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919B1 - 위험 시설물의 사고에 대한 진압/대피의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험 시설물의 사고에 대한 진압/대피의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919B1
KR102497919B1 KR1020220148056A KR20220148056A KR102497919B1 KR 102497919 B1 KR102497919 B1 KR 102497919B1 KR 1020220148056 A KR1020220148056 A KR 1020220148056A KR 20220148056 A KR20220148056 A KR 20220148056A KR 102497919 B1 KR102497919 B1 KR 102497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user terminal
suppression
facility
dange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범
신용희
Original Assignee
(주)세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이프 filed Critical (주)세이프
Priority to KR1020220148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Abstract

위험 시설물의 사고에 대한 진압/대피의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시스템은, 위험 시설물이 설치되는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장소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기들과, 상기 위험 시설물에 설치되어 상기 위험 시설물에서 발생되는 사고를 감지하는 센서 장치와, 상기 위험 시설물의 사고를 진압하기 위하여 상기 장소에 배치된 사고 진압 장비를 관리하는 장비 관리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및/또는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사고 발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고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및 상기 장비 관리 장치로 상기 위험 시설물의 사고에 대한 진압/대피와 관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험 시설물의 사고에 대한 진압/대피의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Dangerous facility management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suppression/evacuation of accidents at dangerous facilitie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위험 시설물의 사고에 대한 진압/대피의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 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위험 시설물에서 위험물의 유출을 원격 감지하여 통제하는 종래의 기술은 각 위험 시설물 별로 장착되어 위험물의 유출을 감지하는 센서 장치와,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위험물의 유출 신호를 수신하여 대응 조치를 마련하는 서버와 위험 시설물을 관리하는 사용자의 단말기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774105호(이하, 선행기술 1), 등록특허공보 제10-1567773호(이하, 선행기술 2) 및 등록특허공보 제10-1771579호(이하, 선행기술 3)가 개시되었다.
선행기술 1은, 방호수단으로 보호되는 위험물 저장조에 저장된 위험물이 유출됨을 감지하는 위험 센서 장치부에 의한 감지 정보를 컨트롤러부를 통해 관리자에게 SMS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 2는, 위험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반과 위험 설비를 감시하는 감시부가 무선중계기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 서버에 접속되고, 제어반의 제어 정보와 감시부의 감시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에서 확인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 3은, 단위 건축물에 설치되어 단위 건축물 내의 환경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 장치모듈, 센서 장치모듈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관제 시스템부 및 센서 장치모듈 또는 관제 시스템부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U-City 통합운영센터부로 구성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험 시설물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의 타입 및 정도를 판단하여 용이하게 사고를 진압할 수 있는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위험 시설물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를 보다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위험 시설물이 설치되는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장소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기들과, 상기 위험 시설물에 설치되어 상기 위험 시설물에서 발생되는 사고를 감지하는 센서 장치와, 상기 위험 시설물의 사고를 진압하기 위하여 상기 장소에 배치된 사고 진압 장비를 관리하는 장비 관리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및/또는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사고 발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고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및 상기 장비 관리 장치로 상기 위험 시설물의 사고에 대한 진압/대피와 관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험 시설물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의 타입 및 정도를 판단하여 용이하게 사고를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위험 시설물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를 보다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일부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제1 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다른 일부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또 다른 일부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도로의 노면으로 제1 대피 방향 정보가 출력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도로의 노면으로 제1 및 제2 대피 방향 정보가 출력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1)은 장소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험 시설물(20a)을 관리하는 관리 시스템으로서, 위험 시설물(20a)은 화학물질 저장탱크, 가스 설비, 유해물질 저장 탱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1)은 관제 서버(10), 적어도 하나의 센서 장치(20), 적어도 하나의 장비 관리 장치(30), 적어도 하나의 사고 진압 로봇(40),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50) 및 복수의 가로등(60)을 포함할 수 있다.
