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020B1 -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020B1
KR102498020B1 KR1020220088368A KR20220088368A KR102498020B1 KR 102498020 B1 KR102498020 B1 KR 102498020B1 KR 1020220088368 A KR1020220088368 A KR 1020220088368A KR 20220088368 A KR20220088368 A KR 20220088368A KR 102498020 B1 KR102498020 B1 KR 102498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odule
winding
stopp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남용
Original Assignee
류남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남용 filed Critical 류남용
Priority to KR1020220088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020B1/ko
Priority to KR1020230015327A priority patent/KR20240011079A/ko
Priority to KR1020230015326A priority patent/KR20240011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6Initial charging meas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4Activating, forming or electrochemical attack of the supporting material
    • H01M4/0445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 H01M4/0447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of complete cells or cells st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은 이차전지를 충방전시키는 포메이션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포메이션부에 화염 발생 시 스크린을 자유낙하시켜 상기 포메이션부를 상기 스크린으로 차폐시키는 스크린 모듈; 상기 스크린 모듈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회전 시 상기 스크린을 권취시키는 권취 모듈; 상기 스크린 모듈 및 상기 권취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린 모듈 및 상기 권취 모듈을 지지하는 연결 브라켓; 및 상기 권취 모듈에 구비되고, 상기 화염 발생 시 상기 권취 모듈의 구속을 해제시켜 상기 스크린을 상기 스크린 모듈로부터 자유낙하시키는 스토퍼 모듈;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fireproof screen for formation apparatus of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이차전지를 활성화시키는 포메이션부에 화염 발생 시 포메이션부를 물리적으로 신속하게 차폐시키는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의미하여,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 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전지는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니켈-수조 전지보다 큰 용량을 가지며,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그 활용 정도가 급 속도로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 차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 극조립체와,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를 구비한다.
이차전지는 일반적으로 전극조립체가 전지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 액체 상태의 전해질, 즉 전해액이 주입되고, 전지 케이스가 실링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전지는 일정한 충방전 과정을 반복하는 활성화 또는 포메이션 (formation)을 진행하게 됨으로써 전지 구조를 안정화시키고 사용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도 1과 같이, 포메이션 장치(F)에는 이차전지(B)를 활성화시키는 포메이션부(H)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포메이션부(H)에 각각의 이차전지(B)가 탑재될 수 있다.
이때, 포메이션 공정에서 이차전지(B)를 충방전시키는 동안 이차전지(B) 특성상 특정 포메이션부(H)에 탑재된 이차전지(B)에 발화 또는 폭발에 의한 화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체 포메이션 장치(F)로 화염이 번져 포메이션부(H)에 탑재된 전체 이차전지(B)에 화염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화염이 발생된 해당 포메이션부(H)의 화염을 차단시켜, 인접된 포메이션부(H)로 화염이 번지지 않도록 해당 포메이션부(H)를 물리적으로 신속하게 차폐시키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51291호(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2022.01.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차전지를 활성화시키는 포메이션부에 화염 발생 시 포메이션부를 물리적으로 신속하게 차폐시키는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은, 이차전지를 충방전시키는 포메이션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포메이션부에 화염 발생 시 스크린을 자유낙하시켜 상기 포메이션부를 상기 스크린으로 차폐시키는 스크린 모듈; 상기 스크린 모듈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회전 시 상기 스크린을 권취시키는 권취 모듈; 상기 스크린 모듈 및 상기 권취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린 모듈 및 상기 권취 모듈을 지지하는 연결 브라켓; 및 상기 권취 모듈에 구비되고, 상기 화염 발생 시 상기 권취 모듈의 구속을 해제시켜 상기 스크린을 상기 스크린 모듈로부터 자유낙하시키는 스토퍼 모듈;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 모듈은, 상기 스크린이 결합되고 상기 스크린을 권취시키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전방 고정브라켓; 상기 샤프트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의 자유낙하 시 상기 스크린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로드; 및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권취 모듈에 결합되는 스크린 베벨기어;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 모듈은, 