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868B1 -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868B1
KR102499868B1 KR1020220023509A KR20220023509A KR102499868B1 KR 102499868 B1 KR102499868 B1 KR 102499868B1 KR 1020220023509 A KR1020220023509 A KR 1020220023509A KR 20220023509 A KR20220023509 A KR 20220023509A KR 102499868 B1 KR102499868 B1 KR 102499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teeth
unit
positioning
desired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희
Original Assignee
이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희 filed Critical 이선희
Priority to KR1020220023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868B1/ko
Priority to PCT/KR2022/002778 priority patent/WO202316325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치아를 선택적으로 덮도록 제공되는 소정의 보디를 형성하며, 소정의 보디가 치아를 선택적으로 포지셔닝하는 포지셔닝 유닛; 및 복수 개의 치아를 N개의 치아 집단으로 형성되는 미리 결정된 섹션으로 구획하고, 미리 결정된 섹션에 선택적으로 고정 배치되어 N개의 치아 집단에 선택적인 텐션을 제공하는 푸싱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System for orthodontic treatment having function of positioning by using selective hybrid type}
본 발명은 치아 교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 개의 치아를 영역에 따른 목적하는 방향으로 견인하기 위하여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의 교정을 이용하여 영역마다 개별적인 포지셔닝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치아 교정은 치열이 비뚤어진 치아, 돌출입, 부정교합인 치아를 고정식 혹은 가철식 보철장치를 이용해서 고르게 만들어주는 시술을 말한다.
치아 교정의 경우, 일상생활에 불편할 만큼 치열이 고르지 못한 것을 고쳐주는 의학적 용도와, 뒤틀려진 치아를 바로잡아 아름다운 얼굴로 만들어주는 미용적 용도를 함께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외모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다양한 치아 교정술과 장치들이 발전하며 교정 치료 시장이 급성장했다.
치아 교정 방법으로는 금속 혹은 세라믹 등 다양한 재료로 구성된 브라켓으로 된 교정 장치를 이용하는 일반 브라켓 치아 교정, 치아 안쪽에 교정 장치를 적용하는 설측 교정, 투명한 소재의 투명 교정기를 치아에 장착하여 교정하는 투명 교정 방식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금속 치아 교정의 경우 미관상 좋지 않으며, 설측 교정의 경우, 치아의 안쪽면에 교정되어 심미적 장점이 부각되나, 상대적으로 협소한 구강 안쪽으로 치아를 이동시켜야 하기에 정밀한 부착 및 시술이 요구된다.
투명 교정 방식의 경우, 대표적으로 미국의 얼라인테크놀리지사가 개발한 인비절라인이 존재하며, 개인 맞춤형으로 2주 간격으로 장치를 바꿔 끼워 단계별로 치아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교정치료가 이루어진다.
투명 교정 방식은 기존의 철사를 이용하여 교정하는 방식에 대한 장치의 불편함 개선, 심미적 효과, 교정기간 단축에 대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모든 부정교합에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투명 교정 방식의 경우, 사용자의 협조도에 따라 치료의 효과에 차이가 생길 수 있어, 브라켓 교정에 비하여 사용자의 협조도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아울러, 종래의 교정 방식의 경우 부적절한 치료로 인한 치아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의 경사 이동으로 인하여 턱관절 장애 및 안모 변화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종래의 교정 방식에 대한 부작용과 단점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교정 장치에 대한 다양한 기술적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투명 교정에 대한 선행문헌으로, "치아 위치를 수정하여 교정기를 수정하는 방법(등록번호 제10-2171194호, 특허문헌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1의 경우, 폴리머 쉘 기구가 주어지며, 이 폴리머 쉘 기구는 치아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작용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많은 실시 형태에서, 작용력은 의도된 치아 이동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되어있다. 폴리머 쉘 기구는 하나 이상의 치아 수용 공동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치아 수용 공동부 각각은 복수의 치아 각각의 카운터 모멘트를 가하도록 형성 및 배치되어 있다.
