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945B1 - 와이어 개별화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개별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945B1
KR102498945B1 KR1020150138150A KR20150138150A KR102498945B1 KR 102498945 B1 KR102498945 B1 KR 102498945B1 KR 1020150138150 A KR1020150138150 A KR 1020150138150A KR 20150138150 A KR20150138150 A KR 20150138150A KR 102498945 B1 KR102498945 B1 KR 102498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hannel
movable plate
wires
f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7819A (ko
Inventor
매튜 스티븐 하우저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37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2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wire-feed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B21F23/005Feeding discrete lengths of wire or r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3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deformable terminals, e.g. crimpin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는 와이어 퍼널(112) 및 와이어 채널(118)을 사이에 정의하는 고정판(114) 및 가동판(146)을 포함한다. 가동판은 고정판에 대하여 이동 가능해서 와이어 채널의 폭(156)을 제어한다. 와이어 퍼널은 복수의 와이어(102)를 포함하는 와이어 다발(104)을 수용한다. 와이어 채널은 와이어 퍼널 아래에 있고, 와이어 퍼널로부터 와이어 채널 내의 상구 개구(160)를 통해 와이어들을 수용한다. 와이어 채널은 와이어들을 한번에 하나씩 와이어 채널의 저부 개구(162) 아래의 취득 구역(122)으로 유도한다. 와이어 채널의 저부 개구 아래의 와이어 이송 부재(124)는 취득 구역 내에 와이어를 수용하는 슬롯(126)을 갖는다. 와이어 이송 부재는 고정판 및 가동판에 대하여 이동해서 와이어 다발로부터 슬롯 내의 와이어를 분리한다.

Description

와이어 개별화 장치{WIRE SINGULATING DEVICE}
본 명세서에서의 주제는 일반적으로 와이어들의 다발로부터 와이어들을 개별화(singulate)하도록 구성된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많은 전기 시스템은 전기 리드(electrical lead)들을 활용하여 전기 부품들 또는 장치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전기 리드들은 통상적으로 와이어의 세그먼트를 절단하고, 와이어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를 스트리핑(stripping)하며, 그런 다음 단자를 와이어 세그먼트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크림핑(crimping)함으로써 제조된다. 공지된 리드 제조 작업은 기계의 비용 및 복잡도에 따라 상이한 자동화 수준을 갖는다. 예를 들면, 반자동 벤치 기계(bench machine)에서, 사람의 조작자는 와이어의 단부 상에 단자를 크림핑하는 종단기에 와어어를 한번에 하나씩 제공한다. 다른 예에서, 일부 리드 제조 기계(lead-maker machine)는 완전히 자동화되어, 와이어가 자동적으로 스풀(spool)들로부터 인출되고, 소정 길이로 절단되며, 특정 종단기에 제공되어 미리 선택된 단자를 수용한다.
양쪽 유형의 작업들은 인식하고 있는 문제점들 또는 단점들을 갖는다. 반자동 벤치 기계에서는, 예를 들면 조작자는 2백개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는 와이어들의 다발로부터 각 개별 와이어를 끌어당기고 각 와이어를 종단기에 제공하도록 한다. 따라서, 벤치 기계는 와이어 다발로부터 와이어들을 분리 또는 개별화하는 데에 상당한 사람의 개입을 필요로 하여, 리드 제조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제한하고 또한 조작자 보상을 위한 비용을 필요로 한다. 완전 자동화된 리드 제조 기계들은 와이어 다발로부터 와이어들을 개별화하기 위한 벤치 기계들로서 사람의 개입 수준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리드 제조 기계들은 통상적으로 벤치 머신들보다도 매우 많이 복잡하고 고가이다. 예를 들면, 완전 자동화된 리드 제조기는 벤치 기계보다도 10배 더 비쌀 수 있어, 비용이 엄청날 수 있다. 공지된 벤치 기계들보다도 자동화되고 완전 자동화된 리드 제조기와 같이 복잡하거나 비싸지 않은, 다발로부터 와이어들을 자동적으로 개별화하는 와이어 종단 장치에 대한 필요가 여전하다.
상기 문제점은 고정판, 가동판, 및 와이어 이송 부재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와이어 개별화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고정판 및 가동판은 그들 사이에 와이어 퍼널(wire funnel) 및 와이어 채널을 정의한다. 와이어 채널은 와이어 퍼널 아래에 배치된다. 가동판은 고정판에 대하여 이동 가능해서 와이어 채널의 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와이어 퍼널은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와이어 다발을 수용한다. 와이어 채널은 와이어 퍼널로부터 와이어 다발의 와이어들을 수용하는 상부 개구(top opening)를 갖는다. 와이어 채널은 와이어들을 한번에 하나씩 와이어 채널의 저부 개구(bottom opening) 아래의 취득 구역(take away zone)으로 유도한다. 와이어 이송 부재는 와이어 채널의 저부 개구 아래에 배치된다. 와이어 이송 부재는 저부 개구와 정렬되고 취득 구역 내에 와이어를 수용하는 슬롯을 갖는다. 와이어 이송 부재는 고정판 및 가동판에 대하여 이동해서 와이어 다발로부터 슬롯 내의 와이어를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이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로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개별화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개별화 장치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개별화 장치 및 와이어 다발의 일부분의 정면 확대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나타낸 와이어 개별화 장치 및 와이어 다발의 부분의 정면 확대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와이어 개별화 장치 및 와이어 다발의 부분의 정면 확대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개별화 장치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개별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개별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개별화 시스템(100)의 사시도이다. 와이어 개별화 시스템(100)은 다수의 와이어(102)를 포함하는 와이어 다발(104)로부터 개별 와이어들(102)을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와이어 다발(104)은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백개의 와이어(102)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개별화 시스템(100)은 가공하기 위해, 예를 들면 와이어(102)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고, 크림핑하기 위해 와이어(102)를 프레핑(prepping)하며,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와이어(102)에 크림핑하기 위해서 와이어들(102)을 한번에 하나씩 자동적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와이어 개별화 시스템(100)이 와이어 다발(104)로부터 개별 와이어들(102)을 분리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되지만, 와이어 개별화 시스템(10)은 추가적인 기능성, 예를 들면 분리된 개별 와이어들(102)을 크핌핑용 종단기(도시하지 않음)에 또는 다른 가공 장치 또는 스테이션에 제공하도록 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와이어 개별화 시스템(100)은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 와이어 다발(104), 및 와이어 이송 장치(108)를 포함한다. 