관제 서버(10)는 프로세서 기반의 제어 모듈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위험 시설물(20a)을 관리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 장치(20)는 위험 시설물(20a)에 설치되어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되는 사고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 장치(20)는 감시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프로세서 기반의 제어 모듈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센서 장치(20)는, 화학물질 저장탱크에 저장된 화학물질의 유출을 감지하는 누액 센서 장치, 가스 설비의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가스 센서 장치, 불꽃 및 온도를 감지하는 화재 센서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비 관리 장치(30)는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되는 사고를 진압하기 위하여 장소에 배치된 사고 진압 장비(30a)를 관리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사고 진압 장비(30a)는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기, 가스 누출을 진압하기 위한 방독면 등일 수 있다. 장비 관리 장치(30)는 사고 진압 장비(30a)와 인접하여 또는 접촉되어 설치될 수 있다. 장비 관리 장치(30) 및 사고 진압 장비(30a)는 장소의 특정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불필요한 사용 또는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사고 진압 장비(30a)는 잠금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비 관리 장치(30)는 사고 진압 장비(30a)의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를 구현하기 위한 잠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장비 관리 장치(30)는 소화기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소화기가 잠금 장치에 의해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소화기를 들어올릴 수 없고, 소화기가 잠금 해제 상태 있는 경우 사용자는 소화기를 들어올려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더불어, 장비 관리 장치(30)는 프로세서 기반의 제어 모듈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모듈에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모듈이 사고 진압 장비(30a)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특히, 장비 관리 장치(30)의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장비 관리 장치(30)의 블루투스 모듈을 "제2 블루투스 모듈"로 호칭하기로 한다.
사고 진압 로봇(40)은 사용자가 사고를 진압할 수 없거나 사용자보다 사고를 빠르게 진압할 때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사고 진압 로봇(40)은 장소의 특정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사고 진압 로봇(40)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화재 진압용 로봇,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 밸브를 잠글 수 있는 가스 진압용 로봇 등일 수 있다. 사고 진압 로봇(40)는 로봇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로봇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사고 진압 로봇(40)은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50)는 장소에 위치하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보유한 단말기일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기(50)는 스마트 폰, 태플릿 PC 등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부, 터치 디스플레이부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50)의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 단말기(50)의 블루투스 모듈을 "제1 블루투스 모듈"로 호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50)에는 위험 시설물(20a)을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위험 시설물(20a)의 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
가로등(60)은 장소 내의 도로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로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가로등(60)은 도로의 노면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제1 프로젝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가로등(60)의 제1 프로젝터는 사고의 발생 시 사용자의 대피 방향 정보를 도로의 노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로등(60)은 프로세서부 및 통신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센서 장치(20)를 통해 또는 사용자의 관찰을 통해 위험 시설물(20a)에서의 사고가 감지될 수 있다. 즉, 관제 서버(10)는 센서 장치(20)에 수신된 감지값 또는 사용자 단말기(50)에서 수신된 감지 정보값를 포함하는 사고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관제 서버(10)는 사고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장비 관리 장치(30), 사고 진압 로봇(40) 및 사용자 단말기(50) 중 적어도 일부로 위험 시설물(20a)의 사고에 대한 진압/대피와 관련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관제 서버(10)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1)의 일부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의 단계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S102)에서, 관제 서버(10)는 사고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고 발생 정보는 센서 장치(2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50)에서 수신될 수 있다.
단계(S104)에서, 관제 서버(10)는 장소에서의 사용자 단말기(5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기(50)는 GPS 등의 위치 측정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관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50)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5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S106)에서, 관제 서버(10)는 사고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한 사고의 타입(type) 및 정도(level)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장치(20)에서 수신되는 사고 발생 정보는 센서 장치(20)의 식별자 및 감지값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장치(20)의 식별자는 센서 장치(20)의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관제 서버(10)는 센서 장치(20)의 식별자를 통해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한 사고의 타입을 판단할 수 있고, 센서 장치(20)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한 사고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사고의 타입은 화재 사고, 가스 누출 사고 및 화학물질 누출 사고 등일 수 있고, 사고의 정도는 센싱 장치(20)에서 측정된 감지값에 기초하여 상/중/하의 레벨로 구분될 수 있다. 상/중/하의 레벨은 통계적 또는 실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S108)에서, 관제 서버(10)는 단계(S106)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한 사고가 사고 진압 장비(30a)에 의해 사람이 진압 가능한 사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한 사고는 제1, 제2 및 제3 사고 중 어느 하나의 사고일 수 있다.
