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959B1 - 반테안경 - Google Patents

반테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959B1
KR102499959B1 KR1020210009486A KR20210009486A KR102499959B1 KR 102499959 B1 KR102499959 B1 KR 102499959B1 KR 1020210009486 A KR1020210009486 A KR 1020210009486A KR 20210009486 A KR20210009486 A KR 20210009486A KR 102499959 B1 KR102499959 B1 KR 102499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frame body
shoulder
drawstr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6504A (ko
Inventor
장용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텀옵티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텀옵티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텀옵티칼
Priority to KR1020210009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95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6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4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partial rims, e.g. with partially-flexible rim for holding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3/00Welding by high-frequency current he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0Frame or frame portions made from wi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릿지의 양편에 아치형의 렌즈 고정부가 일체 형성된 프레임 바디의 각 렌즈 고정부에, 조임끈을 통해 환형의 렌즈 고정공간을 형성하여서, 상기 렌즈 고정공간에 진입되는 렌즈가 조임끈에 의해 환형 압박하여 고정되도록 한 반테안경에 관한 것으로,
브릿지의 양편에 아치형의 렌즈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 바디와; 상기 프레임 바디에 형성된 렌즈 고정부의 양단에 단부를 각각 관통되게 견착하여 환형의 렌즈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조임끈; 및 상기 프레임 바디를 구성하는 렌즈 고정부의 내측단과 외측단에 각각 배치되어, 조임끈의 단부를 관통되게 견착하여 고정하는 조임끈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 바디는, 강선을 절곡하여 제작된 강선 절곡물로 구성되고,
상기 조임끈 고정부재는, 상기 조임끈의 단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견착하는 둘 이상의 견착공을 갖는 견착부와; 상기 강선 절곡물로 구성된 프레임 바디의 강선을 관통하여 고정하는 강선 관통 클립부를 형성하되, 상기 조임끈 고정부재는 금속평판을 성형 가공하여 제작된 금속 평판체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반테안경{Half-rimmed spectacles}
본 발명은 반테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릿지의 양편에 아치형의 렌즈 고정부가 일체 형성된 프레임 바디의 각 렌즈 고정부에, 조임끈을 통해 환형의 렌즈 고정공간을 형성하여서, 상기 렌즈 고정공간에 진입되는 렌즈가 조임끈에 의해 환형 압박하여 고정되도록 한 반테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테안경은, 프레임에 호형의 렌즈 고정부가 형성되어, 렌즈의 가장자리가 렌즈 고정부에 부분적으로 감싸지도록 구성한 형태로, 상기 반테안경은, 렌즈 고정부가 렌즈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온테안경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가벼운 이점을 가지며, 보다 세련되고 심플한 미감을 갖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일반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반테안경의 렌즈 고정구조는, 호형으로 이루어진 렌즈 고정부의 양편에 낚시줄 등 나일론 재질의 조임끈 단부를 고정하여서, 렌즈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가 렌즈 고정부와 나일론 재질의 조임끈에 의해 감싸져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렌즈 고정구조는,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고, 육안으로 고정구조가 식별되지 아니하므로 고정구조에 의한 외관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예방되는 한편, 조립이 편리한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한 렌즈 고정구조는 상기 낚시줄 등 나일론 재질의 조임끈 단부를 렌즈 고정부의 양편에 형성된 한 쌍의 견착공에 순차적으로 진입시켜 고정함에 있어, 상기 견착공에 조임끈의 양단을 물리적으로 견착하여 고정하는 모서리가 날카롭게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조임끈을 이용한 렌즈 고정구조는, 한 쌍의 견착공의 형성이 가능한 금속판재로 구성된 프레임 바디를 갖는 반테안경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되었다.
