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129B1 - 오점 제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점 제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129B1
KR102499129B1 KR1020220161036A KR20220161036A KR102499129B1 KR 102499129 B1 KR102499129 B1 KR 102499129B1 KR 1020220161036 A KR1020220161036 A KR 1020220161036A KR 20220161036 A KR20220161036 A KR 20220161036A KR 102499129 B1 KR102499129 B1 KR 102499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leaning composition
stains
removing st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1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철
Original Assignee
스피드세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피드세탁(주) filed Critical 스피드세탁(주)
Priority to KR1020220161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1/00Special methods for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detergents ; Methods for using cleaning compositions
    • C11D11/0005Special cleaning or washing methods
    • C11D11/0011Special cleaning or 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 C11D11/0017"Soft" surfaces, e.g. text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18Hydrocarbons
    • C11D3/181Hydrocarbons linea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18Hydrocarbons
    • C11D3/188Terp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65Poly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68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11D3/2082Poly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6Preparations containing enzymes, e.g. protease or amylase
    • C11D3/38645Preparations containing enzymes, e.g. protease or amylase containing cellul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Abstract

본 발명은 볼펜잉크를 포함하는 잉크류 및 틴트를 포함하는 화장품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제1 세정 조성물; 짬뽕, 라면 및 찌개를 포함하는 국물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제2 세정 조성물; 커피, 주스 및 와인을 포함하는 음료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제3 세정 조성물; 김치양념, 간장, 식초 및 토마토소스를 포함하는 양념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제4 세정 조성물; 및 초코우유, 딸기우유, 바나나우유 및 혈흔을 포함하는 단백질 함유 조성물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제5 세정 조성물;을 포함하는 오점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오점 제거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moving stains}
본 발명은 오점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에는 볼펜잉크를 포함하는 잉크류, 틴트를 포함하는 화장품류, 짬뽕, 라면 및 찌개를 포함하는 국물류, 커피, 주스 및 와인을 포함하는 음료류, 김치양념, 간장, 식초 및 토마토소스를 포함하는 양념류, 초코우유, 딸기우유, 바나나우유 및 혈흔을 포함하는 단백질 함유 조성물류 등 다양한 물질들이 묻어 오점이 발생하게 되고 이런 경우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비누등의 세제를 이용하여 상기 오점을 제거하고 있으나, 그 효능이 미비하여 오점이 묻은 상태로 의복을 착용하거나 또는 세탁소에 오점의 제거를 의뢰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세탁소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오점을 제거하는데 매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수성계의 세탁용 얼룩제거 조성물은 포도 쥬스, 머스타드, 풀(grass), 쵸코렛, 점토 및 유사한 얼룩을 포함하여 소위 수분-함유 얼룩을 제거하도록 제조된다. 이러한 제형은 식용유, 지방, 스파게티 소스, 피지, 그리스 및 모터 오일등으로부터의 얼룩을 포함하는 오일-함유 얼룩을 제거할때에는 효율성이 부족하다.
