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700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700B1
KR102497700B1 KR1020220053126A KR20220053126A KR102497700B1 KR 102497700 B1 KR102497700 B1 KR 102497700B1 KR 1020220053126 A KR1020220053126 A KR 1020220053126A KR 20220053126 A KR20220053126 A KR 20220053126A KR 102497700 B1 KR102497700 B1 KR 102497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door
mounting spac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0548A (ko
Inventor
권준오
정진
김가형
조호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3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700B1/ko
Publication of KR20220100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548A/ko
Priority to KR1020230014834A priority patent/KR20230022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2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along the inside of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어 개구를 갖는 내부 도어와, 도어 개구를 개폐하도록 내부 도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외부 도어와, 취수 공간과 작동 레버를 포함하고 작동 레버의 수동 조작에 의해 취수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와, 물통 장착 공간과, 물통 장착 공간에 물통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물통 센서와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하고 물통 장착 공간에 물통이 장착될 시 물통에 소정 량의 물이 채워지도록 물통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는 오토필 장치를 포함한다. 취수 공간과 물통 장착 공간은 내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내부 도어의 도어 개구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개시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작동 레버의 조작에 의해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와 물통을 장착하면 물통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 급수 장치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
냉장고에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작동 레버를 조작하여 냉장고의 외부에서 물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디스펜서가 구비되기도 한다.
디스펜서는 사용자가 작동 레버를 누르고 있어야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번에 많은 양의 물을 공급받을 수 없고,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할 때 용기에 물이 모일 때까지 작동 레버를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물통이 장착되면 물통에 소정 량의 물이 채워질 때까지 물통에 물을 공급하는 자동 급수 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자동 급수 장치에 접근할 때 냉기 유출이 최소화되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성이 향상된 자동 급수 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작동 레버의 조작에 의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디스펜서와 물통이 장착되면 물통에 소정 량의 물이 채워질 때까지 물통에 물을 공급하는 자동 급수 장치가 함께 구비된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 도어;와, 상기 내부 도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외부 도어;와, 작동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레버의 조작에 의해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 및 물통이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물통 장착 공간과, 상기 물통 장착 공간에 장착되는 상기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에 소정 량의 물이 채워지도록 상기 물통에 물을 공급하는 자동 급수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어가 열리고 상기 내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자동 급수 장치에 접근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자동 급수 장치는 상기 내부 도어에 마련된다.
상기 냉장고는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상기 디스펜서 또는 상기 자동 급수 장치로 안내하는 제어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외부의 급수원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유입 포트;와, 상기 디스펜서로 공급하는 제1유출 포트;와, 상기 자동 급수 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제2유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작동 레버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유출 포트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물통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2유출 포트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물통에서 넘치는 물을 받도록 마련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수위를 감지하는 오버 플로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트레이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2유출 포트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작동 레버와 상기 수위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물통 장착 공간을 형성하는 급수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도어는 상기 저장실에 연통되는 도어 내부 공간과, 상기 도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 케이스는 상기 도어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케이스는 상기 물통 장착 공간에 장착된 물통의 적어도 1면이 상기 저장실의 냉기에 노출되도록 상기 물통 장착 공간의 후방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케이스는 상기 제어 밸브가 장착되는 밸브 장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케이스는, 상기 물통 장착 공간이 형성된 메인 케이스; 및 상기 메인 케이스의 수축 변형에 의한 휨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 케이스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케이스는 도어 저장 공간을 갖는 도어 바스켓이 장착되도록 형성된 케이스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케이스는 상기 물통 장착 공간으로 상기 저장실의 냉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급수 케이스에 형성되는 냉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작동 레버를 비추도록 상기 급수 케이스에 마련된 제1램프와, 상기 물통을 비추도록 상기 급수 케이스에 마련된 제2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 도어;와, 상기 내부 도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외부 도어;와, 물통이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물통 장착 공간과, 상기 물통 장착 공간에 장착되는 상기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에 소정 량의 물이 채워지도록 상기 물통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는자동 급수 장치; 및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상기 자동 급수 장치로 안내하거나 차단하는 제어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어가 열리고 상기 내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자동 급수 장치에 접근 가능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는 상기 내부 도어에 마련다.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물통의 수위에 따라 상기 물통으로의 급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오토필 장치는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 장착 공간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물통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물통의 장착 여부에 따라 상기 물통으로의 급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수위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물통 장착 공간을 형성하는 급수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케이스는 상기 제어 밸브가 장착되는 밸브 장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케이스는 상기 물통 장착 공간에 장착된 물통의 적어도 1면이 상기 저장실의 냉기에 노출되도록 상기 물통 장착 공간의 후방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펜서 및 자동 급수 장치에 접근할 때 내부 도어를 개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에너지 손실이 저감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급수 장치에 물통을 장착하거나 자동 급수 장치에서 물통을 꺼낼 때 물통을 내부 도어의 전방을 향하여 인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펜서와 자동 급수 장치는 하나의 어셈블리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조립성, 내구성 및 디자인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 유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도어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 케이스의 유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 유닛과 내부 도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바스켓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물통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12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물통이 장착된 자동 급수 장치의 측단면도.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물통이 분리된 자동 급수 장치의 측단면도.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의 측단면도.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도어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6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 흐름을 보인 급수 케이스의 단면도.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도어의 정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개시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또는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2"와 같은 서수의 표현은 복수의 구성 요소들을 상호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사용된 서수가 구성 요소들 간의 배치 순서, 제조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 유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21, 22, 23)과, 저장실(21, 22, 23)을 개폐하는 도어(31, 32, 33, 34)와, 저장실(21, 22, 23)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1, 22, 23)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2)과, 저장실(21, 22, 23)을 단열하도록 내상(11)과 외상(12)의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21, 22, 23)은 수평 격벽(15)과 수직 격벽(16)에 의해 복수개로 구획될 수 있다. 저장실(21, 22, 23)은 수평 격벽(15)에 의해 상부의 저장실(21)과, 하부의 저장실(22, 23)으로 구획될 수 있고, 하부의 저장실(22, 23)은 수직 격벽(16)에 의해 좌측 하부 저장실(22)과, 우측 하부 저장실(23)로 구획될 수 있다.