즉, 직경이 가는 강선을 절곡하여 성형된 강선 절곡물로 구성된 프레임 바디로 구성된 반테안경에는, 상기 조임끈을 이용한 렌즈 고정구조의 적용이 사실상 어려운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KR 20-0221398 KR 20-0453956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원형의 단면을 갖는 강선을 절곡하여 제작된 강선 절곡물로 구성된 프레임 바디의 각지점에, 조임끈의 단부를 견착하여 고정하는 독특한 조임끈 고정구조를 형성하여서, 프레임 바디를 강선 절곡물로 구성하면서도 조임끈 단부의 정형화된 고정을 통해 렌즈의 안정된 고정상태가 형성되도록 하는 반테안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테안경은,
브릿지의 양편에 아치형의 렌즈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 바디와;
상기 프레임 바디에 형성된 렌즈 고정부의 양단에 단부를 각각 관통되게 견착하여 환형의 렌즈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조임끈; 및
상기 프레임 바디를 구성하는 렌즈 고정부의 내측단과 외측단에 각각 배치되어, 조임끈의 단부를 관통되게 견착하여 고정하는 조임끈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 바디는, 강선을 절곡하여 제작된 강선 절곡물로 구성되고,
상기 조임끈 고정부재는, 상기 조임끈의 단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견착하는 둘 이상의 견착공을 갖는 견착부와; 상기 강선 절곡물로 구성된 프레임 바디의 강선을 관통하여 고정하는 강선 관통 클립부를 형성하되, 상기 조임끈 고정부재는 금속평판을 성형 가공하여 제작된 금속 평판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선 관통 클립부는 개구부가 형성된 후크형으로 구성되어, 개구부를 통해 프레임 바디의 강선에 측방향으로 진입하여 강선이 관통되게 조립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선 관통 클립부를 통해 프레임 바디의 고정지점에 견착된 조임끈 고정부재는, 강선 관통 클립부와 강선 관통 클립부를 관통한 강선 사이에 형성되는 고주파 용접에 의해 프레임 바디의 고정지점에 융착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렌즈 고정부의 내측단에 설치되는 조임끈 고정부재는, 일단에는 견착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강선 관통 클립부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코지지대를 구성하는 코지지암이 일체로 형성된 평판체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정원형의 단면을 갖는 강선을 설정된 형상으로 절곡 가공하여 제작된 강선 절곡물로 이루어진 프레임 바디의 각지점에 금속평판으로 이루어진 조임끈 고정부재를 정형화되게 형성하여서, 조임끈을 통해 렌즈를 고정하는 구조를 구현하고 있다.
특히, 상기 조임끈 고정부재는 프레임 바디의 강선에 정형화되게 가조립되는 조립구조가 형성되어 프레임 바디에 간편하게 조립되고, 또 고주파 용접과정에 프레임 바디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예방되므로, 향상된 작업 안정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반테안경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반테안경을 구성하는 프레임 바디와, 조임끈, 및 조임끈 고정부재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반테안경에 있어, 프레임 바디와 다리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반테안경을 구성하는 조임끈 고정부재의 세부 구성과, 이를 통한 렌즈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반테안경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반테안경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반테안경을 구성하는 프레임 바디와, 조임끈, 및 조임끈 고정부재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반테안경에 있어, 프레임 바디와 다리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반테안경을 구성하는 조임끈 고정부재의 세부 구성과, 이를 통한 렌즈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반테안경(1)은,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릿지(11)의 양편에 아치형의 렌즈 고정부(12)가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 바디(10)와; 상기 프레임 바디(10)에 형성된 렌즈 고정부(12)의 양단에 단부를 각각 관통되게 견착하여 환형의 렌즈 설치공간(10a)을 형성하는 한 쌍의 조임끈(2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반테안경(1)은 상기 아치형의 렌즈 고정부(12)의 양편에 각각 형성된 조임끈 고정부재(30A, 30B)를 통해 조임끈(20)의 단부를 각각 고정하여 환형의 렌즈 설치공간(10a)을 형성하고, 상기 환형의 렌즈 설치공간(10a) 내에 렌즈(L)를 삽입 및 조임하여서, 상기 렌즈 설치공간(10a)에 진입되는 렌즈(L)가 조임끈에 의해 환형 압박하여 고정하는 렌즈 설치구조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바디(10)의 