상기 스크린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에 하중을 부여하는 웨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 모듈은, 상기 연결 브라켓에 지지되고, 축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되는 권취 로드; 상기 권취 로드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크린 모듈에 결합되는 권취 베벨기어; 및 상기 권취 로드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권취 로드를 회전시키는 핸들;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 모듈은, 상기 권취 로드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권취 로드를 지지하는 후방 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 모듈은, 상기 권취 로드에 관통되어 상기 권취 로드에 고정 결합되는 스토퍼 브라켓; 상기 스토퍼 브라켓에 접촉 시 상기 스토퍼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를 전후진시켜 상기 스토퍼를 상기 스토퍼 브라켓에 접촉 또는 이격시키는 전후진 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 브라켓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스토퍼 브라켓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 브라켓의 회전이 구속되면, 상기 권취 로드의 회전이 구속되어 상기 권취 베벨기어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메이션부에 화염 발생 시, 상기 전후진 유닛은 상기 스토퍼를 후진시켜 상기 스토퍼를 상기 스토퍼 브라켓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 로드가 회전되어 상기 스크린의 권취가 완료되면, 상기 전후진 유닛은 상기 스토퍼를 전진시켜 상기 스토퍼를 상기 스토퍼 브라켓에 접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에 따르면, 화염 발생 시 스토퍼 모듈(30)이 권취 모듈(20)의 구속을 해제시켜 권취 모듈(20)에 연동된 스크린 모듈(10)로부터 스크린(14)이 자유낙하됨에 따라 화염이 발생한 포메이션부(H)가 스크린(14)에 의해 물리적으로 신속하게 차폐될 수 있다.
또한, 화염을 신속하게 물리적으로 차단시키면서도 기계적인 간단한 구조로 제작되므로 포메이션부에 화염이 발생하는 동일한 상황에서 오류 없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포메이션 장치(F)의 각 포메이션부(H)에 이차전지가 탑재된 것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이 포메이션부(H)에 배치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모듈(30)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스토퍼 모듈(30)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모듈(30)의 측면 동작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스토퍼 브라켓(31)이 회전되는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14)이 포메이션부(H)를 차폐시킨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이 포메이션부(H)에 배치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모듈(30)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모듈(30)의 정면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이차전지(B)는 포메이션부(H)에 탑재된다. 포메이션부(H)는 포메이션 장치(F)에 구비된다. 포메이션부(H)는 이차전지(B)를 충방전시켜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포메이션부(H)는 상술한 것과 같이, 포메이션 장치(F)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포메이션부(H)에 각각의 이차전지(B)가 탑재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차전지(B)의 측면에는 단자(C)가 노출된다. 단자(C)는 포메이션부(H)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포메이션부(H)는 단자(C)를 통해 이차전지(B)를 충방전시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이차전지(B)가 충방전되는 동안 이차전지(B) 특성상 특정 포메이션부(H)에 탑재된 이차전지(B)에 발화 또는 폭발에 의한 화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체 포메이션 장치(F)로 화염이 번져 포메이션부(H)에 탑재된 전체 이차전지(B)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은, 이차전지(B)를 충방전시키는 포메이션부(H)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포메이션부(H)에 화염 발생 시 스크린(14)을 자유낙하시켜 상기 포메이션부(H)를 상기 스크린(14)으로 차폐시키는 스크린 모듈(10); 상기 스크린 모듈(10)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축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 시 상기 스크린(14)을 권취시키는 권취 모듈(20); 상기 스크린 모듈(10) 및 상기 권취 모듈(20)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린 모듈(10) 및 상기 권취 모듈(20)을 지지하는 연결 브라켓(40); 및 상기 권취 모듈(20)에 구비되고, 상기 화염 발생 시 상기 권취 모듈(20)의 구속을 해제시켜 상기 스크린(14)을 상기 스크린 모듈(10)로부터 자유낙하시키는 스토퍼 모듈(30); 을 포함한다.
스크린 모듈(10)은 포메이션부(H)의 상부에 배치된다. 스크린 모듈(10)에는 스크린(14)이 구비된다. 스크린(14)은 방염재질 천, 직물 등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
스크린 모듈(10)은 포메이션부(H)에 화염 발생 시 스크린(14)을 자유낙하시킨다. 이 경우, 스크린(14)은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되어, 포메이션부(H)를 스크린(14)으로 차폐시킨다. 스크린(14)이 자중에 의해 신속하게 자유낙하되어 화염이 발생된 포메이션부(H)를 물리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스크린(14)은 포메이션부(H)의 정면을 차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포메이션부(H)에서 발생된 화염이 인접된 포메이션부(H)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권취 모듈(20)은 스크린 모듈(10)에 수직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권취 모듈(20)은 스크린 모듈(10)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권취 모듈(20)은 스크린 모듈(10)에 연동된다.