제1 사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고 진압 장비(30a)에 의해 진압이 가능한 사고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센싱 장치(20)에서 측정된 감지값이 "하" 레벨인 사고가 제1 사고일 수 있다.
제2 사고는 제1 사고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사고 진압 로봇(40)에 의해 진압이 가능한 사고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2 사고는 사람에 의해서는 진압이 불가능하고, 사고 진압 로봇(40)에 의해 진압 가능한 사고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센싱 장치(20)에서 측정된 감지값이 "중" 레벨인 사고가 제2 사고일 수 있다.
제3 사고는 제1 사고 및 제2 사고에는 포함되지 않는 사고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3 사고는 사람 및 사고 진압 로봇(40) 모두에 의해서 진압이 불가능하고, 사고를 진압하기 위한 기관(일례로, 소방서 등)에서 진압 가능한 사고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센싱 장치(20)에서 측정된 감지값이 "상" 레벨인 사고가 제3 사고일 수 있다.
요컨대, 단계(S108)에서, 관제 서버(10)는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한 사고가 제1 사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한 사고가 제1 사고가 아닌 경우, 단계(S110)에서, 관제 서버(10)는 단계(S106)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한 사고가 사고 진압 로봇(40)에 의해 진압 가능한 사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관제 서버(10)는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한 사고가 제2 사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한 사고가 제1 사고인 경우, 단계(S112) 내지 단계(S122)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한 사고가 제2 사고인 경우, 단계(S122)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한 사고가 제2 사고가 아닌 경우, 즉 제3 사고인 경우, 단계(S124)가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한 사고가 제1 사고인 경우에서의 관제 서버(1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S112)에서, 관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50)의 위치에서 사고 진압 장비(30a)의 위치를 경유하여 사고가 발생한 제1 지점으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제1 소요 시간을 사용자 단말기들(50) 별로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50)의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50)에서 전송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사고 진압 장비(30a)의 위치는 미리 설정 및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소요 시간은 제1-1, 제1-2 및 제1-3 소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요 시간은 사용자 단말기(50)를 보유한 사용자가 사고 진압 장비(30a)의 설치 지점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다. 제1-2 소요 시간은 후술할 사고 진압 장비(30a)의 잠금을 해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다. 제1-3 소요 시간은 사고 진압 장비(30a)의 설치 지점에서 사고가 발생한 제1 지점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다.
단계(S114)에서, 관제 서버(10)는 사고 진압 로봇(40)이 사고가 발생한 제1 지점으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제2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소요 시간은 제2-1 및 제2-2 소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소요 시간은 사고 진압 로봇(40)이 웨이크 업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2 소요 시간은 웨이크 업된 사고 진압 로봇(40)이 사고가 발생한 제1 지점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다.
단계(S116)에서, 관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들(50) 중 제2 소요 시간보다 작은 제1 소요 시간을 가지는 제1 사용자 단말기(50a)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단계(S116)에서는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한 제1 사고를 빨리 진압하기 위해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다.
만약, 제1 사용자 단말기(50a)가 존재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50a)를 보유한 제1 사용자가 사고 진압 로봇(40)보다 제1 사고를 빨리 진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S118) 및 단계(S120)가 수행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사용자 단말기(50a)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고 진압 로봇(40)이 제1 사용자보다 제1 사고를 빨리 진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S122)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기(50a)가 존재하는 경우, 단계(S11)에서, 관제 서버(10)는 장소의 제1 맵을 제1 사용자 단말기(50a)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50a)는 제1 맵을 터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1 맵은 위험 시설물(20a)이 설치된 제1 지점의 위치 및 사고 진압 장비(30a)의 위치가 표현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기(50a)에 표시된 제1 맵(30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사용자는 제1 맵(300)에 기초하여 위험 시설물(20a)로 이동하여 제1 사고를 진압할 수 있다.
