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671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6712A
KR20230146712A KR1020220045433A KR20220045433A KR20230146712A KR 20230146712 A KR20230146712 A KR 20230146712A KR 1020220045433 A KR1020220045433 A KR 1020220045433A KR 20220045433 A KR20220045433 A KR 20220045433A KR 20230146712 A KR20230146712 A KR 20230146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door
opening
inn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준오
이동호
김가형
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5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6712A/ko
Priority to CN202380014262.0A priority patent/CN118235006A/zh
Priority to EP23788469.7A priority patent/EP4414640A1/en
Priority to PCT/KR2023/003088 priority patent/WO2023200115A1/ko
Priority to US18/118,864 priority patent/US20230332823A1/en
Publication of KR20230146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개구와 다이크를 갖는 내부 도어와, 개구를 개폐하도록 내부 도어의 적어도 일부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외부 도어와, 급수 유닛을 포함한다.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측면은 회전축 측에 위치한 제 1 개구 측면과, 제 1 개구 측면을 마주보는 제 2 개구 측면을 포함한다. 다이크의 다이크 내측면은 회전축 측에 위치되고 제 1 개구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으로 연장되는 제 1 다이크 내측면과, 제 1 다이크 내측면을 마주보고 제 2 개구 측면에서 이격되는 제 2 다이크 내측면을 포함한다. 내부 도어의 후면은 제 2 다이크 내측면과 제 2 개구 측면을 연결하도록 제 2 다이크 내측면과 제 2 개구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부를 포함한다. 급수 유닛은 급수 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이 이격부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다이크에 장착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개시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작동 레버의 조작에 의해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와 물통을 장착하면 물통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 급수 장치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
냉장고에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작동 레버를 조작하여 냉장고의 외부에서 물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디스펜서가 구비되기도 한다.
디스펜서는 사용자가 작동 레버를 누르고 있어야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번에 많은 양의 물을 공급받을 수 없고,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할 때 용기에 물이 모일 때까지 작동 레버를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물통이 장착되면 물통에 소정 량의 물이 채워질 때까지 물통에 물을 공급하는 자동 급수 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자동 급수 장치에 접근할 때 냉기 유출이 최소화되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성이 향상된 자동 급수 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작동 레버의 조작에 의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디스펜서와 물통이 장착되면 물통에 소정 량의 물이 채워질 때까지 물통에 물을 공급하는 자동 급수 장치가 함께 구비된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 도어로서, 상기 내부 도어의 전면과 상기 내부 도어의 후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개구와, 상기 내부 도어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다이크를 갖는 내부 도어;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내부 도어의 적어도 일부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외부 도어; 및 물통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수 케이스와, 상기 급수 케이스에 장착된 물통으로 물을 공급하는 배출구와, 상기 급수 케이스에 장착된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급수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측면은 상기 회전축 측에 위치한 제 1 개구 측면과, 상기 제 1 개구 측면을 마주보는 제 2 개구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크의 다이크 내측면은, 상기 회전축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개구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으로 연장되는 제 1 다이크 내측면; 및 상기 제 1 다이크 내측면을 마주보고 상기 제 2 개구 측면에서 이격되는 제 2 다이크 내측면; 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도어의 후면은 상기 제 2 다이크 내측면과 상기 제 2 개구 측면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 2 다이크 내측면과 상기 제 2 개구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 유닛은 상기 급수 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이격부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다이크에 장착된다.