권취 모듈(20)은 축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 시 스크린(14)을 권취시킬 수 있다. 즉, 스크린(14)이 포메이션부(H)를 차폐시킨 후 화염을 제거하게 되면, 다시 스크린(14)을 권취시켜 포메이션부(H)를 개방시켜야 한다. 이 경우, 권취 모듈(20)을 회전시켜, 스크린(14)을 스크린 모듈(10)에 다시 권취시킨다.
권취 모듈(20)은 후술하는 스토퍼 모듈(30)에 의해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권취 모듈(20)이 스토퍼 모듈(30)에 의해 구속되면, 권취 모듈(20)은 스크린 모듈(10)에 연동되므로, 스크린 모듈(10)에 구비된 스크린(14)이 자유낙하 되지 않는다. 권취 모듈(20)의 구속이 해제되면 스크린 모듈(10)의 스크린(14)이 자유낙하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40)에는 스크린 모듈(10) 및 권취 모듈(20)이 구비된다. 연결 브라켓(40)은 "ㄱ"자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40)은 스크린 모듈(10) 및 권취 모듈(20)을 지지한다. 스크린 모듈(10) 및 권취 모듈(20)은 연결 브라켓(40)에서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 모듈(30)은 권취 모듈(20)에 구비된다. 스토퍼 모듈(30)은 평상시 권취 모듈(20)을 구속시켜, 권취 모듈(20)이 축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 경우, 권취 모듈(20)에 연동된 스크린 모듈(10)이 회전되지 않으므로, 스크린(14)이 자유낙하되지 않게 된다.
화염 발생 시 스토퍼 모듈(30)은 권취 모듈(20)의 구속을 해제시킨다. 스토퍼 모듈(30)이 권취 모듈(20)의 구속을 해제시키면 권취 모듈(20)이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권취 모듈(20)에 연동된 스크린 모듈(10)로부터 스크린(14)이 자유낙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포메이션부(H)가 스크린(14)에 의해 물리적으로 신속하게 차폐되어, 해당 포메이션부(H)에서 발생환 화염이 인접된 포메이션부(H)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염을 신속하게 물리적으로 차단시키면서도 기계적인 간단한 구조로 제작되므로 포메이션부에 화염이 발생하는 동일한 상황에서 오류 없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모듈(10)은, 상기 스크린(14)이 결합되고 상기 스크린(14)을 권취시키는 샤프트(11); 상기 샤프트(11)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11)를 지지하는 전방 고정브라켓(16); 상기 샤프트(11)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14)의 자유낙하 시 상기 스크린(14)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로드(13); 상기 샤프트(11)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권취 모듈(20)에 결합되는 스크린 베벨기어(12); 및 상기 스크린(14)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14)에 하중을 부여하는 웨이트(15); 를 포함한다.
샤프트(11)는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샤프트(11)에는 스크린(14)이 결합된다. 스크린(14)은 샤프트(11)에 권취될 수 있다.
스크린(14)이 자유낙하 되는 경우, 샤프트(11)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샤프트(11)는 스크린(14)이 자유낙하된 후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스크린(14)을 다시 권취시킬 수 있다.
전방 고정브라켓(16)은 샤프트(11)의 양단에 구비된다. 전방 고정브라켓(16)은 샤프트(11)를 지지한다. 전방 고정브라켓(16)은 포메이션 장치(F)에 결합되어, 샤프트(11)를 포메이션 장치(F)에 지지시킬 수 있다. 전방 고정브라켓(16)에는 연결 브라켓(40)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로드(13)는 샤프트(11)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가이드 로드(13)는 스크린(14)이 샤프트(11)로부터 자유낙하 시 스크린(14)이 일정하게 자유낙하되도록 스크린(14)을 가이드한다.
스크린 베벨기어(12)는 샤프트(11)의 단부에 구비된다. 샤프트(11)가 회전되면 스크린 베벨기어(12)가 회전된다. 스크린 베벨기어(12)는 연결 브라켓(40)에 배치될 수 있다.