한편, 위험 시설물(20a)와 관련하여 2 이상의 사고 진압 장비(30a)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2 이상의 사고 진압 장비(30a)와 관련된 제1 소요 시간은 제2 소요 시간보다 작은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제1 맵(300)에는 2 이상의 사고 진압 장비(30a) 중 제1-3 소요 시간이 최소인 사고 진압 장비(30a)가 강조되어 표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가 사고 진압 장비(30a)를 들고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인력이 감소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S118)에서, 관제 서버(10)는 사고 진압 장비(30)의 제2 블루투스 모듈의 웨이크 업 신호를 사고 진압 장비(3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계(S116)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50a)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S122)에서 관제 서버(10)는 사고 진압을 위한 로봇 제어 명령을 실시간으로 사고 진압 로봇(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108) 및 단계(S110)에서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된 사고가 제2 사고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도, 관제 서버(10)는 로봇 제어 명령을 실시간으로 사고 진압 로봇(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로봇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사고 진압 로봇(40)은 제1 사고 또는 제2 사고를 진압할 수 있다. 로봇 제어 명령은 사고 진압 로봇(40)의 웨이크 업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08) 및 단계(S110)에서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된 사고가 제3 사고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관제 서버(10)는 위험 시설물(20a)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알림 메시지를 사고 진압을 위한 기관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기관은 제3 사고를 진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관에서 사고를 진압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또는 사고 진압 로봇(40)이 사고를 진압하는 것보다 느리게 사고가 진압될 수 있다.
더불어, 단계(S126)에서, 관제 서버(10)는 대피 경로를 포함하는 장소의 제2 맵을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50) 중 제2 사용자 단말기(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 단말기(50)는 제2 맵을 터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 단말기(50)는 복수의 사용자들 중 사고의 발생에 따라 대피하는 제2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사용자는 제2 맵에 기초하여 대피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10)는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된 사고의 타입을 제1, 제2, 및 제3 사고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된 사고가 "하"의 사고 레벨인 제1 사고인 경우, 관제 서버(10)는 사고의 진압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객체(제1 사용자 또는 사고 진압 로봇(40))로 사고 진압을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된 사고가 "중"의 사고 레벨인 제2 사고인 경우, 안전 상의 문제로 인해 사용자가 사고를 진압할 수 없으므로, 관제 서버(10)는 사고 진압 로봇(40)으로 사고 진압을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된 사고가 "상"의 사고 레벨인 제3 사고인 경우, 규모가 큰 사고여서 사용자 및 사고 진압 로봇(40)이 사고를 진압할 수 없으므로, 관제 서버(10)는 상기 기관으로 사고 진압을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된 사고가 빠르고 효과적으로 진압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1)의 다른 일부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단계들은 앞서 설명한 도 2의 단계(S118) 및 단계(S120)의 이후에 수행되는 단계들일 수 있다. 그리고, 위험 시설물(20a)의 사고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사고 진압 장비(30a)는 잠금 상태로 배치되고, 제1 사용자 단말기(50a)에서는 위험 시설물(20a)을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하, 도 4의 단계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S202)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50a)는 제1 맵의 수신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50a)의 제1 블루투스 모듈을 웨이크 업 시킬 수 있다.
즉, 단계(S118)에서 관제 서버(10)에서 전송된 제1 맵이 제1 사용자 단말기(50a)의 원거리 통신 모듈 또는 WiFi 모듈로 수신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50a)는 턴 오프된 제1 블루투스 모듈을 턴 온할 수 있다. 한편, 제1 맵이 수신되는 시점에서 제1 블루투스 모듈이 턴 온되어 있는 경우 단계(S202)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S204)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50a)는 제1 맵에 기초하여 사고 진압 장비(30a)의 인근 구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단계(S206)에서, 장비 관리 장치(30)는 웨이크 업 신호에 기초하여 장비 관리 장치(30)의 제2 블루투스 모듈을 웨이크 업 시킬 수 있다.
즉, 단계(S120)에서 전송된 웨이크 업 신호가 장비 관리 장치(30)의 원거리 통신 모듈 또는 WiFi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장비 관리 장치(30)는 턴 오프된 제2 블루투스 모듈을 턴 온할 수 있다.
단계(S208)에서, 장비 관리 장치(30)는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2 블루투스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단계(S202) 및 단계(S204)는 단계(S206) 및 단계(S208)과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일정한 시차를 두고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S210)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50a)와 장비 관리 장치(30)는 블루투스 페어링될 수 있다. 즉, 제1 블루투스 모듈과 제2 블루투스 모듈은 블루투스 페어링될 수 있다.
