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652B1 - 병 열기 및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 - Google Patents

병 열기 및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652B1
KR102497652B1 KR1020197017261A KR20197017261A KR102497652B1 KR 102497652 B1 KR102497652 B1 KR 102497652B1 KR 1020197017261 A KR1020197017261 A KR 1020197017261A KR 20197017261 A KR20197017261 A KR 20197017261A KR 102497652 B1 KR102497652 B1 KR 102497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sule
holder
bottle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0936A (ko
Inventor
다니엘 롱만
둔칸 시어-시몬즈
케빈 호지스
Original Assignee
호지스 & 드레이크 디자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지스 & 드레이크 디자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호지스 & 드레이크 디자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80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2Liquid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4Powder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of liquid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47J31/4425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when filled or while being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6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6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 B67B7/162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the removing device being formed by at least two articulated parts, e.g. pl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용기에서 첨가물을 액체로 디스펜싱 하기 위한 장치(20)는 지지 구조(22) 및, 액체를 포함하는 용기(21)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구조(22)에 의하여 지지되는 용기 홀더(28)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20)는 또한 첨가물, 예를 들어서 액체, 반-액체 또는 파우더를 포함하는 캡슐(30)을 고정하기 위한 캡슐 홀더(38)와, 상기 캡슐(40)을 조작하기 위하여 작동 가능한 조작 기구(41)(예를 들어서 이를 으깨는 식으로 해서, 이에 의하여 상기 첨가물을 상기 용기(21)의 상기 액체로 디스펜싱함)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병 열기 및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용기에서 첨가물을 액체로 디스펜싱(dispensing, 분배) 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그러나 한정적이지는 않게, 병 음료(bottled beverage), 예를 들어서, 병 탄산 음료(bottled carbonated beverage)에 맛을 가하는(flavouring) 장치에 대한 것이다.
주액체(primary liquid)에 첨가물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여러 상황들이 있다. 일 예는 최근 몇 년 동안 인기가 증가해온 맥주와 사이다와 같은 향료 음료(flavoured beverage, 맛이 가미된 음료) 분야의 경우이다. 통상적으로, 향료 물질(flavouring substance)의 첨가는 음료가 제조될 때 행해진다. 이것은 소비자 선택을 제한하고 잠재적으로는 음료 생산자에게 허용되는 수익을 제한한다.
알코올 또는 비알콜의 일반 음료에 향료 물질을 가미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개별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서 제공 시점에 첨가물을 첨가해서 변화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더 많은 소비자 선택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S 2011/0278184 A1은 제공 시점에 음료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게 하는 음료 향료 용기(beverage flavouring container)로 향료 물질을 디스펜싱할 수 있게 하는 음료 향료 인가기구(beverage flavouring applicator)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음료 향료 인가기구는 구조가 복잡하고 상기 인가기구의 부품의 교차 오염 때문에 다른 향료 물질들과 함께 쉽사리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용기의 액체로 첨가물을 디스펜싱하기 위한 개선된 장치의 필요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용기의 액체에 첨가물을 디스펜싱 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지지 구조, 액체를 포함하는 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지지 구조에 의하여 지지되는 용기 홀더, 첨가물을 포함하는 캡슐을 고정하기 위한 캡슐 홀더, 및 상기 용기의 액체로 상기 첨가물을 디스펜싱 하기 위하여 상기 캡슐을 조작하도록 작동 가능한 조작 기구(manipulator device)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첨가물이 단순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용기의 액체에 용이하게 더해지도록 한다. 상기 첨가물은 예를 들어서 향료 물질, 색소, 또는 비타민, 미네럴, 허브, 각성제(stimulant) 또는 농축제(concentrate)와 같은 하나 이상의 기능성 첨가물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병 음료를 가미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장치는, 지지 구조, 음료를 포함하는 병을 고정하기 위한 상기 지지 구조에 의하여 지지되는 병 홀더, 향료 물질을 포함하는 캡슐을 고정하기 위한 캡슐 홀더, 및 향료 음료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병으로 향료 물질을 디스펜싱 하기 위하여 상기 캡슐을 조작하도록 작동 가능한 조작 기구(manipulator device)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임의의 액체 또는 음료, 예를 들어서, 맥주와 같은 병 탄산 음료가 단순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공 시에 소비자에 의하여 선택된 첨가물이 가미되거나 또는 아니면 이로써 변경될 수 있게 한다. 소비자는 따라서 (예를 들어서, 사전에 가미된 병 알코올 음료의 형태로) 이전에 이용 가능할 수 있었던 향료를 포함하여 더 다양한 첨가물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음료가 잠재적으로 보다 더 매력적이 되게 한다.
음료 생산자의 관점으로부터, 생산 프로세스가 단순화되는데, 그 이유는 음료의 경우에, 음료가 더이상 제조 중에 가미되거나 특정 라벨을 요구하는 병에 저장될 필요 등이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보다 다양한 향료와 다른 첨가물들이 제공 시에 소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특정 첨가물, 예를 들어서 향료가 인기가 없다고 판명된다면, 그러한 인기가 없는 첨가물과 이것이 포함되어 있는 캡슐(음료에 비하여 비싸지 않은 요소들)만이 소비되지 않게 되고 음료의 나머지는 제공 시에 이용 가능한 보다 인기가 많은 첨가물과 결합하여 소비되게 될 것이다. 소비의 수준과, 그리고 따라서 상이한 첨가물들의 인기는 또한 음료 생산자에게 매우 유용한 피드백을 제공할 것이고, 예를 들어서 이들로 하여금 새로운 향료 또는 다른 첨가물을 개발할 수 있게 하고 인기 없는 향료나 다른 첨가물을 중단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상기 장치와 특히 상기 지지 구조는 카운터 상부(counter top)에 위치되게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서 330 ml 부피를 가지는 병 액체를 수용하는 치수일 수 있다.
일반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조작 기구는 용기로 첨가물을 디스펜싱하기 위하여 상기 캡슐을 조작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작 기구가 구동 메커니즘, 예를 들어서 모터식 구동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이 생각된다.
상기 조작 기구는 상기 캡슐을 파열시킴으로써 상기 첨가물을 상기 용기 내로 디스펜싱하기 위하여 상기 캡슐에 압축력을 인가할 수 있게 작동 가능한 압축 기구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 기구는 상기 캡슐을 관통하여서 상기 첨가물이 상기 캡슐로부터 상기 용기로 나가게 할 수 있도록 작동 가능한 피어싱 기구 또는 절단 기구일 수 있다.
상기 캡슐 홀더는 상기 용기 홀더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첨가물은 대체적으로 아래 방향으로 상기 용기 내로 디스펜싱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용기의 뚜껑에 결합하고 상기 조작 기구에 의한 상기 캡슐의 조작 전에, 예를 들어서 상기 압축 기구에 의하여 상기 캡슐의 압축 전에, 상기 뚜껑을 제거하도록 작동 가능한 용기 오프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오프너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작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장치 내로 일체화된 상기 용기 오프너의 제공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것이 상기 용기 홀더 내로 상기 용기를 삽입하기 전에 상기 뚜껑을 제거할 필요를 없애기 때문이다.
