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692B1 -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692B1
KR102498692B1 KR1020210067834A KR20210067834A KR102498692B1 KR 102498692 B1 KR102498692 B1 KR 102498692B1 KR 1020210067834 A KR1020210067834 A KR 1020210067834A KR 20210067834 A KR20210067834 A KR 20210067834A KR 102498692 B1 KR102498692 B1 KR 102498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ller
guide
module uni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9793A (ko
Inventor
한규호
김율국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7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69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7/00Manufacture of rings from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1/00Methods, apparatus, or devices for covering or wrapping cores by wind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2030/487Forming devices for manufacturing the b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2030/488Clamping the wires on the form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와이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가 포머에 감겨 비드와이어로 성형된 후 와이어의 컷팅시 롤러모듈부와 클램프모듈부에 의해 와이어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후속 비드와이어 제조시 와이어의 배열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WIRE FIXING APPARATUS WHEN FORMING BEAD WIRE}
본 발명은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타이어는, 한국등록특허 제10-1135171호 및 도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타이어의 내부를 구성하여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는 이너라이너(10), 이너라이너(10) 위에 하나 이상 적층되는 카카스(12), 카카스(12)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는 벨트(14), 벨트(14) 위에 적층되어 지면에 접촉하게 되는 트레드(16), 타이어의 양쪽 측부를 형성하는 사이드월(18), 그리고 금속휠에 결합되어 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내부 공기압을 유지하는 양쪽 비드(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비드(20)는 타이어가 자동차의 휠 디스크에 결합될 때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에 부착된 타이어가 주행 중 자동차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타이어 내부의 공기누출을 방지하여 공기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어 타이어에서 매우 중요한 부위이다.
종래의 비드(20)는 다수의 와이어가 합체되어 형성되는 비드코어(20a)의 상면에 비드필러(20b)가 설치되고, 비드코어(20a)와 비드필러(20b)의 외측에 카카스(12)가 턴업설치되어 타이어에 결합된다.
비드코어(20a)는 고무코팅된 비드와이어가 수회 감져서 합체되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비드는 동으로 도금된 고장력 스틸와이어가 재료로 사용되며, 강도, 비틀림과 굽힘을 포함한 여러 가지 시험을 거친 스틸와이어가 풀링롤에 의해 풀려나오면서 타이어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가이드 롤을 통과하면서 특정 수의 가닥으로 모아져 나오게 된다.
모아진 스틸와이어는 작은 압출기를 통과하면서 와이어 가닥 사이와 둘레에 고무가 입혀지게 된다.
고무가 입혀진 와이어 가닥은 타이어의 규격에 맞추어 정해진 크기와 모양대로 비드와이어 성형기인 포머(former)에 감겨지게 된다.
한편, 포머(former)에 의해 비드와이어가 성형된 후, 와이어 가닥의 컷팅 작업이 수행되는데, 종래에는 와이어 가닥의 컷팅 작업시 와이어 가닥을 잡아주는 고정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와이어 가닥의 위치가 틀어지는 상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후속 비드와이어 제조시 배열 불량이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와이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가 포머에 감겨 비드와이어로 성형된 후 와이어의 컷팅시 롤러모듈부와 클램프모듈부에 의해 와이어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후속 비드와이어 제조시 와이어의 배열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와이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가 포머(former)에 감겨 비드와이어로 성형된 후 와이어의 컷팅시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공급장치로부터 상기 포머로 공급되는 상기 와이어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홈이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 그루브롤러를 포함하는 롤러모듈부; 및 상기 롤러모듈부와 상기 포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컷팅시 상기 와이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클램핑바를 포함하는 클램프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롤러모듈부는, 상기 그루브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그루브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그루브롤러의 상하 위치 조절을 위한 가이드홀이 상하방향으로 천공형성된 가이드브라켓; 및 상기 가이드브라켓이 고정지지되되,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한 위치조절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모듈부는, 상기 가이드브라켓이 고정지지되는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롤러모듈부를 통과한 상기 와이어가 하측으로 지나가는 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하측에서 구동기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와이어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하면에 가압밀착하여 고정지지하는 상기 클램핑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와이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가 포머에 감겨 비드와이어로 성형된 후 와이어의 컷팅시 롤러모듈부와 클램프모듈부에 의해 와이어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후속 비드와이어 제조시 와이어의 배열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타이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에서, 클램핑바가 아래로 내려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에서, 클램핑바가 위로 올라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의 가이드홀과 위치조절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의 시제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에서, 클램핑바가 아래로 내려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에서, 클램핑바가 위로 올라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의 가이드홀과 위치조절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의 시제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공급장치(201)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203)가 포머(205)에 감겨 비드와이어로 성형된 후 와이어(203)의 컷팅시 와이어(203)를 고정하는,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에 있어서, 와이어공급장치(201)로부터 포머(205)로 공급되는 와이어(203)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홈(207)이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 그루브롤러(209)를 포함하는 롤러모듈부(211); 및 롤러모듈부(211)와 포머(205) 사이에 배치되어, 와이어(203)의 컷팅시 와이어(203)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클램핑바(213)를 포함하는 클램프모듈부(2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는, 와이어공급장치(201)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203)가 포머(former, 205)에 감겨 비드와이어로 성형된 후 와이어(203)의 컷팅시 와이어(203)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는, 롤러모듈부(211)와 클램프모듈부(215)를 포함한다.