또한, "투명교정시스템(등록번호 제10-1676584호, 특허문헌 2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치아에 부착되는 치아부착교정물과 치아를 덮도록 형성되며, 치아부착교정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교정물 수용주머니가 구비된 투명한 투명치아교정기를 포함하되, 치아부착교정물은, 치아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축과; 수직축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축을 포함하되, 수직축과 수평축의 양단부는 곡면을 형성하고, 수직축과 수평축은 치아의 치면에 대해 90°이상 또는 90°이하의 각도로 배치되어 교정물수용주머니에 접촉지지되는 수직면을 포함하되, 치아 교정이 시작되면 교정물수용주머니는 치아부착교정물의 형상보다 여유가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치아 교정이 진행되면서 점차 치아부착교정물의 크기에 맞게 교정물수용주머니가 형성되며, 치아부착교정물은 부착되는 치아의 회전, 압하, 경사 중 적어도 하나의 교정종류에 따라 수직축과 수평축 각각의 길이와 높이, 부착위치, 부착개수가 조절되며, 치아부착교정물을 제조하기 위한 치아모형 상에서 수직축과 수평축 사이에 삽입되어 투명치아교정기가 치아에 가하는 교정력을 완화시키는 교정력완화부재와; 투명치아교정기의 좌우 어금니 부위에 협측 또는 설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되어 치아로부터 투명치아교정기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탈거돌기를 포함하며, 교정력완화부재는 상면이 완만한 곡면으로 치아모형 상에 부착되고, 교정물수용주머니는 치아부착교정물에 교정력완화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절연된 세그먼트를 갖는 치열 교정기(공개번호 제10-2022-0000961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세그먼트화된 치열 교정기는 적어도 제1 세그먼트와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각 세그먼트는 환자의 치아 세트에 부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세그먼트화된 교정기는 제1 세그먼트를 제2 세그먼트에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이 커넥터는 제1 세그먼트와 제2 세그먼트 사이의 힘 전달을 절연시킨다.
또한, 착탈식 교정기구의 형태와 와이어를 통한 교정의 형태를 복잡으로 사용한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공개번호 제10-2010-0011201호, 특허문헌 4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4의 경우, 치아 교정이 필요한 환자의 개개의 치아의 치형과 동일한 공동이 형성되어 있어 치아에 착탈이 가능한 다수개의 포켓 표면에 브라켓을 부착하고, 브라켓의 중 단 영역에 마련된 관통공에 와이어를 삽입하고 긴장력을 가하는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4의 발명에 따르면, 포켓과 브라켓을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하고, 포켓과 브라켓을 투명 레진으로 접착시킴으로써 교정 환자가 사회 활동을 할 때 발생하는 불면과 심리적 부담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허문헌 2의 교정부착물의 경우, 수평축과 수직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수평축과 수직축으로 형성된 경우, 투명장치가 깨지거나 마모됨으로 인하여 치아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투명교정기 착탈시 탈락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인용발명 1과 3에 해당하는 투명 교정 방식의 경우, 치근을 잡지 못하고 치아머리부터 삽입됨으로써 이격공간으로의 치아의 경사이동이 발생된다.
아울러, 인용발명 4의 경우, 사용자의 착탈로 인하여 치아의 치근까지 잡아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착탈식 장치 표면에 제공되는 와이어가 존재하는 부분만이 치아에 긴장력을 가함으로 발치되어 이격된 간격 사이로 치아가 티핑되는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인용발명 1, 3 및 기존의 투명교정 방식의 경우, 치료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치근이 평행하지 않고 기울어져서 치아사이의 공극(embrasure)이 커져서 음식물이 끼고 치은염 발생이 높아질 수 있으며, 치근과 치관이 모두 기울어(tipping) 상하악 구치부는 함입되어 상악과 하악의 교합평면 사이에 공간이 생기고, 발치와 부분의 전치부는 정출(extrusion)되어 어금니는 교합되지 않으면서 앞니가 교합되어 식사를 할 수 없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투명발치 교정방식으로 발치 공간으로 치아가 경사이동하여 닫히는 경우, 재교정을 위하여서는 다시 해당 공간을 연 다음에 치아뿌리를 바로 세우고 다시 평행이동하여 치아를 당겨야 하므로 재교정이 더욱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등록번호 제10-2171194호 등록번호 제10-1676584호 공개번호 제10-2022-0000961호 공개번호 제10-2010-0011201호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돌출입이나 공간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확보된 개별적인 치아 사이의 간격에 대한 이격 공간을 소멸시킬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발치로 인한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발치 공간으로의 전치부의 후방경사이동과 구치부의 전방경사이동으로 인한 치근의 티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발치 및 다양한 원인으로 형성된 전치부와 구치부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이 소멸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은 복수 개의 치아를 선택적으로 덮도록 제공되는 소정의 보디를 형성하며, 상기 소정의 보디가 상기 치아를 선택적으로 포지셔닝하는 포지셔닝 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치아를 N개의 치아 집단으로 형성되는 미리 결정된 섹션으로 구획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섹션에 선택적으로 고정 배치되어 상기 N개의 치아 집단에 선택적인 텐션을 제공하는 푸싱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 치아 중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치아로부터 돌출 제공되어 임의 굴곡을 형성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치아를 커버하는 커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상기 커버링부는, 상기 소정의 보디의 내주면이 상기 치아의 목적하는 방향에 대향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내주면이 상기 치아를 상기 목적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임의 굴곡을 따라 상기 