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656B1 -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656B1
KR102497656B1 KR1020210167450A KR20210167450A KR102497656B1 KR 102497656 B1 KR102497656 B1 KR 102497656B1 KR 1020210167450 A KR1020210167450 A KR 1020210167450A KR 20210167450 A KR20210167450 A KR 20210167450A KR 102497656 B1 KR102497656 B1 KR 102497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eat
portions
uni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혁렬
최성규
임형균
김동학
윤진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Priority to KR1020210167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4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profiled spacer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002/348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frame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에 관한 것으로, 판 형태로 가로층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시트부를 포함하는 시트유닛, 및 각각의 상기 시트부 사이에 복수 개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시트부와 결합되어 상기 시트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빈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DURABLE DOUBLE-LAYER BOARD}
개시된 내용은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는 구조물의 지붕 또는 외장재를 제조할 때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평판을 주로 사용하였는데, 평판의 주재료로 폴리카보네이트가 사용되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투명도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플라스틱으로, 산업전반에 걸쳐 그 용도가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지붕 또는 외장재의 재료와 같은 건축분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를 평판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진 지붕은 자외선이나 산성비에 오랜 기간 노출되면, 황변이 발생하거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단층판은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면 황색으로 변하면서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고, 폴레카보네이트로만 이루어져서 내화학성이 약해서 약품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단층판은 강도가 약해서 축사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가스나 우박 등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변색 등이 되지 않고 구조적으로 강도가 높은 복층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59503호(2020.5.29.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로층을 형성하는 시트부를 3층으로 하고 시트부와 결합되는 격벽부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두께의 시트부와 제1, 제2 격벽부의 배치 및 스킨층부를 통해 내후성과 내화학성 등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은 판 형태로 가로층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시트부를 포함하는 시트유닛, 및 각각의 상기 시트부 사이에 복수 개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시트부와 결합되어 상기 시트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빈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유닛은. 표면을 형성하는 제1 시트부, 저면을 형성하는 제2 시트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시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유닛은, 상기 제1 및 제3 시트부와 결합되는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2 및 제3 시트부와 결합되는 제2 격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시트부의 두께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트부의 두께가 상기 제2, 제3 시트부의 두께 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제3 시트부의 두께가 상기 제1, 제2 시트부의 두께 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제1, 제2 격벽부가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시트부와 상기 제1, 제2 격벽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제1 격벽부 사이의 아래로 상기 제2 격벽부가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은 상기 제1, 제2 시트부 중 하나 이상의 외면에 적층되어 상기 시트유닛을 보호하는 스킨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킨층부는 글리콜 변성 PETG수지(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와 자외선 차단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은 상기 시트유닛과 격벽유닛 사이의 외부로 노출된 빈공간을 밀폐시키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시트유닛을 접착가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시트유닛은 시트부와 격벽부를 통해 빈공간을 형성하여 단열성을 높이며, 동일 두께 대비 중량이 1/3로 감소하고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시트유닛은 제1 시트부의 두께가 제2 및 제3의 시트부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어, 제1 시트부가 지붕의 표면을 이룰 때 표면층이 뚜껍게 형성되어 외부의 비바람이나 강렬한 태양빛을 좀 더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중간층을 이루는 제3 시트부가 표면과 저면을 이루는 제1, 제2 시트부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되어 재료와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격벽부와 제2 격벽부가 일직선이 아닌 어긋난 형태로 형성되어 시트유닛을 좀 더 견고하게 지지하여 강도와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PETG수지와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킨층부는 기후 변화가 심한 상황에서 내후성 및 내화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차단부는 빈공간을 밀폐시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운송이나 사용과정에서 제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상품성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3 내지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의 단면도.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의 내후성 비교 실험그래프.
도 7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의 내화학성 비교표.
도 8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 차단부의 사시도 및 단면 확대도.