상기 외부 도어는 상기 회전축 측에 위치한 제 1 측면과, 상기 회전축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측면에 함몰되게 핸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에 접근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 도어의 좌우 방향의 폭은 상기 내부 도어의 좌우 방향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내부 도어는 캐치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어는 상기 캐치에 연결되는 락킹 위치와 상기 캐치에서 분리되는 언락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래치와, 상기 래치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기 핸들에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스위칭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도어는 상기 외부 도어가 닫힌 때 상기 내부 도어의 상기 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외부 도어의 후면에 상기 외부 도어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외부 도어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외부 도어의 상기 제 2 측면과 상기 외부 도어 가스켓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은 상기 수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물통의 수위에 따라 상기 배출구로 물을 공급하는 제어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밸브는, 밸브 바디;와,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급수 호스가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바디에서 돌출되는 유입 포트; 및 상기 배출구로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에서 돌출되는 유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출 포트와 상기 배출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급수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 밸브가 상기 급수 케이스에 장착된 때 상기 유출 포트는 상기 물통을 향해 상기 밸브 바디에서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유입 포트는 상기 밸브 바디에서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케이스는 상기 이격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매몰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 포트는 상기 매몰 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도어는 상기 다이크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도어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 케이스는 상기 도어 비드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비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도어는 상기 개구 측면에 형성된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 케이스는 상기 체결홀에 대응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케이스는, 전면에 상기 물통이 장착되도록 물통 장착 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제어 밸브가 장착되도록 밸브 장착 공간이 형성되는 메인 케이스; 및 상기 밸브 장착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메인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은 디스펜서 노즐과, 상기 디스펜서 노즐을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수동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케이스의 전면에 상기 디스펜서 노즐을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취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물통 장착 공간은 상기 회전축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취수 공간은 상기 회전축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물통 장착 공간과 상기 취수 공간은 서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냉장고.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 도어로서, 상기 내부 도어의 전면과 상기 내부 도어의 후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개구를 갖는 내부 도어;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내부 도어의 적어도 일부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외부 도어;와, 물통이 장착되는 물통 장착 공간을 갖는 급수 케이스;와, 디스펜서 노즐과, 상기 디스펜서 노즐을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수동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 레버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와, 배출구와, 상기 물통 장착 공간에 장착된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자동 급수 장치; 및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상기 디스펜서 및 상기 자동 급수 장치로 안내하는 제어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자동 급수 장치는 서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내부 도어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급수 케이스에 장착된 상기 물통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상기 제어 밸브는, 밸브 바디;와,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 호스가 연결되는 유입 포트;와, 상기 디스펜서 노즐로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싱 호스가 연결되는 제 1 유출 포트; 및 상기 배출구로 물을 공급하는 제 2 유출 포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유출 포트는 상기 밸브 바디에서 상기 물통을 향해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유출 포트와 상기 배출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도어는 상기 회전축 측에 위치한 제 1 측면과, 상기 회전축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측면에 함몰되게 핸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 포트와 상기 제 1 유출 포트는 상기 핸들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내부 도어의 일 부분의 후방에 형성된 공간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펜서 및 자동 급수 장치에 접근할 때 내부 도어를 개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에너지 손실이 저감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급수 장치에 물통을 장착하거나 자동 급수 장치에서 물통을 꺼낼 때 물통을 내부 도어의 전방을 향하여 인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펜서와 자동 급수 장치는 하나의 어셈블리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조립성, 내구성 및 디자인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도어의 개구에 설치되는 급수 유닛의 전후 방향의 폭을 최소화하여 저장실의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도어와, 급수 유닛과,를 도어 바스켓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도어와 급수 유닛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 유닛 내부의 유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밸브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 급수 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서 급수 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의 회전축 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횡단면도.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의 회전축 반대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횡단면도.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 유닛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개시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또는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2"와 같은 서수의 표현은 복수의 구성 요소들을 상호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사용된 서수가 구성 요소들 간의 배치 순서, 제조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21, 22)과, 저장실(21, 22)을 개폐하는 도어(31, 32)와, 저장실(21, 22)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1, 22)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2)과, 저장실(21, 22)을 단열하도록 내상(11)과 외상(12)의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21, 22)은 수직 격벽(16)에 의해 우측의 저장실(21)과, 좌측의 저장실(22)로 구획될 수 있다. 저장실(21)은 냉장실로 사용되고, 저장실(22)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냉장고는 하나의 저장실과 하나의 도어를 갖는 1도어 타입일 수도 있다.
저장실(21, 22)의 내부에는 식품을 올려 놓는 선반(26)과, 식품을 보관하는 저장 용기(27)가 마련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는 냉매를 압축하고, 응축하고, 팽창시키고, 증발시키는 냉각 순환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21, 22)에 공급할 수 있다.
저장실(21, 22)은 각각 도어(31, 3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31, 32)에는 식품을 저장하는 도어 저장 공간을 갖는 도어 바스켓(28, 29)이 마련될 수 있다.
도어(31, 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내부 도어(33)와 외부 도어(34)를 갖는 이중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저장실(21)을 개폐하는 우측의 도어(31)는 내부 도어(33)와 외부 도어(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도어(33)는 힌지를 통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내부 도어(33)는 본체(10)의 전방에 회전축(X, 도 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내부 도어(34)의 후면에는 외부 도어(34)가 닫힌 때 본체(10)의 전면에 밀착함으로써 저장실(21)을 밀폐하도록 내부 도어 가스켓(49)이 마련될 수 있다.
내부 도어(33)는 내부 도어(33)가 닫힌 때 저장실(21)이 내부 도어(33)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개구(56)를 가질 수 있다. 개구(56)는 내부 도어(33)의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56)는 내부 도어(33)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56)는 내부 도어(33)의 전면(41a)과 후면(42a) 사이에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12 내지 도 14). 따라서, 내부 도어(33)가 닫힐 때 개구(56)는 저장실(21)에 연통될 수 있다.
내부 도어(33)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다이크(49)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크(49)는 내부 도어(33)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어 바스켓(28)은 다이크(49)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 바스켓(28)은 적어도 일부가 개구(56)에 위치되도록 다이크(49)에 장착될 수 있다.