커버링부가 상기 치아에 선택적인 외력을 형성하며, 상기 목적하는 방향에 대한 외력이 추가되어 상기 치아를 선택적으로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의 굴곡과 상기 커버링부의 텐션으로 상기 치아와의 접촉을 유지하며 상기 커버링부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상기 푸싱 유닛은, 상기 치아에 선택적으로 부착 고정되며 몸체를 형성하는 서포팅부; 상기 서포팅부를 연결하며, 상기 미리 결정된 섹션의 상기 N개의 치아 집단을 목적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프팅(sliding shifting)하는 커넥팅부; 및 상기 서포팅부에 상호간의 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미리 결정된 섹션 내 상기 치아 상호 간에 텐션을 제공하는 텐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상기 푸싱 유닛은, 상기 커넥팅부를 통해 상기 미리 결정된 섹션의 상기 N개의 치아 집단을 하나의 그룹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쉬프팅하며, 상기 텐션부를 통해 복수 개의 상기 치아 각각에 개별적으로 선택적인 텐션이 제공되어 상기 치아 상호 간에 상기 목적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치아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상기 푸싱 유닛은, 상기 N개의 치아 집단에 각각에 상호 인력을 발생시켜 상호간에 존재하는 이격 공간을 소멸시키도록 하는 치아 사이의 이격 공간을 소멸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i) 상기 N개의 치아 집단 전체 및 ii) 상기 복수 개의 치아 중 상기 N개의 치아 집단을 제외한 치아집단 사이의 이격 공간을 소멸시키도록 N개의 치아 집단을 목적하는 방향으로 시프팅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 개의 입자로 제공되어 상기 치아의 표면에 형성된 주름과 주름 사이에 배치되어 부분 함침 또는 도포되어 상호 인력과 척력을 형성하여, 상기 치아와의 부착력을 제공하는 어드히시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발치 투명 교정 후 발생되는 구치부 전반경사이동과 전치부 후방경사이동으로 치근이 티핑(tipping)되는 것을 방지한다.
둘째, 기존의 착탈형 장치의 문제점인 치근을 잡아주지 못하고 치아 머리부터 삽입됨으로 발생하는 이격 공간으로의 치체의 경사 이동을 방지한다.
셋째, 발치 공간으로의 전치부의 정출과 구치부의 경사 이동으로 인한 부정교합의 부작용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중 N개의 치아에 푸싱 유닛이 제공되고, 포지셔닝 유닛이 복수 개의 치아를 덮도록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포지셔닝 유닛의 제1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포지셔닝 유닛의 제2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종래의 브라켓 치아교정 방식을 도시한 것이며,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중 푸싱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중 푸싱 유닛이 복수 개의 치아를 N개의 치아 집단으로 형성되는 미리 결정된 섹션으로 구획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중 포지셔닝 유닛이 치아에 제공되며 가이드부에 선택적인 외력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중 포지셔닝 유닛이 복수 개의 치아에 제공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중 푸싱 유닛의 서포팅부, 커넥팅부, 텐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중 푸싱 유닛이 목적하는 방향에 따라 N개의 치아 집단을 (a) 하나의 집단으로 엮어주며, (b)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중 푸싱 유닛과 포지셔닝 유닛을 통하여 복수 개의 치아에 치아 사이의 이격 공간을 소멸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N개의 치아 집단을 목적하는 방향으로 시프팅시키는 힘이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치아의 표면의 SEM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중 어드히시브부가 치아의 표면에 부분 함침 또는 도포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a) 치아의 이상적인 배열과 (b) 이상적인 배열 라인으로부터 이탈되어 비틀어진 치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중 (a) 서포팅부가 제공된 이상적인 배열 라인으로부터 이탈되어 비틀어진 치아와 (b) 서포팅부의 미리 설정된 개념적 영역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중 N개의 치아에 푸싱 유닛이 제공되고, 포지셔닝 유닛이 복수 개의 치아를 덮도록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포지셔닝 유닛의 제1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포지셔닝 유닛의 제2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중 포지셔닝 유닛의 푸싱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중 푸싱 유닛이 복수 개의 치아를 N개의 치아 집단으로 형성되는 미리 결정된 섹션으로 구획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중 포지셔닝 유닛이 치아에 제공되며 가이드부에 선택적인 외력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중 포지셔닝 유닛이 복수 개의 치아에 제공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중 푸싱 유닛의 서포팅부, 커넥팅부, 텐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중 푸싱 유닛이 목적하는 방향에 따라 N개의 치아 집단을 (a) 하나의 집단으로 엮어주며, (b)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중 푸싱 유닛과 포지셔닝 유닛을 통하여 복수 개의 치아에 치아 사이의 이격 공간을 소멸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N개의 치아 집단을 목적하는 방향으로 시프팅시키는 힘이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치아의 표면의 SEM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중 어드히시브부가 치아의 표면에 부분 함침 또는 도포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a) 치아의 이상적인 배열과 (b) 이상적인 배열 라인으로부터 이탈되어 비틀어진 치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중 (a) 서포팅부가 제공된 이상적인 배열 라인으로부터 이탈되어 비틀어진 치아와 (b) 서포팅부의 미리 설정된 개념적 영역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은 포지셔닝 유닛(positioning unit, 100), 푸싱 유닛(pushing unit, 200)을 포함할 수 있다.
