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493B1 - 오수처리시설용 스크린 탱크 - Google Patents

오수처리시설용 스크린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493B1
KR102499493B1 KR1020200106022A KR20200106022A KR102499493B1 KR 102499493 B1 KR102499493 B1 KR 102499493B1 KR 1020200106022 A KR1020200106022 A KR 1020200106022A KR 20200106022 A KR20200106022 A KR 20200106022A KR 102499493 B1 KR102499493 B1 KR 102499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creen
pipe
sewage
foreign subs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5387A (ko
Inventor
서창섭
Original Assignee
에스제이환경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제이환경건설(주) filed Critical 에스제이환경건설(주)
Priority to KR1020200106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4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25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01D29/68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with backwash arms or shoes acting on the cak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처리시설용 스크린 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이물질을 걸러낸 오수가 유입되고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거름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과 스크린의 외주면에 이물질이 달라붙거나 쌓이지 않도록 공기를 쏴내는 공기세척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수처리시설용 스크린 탱크는 화장지 및 물티슈, 위생용품 등과 같이 자연분해가 어려운 이물질을 스크린으로 걸러내어 오수와 함께 섞여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스크린에 자연분해가 어려운 이물질 외에 분뇨가 쌓여서 오수의 유입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공기세척부가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스크린을 세척함으로써 이송배관의 막힘에 대한 걱정없이 오수처리시설을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가동률과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오수처리시설용 스크린 탱크{Screen tank for sewage treatment facilities}
본 발명은 오수처리시설에 설치되어 자연분해가 어려운 이물질이 오수에 섞이지 않게 분리하는 스크린 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되는 오수가 경유되는 침전 분리조 또는 유량 조정조와 같은 저장탱크에서 이송배관을 통하여 오수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때 화장지 및 물티슈, 위생용품 등 분해가 어려운 이물질이 이송배관을 막지 않도록 스크린을 형성하고 스크린에 일정한 압력을 가지는 공기를 분사시켜 달라붙어 있던 이물질을 떨어뜨림으로써 이물질이 배관을 막아버리거나 유량조정펌프를 고장 내는 것을 방지해 오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스크린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명의 발전과 함께 빠르게 산업화가 이루어지면서 그에 따른 부산물로 많은 쓰레기가 배출된다.
배출되는 쓰레기에는 가정, 산업현장 및 축산농가 등에서 배출되는 폐수 및 오수가 포함되는데,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해서 하천 등으로 내보내게 되면 작게는 하천을 포함한 주변환경과 크게는 지구 전체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한 오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23314호;와 같이 오폐수를 단계별로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작용을 거쳐서 정화시킨 다음 방류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을 포함하는 오폐수처리시설이 개시되고 있다.
오폐수처리시설에서 오폐수를 정화하는 과정중에 섞여있는 이물질(Scum)을 분리하는 단계가 있는데, 오폐수를 분리조와 같은 별도의 저장탱크에 모아 두었다가 이물질이 수면 위로 떠오르거나 가라앉도록 기다려 오폐수와 분리하고, 이물질이 분리된 오폐수는 배관을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어 여러 작용을 거치면서 정화된다.
한편, 가정 또는 공용시설에 위치한 화장실에서 배출되는 오수도 저장조로 이동하게 되는데, 함께 사용한 화장지 및 물티슈, 위생용품 등 분해가 늦거나 불가능한 물건을 변기에 같이 버림으로써 오수와 섞여서 배출된다.
배출되는 오수는 분리조 등의 저장탱크에 모여 이물질이 침전되거나 부유되기를 기다린 다음 이송배관을 통해서 다음 공정으로 오수를 이동시킨다.