도 9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9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9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90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900)에 관한 것으로, 가로층을 형성하는 시트부를 3층으로 하고 시트부와 결합되는 격벽부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두께의 시트부와 제1, 제2 격벽부(210, 220)의 배치 및 스킨층부(300)를 통해 내후성과 내화학성이 향상된 복층판을 이용하여 기존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및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등의 단판을 대체하여 캐노피, 채광용 지붕, 벽체, 및 외장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900)은 시트유닛(100), 격벽유닛(200), 스킨층부(300), 및 차단부(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900)은 판 형태로 가로층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시트부를 포함하는 시트유닛(100), 및 각각의 시트부 사이에 복수 개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각의 시트부와 결합되어 시트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빈공간(10)을 형성하는 격벽유닛(200)을 포함하며, 시트유닛(100)은. 표면을 형성하는 제1 시트부(110), 저면을 형성하는 제2 시트부(120), 및 제1 및 제2 시트부(110, 12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1 및 제2 시트부(110, 120)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시트부(130)를 포함하며, 격벽유닛(200)은, 제1 및 제3 시트부(110, 130)와 결합되는 제1 격벽부(210), 및 제2 및 제3 시트부(120, 130)와 결합되는 제2 격벽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시트부(110, 120, 130)의 두께가 모두 동일하거나, 제1 시트부(110)의 두께가 제2, 제3 시트부(120, 130)의 두께 보다 두껍거나, 제3 시트부(130)의 두께가 제1, 제2 시트부(110, 120)의 두께 보다 얇을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트유닛(100)은 판 형태로 복수 개가 가로층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격벽유닛(200)에 의해 연결되어 복층판의 표면과 저면을 형성하며, 제1 내지 제3 시트부(110, 120,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시트유닛(100)은 투명은 물론 갈색, 파란색 등 여러 가지 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트부(110)는 표면을 이루는 층을 형성하며, 제2 시트부(120)는 저면을 이루는 층을 형성하고, 제3 시트부(130)는 제1, 제2 시트부(110, 120) 사이에 위치되며 중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시트유닛(100)은 앞뒤가 있는 것은 아니어서 뒤집어서 사용가능하므로, 지붕 등에 사용될 때 제1 시트부(110)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제3 시트부(130)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시트유닛(100)은 제1 내지 제3 시트부(110, 120, 130)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각 시트부의 두께는 0.25~0.52mm일 수 있으며, 시트유닛(100)의 전체 두께는 3~6mm일 수 있다.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시트유닛(100)은 제1 시트부(110)의 두께가 제2 및 제3 시트부(120, 130)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시트부(110)가 지붕의 표면을 이룰 때 표면층이 뚜껍게 형성되어 외부의 비바람이나 강렬한 태양빛을 좀 더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시트부(110)의 두께가 제2 및 제3 시트부(120, 130)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될 때, 제2 시트부(120)와 제3 시트부(130)의 두께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시트유닛(100)은 제3 시트부(130)의 두께가 제1 및 제2 시트부(110, 120)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중간층을 이루는 제3 시트부(130)가 표면과 저면을 이루는 제1, 제2 시트부(110, 120)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되어 재료와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례로, 제3 시트부(130)의 두께가 제1 및 제2 시트부(110, 120)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될 때, 제1 시트부(110)와 제2 시트부(120)의 두께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900)의 내후성 비교 실험그래프이다.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900)은 제1, 제2 격벽부(210, 220)가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제1 내지 제3 시트부(110, 120, 130)와 제1, 제2 격벽부(210, 220)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격벽부(210) 사이의 아래로 제2 격벽부(220)가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격벽유닛(200)은 각 시트부(110, 120, 130) 사이에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각 시트부(110, 120, 130)와 결합되어 각 시트부(110, 120, 130)를 지지하고 각 시트부(110, 120, 13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여 빈공간(10)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제2 격벽부(210, 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격벽부(210)는 제1 시트부(110) 및 제3 시트부(130)와 결합되는 것으로, 제1, 제3 시트부(110, 130)를 지지하고, 복수 개의 제1 격벽부(210)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1 시트부(110)와 제3 시트부(130) 사이에 빈공간(10)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격벽부(220)는 제2 시트부(120) 및 제3 시트부(130)와 결합되는 것으로, 제2, 제3 시트부(120, 130)를 지지하고, 복수 개의 제2 격벽부(220)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2 시트부(120)와 제3 시트부(130) 사이에 빈공간(10)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격벽부(210)와 제2 격벽부(220)는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내지 제3 시트부(110, 120, 130)와 제1, 제2 격벽부(210, 220)는 다층압출방법에 의해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격벽부(210)와 제2 격벽부(220)는 일직선이 아닌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격벽부(220)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제1 격벽부(210) 사이의 아래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격벽부(210)와 제2 격벽부(220)가 일직선이 아닌 어긋난 형태로 형성되어 시트유닛(100)을 좀 더 견고하게 지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900)의 내화학성 비교표이고, 도 8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900) 차단부(400)의 사시도 및 단면 확대도이며, 도 9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900)의 사용상태도이다.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900)은 제1, 제2 시트부(110, 120) 중 하나 이상의 외면에 적층되어 시트유닛(100)을 보호하는 스킨층부(300)를 더 포함하며, 스킨층부(300)는 글리콜 변성 PETG수지(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와 자외선 차단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킨층부(300)는 제1, 제2 시트부(110, 120) 중 하나 이상의 외면에 적층되는 것으로, 제1, 제2 시트부(110, 120)의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스킨층부(300)는 글리콜 변성 PETG수지(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와 자외선 차단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내후성이나 내화학성을 향상시킨 복층판을 제조할 수 있다.