포지셔닝 유닛(100)의 경우, 복수 개의 치아(T)를 선택적으로 덮도록 제공되는 소정의 보디를 형성하며, 소정의 보디가 치아(T)를 선택적 포지셔닝 할 수 있다.
포지셔닝이라 함은, 치아(T)를 목적하는 위치와 방향으로 배열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푸싱 유닛(200)의 경우, 복수 개의 치아(T)를 N개의 치아 집단으로 형성되는 미리 결정된 섹션(section)으로 구획하고, 미리 결정된 섹션에 선택적으로 고정 배치되어 N개의 치아 집단에 선택적인 텐션을 제공한다.
미리 결정된 섹션의 경우, 동일한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공하는 하나의 집단에 해당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섹션은, N개의 치아 집단으로 형성되며, N 개의 치아 집단은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치아(T)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섹션(section#1~section#n)이 설정되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치아(T)의 경우, 각각의 치아(T)에 대한 번호를 가지고 있는데, FDI World Dental Federation notaion의 기준에 따라, 복수 개의 치아(T)를 4등분하고, 위쪽(Top)을 상악이라 하며, 아래쪽(Bottom)을 하악이라 하고, 우측과 좌측으로 나누어 상악 우측은 10번대, 상악 좌측은 20번대, 하악 좌측은 20번대, 하악 우측은 40번대의 번호를 가진다.
미리 결정된 섹션의 경우, 예컨대, 상악 좌측 어금니(도 4의 section #2), 앞니(도 4의 section #1), 상악 우측 어금니(도 4의 section #6)와 같이 부위별로 설정되어질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섹션에서 설정된 N개의 치아 집단은 치아(T)의 포지셔닝에 대한 목적하는 방향이 동일하게 설정되어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포지셔닝 유닛(100)은, 가이드부(110) 및 커버링부(12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110)의 경우, 치아(T) 중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제공되며, 치아(T)로부터 돌출 제공되어 임의 굴곡을 형성한다.
커버링부(120)의 경우, 가이드부(110)와 치아(T)를 커버한다.
가이드부(110)의 미리 설정된 위치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T)에 따라 위치가 상이하게 제공되어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10)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T)에 따라 골곡의 크기, 굴곡의 종류가 상이하게 제공되어질 수 있다.
가이드부(110)의 경우, 치아를 목적하는 방향으로 위치시키거나 치아를 목적하는 위치에 잡아 줄 수 있다.
즉, 가이드부(110)는 목적하는 방향으로 치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치아를 목적하는 위치에 홀딩시켜 치아 간의 티핑 또는 목적하는 방향 의외의 치아 간의 간격의 변화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커버링부(120)는, 소정의 보디의 내주면이 치아(T)의 목적하는 방향에 대향하도록 제공되어, 내주면이 치아(T)를 목적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커버링부(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T)를 가압하도록 제공된다.
커버링부(120)의 내주면은 복수 개의 치아(T) 중 각각의 치아(T)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가압한다.
목적하는 방향이라 함은, 치아(T)가 교정되고자 하는 위치(position)에 해당할 수 있으며, 나아가 치아(T)가 교정되고자 하는 방향(direction)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목적하는 방향은 치아(T)를 위치시키고자 하는 공간에 해당할 수 있으며, 돌아간 치아(T)의 방향을 위치하는 방향으로 교정하는 목적하는 방향에 해당할 수도 있는 것이다.
커버링부(120)는 치아(T)의 목적하는 방향에 해당하는 공간과 방향에 대향하도록 가압하여 치아(T)가 목적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포지셔닝 유닛(100)은, 가이드부(110)의 임의 굴곡을 따라 커버링부(120)가 치아(T)에 선택적인 외력을 형성하며, 목적하는 방향에 대한 외력이 추가되어 치아(T)를 선택적으로 가이드한다.
가이드부(110)의 임의 골곡을 따라 포지셔닝 유닛(100)은 치아(T) 선택적으로 외력을 제공하게 된다.
커버링부(120)는 가이드부(110)를 따라 압박하는 외력이 발생되며, 가이드부(110)에 제공되는 외력으로 인하여 치아(T)의 임의 방향에 대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10)를 따라 제공되는 외력으로 인하여 치아(T)를 선택적으로 목적하는 방향으로 치아(T)를 선택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여기서의 방향의 경우, 치아(T)의 각도(angle)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가이드부(110)를 가압하는 외력을 통하여 포지셔닝 유닛(100)은 치아(T)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가이드 할 수도 있다.