양단에는 강선이 환형 절곡된 힌지 이음단(13)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 이음단(13)에는 힌지축(50)을 통해 다리(40)의 선단을 힌지구조로 조립하여 다리(40)가 힌지축(50)을 중심으로 절첩 및 전개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 바디(10)의 양단에는 다리(40)의 선단부를 힌지구조로 이음하는 중공의 힌지 이음단(13)을 환형 절곡하여 형성하고, 상기 다리(40)의 선단에는 강선으로 이루어진 힌지 연결단(41)을 환형 절곡하여 형성하여서, 상하 적층된 힌지 이음단(13)과 힌지 연결단(41)에 힌지축(50)을 상하 관통되게 설치하여서 프레임 바디(10)의 양단에 다리(40)의 선단이 힌지구조로 조립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축(50)은, 적층된 힌지 이음단(13)과 힌지 연결단(41)을 관통하여, 힌지 이음단(13)의 내경과 힌지 연결단(41)의 내경과 외접하는 두부 일체형 너트관(51)과, 상기 너트관(51)의 하부에 상향 체결되어서 두부를 통해 적층된 힌지 이음단(13)과 힌지 연결단(41)을 압착 지지하는 고정볼트(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다리의 절첩 및 전개과정에 고정볼트(52)의 풀림 발생을 억제한다. ***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53"은 와셔임 ***
또한, 상기 프레임 바디(10)를 정원형의 단면을 갖는 강선을 요하는 형상으로 절곡하여 제작된 강선 절곡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 바디(10)를 형성하는 강선의 선경과, 렌즈(L)의 하반부 가장자리를 감싸는 조임끈(20)의 선경은 장착을 요하는 렌즈(L)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견착홈(G)의 폭보다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작도록 구성되어 렌즈(L)의 견착홈(G)에 진입하여 렌즈(L)의 상반부 가장자리와 하반부 가장자리를 분할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 바디(10)의 양단에 형성된 힌지 이음단(13)에는 하향 절곡된 지지단(13a)을 형성하여, 상기 힌지축(50)을 통해 힌지 이음단(13)에 힌지 연결단(41)을 힌지구조로 조립된 다리(40)의 전개각이 제한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레임 바디(10)를 강선을 요하는 형상으로 절곡하여 제작된 강선 절곡물로 구성하면서도, 상기 조임끈(20)을 이용한 렌즈 설치구조의 정형화된 형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강선 절곡물로 이루어진 프레임 바디(10)를 구성하는 렌즈 고정부(12)의 내측단과 외측단에 조임끈 고정부재(30A, 30B)를 형성하여서, 상기 렌즈(L)의 하반부 가장자리를 조임 압박하는 조임끈(20) 단부가 정형화되게 견착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조임끈 고정부재(30A, 30B)는,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임끈(20)의 단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견착하는 둘 이상의 견착공(31a)을 갖는 견착부(31)와; 상기 강선 절곡물로 구성된 프레임 바디(10)의 강선을 관통하여 고정하는 강선 관통 클립부(32)를 형성하되, 상기 조임끈 고정부재(30A, 30B)는 금속평판을 성형 가공하여 제작된 금속 평판체로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렌즈 고정부(12)의 외측단에 형성된 조임끈 고정부재(30A)는, 도 4a와 도 6a와 같이 같이 일단에 견착부(31)가 형성되고, 타단에 강선 관통 클립부(32)가 형성된 금속 평판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렌즈 고정부(12)의 내측단에 형성된 조임끈 고정부재(30B)는 도 4b와 도 6b와 같이 일단에는 견착부(31)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강선 관통 클립부(32)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코패드 조립체(34)가 고정되는 코지지암(33)이 형성된 코지지암 일체형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코지지암 일체형의 조임끈 고정부재(30B)에 의해, 브릿지의 양측 하부에 설정길이의 코지지암(33)이 형성되므로, 별도 제작된 코지지암을 용접 등을 통해 프레임 바디의 각 지점에 설치함에 따른 제반적인 문제점의 해소가 가능하고, 또 경량화와 심플한 미감의 연출이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조임끈 고정부재(30A, 30B)는 금속평판을 절삭 가공하여 형성되거나 프레스 성형을 통해 제작되어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임끈(20)의 단부가 관통하는 견착공(31a)의 입구부와 출구부에는 날카로운 모서리가 형성되어 관통된 조임끈(20)의 단부는 모서리를 통해 견착하여 고정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견착공(31a)들 사이에는 돌출날(31b)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조임끈(20)의 단부는 견착공(31a)의 각 모서리 뿐 아니라, 견착공(31a) 사이에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날(31b)에 견착되어서, 보다 안정된 