단계(S212)에서, 장비 관리 장치(30)는 사고 진압 장비(30a)의 사용법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기(50a)로 전송할 수 있다.
가이드 정보는 일례로, 소화기의 사용법, 가스 밸브의 잠금법 등에 대한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위험 시설물(20a)에서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장비 관리 장치(300의 메모리 등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단계(S214)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50a)는 가이드 정보를 터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S216)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50a)는 가이드 정보가 표시된 후 미리 설정된 기간 후에 확인 메시지를 터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확인 메시지는 가이드 정보를 제1 사용자가 시청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일례로, 확인 메시지는 확인을 체크하기 위한 가상 버튼일 수 있다.
단계(S218)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50a)는 확인 메시지에 대한 클릭 이벤트를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220)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50a)는 확인 메시지에 대한 클릭 이벤트를 장비 관리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222)에서, 장비 관리 장치(30)는 클릭 이벤트의 수신에 기초하여 사고 진압 장비(30a)의 잠금 장치를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224)에서, 장비 관리 장치(30)는 잠금 장치의 해제 알림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기(50a)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는 잠금이 해제된 사고 진압 장비(30a)를 물리적으로 획득할 수 있고, 사고 진압 장비(30a)를 이용하여 위험 시설물(20a)에서 발생한 사고를 진압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1)은 관제 서버(10)가 제1 맵 및 웨이크 업 신호를 각각 제1 사용자 단말기(50a) 및 장비 관리 장치(30)로 전송함으로써, 제1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사고 진압 장비(30a)의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제1-2 소요 시간이 감소될 수 있고, 제1 사용자가 사고를 빠르게 진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1)의 또 다른 일부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단계들은 앞서 설명한 도 2의 단계(S126)의 이후에 수행되는 단계들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기(50)에서는 위험 시설물(20a)을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S302)에서, 관제 서버(10)는 복수의 가로등(60) 중 대피 경로의 인근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60)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고의 타입에 따라 대피 경로는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관제 서버(10)는 복수의 가로등(60) 중 미리 생성된 대피 경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60)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S304)에서, 관제 서버(10)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60) 별로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제1 대피 방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60) 별로 제1 대피 방향 정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단계(S306)에서, 관제 서버(10)는 제1 대피 방향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60) 중 대응되는 가로등(6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308)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60) 각각은 제1 대피 방향 정보를 제1 프로젝터를 통해 도로의 노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도로의 노면으로 제1 대피 방향 정보가 출력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제 서버(10)는 대피 경로에 기초하여 3개의 가로등(60) 중에서 2개의 가로등(60a, 60b)를 선택할 수 있고, 2개의 가로등(60a, 60b)으로 제1 대피 방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2개의 가로등(60a, 60b) 각각은 대응되는 제1 대피 방향 정보(610a, 610b)(일례로, 화살표 형태의 진행 방향 정보)를 제1 프로젝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사용자는 제2 맵과 함께 제1 대피 방향 정보(610a, 610b)를 더 고려하여 대피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효율적으로 제2 사용자가 대피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등 a(60a)과 가로등 b(60b) 사이의 도로 교차 지점에 가로등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도로 교차 지점에 제1 대피 방향 정보(610a, 610b)가 출력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제2 사용자가 사고 발생에 당황하여 제2 맵을 확인하지 않고 제1 대피 방향 정보(610a, 610b)에만 기초하여 대피를 수행하는 경우, 도로 교차 지점에 제1 대피 방향 정보(610a, 610b)가 표시되지 않아 제2 사용자가 대피를 빠르게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1)은 제2 프로젝터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이용하여 제1 대피 방향 정보(610a, 610b)와는 다른 제2 대피 방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도로의 노면으로 제1 및 제2 대피 방향 정보(610a, 610b, 710)가 출력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장소에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70)이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드론(70) 각각은, 프로세서부, 통신 모듈, 도로의 노면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제2 프로젝터 및 장소 내의 구역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관제 서버(10)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70) 별로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제2 대피 방향 정보를 생생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10)는 대피 경로 내의 지점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60)이 설치되지 않은 지점(일례로, 도로 교차 지점)의 상측 지점으로 적어도 하나의 드론(70)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드론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후, 관제 서버(10)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70) 별 제2 대피 방향 정보 및 제1 드론 제어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드론(70) 중 대응되는 드론(7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드론(70) 각각은, 제1 드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60)이 설치되지 않은 지점의 상측 지점으로 이동하고, 상측 지점으로의 이동의 완료되면 제2 대피 방향 정보(710)를 제2 프로젝터를 통해 도로의 노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사용자는 제2 대피 방향 정보(710)를 더 고려하여 대피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드론(70)은, 제2 대피 방향 정보(710)가 출력된 후 드론(70)의 카메라를 통해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관제 서버(10)로 전송한다. 