와이어 다발(104)의 원위 단부(distal end)(110)는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의 와이어 퍼널(112) 내에 수용된다. 와이어 퍼널(112)은 대향하는 제1 및 제2 판(114, 116) 사이에 정의된다. 와이어 채널(118)은 와이어 퍼널(112) 아래에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상대적 또는 공간적 용어들, 예를 들면 "상부", "저부", "위", "아래", "좌", "우", "전방", 및 "후방"은 참조되는 요소들을 구별하는 데에만 사용되는 것일 뿐 와이어 개별화 시스템(100) 또는 이 와이어 개별화 시스템(100)의 주위 환경에서 특정 위치들 또는 배향들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와이어 퍼널(112)이 와이어 채널(118) 내로 개방되어 와이어 퍼널(112) 내의 와이어들(102)이 와이어 채널(118) 내로 안내된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는 분동(weight)(120)을 포함한다. 분동(120)은 제1 및 제2 판(114, 116) 사이의 와이어 퍼널(112)을 가로질러서 연장된다. 분동(120)은 위로부터 와이어 다발(104)과 맞물려서 와이어 채널(118)을 향해서 와이어 다발(104) 위에 힘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분동(120)은 와이어 다발(104)의 개별 와이어들(102)을 와이어 채널(118) 내로 강제한다. 분동(120)은 또한 클램프(clamp)로서 작용해서 와이어 퍼널(112) 내에 와이어 다발(104)을 보유할 수 있다.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는 한번에 하나의 와이어(102)를 와이어 채널(118) 아래의 취득 구역(122)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취득 구역(122)은 와이어 채널(118) 바로 아래에 있을 수 있다. 각 와이어(102)는 와이어 채널(118) 밖으로 낙하 시에 취득 구역(122)으로 진입할 수 있다.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는 와이어 채널(118) 아래에 와이어 이송 부재(124)를 더 포함한다. 와이어 이송 부재(124)는 이 와이어 이송 부재(124)의 외주부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슬롯(126)을 포함한다. 각 슬롯(126)은 그 안에 와이어들(102)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작업 동안, 슬롯들(126) 중 하나의 슬롯이 와이어 채널(118)과 정렬된다. 와이어 채널(118)로부터 낙하하는 와이어(102)는 와이어 이송 부재(124)의 슬롯(126) 내부에 수용된다. 예를 들면, 슬롯(126)은 취득 구역(122)으로 유도되는 와이어(10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와이어 이송 부재(124)는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에, 예를 들면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의 제1 판(114), 제2 판(116), 또는 프레임(128)에 장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와이어 이송 부재(124)가 구동 샤프트(130) 및 모터(132)에 의해 프레임(128)에 연결되지만, 와이어 이송 부재(124)는 제2 판(116)에 장착된다. 와이어 이송 부재(124)는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의 다른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프레임(128), 제1 및 제2 판(114, 116), 및 분동(120)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와이어 이송 부재(124)가 이동할 때, 슬롯(126) 내의 와이어(102)가 취득 구역(122)으로부터 그리고 와이어 채널(118) 내의 와이어들(102)로부터 떨어져서 운반되어 와이어(102)를 와이어 다발(104)로부터 분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 이송 부재(124)는, 예를 들면 제1 및 제2 판(114, 116)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와이어 휠(wire wheel)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와이어 이송 부재(124)는 와이어 휠(124)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와이어 휠(124)은 분리된 와이어(102)를 차후의 가공을 위해 소정 장치 또는 장소에 전달하도록 회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와이어 이송 장치(108)는 와이어 휠(124)이 와이어 다발(104) 및 제1 및 제2 판(114, 116)의 경로 밖의 설정 위치로 회전할 때에 와이어(102)를 붙잡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와이어 휠(124)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해서 슬롯(126) 내의 와이어(102)를 와이어 휠(124)의 좌측에 위치한 와이어 이송 장치(108)를 향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와이어 이송 장치(108)는 자동화된 이송 아암(arm)일 수 있다. 와이어 이송 장치(108)는 와이어(102)를 단자에 크림핑하기 위한 종단기로, 와이어 스트리퍼 또는 절단기와 같은 다른 와이어 가공 장치로, 와이어 보관 용기 등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와이어 휠(124)은 와이어들(102)을 와이어 이송 장치(108) 대신에, 직접 와이어 가공 장치(예를 들면 종단기)에, 와이어 보관 용기 등에 전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는 와이어 채널(118)을 통해 와이어 다발(104)의 개별 와이어들(102)을 와이어 휠(124)의 슬롯(126)에 반복적으로 공급하여 와이어 휠(124)이 회전해서 와이어들(102)을 와이어 이송 장치(108)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공정은 와이어 다발(104) 내의 모든 와이어들(102)이 개별적으로 분리될 때까지 자동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에 의해 제공된 자동 와이어 개별화는 와이어들(102)을 수동으로 분리하는 것보다도 더욱 효율적일 수 있다.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는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 판(114, 116) 및 와이어 휠(124)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지지 벽(134)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벽(134)은 원위 단부(110)로부터 떨어져서 와이어 다발(104)의 일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와이어 다발(104)은 지지 벽(134)의 상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벽(134)은 와이어 다발(104)을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지지 벽(134)의 높이는 와이어 다발(104)이 제1 및 제2 판(114, 116)의 평면에 일반적으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와이어 퍼널(112)과 동일한 높이일 수 있다. 지지 벽(134)은 이 지지 벽(134) 상의 제자리에 와이어 다발(104)을 보유하도록 위로부터 와이어 다발(104)과 맞물리는 지지 벽 클램프(136)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램프(136)는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의 작업 동안에 와이어들(102) 위에 인가된 인장력 및 다른 힘에 저항해서 서로 정렬된 와이어들(102)의 단부들(138)을 유지하도록 와이어 다발(104) 위에 힘을 제공한다. 