견착상태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돌출날(31b)은 프레스 가공이나 펀칭가공에 의해 견착공(31a) 사이에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견착공(31a)들 사이를 관통하는 조임끈(20)의 단부를 보다 안정되게 견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조임끈 고정부재(30A, 30B)에 형성된 강성 관통 클립부(32)는 개구부(32a)가 형성된 후크형으로 구성되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구부(32a)를 통해 강선 절곡물로 구성된 프레임 바디(10)의 강선을 휘감아, 강선이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견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임끈 고정부재(30A, 30B)에 형성된 강선 관통 클립부(32)의 개구부(32a)는, 프레임 바디(10)를 구성하는 강선의 선경 보다 상대적으로 진입폭이 좁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10)를 구성하는 강선은 개구부(32a)의 탄성 전개에 의해 강선 관통 클립부(32) 내에 탄성 압입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조임끈 고정부재(30A, 30B)에 형성된 강선 관통 클립부(32)의 내벽에는 프레임 바디(10)를 구성하는 강선의 외경에는 기준 조립면(14, 32b)이 대응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강선 관통 클립부(32) 내에 프레임 바디(10)를 진입한 조임끈 고정부재(30A, 30B)는 대응하여 형성된 기준 조립면(14, 32b)을 통해 상호 밀착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조임끈 고정부재(30A, 30B)는 프레임 바디(10)의 각 설치지점에 정형화된 조립각도로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끈 고정부재(30A, 30B)는 강성 절곡물로 구성된 프레임 바디(10)의 각 조립지점에 정형화된 조립각도로 조립되고, 이 상태에서 블레이징액의 도포 및 고주파 융착을 통해 조임끈 고정부재(30A, 30B)는 고주파 용접에 의해 프레임 바디(10)의 각 조립지점에 정형화되게 고정된다.
1. 반테안경
10. 프레임 바디 10a. 렌즈 설치공간
11. 브릿지 12. 렌즈 고정부
13. 힌지 이음단 14. 조립 기준면
20. 조임끈
30A, 30B. 조임끈 고정부재
31. 견착부 31a. 견착공
31b. 돌출날
32. 강선 관통 클립부 32a. 개구부
32b. 조립 기준면
33. 코지지암 34. 코패드 조립체
40. 안경다리 41. 힌지 연결단
50. 힌지축 51. 너트관
52. 고정볼트 53. 와셔
L. 렌즈 G. 견착홈

Claims (4)

  1. 브릿지의 양편에 아치형의 렌즈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 바디와;
    상기 프레임 바디에 형성된 렌즈 고정부의 양단에 단부를 각각 관통되게 견착하여 환형의 렌즈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조임끈; 및
    상기 프레임 바디를 구성하는 렌즈 고정부의 내측단과 외측단에 각각 배치되어, 조임끈의 단부를 관통되게 견착하여 고정하는 조임끈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 바디는, 강선을 절곡하여 제작된 강선 절곡물로 구성되고,
    상기 조임끈 고정부재는, 상기 조임끈의 단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견착하는 둘 이상의 견착공들을 갖는 견착부와; 상기 강선 절곡물로 구성된 프레임 바디의 강선을 관통하여 고정하는 강선 관통 클립부를 형성하되, 상기 조임끈 고정부재는 금속평판을 성형 가공하여 제작된 금속 평판체로 구성되고,
    상기 렌즈 고정부의 외측단에 설치되는 조임끈 고정부재는, 일단에는 상기 견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강선 관통 클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렌즈 고정부의 내측단에 설치되는 조임끈 고정부재는, 일단에는 상기 견착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강선 관통 클립부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코지지대를 구성하는 코지지암이 일체로 형성된 평판체로 구성되고,
    상기 조임끈 고정부재는, 상기 견착공들 사이에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날을 더 포함하여, 상기 조임끈의 단부가 각 견착공의 모서리뿐만 아니라, 상기 견착공들 사이에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돌출날에 견착되어서, 보다 안정된 견착상태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테안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 관통 클립부는 개구부가 형성된 후크형으로 구성되어, 개구부를 통해 프레임 바디의 강선에 측방향으로 진입하여 강선이 관통되게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테안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 관통 클립부를 통해 프레임 바디의 고정지점에 견착된 조임끈 고정부재는, 강선 관통 클립부와 강선 관통 클립부를 관통한 강선 사이에 형성되는 고주파 용접에 의해 프레임 바디의 고정지점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테안경.