이때, 분뇨와 같이 자연분해되는 이물질이 아닌 특수한 화장지, 물티슈, 위생용품 등과 같이 자연분해되지 않고 본래의 형상을 지니고 있는 이물질이 오수와 함께 이송배관으로 빨려들어가 이송배관을 막아버려 오수가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함은 물론, 이송배관을 작동시키는 펌프를 고장 내는 등 오수처리시설의 가동을 멈춰버리게 하여 시간과 금전적인 손해를 포함해 오수처리시설의 가동률과 오수정화의 효율성을 낮추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2331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자연분해가 어려운 화장지 및 물티슈와 같은 이물질로 인해 오수의 이동을 위한 이송배관이나 스크린이 막혀 오수처리시설의 가동이 멈춰 가동률과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스크린에 의해 여과된 오수를 효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오수처리시설용 스크린 탱크는, 배출관을 통해 모이는 오수 속에서 자연분해되지 않는 화장지 및 물티슈, 위생용품 등을 물리적으로 걸러내기 위해서 오수가 유입되며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거름구멍과 필요에 따라 이송배관 등 여러 가지 배관이 조립되는 덮개를 가지고 있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해 거름망의 역할을 하는 스크린, 스크린의 내측에 위치해 거름구멍으로 압축공기를 분출하는 제1 공기배관과 스크린의 외측 하단에 위치해 스크린의 외주면으로 압축공기를 쏴내는 제2 공기배관으로 구성되어 스크린에 이물질이 달라붙거나 쌓이지 않도록 세척해주는 공기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수처리시설용 스크린 탱크는, 침전 분리조 또는 유량 조정조와 같이 오수를 모아두는 저장탱크에 설치되어 오수가 이송배관에 흡입되어 이동할 때, 이물질이 섞여 들어가 이송배관을 막아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이물질이 누적되어 이송배관이 막히는 걱정 없이 오수처리시설을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가동률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스크린 탱크의 사시도
도 2는 스크린 탱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스크린 탱크의 작용예시도
도 4는 스크린 탱크의 설치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오수처리시설용 스크린 탱크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을 본 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기재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탱크(1)는 이송배관(2)이 오수(4)를 흡입할 때 이물질(5)이 섞여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거름망의 역할을 하는 스크린(10)과 스크린(10)의 외주면에 달라붙어 있는 이물질(5)을 제거하여 스크린을 세척하는 공기세척부(20)로 구성된다.
스크린(10)은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원통형 바구니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고, 내측에는 제1 공기배관(21)과 이송배관(2)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있고 위쪽은 개방되어 있어 덮개(10-2)를 조립하며, 전후좌우를 포함한 외주면에는 공기가 배출되고 오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거름구멍(10-1)이 형성된다.
덮개(10-2)에는 에어 리프트 방식으로 오수를 이동시키는 이송배관(2)과 제1 공기배관(21)이 관통되게 조립되어 스크린(10) 내측 공간에 위치되게 하며, 스크린(10)의 상부에서 이물질(5)이 스크린(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덮개(10-2)가 조립된 스크린(10)은 거름구멍(10-1)을 통해서 공기는 배출되고 오수는 유입되는 출입구가 된다.
공기세척부(20)는 제1 공기배관(21)과 제2 공기배관(22)으로 구성되며, 제1 공기배관(21)은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측방분사관(23)에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기구멍(24)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제2 공기배관(22)은 링 형태의 원형으로 되어 있는 상방분사관(23')에 공기 배출을 위해 하나 이상의 공기구멍(24)이 윗쪽을 바라보게 형성되어 스크린(10)의 하단에 설치된다.
제1 공기배관(21)이 덮개(10-2)에 조립될 때 측방분사관(23)이 아래로 향하게끔 조립되어 스크린(10) 내측 중앙에 위치하게 되고, 제2 공기배관(22)은 직경이 좁은 스크린(10)의 외측 하단을 둘러 감싸도록 위치하여 상방분사관(23')의 공기구멍(24)을 통해 스크린(10)의 표면을 향해 상부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한다.
제1 공기배관(21)과 제2 공기배관(22)에는 밸브(25)가 설치되어 있어 배출되는 공기압을 조절하거나 오수(4)의 역류를 방지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스크린 탱크(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배출배관(6)을 통해 저장조(3)로 오수(4)가 배출된다.