먼저, 롤러모듈부(211)는, 그루브롤러(209)를 포함한다.
그루브롤러(209)는, 와이어공급장치(201)로부터 포머(205)로 공급되는 와이어(203)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홈(207)을 갖는다.
이러한 가이드홈(207)은, 그루브롤러(209)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다.
물론, 가이드홈(207)은, 그루브롤러(209)의 회전축(217)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면상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가이드홈(207)의 표면에는, 와이어(203)의 이동시 와이어(203) 외주면과 가이드홈(207)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마찰력저감소재가 코팅처리될 수 있다.
한편, 롤러모듈부(211)는, 그루브롤러(209)의 회전축(217)에 결합되어 그루브롤러(209)를 지지하며, 그루브롤러(209)의 상하 위치 조절을 위한 가이드홀(219)이 상하방향으로 천공형성된 가이드브라켓(221); 및 가이드브라켓(221)이 고정지지되되, 가이드홀(219)을 관통한 위치조절고정부재(223)가 결합되는 고정브라켓(225);을 포함한다.
가이드브라켓(221)은, 그루브롤러(209)의 회전축(217)에 결합되어 그루브롤러(209)를 지지한다.
이러한 가이드브라켓(221)은, 그루브롤러(209)의 상하 위치 조절을 위해 상하방향으로 천공형성된 가이드홀(219)을 갖는다.
가이드홀(219)은 일예로,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가이드홀(219)은, 벽면을 따라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401)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401)은, 후술할 위치조절고정부재(223)의 내측에 구비된 판스프링 타입의 걸림고정구(403)가 걸림턱(401) 사이 공간에서 탄성지지됨으로써, 가이드브라켓(221)의 상하 위치 조절이 더욱 용이해지도록 한다.
고정브라켓(225)은, 가이드브라켓(221)을 고정지지한다.
이러한 고정브라켓(225)은, 위치조절고정부재(223)를 갖는데, 위치조절고정부재(223)는 일예로, 고정볼트로 제공될 수 있다.
위치조절고정부재(223)는, 가이드브라켓(221)의 가이드홀(219)을 관통하여 고정브라켓(225)에 결합된다.
즉, 작업자는 위치조절고정부재(223)를 풀거나 조임으로써, 가이드브라켓(221)의 상하방향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클램프모듈부(215)는, 롤러모듈부(211)와 포머(205)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클램프모듈부(215)는, 와이어(203)의 컷팅시 와이어(203)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클램핑바(213)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클램프모듈부(215)는, 가이드브라켓(221)이 고정지지되는 고정브라켓(225)에 결합되며, 롤러모듈부(211)를 통과한 와이어(203)가 하측으로 지나가는 가이드플레이트(227); 및 가이드플레이트(227)의 하측에서 구동기(229)에 의해 승강되면서 와이어(203)를 가이드플레이트(227)의 하면에 가압밀착하여 고정지지하는 클램핑바(213);를 포함한다.
가이드플레이트(227)는, 가이드브라켓(221)이 고정지지되는 고정브라켓(225)에 결합된다.
이러한 가이드플레이트(227)는, 일예로 평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플레이트(227)의 하측으로는, 롤러모듈부(211)를 통과한 와이어(203)가 지나가게 된다.
클램핑바(213)는, 가이드플레이트(227)의 하측에서 구동기(229)에 의해 승강된다.
여기서, 구동기(229)는 일예로 실린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구동기(229)에 의해 승강된 클램핑바(213)는, 와이어(203)의 컷팅 작업시 와이어(203)를 가이드플레이트(227)의 하면에 가압밀착하여 고정지지한다.