이 경우, 관제 서버(10)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70) 각각에서 수신된 주변 영상을 분석하여 제2 사용자 중 위험 시설물(20a)이 설치된 제1 지점으로 이동하는 제3 사용자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관제 서버(10)는 제3 사용자와 대응되는 제3 사용자 단말기(50)로 대피를 종용하는 종용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잘못된 방향으로 대피하는 제3 사용자에게 올바른 대피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위험 시설물이 설치되는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장소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기들;
    상기 위험 시설물에 설치되어 상기 위험 시설물에서 발생되는 사고를 감지하는 센서 장치;
    상기 위험 시설물의 사고를 진압하기 위하여 상기 장소에 배치된 사고 진압 장비를 관리하는 장비 관리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및 상기 센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고 발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고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및 상기 장비 관리 장치로 상기 위험 시설물의 사고에 대한 진압/대피와 관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사고 발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장소에서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사고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고의 타입(type) 및 정도(level)를 판단하고, 상기 사고의 타입 및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 시설물의 사고가, 사람이 상기 사고 진압 장비에 의해 진압이 가능한 제1 사고인지, 상기 제1 사고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상기 장소의 특정 지점에 설치되는 사고 진압 로봇에 의해 진압이 가능한 제2 사고인지, 상기 제1 및 제2 사고에 포함되지 않는 제3 사고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위험 시설물의 사고가 상기 제1 사고인 경우,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서 상기 사고 진압 장비의 위치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지점으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제1 소요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별로 산출하고,
    상기 사고 진압 로봇이 상기 제1 지점으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제2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중 상기 제2 소요 시간보다 작은 상기 제1 소요 시간을 가지는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지점의 위치 및 상기 사고 진압 장비의 위치가 표현되는 상기 장소의 제1 맵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장비 관리 장치에 포함된 제2 블루투스 모듈의 웨이크 업 신호를 상기 장비 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위험 시설물의 사고를 진압을 위한 로봇 제어 명령을 실시간으로 상기 사고 진압 로봇으로 전송하고,
    상기 위험 시설물의 사고가 상기 제2 사고인 경우,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로봇 제어 명령을 실시간으로 상기 사고 진압 로봇으로 전송하고,
    상기 위험 시설물의 사고가 상기 제3 사고인 경우,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위험 시설물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알림 메시지를 사고 진압을 위한 기관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시설물의 사고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고 진압 장비는 잠금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맵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신되고,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의 웨이크 업 신호가 상기 장비 관리 장치에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1 맵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제1 블루투스 모듈을 웨이크 업 시키고, 상기 제1 맵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지점의 인근 구역으로 이동하고,
    상기 장비 관리 장치는 상기 웨이크 업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을 웨이크 업 시키고,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인근 구역으로 이동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장비 관리 장치는 블루투스 페어링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장비 관리 장치가 블루투스 페어링된 경우,
    상기 장비 관리 장치는 상기 사고 진압 장비의 사용법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터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난 후 상기 가이드 정보의 시청과 관련된 확인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를 보유한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확인 메시지의 클릭 이벤트를 입력받은 후에 상기 클릭 이벤트를 상기 장비 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장비 관리 장치는 상기 클릭 이벤트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사고 진압 장비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고, 상기 잠금 상태가 해제된 상기 사고 진압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 시설물의 사고가 진압되는,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 내의 도로에는 가로등들이 설치되고,
    상기 가로등들 각각은 상기 관제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도로의 노면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를 구비하며,