스크린 베벨기어(12)는 권취 모듈(20)에 결합된다. 스크린 베벨기어(12)는 권취 모듈(20)에 연동된다. 샤프트(11)가 회전되면 스크린 베벨기어(12)가 회전되어, 권취 모듈(20)을 회전시킨다. 반대로, 권취 모듈(20)이 회전되면 스크린 베벨기어(12)가 회전되어, 샤프트(11)를 회전시킨다.
스크린 베벨기어(12)는 후술하는 권취 베벨기어(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린 베벨기어(12)와 권취 베벨기어(22)는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크린 베벨기어(12)는 권취 베벨기어(22)에 연동된다.
웨이트(15)는 스크린(14)의 단부에 결합된다. 웨이트(15)는 스크린(14)의 하부에 결합된다. 웨이트(15)는 일정한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웨이트(15)에 의해 스크린(14)에 하중이 부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 모듈(30)이 권취 모듈(20)의 구속을 해제시키면, 스크린(14)이 웨이트(15)가 부여한 하중에 의해 샤프트(11)로부터 자유낙하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 모듈(20)은, 상기 연결 브라켓(40)에 지지되고, 축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되는 권취 로드(21); 상기 권취 로드(21)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크린 모듈(10)에 결합되는 권취 베벨기어(22); 상기 권취 로드(21)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권취 로드(21)를 회전시키는 핸들(23); 및 상기 권취 로드(21)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권취 로드(21)를 지지하는 후방 고정브라켓(24); 을 포함한다.
권취 로드(21)는 연결 브라켓(40)에 지지된다, 권취 로드(21)는 연결 브라켓(40)을 관통할 수 있다. 권취 로드(21)는 스크린 모듈(10)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권취 로드(21)는 축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된다. 권취 로드(21)가 회전 시 후술하는 권취 베벨기어(22)가 회전될 수 있다.
권취 베벨기어(22)는 권취 로드(21)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다. 권취 베벨기어(22)는 연결 브라켓(40)에 배치된다. 권취 베벨기어(22)는 권취 로드(21)의 회전 시 회전된다.
권취 베벨기어(22)는 스크린 모듈(10)에 결합된다. 권취 베벨기어(22)는 스크린 베벨기어(12)에 결합될 수 있다. 권취 베벨기어(22)는 스크린 베벨기어(12)에 연동된다.
핸들(23)은 권취 로드(21)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다. 핸들(23)은 권취 로드(21)를 회전시킨다. 상술한 것과 같이, 스크린(14)이 자유낙하한 후 사용자가 핸들(23)을 회전시켜 권취 로드(21)를 회전시키면, 스크린(14)을 샤프트(11)에 다시 권취시킬 수 있다.
후방 고정브라켓(24)은 권취 로드(21)에 관통되게 구비된다. 후방 고정브라켓(24)은 권취 로드(21)를 지지한다. 후방 고정브라켓(24)은 포메이션 장치(F)에 결합되어, 권취 로드(21)를 포메이션 장치(F)에 지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모듈(30)은, 상기 권취 로드(21)에 관통되어 상기 권취 로드(21)에 고정 결합되는 스토퍼 브라켓(31); 상기 스토퍼 브라켓(31)에 접촉 시 상기 스토퍼 브라켓(31)을 고정시키는 스토퍼(32); 및 상기 스토퍼(32)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32)를 전후진시켜 상기 스토퍼(32)를 상기 스토퍼 브라켓(31)에 접촉 또는 이격시키는 전후진 유닛(33); 을 포함한다.
스토퍼 브라켓(31)은 권취 로드(21)에 구비된다. 스토퍼 브라켓(31)은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브라켓(31)은 권취 로드(21)에 관통된다. 스토퍼 브라켓(31)은 권취 로드(21)에 고정 결합된다. 이 경우, 스토퍼 브라켓(31)은 권취 로드(21)와 함께 회전된다. 이때, 스토퍼 브라켓(31)은 권취 로드(21)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스토퍼(32)는 스토퍼 브라켓(31)에 접촉될 수 있다. 스토퍼(32)는 전후진될 수 있다. 스토퍼(32)가 전진되어 스토퍼 브라켓(31)에 접촉 시 스토퍼 브라켓(31)을 지지하여 고정시킨다. 도 5와 같이, 스토퍼(32)는 스토퍼 브라켓(31)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32)는 스토퍼 브라켓(31)의 회전을 구속한다.