아직까지 다양한 오점을 제거하는 방법이 뚜렷히 사용되는 것이 없고 다만 각자의 노하우나 경험칙에 비추어 작업을 하고 있어 고객의 의류를 탈색시킨다던지 또는 원단의 손실등으로 인한 사고가 매우 빈번한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세탁에 사용되는 세제는 일반 합성세제와 드라이세제가 있고, 유용성 오점(기름, 구두약, 페인트)을 제거하는 벤젠이나 신나 등이 있는바, 종래의 세탁기에서 세탁시 세탁하고자 하는 세탁물에 유용성 오점, 즉 기계유, 광유, 인주, 껌, 화장품, 구두약, 구리스, 페인트, 식용유, 볼펜잉크 등과 같은 오점이 묻었을 경우, 세탁기로 세탁시 통상의 세제 또는 드라이 세제로는 상기 세탁물에 묻은 오점 중 전체 30%정도는 제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세정하는 데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또한 제거 효과도 기대에 못미치는 미흡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세탁을 하고 난후, 제거되지 않은 오점에 대하여는 별도의 드라이 크리닝하지 않으면 오점을 제거할 수 없어, 반드시 드라이 크리닝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드라이 크리닝은 인화성이 높은 벤젠이나 독성이 강항 퍼크로 에칠렌을 사용하게 되므로 일반인들이 구입하여 사용하기 불편함이 많고 상기 드라이 크리닝 실시예 별도의 비용부담 뿐만 아니라 세탁 및 드라이 크리닝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한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110926호에는 유성오점제거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실제 오점을 얼마나 제거하였는지 알 수 없으며, 오점을 형성하는 물질 중 일부만을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 적용되어 여전히 손쉽게 오점을 제거할 수 있는 조성물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 등에 다양한 오점을 형성하는 물질들을 대상으로 하여 효과적으로 오점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오점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볼펜잉크를 포함하는 잉크류 및 틴트를 포함하는 화장품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제1 세정 조성물;
짬뽕, 라면 및 찌개를 포함하는 국물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제2 세정 조성물;
커피, 주스 및 와인을 포함하는 음료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제3 세정 조성물;
김치양념, 간장, 식초 및 토마토소스를 포함하는 양념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제4 세정 조성물; 및
초코우유, 딸기우유, 바나나우유 및 혈흔을 포함하는 단백질 함유 조성물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제5 세정 조성물;을 포함하는 오점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세정 조성물은 n-헥산 3-7 중량부, 메틸렌 클로라이드 3-7 중량부, 부틸카비톨(buthyl carbitol) 66-70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D-리모넨 0.5-4 중량부 및 아세톤 8-1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세정 조성물은 이소프로필알콜 28-32 중량부, 부틸카비톨 28-32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15-19 중량부, D-리모넨 1-5 중량부 및 화이트오일 18-2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세정 조성물은 글리세린 28-32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에탄올 18-22 중량부, 옥살산 8-12 중량부 및 정제수 28-3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세정 조성물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소듐 에톡사이드(sodium ethoxide) 1-5 중량부 및 에탄올 85-89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세정 조성물은 프로테아제(protease), 아밀라아제(amylase), 리파아제(lipase), 펙티나아제(pectinas), 만난아제(mannanase) 및 셀룰라아제(cellulase)를 포함하는 복합 액상 효소 48-52 중량부, 글리세린 18-22 중량부 및 증류수 28-3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n-헥산 3-7 중량부, 메틸렌 클로라이드 3-7 중량부, 부틸카비톨(buthyl carbitol) 66-70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D-리모넨 0.5-4 중량부 및 아세톤 8-1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이소프로필알콜 28-32 중량부, 부틸카비톨 28-32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15-19 중량부, D-리모넨 1-5 중량부 및 화이트오일 18-2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글리세린 28-32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에탄올 18-22 중량부, 옥살산 8-12 중량부 및 정제수 28-3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3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소듐 에톡사이드(sodium ethoxide) 1-5 중량부 및 에탄올 85-89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4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프로테아제(protease), 아밀라아제(amylase), 리파아제(lipase), 펙티나아제(pectinas), 만난아제(mannanase) 및 셀룰라아제(cellulase)를 포함하는 복합 액상 효소 48-52 중량부, 글리세린 18-22 중량부 및 증류수 28-3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5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오점이 형성된 의류에 상기 제1 세정 조성물, 상기 제2 세정 조성물, 상기 제3 세정 조성물, 상기 제4 세정 조성물 및 상기 제5 세정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이용하여 오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점이 볼펜잉크를 포함하는 잉크류 및 틴트를 포함하는 화장품류로부터 발생한 오점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세정 조성물을 이용하고,