    상기 관제 서버는 대피 경로를 포함하는 장소의 제2 맵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지 않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2 맵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를 보유한 제2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로등 별 대피 방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가로등 별 대피 방향 정보를 대응되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가로등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으로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 각각은 대응되는 상기 대피 방향 정보를 상기 프로젝터를 통해 상기 도로의 노면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상기 제2 맵 및 상기 도로의 노면으로 출력된 상기 대피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가 대피하는,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20220148056A 2022-11-08 2022-11-08 위험 시설물의 사고에 대한 진압/대피의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2497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056A KR102497919B1 (ko) 2022-11-08 2022-11-08 위험 시설물의 사고에 대한 진압/대피의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056A KR102497919B1 (ko) 2022-11-08 2022-11-08 위험 시설물의 사고에 대한 진압/대피의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919B1 true KR102497919B1 (ko) 2023-02-09

Family

ID=8522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8056A KR102497919B1 (ko) 2022-11-08 2022-11-08 위험 시설물의 사고에 대한 진압/대피의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91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3230A (ja) * 1996-03-26 1997-09-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消火器連動システム
KR20100103988A (ko) * 2009-03-16 2010-09-29 한국해양연구원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 자동 소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0030A (ko) * 2018-04-15 2019-10-23 (주)에스앤지코리아 화재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KR20210064096A (ko) * 2019-11-25 2021-06-02 주식회사 모니터링식스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123172A (ko) * 2020-04-02 2021-10-13 유종근 위험물 유출 감지 중앙 감시 관리 시스템
KR20220098830A (ko) * 2021-01-05 2022-07-12 리스크엔지니어링서비스 주식회사 지능형 피난유도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11849A (ko) * 2021-02-03 2022-08-10 코리아테스팅 주식회사 소화구의 자동충전 메커니즘이 적용된 화재 진압용 로봇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3230A (ja) * 1996-03-26 1997-09-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消火器連動システム
KR20100103988A (ko) * 2009-03-16 2010-09-29 한국해양연구원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 자동 소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0030A (ko) * 2018-04-15 2019-10-23 (주)에스앤지코리아 화재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KR20210064096A (ko) * 2019-11-25 2021-06-02 주식회사 모니터링식스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123172A (ko) * 2020-04-02 2021-10-13 유종근 위험물 유출 감지 중앙 감시 관리 시스템
KR20220098830A (ko) * 2021-01-05 2022-07-12 리스크엔지니어링서비스 주식회사 지능형 피난유도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11849A (ko) * 2021-02-03 2022-08-10 코리아테스팅 주식회사 소화구의 자동충전 메커니즘이 적용된 화재 진압용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20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 control using people and asset tracking information
JP2007060370A (ja) 携帯型通信端末、避難路表示システムおよび危険報知装置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KR101838193B1 (ko) 특수환경 에서의 지능형 발화위치 추적 화재진압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801090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ing people and asset tracking information into a process control system
CN106781211B (zh) 用于仓库监控的摄像机和仓库管控系统
KR20190040887A (ko) 기존 소방감지기를 활용한 IoT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
KR102302316B1 (ko) 건물의 화재장소와 소방기기의 위치에 대한 영상제공시스템
KR102289990B1 (ko)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
KR101917215B1 (ko) 재난 대처 안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428896B1 (ko) 건설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CN104260686A (zh) 公交车安全控制方法及系统
KR101185405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110146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CN103700232A (zh) 一种基于移动智能终端的消防管理方法
CN105632086A (zh) 异常状况预警方法及装置
KR100927581B1 (ko) 원격 방재 관리 시스템
CN112288320A (zh) 一种地铁运行风险监控和管理系统
KR102497919B1 (ko) 위험 시설물의 사고에 대한 진압/대피의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1551716B1 (ko) 아날로그 주소형 감지기를 이용한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
KR20210098095A (ko)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932179B1 (ko) 기록매체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그램, 이를 포함하는 피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5839843B2 (ja) 集合住宅の管理装置及び方法
CN115662027A (zh) 铁路车站应急事件的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220165393A (ko) 수소가스 위험시설물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