다이크(49)에는 급수 유닛(60)이 장착될 수 있다. 급수 유닛(60)은 적어도 일부가 개구(56)에 위치되도록 다이크(49)에 장착될 수 있다.
급수 유닛(60)은 급수 케이스(100)와, 디스펜서(61)와, 자동 급수 장치(71)와, 제어 밸브(80)를 포함할 수 있다(도 6 내지 도 9).
디스펜서(61)는 디스펜서 노즐(66)과, 상기 디스펜서 노즐(66)을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수동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 레버(64)를 포함할 수 있다(도 6 내지 도 9). 사용자는 컵 등의 용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작동 레버(64)를 누를 수 있다.
급수 케이스(100)는 다이크(49)에 장착될 수 있다. 급수 케이스(100)에는 물통(72)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급수 케이스(100)에 장착된 물통(72)은 저장실(21)의 냉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자동 급수 장치(71)는 급수 케이스(100)에 장착된 물통(72)에 물을 공급하는 배출구(83, 도 10)와, 급수 케이스(100)에 장착된 물통(72)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75, 도 8)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급수 장치(71)는 물통(72)에 소정 수위까지 물이 찰 때까지 물통(72)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 할 수 있다.
제어 밸브(80)는 급수원(90)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디스펜서(61) 및 자동 급수 장치(71)로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밸브(80)는 급수원(90)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디스펜서 노즐(66) 및 배출구(83)로 안내할 수 있다. 제어 밸브(80)는 내부 도어(33)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정수 필터(91)와 물 탱크(93)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 필터(91)는 급수원(90)으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정수할 수 있다. 물 탱크(93)는 정수 필터(91)를 통해 정수된 물을 저장할 수 있다. 물 탱크(93)는 저장실(21)의 냉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냉장고(1)는 디스펜서(61) 및 자동 급수 장치(71)로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원(90)과 제어 밸브(80)를 연결하는 급수 유로(97)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유로(97)는 정수 필터(91)를 경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원(90)의 물은 정수 필터(81)를 거쳐 정수되어 제어 밸브(80)에 공급될 수 있다. 급수 유로(97)는 물 탱크(93)를 경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원(90)의 물은 물 탱크(93)에서 냉각된 후에 제어 밸브(80)에 공급될 수 있다.
급수 유로(97)에는 물 밸브(94)가 마련될 수 있다. 물 밸브(94)는 물 탱크(93)로부터 제어 밸브(8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급수 유로(97)에는 플로우 센서(95)가 마련되어 제어 밸브(8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내부 도어(33)에는 급수 유닛(60)에 연결되는 전선 및 호스가 통과하는 통과구(53, 도 6)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도어(33)의 힌지 홀(52, 도 6)을 통과하여 내부 도어(33)로 삽입되는 급수 유로(97)는 통과구(53)를 통해 급수 케이스(100)로 안내될 수 있다. 급수 유로(97)는 급수 호스(84, 도 9)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도어(34)는 내부 도어(33)의 개구(56)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외부 도어(34)가 열릴 시 내부 도어(33)의 개구(56)에 접근할 수 있다. 외부 도어(34)는 내부 도어(33)의 적어도 일부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 도어(33)의 개구(56)는 내부 도어(33)의 상부에 형성되므로, 외부 도어(34)는 내부 도어(33)의 상부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외부 도어(34)는 힌지(40a)를 통해 내부 도어(33)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외부 도어(34)는 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내부 도어(33)의 회전축(X)과 외부 도어(34)의 회전축(Y)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도 6). 본 실시예에서 내부 도어(33)의 회전축(X)과 외부 도어(34)의 회전축(Y)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내부 도어(33)의 회전축(X)과 외부 도어(34)의 회전축(Y)은 서로 동일 선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내부 도어(33)의 회전축(X)과 외부 도어(34)의 회전축(Y)은 서로 같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내부 도어(33)의 회전축(X)과 외부 도어(34)의 회전축(Y)은 본체(10)의 우측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외부 도어(34)는 회전축(Y) 측에 위치한 제 1 측면(35, 도 12)과, 회전축(Y)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 2 측면(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측면(36)에는 핸들(37)이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핸들(37)은 제2측면(36)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핸들(37)을 잡고 내부 도어(33)는 닫힌 상태로 유지한 채로 외부 도어(34)를 열거나 또는 외부 도어(34)와 내부 도어(33)를 함께 열 수 있다.
이를 위해, 내부 도어(33)의 전면에는 캐치(55)가 마련되며, 외부 도어(34)에는 래치(38)와 스위칭 레버(39)가 마련될 수 있다.