상기 오점이 짬뽕, 라면 및 찌개를 포함하는 국물류로부터 발생한 오점인 경우 상기 제2 세정 조성물을 이용하고,
상기 오점이 커피, 주스 및 와인을 포함하는 음료류로부터 발생한 오점인 경우 상기 제3 세정 조성물을 이용하고,
상기 오점이 김치양념, 간장, 식초 및 토마토소스를 포함하는 양념류로부터 발생한 오점인 경우 상기 제4 세정 조성물을 이용하고,
상기 오점이 초코우유, 딸기우유, 바나나우유 및 혈흔을 포함하는 단백질 함유 조성물류로부터 발생한 오점인 경우 상기 제5 세정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의 오점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점 제거용 조성물은 의류 등에 발생하는 다양한 오점을 형성하는 물질들을 대상으로 하여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오점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볼펜잉크를 포함하는 잉크류 및 틴트를 포함하는 화장품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제1 세정 조성물;
짬뽕, 라면 및 찌개를 포함하는 국물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제2 세정 조성물;
커피, 주스 및 와인을 포함하는 음료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제3 세정 조성물;
김치양념, 간장, 식초 및 토마토소스를 포함하는 양념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제4 세정 조성물; 및
초코우유, 딸기우유, 바나나우유 및 혈흔을 포함하는 단백질 함유 조성물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제5 세정 조성물;을 포함하는 오점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점 제거용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점 제거용 조성물은 의류 등에 발생하는 다양한 오점을 형성하는 물질들을 대상으로 하여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오점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오점 제거용 조성물은 상기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세정 조성물, 상기 제2 세정 조성물, 상기 제3 세정 조성물, 상기 제4 세정 조성물 및 상기 제5 세정 조성물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세정 조성물, 상기 제2 세정 조성물, 상기 제3 세정 조성물, 상기 제4 세정 조성물 및 상기 제5 세정 조성물로 구성되는 오점 제거용 조성물 세트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1 세정 조성물은 n-헥산 3-7 중량부, 메틸렌 클로라이드 3-7 중량부, 부틸카비톨(buthyl carbitol) 66-70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D-리모넨 0.5-4 중량부 및 아세톤 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n-헥산 4-6 중량부, 메틸렌 클로라이드 4-6 중량부, 부틸카비톨(buthyl carbitol) 67-69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9-11 중량부, D-리모넨 1-3 중량부 및 아세톤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세정 조성물은 볼펜잉크를 포함하는 잉크류 및 틴트를 포함하는 화장품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 제거에 용이하다.
상기 제2 세정 조성물은 이소프로필알콜 28-32 중량부, 부틸카비톨 28-32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15-19 중량부, D-리모넨 1-5 중량부 및 화이트오일 18-2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소프로필알콜 29-31 중량부, 부틸카비톨 29-31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16-18 중량부, D-리모넨 2-4 중량부 및 화이트오일 19-2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화이트오일은 주로 가소제로 사용되는 물질로, 본 발명에서는 국물류 오염물의 제거를 위한 세정 조성물로 적용된다. 상기 화이트오일은 서진화학의 제품명 KL-350, KL-1100B 등으로 입수 가능하다.
상기 제2 세정 조성물은 짬뽕, 라면 및 찌개를 포함하는 국물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 제거에 용이하다.
상기 제3 세정 조성물은 글리세린 28-32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에탄올 18-22 중량부, 옥살산 8-12 중량부 및 정제수 28-3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글리세린 29-31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9-11 중량부, 에탄올 19-21 중량부, 옥살산 9-11 중량부 및 정제수 29-3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세정 조성물은 커피, 주스 및 와인을 포함하는 음료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 제거에 용이하다.
상기 제4 세정 조성물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소듐 에톡사이드(sodium ethoxide) 1-5 중량부 및 에탄올 85-89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이온 계면활성제 9-11 중량부, 소듐 에톡사이드(sodium ethoxide) 2-4 중량부 및 에탄올 86-8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4 세정 조성물은 김치양념, 간장, 식초 및 토마토소스를 포함하는 양념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 제거에 용이하다.