지지 벽(134) 및 지지 벽 클램프(136)는 프레임(128) 상의 지지 벽 트랙(140)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지지 벽 트랙(140)은 와이어 다발(104)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지지 벽(134) 및 지지 벽 클램프(136)는 제1 및 제2 판(114, 116)을 향해서 그리고/또는 그로부터 떨어져서 이동되어 지지 벽(134)과 제1 및 제2 판(114, 116) 사이의 와이어 다발(104)에서의 슬랙(slack) 또는 인장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제1 판(114)은 고정판(114)이다. 고정판(114)은 빔(142)을 통해 프레임(128)의 후방 벽(141)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고정판(114)은 내부 벽(144)을 포함한다. 내부 벽(144)은 와이어 퍼널(112)의 좌측면 및 와이어 퍼널(112) 아래의 와이어 채널(118)의 좌측면을 정의한다. 내부 벽(114)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선형이어서 와이어 퍼널(112)을 정의하는 내부 벽(144)의 부분이 연속적이고 와이어 채널(118)을 정의하는 내부 벽(144)의 부분과 동일 평면(co-planar)이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와이어 퍼널(112)을 정의하는 내부 벽(144)의 부분은 와이어 채널(118)을 정의하는 부분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판(116)은 전방 판(148) 및 후방 판(150) 사이에 삽입된 가동판(146)을 포함하는 적층판 조립체(116)이다. 후방 판(150)은 가동판(146)과 프레임(128)의 후방 벽(141) 사이에 배치된다. 전방 및 후방 판(148, 150)은 고정식이고 프레임(128)에 고정된다. 가동판(146)은 전방 및 후방 판(148, 150)에 장착되지만, 전방 및 후방 판(148, 150)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동판(146)은 와이어 채널(118)의 우측면 및 와이어 퍼널(112)의 우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정의한다. 예를 들면, 가동판(146)은 고정판(114)을 향해서 전방 및 후방 판(148, 150)을 넘어서 연장되어 와이어 채널(118)의 우측면 및 와이어 퍼널(112)의 적어도 일부분을 정의한다. 가동판(146)은 와이어 채널(118)의 우측면을 정의하는 와이어 채널 벽(152) 및 와이어 퍼널(112)의 우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정의하는 와이어 퍼널 벽(154)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와이어 퍼널 벽(154)은 와이어 채널 벽(152)으로부터 연장되고 와이어 채널 벽(152)으로부터 떨어져서 경사져 있어 벽들(152, 154)이 동일 평면으로 되지 않는다. 와이어 퍼널 벽(154)은, 와이어 퍼널(112)이 와이어 채널(118)보다도 넓고 와이어 퍼널(112)의 폭이 와이어 채널 벽(152)으로부터 떨어져서(분동(120)을 향해서) 높이와 비례해서 증가하도록 와이어 채널 벽(152)으로부터 떨어져서 경사진다.
와이어 퍼널(112)의 우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전방 및/또는 후방 판(148, 15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동판(146)의 와이어 퍼널 벽(154)은 와이어 채널(118)에 근접한 와이어 퍼널(112)의 하부 부분을 정의할 수 있고, 전방 및 후방 판(148, 150)은 와이어 퍼널 벽(154) 위의 와이어 퍼널(112)의 상부 부분을 정의한다. 경사형 와이어 퍼널 벽(154) 및 전방 및 후방 판(148, 150)은 와이어 채널(118)을 향해서 와이어 다발(104)(도 1)의 와이어들(102)(도 1에 나타냄)을 유도하는 퍼널 효과를 제공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는 가동판(146)이 우측 대신에 고정판(114)의 좌측 상에 있도록 배향되고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가동판(146)의 벽들(152, 154)은 연속적이고 평면형일 수 있는 한편 고정판(114)은 와이어 퍼널(112) 및 와이어 채널(118)을 각각 정의하는 2개의 상이한 경사부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가동판(146) 및 고정판(114) 양쪽은 와이어 퍼널(112)이 일반적으로 대칭이도록 각각의 와이어 채널 벽들로부터 연장되고 그들로부터 떨어져서 경사지는 와이어 퍼널 벽들을 갖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동판(146)은 고정판(114)에 대하여 이동해서 와이어 채널(118)의 폭(156)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동판(146)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가동판(146)의 와이어 채널 벽(152)은 가동판(146)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보다도 가동판(146)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고정판(114)으로부터 더 멀다. 그 결과, 와이어 채널(118)의 폭(156)은 가동판(146)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보다도 가동판(146)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더 크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판(148, 150)은 고정식이고 따라서 가동판(146)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에 이동하지 않는다. 가동판(146)의 이동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고정판(114)과 적층판 조립체(116) 사이의 와이어 퍼널(112)을 가로질러서 연장되는 분동(120)이 빔(142) 위의 트랙(158)에 결합된다. 트랙(158)은 수직으로 배향된다. 분동(120)은 고정판(114) 및 적층판 조립체(116)에 대하여 트랙(158)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분동(120)은 중력 때문에 와이어 채널(118)을 향해서 트랙(158)을 따라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동(120)은 와이어 다발(104)의 상부 부분과 맞물리고 위로부터 와이어 다발(104) 상에 일정한 하향력을 인가한다. 와이어 퍼널(112) 내의 와이어 다발(104)이 이 와이어 다발(104)로부터 제거된 와이어들(102)(도 1에 나타냄)의 수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분동(120)이 트랙(158)을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져서 와이어 다발(104)과 맞물려서 체류한다. 중력만을 사용하는 대신에, 공기압 실린더 등에 의해 트랙(158)을 따라 분동(120)의 높이가 제어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 및 와이어 다발(104)의 일부분의 정면 확대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동판(146)은 개방 위치에 있다. 전방 판(148)은 가동판(146)의 최전방에 있다. 가동판(146)을 보다 잘 도시하고 설명하기 위해서, 와이어들(102)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와이어 다발(104)은 와이어 퍼널(112) 내부에 있고, 와이어 다발(104)의 와이어들(102) 중 일부가 와이어 채널(118) 내에 배치된다. 와이어 채널(118)은 상부 개구(160) 및 저부 개구(162)를 갖는다. 상부 개구(160)는 와이어 퍼널(112)에 유체 결합된다. 와이어 채널(118) 내의 와이어들(102)은 와이어 퍼널(112)로부터 상부 개구(160)를 통해 와이어 채널(118) 내에 수용된다. 와이어 채널(118) 내의 와이어들(102)은 저부 개구(162)를 통해 와이어 채널(118)을 빠져나간다. 저부 개구(162)를 통해 빠져나가는 와이어들(102)은 와이어 채널(118)의 저부 개부(162) 아래의 취득 구역(122)으로 진입한다. 취득 구역(122) 내의 와이어(102)는 와이어 휠(124)의 슬롯(126) 내에 수용된다.
