자 하는 경우 POS 단말기(10)가 불안정해 지거나, 전자영수증 서비스와의 연동 이후에야 결제가 완료되기 때문에 결제 완료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어 왔다. 그러나 도 5에서와 같은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전자영수증 서비스 업체로서는 쉽게 영수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종래 데이터 분석부(200)가 POS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지 않고,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서버(15)가 POS 단말기의 외부에 별도로 존재한다는 점이다. 즉, 제3 실시예에서는 영수증 데이터를 직접 추출할 수 있거나 또는 일응 추출된 영수증 데이터를 보다 높은 성능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기 위해 별도의 데이터 분석 서버(15)가 존재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중계부(100)는 판매정보관리부(50)로부터 수신한 영수증 발급요청을 곧바로 데이터 분석 서버(15)로 전달하거나, 또는 데이터 중계부(100)가 1차적으로 추출한 데이터, 즉 영수증 데이터를 데이터 분석 서버(15)로 전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면 상에서는 데이터 중계부(100)가 1차적으로 영수증 발급요청으로부터 영수증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 분석 서버(15)에 전달(S405)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은 기술 발달에 따라 네트워크 환경이 더 개선되었을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로컬 장치인 POS 단말기(10)로 하여금 영수증과 관련된 데이터(영수증 발급요청, 또는 1차적으로 추출된 영수증 데이터)를 외부의 데이터 분석 서버(15)로 전송하게 하고, 데이터 분석 서버(15) 상에서 고성능의 분석도구(예: Elastic Search, 인공지능 툴)를 사용하여 해당 거래에 대한 영수증 데이터를 더 심도 있게 분석하게 함으로써 이로부터 더 다양한 부가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의 결제 시스템에서는 대량의 누적된 영수증 데이터를 기초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해 가맹점의 경영과 관련된 유의미한 분석결과물을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데이터 분석 서버(15)에서는 수신한 영수증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분석(2차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른 분석 데이터를 부가서비스 서버(30)에 전달(S409)할 수 있으며, 부가서비스 서버(30)는 위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 부가서비스를 등록(S411)할 수 있다.
이상, 영수증 발급 및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POS 단말기 15 시리얼 통신포트
20 출력장치 30 부가서비스 서버 35 전자영수증 서버 40 외부 단말기
50 판매정보관리부(제1 판매정보관리부) 55 제2 판매정보관리부
60 동글 100 데이터 중계부 150 버추얼 시리얼통신포트
200 데이터 분석부 300 부가서비스 제공부
400 부가서비스 연동부 450 전자영수증 연동부

Claims (1)