또한, 방향의 경우, 치아(T)의 함몰 또는 쏟아 오름에 대한 방향에 해당할 수 있는데, 가이드부(110)가 치아(T) 함몰 또는 쏟아 오름에 대한 방향을 가이드하는 경우, 가이드부(110)는 치아(T)를 목적하는 위치로 잡아둠으로 치아(T)를 목적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치아 사이의 이격 공간을 소멸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N개의 치아 집단을 목적하는 방향으로 시프팅시키는 힘을 이용한 선택적 가이드가 가능한 교정 시스템의 포지셔닝 유닛(100)은, 가이드부(110)의 굴곡과 커버링부(120)의 텐션으로 치아(T)와의 접촉을 유지하며 커버링부(12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한다.
커버링부(120)가 치아(T)와 가이드부(110)를 커버링부(120)의 텐션으로 커버함을 통하여 가이드부(110)의 임의 이탈이 방지된다.
커버링부(120)의 텐션은 소재가 가진 자체적 텐션과 치아(T)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구조의 합산으로 복수 개의 치아(T)에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푸싱 유닛(200)은, 서포팅부(210), 커넥팅부(220), 텐션부(230)를 포함한다.
서포팅(supporting)부(210)는 치아(T)에 선택적으로 부착 고정되어 몸체를 형성한다.
커넥팅(connecting)부(220)는 서포팅부(210)를 연결하며, 미리 결정된 섹션의 N개의 치아 집단을 목적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프팅(sliding shifting)하게 된다.
텐션(tension)부(230)는 서포팅부(210)에 상호간의 인력을 발생시켜, 미리 결정된 섹션 내 치아(T) 상호 간에 텐션을 제공한다.
푸싱 유닛(200)의 각각의 하부 구성은 복수 개의 치아(T)를 목적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고자 하는 것으로 제공되어진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팅부(210)는 복수 개의 치아(T) 중 각각의 치아(T)에 부착되어 제공된다.
커넥팅부(220)는 서포팅부(210)를 연결하여 복수 개의 치아(T) 중 N개의 치아 집단이 하나의 집단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텐션부(230)는 서포팅부(210) 각각에 상호간에 인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N개의 치아 집단 내 각각의 치아(T)에 상호 간에 텐션으로 인력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푸싱 유닛(200)의 커넥팅부(220)는 N개의 치아를 하나의 집단으로 묶음으로 치아(T)의 강성으로 인하여 일부 치아(T)가 틸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커넥팅부(220)와 텐션부(230)는 복수 개의 치아(T)를 목적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고 텐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커넥팅부(220)와 텐션부(230)의 상호 작용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푸싱 유닛(200)은, 커넥팅부(220)를 통해 미리 결정된 섹션의 N개의 치아 집단을 하나의 그룹으로서 슬라이딩 쉬프팅하며, 텐션부(230)를 통해 복수 개의 치아(T) 각각에 개별적으로 선택적인 텐션이 제공되어 치아(T) 상호 간에 목적하는 방향에 따라 치아(T)를 유도한다.
커넥팅부(220)는 미리 결정된 섹션의 N개의 치아 집단을 목적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쉬프팅하는 것으로,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개의 하나의 집단으로 목적하는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한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부(230)는 미리 결정된 섹션 내 각각의 치아(T)에 텐션을 제공하여 각각의 치아(T)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한다.
즉, 커넥팅부(220)의 경우 섹션과 섹션 사이에 이격 공간으로 치아(T)를 가이드 하는 것이며, 텐션부(230)는 치아(T)와 치아(T) 사이에 이격 공간이 좁혀지도록 치아(T)를 가이드 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종래의 교정 중 투명 교정의 경우, 발치된 공간과 전후방 치아의 티핑(tipping)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치아(T) 중 노출된 상단부와 하단부에 동일한 외력이 가해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본 발명의 경우, 미리 결정된 섹션의 N개의 치아 집단에 대한 목적하는 방향에 따라 치아 사이의 이격 공간을 소멸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N개의 치아 집단을 목적하는 방향으로 시프팅시키는 힘을 선택적으로 제공함을 통하여 목적하는 방향으로 N개의 치아 집단이 목적하는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싱 유닛(200)은, N개의 치아를 하나의 집단으로써 어금니가 이격 공간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하며, 포지셔닝 유닛(100)을 통하여 N개의 치아 집단 중 앞니에 해당하는 집단을 도 9 (a)의 도시된 방향에 대한 목적하는 방향으로 당겨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푸싱 유닛(200)은, N개의 치아 집단에 각각에 상호 인력을 발생시켜 상호간에 존재하는 이격 공간을 소멸시키도록 하는 치아 사이의 이격 공간을 소멸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제공한다.
푸싱 유닛(200)의 경우,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텐션부(230)를 통하여 N개의 치아 집단 각각에 상호 인력을 발생시켜 상호 간의 이격 공간을 소멸하도록 하는 것이다.