가동판(146)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가동판(146)의 와이어 채널 벽(152)은 제1 거리(164)만큼 고정판(114)으로부터 분리된다. 제1 거리(164)는 가동판(146)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와이어 채널(118)의 폭이다. 와이어 채널(118)은 가동판(146)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제1 폭(164)을 갖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된다. 개방 위치에 있는 가동판(146)의 장소는 와이어 다발(104)의 와이어들(102)의 하나 이상의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특성들은 와이어들(102)의 직경, 와이어들(102)의 절연층들(도시하지 않음)의 경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동판(146)의 개방 위치는, 와이어 채널(118)의 폭(164)이 와이어들(102)의 직경보다도 커서, 와이어들(102)이 와이어 채널(118)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소에 있다. 분동(120)(도 2에 나타냄)에 의해 와이어 다발(104) 위에 인가된 중력 및 힘 때문에, 와이어 채널(118) 내의 와이어들(102)이 저부 개구(162) 및 취득 구역(122)을 향해서 하향으로 강제된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 채널(118)의 폭(164)은 와이어들(102)의 직경의 2배 미만이어서 와이어들(102)이 와이어 채널(118)의 폭(164)을 가로질러서 나란히(side-by-side) 배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개방 위치에 있는 가동판(146)은, 와이어 채널(118)의 폭(164)이 와이어들(102)의 직경의 약 1.5배가 되도록 하는 장소에 있다. 따라서, 와이어들(102)은 와이어 채널(118)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지만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를 막을 수 있는 나란히 배열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와이어 채널(118) 내의 와이어들(102)은 한줄로(in a single-file line) 배열되어 와이어들(102)이 저부 개구(162)와 상부 개구(160) 사이에서 상하로 적층된다. 한줄의 와이어들(102)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이 아닐 수 있다. 가동판(146)의 장소는 또한 와이어들(102)의 절연층들의 경도에 기초할 수도 있어, 폭(164)은 강성 와이어들(102)에 대해 약간 작고 더욱 압축 가능한 와이어들(102)에 대해 약간 커서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동판(146)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와이어 채널(118) 내의 최하부 와이어(102)인 제1 와이어(102A)가 저부 개구(162)를 통해 와이어 채널(118)을 빠져나가서 취득 구역(122)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서, 제1 와이어(102A)가 이미 취득 구역(122) 내에 있어 더 이상 와이어 채널(118) 내의 최하부 와이어(102)가 아니다. 따라서, 와이어 채널(118) 내의 제1 와이어(102A)에 인접해 있던 제2 와이어(102B)는 제1 와이어(102A)가 와이어 채널(118)을 빠져나갈 때에 와이어 채널(118) 내의 최하부 와이어(102)가 된다. 와이어 채널(118)이 제2 와이어(102B)가 제1 와이어(102A) 다음에 저부 개구(162)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게 하기에 충분히 넓지만, 제2 와이어(102B)는 취득 구역(122) 내의 제1 와이어(102A)에 의해 와이어 채널(118)을 빠져나가는 것이 차단되고 방지된다. 예를 들면, 제1 와이어(102A)는 저부 개구(162) 아래의 와이어 휠(124)의 슬롯(126) 내에 수용되고 받쳐진다. 현재 와이어 채널(118) 내의 최하부 와이어(102)인 제2 와이어(102B)가 제1 와이어(102A)의 상부 부분과 맞물려서 제2 와이어(102B)의 추가 하향 이동을 차단한다. 따라서, 취득 구역(122) 내에 위치한 와이어(102)는 추가 와이어들(102)이 와이어 채널(118)을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여, 한번에 하나의 와이어(102)만이 와이어 채널(118)을 빠져나간다(그리고 그 하나의 와이어(102)만이 취득 구역(122)으로 진입한다).
도 3에서의 와이어 휠(124)은 선택된 슬롯(126A)이 와이어 채널(118)의 저부 개구(162)와 정렬되도록 수용 위치에 있다. 슬롯(126A)은 와이어 채널(118)로부터 취득 구역(122)으로 유도되는 제1 와이어(102A)를 수용한다. 와이어 휠(124)은 둥근 외주부(166)를 가지며, 다수의 슬롯(126)이 외주부(166)를 따라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 슬롯(126)은 한번에 하나의 와이어(102)만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슬롯들(126)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형상 및/또는 크기의 와이어들(102)을 수용 또는 수납하기 위해서 다른 슬롯들(126)과는 다른 형상 및/또는 크기를 갖는다. 도 3에 나타낸 슬롯들(126)은 모두 둥글지만 다른 크기의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각각의 슬롯들(126)은 다른 크기의 와이어들(10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와이어 다발(104) 내의 와이어들(102)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고, 그래서 동일한 슬롯(126)이 취득 구역(122)으로 진입하는 와이어 다발(104)의 와이어들(102) 각각을 수용하는 데에 사용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와이어 휠(124)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다수의 슬롯 뿐만 아니라 다른 크기 및/또는 형상의 다수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와이어 휠(124)은 보타이(bow-tie) 형상을 갖는다. 와이어 휠(124)은 중앙 또는 코어(도시하지 않음)에서 연결되는 제1 웨지(wedge)(168) 및 대향하는 제2 웨지(170)를 포함한다. 보타이 형상은 와이어 휠(124)이 원 형상을 갖는 와이어 휠(124)보다도 경량이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와이어 휠(124)은 타원 형상, 원 형상, 반원 형상 등을 갖는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나타낸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 및 와이어 다발(104)의 부분의 정면 확대도이다. 도 4에서, 가동판(146)은 폐쇄 위치에 있고, 와이어 휠(124)은 수용 위치에 있다. 도 3과 같이, 와이어들(102)은 도 4에서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와이어(102A)가 취득 구역(122)으로 들어가서 와이어 휠(124)의 선택된 슬롯(126) 내에 수용된 때, 가동판(146)은 도 3에 나타낸 개방 위치로부터 도 4에 나타낸 폐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전방 판(148)은 가동판(146)과 함께 이동하지 않는다. 가동판(146)이 고정판(114)을 향해서 이동함에 따라, 와이어 채널(118)의 폭은 가동판(146)이 폐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감소된다. 폐쇄 위치에서, 가동판(146)의 와이어 채널 벽(152)은 제2 거리(172)만큼 고정판(114)으로부터 분리된다. 제2 거리(172)는 가동판(146)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생기는 와이어 채널(118)의 제2 폭(172)인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된다. 와이어 채널(118)의 제2 폭(172)은 가동판(146)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생기는 제1 폭(164)(도 3에 나타냄)보다도 좁다.