상기 용기 오프너는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뚜껑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력을 상기 뚜껑에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오프너는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로부터 이탈(levering-off)하도록 상기 뚜껑에 제거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오프너는 병 음료와 함께 널리 사용되는 크라운 뚜껑(crown cap)과 함께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상기 뚜껑은 내부 나사(internal thread)를 가지는 스크류 뚜껑일 수 있고 상기 용기 오프너는 상기 뚜껑을 상기 용기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 뚜껑에 제거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오프너는 예를 들어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한 상기 용기 홀더의 이동 중에 상기 스크류 뚜껑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뚜껑을 상기 용기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제거력, 예를 들어서 제거 토크를 상기 스크류 뚜껑에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오프너는 상기 스크류 뚜껑의 외측 둘레 표면(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근처에 제공되는 형상체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예를 들어서 이빨 형상체(tooth formation)과 같은 형상체를 가진 제거 암(removal ar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거 암의 형상체와 상기 스크류 뚜껑의 외측 주변 표면 주위에 제공되는 형상체 사이의 협동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한 상기 용기 홀더의 이동 중에 상기 스크류 뚜껑에 상기 제거 토크를 인가하는 결과를 야기한다.
상기 장치는 단일 작동, 예를 들어서 사용자에 의한 한번의 수동 작동에 의해 상기 용기 오프너에 의해 제거력 인가가 됨으로써 조작 기구에 의한 상기 캡슐의 조작이 되도록, 예를 들어서 상기 압축 기구에 의하여 압축력이 인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이 제거되고 상기 첨가물이 단일 작동에 의하여 상기 용기 내로 디스펜싱됨으로써 상기 용기의 상기 액체로 상기 첨가물의 디스펜싱이 빠르고 간단하게 행해지게 된다.
상기 장치는 통(b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캡슐로부터 상기 용기 내로 상기 첨가물이 디스펜싱된 다음에 상기 조작 기구로부터 상기 통으로 상기 캡슐을 내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캡슐로부터 상기 용기 내로 상기 첨가물이 디스펜싱된 다음에 상기 압축 기구로부터 상기 통으로 상기 압축된 캡슐을 내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용기로부터 제거된 다음에 상기 통으로 상기 뚜껑을 내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 홀더는 상기 지지 구조에, 예를 들어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위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의 제1 구현예에서, 상기 용기 홀더는 상기 용기가 수직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제1 위치와 상기 용기가 대체적으로 수직의 직각으로 선 위치(substantially vertical upright position)에 배열되어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지지 구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의 제2 구현예에서, 상기 용기 홀더는 상기 용기가 대체적으로 수직의 직각으로 선 위치에 배열되어 있는 제1 위치와 상기 용기가 수직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지지 구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조작 기구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상기 용기 홀더의 이동 중에 첨가물을 디스펜싱하기 위하여 상기 캡슐을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 기구는 상기 압축력을 상기 캡슐에 인가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용기 홀더의 이동 중에 상기 캡슐을 파열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오프너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용기 홀더의 이동 중에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뚜껑을 제거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러한 제1 실시예에서, 전술한 단일 작동은 이동에 의하여, 예를 들어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상기 용기 홀더의 사용자에 의한 이동에 의하여 제공된다. 이것은 용기로부터 뚜껑을 제거하고 원하는 첨가물을 용기 내로 디스펜싱하는데 단순하고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용기 홀더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가능할 수 있고 상기 액체와 디스펜싱된 첨가물을 포함하는 용기는 상기 용기 홀더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용기 홀더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 홀더는 대체적으로 수직의 직각으로 선 위치에 용기를 고정하기 위하여 지지 구조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여 상기 용기 오프너를 상기 용기에 결합된 뚜껑과 계합할 수 있는 작동 레버(operating lev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본 실시예에서 정지 상태(static)를 유지하고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 레버의 이동 시 작동된다.
상기 작동 레버는 예를 들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용기 오프너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의 작동 레버의 이동 중에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뚜껑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 장치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상기 작동 레버의 이동 중에 상기 첨가물을 디스펜싱하기 위하여 상기 캡슐을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 기구는 상기 압축력을 상기 캡슐에 인가하여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3 위치로 상기 작동 레버의 이동 중에 상기 캡슐을 파열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제2 실시예에서, 전술한 단일 작동은 상기 작동 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상기 작동 레버의 이동에 의하여 제공된다. 다시 한번, 이것은 용기로부터 뚜껑을 제거하고 원하는 첨가물을 용기 내로 디스펜싱하는 데 단순하고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작동 레버는 제3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복귀 이동을 위하여 편향될 수 있다. 상기 액체와 디스펜싱된 첨가물을 포함하는 용기는 상기 작동 레버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용기 홀더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와 용기 홀더 내로 삽입을 위한 액체를 포함하는 용기의 제1 실시예의 측면의 도식도와 사시도이다.
도 2는 용기가 용기 홀더에 삽입된 상태의 도 1b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6은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위치로부터 도 6에 도시된 제2 위치로 용기 홀더가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용기 홀더로부터 용기가 제거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제2 위치로부터 도 8에 도시된 제1 위치로 용기 홀더가 복귀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a는 액체를 포함하는 용기가 용기 홀더에 삽입된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도식적 사시도이다.
도 9b는 용기의 삽입 이전의 도 9a의 장치의 측면 도식도이다.
도 10은 용기가 용기 홀더에 삽입된 상태의 도 9b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제1 위치로부터 도 12에 도시된 제2 위치로 작동 레버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제2 위치로부터 도 14에 도시된 제3 위치로 작동 레버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용기 홀더로부터 용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도 14에 도시된 제3 위치로부터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제1 위치로의 작동 레버의 복귀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a는 액체를 포함하는 용기가 용기 홀더에 삽입된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의 제3 실시예의 도식적 사시도이다.
도 17b는 용기의 삽입 이전의 도 17a의 장치의 측면 도식도이다.
도 18은 용기가 용기 홀더에 삽입된 상태의 도 17b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도 17a, 도 17b 및 도 18에 도시된 제1 위치로부터 도 21에 도시된 제2 위치로 용기 홀더가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용기 홀더로부터 용기가 제거될 수 있도록 도 21에 도시된 제2 위치로부터 도 23에 도시된 제1 위치로 용기 홀더가 복귀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통이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에 있는 것을 보여주는 액체를 포함하는 용기가 용기 홀더에 삽입된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의 제4 실시예의 도식적 사시도이다.
도 25는 뚜껑이 열린 위치에 있는 용기의 삽입 이전의 도 24a 및 도 24b의 장치의 측면의 도식도이다.
도 26 및 도 27은 도 24a, 도 24b 및 도 25에 도시된 제1 위치로부터 도 27에 도시된 제2 위치로 용기 홀더가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0은 용기 홀더로부터 용기가 제거될 수 있도록 도 27에 도시된 제2 위치로부터 도 30에 도시된 제1 위치로 용기 홀더가 복귀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로서 이하 설명된다.