상기 제5 세정 조성물은 프로테아제(protease), 아밀라아제(amylase), 리파아제(lipase), 펙티나아제(pectinas), 만난아제(mannanase) 및 셀룰라아제(cellulase)를 포함하는 복합 액상 효소 48-52 중량부, 글리세린 18-22 중량부 및 증류수 28-3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합 액상 효소 49-51 중량부, 글리세린 19-21 중량부 및 증류수 29-3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5 세정 조성물은 초코우유, 딸기우유, 바나나우유 및 혈흔을 포함하는 단백질 함유 조성물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 제거에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n-헥산 3-7 중량부, 메틸렌 클로라이드 3-7 중량부, 부틸카비톨(buthyl carbitol) 64-66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D-리모넨 0.5-4 중량부 및 아세톤 8-1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이소프로필알콜 28-32 중량부, 부틸카비톨 28-32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15-19 중량부, D-리모넨 1-5 중량부 및 화이트오일 18-2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글리세린 28-32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에탄올 18-22 중량부, 옥살산 8-12 중량부 및 정제수 28-3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3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소듐 에톡사이드(sodium ethoxide) 1-5 중량부 및 에탄올 85-89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4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프로테아제(protease), 아밀라아제(amylase), 리파아제(lipase), 펙티나아제(pectinas), 만난아제(mannanase) 및 셀룰라아제(cellulase)를 포함하는 복합 액상 효소 48-52 중량부, 글리세린 18-22 중량부 및 증류수 28-3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5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오점이 형성된 의류에 상기 제1 세정 조성물, 상기 제2 세정 조성물, 상기 제3 세정 조성물, 상기 제4 세정 조성물 및 상기 제5 세정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이용하여 오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점이 볼펜잉크를 포함하는 잉크류 및 틴트를 포함하는 화장품류로부터 발생한 오점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세정 조성물을 이용하고,
상기 오점이 짬뽕, 라면 및 찌개를 포함하는 국물류로부터 발생한 오점인 경우 상기 제2 세정 조성물을 이용하고,
상기 오점이 커피, 주스 및 와인을 포함하는 음료류로부터 발생한 오점인 경우 상기 제3 세정 조성물을 이용하고,
상기 오점이 김치양념, 간장, 식초 및 토마토소스를 포함하는 양념류로부터 발생한 오점인 경우 상기 제4 세정 조성물을 이용하고,
상기 오점이 초코우유, 딸기우유, 바나나우유 및 혈흔을 포함하는 단백질 함유 조성물류로부터 발생한 오점인 경우 상기 제5 세정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의 오점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류의 오점을 제거하는 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의 오점을 제거하는 방법은 제1 세정 조성물, 제2 세정 조성물, 제3 세정 조성물, 제4 세정 조성물 및 제5 세정 조성물을 포함하는 오점 제거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세정 조성물은, n-헥산 3-7 중량부, 메틸렌 클로라이드 3-7 중량부, 부틸카비톨(buthyl carbitol) 64-66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D-리모넨 0.5-4 중량부 및 아세톤 8-1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제2 세정 조성물은 이소프로필알콜 28-32 중량부, 부틸카비톨 28-32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15-19 중량부, D-리모넨 1-5 중량부 및 화이트오일 18-2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제3 세정 조성물은 글리세린 28-32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에탄올 18-22 중량부, 옥살산 8-12 중량부 및 정제수 28-3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제4 세정 조성물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소듐 에톡사이드(sodium ethoxide) 1-5 중량부 및 에탄올 85-89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제5 세정 조성물은 프로테아제(protease), 아밀라아제(amylase), 리파아제(lipase), 펙티나아제(pectinas), 만난아제(mannanase) 및 셀룰라아제(cellulase)를 포함하는 복합 액상 효소 48-52 중량부, 글리세린 18-22 중량부 및 증류수 28-3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의류의 오점을 제거하는 방법은 오점이 형성된 의류에 상기 제1 세정 조성물, 상기 제2 세정 조성물, 상기 제3 세정 조성물, 상기 제4 세정 조성물 및 상기 제5 세정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이용하여 오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오점이 볼펜잉크를 포함하는 잉크류 및 틴트를 포함하는 화장품류로부터 발생한 오점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세정 조성물을 이용한다.
상기 오점이 짬뽕, 라면 및 찌개를 포함하는 국물류로부터 발생한 오점인 경우 상기 제2 세정 조성물을 이용한다.
상기 오점이 커피, 주스 및 와인을 포함하는 음료류로부터 발생한 오점인 경우 상기 제3 세정 조성물을 이용한다.