상부의 저장실(21)은 냉장실로 사용될 수 있고, 하부의 저장실(22, 23)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저장실(21, 22, 23)의 분할 및 용도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냉장고는 저장실이 수직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되는 SBS(Side By Side) 타입, 저장실이 수평 격벽에 의해 상측의 냉장실과 하측의 냉장실로 구획되는 FDR(French Door Refrigerator) 타입 또는 하나의 저장실과 하나의 도어를 갖는 1도어 타입일 수도 있다.
저장실(21, 22, 23)의 내부에는 식품을 올려 놓는 선반(26)과, 식품을 보관하는 저장 용기(27)가 마련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는 냉매를 압축하고, 응축하고, 팽창시키고, 증발시키는 냉각 순환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21, 22, 23)에 공급할 수 있다.
상측의 저장실(21)은 한 쌍의 도어(31, 3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31, 32)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도어(31, 32) 중 어느 하나의 도어(31)에는 한 쌍의 도어(31, 32)가 닫힐 시에 한 쌍의 도어(31, 32) 사이로 저장실(21)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러(43)가 마련될 수 있다.
좌측 하부 저장실(22)은 도어(33)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도어(33)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우측 하부 저장실(23)은 도어(34)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도어(34)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31, 32, 33, 34)는 식품을 저장하는 도어 저장 공간을 갖는 도어 바스켓(39, 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31, 32, 33, 34)의 배면에는 저장실(21, 22, 23)을 밀폐하도록 본체(10)의 전면에 밀착되는 가스켓이 마련될 수 있다.
도어(31, 32, 33, 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내부 도어(35)와 외부 도어(46)를 갖는 이중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좌측 상부 도어(31)는 내부 도어(35)와 외부 도어(36)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도어(35)는 힌지를 통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내부 도어(35)는 도어 내부 공간(56)을 가질 수 있다. 도어 내부 공간(56)은 내부 도어(35)의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 내부 공간(56)은 내부 도어(35)의 전면과 배면 사이에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도어(35)가 닫힐 시에 도어 내부 공간(56)은 저장실(21)에 연통될 수 있다.
개구(56)에는 도어 바스켓(39, 40)이 장착될 수 있다.
개구(56)에는 디스펜서(61)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펜서(61)는 디스펜서(61)를 동작시켜 물을 공급 받을 수 있는 작동 레버(6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컵 등의 용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작동 레버(64)를 누를 수 있다. 작동 레버(64)는 급수 케이스(100)에 형성된 레버 설치부(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61)는 작동 레버(64)가 가압되면 작동 레버(64)에 의해 온 상태로 되는 스위치(65, 도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61)는 물이 배출되는 디스펜서 노즐(66, 도 7)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 노즐(66)은 급수 케이스(100)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61)는 디스펜서 노즐(66)에서 배출되는 물을 받도록 용기가 배치될 수 있는 취수 공간(62)를 포함할 수 있다. 취수 공간(62)은 급수 케이스(100)의 전면에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다르게 디스펜서 노즐(66)이 급수 케이스(10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경우에 취수 공간(62)이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어 내부 공간(56)에는 물통(72)이 장착될 수 있는 물통 장착 공간(73, 도 7)과, 물통 장착 공간(73)에 물통(72)이 장착될 시 물통(72)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75)를 포함하는 자동 급수 장치(71)가 마련될 수 있다. 자동 급수 장치(71)는 물통 장착 공간(73)에 장착된 물통(72)에 물을 공급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배출구는 제어 밸브(80)의 제2유출 포트(83)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배출구는 제어 밸브(80)의 제2유출 포트(83)가 아닌 별개의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구는 제2유출 포트(83)에 별도의 유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 급수 장치(71)는 물통 장착 공간(73)에 물통(72)이 장착될 시 물통(72)에 소정 량의 물이 채워지도록 물통(72)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자동 급수 장치(71)는 오토필(auto-fill)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소정 량은 대략 물통(72)의 만수 량일 수 있다.