일단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음료, 예를 들어서 맥주와 같은 탄산 병 음료를 포함할 수 있는 병(21) 형태의 용기 내로 첨가물을 디스펜싱 하기 위한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2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20)는 바 카운터(bar counter)와 같은 카운터 상부에 위치되기 위한 치수의 지지 구조(2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구조(22)는 카운터 상부에 위치될 수 있는 수평 기부 부재(24)와 한 쌍의 수직 지지 부재(26)를 구비한다. 병 홀더(28) 형태의 용기 홀더는 피봇식 장착부(pivotal mounting)(31)에 의하여 직각으로 선(upright) 지지 부재(26)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통상적 구조에서, 상기 병 홀더(28)는 330 ml 부피를 가지는 병(21)을 수용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그러나 상기 병 홀더(28)가 다른 부피를 가지는 병(21) 또는 다른 적절한 용기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병 홀더(28)는 병(21)의 기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28a)의 형태의 지지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부재(28a)는 탄력 있게 편향(biasing)될 수 있고, 예를 들어서, 완충(cushion)되거나 스프링-편향될 수 있어서 삽입된 병(21)이 대체적인 상부 방향이 되게 한다.
상기 장치(20)는 병(21)에 결합된 크라운 캡(21a)과 계합하기 위한 병 오프너(30) 형태의 용기 오프너를 포함한다. 상기 병 오프너(30)는 샤프트(3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멈춤쇠(pawl)(32)를 포함한다. 상기 멈춤쇠(32)는 체결 부재(catch member)(36)를 포함한다. 상기 멈춤쇠(32)는 도 1b에서 화살표 A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34) 주위를 회전해서 상기 병(21)으로 하여금 상기 병 홀더(28)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병(21)이 상기 병 홀더(28) 내로 삽입된 이후에 상기 체결 부재(36)가 상기 크라운 캡(21a)의 하부 림(rim)의 하측에 결합하는 도 2에 도시된 위치로 상기 멈춤쇠(32)가 상기 샤프트(34) 주위로 회전한다.
상기 장치(20)는 상기 병 홀더(28)가 회전할 때 이와 함께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병 홀더(28)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병 홀더(28) 위에 위치되는 캡슐 홀더(38)를 포함한다. 희망하는 첨가물을 포함하는 캡슐(40)은 상기 병 홀더(28) 내로 상기 병(21)을 삽입하기 전 또는 후에 도 1b의 화살표 B로 표시된 것과 같이 캡슐 홀더(38) 내로 삽입된다. 캡슐(40)은 병(21)에 포함된 음료의 특성을 변경하도록 의도된 임의의 적절한 첨가물, 통상적으로 액체, 반-액체 또는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40)은 부서지기 쉬운 밀봉부(도시되지 않음) 또는 사전에 결정된 약한 지점(도시되지 않음) 및 관련된 배출 채널(40a)을 구비한다.
장치(20)는 병(21) 내로 캡슐(40)로부터의 첨가물을 디스펜싱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조작 기구(41)를 포함한다. 조작 기구(41)는 압축 블록(44) 형태의 압축 기구(42)이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압축 블록(44)은 병 홀더(28)의 이동 중에 캡슐(40)로 압축력을 인가해서 캡슐(40)을 파열시키고 이에 따라서 캡슐(40) 내의 첨가물을 병(21) 내로 디스펜싱한다.
장치(20)는 음료를 포함하는 병(21)을 병 홀더(28) 내로 삽입한 다음에 제1 위치에 병 홀더(28)와 함께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장치(20)를 작동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도 3의 화살표 C로 표시한 바와 같이 병(21)에 약한 힘을 인가하여, 이에 따라서 피봇식 장착부(31)를 중심으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계 방향으로 병 홀더(28)와 그리고 그 안에 삽입된 병(21)을 회전시킨다. 도 2에 도시된 제1 위치로부터 도 6에 도시된 제2 위치로 병 홀더(28)가 이동하는 중에, 제거력이 병 오프너(30)에 의하여,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체결 부재(36)에 의하여 크라운 뚜껑(21a)의 하부 림으로 처음에 인가되어서 도 3 및 도 4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병(21)으로부터 크라운 캡(21a)을 제거한다. 장치(20)는 지지 구조(22)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통(46)을 포함하고 뚜껑(21a)은 도 4에서 화살표 D로 표시한 바와 같이 병(21)으로부터 제거된 다음에 통(46)으로 내보내진다.
도 4에 도시된 중간 위치로부터 도 6에 도시된 제2 위치를 향하여 화살표 E 로 표시한 바와 같이 병 홀더(28)가 추가적으로 이동하면 캡슐 홀더(38)가 그리고 따라서 그 안에 포함된 캡슐(40)을 압축 블록(44)을 향해 회전시겨서 압축 블록(44)이 캡슐(40)에 압축력을 인가해서 캡슐을 으깨고 이에 따라 파열시키게 된다. 캡슐 홀더(38)와 캡슐(40)은 캡슐(40)이 병(21)의 열린 상부를 향하는 배출 채널(40a)과 함께 배향되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캡슐(40)이 압축 블록(44)에 의하여 파열될 때, 도 5와 도 6에 각각 화살표 F 및 G로 표시된 바와 같이 첨가물이 배출 채널(40a)로부터 병(21) 내로의 직접적 분사(jetting)에 의하여 캡슐(40)로부터 디스펜싱된다. 이러한 전달 메커니즘에 의하여 첨가물은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20)의 어떠한 부분도 오염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것은 향료 물질과 같은 상이한 첨가물들을 포함하는 캡슐(40)이 장치(20)의 어떠한 오염 발생도 없이 장치(20)에서 연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이한 첨가물을 포함하는 캡슐(40)을 사용하기 전에 장치(20)를 살균하거나 세척할 필요를 없애준다.
첨가물이 캡슐(40)로부터 병(21) 내로 디스펜싱된 이후에 사용자가 병 홀더(28)에 약한 힘을 인가해서 병 홀더(28)와 그 내에 삽입된 병(21)을 피봇식 장착부(31)를 중심으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도 7의 화살표 H 참조) 회전시킨다. 따라서, 병 홀더(28)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복귀한다.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한 병 홀더(28)의 최초 이동 중에, 압축 블록(44)은 캡슐 홀더(38)로부터 분리된다. 이것은 사용된(압축된) 캡슐(40)을 캡슐 홀더(38)로부터 해제하고 사용된 캡슐(40)은 도 7에서 화살표 I로 표시된 것과 같이 통(46)으로 내보내진다. 최종적으로 병 홀더(28)가 도 8에 도시된 제1 위치로 복귀한 이후에, 음료와 첨가물을 포함하는 병(21)은 화살표 J로 표시한 바와 같이 병 홀더(28)로부터 제거되고 소비(consumption)를 위해 준비된다.
이제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6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60)는 도 1 내지 8에 도시된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20)와 일부 유사점이 있고 대응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대응되는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장치(60)는 바 카운터와 같은 카운터 상부에 위치되기 위한 크기의 지지 구조(62)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62)는 장치(60)가 카운터 상부의 모서리 영역에 장착될 수 있게 하는 L 형 장착 부재(64)를 포함한다. 병 홀더(68) 형태의 용기 홀더는 지지 구조(62)에 형성되고 통상적으로, 330 ml 부피를 가지는 병(21)을 수용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제1 실시예서와 같이 상기 병 홀더(68)가 다른 부피를 가지는 병(21) 또는 다른 적절한 용기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병 홀더(68)는 삽입된 병(21)을 대체적으로 수직인 직각으로 선 위치로 배향하도록 구성되고 삽입된 병(21)의 기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표면(68a) 형태의 지지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60)는 상기 지지 구조(62)에 대해서 피봇식 장착부(74)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는 작동 레버(70)를 포함한다. 작동 레버(70)는 상기 피봇식 장착부(74)의 일측에 사용자 작동 가능한 핸들(76)과 상기 피봇식 장착부(74)의 타측에서 레버 암(72)을 포함한다. 상기 핸들(76)과 레버 암(72)은 서로에 대해서 대체적으로 90°의 각도로 배치된다.