스토퍼 브라켓(31)의 회전이 구속되면 권취 로드(21)의 회전이 구속되어, 권취 베벨기어(22)의 회전이 구속된다. 이에 따라, 스크린 베벨기어(12)의 회전이 구속되어, 샤프트(11)로부터 스크린(14)이 자유낙하되지 않게 된다.
전후진 유닛(33)은 전방 고정브라켓(16)에 구비될 수 있다. 전후진 유닛(33)에는 스토퍼(32)가 구비된다. 전후진 유닛(33)은 스토퍼(32)를 전후진시킨다. 이 경우, 전후진 유닛(33)는 스토퍼(32)를 스토퍼 브라켓(31)에 접촉 또는 이격시킨다.
전후진 유닛(33)이 스토퍼(32)를 전진시키면, 스토퍼(32)가 스토퍼 브라켓(31)에 접촉되어 스토퍼 브라켓(31)을 고정시킨다.
전후진 유닛(33)이 스토퍼(32)를 후진시키면, 스토퍼(32)가 스토퍼 브라켓(31)에 이격되어 스토퍼 브라켓(31)의 구속을 해제시킨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모듈(30)의 측면 동작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브라켓(31)이 회전되는 동작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14)이 포메이션부(H)를 차폐시킨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
먼저, 도 3과 같이, 스크린(14)이 샤프트(11)에 권취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스토퍼(32)가 스토퍼 브라켓(31)에 접촉되어, 스토퍼 브라켓(31)의 회전을 구속한다. 이 경우, 샤프트(11)의 회전이 구속되므로, 스크린(14)이 샤프트(11)에 권취된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술한 것과 같이 포메이션부(H)에 화염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도 6과 같이, 스토퍼 모듈(30)이 작동된다. 보다 상세하게, 화염 발생 시 전후진 유닛(33)이 스토퍼(32)를 후진시켜, 스토퍼(32)를 스토퍼 브라켓(31)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이에 따라, 스토퍼 브라켓(31)의 구속이 해제되어, 스토퍼 브라켓(31)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도 7과 같이, 스토퍼 브라켓(31)이 회전이 가능해지므로, 권취 로드(21)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때, 권취 로드(21)의 회전이 가능해지므로, 권취 베벨기어(22)에 결합된 스크린 베벨기어(12) 및 샤프트(11)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웨이트(15)가 스크린(14)에 일정한 중량을 부여하므로, 스크린(14)이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한다. 이에 따라, 도 8과 같이, 포메이션부(H)를 스크린(14)이 차폐시켜, 화염이 인접 포메이션부(H)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화염을 제거한 후 사용자는 핸들(23)을 회전시켜, 권취 로드(21)를 회전시킨다. 권취 로드(21)가 회전되면 스크린(14)을 샤프트(11)에 다시 권취시킬 수 있다.
샤프트(11)에 스크린(14)의 권취가 완료되면, 전후진 유닛(33)이 스토퍼(32)를 전진시킨다. 전후진 유닛(33)은 스토퍼(32)를 스토퍼 브라켓(31)에 접촉시킨다. 이에 따라, 스토퍼 브라켓(31)의 회전이 구속되어, 스크린(14)이 샤프트(11)에 권취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스크린 모듈 20 : 권취 모듈
30 : 스토퍼 모듈 40 : 연결 브라켓

Claims (10)

  1. 이차전지를 충방전시키는 포메이션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포메이션부에 화염 발생 시 스크린을 자유낙하시켜 상기 포메이션부를 상기 스크린으로 차폐시키는 스크린 모듈; 상기 스크린 모듈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회전 시 상기 스크린을 권취시키는 권취 모듈; 상기 스크린 모듈 및 상기 권취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린 모듈 및 상기 권취 모듈을 지지하는 연결 브라켓; 및 상기 권취 모듈에 구비되고, 상기 화염 발생 시 상기 권취 모듈의 구속을 해제시켜 상기 스크린을 상기 스크린 모듈로부터 자유낙하시키는 스토퍼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권취 모듈은, 상기 연결 브라켓에 지지되고, 축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되는 권취 로드; 및 상기 권취 로드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크린 모듈에 결합되는 권취 베벨기어;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모듈은, 상기 권취 로드에 관통되어 상기 권취 로드에 고정 결합되는 스토퍼 브라켓; 상기 스토퍼 브라켓에 접촉 시 상기 스토퍼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를 전후진시켜 상기 스토퍼를 상기 스토퍼 브라켓에 접촉 또는 이격시키는 전후진 유닛; 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모듈은,
    상기 스크린이 결합되고 상기 스크린을 권취시키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권취 모듈에 결합되는 스크린 베벨기어;
    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088368A 2022-07-18 2022-07-18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 KR102498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368A KR102498020B1 (ko) 2022-07-18 2022-07-18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
KR1020230015327A KR20240011079A (ko) 2022-07-18 2023-02-06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
