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957Y1 - 안경 프레임 - Google Patents

안경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957Y1
KR200421957Y1 KR2020060011207U KR20060011207U KR200421957Y1 KR 200421957 Y1 KR200421957 Y1 KR 200421957Y1 KR 2020060011207 U KR2020060011207 U KR 2020060011207U KR 20060011207 U KR20060011207 U KR 20060011207U KR 200421957 Y1 KR200421957 Y1 KR 200421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ides
ring
end pie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2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요카즈 이이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푸치카루이이지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푸치카루이이지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푸치카루이이지마
Priority to KR20200600112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9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9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02C1/08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the rims being tranversely split and provided with secur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렌즈를 유지하는 프론트부와 이 프론트부의 양측에 접을 수 있도록 부착된 안경다리를 갖는 안경 프레임으로서, 제작 비용이 저렴하게 됨과 동시에 슬림한 외관을 보일 수 있는 안경 프레임의 제공한다.
프론트부(1)는 가는 선재를 재료로 하고 연결부의 양측에 반원호 형상 상 림부를 갖는 상 프레임(2)과, 연결부의 양측에 반원호 형상의 하 림부를 갖는 하 프레임(3)으로 이루어지고, 상하 프레임(2, 3)은 중앙연결부위에서 서로 걸어짐과 함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7, 10)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결합되고, 그리고 상하 프레임(2, 3)의 상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7)와 하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10)에는 링(26, 26)을 형성하고, 또 안경다리 끝에도 축 구멍을 갖는 링(27)을 굽힘성형 하여 설치하고, 이들 각 링을 결합하여 상기 축 구멍에 외경을 약간 크게 한 축(23)을 덜거덕거리지 않게 끼움과 동시에 나사고정 하고 있다.
프론트부, 상프레임, 노즈패드, 연결부, 랩 어라운드 엔드피스부