래치(38)는 캐치(55)에 연결되는 락킹 위치와, 캐치(55)에서 분리되는 언락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스위칭 레버(39)는 래치(38)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손으로 조작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스위칭 레버(39)를 가압하면 래치(38)가 언락 위치로 이동하고, 스위칭 레버(39)를 가압하지 않으면 래치(38)가 락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래치(38)를 락킹 위치로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핸들(37)을 잡으면서 스위칭 레버(39)를 가압할 수 있도록 스위칭 레버(39)는 핸들(37)에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칭 레버(39)를 가압하면서 핸들(37)을 당기면 내부 도어(33)는 닫힌 상태로 유지되면서 외부 도어(34)만 열리게 되고, 스위칭 레버(39)를 가압하지 않으면서 핸들(37)을 당기면 내부 도어(33)와 외부 도어(34)가 함께 열릴 수 있다.
외부 도어(34)의 후면에는 외부 도어(34)가 닫힌 때 내부 도어(33)의 전면에 밀착함으로써 내부 도어(33)의 개구(56)를 밀폐하도록 마련되는 외부 도어 가스켓(40)이 마련될 수 있다. 외부 도어 가스켓(40)은 외부 도어(34)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래치(38) 및 스위칭 레버(39)는 외부 도어(34)의 제 2 측면(36)과 외부 도어 가스켓(4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도 12). 캐치(55)는 래치(38)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내부 도어(33)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외부 도어(34)의 전면에는 장식 패널(미도시)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도어(34)의 핸들(37)에 접근 가능하도록 외부 도어(34)의 좌우 방향의 폭(L2)은 내부 도어(33)의 좌우 방향의 폭(L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도 12). 따라서, 내부 도어(33)의 좌우 방향의 폭(L1)과 외부 도어(34)의 좌우 방향의 폭(L2)의 차이만큼의 공간(L3)으로 손을 집어 넣어 핸들(37)에 접근할 수 있다.
본체(10)의 상면에는 탑 커버(24)가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24)는 본체(10)의 상면에 배치되는 힌지 및 각종 전장품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도어와, 급수 유닛과,를 도어 바스켓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도어와 급수 유닛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 유닛 내부의 유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 급수 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서 급수 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의 회전축 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의 회전축 반대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내부 도어(33)는 내부 도어(33)의 전면(41a)을 형성하는 전면부(41)와, 내부 도어(33)의 후면(42a)를 형성하는 후면부(42)를 포함할 수 있다(도 13 및 도 14).
내부 도어(33)는 개구(56)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56)는 전측과 후측이 개방되도록 내부 도어(33)의 전면(41a)과 후면(42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도어(33)는 개구(56)를 형성하는 개구 측면(57, 58)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 측면(57, 58)은 회전축(X) 측에 위치한 제 1 개구 측면(57)과, 제 1 개구 측면(57)을 마주보는 제 2 개구 측면(58)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도어(33)는 내부 도어(33)의 후면(42a)에서 돌출되는 다이크(4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크(45)는 다이크 내측면(46, 47)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크 내측면(46, 47)은 회전축(X) 측에 위치되고 제 1 개구 측면(57)에서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으로 연장되는 제 1 다이크 내측면(46)과, 제 1 다이크 내측면(46)을 마주보고 제 2 개구 측면(58)에서 이격되는 제 2 다이크 내측면(47)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다이크 내측면(46)과 제 2 다이크 내측면(47) 사이의 폭(W2)은 개구(56)의 좌우 방향의 폭(W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도어(33)의 후면(42a)은 제 2 다이크 내측면(47)과 제 2 개구 측면(58)을 연결하도록 제 2 다이크 내측면(47)과 제 2 개구 측면(58)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부(48, 도 11, 도 12 및 도 14)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유닛(60)은 급수 유닛(60)의 적어도 일부분이 이격부(48)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다이크(45)에 장착될 수 있다.
내부 도어(33)는 전면부(41)와 후면부(42)를 결합시키기 위한 도어 트림(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61)는 디스펜서 노즐(66)과, 상기 디스펜서 노즐(66)을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수동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 레버(64)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레버(64)는 급수 케이스(100)에 형성된 레버 설치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 노즐(66)은 급수 케이스(10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펜서 노즐(66)은 메인 케이스(101)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61)는 작동 레버(64)가 가압되면 작동 레버(64)에 의해 온 상태로 되는 스위치(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케이스(100)의 전면에는 디스펜서 노즐(66)에서 배출되는 물을 받도록 용기가 배치될 수 있는 취수 공간(118)이 형성될 수 있다. 취수 공간(118)은 급수 케이스(100)의 전면에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자동 급수 장치(71)는 급수 케이스(100)에 장착된 물통(72)에 물을 공급하는 배출구(83)와, 급수 케이스(100)에 장착된 물통(72)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75)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급수 장치(71)는 물통(72)에 소정 수위까지 물이 찰 때까지 물통(72)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 할 수 있다. 즉, 자동 급수 장치(71)는 오토필(auto-fill)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자동 급수 장치(71)는 물통(72)에 소정 수위까지 물이 채워질 때까지 물통(72)에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물통(72)의 수위와 상관 없이 물통(72)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배출구(83, 도 10)는 제어 밸브(80)의 제 2 유출 포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배출구(83)는 제어 밸브(80)의 제2유출 포트가 아닌 별개의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구(83)는 제2유출 포트에 별도의 유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밸브(80)는 수위 센서(75)가 물통(72)의 수위가 소정 수위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였을 때 물통(72)으로의 급수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어 밸브(80)는 수위 센서(75)가 감지한 물통(72) 내부의 수위에 따라 배출구(83)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위 센서(75)는 급수 케이스(10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위 센서(75)는 메인 케이스(101)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수위 센서(75)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물통(72)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떠한 위치에라도 배치될 수 있다.