장치(60)는 병(21)에 결합된 크라운 캡(21a)과 계합하기 위하여 병 오프너(80) 형태의 용기 오프너를 포함한다. 병 오프너(80)는 작동 레버(70)와 일체로 형성되고 피봇식 장착부(84)에서 작동 레버(70)에 대해서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프링-편향된 멈춤쇠(82)를 포함한다.
장치(60)는 병 홀더(68) 위에서 지지 구조(62)의 상부에 결합된 캡슐 홀더(86)를 포함한다. 향료 물질과 같은 원하는 첨가물을 포함하는 캡슐(40)은 병(21)을 병 홀더(68)에 삽입하기 전이나 이후에(화살표 L) 도 9b에서 화살표 K로 표시한 것과 같이 캡슐 홀더(86) 내로 삽입된다. 캡슐(40)은 도 1 내지 8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이다.
장치(60)는 피스톤(88) 형태의 압축 기구(42)를 포함한다. 피스톤(88)은 크랭크 암(90)의 제1 단부에서 피봇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크랭크 암(90)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여 캡슐(40)에 압축력을 인가함으로써 캡슐(40)을 파열시키고 이로써 상기 캡슐(40) 내의 첨가물을 병(21) 내로 디스펜싱한다. 상기 크랭크 암(90)은 상기 레버 암(72)의 단부가 피봇 및 선형 운동하기 위하여 핀(73)에 의하여 장착되는 세장형 트랙(elongate track)(92)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핸들(76)의 이동은 크랭크 암(90)과 그리고 따라서 피스톤(88)의 이동을 유발한다.
장치(60)는 도 10에서 음료를 포함하는 병(21)을 병 홀더(68) 내로 삽입한 다음에 제1 위치에 작동 레버(70)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장치(60)를 작동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도 10 및 도 11에서 화살표 M 및 N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핸들(76)에 아래방향 힘을 인가한다. 이것은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식 장착부(74)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핸들(76)을 회전시킨다. 핸들(76)의 시계 방향 회전 중에, 스프링-편향된 멈춤쇠(82)는, 이것이 도 12에 도시된 위치로 그 스프링에 의해서 편향되어서 크라운 캡(21a)의 하부 림과 결합하기 전에 피봇식 장착부(84)(도 11)를 중심으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그 스프링의 편향에 대하여 반(反)하게 한다. 작동 레버(70)가 사용자에 의하여 도 10에 도시된 제1 위치에서 도 12에 도시된 제2 위치로 이동되는 핸들(76)의 이러한 최초 이동 중에, 레버 암(72)의 단부에 장착된 핀(73)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트랙(90)의 제1 단부로부터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트랙(90)의 제2 단부로 크랭크 암(90)의 세장형 트랙(92)에서 자유롭게 활주한다.
그리고 나서 핸들(76)은 사용자에 의해서 위로 올려져서 (도 13에서 화살표 O) 피봇식 장착부(74)를 중심으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작동 레버(70)를 회전시킨다. 작동 레버(70)를 이렇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중에, 제거력이 병 오프너(80)에 의해서, 구체적으로는 멈춤쇠(82)에 의해서 크라운 뚜껑(21a)의 하부 림에 인가됨으로써 도 13 및 도 1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병(21)으로부터 크라운 뚜껑(21a)을 제거한다. 장치(60)는 지지 구조(62)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통(46)을 포함하고 뚜껑(21a)은 도 14에서 화살표 W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병(21)으로부터 제거된 다음에 통(46)으로 내보내진다.
사용자가 핸들(76)을 위로 이동함으로써 레버 암(72)의 단부에 장착된 핀(73)이 세장형 트랙(92)을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이 세장형 트랙(92)의 제1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활주하게 한다. 사용자가 핸들(76)을 계속 위로 이동시키면(도 14의 화살표 P) 도 14에 도시된 제3 위치로 작동 레버(70)가 이동된다. 이것은 크랭크 암(90)을, 그리고 따라서 피스톤(88)을 캡슐(40)쪽으로 강제함으로써 피스톤(88)이 압축력을 캡슐(40)에 인가해서 캡슐(40)을 으깨고 따라서 파열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캡슐 홀더(86)와 캡슐(40)은 캡슐(40)이 병(21)의 열린 상부를 가리키는 배출 채널(40a)과 함께 배향되게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캡슐(40)이 피스톤(88)에 의하여 파열될 때, 첨가물이 캡슐(40)로부터 병(21) 내로 직접 분사에 의해서 도 14에서 도식적으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디스펜싱된다.
첨가물이 캡슐(40)로부터 병(21) 내로 디스펜싱된 후에 작동 레버(70)는 예를 들어서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도 14에 도시된 제3 위치로부터 도 16에 도시된 제1 위치를 향해서(도 15의 화살표 Q) 편향된다. 작동 레버(70)가 제3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크랭크 암(90)과 피스톤(88)은 캡슐 홀더(86)로부터 떨어져서 도 15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된다. 이것은 사용된(압축된) 캡슐(40)을 캡슐 홀더(86)로부터 해제하고 사용된 캡슐(40)은 도 15에서 화살표 S로 표시된 것과 같이 통(46)으로 내보내진다. 최종적으로 작동 레버(70)가 도 16에 도시된 제1 위치로 복귀한 이후에, 음료와 첨가물을 포함한 병(21)은 도 16에서 화살표 R로 표시된 것과 같이, 소비를 위하여 병 홀더(68)로부터 제거된다.
이제 도 17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10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된다. 상기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100)는 도 1 내지 8에 도시된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20)와 일부 유사점이 있고 대응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대응되는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상기 장치(100)는 카운터 상부에 위치되기 위한 치수의 수평 기부 부재(104)와 두 개의 위를 향해 연장되는 지지 부재(106)를 구비하는 지지 구조(102)를 포함한다. 병 홀더(108) 형태의 용기 홀더는 피봇식 장착부(110)에 의하여 지지 부재(10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삽입된 병(21)이 대체적으로 직각으로 선(upright) 수직 위치에 있는)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제1 위치와 (병(21)이 상기 수직부에 대한 소정의 각도로 배치된) 도 21에 도시된 제2 위치 사이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병 홀더(108)는 병 음료(21)의 기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108a) 형태의 지지 수단을 포함한다. 병 홀더(108)는 일체로 형성된 위로 돌출하는 사용자 조작식 핸들(112)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 쌍의 스프링(114)이 병 홀더(108)를 제1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각 스프링(114)은 일단은 지지 부재(106) 중 하나의 상단에서, 그리고 그 타단은 병 홀더(108)로부터 후방 및 상향으로 돌출하는 개별 암(116)에 부착된다.