물통 장착 공간(73)은 급수 케이스(100)의 전면에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취수 공간(62)과 물통 장착 공간(73)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급수 케이스(100)는 도어 내부 공간(56)에 장착될 수 있다.
수위 센서(75)는 급수 케이스(100)에 설치될 수 있다. 배출구는 급수 케이스(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펜서(61)의 작동 레버(64), 스위치(65) 및 디스펜서 노즐(66)이 급수 케이스(100)에 설치 또는 지지되고, 자동 급수 장치(71)의 수위 센서(75) 및 배출구는 급수 케이스(100)에 설치 또는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자동 급수 장치(71)의 물통 장착 공간(73)은 급수 케이스(1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펜서(61)와, 자동 급수 장치(71)와, 급수 케이스(100)는 하나의 어셈블리로 제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이와 같은 어셈블리를 급수 유닛(60)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급수 유닛(60)은 내부 도어(35)의 도어 내부 공간(56)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 유닛(60)의 급수 케이스(100)는 도어 내부 공간(56)을 형성하는 도어 내측면(55)에 장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도어(35)가 닫힐 시에 도어 내부 공간(56)은 저장실(21)에 연통되므로, 급수 유닛(60)은 저장실(21)의 냉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취수 공간(62)과 물통 장착 공간(73)은 급수 케이스(10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도어(35)가 닫힌 상태에서 취수 공간(62)과 물통 장착 공간(73)에 접근할 수 있다.
외부 도어(36)는 내부 도어(35)의 도어 내부 공간(56)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외부 도어(36)의 배면에는 도어 내부 공간(56)를 밀폐하도록 가스켓(38)이 마련될 수 있다. 가스켓(38)은 도어 내부 공간(56) 주위의 내부 도어(35)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외부 도어(36)가 열릴 시 내부 도어(35)의 도어 내부 공간(56)에 접근할 수 있다. 외부 도어(36)는 힌지(44, 도 5)를 통해 내부 도어(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외부 도어(36)는 내부 도어(35)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외부 도어(36)는 내부 도어(35)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외부 도어(36)는 내부 도어(35)의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외부 도어(36)에는 내부 도어(35)와의 고정을 위한 래치(37)가 마련될 수 있고, 내부 도어(35)에는 래치(37)에 맞물리도록 캐치(59)가 마련될 수 있다.
래치(37)와 캐치(59)가 맞물린 상태에서 외부 도어(36)를 열면 외부 도어(36)와 내부 도어(35)가 함께 열리고, 래치(37)와 캐치(59)가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 도어(36)를 열면 외부 도어(36)만 열리고 내부 도어(35)는 열리지 않을 수 있다.
외부 도어(36)의 전면에는 장식 패널(미도시)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의 상면에는 탑 커버(24)가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24)는 본체(10)의 상면에 배치되는 힌지 및 각종 전장품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탑 커버(24)의 전면에는 냉장고(1)의 각종 상태 및 동작 정보를 표시하거나, 냉장고(1)의 동작을 위한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컨트롤 패널(25)이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정수 필터(91)와 물 탱크(93)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 필터(91)는 외부 급수원(90)으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정수할 수 있다. 물 탱크(93)는 정수 필터(91)를 통해 정수된 물을 저장할 수 있다. 물 탱크(93)는 저장실(21)의 냉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냉장고(1)의 저장실(22)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23)가 마련될 수 있다. 제빙기(23)는 저장실(22)의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냉장고(1)는 디스펜서(61) 및 자동 급수 장치(71)로 물을 공급하도록 외부 급수원(90)과 제어 밸브(80)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급수 유로(97)와, 제빙기(23)에 물을 공급하도록 외부 급수원(90)과 제빙기(23)를 연결하는 제빙기 유로(96)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기 유로(96)와 급수 유로(97)는 일 지점에서 분기되도록 형성되고 분기점에는 외부 급수원(9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제어 밸브(80) 또는 제빙기(23)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유로 전환 밸브(92)가 마련될 수 있다. 외부 급수원(90)의 물은 외부 급수원(90)의 수압과 유로 전환 밸브(92)의 제어에 의해 제어 밸브(80) 또는 제빙기(28)에 공급될 수 있다.
급수 유로(97)는 정수 필터(91)를 경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급수원(90)의 물은 정수 필터(81)를 거쳐 정수되어 제어 밸브(90)에 공급될 수 있다. 급수 유로(97)는 물 탱크(93)를 경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급수원(90)의 물은 물 탱크(93)에서 냉각된 후에 제어 밸브(80)에 공급될 수 있다.