폐쇄 위치에 있는 가동판(146)의 장소는 와이어 다발(104)의 와이어들(102)의 하나 이상의 특성, 예를 들면 직경, 절연층들(도시하지 않음)의 경도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폐쇄 위치에 있는 가동판(146)은 이 가동판(146)이 와이어 채널(118) 내의 적어도 최하부 와이어(102B)와 맞물릴 수 있게 해서 와이어들(102)을 와이어 채널(118) 내에 보유하는 장소에 있다. 예를 들면, 와이어 채널(118)의 적어도 하부 부분(저부 개구(162)에 근접함)에서의 와이어 채널(118)의 제2 폭(172)이 와이어들(102)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을 수 있어, 가동판(146)이 와이어 채널 벽(152)과 고정판(114)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최하부 와이어(102B)를 삽입하고 압축한다. 최하부 와이어(102B)는 마찰 끼워맞춤(friction fit)에 의해 와이어 채널(118) 내에 보유되고, 최하부 와이어(102B) 위의 와이어들(102)이 와이어(102B)에 의해 와이어 채널(118)을 빠져나가는 것이 차단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와이어 채널 벽(152)은 고정판(114)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와이어 채널 벽(152)이 최하부 와이어(102B)가 아닌, 와이어 채널(118) 내의 각각의 와이어들(102)과 맞물린다. 와이어들(102)의 다른 특성, 예를 들면 경도 및 압축률이 폐쇄 위치에 있는 가동판(146)의 장소를 결정할 때에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폭(172)은 와이어를 와이어 채널(118) 내에 고정하기에 충분한 마찰을 인가하기 위해서 연성 와이어보다 강성 와이어에 대해 약간 좁게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 폭(172)은 가동판(146) 및 고정판(114)에 의해 와이어 위에 인가된 힘에 의해 와이어가 손상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더욱 압축 가능한 와이보다도 덜 압축 가능한 와이어에 대해 약간 크게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와이어 채널 벽(152)은 저부 개구(162)에 근접한 벽(152)의 하부 세그먼트가 상부 개구(160)에 근접한 벽(152)의 상부 세그먼트보다도 고정판(114)에 가깝도록 고정판(114)에 대하여 적어도 약간 경사질 수 있다. 벽(152)의 하부 세그먼트는 적어도 최하부 와이어(102B)와 맞물려서 최하부 와이어(102B)를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벽(152)의 상부 세그먼트는 최하부 와이어(102B) 위의 와이어들(102) 중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지 않는다. 최하부 와이어(102B) 위의 와이어들(102)은 저부 개구(162)를 차단하는 최하부 와이어(102B)에 의해 와이어 채널(118) 내에 보유된다. 선택적으로, 가동판(146)의 와이어 채널 벽(152)은 이 와이어 채널 벽(152)으로부터 고정판(114)을 향해서 연장되는 돌출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74)는 선택적인 특징부이므로 도 4에서 가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가동판(146)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174)는 최하부 와이어(102B) 아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와이어(102B)가 저부 개구(162)를 통해 낙하하는 것을 차단한다. 돌출부(174)는 와이어 채널 벽(152)과 고정판(114) 사이에 와이어(102B)를 삽입하는 것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로 최하부 와이어(102B)를 보유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가동판(146) 대신에, 고정판(114)이 돌출부를 포함하고/하거나, 와이어 채널(118) 내에 최하부 와이어(102B)를 보유하고 상부의 다른 와이어들(102)이 와이어 채널(118)을 빠져나오는 것을 차단하도록 정렬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 및 와이어 다발(104)의 부분의 정면 확대도이다. 도 5에서, 가동판(146)은 폐쇄 위치에 있고, 와이어 휠(124)은 전달 위치에 있다. 도 5에서는 와이어들(102)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와이어(102A)가 와이어 휠(124)의 선택된 슬롯(126A) 내에 수용되고 가동판(146)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와이어 휠(124)은 회전해서 와이어 다발(104)로부터 와이어(102A)를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가동판(146)은, 와이어 채널(118) 내의 제2 와이어(102B) 및 다른 와이어들(102)을 가동판(146)에 의해 와이어 채널(118) 내에 보유하기 위해서 와이어 휠(124)이 회전하기 전에 폐쇄 위치에 있다. 가동판(146)이 와이어 휠(124)이 회전하기 전에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와이어들(102)은 제1 와이어(102A)가 와이어들(102)을 차단하도록 더 이상 취득 구역(122) 내에 있지 않기 때문에 와이어 채널(118)을 통해 저부 개구(162)를 통해 낙하할 수 있다.