Description

안경 프레임{GLASSES FRAM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평면도,
도 3은 프론트부를 구성하는 상 프레임과 하 프레임,
도 4는 상 프레임의 경계에 하 프레임의 걸음부가 걸어진 상세도,
도 5는 연결부의 평면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안경 프레임을 도시하는 다른 형태의 프론트부,
도 7은 안경다리의 이음 구조를 도시하는 전개도,
도 8은 종래의 일반적인 안경 프레임이다.
(부호의 설명)
1 프론트부 2 상 프레임
3 하 프레임 4 노즈패드
5 연결부 6 상 림부
7 상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
8 연결부 9 하 림부
10 하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
11 다리 12 구멍
14 걸음부 15 경계
16 안경다리 17 상 프레임
18 걸음부 19 하 림부
20 고장력실 21 갈고리
22 하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
23 축 24 축 나사
25 축 구멍 26 링
27 링 28 스토퍼
29 나일론 와셔 30 플랜지
본 고안은 안경 프레임, 특히 가는 선재로 구성되는 안경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프론트부와 안경다리로 이루어지고, 프론트부의 림에는 렌즈가 끼워진고, 안경다리는 프론트부의 양 외측에 접을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도 8은 종래의 일반적인 안경 프레임이며, 프론트부(A')와 2개의 안경다리(B', B')로 구성되고, 이 안경다리(B', B')는 프론트부(A')의 양측에 납땜되어 있는 랩어라운드 엔드피스(C', C')에 힌지(D', D')를 통하여 접을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프론트부(A')는 양쪽 림(E', E')이 연결부재(F')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랩어라운드 엔드피스(C', C')가 림 외측에 납땜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림 내 측이며 연결부재(F')의 아래쪽에는 노즈패드(G', G')가 부착되어 있다. 노즈패드(G', G')는 림 내측에 납땜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다리발 선단에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림(E')은 인발한 소정 단면의 선재를 링 형상으로 구부려 성형하고, 내주에는 렌즈가 끼워지는 끼워맞춤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림(E')의 외측에는 브로치가 설치되어, 이 림(E')에 끼워진 렌즈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브로치는 림(E')의 절단면에 납땜한 양 브로치편이 나사체결되어서 림 절단면을 폐쇄하고 있는데, 작은 브로치는 절삭가공 된다. 또, 림 외측의 랩어라운드 엔드피스(C')는 개략 L형으로 단조가공 되어서 납땜되어 있다.
한편, 힌지(D')를 사용하여 안경다리(B')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힌지(D')의 각 조각은 납땜되기 쉬운 크기의 평탄면으로 하기 때문에, 안경다리(B') 및 랩어라운드 엔드피스(C')는 단조된 부품이 사용되고 있다. 즉, 납땜 면적이 충분하지 않으면 부품은 빠져버리기 때문에, 가는 선재로 구성되는 안경 프레임의 안경다리에서는 납땜 면적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힌지(D')를 이음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한편, 가는 선재로부터 이루어지는 슬림한 안경 프레임에는, 종래의 힌지이음 구조는 프레임의 외관을 손상시켜, 디자인적으로도 적합하지 않다. 물론, 외관이 손상되지 않는 작은 힌지(D')를 제작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점도 있지만, 작은 힌지(D')를 제작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고, 또 작은 힌지(D')로 긴 안경다리(B')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힌지(D')에 덜거덕거림이 발생하여, 안경을 써도 위치 어긋남이 생긴다. 그리고, 종래의 프론트부 구조, 및 힌지이음 구조에서는 그 제작 비용이 들어, 안경 프레임은 고가로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안경 프레임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들 문제점으로, 제작 비용이 저렴해짐과 동시에 슬림한 외관을 보일 수 있는 안경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은 렌즈가 유지되는 프론트부와 안경다리로 구성되고, 안경다리는 프론트부 양측에 접을 수 있도록 부착된다. 그리고 프론트부는 상 프레임과 하 프레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하 프레임은 각각 좌우 대칭을 이루고 반원호 형상의 하프 림을 형성하고 있다. 또, 중앙연결부에는 결합하기 위한 걸어맞춤부를 갖고, 양측에는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노즈패드를 부착하는 다리는 하 프레임의 일부로서 중앙연결부의 양측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그런데, 본 고안이 대상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은 가는 선재로 상기 프론트부 및 안경다리를 구성한 것으로서, 안경다리의 이음은 프론트부의 일부로서 구성한 상기 랩어라운드 엔드피스에 링을 형성하고, 안경다리 끝에도 동일하게 링을 형성하고, 이 양 링의 축 구멍에 축을 관통하여 이음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프론트부의 링은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를 구부려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안경다리 끝의 링도 동일하게 구부려 성형하여 형성된다. 게다가 링은 적어 도 약간은 개구되어 있어서, 축이 구멍에 관통한 경우에 구멍 내주는 축과의 사이에 틈이 없도록, 탄성변형 할 수 있는 마이너스 클리어런스를 두고 있다. 그리고 각 링 사이에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와셔가 개재되고, 축에 끼우고 나사체결 할 때에 약간 압축되어 적당한 압축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안경다리의 접기 조작에 수반되는 마모를 방지하고 있다.
(실시예)
도 1, 도 2는 본 고안의 안경 프레임의 외관도이며, 도 1은 정면도, 도 2는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동 도면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이 안경 프레임은 프론트부(1)과 안경다리(16, 16)로 이루어지고, 안경다리(16, 16)는 프론트부(1)의 양측에 접을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부(1)는 상 프레임(2)과 하 프레임(3)이 결합되어 구성되고, 이들 상 프레임(2) 및 하 프레임(3)은 가는 금속제의 선재를 굽힘성형 한 것으로, 결합시에는 납땜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거는 것으로 프론트부(1)가 구성되어 있다. 또 노즈패드(4)는 하 프레임(3)에 형성한 다리에 고정부착부(13)가 끼워져 부착되어 있다.
도 3의 (a)는 상 프레임, (b)는 하 프레임을 각각 분리하여 도시한 경우이지만, 이와 같이, 각 상하 프레임(2, 3)은 각각 가공되고, 후에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부(1)가 된다. 상 프레임(2)은 중앙에 연결부(5)를 갖고, 그 양측에는 상 림부(6, 6)를, 또한 상 림부(6, 6)의 외측에는 상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7, 7)가 연속해서 성형되어 있다.