수위 센서(75)는 물통(72)의 내부의 액체의 수위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함에 따라 물통(72) 내부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정전용량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수위 센서(75)는 물통(72)의 내부의 액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서도 물통(72)의 내부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비교적 정확한 감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수위 센서(75)는 물통(72)과 접촉하고 있어야 물통(72)의 내부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위 센서(75)는 메인 케이스(101)에 고정되는 센서 브라켓(75a)과, 물통(72)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부(75b)와, 센서부(75b)를 물통(72)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75b)는 물통(72)이 물통 장착 공간(119)에 장착되는 경우, 물통(72)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75b)는 센서 브라켓(75a)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자동 급수 장치(71)는 물통 장착 공간(119)에 물통(72)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물통 센서(74)를 포함할 수 있다. 물통 센서(74)는 급수 케이스(10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통 센서(74)는 메인 케이스(101)의 상부의 밸브 장착 공간(102)에 마련될 수 있다. 물통 센서(74)는 홀 센서(hall sensor)로 구성될 수 있다. 물통 센서(74)는 물통(72)에 구비된 마그넷(미도시)을 감지할 수 있다. 물통 센서(74)는 물통(72)이 물통 장착 공간(119)에 장착된 때 마그넷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물통 센서(74)는 케이스 커버(120)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물통 센서(74)가 물통(72)이 물통 장착 공간(119)에 장착되지 않았음을 감지하였을 때 제어 밸브(80)는 물통(72)으로의 급수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펜서(61)와 자동 급수 장치(71)는 서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급수 케이스(100)는 메인 케이스(101)과, 메인 케이스(101)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방 케이스(130)와, 메인 케이스(101)의 상부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120)와, 메인 케이스(101)의 하부에 결합되는 트레이(12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1)의 전면에는 취수 공간(118)과 물통 장착 공간(119)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도어(34)가 열리고 내부 도어(33)가 닫힌 상태에서 취수 공간(118)과 물통 장착 공간(119)에 접근할 수 있다. 취수 공간(118)과 물통 장착 공간(119)은 서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1)의 하부에는 취수 공간(118)으로 배출되는 물을 받는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받침부(107)와, 자동 급수 장치(71)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받는 물통(72)을 지지하는 물통 받침부(108)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1)는 디스펜서(61)의 작동 레버(64)가 장착되는 레버 설치부(110)를 포함하고, 레버 설치부(110)에는 작동 레버(64)의 위치에 따라 온 또느 오프되는 스위치(65)가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1)의 상측에는 밸브 장착 공간(102)이 형성될 수 있다. 밸브 장착 공간(102)에는 제어 밸브(80)가 장착될 수 있으며, 메인 케이스(101)의 상부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120)에 의해 제어 밸브(8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메인 케이스(101)와 케이스 커버(120)의 사이에 밸브 장착 공간(102)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커버(120)는 나사 등의 체결 부재를 통해 메인 케이스(10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 커버(120)에는 체결 부재(S2)가 결합되는 결합홀(123)이 형성될 수 있고, 메인 케이스(101)에는 체결 부재(S2)가 결합되는 결합 보스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1)는 탄성에 의해 케이스 커버(120)를 메인 케이스(101 측으로 가압하도록 케이스 커버(120)의 걸림 리브(124)에 결합되는 탄성 후크(115)를 포함할 수 있다(도 15). 탄성 후크(115)의 탄성에 의해 케이스 커버(120)가 메인 케이스(101)에 밀착하므로, 케이스 커버(120)와 메인 케이스(101)의 사이뜸이 방지될 수 있다.
후방 케이스(130)는 급수 유닛(60)의 후방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후방 케이스(130)는 물통 장착 공간(119)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케이스(13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131)를 통해 물통 장착 공간(119)에 장착된 물통(72)의 적어도 1면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물통(72)은 저장실(21)의 냉기에 의해 원활하게 냉각될 수 있다.