와이어 휠(124)은 어느 배향에 있는 전달 위치로 회전하며, 그 배향에서 내부에 제1 와이어(102A)를 갖는 선택된 슬롯(126A)이 추가 가공을 위해 와이어(102A)를 장치 또는 용기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와이어(102A)는 와이어 가공 장치(예를 들면 종단기), 와이어 이송 장치(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와이어 이송 장치(108)), 와이어 보관 용기 등에 전달될 수 있다. 와이어 휠(124)이 고정 축을 따라 회전하기 때문에, 전달 위치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수용 위치로부터 원호 길이(arc length)이다. 예를 들면, 와이어 휠(124)은 수용 위치로부터 전달 위치로 45°와 180°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와이어 휠(124)은 수용 위치로부터 전달 위치로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와이어 휠(124)은 반시계 방향 대신에 시계 방향으로 전달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판(114)의 저부 벽(176)은 와이어 채널(118)을 정의하는 고정판(114)의 내부 벽(180)으로부터 연장되는 만곡된 세그먼트(178)를 포함한다. 만곡된 세그먼트(178)는 오목부이어서 그 위에 와이어 휠(124) 및 와이어(102A)에 대한 공간을 제공해서 고정판(114)에 대하여 이동한다. 만곡된 세그먼트(178)는 와이어 휠(124)이 수용 위치로부터 전달 위치로 회전할 때에 고정판(114)과 와이어 휠(124) 및/또는 와이어 휠(124) 상의 와이어(102A) 사이의 기계적 간섭을 회피하도록 구성된다. 도 5에서 가상으로 나타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만곡된 세그먼트(178)는 수용 위치와 전달 위치 사이에서 원호 길이의 실질적인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만곡된 세그먼트(178)는 또한 와이어(102A)의 방사상 이동을 차단해서 와이어(102A)가 전달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너무 이르게 선택된 슬롯(126A) 밖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유 벽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와이어(102A)가 장치 또는 용기에 전달되고 와이어(102A)가 더 이상 슬롯(126A) 내부에 있지 않은 후에는, 와이어 휠(124)이 와이어 채널(118)로부터 제2 와이어(102B)를 수용하기 위한 준비로 수용 위치에 다시 인덱싱하도록 구성된다. 와이어 휠(124)은 시계 방향으로 90° 이동할 수 있어 동일한 선택된 슬롯(126A)이 와이어 채널(118)의 저부 개구(162)와 정렬된다. 대안적으로, 와이어 휠(124)은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 이동해서 와이어 휠(124)만이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의 작업 전반에 걸쳐서 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와이어 휠(124)이 270° 회전할 수 있어 동일한 슬롯(126A)이 제2 와이어(102B)를 수용하는 데에 사용되거나, 또는 와이어 휠(124)이 대향하는 웨지(170) 상의 선택된 슬롯(126A)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다른 슬롯(126)을 포함하면, 와이어 휠(124)은 반시계 방향으로 약 90° 회전해서 수용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 휠(124)의 수용 위치 및 전달 위치는 와이어들(102)이 각각 와이어 휠(124) 상에 수용되고 와이어 휠(124)로부터 제거된 때의 와이어들(102)의 위치에 기초하며, 와이어 휠(124) 그 자체의 위치에 기초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와이어 휠(124)은 제1 웨지(168) 상의 슬롯(126)이 취득 구역(122)과 정렬된 수용 위치에 있을 수 있고, 그 후에 와이어 휠(124)은 제2 웨지(170) 상의 다른 슬롯(126)이 취득 구역(122)과 정렬된 수용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동판(146)은 적어도 와이어 휠(124)이 수용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폐쇄 위치에 체류한다. 그 후에, 가동판(146)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해서 와이어 채널(118)이 넓어진다. 제2 와이어(102B)인, 와이어 채널(118) 내의 최하부 와이어(102)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부 개구(162)를 통해 와이어 채널(118)을 빠져나가서 취득 구역(122)으로 진입한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작업은 한번에 하나씩 와이어 다발(104)로부터 제2 와이어(102B) 및 다른 와이어들(102)을 분리하도록 반복될 수 있다. 와이어들(102)이 저부 개구(162)를 향해서 이동해서 결국 그 밖으로 이동할 때, 와이어 퍼널(112) 내의 와이어들(102)이 상부 개구(160)를 통해 와이어 채널(118)로 진입할 수 있게 하는 공간이 개방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동판(146)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 대신에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에 전후로 셔플링(shuffle)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동판(146)의 셔플링은 와이어 채널(118) 및 와이어 퍼널(112)의 적어도 하부 부분을 신속하게 넓혔다 좁혔다 해서, 와이어 퍼널(112) 내의 와이어들(102)를 뒤섞는다(agitate). 와이어 퍼널(112) 내의 와이어들(102)의 뒤섞음은, 와이어 채널(118)의 상부 개구(160)를 메울 수 있는 와이어들(102)의 그룹들을 해체해서 공간을 개방할 때에 와이어 퍼널(112)의 와이어들(102)이 와이어 채널(118)로 진입할 수 있게 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전방 판(148)(도 2에 나타냄)은 도시할 목적을 위해 도 6에서 제거되어 있다. 후방 판(150)은 가동판(146)을 보유하고 가동판(146)을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안내하는 다수의 러너(runner)(182)를 포함한다. 러너들(182)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로, 후방 판(150)은 세장형(elongated) 트랙(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동판(146)은 수평 축(184)을 따라 선형으로 좌우로(side-to-side)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가동판(146)은 좌우로 이동하는 것에 추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직으로, 예를 들면 타원 패턴 또는 사인 곡선(sinusoidal) 패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직 이동은 와이어 퍼널(112) 내의 와이어들(102)(도 5에 나타냄)의 추가 뒤섞음을 제공할 수 있어, 와이어들(102)이 와이어 채널(118)로 진입할 수 있게 한다.
가동판(146)은 모터(186)에 의해 제어된다. 모터(186)는 전기 스테퍼 모터(electric stepper motor)일 수 있다. 모터(186)는 이 모터(186)의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편심기(eccentric)(188)를 통해 가동판(146)에 결합될 수 있다. 편심기(188)는 모터(186)의 회전 운동을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의 선형 왕복 운동으로 변환한다. 와이어 휠(124)을 제어하는 모터(132)도 전기 스테퍼 모터일 수 있다. 스테퍼 모터들(132, 186)은 모터들(132, 186)의 회전 속도, 회전량, 및 정지 위치가 프로그램된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의 사용자는 와이어 다발(104)(도 5)의 와이어들(102)(도 5에 나타냄)의 와이어 특성, 예를 들면 와이어 직경을 제어 패널(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에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와이어 직경에 기초하여, 모터(132)는 와이어 휠(124)을 특정 위치에 인덱싱하도록 제어해서, 입력된 직경의 와이어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크기를 갖는 슬롯(126)이 와이어 채널(118)과 정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입력된 와이어 직경에 기초하여, 모터(186)는 가동판(146)을 입력된 직경에 특정되어 있는 와이어 채널(118)의 폭, 예를 들면 입력된 직경의 1.5배의 폭을 생성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입력된 직경은 또한 가동판(146)의 폐쇄 위치를 제어할 시에 모터(186)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사한 변형예들이 와이어들의 다른 입력 특성, 예를 들면 와이어 다발(104) 내의 와이어들(102)의 와이어 경도, 수 등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는 와이어 다발(104)로부터 개별 와이어들(102)을 분리하도록 자동적으로 작업할 수 있고, 그 작업은 입력된 정보, 예를 들면 와이어 특성에 기초하여 맞춤화될 수 있다.
도 7은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의 정면도이다. 도 6과 같이, 도 7에서는 전방 판(148)(도 2에 나타냄)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판(114)은 가동판(146)의 와이어 채널 벽(152) 및 와이어 퍼널 벽(154)과 같이, 서로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와이어 퍼널 벽(190) 및 와이어 채널 벽(192)을 갖는다. 그 결과, 와이어 퍼널(112) 및 와이어 채널(118)은 고정판(114)과 가동판(146)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대칭이다. 도 7에 나타낸 와이어 휠(124)은 원형이다. 다른 크기 및/또는 형상의 와이어들을 수용하기 위한 다른 크기 및 형상의 다수의 슬롯을 정의하는 것에 추가로, 와이어 휠(124)은 서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복수의 슬롯(126B)을 포함한다. 슬롯들(126B)은 와이어 휠(124)이 단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고, 후속하는 와이어들이 이전의 와이어들(102)을 수용한 슬롯들(126)과 동일한 치수를 갖는 다른 슬롯들(126) 내에 수용될 수 있게 한다.