급수 유로(97)에는 물 밸브(94)가 마련될 수 있다. 물 밸브(94)는 물 탱크(93)로부터 제어 밸브(8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급수 유로(97)에는 플로우 센서(95)가 마련되어 제어 밸브(8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제빙기 유로(96)는 정수 필터(91)를 경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급수원(90)의 물은 정수 필터(81)를 거쳐 정수되어 제빙기(23)에 공급될 수 있다. 제빙기(28)로 공급되는 물은 물 탱크(93)에서 냉각되지 않더라도 제빙기(28)에서 냉각되기 때문에 제빙기 유로(96)는 물 탱크(93)를 경유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도어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 케이스의 유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 유닛과 내부 도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바스켓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물통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물통이 장착된 오토필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물통이 분리된 오토필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의 측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내부 도어(35)는 전면판(51)과, 후면판(53)과, 상부캡(41)과, 하부캡(4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판(51)과, 후면판(53)과, 상부캡(41)과, 하부캡(42)의 사이에는 발포 공간이 형성되고, 발포 공간에는 단열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단열재로는 우레탄 재질의 발포 단열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열재로 발포 단열재와 더불어 진공 단열재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전면판(51)은 내부 도어(35)의 전면과 양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전면판(51)은 전면판(51)의 테두리부를 제외한 전면판 개구(51a)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판(51)에는 외부 도어(36)의 래치(37)에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캐치(59)가 형성될 수 있다.
후면판(53)은 후면판(53)의 테두리부를 제외한 중심부에 형성된 도어 내부 공간(56)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판(53)은 도어 내부 공간(56)를 형성하는 도어 내측면(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내측면(55)은 도어 내부 공간(56)을 형성하도록 도어 내부 공간(56)의 상하좌우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도어 내측면(55)은 전면판(51)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전면판(51)과 후면판(53)이 함께 도어 내측면(55)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어 내측면(55)에는 도어 바스켓(39)이 장착되도록 도어 내측면(55)에서 도어 내부 공간(56)을 향해 돌출되는 제1도어 비드(5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도어 비드(57)를 통해 도어 바스켓(39)이 도어 내측면(55)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 내측면(55)에는 급수 케이스(100)가 장착되도록 도어 내부 공간(56)을 향해 돌출되는 제2도어 비드(58)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도어 비드(58)를 통해 급수 케이스(100)가 도어 내측면(55)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 내측면(55)에는 체결 부재(S1, 도 9)를 통해 급수 유닛(60)이 결합되도록 체결홀(55b)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 내측면(55)에는 급수 유닛(60)에 연결되는 전선 및 호스가 통과하는 통과구(55a)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도어(35) 상측의 힌지축을 통과하여 내부 도어(35)로 삽입되는 급수 유로(97)는 유로 가이드(97a, 도 6) 및 통과구(55a)를 통해 급수 케이스(100)로 안내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급수 케이스(100)는 메인 케이스(101)과, 메인 케이스(101)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방 케이스(115)와, 메인 케이스(101)의 상부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120)와, 메인 케이스(101)의 하부에 결합되는 트레이(12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1)의 전면에는 취수 공간(62)과 물통 장착 공간(73)이 형성될 수 있다. 취수 공간(62)과 물통 장착 공간(73)은 서로 좌우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취수 공간(62)과 물통 장착 공간(73)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1)의 하부에는 취수 공간(62)으로 배출되는 물을 받는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받침부(107)와, 자동 급수 장치(71)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받는 물통(72)을 지지하는 물통 받침부(108)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1)는 디스펜서(61)의 작동 레버(64)가 장착되는 레버 설치부(110)를 포함하고, 레버 설치부(110)에는 작동 레버(64)의 위치에 따라 온 또느 오프되는 스위치(65)가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1)의 양 측면에는 냉각으로 인한 메인 케이스(101)의 수축 변형을 방지하도록 보강 부재(111)가 결합될 수 있다. 보강 부재(111)는 철판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부재(111)는 메인 케이스(101)의 양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1)의 상면에는 밸브 장착 공간(102, 도 8)이 형성될 수 있다. 밸브 장착 공간(102)에는 제어 밸브(80)가 장착될 수 있으며, 메인 케이스(101)의 상부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120)에 의해 제어 밸브(8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메인 케이스(101)와 케이스 커버(120)의 사이에 밸브 장착 공간(102)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커버(120)는 나사 등의 체결 부재를 통해 메인 케이스(10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 커버(120)에는 체결 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 밸브(80)는 급수 유로(97)를 통해 외부의 급수원(90)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취수 공간(62) 또는 물통(72)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어 밸브(80)는 3방 밸브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밸브(80)는 급수 유로(97)에 연결되어 외부의 급수원(9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유입 포트(81)와, 취수 공간(62)을 향해 물을 공급하는 제1유출 포트(82)와, 물통(72)을 향해 물을 공급하는 제2유출 포트(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출 포트(82)와, 제2유출 포트(83)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통과구(55a)를 통해 급수 케이스(100)로 안내된 급수 유로(97)는 제1피팅 부재(84)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피팅 부재(84)의 타단과, 제어 밸브(80)의 유입 포트(81)는 연결 유로(98)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제1피팅 부재(84)가 생략되고, 급수 유로(87)가 제어 밸브(80)의 유입 포트(81)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 밸브(80)의 제1유출 포트(82)는 제2연결 유로(99)를 통해 메인 케이스(101)의 상면에 배치된 제2피팅 부재(85)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피팅(85) 부재의 타단에는 디스펜서 노즐(66, 도 7)이 결합될 수 있다. 디스펜서 노즐(66)은 제2피팅 부재(85)의 타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유출 포트(83)는 제어 밸브(80)의 아래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유출 포트(83)는 메인 케이스(101)의 상면에 형성된 밸브 통과홀(103)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유출 포트(83)에서 배출된 물은 중력 방향으로 낙하하여 별도의 연결 부재 없이 직접 물통(72)의 유입구(147)로 유입될 수 있다(도 12).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유출 포트(83)는 자동 급수 장치(71)의 배출구라고 칭할 수 있다.