트레이(125)는 메인 케이스(101)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125)는 물통 장착 공간(119)에 장착된 물통(72)에서 유출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즉, 트레이(125)는 물통(72)에 물이 과다하게 공급되어 물통(72)에서 물이 넘치는 경우, 물통(72)에서 넘치는 물을 수집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1)는 내부 도어(33)의 다이크(45)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케이스(101)의 양 측면에는 비드 홈(106)이 형성될 수 있다. 비드 홈(106)에 내부 도어(33)의 도어 비드(51)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메인 케이스(101)가 내부 도어(33)의 다이크(45)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 비드(51)는 다이크 내측면(46, 47)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1)가 내부 도어(33)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메인 케이스(101)는 내부 도어(33)에 나사 등의 체결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케이스(101)에는 체결 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홀(105)이 마련될 수 있고, 내부 도어(33)에는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54)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1)는 상부로 돌출되는 결합 브라켓(104)을 포함하고, 결합 브라켓(104)에는 결합홀(1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메인 케이스(101)의 비드 홈(106)에 내부 도어(33)의 도어 비드(51)를 삽입한 후에 메인 케이스(101)의 결합홀(105)과 내부 도어(33)의 체결홀(54)에 체결 부재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메인 케이스(101)가 내부 도어(33)에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체결 부재를 분리하고 도어 비드(51)를 비드 홈(106)에서 분리하여, 메인 케이스(101)를 내부 도어(33)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어 바스켓(28, 29)은 내부 도어(33)의 도어 비드(50)에 장착되는 도어 바스켓(39)와, 급수 케이스(100)의 케이스 비드(109)에 장착되는 도어 바스켓(29)을 포함할 수 있다(도 6).
도어 바스켓(28)의 양측에는 비드 홈(28a)이 형성되고, 비드 홈(28a)에 도어 비드(50)가 삽입됨으로써 도어 바스켓(28)이 내부 도어(33)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 바스켓(29)의 양측에는 비드 홈(29a)이 형성되고, 비드 홈(29a)에 급수 케이스(100)의 케이스 비드(109)가 삽입됨으로써 도어 바스켓(29)이 급수 케이스(100)에 장착될 수 있다.
제어 밸브(80)는 급수 유로(97)를 통해 급수원(90)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디스펜서(61)의 디스펜서 노즐(66) 또는 자동 급수 장치(71)의 배출구(83)로 안내할 수 있다. 제어 밸브(80)는 3방 밸브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밸브(80)는 내부에 밸브 유로가 형성된 밸브 바디(80a)와, 급수원(9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 호스(84)가 연결되는 유입 포트(81)와, 디스펜서 노즐(66)로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싱 호스(85)가 연결되는 제 1 유출 포트(82)와, 배출구(83)로 물을 공급하는 제 2 유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83)와 제 2 유출 포트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유출 포트(82)와, 제2유출 포트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 밸브(80)는 작동 레버(64)에 소정 신호가 입력될 때 디스펜서 노즐(66)을 향해 물을 공급하는 제 1 유출 포트(82)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밸브(80)가 급수 케이스(100)에 장착된 때 제 2 유출 포트는 물통(72)을 향해 아래로 향하도록 마련되고, 유입 포트(81)와 제 1 유출 포트(82)는 밸브 바디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유출 포트는 메인 케이스(101)의 상면에 형성된 밸브 통과홀(103)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유출 포트에서 배출된 물은 중력 방향으로 낙하하여 별도의 연결 부재 없이 직접 물통(72)의 유입구(72a)로 유입될 수 있다.