이를 통해, 와이어(203)의 컷팅 작업시 와이어(203)의 배열 상태가 흩어지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와이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가 포머에 감겨 비드와이어로 성형된 후 와이어의 컷팅시 롤러모듈부와 클램프모듈부에 의해 와이어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후속 비드와이어 제조시 와이어의 배열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1 : 와이어공급장치
203 : 와이어
205 : 포머
207 : 가이드홈
209 : 그루브롤러
211 : 롤러모듈부
213 : 클램핑바
215 : 클램프모듈부
217 : 회전축
219 : 가이드홀
221 : 가이드브라켓
223 : 위치조절고정부재
225 : 고정브라켓
227 : 가이드플레이트
229 : 구동기
401 : 걸림턱
403 : 걸림고정구

Claims (3)

  1. 와이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가 포머(former)에 감겨 비드와이어로 성형된 후 와이어의 컷팅시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공급장치로부터 상기 포머로 공급되는 상기 와이어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홈이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 그루브롤러를 포함하는 롤러모듈부; 및
    상기 롤러모듈부와 상기 포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컷팅시 상기 와이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클램핑바를 포함하는 클램프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모듈부는,
    상기 그루브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그루브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그루브롤러의 상하 위치 조절을 위한 가이드홀이 상하방향으로 천공형성된 가이드브라켓; 및
    상기 가이드브라켓이 고정지지되되,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한 위치조절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모듈부는,
    상기 가이드브라켓이 고정지지되는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롤러모듈부를 통과한 상기 와이어가 하측으로 지나가는 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하측에서 구동기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와이어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하면에 가압밀착하여 고정지지하는 상기 클램핑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67834A 2021-05-26 2021-05-26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 KR102498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834A KR102498692B1 (ko) 2021-05-26 2021-05-26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834A KR102498692B1 (ko) 2021-05-26 2021-05-26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793A KR20220159793A (ko) 2022-12-05
KR102498692B1 true KR102498692B1 (ko) 2023-02-10

Family

ID=84392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834A KR102498692B1 (ko) 2021-05-26 2021-05-26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6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737B1 (ko) 2007-11-05 2009-07-0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그린타이어 성형설비에서 비드부 성형장치
WO2013161031A1 (ja) 2012-04-26 2013-10-31 不二精工 株式会社 ビードリング巻取り装置
CN210617363U (zh) 2019-08-30 2020-05-26 重庆市九龙橡胶制品制造有限公司 胎圈钢丝缠绕机
KR102173548B1 (ko) 2014-07-11 2020-11-03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비드 코어용 강선의 변형장치
JP2021054023A (ja) * 2019-10-02 2021-04-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ビードコア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737B1 (ko) 2007-11-05 2009-07-0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그린타이어 성형설비에서 비드부 성형장치
WO2013161031A1 (ja) 2012-04-26 2013-10-31 不二精工 株式会社 ビードリング巻取り装置
KR102173548B1 (ko) 2014-07-11 2020-11-03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비드 코어용 강선의 변형장치
CN210617363U (zh) 2019-08-30 2020-05-26 重庆市九龙橡胶制品制造有限公司 胎圈钢丝缠绕机
JP2021054023A (ja) * 2019-10-02 2021-04-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ビードコア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793A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88099C2 (ru) Барабан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шин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заворота кромок вверх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евулканизованных шин
US20110030835A1 (en) Bead wire winding and forming device
US20190337251A1 (en) Bead setting assembly
US20210354412A1 (en) Belt and tread drum
JP6360880B2 (ja) グリーンタイヤ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790050B2 (en) Auto-adjustable wire precast system
KR102498692B1 (ko) 비드와이어 성형시 와이어 고정장치
US29791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ire bead grommets
EP2055467B1 (en) Bead structure building apparatus in green tire buidling machine
RU2599306C2 (ru) Устройство намотки бортового кольца
US4219375A (en) Making bead rings for vehicle tires
EP3505339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tire component and manufacturing device of tire component
US4724873A (en) Tire bead wire forming apparatus
US20080190550A1 (en)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Be Used in the Automated Construction of a Vehicle Tire
KR101898866B1 (ko) 타이어용 비드의 보강팩킹지 부착 와인더
CN105619857A (zh) 胎圈三角胶组件系统
JP5116011B2 (ja) タイヤ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FR3099407B1 (fr) Tambour expansible pour la conformation de bandages pneumatiques comprenant un dispositif extenseur a parallélogramme pour le maintien de la tringle
US201402386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Tire
JP2008024214A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カーカスコード供給装置
US11345106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tire component and manufacturing device of tire component
KR20060125121A (ko) 비드 스파이럴 랩핑장치
KR101607857B1 (ko) 필름 인너라이너가 적용된 타이어 제조용 성형 장치
KR101691920B1 (ko)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 및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
JP2021067477A (ja) 検定治具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