장치(100)는 구동 헤드(actuating head)(118)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헤드(118)는 상기 구동 헤드(118)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한 쌍의 링크 부재(120)에 의하여 지지 부재(106)에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병 홀더(108)가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제1 위치로부터 도 21에 도시된 제2 위치를 향해서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링크 부재(120)는 처음에는 대체적으로 선형의 움직임을 상기 구동 헤드(118)에 가하여 이것으로 하여금 도 18에 도시된 상부 위치로부터 받침대(cradle)(122)가 병(21)의 어깨부(21b)에 결합하는 도 19에 도시된 하부 위치로 병(21)을 따라서 아래 방향으로 활주하게 한다.
구동 헤드(118)는 상기 병(21)에 결합된 크라운 뚜껑(21a)과 계합하기 위한 병 오프너(123) 형태의 용기 오프너를 포함한다. 상기 병 오프너(123)는 상기 구동 헤드(118)가 도 19에 도시된 하부 위치로 이동될 때 크라운 뚜껑(21a)의 하부 림의 하측과 계합하도록 구성된 제거 갈고리(removal claw)(124)를 포함한다.
장치(100)는 한 쌍의 제어 링크(128)에 의해서 구동 헤드(118)에 장착된 캡슐 홀더(126)를 포함한다. 향료 물질과 같은 원하는 첨가물을 포함하는 캡슐(40)은 병(21)을 병 홀더(108)에 삽입 하기 전 또는 후에(화살표 U) 도 17b에서 화살표 T로 표시된 바와 같이 캡슐 홀더(126)에 삽입된다. 캡슐(40)은 캡슐 홀더(126) 내의 안착된 위치에서 도 18에서 도시되고 지지 표면(140)에 의하여 지지된다.
장치(100)는 캡슐(40)에 압축력을 인가하기 위한 압축 기구(130)를 포함한다. 압축 기구(130)는 압축 블록(132)과 캠 표면(134a)을 구비한 연계 캠(134)을 포함한다. 압축 블록(132)과 캠(134)은 도 17 내지 20, 22 및 23에 도시된 비활성 위치로 스프링(138)에 의하여 편향된다. 압축 블록(132)과 캠(134)은 비활성 위치로부터, 압축 블록(132)이 캡슐(40)을 지지 표면(140)에 대해서 강제력을 가하여(urging) 이로써 압축력을 캡슐(40)에 인가함으로써 이것을 파열하고 따라서 첨가물이 병(21) 내로 내보내지게 하는 도 21에 도시된 활성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그리고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 17b에서 화살표 U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병(21)을 삽입 하기 전 또는 후에 병 음료(21)를 병 홀더(108)에 최초에 삽입하고, 사용자가 캡슐(40)을 캡슐 홀더(126) 내로 동일 도면에서 화살표 T로 표시한 바와 같이 삽입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핸들(112)에 힘을 가함으로써 장치(100)를 조작해서는 사용자가 핸들(112)을 이들로부터 밀어내게 된다. 이로써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식 장착부(110)들을 중심으로 병 홀더(10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병 홀더(108)의 그러한 최초 회전 중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헤드(118)는 도 18에 도시된 상부 위치로부터 받침대(122)가 병(21)의 어깨부(21b)에 확실하게 결합한 도 19에 도시된 하부 위치까지 병(21)을 따라서 아래로 활주한다. 동시에 제거 갈고리(removal claw)(124)는 크라운 뚜껑(21a)의 하부 림의 하부와 계합한다.
병 홀더(108)가 지속적으로 피봇식 장착부(110)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해서 이동함에 따라서, 제거 갈고리(124)는 제거력을 병(21)의 크라운 뚜껑(21a)에 인가해서 뚜껑(21a)을 제거한다. 일단 제거된 후, 뚜껑(21a)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통(46) 내로 내보내진다.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한 병 홀더(108)의 이동 중에, 압축 기구(130)는 또한 도 18 내지 도 21에 가장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헤드(118)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 이동은 제어 링크(128)에 의하여 제어된다. 병 홀더(108)가 도 21에 도시된 제2 위치로 접근함에 따라서 캠 표면(134a)이 병 홀더(108)의 상단부에 형성된 구동 표면(136)과 결합한다. 상기 캡슐 홀더(126)의 이동이 제어 링크(128)에 의하여 제한되기 때문에, 캠 표면(134a)과 구동 표면(136) 사이의 접촉력이 스프링(138)의 편향에 대항하여 지지 표면(140)에 대해서 압축 블록(132)을 강제하고, 따라서 압축력을 캡슐(40)에 인가하여 캡슐(40)을 으깨고 이에 따라서 파열시킨다.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캡슐 홀더(126)와 캡슐(40)은 병 홀더(108)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캡슐(40)이 병(21)의 열린 상부를 향하여 가리키는 배출 채널(40a)과 함께 배향되도록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캡슐(40)이 압축 블록(132)에 의하여 파열될 때, 첨가물이 도 21에서 도식적으로 표현된 바와 같이 병(21) 내로 직접 분사됨으로써 캡슐(40)로부터 디스펜싱된다. 병(21)이 기울어진 위치에 있을 때 병(21) 내로 첨가물이 디스펜싱된다는 것은 도 21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것은 병(21)에 포함된 음료가 탄산 음료일 때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탄산 음료의 거품 형성을 줄이고 따라서 과도한 거품 형성으로 인한 탄산 음료의 흘림과 낭비의 가능성을 줄이기 때문이다. 병(21)이 기울어진 위치에서 첨가물이 디스펜싱될 때 핵 형성 속도(nucleation rate)가 감소하기 때문에 거품 형성이 감소된다고 생각된다.
첨가물이 캡슐(40)로부터 병(21) 내로 디스펜싱된 이후에 병 홀더(108)는 도 21에 도시된 제2 위치로부터 도 23에 도시된 제1 위치를 향해서 스프링(114)에 의해서 편향된다.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피봇식 장착부(110)를 중심으로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계 방향으로) 병 홀더(108)가 회전 이동하는 중에, 캡 표면(134a)과 구동 표면(136) 사이의 접촉이 해제되고 이로써 스프링(138)으로 하여금 압축 블록(132)을 지지 표면(140)으로부터 떨어지게 강제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사용된(압축된) 캡슐(40)을 캡슐 홀더(126)로부터 해제하고 사용된 캡슐(40)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46)으로 내보내진다. 동시에, 구동 헤드(118)가 하부 위치로부터 상부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받침대(122)를 위 방향으로 이동시켜 받침대(122)와 병(21)의 어깨부(21b) 사이의 접촉을 해제한다. 최종적으로, 병 홀더(108)가 도 23에 도시된 제1 위치로 복귀한 이후에, 음료와 첨가물을 포함한 병(21)이 도 23에서 화살표 V로 표시한 바와 같이 소비를 위하여 병 홀더(108)로부터 제거된다.