푸싱 유닛(200)은 N개의 치아 집단에 대한 치아(T)각각에 상호 인력을 발생시켜 치아(T) 각각에 대한 치아 사이의 이격 공간을 소멸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제공함으로 치아(T) 사이의 이격 공간을 소멸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포지셔닝 유닛(100)은, N개의 치아 집단 전체 및 복수 개의 치아(T) 중 N개의 치아 집단을 제외한 치아 집단 사이의 이격 공간을 소멸시키도록 N개의 치아 집단을 목적하는 방향으로 시프팅시키는 힘을 제공한다.
포지셔닝 유닛(100)의 경우, 치아 집단과 치아 집단 사이의 이격 공간이 소멸되도록 하는 N개의 치아 집단을 목적하는 방향으로 시프팅시키는 힘이 제공되는 것으로, N개의 치아 집단을 집단에 따라 목적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함을 통하여 집단과 집단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지셔닝 유닛(100)과 푸싱 유닛(200)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포지셔닝 유닛(100)과 푸싱 유닛(200)은 각각의 치아(T)에 대한 치아 사이의 이격 공간을 소멸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N개의 집단에 대한 N개의 치아 집단을 목적하는 방향으로 시프팅시키는 힘을 제공함을 통하여 목적하는 방향으로 치아(T)를 견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가이드부(110)는, 복수 개의 입자로 제공되어 치아(T)의 표면에 형성된 주름(W)과 주름 사이에 배치되어 부분 함침 또는 도포되어 상호 인력과 척력을 형성하여, 치아(T)와의 부착력을 제공하는 어드히시브부(111)를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T)의 경우 표면에 미세한 주름을 형성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10)의 경우, 치아(T)와의 부착력을 형성하는 어드히시브부(111)를 포함하는데, 어드히시브부(111)는 치아(T)의 미세 주름에 부분 함침 또는 도포됨을 통하여 상호 인력을 형성하여 치아(T)와의 부착력을 제공한다.
어드히시브부(111)의 경우, 치아 표면의 주름에 함침되어 가이드부(111)의 임의 이탈, 이동을 방지하며, 어드히시브부(111)는 치아(T)의 표면의 주름과 매칭되는 주름을 형성하여 부분 함침되도록 하는 것이다.
어드히시브부(111)의 경우, 복수 개의 비경화 입자로 형성되어 치아 표면에 제공되며, 치아(T)의 표면의 미세 주름 사이로 부분 함침되며, 비경화 입자의 상호 인력에 의하여 치아 표면에 부착력을 제공한다.
어드히시브부(111)는 치아 표면에 적용되는 상호 인력과 가이드부(110)를 붙잡는 상호 인력을 통하여 가이드부(110)와 치아 표면 사이에 제공되는 인력을 통하여 어드히시브부(111)는 치아 표면에 가이드부(110)가 부착되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어드히시브부(111)는 치아 표면에 적용되는 상호 인력과 서포팅부(210)를 붙잡는 상호 인력을 통하여 서포팅부(210)가 치아의 표면에 부착되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포지셔닝 유닛(100)의 경우, 미세한 움직임으로 인한여 가이드부(110)와 치아와의 이격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움직임으로 인하여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목적하는 방향으로 치아를 가이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어드히시브부(111)통한 치아 주름 내의 함침으로 통한 가이드부(110)의 부착은 사용자의 미세한 움직임으로 형성될 수 있는 이격 공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치아(T)의 경우, 이상적인 배열 라인(Ideal alignment line)을 가지며 배열되며, 이상적인 배열 라인에서 어긋나는 경우, 교정을 통하여 치아의 회전, 포지셔닝이 필요할 수 있는데,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금니(구치)가 이상적인 배열 라인 상에서 벗어난 경우, 특정 앵글(theta) 만큼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치아를 견인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의 서포팅부(210)가 치아(T)에 제공되는 경우, 어드히시브부(111)를 통하여 부착된다.
서포팅부(210) 중 치아(T)에 부착되는 면은 미리 설정된 개념적 영역(R)을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미리 설정된 개념적 영역(R)은 결과적으로 어드히시브부(111)의 두께의 차등화에 따라 어드히시브부(111)가 적용된 후에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영역에 해당한다.