  4. 삭제
KR1020210009486A 2021-01-22 2021-01-22 반테안경 KR102499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486A KR102499959B1 (ko) 2021-01-22 2021-01-22 반테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486A KR102499959B1 (ko) 2021-01-22 2021-01-22 반테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504A KR20220106504A (ko) 2022-07-29
KR102499959B1 true KR102499959B1 (ko) 2023-02-15

Family

ID=82606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486A KR102499959B1 (ko) 2021-01-22 2021-01-22 반테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9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398Y1 (ko) 2000-11-21 2001-04-16 김형기 반테안경 렌즈의 체결구조
KR200246391Y1 (ko) 2001-06-07 2001-10-22 양규봉 절곡철선 안경테
KR200278783Y1 (ko) * 2002-03-30 2002-06-20 부 광 박 안경테의 결합구조
KR200453956Y1 (ko) * 2009-12-17 2011-06-13 진정욱 렌즈 고정구조를 갖는 반테안경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2886B1 (fr) * 1995-12-22 1998-01-23 Perie Jean Claude Dispositif de fixation des verres sur une monture de lunett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398Y1 (ko) 2000-11-21 2001-04-16 김형기 반테안경 렌즈의 체결구조
KR200246391Y1 (ko) 2001-06-07 2001-10-22 양규봉 절곡철선 안경테
KR200278783Y1 (ko) * 2002-03-30 2002-06-20 부 광 박 안경테의 결합구조
KR200453956Y1 (ko) * 2009-12-17 2011-06-13 진정욱 렌즈 고정구조를 갖는 반테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504A (ko)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44851B2 (ja) 縁なし眼鏡のフレーム
EP1326125B1 (en) Hinge structure for eyeglasses or eyeglass frames and eyeglasses and eyeglass frames, and a method of fitting a lens into an eyeglass frame
JPH0326493Y2 (ko)
KR102499959B1 (ko) 반테안경
US5523806A (en) Eyeglasses having improved lens fastening member
US6315406B1 (en) Wire-frame spectacles with elastically and temporarily deformable loop portions
EP0661576A1 (en) A pair of frameless spectacles
EP2021867B1 (en) Clip-on spectacles having elastic u-shaped bridge
WO1996018127A1 (en) Rimless spectacles
EP0898728A1 (en) Wire frame for spectacles
KR20010091011A (ko) 안경
KR200246391Y1 (ko) 절곡철선 안경테
US4187007A (en) Eyeglass construction
KR200289971Y1 (ko) 안경다리고정용 힌지어셈블리
KR200421957Y1 (ko) 안경 프레임
KR0133372Y1 (ko) 결합장치
JP3054449U (ja) メガネのレンズ支持構造
JPS60146217A (ja) 眼鏡枠
TWI411825B (zh) 構裝蝶式雷射模組之鞍型扣件
JP2018180404A (ja) ナイロール式メガネフレーム及び水糸止着構造
JP3098942U (ja) 木製のハーフリム型フレーム
KR20230137132A (ko) 조립형 안경
KR200303307Y1 (ko) 무테안경
KR200191856Y1 (ko) 무테안경의 안경다리 연결부재
KR100274813B1 (ko) 금속 안경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