오수(4)에는 분뇨를 포함한 화장지, 물티슈, 위생용품 등의 이물질(5)이 섞여있다.
이물질(5)이 섞인 오수(4)가 저장조(3)에 모여서 쌓이게 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물질(5)이 부유하거나 침전되면서 자연분해되고 공기배관(2-2)으로 압축된 공기를 주입해 공기의 상승에 의하여 오수(4)가 같이 상승하는 방식으로 오수배관(2-1)을 타고 이동하게 하는 에어 리프트(Air Lift) 방법을 이용하여 오수(4)를 다음 공정을 위한 장소로 이동시킨다
이때, 분뇨 외에 화장지, 물티슈, 위생용품 등의 자연분해가 어려워 원래 형태를 가지고 오수(4) 속에 남아있는 이물질(5)이 오수(4)와 함께 오수배관(2-1)으로 유입되어 빨려들어갈 수 있는데, 이물질(5)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거름구멍(10-1)으로 인해 이물질(5)은 스크린(10)의 외부에서 걸러지고 오수(4)만 내부로 유입되어 오수배관(2-1)을 흡입되어 이동한다.
또한, 거름망 역할을 하는 스크린(10)으로 인해 걸러진 이물질(5)은 이송배관(2)이 오수(4)를 빨아들이는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스크린(10)의 외주면에 달라붙어 거름구멍(10-1)을 가리거나 일부가 빨려들어가서 오수(4)의 유입을 방해하는데, 스크린(10)의 내측에 위치한 제1 공기배관(21)의 측방분사관(23)이 거름구멍(10-1)에 위치한 방사상의 측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해 달라붙어 있는 이물질(5)을 떨어트린다.
상기 측방분사관(23)의 분리 작용에 더하여 스크린(10)의 외측 하단에 위치한 제2 공기배관(22)의 상방분사관(23')에서 스크린(10)의 위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제1 공기배관(21)으로 인해 떨어진 이물질(5)을 쏘아 올려 오수(4)의 수면위로 떠오르게 한다. 이때 스크린(10)의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방분사관(23')에서 분사된 공기가 스크린(10)의 외면을 타고 올라가면서 측방분사관(23)으로 인해 분리된 이물질을 더 멀리 분리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측방분사관(23)의 공기분출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스크린(10)의 외면에 달라붙은 이물질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배관에 위치한 밸브(25)로 인해 공기압을 조절하거나 공기배출 후 오수(4)가 역류하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공기세척부(20)는 자연분해가 되지않는 이물질(5) 외에도 분뇨 등이 스크린(10)에 쌓여 거름구멍(10-1)을 막아버리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세척하여 이물질(5)이 최대한 걸러진 오수(4)가 유입되어 정화되도록 함으로써 오수처리시설의 가동률과 효율성을 향상시켜준다.
1: 스크린 탱크
10: 스크린
10-1: 거름구멍 10-2: 덮개
20: 공기세척부
21: 제1 공기배관
22: 제2 공기배관
23: 측방분사관 23': 상방분사관
24: 공기구멍
25: 밸브
2: 이송배관
2-1: 오수배관 2-2: 공기배관
3: 저장조
4: 오수
5: 이물질
6: 배출배관

Claims (2)

  1. 저장조(3)에 설치되어 자연분해가 어려운 이물질로 인해 오수의 이동을 위한 이송배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린 탱크(1)에 있어서,
    스크린(10)은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원통형 바구니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고, 내측에는 제1 공기배관(21)과 이송배관(2)이 위치하고, 외주면에는 공기가 배출되고 오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거름구멍(10-1)이 형성되며,
    덮개(10-2)에는 오수를 이동시키는 이송배관(2)과 제1 공기배관(21)이 관통되게 조립되어 스크린(10) 내측 공간에 위치되게 하되, 이송배관(2)은 공기배관(2-2)으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 리프트방식으로 공기의 상승에 의하여 오수배관(2-1)으로 오수가 이동하게 하며,
    공기세척부(20)는 제1 공기배관(21)과 제2 공기배관(22)이 구성되며, 제1 공기배관(21)은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측방분사관(23)에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기구멍(24)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제2 공기배관(22)은 링 형태의 원형으로 구성되고 직경이 좁은 스크린(10)의 외측 하단을 둘러 감싸도록 위치하여 상방분사관(23')의 공기구멍(24)을 통해 경사진 스크린(10)의 표면을 향해 상부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제1 공기배관(21)으로 인해 떨어진 이물질(5)을 쏘아 올려 오수(4)의 수면위로 떠오르게 하고, 스크린(10)의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방분사관(23')에서 분사된 공기가 스크린(10)의 외면을 타고 올라가면서 측방분사관(23)으로 인해 분리된 이물질을 더 멀리 분리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측방분사관(23)의 공기분출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스크린(10)의 외면에 달라붙은 이물질까지 제거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시설용 스크린 탱크.