미리 설정된 개념적 영역(R) 내에 제공되는 어드히시브부(111)는 미리 설정된 개념적 영역(R) 마다 상이한 두께와 면적의 차등화를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예컨대,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개념적 영역(R)의 영역별로 미리 설정된 개념적 영역a(R-a)는 어드히시브부(111)의 두께가 얇게 제공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개념적 영역b(R-b)는 어드히시브부(111)의 두께가 두껍게 제공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미리 설정된 개념적 영역(R)에 대한 어드히시브부(111)의 두께와 면적은 치아(T)의 틀어진 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치아(T)가 이상적인 배열 라인으로부터 틀어진 각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개념적 영역(R)에 대한 영역별로 어드히시브부(111)의 두께와 면적에 차등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T: 치아
W: 치아 표면의 주름
100: 포지셔닝 유닛(positioning unit)
110: 가이드(guide)부
111: 어드히시브(adhesive)부
120: 커버링(covering)부
200: 푸싱 유닛(pushing unit)
210: 서포팅(supporting)부
220: 커넥팅(connecting)부
230: 텐션(tension)부

Claims (10)

  1. 복수 개의 치아를 덮도록 선택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복수 개의 치아를 목적하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견인하는 포지셔닝 유닛(positioning unit); 및
    상기 복수 개의 치아를 N개의 치아 집단으로 형성되는 미리 결정된 섹션으로 구획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섹션에 선택적으로 고정 배치되어 상기 N개의 치아 집단에 선택적인 견인력을 제공하는 푸싱 유닛(pushing unit)을 포함하되,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 치아 중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치아로부터 돌출 제공되어 임의 굴곡을 형성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치아를 커버하는 커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링부는,
    내주면이 상기 치아의 목적하는 방향에 대향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내주면이 상기 치아를 상기 목적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임의 굴곡을 따라 상기 커버링부가 상기 치아에 선택적인 외력을 형성하며, 상기 목적하는 방향에 대한 외력이 추가되어 상기 치아를 선택적으로 견인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굴곡과 상기 커버링부의 텐션으로 상기 치아와의 접촉을 유지하며 상기 커버링부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푸싱 유닛은,
    상기 치아에 선택적으로 부착 고정되며 몸체를 형성하는 서포팅부;
    상기 서포팅부를 연결하며, 상기 미리 결정된 섹션의 상기 N개의 치아 집단을 목적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프팅(sliding shifting)하는 커넥팅부; 및
    상기 서포팅부에 상호간의 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미리 결정된 섹션 내 상기 치아 상호 간에 텐션을 제공하는 텐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텐션부는,
    상기 서포팅부 각각에 배치되며, 상기 서포팅부에 상호간에 인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N개의 치아 집단 내 각각의 상기 치아에 상호 간에 텐션으로 인한 인력이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푸싱 유닛은,
    상기 커넥팅부를 통해 상기 미리 결정된 섹션의 상기 N개의 치아 집단을 하나의 그룹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시프팅하며,
    상기 텐션부를 통해 복수 개의 상기 치아 각각에 개별적으로 선택적인 텐션이 제공되어 상기 치아 상호 간에 상기 목적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치아를 유도하고,
    상기 N개의 치아 집단에 각각에 상호 인력을 발생시켜 상호간에 존재하는 이격 공간을 소멸시키도록 N 개의 치아 집단을 시프팅하며,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치아 집단과 치아 집단 사이의 이격 공간이 소멸되도록 상기 N개의 치아 집단을 목적하는 방향으로 시프팅하며,
    상기 N개의 치아 집단을 목적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각각의 치아 사이의 이격 공간을 소멸시키며,
    상기 가이드부는,
    치아 표면에 형성된 주름과 주름 사이에 배치되고 부분 함침 또는 도포되어 상호 인력과 ?r력을 형성하여, 상기 치아와의 부착력을 제공하는 어드히시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드히시브부는,
    복수 개의 비경화 입자로 형성되어 상기 치아 표면에 제공되며, 상기 치아의 표면의 미세 주름 사이로 부분 함침되며, 상기 복수 개의 비경화 입자의 상호 인력에 의하여 상기 치아 표면에 부착력을 제공하며, 상기 치아 표면에 적용되는 상호 인력과 상기 서포팅부와의 상호 인력을 통하여 상기 서포팅부가 상기 치아 표면에 부착을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서포팅부는,
    상기 치아에 부착되는 면에 미리 설정된 개념적 영역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개념적 영역은,
    상기 어드히시브부에 미리 설정된 개념적 영역마다 상이한 두께와 면적의 차등화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되, 치아의 이상적인 배열 라인으로부터 틀어진 각도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개념적 영역별로 상기 어드히시브의 두께와 면적에 차등화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고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023509A 2022-02-23 2022-02-23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KR102499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509A KR102499868B1 (ko) 2022-02-23 2022-02-23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PCT/KR2022/002778 WO2023163250A1 (ko) 2022-02-23 2022-02-25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509A KR102499868B1 (ko) 2022-02-23 2022-02-23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868B1 true KR102499868B1 (ko) 2023-02-13