일례로, PETG수지는 글리콜 변성 PET수지(glycol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이르는 것으로, 기존의 PET수지로는 제조하기 어려운 투명하고 두꺼운 시트나 용기에 적합하도록 공단량체로 CHDM(1,4-cyclohexanedimethanol)을 첨가하여 공중합한 비결정성 수지이다. 여기서, PETG수지는 결정화로 인한 백화(白化)현상 없이 성형 가능한 모든 두께의 투명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밝은 색상과 우수한 광택을 지니고 인쇄성, 내충격성, 내화학성이 뛰어나며 넓은 조건에서 성형가공이 가능하고 2차 가공성이 용이하다는 장점 외에도 환경호르몬물질을 함유하지 않고 소각 폐기할 때에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는 환경친화성을 지닌 수지이다.
도 6 또는 도 7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이러한 PETG수지와 자외선 차단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스킨층부(300)는 기후 변화가 심한 상황에서 내후성 및 내화학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900)은 시트유닛(100)과 격벽유닛(200) 사이의 외부로 노출된 빈공간(10)을 밀폐시키는 차단부(400)를 더 포함하며, 차단부(400)는 시트유닛(100)을 접착가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차단부(400)는 시트유닛(100)과 격벽유닛(200) 사이의 외부로 노출된 빈공간(10)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과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차단부(400)는 A 부분을 접착가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차단부(400)는 제1 내지 제3 시트부(110, 120, 130)를 접착가압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빈공간(10)을 열융착하여 마감처리를 하거나, 실리콘, 핫멜트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시트유닛(100)과 동일한 재질의 판과 결합하여 마감처리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마감처리할 수 있다. 일례로, 차단부(400)는 빈공간(10)을 밀폐시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운송이나 사용과정에서 제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상품성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900)에 관한 것으로, 가로층을 형성하는 제1 내지 제3 시트부(110, 120, 130)와 결합되는 제1, 제2 격벽부(210, 220)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두께의 시트부와 제1, 제2 격벽부(210, 220)의 배치 및 스킨층부(300)를 통해 내후성과 내화학성이 향상된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900)에 관한 것이다.
시트유닛(100)은 시트부(110, 120, 130)와 격벽부(210, 220)를 통해 빈공간(10)을 형성하여 단열성을 높이며, 동일 두께 대비 중량이 1/3로 감소하고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시트유닛(100)은 제1 시트부(110)의 두께가 제2 및 제3의 시트부(120, 130)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어, 제1 시트부(110)가 지붕의 표면을 이룰 때 표면층이 뚜껍게 형성되어 외부의 비바람이나 강렬한 태양빛을 좀 더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중간층을 이루는 제3 시트부(130)가 표면과 저면을 이루는 제1, 제2 시트부(110, 120)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되어 재료와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격벽부(210)와 제2 격벽부(220)가 일직선이 아닌 어긋난 형태로 형성되어 시트유닛(100)을 좀 더 견고하게 지지하여 강도와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PETG수지와 자외선 차단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킨층부(300)는 기후 변화가 심한 상황에서 내후성 및 내화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차단부(400)는 빈공간(10)을 밀폐시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운송이나 사용과정에서 제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상품성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빈공간
100 : 시트유닛
110 : 제1 시트부
120 : 제2 시트부
130 : 제3 시트부
200 : 격벽유닛
210 : 제1 격벽부
220 : 제2 격벽부
300 : 스킨층부
400 : 차단부
900 :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

Claims (9)

  1. 판 형태로 가로층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시트부를 포함하는 시트유닛;
    각각의 상기 시트부 사이에 복수 개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시트부와 결합되어 상기 시트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빈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유닛; 및
    상기 시트유닛과 격벽유닛 사이의 외부로 노출된 빈공간을 밀폐시키는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유닛은.