한편 하 프레임(3)은 중앙에 연결부(8)를 갖고, 연결부(8)의 양측에는 하 림 부(9, 9)를, 또한 하 림부(9, 9)의 외측에는 하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10, 10)가 연속해서 성형되어 있다. 게다가, 연결부(8)와 하 림부(9, 9)의 사이에는 다리(11, 11)가 연속해서 형성되고, 다리(11)의 구멍(12)에는 상기 노즈패드(4)의 고정부착부(13)가 끼워져서 부착된다.
그런데, 하 프레임(3)은 상 프레임(2)에 걸려서 결합되게 되는데, 하 프레임(3)의 A부가 상 프레임(2)의 B부에 걸어진다. 도 4는 이 걸음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확대도이며, 하 림부(9)의 내측 끝과 다리(11)의 경계에 형성되는 걸음부(14)가 상 프레임(2)의 상 림부(6)와 연결부(5)의 경계(15)에 걸어져 있다. 도 4의 확대도에서는, 걸음부(14)에 끼워져서 지지되는 경계(15)와의 사이에 틈이 존재하고 있는데, 실제로는 동 도면과 같은 틈은 없어 걸음부(14)에 끼워져서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게 되어 있다.
상 프레임(2)과 하 프레임(3)이 결합되고 도 1에 도시하는 프론트부에 렌즈가 끼워지면, 상 프레임(2)의 상 림부(6)와 하 프레임(3)의 하 림부(9)에는 장력(P)이 작용하기 때문에, 걸음부(14)는 경계(15)에 걸어져서 안정한 상태로 위치 결정된다.
물론, 상하 림부(6, 9)에 의해 형성되는 림에 렌즈를 끼우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하 프레임(3)의 걸음부(14, 14)를 상 프레임(2)의 경계(15, 15)에 건 상태에서 상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7)와 하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10)을 벌려서 행하고, 렌즈를 끼우고나서 나사고정이 행해진다.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실시예에서는 상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7) 및 하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10)에는 링(도시하 지 않음)을 형성하고, 양 링의 사이에 안경다리 끝에 형성한 링을 끼우고 나사고정 하고, 안경다리(16)를 접을 수 있도록 부착하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프론트부 중앙에 위치하는 연결부(5, 8)를 도시하고 있다. 연결부는 상 프레임(2)의 연결부(5)와 하 프레임(9)의 연결부(8)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때문에 프론트부(1)에서의 중앙연결부의 강도는 높게 된다. 안경다리(16, 16)를 밀어서 벌릴 때에, 프론트부(1)는 굽혀져서 중앙연결부에서 가장 큰 모멘트가 작용하는 게 되는데, 동 도면과 같이 양 연결부(5, 8)가 배치됨으로써 이 모멘트에 대항할 수 있어, 프론트부(1)의 강도는 높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이며, 상 프레임(17)은 상기 실시예와 같이 상 림부(6, 6)를 연결부(5)의 양측에 형성하고 있지만, 이 상 프레임(17)에는 다리(11)와 걸음부(18)가 연속해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하 프레임 대신에 하 림부(19, 19)를 구비하고 있다. 하 림부(19)는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실 등의 고장력 실(20)이 사용되고, 고장력실(20)의 일단에는 갈고리(21)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하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22)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동 도면의 (a)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갈고리(21)는 걸음부(18)에 걸어지고, 하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22)는 상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7)와 함께 안경다리 끝을 사이에 끼우고 나사고정 되어 있다.
도 7은 도 1에서의 이음부의 전개도이며, 23은 축, 24는 축 나사를 나타내고, 이 축(23)과 축 나사(24)로 프론트부의 외측에 안경다리(16)를 접을 수 있도록 부착하고 있다. 상 프레임(2) 상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7)에는 축 구멍(25)을 갖 는 링(26)이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하 프레임(9)의 하 랩어라운드 엔드피스(10)에도 축 구멍(25)을 갖는 링(26)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안경다리(16)의 끝에는 축 구멍(25)을 갖는 링(27)을 설치하고, 링 끝에는 스토퍼(28)가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동 도면의 29는 나일론 와셔를 나타내고 있다.
그래서, 축(23)에 밑에서부터 순서대로 나일론 와셔(29), 하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10)의 링(26), 나일론 와셔(29), 안경다리 끝의 링(27), 나일론 와셔(29), 상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7)의 링(26), 나일론 와셔(29)를 끼우고, 그리고 이것들이 축(23)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또 중첩된 나일론 와셔(29)나 링(26) 등의 사이에 틈 없이, 적절하게 압접하기 위해서 축 나사(24)가 체결된다.
축(23)에 끼운 상기 나일론 와셔(29), 하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10)의 링(26), 나일론 와셔(29), 안경다리 끝의 링(27), 나일론 와셔(29), 상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7)의 링(26), 나일론 와셔(29)는 축(23)과 축 나사(24)의 플랜지(30, 30)로 단단히 죄어진다. 또 상기 링(26, 27, 26)은 축 구멍(25, 25, 25)을 구비하고 있는데, 축(23)은 이들 축 구멍(25, 25, 25)과의 사이에 틈 없이 끼워지고, 그 때문에 축 구멍(25, 25, 25)은 약간 마이너스 클리어런스를 갖고 있다.
본 고안의 안경 프레임은 상 프레임과 하 프레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가는 선재를 굽힘성형 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특별한 단조용 금형은 불필요하게 되어, 제작 비용은 저렴하게 된다. 그리고, 상하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림 형상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프론트부의 디자인은 다종 다양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노즈 패드를 부착하는 다리도 하 프레임의 일부로서 성형되어, 납땜 작업이 필요 없게 됨으로써 제작 비용의 절감뿐만 아니라, 납땜이 불가능한 재질이어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프론트부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랩어라운드 엔드피스에는 링을 굽힘 가공 하여 형성하고, 이 링과 안경다리 끝에 굽힘가공 하여 형성한 링을 결합하고 나사체결 함으로써 안경다리를 접기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링의 축 구멍은 축과의 사이에 틈을 가지지 않도록 마이너스 클리어런스를 갖고, 축 구멍에 축이 끼워짐으로써 약간 탄성 확대하여 안경다리가 덜거덕거리지 않는다. 물론, 납땜가공 할 필요는 없고, 게다가 안경다리가 빠지거나 하지 않는다. 한편, 힌지 등의 이음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프레임을 구성하는 동일한 선재를 굽힘가공 하여 형성한 링을 축 받이로서 연결한 구조이므로, 선재로 구성하는 슬림한 안경 프레임의 외관도 손상되지 않는다.