도 8은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개별화 장치(106)의 정면도이다. 도 8에서, 와이어 이송 부재(124)(도 1에 나타냄)는 와이어 블록(194)이다. 와이어 블록(194)은 수평 축(196)을 따라 고정판(114) 및 가동판(146)에 대하여 선형으로 이동해서 와이어 다발(104)로부터 슬롯(126A) 내에 있는 와이어(102A)를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와이어 블록(194)은 개별화 방향(198)으로의 이동과, 반대의 후퇴 방향(200)으로의 이동 간을 왕복한다. 도 8에 나타낸 와이어 블록(194)은 지정된 슬롯(126A)이 와이어 채널(118)과 정렬되도록 수용 위치에 있다. 와이어 블록(194)이 개별화 방향(198)으로 이동할 때, 와이어 블록(194)은 와이어(102A)가 와이어 가공 장치, 와이어 이송 장치, 와이어 보관 용기 등에 전달되는 전달 위치로 슬롯(126A) 내의 와이어들(102A)을 운반한다. 와이어(102A)를 전달한 후, 와이어 블록(194)은 후퇴 방향(200)으로 다시 수용 위치로 이동해서 다른 와이어(102)를 수용한다. 와이어 블록(194) 내의 슬롯들(126)은 상승부(rise portion)(202) 및 주행부(run portion)(204)를 포함하는 유사한 계단들일 수 있다. 주행부(204)는 슬롯(126) 내부에 있는 와이어(102) 아래에 있다. 상승부(202)는 와이어(102)의 측면에 있고 와이어(102) 상에 법선력(normal force)을 인가하여 와이어 블록(194)이 전달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와이어들(102)을 개별화 방향(198)으로 나아가게 한다. 와이어 블록(194)은 다수의 슬롯(126)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들(126)은 선택적으로 다른 크기의 와이어들(102)을 수용하기 위해서 다른 크기의 상승부들(202) 및/또는 주행부들(20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설명은 예시하고자 하는 것이고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및/또는 그들의 양태들)은 서로 조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서 본 발명의 교시들에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맞추도록 많은 변형예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치수, 재료들의 타입, 다양한 구성요소의 배향, 및 다양한 구성요소의 수 및 위치는 소정 실시예들의 파라미터들을 정의하고자 하는 것이고,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일 뿐이다.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 내에서 많은 다른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이 상기 설명의 검토 시에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권리가 부여되어 있는 등가물들의 전체 범주와 함께, 이러한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용어 "포함하는(including)" 및 "여기서(in which)"는 각각의 용어 "구비하는(comprising)" 및 "여기서(wherein)"의 평이한 등가물로서 사용된다. 또한,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용어 "제1", "제2", 및 "제3" 등은 단지 라벨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그들의 대상들에 대한 수치적인 요건들을 도입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0)

  1. 와이어 개별화 장치(wire singulating device)(106)로서,
    와이어 퍼널(wire funnel)(112) 및 와이어 채널(118)을 사이에 정의하는 고정판(114) 및 가동판(146) - 상기 와이어 채널은 상기 와이어 퍼널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가동판은 상기 고정판에 대하여 이동 가능해서 상기 와이어 채널의 폭(156)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 퍼널은 복수의 와이어(102)를 포함하는 와이어 다발(104)을 수용하며, 상기 와이어 채널은 상기 와이어 퍼널로부터 상기 와이어 다발의 와이어들을 수용하는 상부 개구(top opening)(160)를 갖고, 상기 와이어 채널은 상기 와이어들을 한번에 하나씩 상기 와이어 채널의 저부 개구(bottom opening)(162) 아래의 취득 구역(take away zone)(122)으로 유도하고, 상기 가동판은 상기 와이어 채널을 통한 상기 와이어들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동판이 상기 개방 위치일 때보다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와이어 채널의 상기 폭이 더 작도록 상기 가동판은 상기 개방 위치일 때보다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에 더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가동판은 최하부 와이어(102) 및 다른 와이어들이 상기 저부 개구를 통해 상기 와이어 채널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 채널 내 상기 최하부 와이어와 맞물리고,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상기 가동판은 상기 와이어 채널 내의 상기 최하부 와이어가 상기 저부 개구를 통해 빠져나가서 상기 취득 구역으로 진입할 수 있게함 -; 및
    상기 와이어 채널의 상기 저부 개구 아래에 배치된 와이어 이송 부재(124) - 상기 와이어 이송 부재는 상기 저부 개구와 정렬되며 상기 가동판이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취득 구역 내에 와이어를 수용하는 슬롯(126)을 갖고, 상기 와이어 이송 부재는 상기 고정판 및 상기 가동판에 대하여 이동해서 상기 와이어 채널 내 상기 와이어들로부터 상기 슬롯 내의 와이어를 분리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판(146)은 상기 와이어 채널(118)의 일 측면을 정의하는 와이어 채널 벽(152)을 갖고,
    상기 와이어 채널 벽은 상기 저부 개구에 근접한 상기 와이어 채널 벽의 하부 세그먼트가 상기 상부 개구에 근접한 상기 와이어 채널 벽의 상부 세그먼트보다 상기 고정판에 가깝도록 상기 고정판에 대하여 경사진 구조를 갖는 와이어 개별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상기 가동판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가동판보다도 상기 고정판(114)으로부터 더 멀리 있어 상기 와이어 채널의 상기 폭(156)이 상기 가동판이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보다도 상기 가동판이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더 큰 와이어 개별화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146)이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취득 구역(122)으로 진입하는 상기 최하부 와이어(102)는 상기 와이어 채널(118) 내의 다른 와이어들이 상기 저부 개구(162)를 통해 상기 와이어 채널을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해서 상기 와이어 채널 내의 상기 최하부 와이어만이 상기 취득 구역으로 진입하는 와이어 개별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이송 부재(124)는 상기 가동판(146)이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이동해서 상기 와이어 다발(104)로부터 상기 슬롯(126) 내에 위치한 상기 와이어(102)를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개별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146)은 상기 가동판이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에 전후로 셔플링(shuffle)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개별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146)의 상기 개방 및 폐쇄 위치의 장소는 상기 와이어 다발(104)의 상기 와이어들(102)의 직경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와이어 개별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채널(118)의 상기 폭(156)은 상기 와이어 채널 내의 상기 와이어들(102)을 상기 상부 개구(160)와 상기 저부 개구(162)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줄로(into a single file line) 강제하는 와이어 개별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146)은 상기 와이어 퍼널(112)의 일 측면을 정의하는 상기 와이어 채널 벽 위의 와이어 퍼널 벽(154)을 더 갖고, 상기 와이어 퍼널 벽은 상기 와이어 채널 벽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 채널 벽으로부터 떨어져서 경사져서 상기 와이어 퍼널이 상기 와이어 채널보다도 넓고 상기 와이어 퍼널 내의 상기 와이어 다발(104)의 상기 와이어들(102)이 상기 와이어 채널을 향해서 유도되는 와이어 개별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14)과 상기 가동판(146) 사이에 상기 와이어 퍼널(112)을 가로질러서 연장되는 분동(weight)(1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동은 상기 고정판 및 상기 가동판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며, 상기 분동은 위로부터 상기 와이어 퍼널 내의 상기 와이어 다발(104)과 맞물려서 상기 와이어 채널(118)을 향해서 상기 와이어 다발 위에 힘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개별화 장치.