이제 도 24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150)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150)는 도 17 내지 23에 도시된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100)와 일부 유사점이 있고 대응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대응되는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상기 장치(150)는 카운터 상부에 위치되기 위한 치수의 수평 기부 부재(154)와 두 개의 위를 향해 연장되는 지지 부재(156)를 구비하는 지지 구조(152)를 포함한다. 병 홀더(158) 형태의 용기 홀더는 피봇식 장착부(160)에 의하여 지지 부재(15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삽입된 병(21)이 대체적으로 직각으로 선(upright) 수직 위치에 있는) 도 24a, 도 24b 및 도 25에 도시된 제1 위치와 (삽입된 병(21)이 상기 수직부에 대한 소정의 각도로 배치된)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제2 위치 사이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병 홀더(158)는 병 음료(21)의 기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158a) 형태의 지지 수단을 포함한다. 병 홀더(158)는 또한 병(21)의 회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병(21)의 상부 부분을 탄력 있게 파지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파지 부재(164a, 164b)를 포함하는 파지 어셈블리(16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서, 파지 부재(164a, 164b)는 파지 부재(164a, 164b)들 사이의 간격이 병(21)의 상부 영역의 외측 직경보다 약간 작도록 배열될 수 있고 파지 부재(164a, 164b)들은 병 홀더(158) 내로 삽입된 병(21)의 상부 영역을 수용하고 파지하도록 변형될 수 있는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50)는 한 쌍의 이격된 하향 연장하는 작동 부재(operating member)(168)로부터 위로 돌출하는 사용자 조작 가능한 핸들(166)을 포함한다. 작동 부재(168)들은 이들의 하단부에서 피봇식 장착부(160)에 의하여 지지 부재(15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166)을 이동하면, 따라서 작동 부재(168)가 피봇식 장착부(160) 중심으로 이동하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피봇식 장착부(160) 중심으로 병 홀더(158)를 이동시킨다.
장치(150)는 병(21)으로 결합된 스크류인 내부 나사를 구비한 스크류 뚜껑(172)과 결합하기 위하여 병 오프너(170) 형태의 용기 오프너를 포함한다. 병 오프너(170)는 상기 스크류 뚜껑(172)의 외측 둘레 표면(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근처에 제공되는 형상체(도 24a 및 도 24b에서만 보임)과 결합하기에 적합한, 예를 들어서 이빨 형상체(tooth formation)과 같은 형상체(176)를 가진 제거 암(removal arm)(174)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고정이고(static) 본질적으로 기어 랙(gear rack)으로서 역할하는 제거 암(174)은, 병 홀더(158)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해서 이동하고 이에 따라서 스크류 뚜껑(172)을 회전하고 이것을 병(21)으로부터 제거함에 따라서 스크류 뚜껑(172)의 형상체와 이빨 형상체(176) 사이의 협동에 의하여 제거 토크 형태의 제거력을 스크류 뚜껑(172)에 인가한다.
장치(150)는 캡슐 홀더(180)를 포함하고 이것 내로 향료 물질과 같은 희망하는 첨가물을 포함하는 캡슐(40)이 도 24b와 도 25에서 화살표 A'로 표시된 것과 같이 병 홀더(158) 내로 병(21)을 삽입하기 전이나 후에(도 25에서 화살표 B') 삽입된다. 캡슐 홀더(180)는 지지 표면(182)을 포함하고 이에 대해서 삽입된 캡슐(40)이 지지된다.
장치(150)는 지지 부재(156)의 상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트러트(186)에 캡슐 홀더(180)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제1 제어 링크(184)를 포함한다. 스트러트(186)는 아래 방향으로 걸려 있는 피봇식 장착부(downwardly depending pivotal mount)(188)를 포함한다. 제1 제어 링크(184)의 제1 단부는 피봇식 장착부(19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제어 링크(184)의 제2 단부는 피봇식 장착부(188)에 의해서 제공되는 피봇식 장착부(19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장치(150)는 한 쌍의 이격된 링크 암(196)을 포함하는 제2 제어 링크(194)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 암(196)은 제1 단부에서 피봇식 장착부(190)에 그리고 제2 단부에서 병 홀더(158)에 제공되는 각각의 피봇식 장착부(19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제어 링크(184, 194)는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병 홀더(158)의 이동 중에 캡슐 홀더(180)의 이동을, 그리고 따라서 캡슐(40)의 방향(orientation)을 제어한다.
장치(150)는 캡슐(40)에 압축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압축 기구(2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압축 기구(200)는 압축 표면(204)을 구비한 압축 블록(202)을 포함한다. 압축 블록(202)은 병 홀더(158)와 함께 이동하기 위하여 병 홀더(158)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병 홀더(158)에 장착된다. 압축 블록(202)은 예를 들어서 도 2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비활성 위치와, 압축 블록(202)의 압축 표면(204)이 캡슐(40)을 지지 표면(182)에 대해서 강제함으로써 캡슐(40)에 압축력을 인가하여 이것을 파열시키고 따라서 첨가물을 병(21) 내로 내보내는 도 27에 도시된 활성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음료 가미 장치(beverage flavouring apparatus)(150)를 작동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처음에 병 음료(21)를 병(21)을 삽입하기 전이나 후에 도 25에서 화살표 B'로 표시한 바와 같이 병 홀더(158) 내로 삽입하고, 사용자가 도 24b와 도 25에서 화살표 A'로 표시한 바와 같이 캡슐(40)을 캡슐 홀더(180) 내로 삽입한다. 병 음료를 삽입하기 전에, 사용자가 예를 들어서 힌지(208)에 의해서 위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156) 중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통(206)을 도 24a 및 도 2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위치에 놓는다. 병 음료(21)를 병 홀더(158) 내로 삽입한 이후에, 사용자가 그리고 나서 예를 들어서 힌지(208)를 중심으로 통(206)을 회전시켜서 도 24b 및 도 26 내지 도 29에 도시된 닫힌 위치에 통(206)을 놓는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핸들(166)에 힘을 가함으로써 사용자가 핸들(166)을 도 26 및 도 27에서 각각 화살표 C' 및 E'로 각각 표시한 바와 같이 이들에 향해서 잡아 당기게 해 장치(150)를 작동시킨다. 작동 부재(168)들은 핸들(166)과 함께 일제히 피봇식 장착부(160)를 중심으로 이동하고 병 홀더(158)는 도 26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피봇식 장착부(160)를 중심으로 도 24a, 도 24b 및 도 25에 도시된 제1 위치로부터 도 27에 도시된 제2 위치로 회전한다.
도 26에 도시된 중간 위치로 핸들(166)이 이동함에 따라서 병 홀더(158)가 초기 회전하는 중에, 스크류 뚜껑(172)의 외측 둘레 표면 주위의 형체상들은 제거 암(174)의 이빨 형체상(176)들과 협동하고 이에 따라서 병 오프너(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거 토크를 스크류 뚜껑(172)에 인가함에 따라서 도 26에서 가장 잘 보여지는 바와 같이 스크류 뚜껑(172)을 병(21)으로부터 분리(unscrew)한다. 제거된 후에, 스크류 뚜껑(172)은 도 26에서 화살표 D'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통(206)으로 내보내진다.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해서 병 홀더(158)가 이동하는 중에 제1 및 제2 제어 링크들(184, 194)은 캡슐 홀더(180)의 이동을 제어해서 이것을 도 25에 도시된 비활성 위치로부터 도 27에 도시된 활성 위치로 이동시킨다. 캡슐 홀더(180)가 활성 위치에 있을 때 지지 표면(182)이 대체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되고 캡슐(40)이 병(21)의 열린 상부를 향해서 가리키는 배출 채널(40a)과 함께 배향된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해서 병 홀더(158)가 이동하는 중에, 압축 기구(200)는 또한 병 홀더(158)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고 압축 블록(202)은 도 25에 도시된 비활성 위치로부터 도 27에 도시된 활성 위치로 이동한다. 압축 블록(202)이 활성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서, 압축 표면(204)이 캡슐(40)을 지지 표면(182)에 대해서 강제함에 따라서 압축력을 캡슐(40)에 인가해서 이것을 파열시키고 따라서 첨가물을 병(21) 내로 내보낸다.