Claims (2)

  1. 렌즈를 유지하는 프론트부와 상기 프론트부의 양측에 접을 수 있도록 부착된 안경다리를 갖는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부는 가는 선재을 재료로 하여 연결부의 양측에 반원호 형상의 상 림부를 갖는 상 프레임과, 연결부의 양측에 반원호 형상의 하 림부를 갖는 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하 프레임은 중앙연결부위에서 서로 걸어짐과 함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결합되고, 상기 하 프레임의 중앙연결부의 양측에는 하 림부와의 사이에 구멍을 가진 다리를 형성하고, 이 다리의 구멍에는 노즈패드의 고정부착부를 걸어맞추고, 프론트부의 외측에는 상 프레임 및 하 프레임을 굽힘성형 하여 축 구멍을 갖는 링을 상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와 하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에 형성하고, 또 안경다리 끝에도 축 구멍을 갖는 링을 굽힘성형 하여 설치하고, 이들 각 링을 결합하여 상기 축 구멍에 외경을 약간 크게 한 축을 덜거덕거리지 않도록 끼움과 동시에 나사고정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2. 렌즈를 유지하는 프론트부와 상기 프론트부의 양측에 접을 수 있도록 부착된 안경다리를 갖는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부는 가는 선재를 재료로 하여 연결부의 양측에 반원호 형상의 상 림부를 갖는 상 프레임과, 고장력실의 양 측단에는 갈고리와 하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를 갖는 하 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 프레임의 중앙연결부의 양측에는 상 림부와의 사이에 걸음부와 구멍을 가진 다리를 형성하고, 상기 다리의 구멍에는 노즈패드의 고정부착부를 걸어맞추고, 상기 하 림부의 갈고리를 상 프레임의 걸음부에 걸고, 그리고 상 프레임의 외측에는 굽힘성형 하여 축 구멍을 갖는 링을 상 랩어라운드 엔드피스부에 형성하고, 또 안경다리 끝에도 축 구멍을 갖는 링을 굽힘성형 하여 설치하고, 이들 각 링을 결합하여 상기 축 구멍에 외경을 약간 크게 한 축을 덜거덕거리지 않게 끼움과 동시에 나사고정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KR2020060011207U 2005-07-06 2006-04-26 안경 프레임 KR200421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207U KR200421957Y1 (ko) 2005-07-06 2006-04-26 안경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05-00005268 2005-07-06
KR2020060011207U KR200421957Y1 (ko) 2005-07-06 2006-04-26 안경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957Y1 true KR200421957Y1 (ko) 2006-07-20

Family

ID=41770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207U KR200421957Y1 (ko) 2005-07-06 2006-04-26 안경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9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4326B1 (en) Wire-and-thread rimmed frame for eyeglasses
US7540608B2 (en) Eyewear with improved sidepiece connection
KR20070009993A (ko) 안경용 스프링 힌지
KR20160046503A (ko) 플라스틱소재 안경테와 금속소재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CN106873174B (zh) 结构零件与眼镜镜片之扣接
CA2504180A1 (en) Spectacle frame and lens hanger
US7059716B2 (en) Device for fixing a structural part to an eyeglass lens
JP5873530B2 (ja) 犠牲ピンを有する腕時計
KR200421957Y1 (ko) 안경 프레임
KR20210013902A (ko) 무나사 안경힌지를 가지는 조립식 안경
US6328444B2 (en) Eyeglass frame formed without broaches or brazing
EP1662295A3 (en) Screw-less hinge for eyeglasses
EP0898728A1 (en) Wire frame for spectacles
JP2011064921A (ja) ノーズパッド取付構造及び眼鏡フレーム
KR200364408Y1 (ko) 안경다리 조립구조
WO2014122722A1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0246391Y1 (ko) 절곡철선 안경테
TW202043857A (zh) 眼鏡及其鏡框
KR200370336Y1 (ko) 무테안경의 안경다리 연결구
JP3054449U (ja) メガネのレンズ支持構造
JP3114436U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0272462Y1 (ko) 무테안경용 안경렌즈의 결합구조
WO2004003632A1 (ja) リムレス眼鏡部品
KR200372179Y1 (ko) 플라스틱 무테안경렌즈와 안경다리 조립을 위한 가사리결합구조
KR200243731Y1 (ko) 안경테용 코기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