KR1020150138150A 2014-09-29 2015-09-30 와이어 개별화 장치 KR102498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99,941 2014-09-29
US14/499,941 US9680275B2 (en) 2014-09-29 2014-09-29 Wire singula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819A KR20160037819A (ko) 2016-04-06
KR102498945B1 true KR102498945B1 (ko) 2023-02-15

Family

ID=5425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150A KR102498945B1 (ko) 2014-09-29 2015-09-30 와이어 개별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80275B2 (ko)
EP (1) EP3000545A1 (ko)
JP (1) JP2016072249A (ko)
KR (1) KR102498945B1 (ko)
CN (1) CN1056558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132141A1 (it) * 2016-12-29 2018-06-29 M E P Macch Elettroniche Piegatrici Spa Apparato e metodo di manipolazione di barre, in particolare barre metalliche
CN110328308B (zh) * 2019-04-24 2023-11-07 东莞市鹏煜威科技有限公司 铁线自动分离装置
CN110364905B (zh) * 2019-08-06 2020-12-08 安徽九工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剥皮分线功能的端子机及其工作方法
KR102405850B1 (ko) * 2020-10-29 2022-06-03 박준호 와이어메시 제조기용 낱개의 와이어를 이송하는 장치
WO2022195324A1 (de) * 2021-03-17 2022-09-22 Schleuniger Ag Kabelbearbeitung mit zu- und abfuhr
CN114038626B (zh) * 2021-11-03 2023-11-17 欧耐特线缆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高压电缆生产的分线平台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41899B (en) * 1979-02-06 1983-01-12 Evg Entwicklung Verwert Ges Mechanism for transferring cut-to-length wires out of a loose bundle of wires into a single layer of parallel wir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1347C (de) 1951-12-23 1954-05-13 Pee Wee Maschinen U Appbau Inh Vorrichtung zum Zufuehren gleichartiger, laengs uebereinandergeschichteter Werkstuecke, z.B. Bolzen
DE1014060B (de) 1956-05-30 1957-08-22 Schumag Schumacher Metallwerke Vorrichtung zum Einfuehren von rundem Halbzeug, z.B. Stangen in Bearbeitungsmaschinen mit axialer Vorschubbewegung, z.B. Ziehbaenke
US3310301A (en) 1964-02-03 1967-03-21 Thomas & Betts Company Inc Automatic wirehandling device
US3406838A (en) * 1966-10-19 1968-10-22 Hudson Engineering Corp Tube assembling apparatus
FR1552281A (ko) 1967-03-07 1969-01-03
JPH09507332A (ja) * 1993-11-05 1997-07-22 フラマトム コネクターズ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コネクタの配線装置
US6357995B1 (en) * 2000-05-04 2002-03-19 Columbus Mckinnon Corporation Device for handling rod-like articles, such as rebar and the lik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41899B (en) * 1979-02-06 1983-01-12 Evg Entwicklung Verwert Ges Mechanism for transferring cut-to-length wires out of a loose bundle of wires into a single layer of parallel wir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표특허공보 특표평09-507332호(1997.07.22.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00545A1 (en) 2016-03-30
US20160094002A1 (en) 2016-03-31
CN105655841A (zh) 2016-06-08
US9680275B2 (en) 2017-06-13
KR20160037819A (ko) 2016-04-06
JP2016072249A (ja)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8945B1 (ko) 와이어 개별화 장치
DK3029199T3 (en) Device for introducing artificial grass straw into the ground
US5020575A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feeding longitudinal elements to a welding machine for grates or gratings
RU2679079C2 (ru) Машина для обвязки арматурных стержней
JPS6238876B2 (ko)
US5104196A (en) Brush filling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H036052B2 (ko)
CN109573735A (zh) 用于纺织机的线轴装载设备及相关纺织机
CN111247075B (zh) 用于处理棒料的设备和方法
US4688857A (en) Automatic feeding arrangement for fibre magazine and/or fibre cassattes of brush-making machines
KR101394256B1 (ko) 와이어 끝말이 밴딩장치
CZ2001579A3 (cs) Zarízení k ulození a pridrzování elementu brda a zpusob ulození, pridrzování a prepravy elementu brda
US73704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wires that have been cut into lengths from a wire bundle into a single layer
US4360400A (en) Apparatus for binding conductors in a harness
CN214283805U (zh) 一种弯丝机构
EP3035453B1 (en) Wire transfer system having wire singulating device
CN113330152B (zh) 簇绒单元和簇绒机
CN111448010B (zh) 用于馈送杆的设备和方法
DE602004000709T2 (de)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Gegenständen zu einer Förderlinie, insbesondere zur Versorgung einer Behälterfüllmaschine
EP1989135B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handling parts
CN112318392B (zh) 一种稳定且高效的破鳞辊刷盘的穿丝方法
CN112353088B (zh) 一种用于破鳞辊刷盘的穿丝机构
RU246508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прутков
CN214340766U (zh) 一种穿丝机构
CN214923588U (zh) 一种套环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