병(21)이 기울어진 위치에 있을 때 첨가물이 병(21) 내로 디스펜싱된다는 것이 도 27로부터 다시 한번 명확해질 것이다. 도 17 내지 도 23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이것은 병(21)에 포함된 음료가 탄산 음료일 때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탄산 음료의 거품 형성(foaming)을 줄이고 따라서 과도한 거품 형성으로 인한 탄산 음료의 흘림과 낭비의 가능성을 줄이기 때문이다.
첨가물이 캡슐(40)로부터 병(21) 내로 디스펜싱된 이후에 핸들(166)이 사용자에 의해서 도 28에서 화살표 F'로 표시된 바와 같이 도면들에서 도시된 대로 반시계방향으로, 이것이 그 원래 시작 위치로 즉 도 28에 도시된 대체적으로 수직인 직각으로 선(upright)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회전된다. 동시에, 도 29에서 화살표 G'로 표시된 것과 같이 제2 위치로부터 병 홀더(158)가 회전하는 것이 시작되고 결과적으로는 압축 블록(202)이 도 27에 도시된 활성 위치로부터 제1 및 제2 제어 링크들(184, 194)에 의하여 이동되어 이로써 압축 표면(204)에 의하여 캡슐(40)에 인가된 압축력을 해제한다. 압축 표면(204)이 캡슐(40)로부터 떨어져 이동됨에 따라서, 사용된(압축된) 캡슐(40)은 캡슐 홀더(180)로부터 해제되고 사용된 캡슐(40)은 도 29에서 화살표 H'로 표시된 바와 같이 통(206)으로 내보내진다.
병 홀더(158)는, 이것이 병(21)이 대체적으로 직각으로 선 수직 배향에 있는 도 30에 도시된 제1 위치에 이를 때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한다. 동시에, 캡슐 홀더(180)는 도 30에 또한 도시된 비활성 위치로 되돌아간다. 병 홀더(158)가 도 30에 도시된 제1 위치로 복귀하고 캡슐 홀더(180)가 비활성 위치로 복귀한 이후에, 음료와 첨가물을 포함한 병(21)은 도 30에서 화살표 I'로 표시된 것과 같이 소비를 위하여 병 홀더(158)로부터 제거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앞선 단락에 기재되어 있으나,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청구항의 범위 및 폭은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문맥상 명시적으로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명세서와 청구범위 전체에 걸쳐, 단어 "포함하다(comprise)", "포함하는(comprising)" 등은 배타적인 또는 남김 없는 의미와 반대되는 포괄적인 의미; 즉,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용기의 액체에 첨가물을 디스펜싱 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지지 구조,
    액체를 포함하는 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지지 구조에 의하여 지지되는 용기 홀더,
    첨가물을 포함하는 캡슐을 고정하기 위한 캡슐 홀더, 및
    상기 용기로 상기 첨가물을 디스펜싱 하기 위하여 상기 캡슐을 조작하도록 작동 가능한 조작 기구(manipulator device)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용기의 뚜껑에 결합하고 상기 조작 기구에 의한 상기 캡슐의 조작 전에 상기 뚜껑을 제거하도록 작동 가능한 용기 오프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기구는 상기 캡슐에 압축력을 인가하여 상기 캡슐을 파열시킴으로써 상기 첨가물을 디스펜싱하도록 구성되는 압축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홀더는 상기 첨가물이 대체적으로 아래 방향으로 상기 용기 내로 디스펜싱되도록 상기 용기 홀더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오프너는 제거력(removal force)을 상기 뚜껑에 인가하여 이를 상기 용기로부터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단일 작동에 의하여 상기 용기 오프너에 의한 상기 제거력의 인가와 이후 상기 조작 기구에 의하여 상기 캡슐의 조작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캡슐로부터 상기 용기 내로 상기 첨가물을 디스펜싱한 다음에 상기 통으로 상기 캡슐을 내보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뚜껑을 상기 용기로부터 제거한 다음에 상기 통으로 내보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홀더는 상기 용기가 수직부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로 배열된 제1 위치와 상기 용기가 대체적으로 수직인 직각으로 선 위치(substantially vertical upright position)에 배열된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구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홀더는 상기 용기가 대체적으로 수직인 직각으로 선 위치(substantially vertical upright position)에 배열된 제1 위치와 상기 용기가 수직부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로 배열된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구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기구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용기 홀더가 이동하는 중에 상기 첨가물을 디스펜싱하기 위하여 상기 캡슐을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오프너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용기 홀더의 이동 중에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뚜껑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홀더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액체와 디스펜싱된 첨가물을 포함하는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 홀더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용기 홀더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홀더는 대체적으로 수직인 직각으로 선 위치에 용기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구조에 형성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용기에 결합된 뚜껑과 상기 용기 오프너를 결합하기 위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작동 (operating lever)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상기 제2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용기 오프너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3 위치로 상기 작동 레버가 이동하는 중에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뚜껑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기구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3 위치로 상기 작동 레버가 이동하는 중에 상기 첨가물을 디스펜싱 하기 위하여 상기 캡슐을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상기 제3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복귀 이동하기 위하여 편향(biasing)되고 상기 액체와 디스펜싱된 첨가물을 포함하는 상기 용기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용기 홀더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97017261A 2016-11-22 2017-11-20 병 열기 및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 KR102497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619695.8 2016-11-22
GBGB1619695.8A GB201619695D0 (en) 2016-11-22 2016-11-22 Beverage flavouring apparatus
GB1704785.3A GB2559818B (en) 2016-11-22 2017-03-27 Additive dispensing apparatus
GB1704785.3 2017-03-27
PCT/GB2017/053485 WO2018096323A1 (en) 2016-11-22 2017-11-20 Bottle opening and additive dispens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936A KR20190080936A (ko) 2019-07-08
KR102497652B1 true KR102497652B1 (ko) 2023-02-08

Family

ID=5799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261A KR102497652B1 (ko) 2016-11-22 2017-11-20 병 열기 및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1793349B2 (ko)
EP (1) EP3544923B1 (ko)
JP (1) JP7153025B2 (ko)
KR (1) KR102497652B1 (ko)
CN (1) CN109996753B (ko)
AU (1) AU2017364306B2 (ko)
BR (1) BR112019010312B1 (ko)
CA (1) CA3074926A1 (ko)
DK (1) DK3544923T3 (ko)
ES (1) ES2924107T3 (ko)
GB (2) GB201619695D0 (ko)
MX (1) MX2019005939A (ko)
PT (1) PT3544923T (ko)
RU (1) RU2758322C2 (ko)
UA (1) UA126969C2 (ko)
WO (1) WO20180963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5167B2 (ja) * 2017-06-26 2022-10-18 フイルメニツヒ ソシエテ アノニム 香味組成物
JP2022502206A (ja) * 2018-10-02 2022-01-11 ジェイムズ・フィンレイ・リミテッドJames Finlay Limited 飲料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4043887B1 (en) * 2021-02-15 2023-11-15 Roche Diagnostics GmbH Decapper for removing a cap from a laboratory sample container
US11647860B1 (en) 2022-05-13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US11751585B1 (en) 2022-05-13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WO2023216231A1 (en) 2022-05-13 2023-11-16 Sharkninja Operating Llc Agitator for a carbonation system