KR1020230015326A KR20240011078A (ko) 2022-07-18 2023-02-06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368A KR102498020B1 (ko) 2022-07-18 2022-07-18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5327A Division KR20240011079A (ko) 2022-07-18 2023-02-06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
KR1020230015326A Division KR20240011078A (ko) 2022-07-18 2023-02-06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020B1 true KR102498020B1 (ko) 2023-02-08

Family

ID=8522575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368A KR102498020B1 (ko) 2022-07-18 2022-07-18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
KR1020230015327A KR20240011079A (ko) 2022-07-18 2023-02-06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
KR1020230015326A KR20240011078A (ko) 2022-07-18 2023-02-06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5327A KR20240011079A (ko) 2022-07-18 2023-02-06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
KR1020230015326A KR20240011078A (ko) 2022-07-18 2023-02-06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980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960A (ja) * 1998-12-01 2000-06-13 Kajima Corp シートシャッター
KR20080007917A (ko) * 2006-07-19 2008-01-23 김태운 방화 스크린 장치
KR102185759B1 (ko) * 2019-04-04 2020-12-03 주식회사 케이엔 Ess 소화 시스템
KR102351291B1 (ko) 2018-03-08 2022-01-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온도 편차가 개선된 이차전지의 활성화 공정을 위한 충방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960A (ja) * 1998-12-01 2000-06-13 Kajima Corp シートシャッター
KR20080007917A (ko) * 2006-07-19 2008-01-23 김태운 방화 스크린 장치
KR102351291B1 (ko) 2018-03-08 2022-01-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온도 편차가 개선된 이차전지의 활성화 공정을 위한 충방전 장치
KR102185759B1 (ko) * 2019-04-04 2020-12-03 주식회사 케이엔 Ess 소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078A (ko) 2024-01-25
KR20240011079A (ko)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8331B2 (ja) 電池パック、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10847799B2 (en)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metal battery and lithium metal battery comprising the same
ES2945471T3 (es) Disolución no acuosa electrolítica para una batería secundaria de litio, y batería secundaria de litio que comprende la misma
JP2002110122A (ja) 電池パック及び携帯用電子機器
EP1619733A1 (en)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US20100227227A1 (en) Electrolyte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comprising same
ES2943584T3 (es) Batería secundaria de litio
JP2003151633A (ja) ゾル状の高分子電解質及びこ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電池
JP6987963B2 (ja) 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それを含む電気化学素子及び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CN101572328A (zh) 非水电解质电池
ES2965377T3 (es) Aditivo para electrolito no acuoso, electrolito no acuoso para batería secundaria de litio que comprende el mismo, y batería secundaria de litio
KR101355407B1 (ko) 소화 조성물을 내장한 마이크로 캡슐 및 그를 갖는 리튬 이차 전지
JP2020507903A (ja) 電池パック、電動工具および電子機器
JP2004273153A (ja) 電池
JP7262061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102498020B1 (ko) 이차전지 포메이션 장치용 방화 스크린
US20210242446A1 (en) All-solid-state battery using lithium metal for negative electrode
US8546025B2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JP2016081681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210049079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12018445A (zh) 自毁结构、电解液、电极、隔膜及电池
JP2001210380A (ja) ポリマー電池
WO2012134202A2 (ko) 소화 조성물을 내장한 마이크로 캡슐 및 그를 갖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449758B1 (ko) 안전성이 개선된 리튬전지
CN216418124U (zh) 一种具有自动灭火功能的锂电池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