냉장고(1)는 물통 장착 공간(73)에 물통(72)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물통 센서(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밸브(80)는 물통(72)이 물통 장착 공간(73)에 장착되지 않았음을 물통 센서(74)가 감지하였을 때 물통(72)으로의 급수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어 밸브(80)는 물통(72)이 물통 장착 공간(73)에 장착되었을 때에만 물통(72)으로의 급수가 진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밸브(80)는 수위 센서(75)가 물통(72)에 소정 양의 물이 저장된 것을 감지하였을 때 물통(72)으로의 급수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제어 밸브(80)는 수위 센서(75)가 물통(72)에 소정 양의 물이 저장되지 않았음을 감지하였을 때에는 물통(72)에 물을 급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어 밸브(80)는 수위 센서(75)가 감지한 물통(72) 내부의 수위에 따라 제2유출 포트(83)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밸브(80)는 오버 플로우 센서(76)가 트레이(125)에 소정 양의 물이 집수된 것을 감지하였을 때 물통(72)으로의 급수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밸브(80)는 작동 레버(64)에 소정 신호가 입력될 때 취수 공간(62)을 향해 물을 공급하는 제1유출 포트(82)를 개방할 수 있다.
트레이(125)는 메인 케이스(101)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125)는 물통 장착 공간(73)에 장착된 물통(72)에서 유출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즉, 트레이(125)는 물통(72)에 물이 과다하게 공급되어 물통(72)에서 물이 넘치는 경우, 물통(72)에서 넘치는 물을 수집할 수 있다.
물통(72)에서 물이 넘치는 경우 물통(72)에서 넘치는 물은 메인 케이스(101)의 오버 플로우 홀(108a)을 통해 트레이(125)로 안내될 수 있다.
트레이(125)에는 트레이(125)에 집수되는 물을 감지하는 오버 플로우 센서(76)가 마련될 수 있다. 오버 플로우 센서(76)는 트레이(125)에 소정 양의 물이 집수된 것을 감지하였을 때 물통(72)으로의 급수를 차단하도록 제어 밸브(80)를 제어하는 신호를 제어부(20)로 전달할 수 있다.
트레이(125)에는 트레이(125)에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구(126)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26)에는 배수구(126)를 개폐하는 마개(127)가 장착될 수 있다. 마개(127)는 평상 시에 배수구(126)를 폐쇄하도록 마련되고, 마개(127)가 배수구(126)에서 분리되면 트레이(125)에 집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1)의 상부에는 물통(72)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물통 센서(74)가 마련될 수 있다. 물통 센서(74)는 홀 센서(hall sensor)로 구성될 수 있다. 물통 센서(74)는 물통(72)에 구비된 마그넷(148, 도 12)을 감지할 수 있다. 물통 센서(74)는 케이스 커버(120)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물통 센서(74)는 물통(72)이 급수 케이스(100)의 물통 장착 공간(73)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물통(72)이 장착되지 않았을 때에는 물통(72)으로의 급수를 차단하도록 제어 밸브(80)를 제어하는 신호를 제어부(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통(72)이 올바르게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물통(72)으로의 급수가 진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케이스(101)는 내부 도어(35)의 도어 내부 공간(56)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케이스(101)는 도어 내부 공간(56)를 형성하는 도어 내측면(5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케이스(101)의 양 측면에는 비드 홈(106)이 형성될 수 있다. 비드 홈(106)에 내부 도어(35)의 제2도어 비드(58)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메인 케이스(101)가 내부 도어(35)의 도어 내부 공간(56)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1)가 내부 도어(35)의 도어 내부 공간(56)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메인 케이스(101)는 내부 도어(35)에 나사 등의 체결 부재(S1)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케이스(101)에는 체결 부재(S1)가 결합되는 결합홀(105)이 마련될 수 있고, 내부 도어(35)의 내측면(55)에는 체결 부재(S1)가 체결되는 체결홀(55b)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1)는 상부로 돌출되는 결합 브라켓(104)를 포함하고, 결합 브라켓(104)에는 결합홀(1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메인 케이스(101)의 비드 홈(106)에 내부 도어(35)의 제2도어 비드(58)를 삽입한 후에 메인 케이스(101)의 결합홀(105)과 내부 도어(25)의 체결홀(55b)에 체결 부재(S1)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메인 케이스(101)가 내부 도어(35)에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체결 부재(S1)를 분리하고 제2도어 비드(58)를 비드 홈(106)에서 분리하여, 메인 케이스(101)를 내부 도어(35)에서 분리할 수 있다.
급수 케이스(100)는 메인 케이스(101)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방 케이스(115)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케이스(115)는 급수 유닛(60)의 후방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후방 케이스(115)는 물통 장착 공간(73)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케이스(115)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116)를 통해 물통 장착 공간(73)에 장착된 물통(72)의 적어도 1면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물통(72)은 저장실(21)의 냉기에 의해 원활히 냉각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1)와 후방 케이스(115)의 사이에 수위 센서(75)가 배치될 수 있다.