상기 오점이 김치양념, 간장, 식초 및 토마토소스를 포함하는 양념류로부터 발생한 오점인 경우 상기 제4 세정 조성물을 이용한다.
상기 오점이 초코우유, 딸기우유, 바나나우유 및 혈흔을 포함하는 단백질 함유 조성물류로부터 발생한 오점인 경우 상기 제5 세정 조성물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각 오점이 발생한 원인이 되는 물질에 따라 상기 제1 세정 조성물, 상기 제2 세정 조성물, 상기 제3 세정 조성물, 상기 제4 세정 조성물 및 상기 제5 세정 조성물 중 1종을 적절히 적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의류의 오점을 제거할 수 있다.
각 세정 조성물을 이용하는 방법은 각 세정 조성물을 최소 한방울 단위 이상을 사용하여 의류에 형성된 오점에 묻혀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의 오점을 제거하는 방법은 오점을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 오점이 형성된 의류에 전처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전처리 조성물은 상기 제1 세정 조성물, 상기 제2 세정 조성물, 상기 제3 세정 조성물, 상기 제4 세정 조성물 및 상기 제5 세정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오점을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 오점이 형성된 의류에 상기 제1 세정 조성물, 상기 제2 세정 조성물, 상기 제3 세정 조성물, 상기 제4 세정 조성물 및 상기 제5 세정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이용하여 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오점이 볼펜잉크를 포함하는 잉크류 및 틴트를 포함하는 화장품류로부터 발생한 오점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세정 조성물을 이용한다.
상기 오점이 짬뽕, 라면 및 찌개를 포함하는 국물류로부터 발생한 오점인 경우 상기 제1 세정 조성물을 이용한다.
상기 오점이 커피, 주스 및 와인을 포함하는 음료류로부터 발생한 오점인 경우 상기 제4 세정 조성물을 이용한다.
상기 오점이 김치양념, 간장, 식초 및 토마토소스를 포함하는 양념류로부터 발생한 오점인 경우 상기 제3 세정 조성물을 이용한다.
상기 오점이 초코우유, 딸기우유, 바나나우유 및 혈흔을 포함하는 단백질 함유 조성물류로부터 발생한 오점인 경우 상기 제1 세정 조성물 또는 상기 제2 세정 조성물을 이용한다.
상기와 같이 전처리하는 단계를 거치는 경우 더욱 높은 세정력을 발휘하여 오점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제1 세정 조성물의 제조
n-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부틸카비톨(buthyl carbitol),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D-리모넨 및 아세톤을 혼합하여 제1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되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n-헥산 3 5 3 5 5
메틸렌 클로라이드 7 5 7 5 5
부틸카비톨 68 68 68 66 70
비이온 계면활성제 10 10 10 10 10
D-리모넨 2 2 2 2 2
아세톤 10 10 10 12 8
<실시예 6-8> 제2 세정 조성물의 제조
이소프로필알콜(IPA), 부틸카비톨,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D-리모넨 및 화이트오일을 혼합하여 제2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되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IPA 28 30 32
부틸카비톨 32 30 28
비이온 계면활성제 17 17 17
D-리모넨 3 3 3
화이트오일 20 20 20
<실시예 9-11> 제3 세정 조성물의 제조
글리세린,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에탄올, 옥살산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제3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되 하기 표 3에 나타낸 조성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글리세린 28 30 32
비이온 계면활성제 10 10 10
에탄올 20 20 20
옥살산 12 10 8
정제수 30 30 30
<실시예 12-14> 제4 세정 조성물의 제조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소듐 에톡사이드(sodium ethoxide) 및 에탄올을 혼합하여 제4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되 하기 표 4에 나타낸 조성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비이온 계면활성제 8 10 12
소듐 에톡사이드 5 3 1
에탄올 87 87 87
<실시예 15-17> 제5 세정 조성물의 제조
프로테아제(protease), 아밀라아제(amylase), 리파아제(lipase), 펙티나아제(pectinas), 만난아제(mannanase) 및 셀룰라아제(cellulase)를 포함하는 복합 액상 효소, 글리세린 및 증류수를 혼합하여 제5 조성물을 제조하되 하기 표 5에 나타낸 조성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복합 액상 효소 48 50 52
글리세린 22 20 18
증류수 30 30 30
<실험예 1>
볼펜잉크, 라면국물, 커피, 김치양념 및 초코우유 중 하나의 오염물질로 흰색 수건에 각각 처리하여 각 오염물질로부터 오점이 형성된 흰색 수건을 준비하였다.