US11634314B1 (en) 2022-11-17 2023-04-25 Sharkninja Operating Llc Dosing accuracy
US11745996B1 (en) 2022-11-17 2023-09-05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s for use with beverage dispensers
US11738988B1 (en) 2022-11-17 2023-08-29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 valve control
US11871867B1 (en) 2023-03-22 2024-01-16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bottom cover
US11925287B1 (en) 2023-03-22 2024-03-12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inlet tube
US11931704B1 (en) 2023-06-16 2024-03-19 Sharkninja Operating Llc Carbonation chamb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89042A1 (en) 2003-06-19 2004-12-22 Whitlenge Drink Equipment Limited Beverage dispensing system with automatic identificator of ingredient containers
WO2005077811A3 (en) 2004-02-18 2006-03-30 Mds Global Holding Ltd Dispensing of a substance
US20080083301A1 (en) 2006-10-10 2008-04-10 Messina Sharon C Bottle opener with cap catcher
JP2013542815A (ja) 2010-11-09 2013-11-28 ラ ヴィット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飲料を調製して吐出するためのカプセルベースのシステム
JP2015127207A (ja) 2013-12-27 2015-07-09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希釈用ボトルおよび飲料提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10623A (en) * 1923-03-21 1929-04-23 Emma K Johnson Apparatus for charging beverages
CH564299A5 (en) * 1973-01-18 1975-07-15 Guerard Jean Louis Vending machine liquid heating installation - has liquid container cover pierced by heating device which passes into liquid to heat it
US4295392A (en) * 1979-06-22 1981-10-20 Peck Wallace C Corked bottle opener
JPS57151299U (ko) * 1981-03-17 1982-09-22
JPH0584694U (ja) * 1992-04-20 1993-11-16 株式会社ニッテク 開栓装置のラックロック装置
ES1029669Y (es) * 1994-12-21 1995-12-01 Rodes Fernando Martinez Dispositivo descapsulador perfeccionado.
US6889945B2 (en) * 2003-08-25 2005-05-10 Mccall Edward C. Table top wine holder
US7494028B2 (en) * 2003-10-15 2009-02-24 Zavida Coffee Company Inc. Fluid dispensing system suitable for dispensing liquid flavorings
ES2324238T3 (es) * 2005-02-07 2009-08-03 Nestec S.A. Dispositivo para la preparacion de una bebida a partir de una capsula, por inyeccion de un liquido a presion y soporte de la capsula adaptado al mismo.
US7543526B1 (en) * 2005-06-22 2009-06-09 Yuen Wa Tai Coffee maker
US7861749B2 (en) * 2007-03-14 2011-01-04 Artin Gevorgian Dispenser
US8522968B2 (en) 2010-05-14 2013-09-03 Shinie Hinie Llc Beverage flavoring applicator
US20120148707A1 (en) * 2010-06-18 2012-06-14 Protect Plus, Llc Water filtration and flavor additive device
EP2603120B1 (en) 2010-08-13 2016-11-23 Koninklijke Philips N.V.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suitable for consumption from a capsule
US10034570B2 (en) * 2011-11-09 2018-07-31 LaVit Technology LLC Capsule 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CN103145076A (zh) * 2013-03-01 2013-06-12 中国计量学院 一种开瓶器
US8906436B2 (en) 2013-03-15 2014-12-09 Ptc-Innovations, Llc Single serve beverage additive cartridge
CN203873569U (zh) * 2014-04-29 2014-10-15 张海龙 胶囊咖啡机
AU2015292625B2 (en) * 2014-07-22 2020-04-30 BIBO Barmaid LLC Cold beverage dispenser
AU2015318628A1 (en) * 2014-09-19 2017-03-16 La Vit Technology, Llc Capsule 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89042A1 (en) 2003-06-19 2004-12-22 Whitlenge Drink Equipment Limited Beverage dispensing system with automatic identificator of ingredient containers
WO2005077811A3 (en) 2004-02-18 2006-03-30 Mds Global Holding Ltd Dispensing of a substance
US20080083301A1 (en) 2006-10-10 2008-04-10 Messina Sharon C Bottle opener with cap catcher
JP2013542815A (ja) 2010-11-09 2013-11-28 ラ ヴィット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飲料を調製して吐出するためのカプセルベースのシステム
JP2015127207A (ja) 2013-12-27 2015-07-09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希釈用ボトルおよび飲料提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93349B2 (en) 2023-10-24
CN109996753B (zh) 2022-06-10
GB201619695D0 (en) 2017-01-04
GB2559818B (en) 2019-08-28
RU2758322C2 (ru) 2021-10-28
US20200060465A1 (en) 2020-02-27
GB2559818A (en) 2018-08-22
AU2017364306A1 (en) 2019-06-13
UA126969C2 (uk) 2023-03-01
JP2020502001A (ja) 2020-01-23
CA3074926A1 (en) 2018-05-31
EP3544923B1 (en) 2022-05-04
PT3544923T (pt) 2022-08-09
WO2018096323A1 (en) 2018-05-31
BR112019010312B1 (pt) 2023-02-07
DK3544923T3 (da) 2022-08-01
KR20190080936A (ko) 2019-07-08
BR112019010312A2 (pt) 2019-09-03
MX2019005939A (es) 2019-11-12
RU2019119388A (ru) 2020-12-24
RU2019119388A3 (ko) 2021-03-30
AU2017364306B2 (en) 2022-11-24
GB201704785D0 (en) 2017-05-10
ES2924107T3 (es) 2022-10-04
JP7153025B2 (ja) 2022-10-13
CN109996753A (zh) 2019-07-09
EP3544923A1 (en)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7652B1 (ko) 병 열기 및 첨가물 디스펜싱 장치
US7172095B2 (en) Bottle closure containing beverage concentrate
AU2008226514B2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US20090140006A1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EP3366638B1 (en) Integrated alcoholic beverage fresh-keeping barrel system
US20090261129A1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US20090302038A1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WO2009026541A1 (en) Universal and restrictive enclosures for safely repressurizing sparkling wines and other carbonated beverage
CA2113388C (en) Beverage dispenser and stand therefore for use with beverage containing bottles
GB2089322A (en) Method and means for dispensing a beverage
US201100766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solid catalyst and fluid dynamic eruption reaction
US20120211514A1 (en) Method for removing fluid from pressurized container
LU85158A1 (fr) Procede et appareil de fabrication de boissons carbonatees
JP2013180824A (ja) 流動性物質保存容器及びその蓋部
JPS63301779A (ja) 発泡性飲料のための起泡装置
AU2016202023A1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CA3051295A1 (en) In-bottle apparatus for adding flavoring to pre-packaged drinks
CN110785089A (zh) 调味料组合物
WO2019002251A1 (en) FLAVORING COMPOSITIONS
AU2014202558A1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JPH0385292A (ja) 炭酸飲料水ボトルサー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