수위 센서(75)는 메인 케이스(101)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수위 센서(75)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물통(72)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떠한 위치에라도 배치될 수 있다.
수위 센서(75)는 물통(72)의 내부의 액체의 수위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함에 따라 물통(72) 내부에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정전용량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수위 센서(75)는 물통(72)의 내부의 액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서도 물통(72)의 내부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비교적 정확한 감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수위 센서(75)는 물통(72)과 접촉하고 있어야 물통(72)의 내부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위 센서(75)는 메인 케이스(101)에 고정되는 센서 브라켓(75a)과, 물통(72)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부(75b)와, 센서부(75b)를 물통(72)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75c)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75b)는 물통(72)이 물통 장착 공간(73)에 장착되는 경우, 물통(72)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75b)는 센서 브라켓(75a)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수위 센서(75)는 물통(72)의 내부에 물이 소정 양만큼 저장된 경우에는 물통(72)으로의 급수를 차단하도록 제어 밸브(80)를 제어하는 신호를 제어부(20)로 전달할 수 있다. 반면, 수위 센서(75)는 물통(72)의 내부에 물이 소정 양보다 적게 저장된 경우에는 물통(72)으로 급수를 진행하도록 제어 밸브(80)를 제어하는 신호를 제어부(2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어 바스켓(39, 40)은 내부 도어(35)의 제1도어 비드(57)에 장착되는 도어 바스켓(39)와, 급수 케이스(100)의 케이스 비드(109)에 장착되는 도어 바스켓(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바스켓(39)의 양측에는 비드 홈(39a)이 형성되고, 비드 홈(39a)에 제1도어 비드(57)가 삽입됨으로써 도어 바스켓(39)이 내부 도어(35)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 바스켓(40)의 양측에는 비드 홈(40a)이 형성되고, 비드 홈(40a)에 급수 케이스(100)의 케이스 비드(109)가 삽입됨으로써 도어 바스켓(40)이 급수 케이스(10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물통(72)은 물을 저장하는 물통 바디(141)와, 물통 바디(141)의 상부에 결합되는 물통 중간 커버(142)와, 물통 중간 커버(142)의 상부에 결합되는 물통 상부 커버(146)와, 티백(tea bag) 등을 담을 수 있는 인퓨져(160)와, 인퓨져(160)를 물통 중간 커버(142)에 용이하게 탈착시키기 위한 인퓨져 고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물통 바디(141)는 소정 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물통 바디(141)에 저장할 수 있는 최대 저수량을 만수 량이라고 할 수 있다. 물통 바디(141)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통 바디(141)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물통 장착 공간(73)에 장착 및 분리하도록 형성된 물통 손잡이(141a)를 포함할 수 있다.
물통 중간 커버(142)는 물통 바디(141)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물통 중간 커버(142)는 인퓨져(160)가 삽입되는 커버 개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개구(143)의 주위에는 인퓨져 고리(150)의 고리부(151)가 안착되는 고리 지지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물통 중간 커버(142)는 인퓨져(160)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개방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물통 바디(141)와 물통 중간 커버(142)의 사이에는 물통 바디(141)에 저장된 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 부재(145)가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145)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통 상부 커버(146)는 물통 중간 커버(142)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통 상부 커버(146)는 물통 바디(141)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유입구(147)를 포함할 수 있다. 물통(72)이 물통 장착 공간(73)에 장착될 시에, 유입구(147)는 메인 케이스(101)의 상면에 형성된 밸브 관통홀(103) 및 제어 밸브(80)의 제2유출 포트(83)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11).
물통 상부 커버(146)에는 마그넷(148)이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넷(148)은 물통(72)이 물통 장착 공간(73)에 장착될 시, 물통 센서(74)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인퓨져(160)는 티백(tea bag) 등을 담도록 형성된 거름망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름망부(16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름망부(161)에는 물이 거름망부(161)를 통과하도록 통공(162)이 형성될 수 있다. 거름망부(161)의 상단에는 테두리(163)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인퓨져 고리(150)는 인퓨져(160)가 삽입되는 고리 개구(152)를 갖는 고리부(151)와, 고리부(151)에서 돌출되는 고리 손잡이(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인퓨져 고리(150)의 고리 개구(162)에 인퓨져(150)를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하면 고리부(151)의 상면에 인퓨져(160)의 테두리(163) 하면이 안착될 수 있다.