  1. 중앙처리유닛 및 메모리를 구비하며, 시리얼(serial) 통신으로 데이터 송수신하는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판매정보관리부 - 상기 제1 판매정보관리부는 POS 소프트웨어로서, 가맹점에서 구매고객이 임의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때에 해당 시점에 판매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영수증 발급요청을 생성함 - 로부터 영수증 발급요청을 수신하며, 종이영수증 출력 여부에 대한 임의 입력이 수신되었을 때 종이영수증 출력요청이 수신되었다면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을 출력장치 -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결제 시스템에 구비된 물리적 시리얼 통신포트를 통하여 연결됨 - 로 전달하고,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을 상기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것과 독립적으로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을 데이터 분석부로 전달하며,
    제2 판매정보관리부 - 상기 제2 판매정보관리부는 외부로부터의 주문접수 수신에 따라 주문서 발급요청을 생성함 -로부터 주문서 발급요청을 수신하며, 종이주문서 출력요청이 수신되었다면 상기 주문서 발급요청을 상기 출력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주문서 발급요청을 상기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것과 독립적으로 상기 주문서 발급요청을 데이터 분석부로 전달하는 데이터 중계부;
    데이터 중계부로부터 수신한 영수증 발급요청 및 주문서 발급요청으로부터 각각 영수증 데이터 및 주문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영수증 데이터는 부가서비스 제공부에, 추출한 상기 주문서 데이터는 부가서비스 연동부에 전달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에 대응되는 거래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로부터 영수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에 대응되는 거래에 대한 부가서비스 정보 - 상기 부가서비스 정보는 상기 영수증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문자열 또는 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생성된 것임 - 를 기록하는 부가서비스 제공부;
    상기 주문서 발급요청에 대응되는 거래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외부의 부가서비스 서버 또는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로부터 주문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주문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외부의 부가서비스 서버 또는 디바이스에 부가서비스 요청을 전달하는 부가서비스 연동부;
    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기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 내 문자열들을 파싱하여 추출해 냄으로써 상기 영수증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들을 추출하고,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으로부터 추출된 영수증 데이터는, 종이영수증 출력 여부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부에 전달되고, 상기 주문서 발급요청으로부터 추출된 주문서 데이터는, 종이주문서 출력 여부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부가서비스 연동부에 전달되며,
    상기 데이터 중계부 - 상기 데이터 중계부는 상기 제1 판매정보관리부 및 제2 판매정보관리부에 의해 가상의 출력장치로 인식됨 - 는 복수 개의 버추얼 시리얼통신포트들을 생성 및 관리하며, 상기 제1 판매정보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수증 발급요청 또는 상기 제2 판매정보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주문서 발급요청은 상기 데이터 중계부가 생성한 복수 개의 버추얼 시리얼통신포트들 중 어느 하나의 것을 통하여 수신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출력장치에 의한 종이영수증 또는 종이주문서 출력여부와 관계 없이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 또는 주문서 발급요청에 대응되는 부가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게 하고,
    또한, 상기 데이터 중계부는 복수 개의 버추얼 시리얼통신포트들을 생성 및 관리함으로써 상기 제1 판매정보관리부 및 제2 판매정보관리부가 상기 출력장치를 공유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상기 데이터 중계부는 상기 제1 판매정보관리부 및 제2 판매정보관리부로부터 복수의 영수증 발급요청 및 주문서 발급요청이 수신되면 각 영수증 발급요청 및 주문서 발급요청을 상기 복수의 영수증 발급요청 및 주문서 발급요청이 수신된 순서에 따라 처리하며,
    또한, 상기 데이터 중계부는 상기 영수증 발급요청, 또는 영수증 데이터를 당해 결제 시스템의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 분석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시스템.
KR1020210113516A 2020-03-27 2021-08-26 영수증 발급 및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102500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516A KR102500065B1 (ko) 2020-03-27 2021-08-26 영수증 발급 및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469 2020-03-27
KR1020210113516A KR102500065B1 (ko) 2020-03-27 2021-08-26 영수증 발급 및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469 Division 2020-03-27 2020-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930A KR20210120930A (ko) 2021-10-07
KR102500065B1 true KR102500065B1 (ko) 2023-02-16

Family

ID=7811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516A KR102500065B1 (ko) 2020-03-27 2021-08-26 영수증 발급 및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0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81951A1 (en) * 2016-12-22 2018-06-28 AppCard,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cessing commercial transaction data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89917A4 (en) 2004-08-04 2009-05-06 Mastercard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PURCHASE CARDS AND RECONCILIATION OF DATA WITH CORPORATE RESOURCE PLANNING AND FINANCIAL SOFTWARE
KR20150138590A (ko) * 2014-05-30 2015-12-10 디에이치이노시스 주식회사 문자 추출 기반 포인트 적립 기능을 구비한 결제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81951A1 (en) * 2016-12-22 2018-06-28 AppCard,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cessing commercial transaction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930A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8885B2 (en) Processing network architecture with companion database
US20160379191A1 (en) Securing sensitive user data associated with electronic transactions
KR20110025753A (ko) 영수증 보관소를 이용한 결제 영수증 관리
JP3942374B2 (ja) Posシステム
JP6962597B2 (ja) 販売時点情報管理取引関連データを捕捉し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デバイス、及び方法
US20140214574A1 (en) Method To Facilitate An In-Store Audit After Issuance Of An Electronic Receipt
KR20150056831A (ko) 판매 시점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할인들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136976B1 (ko) 토큰화된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CN107710264B (zh) 将报价动态链接到交易账户的方法和系统
CN111179013A (zh) 在网上平台电子接收和发送采购订单的系统和方法
KR20200000605A (ko) 배달 주문 매출 정산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US20210073764A1 (en) Data management device, data management system, and data management method
KR102500065B1 (ko) 영수증 발급 및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US20220147981A1 (en)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ettlement system, and method
KR101955713B1 (ko) 프랜차이즈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JP2016095587A (ja) 携帯端末装置、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066194A (ja) クレジット決済システム、及びクレジット決済方法
JP6648096B2 (ja) コード購入決済システム、決済用コードサーバ装置、製品販売者端末、製品購入者端末、決済用金融機関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動作方法
JP680866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3392821A1 (en) Server device and service method
JP6203163B2 (ja) 顧客管理装置、顧客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706515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997233B2 (ja) 取引処理システム
US20150019321A1 (en) Using universal product code to retrieve coupons at checkout
JP4485920B2 (ja) ポイント管理装置、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及びポイント管理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