볼펜잉크로부터 오점이 형성된 흰색 수건에는 상기 실시예 1-5에서 제조된 제1 세정 조성물을 사용하고, 라면국물로부터 오점이 형성된 흰색 수건에는 상기 실시예 6-8에서 제조된 제2 세정 조성물을 사용하고, 커피로부터 오점이 형성된 흰색 수건에는 상기 실시예 9-11에서 제조된 제3 세정 조성물을 사용하고, 김치양념으로부터 오점이 형성된 흰색 수건에는 상기 실시예 12-14에서 제조된 제4 세정 조성물을 사용하고, 초코우유로부터 오점이 형성된 흰색 수건에는 상기 실시예 15-17에서 제조된 제5 세정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각 세정 조성물을 오점이 형성된 수건에 1 ml씩 도포하여 세정한 후, 전문가 10인의 도움을 받아 오염물질로 처리되기 전 흰색 수건에 대한 오염물질(오점)의 세척정도를 평가하였고, 오염물질 처리 전 수건을 10, 각 세정 조성물을 이용한 오염물질 제거 후 오염된 수건의 오염정도를 0으로 기준해서 세탁정도를 10.0-0.0으로 평가하였고, 전문가 10인의 평가결과를 평균으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세정력 8.98 9.85 9.07 9.21 9.30 9.10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세정력 9.89 9.27 9.48 9.86 9.61 9.28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
세정력 9.85 9.40 9.22 9.86 9.31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점 제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물질들에 의해 발생한 오점을 제거하는 경우 최소 9.0 이상의 세정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실시예 2, 실시예 7, 실시예 10, 실시예 13 및 실시예 16의 세정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9.8 이상으로 매우 우수한 세정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점 제거용 조성물을 이용한 전처리하는 단계 및 오점을 제거하는 단계를 통해 다단계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세정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와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되, 전처리하는 단계로 오점이 형성된 흰색 수건에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세정제 조성물을 적용한 후, 오점 제거는 각 세정 조성물을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동일하게 세정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전처리에 사용된 세정 조성물 실시예 7 실시예 2 실시예 13 실시예 10 실시예 2
오점 제거에 사용된 세정 조성물 실시예 2 실시예 7 실시예 10 실시예 13 실시예16
세정력 9.94 9.95 9.94 9.94 9.96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점 제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및 오점을 제거하는 단계의 다단계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9.94-9.96의 세정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n-헥산 3-7 중량부, 메틸렌 클로라이드 3-7 중량부, 부틸카비톨(buthyl carbitol) 66-70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D-리모넨 0.5-4 중량부 및 아세톤 8-12 중량부로 이루어진 제1 세정 조성물;
    이소프로필알콜 28-32 중량부, 부틸카비톨 28-32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15-19 중량부, D-리모넨 1-5 중량부 및 화이트오일 18-22 중량부로 이루어진 제2 세정 조성물;
    글리세린 28-32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에탄올 18-22 중량부, 옥살산 8-12 중량부 및 정제수 28-32 중량부로 이루어진 제3 세정 조성물;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소듐 에톡사이드(sodium ethoxide) 1-5 중량부 및 에탄올 85-89 중량부로 이루어진 제4 세정 조성물; 및
    프로테아제(protease), 아밀라아제(amylase), 리파아제(lipase), 펙티나아제(pectinas), 만난아제(mannanase) 및 셀룰라아제(cellulase)를 포함하는 복합 액상 효소 48-52 중량부, 글리세린 18-22 중량부 및 증류수 28-32 중량부로 이루어진 제5 세정 조성물;을 포함하는 오점 제거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정 조성물은 볼펜잉크를 포함하는 잉크류 및 틴트로 이루어진 화장품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세정 조성물은 짬뽕, 라면 및 찌개로 이루어진 국물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세정 조성물은 커피, 주스 및 와인으로 이루어진 음료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4 세정 조성물은 김치양념, 간장, 식초 및 토마토소스로 이루어진 양념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5 세정 조성물은 초코우유, 딸기우유, 바나나우유 및 혈흔으로 이루어진 단백질 함유 조성물류로부터 발생하는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점 제거용 조성물.