인퓨져(160)가 인퓨져 고리(150)에 안착된 상태로 인퓨져 고리(150)의 고리 손잡이(153)를 잡고 인퓨져 고리(150)의 고리부(151)의 하면을 물통 중간 커버(142)의 고리 지지부(144)에 안착시킴으로서 인퓨져(160)를 물통(72)에 장착할 수 있다. 인퓨져(160)를 물통(72)에서 분리할 시에도 인퓨져 고리(150)의 고리 손잡이(153)를 잡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외부 도어(36)의 개폐에 따라 자동 급수 장치(71)의 물통(72)으로의 급수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자동 급수 장치(71)는 외부 도어(36)가 닫힌 상태에서만 물통(72)으로의 급수를 진행하고, 외부 도어(36)가 열린 상태에서는 물통(72)으로의 급수를 진행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외부 도어(36)가 닫힌 상태에서 급수가 진행되는 도중에 외부 도어(36)가 열릴 시 급수가 중단될 수 있다. 급수가 중단된 상태에서 외부 도어(36)가 다시 닫히면 물통(72)에 소정량의 물이 채워질 때까지 다시 급수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자동 급수 장치(71)는 물통(72)에 소정량의 물이 채워진 후에는, 물통(72)이 물통 장착 공간(73)에서 분리되기 전에는 물통(72)에 다시 물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물통(72)이 물통 장착 공간(73)에 장착된 채로 유지되고 있을 시에 물통(72)에 채워진 물이 줄어들 가능성은 적기 때문이다.
또한, 자동 급수 장치(71)는 전술한 컨트롤 패널(25)을 통해 동작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컨트폴 패널(25)에는 자동 급수 장치(71)가 동작하도록 on 시키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on 버튼(미도시)과, 자동 급수 장치(71)가 동작하지 않도록 off 시키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off 버튼(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on 버튼을 터치하여 자동 급수 장치(71)가 on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자동 급수 장치(71)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off 버튼을 터치하여 자동 급수 장치(71)가 off 되면, 자동 급수 장치(71)에 물통(72)을 장착하여도 자동 급수 장치(71)는 물통(72)에 물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자동 급수 장치(71)는 물통(72)에 소정량의 물이 채워질 때까지 물통(72)에 물을 공급하도록(오토필)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물통(72)의 수위와 상관 없이 물통(72)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도록(정량 공급) 제어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트롤 패널(25)에는 상기 on 버튼과, off 버튼 이외에 별개의 정량 공급 버튼(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정량 공급 버튼(미도시)을 터치하여 정량 공급 기능이 활성화되면, 자동 급수 장치(71)는 물통(72)에 물통(72)의 수위와 관계 없이 일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도어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 흐름을 보인 급수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도어의 정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급수 케이스(100)는 급수 케이스(100)의 전면에 형성된 취수 공간(62) 및 물통 장착 공간(73)에 저장실(21)의 냉기가 원활히 공급되도록 급수 케이스(100)에 형성되는 냉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냉기홀은 케이스 커버(120)에 형성된 제1냉기홀(121)과, 메인 케이스(101)에 형성된 제2냉기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냉기홀(121)을 통해 케이스 커버(120)와 메인 케이스(101) 사이의 내부 공간(122)으로 유입된 냉기는 제2냉기홀(112)을 통해 취수 공간(62) 및 물통 장착 공간(73)으로 안내될 수 있다.
냉기홀은 케이스 커버(120)와 후방 케이스(115)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3냉기홀(1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냉기홀(117)을 통해 케이스 커버(120)와 메인 케이스(101) 사이의 내부 공간(122)으로 유입된 냉기는 제2냉기홀(112)을 통해 취수 공간(62) 및 물통 장착 공간(73)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냉기홀을 통해 취수 공간(62) 및 물통 장착 공간(73)에 저장실(21)의 냉기가 원활히 공급되므로 물통 장착 공간(73)에 장착된 물통(72)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 케이스(100)에는 램프(131, 13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램프(131)는 작동 레버(64)를 비추도록 취수 공간(62)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램프(132)는 물통(72)을 비추도록 물통 장착 공간(73)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램프(131)와 제2램프(132)는 외부 도어(36)의 개폐에 연동하여 점등 및 소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200)의 외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300)의 외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400)의 외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500)의 외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일 실시예의 냉장고에서 디스펜서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 밸브는 3웨이 밸브가 아닌 2웨이 밸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급수 유로에서 디스펜서로 물을 안내하는 유로는 생략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일 실시예의 냉장고의 디스펜서와 자동 급수 장치의 위치가 서로 바뀌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일 실시예의 냉장고의 디스펜서와 자동 급수 장치가 좌우 방향이 아닌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자동 급수 장치가 디스펜서의 위에 배치되거나 반대로 디스펜서가 자동 급수 장치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일 실시예의 냉장고의 자동 급수 장치와 디스펜서의 위에 배치된 도어 가드는 생략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23의 실시예에서 급수 케이스(100a, 100b, 100c, 100d)는 디스펜서의 생략 여부 및 디스펜서와 자동 급수 장치의 위치에 따라 내부 구조가 적절히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냉장고 10 : 본체
21, 22, 23 : 저장실 31, 32, 33, 34 : 도어
35, 36 : 내부 도어, 외부 도어 56 : 도어 내부 공간
60 : 급수 유닛 61 : 디스펜서
62 : 취수 공간 64 : 작동 레버
71 : 자동 급수 장치 72 : 물통
73 : 물통 장착 공간 74 : 물통 센서
75 : 수위 센서 76 : 오버 플로우 센서
80 : 제어 밸브 81 : 유입 포트
82 : 제1유출 포트 83 : 제2유출 포트
100 : 급수 케이스 101 : 메인 케이스
102 : 밸브 장착 공간

Claims (11)

  1.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 도어;
    상기 내부 도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외부 도어;
    디스펜서 노즐과, 상기 디스펜서 노즐을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수동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도어에 마련되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 노즐에 이격되도록 마련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물통에 소정 수위까지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도어에 마련되는 자동 급수 장치;