  2. 삭제
KR1020200106022A 2020-08-24 2020-08-24 오수처리시설용 스크린 탱크 KR102499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022A KR102499493B1 (ko) 2020-08-24 2020-08-24 오수처리시설용 스크린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022A KR102499493B1 (ko) 2020-08-24 2020-08-24 오수처리시설용 스크린 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387A KR20220025387A (ko) 2022-03-03
KR102499493B1 true KR102499493B1 (ko) 2023-02-14

Family

ID=80818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022A KR102499493B1 (ko) 2020-08-24 2020-08-24 오수처리시설용 스크린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4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2936A (ja) * 2007-11-06 2009-05-28 Tsukishima Kikai Co Ltd 濾過装置の洗浄方法および濾過装置
KR200489003Y1 (ko) * 2018-10-26 2019-04-17 최양덕 수질방류수의 셀프 클리닝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855A (ko) 2005-04-19 2005-05-11 강성환 자동제어 수처리공정
KR20110091095A (ko) * 2010-02-05 2011-08-11 김재철 수질 원격감시 시스템용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2936A (ja) * 2007-11-06 2009-05-28 Tsukishima Kikai Co Ltd 濾過装置の洗浄方法および濾過装置
KR200489003Y1 (ko) * 2018-10-26 2019-04-17 최양덕 수질방류수의 셀프 클리닝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387A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488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JP4632939B2 (ja) 水の浄化装置並びに水の浄化方法、排ガス処理装置用の浄化装置並びに排ガス処理装置用の浄化システム
KR101436281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1759931B1 (ko) 경량 여재식 다단 습지여상
KR101656493B1 (ko)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기
KR102232052B1 (ko) 도로살수장치
US7540954B2 (en)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KR101637562B1 (ko) 우수 처리 장치
JP2008168295A (ja) 湿地型水質浄化処理装置における汚泥の処理方法
JP4633502B2 (ja) 砂分離洗浄装置
KR100874477B1 (ko) 수처리용 침전조
KR102499493B1 (ko) 오수처리시설용 스크린 탱크
KR101768117B1 (ko) 다기능 우수겸용 오수받이
JP5051921B2 (ja) 洗浄水リサイクル機構付き吸引清掃車
KR200406764Y1 (ko) 일체형 스크린 및 원통형 모래제거기
JP3175010B2 (ja) 固液分離装置
KR101185763B1 (ko) 월류수 처리장치
KR100968579B1 (ko) 저비중세척액을 이용한 변기장치
CN108928941A (zh) 一种新型厨房生活污水处理装置
JP2007000737A (ja) 既存の処理施設を有効利用した合流式下水道の固液分離装置及び下水処理方法
KR100979530B1 (ko) 하수 처리 장치
KR101749521B1 (ko)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
KR101799745B1 (ko) 원형 침사 유분 제거 시스템
JP2007090291A (ja) 水の濾過装置
KR101318801B1 (ko) 부양식 악취 정화 배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