급수 케이스(100)는 이격부(48)의 후방에 위치하는 매몰 공간(150, 도 9 및 도 11)을 포함할 수 있다. 매몰 공간(150)은 제 1 다이크 내측면(46)과 제 2 다이크 내측면(47) 사이의 폭(W2)에서 개구(56)의 좌우 방향의 폭(W1)을 제외한 공간이며 내부 도어(33)의 후방에 위치한 공간이다. 따라서, 매몰 공간(150)은 개구(56)를 통해 노출되지 않는 공간이며, 급수 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공간이므로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용도로 활용할 수 없는 공간이다. 매몰 공간(150)은 외부 도어(34)의 핸들(37)에 대응되도록 내부 도어(33)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 밸브(80)의 유입 포트(81)와 제 1 유출 포트(82)는 매몰 공간(150)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 포트(81)와 제 1 유출 포트(82)가 매몰 공간(150)을 향하므로 급수 호스(84)와 디스펜싱 호스(85)가 매몰 공간(150)에서 각각 완만하게 벤딩되면서 유입 포트(81)와 제 1 유출 포트(8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 호스(84)와 디스펜싱 호스(85)에 가해지는 텐션이 감소하여 호스(84, 85)와 포트(81, 82)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호스 (84, 85) 내부에서 물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유입 포트(81)와 제 1 유출 포트(82)에 각각 급수 호스(84)와 디스펜싱 호스(85)를 연결하기 위한 추가 공간의 확보가 불필요하므로, 급수 유닛(60)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저장실(21)의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유입 포트(81)와 제 1 유출 포트(82)가 매몰 공간(150)을 향하지 않을 경우, 급수 호스(84)와 디스펜싱 호스(85)가 완만하게 벤딩되면서 유입 포트(81)와 제 1 유출 포트(82)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급수 유닛(60)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의 크기를 늘려야 하므로 그만큼 저장실(21)의 공간이 잠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 포트(81)와 제1 유출 포트(82)를 매몰 공간(150)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게 할 경우, 물통 센서(74) 및 결합 보스부(113) 등의 급수 유닛(60) 내부의 구조물로 인해 호스(84, 85)를 연결하기 곤란할 수 있다. 또한, 유입 포트(81)와 제1 유출 포트(82)를 내부 도어(33)의 전방, 후방, 또는 상방으로 향하게 할 경우, 호스(84, 85)가 완만하게 벤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급수 유닛(60)의 전후 방향의 폭 또는 상하 방향의 폭이 커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저장실(21)의 저장 공간이 축소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 유닛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5 를 참조하면, 급수 케이스(100)는 급수 케이스(100)의 전면에 형성된 취수 공간(118) 및 물통 장착 공간(119)에 저장실(21)의 냉기가 원활히 공급되도록 급수 케이스(100)에 형성되는 냉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냉기홀은 메인 케이스(101)에 형성된 제 1 냉기홀(112, 도 8)과, 후방 케이스(130)에 형성된 제 2 냉기홀(133a) 및 제 3 냉기홀(133b)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21)의 냉기는 제 2 냉기홀(133a) 및 제 3 냉기홀(133b)을 통해 케이스 커버(120)와 메인 케이스(101) 사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고, 제1냉기홀(112)을 통해 취수 공간(118) 및 물통 장착 공간(119)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냉기홀을 통해 저장실(21)의 냉기가 물통 장착 공간(119)에 원활히 공급되므로 물통 장착 공간(119)에 장착된 물통(72)이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후방 케이스(130)에는 제3냉기홀(133b)을 통해 저장실의 냉기가 급수 케이스(100)의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면서, 수분이 급수 케이스(10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13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200)의 외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일 실시예의 냉장고에서 디스펜서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 밸브는 3웨이 밸브가 아닌 2웨이 밸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유출 포트가 생략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냉장고 10 : 본체
11 : 내상 12 : 외상
16 : 수직 격벽 21, 22, : 저장실
31 32,: 도어 33 : 내부 도어
34 : 외부 도어 37 : 핸들
45 : 다이크 48 : 이격부
49 : 내부 도어 가스켓 56 : 개구
60 : 급수 유닛 61 : 디스펜서
71 : 자동 급수 장치 72 : 물통
75 : 수위 센서 80 : 제어 밸브
100 : 급수 케이스 101 : 메인 케이스
150 : 매몰 공간

Claims (20)

  1.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 도어로서, 상기 내부 도어의 전면과 상기 내부 도어의 후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개구와, 상기 내부 도어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다이크를 갖는 내부 도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내부 도어의 적어도 일부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외부 도어; 및
    물통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수 케이스와, 상기 급수 케이스에 장착된 물통으로 물을 공급하는 배출구와, 상기 급수 케이스에 장착된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급수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측면은 상기 회전축 측에 위치한 제 1 개구 측면과, 상기 제 1 개구 측면을 마주보는 제 2 개구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크의 다이크 내측면은,
    상기 회전축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개구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으로 연장되는 제 1 다이크 내측면; 및
    상기 제 1 다이크 내측면을 마주보고 상기 제 2 개구 측면에서 이격되는 제 2 다이크 내측면; 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도어의 후면은 상기 제 2 다이크 내측면과 상기 제 2 개구 측면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 2 다이크 내측면과 상기 제 2 개구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 유닛은 상기 급수 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이격부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다이크에 장착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어는 상기 회전축 측에 위치한 제 1 측면과, 상기 회전축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측면에 함몰되게 핸들이 형성된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 접근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 도어의 좌우 방향의 폭은 상기 내부 도어의 좌우 방향의 폭 보다 작은 냉장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는 캐치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어는 상기 캐치에 연결되는 락킹 위치와 상기 캐치에서 분리되는 언락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래치와, 상기 래치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기 핸들에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스위칭 레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어는 상기 외부 도어가 닫힌 때 상기 내부 도어의 상기 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외부 도어의 후면에 상기 외부 도어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외부 도어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외부 도어의 상기 제 2 측면과 상기 외부 도어 가스켓의 사이에 위치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닛은 상기 수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물통의 수위에 따라 상기 배출구로 물을 공급하는 제어 밸브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는,
    밸브 바디;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급수 호스가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바디에서 돌출되는 유입 포트; 및
    상기 배출구로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에서 돌출되는 유출 포트;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포트와 상기 배출구는 일체로 형성된 냉장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급수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 밸브가 상기 급수 케이스에 장착된 때 상기 유출 포트는 상기 물통을 향해 상기 밸브 바디에서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유입 포트는 상기 밸브 바디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케이스는 상기 이격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매몰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 포트는 상기 매몰 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냉장고.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는 상기 다이크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도어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 케이스는 상기 도어 비드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비드 홈을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는 상기 개구 측면에 형성된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 케이스는 상기 체결홀에 대응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과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케이스는,
    전면에 상기 물통이 장착되도록 물통 장착 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제어 밸브가 장착되도록 밸브 장착 공간이 형성되는 메인 케이스; 및
    상기 밸브 장착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메인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 를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닛은 디스펜서 노즐과, 상기 디스펜서 노즐을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수동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 레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케이스의 전면에 상기 디스펜서 노즐을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취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물통 장착 공간은 상기 회전축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취수 공간은 상기 회전축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물통 장착 공간과 상기 취수 공간은 서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냉장고.