    급수원과 상기 디스펜서의 상기 디스펜서 노즐을 연결하는 제 1 유로;
    상기 급수원과 상기 자동 급수 장치의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제 2 유로; 및
    상기 제 1 유로와 상기 제 2 유로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어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어가 열릴 시에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작동 레버의 동작을 기초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 도어가 열릴 시에 상기 제 2 유로는 닫히도록 구성된 냉장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물통 장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도어에 마련되는 급수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급수 장치는 상기 물통 장착 공간에 상기 물통이 장착되었는지 또는 이탈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물통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 장착 공간에서 이탈될 시에 상기 제 2 유로를 폐쇄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급수 장치는 상기 물통에서 넘치는 물을 받도록 마련된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수위를 감지하는 오버 플로우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오버 플로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트레이의 수위가 소정 수위 보다 크거나 같을 시에 상기 제 2 유로를 폐쇄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급수 장치의 기능을 켜거나 끌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해 상기 자동 급수 장치의 기능을 끄는 명령이 입력될 시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제 2 유로를 폐쇄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급수원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유입 포트와, 상기 자동 급수 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유출 포트를 포함하는 2웨이 밸브인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와 상기 유출 포트는 일체로 형성된 냉장고.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물통 장착 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급수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냉장고.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 장착 공간에 장착될 시 상기 수위 센서가 상기 물통에 접촉하도록 상기 수위 센서는 상기 급수 케이스의 후방에 설치되는 냉장고.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 센서는 상기 물통 장착 공간에 장착된 상기 물통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급수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냉장고.

KR1020220053126A 2021-01-08 2022-04-28 냉장고 KR102497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126A KR102497700B1 (ko) 2021-01-08 2022-04-28 냉장고
KR1020230014834A KR20230022923A (ko) 2021-01-08 2023-02-03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864A KR102497711B1 (ko) 2021-01-08 2021-01-08 냉장고
KR1020220053126A KR102497700B1 (ko) 2021-01-08 2022-04-28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864A Division KR102497711B1 (ko) 2021-01-08 2021-01-08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4834A Division KR20230022923A (ko) 2021-01-08 2023-02-03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548A KR20220100548A (ko) 2022-07-15
KR102497700B1 true KR102497700B1 (ko) 2023-02-09

Family

ID=82357224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864A KR102497711B1 (ko) 2021-01-08 2021-01-08 냉장고
KR1020220053126A KR102497700B1 (ko) 2021-01-08 2022-04-28 냉장고
KR1020220053127A KR102497702B1 (ko) 2021-01-08 2022-04-28 냉장고
KR1020230014834A KR20230022923A (ko) 2021-01-08 2023-02-03 냉장고
KR1020230014835A KR20230022924A (ko) 2021-01-08 2023-02-03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864A KR102497711B1 (ko) 2021-01-08 2021-01-08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127A KR102497702B1 (ko) 2021-01-08 2022-04-28 냉장고
KR1020230014834A KR20230022923A (ko) 2021-01-08 2023-02-03 냉장고
KR1020230014835A KR20230022924A (ko) 2021-01-08 2023-02-03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5) KR102497711B1 (ko)
WO (1) WO202214978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164Y1 (ko) * 1995-12-20 2000-05-01 구자홍 자동램프를 구비한 냉장고의 디스펜서
US8945374B2 (en) * 2010-10-29 2015-02-03 Whirlpool Corporation Beverage dispensing system with automated water filter recommendation
KR20180080056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360680B1 (ko) * 2017-05-18 2022-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126635A (ko) * 2018-05-02 2019-11-12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냉장고의 자동물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49781A1 (ko) 2022-07-14
KR20230022923A (ko) 2023-02-16
KR20230022924A (ko) 2023-02-16
KR102497711B1 (ko) 2023-02-09
KR20220100548A (ko) 2022-07-15
KR102497702B1 (ko) 2023-02-09
KR20220100445A (ko) 2022-07-15
KR20220100549A (ko)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1680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613203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90212053A1 (en) Refrigerator
KR101810685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워터탱크 어셈블리
US11982488B2 (en) Refrigerator
US11619439B2 (en) Refrigerator
KR102497700B1 (ko) 냉장고
KR20090080250A (ko) 냉장고의 물공급 장치
US20130118203A1 (en) Refrigerator with dispenser
KR20210156195A (ko) 냉장고
KR101519198B1 (ko) 냉장고
KR20230146712A (ko) 냉장고
US20230332823A1 (en) Refrigerator
KR101639481B1 (ko) 냉장고
KR20110009344A (ko) 냉장고
KR20240051629A (ko) 냉장고
KR20150075400A (ko) 냉장고
KR20060068777A (ko) 냉장고용 급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