  3. n-헥산 3-7 중량부, 메틸렌 클로라이드 3-7 중량부, 부틸카비톨(buthyl carbitol) 66-70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D-리모넨 0.5-4 중량부 및 아세톤 8-1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이소프로필알콜 28-32 중량부, 부틸카비톨 28-32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15-19 중량부, D-리모넨 1-5 중량부 및 화이트오일 18-2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글리세린 28-32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에탄올 18-22 중량부, 옥살산 8-12 중량부 및 정제수 28-3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3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8-12 중량부, 소듐 에톡사이드(sodium ethoxide) 1-5 중량부 및 에탄올 85-89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4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프로테아제(protease), 아밀라아제(amylase), 리파아제(lipase), 펙티나아제(pectinas), 만난아제(mannanase) 및 셀룰라아제(cellulase)를 포함하는 복합 액상 효소 48-52 중량부, 글리세린 18-22 중량부 및 증류수 28-3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5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오점이 형성된 의류에 상기 제1 세정 조성물, 상기 제2 세정 조성물, 상기 제3 세정 조성물, 상기 제4 세정 조성물 및 상기 제5 세정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이용하여 오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의 오점을 제거하는 방법.
KR1020220161036A 2022-11-27 2022-11-27 오점 제거용 조성물 KR102499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036A KR102499129B1 (ko) 2022-11-27 2022-11-27 오점 제거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036A KR102499129B1 (ko) 2022-11-27 2022-11-27 오점 제거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129B1 true KR102499129B1 (ko) 2023-02-14

Family

ID=85220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1036A KR102499129B1 (ko) 2022-11-27 2022-11-27 오점 제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1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8151A (ja) * 2010-06-23 2015-06-1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汚れた布地の前処理及び洗濯方法並びに洗濯用製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8151A (ja) * 2010-06-23 2015-06-1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汚れた布地の前処理及び洗濯方法並びに洗濯用製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6917B1 (en) Liquid unit dose detergent composition
EP1517982B1 (en) Ionic liquid based product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A1202858A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FI73731B (fi) Tygrengoeringsmedel som laempar sig foer lerbaseradeflaeckar.
DE69630577T2 (de) Vorwasch Fleckenentfernerzusammensetzung mit Tensid auf Basis von Siloxan
JP2003003200A (ja) 洗浄用組成物
JPS63284300A (ja) 硬質表面用洗浄剤
EP0666308A2 (en) Multi-purpose liquid cleaning compositions
CN1606613A (zh) 清洁剂组合物以及器具洗涤方法
US5156760A (en) Surface cleaning compositions
KR102499129B1 (ko) 오점 제거용 조성물
WO2012036703A1 (en) Reduced caustic laundry detergents based on extended chain surfactants
KR101952912B1 (ko) 액체 세제 조성물
US20120122746A1 (en) Compositions
KR100494626B1 (ko) 헹굼성이 우수한 주방용 세제 조성물
JP3209777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DE4418487C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Naßreinigungsmittelkombination nach dem Baukasten-System
JPH0598294A (ja) 洗浄剤組成物
CA2793837C (en) Laundry pretreatment compositions containing fatty alcohols
EP3532583B1 (en) Glycerin ethoxylate as an active ingredient in removing make-up stain
WO2024089070A2 (en) Detergents and cleaning compositions with improved degreasing power
JP2000096086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WO2024089071A1 (en) Textile treatment composition for anti-yellowing
CA2755741C (en) Eco-friendly laundry pretreatment compositions
JP2022145351A (ja) 靴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