Family

ID=85202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509A KR102499868B1 (ko) 2022-02-23 2022-02-23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9868B1 (ko)
WO (1) WO2023163250A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843Y1 (ko) * 1999-12-23 2000-06-01 전윤식 치아교정용 접착식 교정선
KR20100011201A (ko) 2008-07-24 2010-02-0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
KR101676584B1 (ko) 2015-12-18 2016-11-15 이민정 투명교정시스템
JP2017505181A (ja) * 2014-01-31 2017-02-16 アライ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弾性体を有する歯列矯正器具
US20180049846A1 (en) * 2014-03-13 2018-02-22 Martz, Inc. Tooth-positioning appliance for closing spaces
US20180177570A1 (en) * 2016-12-28 2018-06-28 Ormco Corporation Light assisted orthodontic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20180092709A (ko) * 2017-02-10 2018-08-20 주식회사 석랩 치아 교정용 장치
KR101978890B1 (ko) * 2017-12-07 2019-05-15 문성철 투명 치아 교정장치
US20200237481A1 (en) * 2012-02-15 2020-07-30 Align Technology, Inc. Orthodontic appliances that accommodate incremental and continuous tooth movement, systems and methods
KR102171194B1 (ko) 2015-01-05 2020-10-28 얼라인 테크널러지, 인크. 치아 위치를 수정하여 교정기를 수정하는 방법
KR20220000961A (ko) 2014-11-12 2022-01-04 얼라인 테크널러지, 인크. 절연된 세그먼트를 갖는 치열 교정기
CN215606409U (zh) * 2021-04-01 2022-01-25 正雅齿科科技(上海)有限公司 牙科器械及壳状矫正器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843Y1 (ko) * 1999-12-23 2000-06-01 전윤식 치아교정용 접착식 교정선
KR20100011201A (ko) 2008-07-24 2010-02-0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
US20200237481A1 (en) * 2012-02-15 2020-07-30 Align Technology, Inc. Orthodontic appliances that accommodate incremental and continuous tooth movement, systems and methods
JP2017505181A (ja) * 2014-01-31 2017-02-16 アライ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弾性体を有する歯列矯正器具
US20180049846A1 (en) * 2014-03-13 2018-02-22 Martz, Inc. Tooth-positioning appliance for closing spaces
KR20220000961A (ko) 2014-11-12 2022-01-04 얼라인 테크널러지, 인크. 절연된 세그먼트를 갖는 치열 교정기
KR102171194B1 (ko) 2015-01-05 2020-10-28 얼라인 테크널러지, 인크. 치아 위치를 수정하여 교정기를 수정하는 방법
KR101676584B1 (ko) 2015-12-18 2016-11-15 이민정 투명교정시스템
US20180177570A1 (en) * 2016-12-28 2018-06-28 Ormco Corporation Light assisted orthodontic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20180092709A (ko) * 2017-02-10 2018-08-20 주식회사 석랩 치아 교정용 장치
KR101978890B1 (ko) * 2017-12-07 2019-05-15 문성철 투명 치아 교정장치
CN215606409U (zh) * 2021-04-01 2022-01-25 正雅齿科科技(上海)有限公司 牙科器械及壳状矫正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63250A1 (ko) 202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01485C (en) Orthodontic assembly
JP2020179302A (ja) 再位置決め顎エレメントを有する歯科器具
US6572372B1 (en) Embedded features and methods of a dental appliance
US20100092905A1 (en) Orthodontic power arm
US20180333228A1 (en) Apparatus for Applying Corrective Forces to Shape Palate
US20150305832A1 (en) System for moving and aligning teeth
JP2020501837A (ja) 上顎歯列矯正装置
CN111012531B (zh) 调整上下颌位关系牙科器械的设计方法及制备方法
US20220401186A1 (en) Orthodontic assembly
US8651857B2 (en) Dental appliance
CN111281578A (zh) 牙齿矫治器的设计方法及制备方法、牙齿矫治系统
KR101343129B1 (ko) 치아 교정장치
CN102772254B (zh) 一种工作翼上自带弹性圈锁扣的自锁托槽
CN215606409U (zh) 牙科器械及壳状矫正器
Kurz The use of lingual appliances for correction of bimaxillary protrusion (four premolars extraction)
KR102499868B1 (ko) 선택적 하이브리드 타입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WO20150525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a tooth
KR102181459B1 (ko) 치열 교정용 브래킷
CN210170199U (zh) 一种唇舌侧联合隐形矫治牙套及系统
CN217660203U (zh) 用于错颌畸形治疗的牙科器械、牙科器械套组及牙科矫治系统
CN214434573U (zh) 一种舌侧施力内收前牙的无托槽隐形矫治器的复合装置
CN214180636U (zh) 一种牙科器械及壳状牙齿矫治系统
CN219846879U (zh) 一种舌侧推杆整体远移后牙列的装置
KR20230166268A (ko) 선택적 텐션의 디렉션을 이용한 영역별 포지셔닝이 가능한 견인 교정 시스템
WO2023199327A1 (en) Orthodontic aligner with elastomeric inner surface and rigid outer surface, and methods of orthodontic treatment with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