    표면을 형성하는 제1 시트부;
    저면을 형성하는 제2 시트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제2 시트부의 두께 보다 두께가 얇은 제3 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트부와 제2 시트부는 뒤집어서 사용이 가능하고, 복수 개의 색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유닛은,
    상기 제1 및 제3 시트부와 결합되는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2 및 제3 시트부와 결합되는 제2 격벽부;를 포함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제1 격벽부 사이의 아래로 상기 제2 격벽부가 어긋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시트부의 외면에 적층되어 상기 시트유닛을 보호하는 스킨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킨층부는 글리콜 변성 PETG수지(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를 포함하여 내후성이나 내화학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시트유닛을 접착가압하여 상기 제1, 제2, 및 제3 시트부를 접합하여 접합부분이 돌출되도록 견고하게 형성되는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167450A 2021-11-29 2021-11-29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 KR102497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450A KR102497656B1 (ko) 2021-11-29 2021-11-29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450A KR102497656B1 (ko) 2021-11-29 2021-11-29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656B1 true KR102497656B1 (ko) 2023-02-10

Family

ID=8522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450A KR102497656B1 (ko) 2021-11-29 2021-11-29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65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1360A (ja) * 1982-11-25 1984-06-11 レ−ム・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ポリカ−ボネ−トプラスチツク板およびその製法
JP3054626B2 (ja) * 1993-02-25 2000-06-19 セブン工業株式会社 木造建築における構造物組立方法
KR200405264Y1 (ko) * 2005-10-27 2006-01-10 송주근 투광성 복층패널
EP1743986A2 (fr) * 2005-07-13 2007-01-17 DS Smith Kaysersberg Plaque alvéolaire multiparois
JP2008214865A (ja) * 2007-02-28 2008-09-18 Takiron Co Ltd 合成樹脂製複層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59503A (ko) 2018-11-21 2020-05-29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컬러 및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1360A (ja) * 1982-11-25 1984-06-11 レ−ム・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ポリカ−ボネ−トプラスチツク板およびその製法
JP3054626B2 (ja) * 1993-02-25 2000-06-19 セブン工業株式会社 木造建築における構造物組立方法
EP1743986A2 (fr) * 2005-07-13 2007-01-17 DS Smith Kaysersberg Plaque alvéolaire multiparois
KR200405264Y1 (ko) * 2005-10-27 2006-01-10 송주근 투광성 복층패널
JP2008214865A (ja) * 2007-02-28 2008-09-18 Takiron Co Ltd 合成樹脂製複層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59503A (ko) 2018-11-21 2020-05-29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컬러 및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06885B (zh) 太阳能电池组件用背面保护片材
KR101308827B1 (ko) 성형성 및 광택성이 우수한 친환경 데코 시트
KR102253620B1 (ko) 태양 전지 모듈
EP2416374A1 (en) Solar cell module with layers of design for integration into buildings
JP2011129850A (ja) 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2497656B1 (ko) 내구성이 강화된 복층판
CN104955638B (zh) 用于制造隔热板材的多层层压板
CN110234821B (zh) 屋顶形成元件、屋顶以及制造方法
KR102634960B1 (ko) 폴리카보네이트 골판
KR19980070135A (ko) 내충격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다층 쉬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WO2013065811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471501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107408594B (zh) 用于太阳能模块的背面膜
CN106796967A (zh) 太阳能电池模块用背面保护片、太阳能电池模块和太阳能电池模块用背面保护片的制造方法
JP2009054429A (ja) 照明器具カバー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US8048353B2 (en) Multilayer polymeric product based 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carbonate and its use as a building material
CN218430325U (zh) 一种防水性包装材料
CN216032976U (zh) 一种双面提高强度的双面增强型vm pet镀铝薄膜
EP0933489B1 (en) Extruded alveolar panel with parallel sheets and ribs made with materials having different opt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KR102510331B1 (ko) 단열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복층판
EP3563014A1 (en) Solar roof forming element, roof,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N205264732U (zh) 一种太阳能背板用高反射e膜
JPS644515Y2 (ko)
JP2020141075A (ja) 薄膜系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766326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