  16.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 도어로서, 상기 내부 도어의 전면과 상기 내부 도어의 후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개구를 갖는 내부 도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내부 도어의 적어도 일부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외부 도어;
    물통이 장착되는 물통 장착 공간을 갖는 급수 케이스;
    디스펜서 노즐과, 상기 디스펜서 노즐을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수동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 레버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배출구와, 상기 물통 장착 공간에 장착된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자동 급수 장치; 및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상기 디스펜서 및 상기 자동 급수 장치로 안내하는 제어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자동 급수 장치는 서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내부 도어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급수 케이스에 장착된 상기 물통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는,
    밸브 바디;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 호스가 연결되는 유입 포트;
    상기 디스펜서 노즐로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싱 호스가 연결되는 제 1 유출 포트; 및
    상기 배출구로 물을 공급하는 제 2 유출 포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유출 포트는 상기 밸브 바디에서 상기 물통을 향해 아래로 돌출되는 냉장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출 포트와 상기 배출구는 일체로 형성된 냉장고.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어는 상기 회전축 측에 위치한 제 1 측면과, 상기 회전축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측면에 함몰되게 핸들이 형성되는 냉장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포트와 상기 제 1 유출 포트는 상기 핸들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내부 도어의 일 부분의 후방에 형성된 공간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KR1020220045433A 2022-04-13 2022-04-13 냉장고 KR20230146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433A KR20230146712A (ko) 2022-04-13 2022-04-13 냉장고
CN202380014262.0A CN118235006A (zh) 2022-04-13 2023-03-07 冰箱
EP23788469.7A EP4414640A1 (en) 2022-04-13 2023-03-07 Refrigerator
PCT/KR2023/003088 WO2023200115A1 (ko) 2022-04-13 2023-03-07 냉장고
US18/118,864 US20230332823A1 (en) 2022-04-13 2023-03-08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433A KR20230146712A (ko) 2022-04-13 2022-04-13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712A true KR20230146712A (ko) 2023-10-20

Family

ID=88329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433A KR20230146712A (ko) 2022-04-13 2022-04-13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6712A (ko)
WO (1) WO202320011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5374B2 (en) * 2010-10-29 2015-02-03 Whirlpool Corporation Beverage dispensing system with automated water filter recommendation
KR102548250B1 (ko) * 2016-05-02 202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74196B1 (ko) * 2017-01-03 202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126635A (ko) * 2018-05-02 2019-11-12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냉장고의 자동물공급장치
KR20210156195A (ko) * 2020-06-17 2021-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00115A1 (ko)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74196B1 (ko) 냉장고
US9360239B2 (en) Refrigerator
EP1655560B1 (en) Cooling air flow passage for refrigerator
US9222722B2 (en) Refrigerato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refrigerator
KR102615047B1 (ko) 냉장고
US11674747B2 (en) Refrigerator
US20240240851A1 (en) Refrigerator
EP3945273B1 (en) Refrigerator
KR102497702B1 (ko) 냉장고
KR20210156195A (ko) 냉장고
KR20230146712A (ko) 냉장고
US20130118203A1 (en) Refrigerator with dispenser
US20230332823A1 (en) Refrigerator
KR20210109925A (ko) 냉장고
US20240110745A1 (en) Refrigerator interior layout
EP4321826A1 (en) Refrigerator
KR20240109376A (ko) 냉장고
KR20240001019A (ko) 냉장고
KR20240030126A (ko) 냉장고
KR20210156142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CN116685818A (zh) 冰箱
KR101712621B1 (ko) 냉장고
KR20240000340A (ko) 냉장고
KR20240051625A (ko) 냉장고
KR20220068703A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