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444B1 - 대상 인식 방법 및 이동 단말 - Google Patents

대상 인식 방법 및 이동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444B1
KR102497444B1 KR1020207036650A KR20207036650A KR102497444B1 KR 102497444 B1 KR102497444 B1 KR 102497444B1 KR 1020207036650 A KR1020207036650 A KR 1020207036650A KR 20207036650 A KR20207036650 A KR 20207036650A KR 102497444 B1 KR102497444 B1 KR 102497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bile terminal
state
scan targe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3127A (ko
Inventor
하오쥔그 리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13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a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에서는 대상 인식 방법 및 이동 단말을 제공하였고, 해당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제1 운행 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1 채집 결과를 얻고; 상기 제1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것임을 확정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가 제2 운행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운행 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2 채집 결과를 얻으며, 또한 상기 제2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온 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스캔 대상에 대응되는 인식 결과를 표시한다.

Description

대상 인식 방법 및 이동 단말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5월 22일 중국에서 제출한 중국 특허 출원 No. 201810494006.7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상 인식 방법 및 이동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의 신속한 발전에 따라, 안면 인식, 코드 스캔 결제 등 기술은 이미 사람들의 생활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으로 되었고, 이런 기능들은 이동 단말의 카메라의 부팅을 통하여 구현되며, 또한 카메라가 사람 안면 또는 큐알 코드 등 스캔 대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통하여, 스캔 대상의 정보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한다.
관련 기술에서, 사용자가 안면 인식 또는 코드 스캔 결제 등 기능을 진행할 때, 한차례의 작업을 진행해야 하며, 하기 사용자가 코드 스캔 결제를 진행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가 코드 스캔 결제를 진행할 때, 사용자는 우선 이동 단말의 스크린이 밝아지게 제어해야 하고, 그 다음 이동 단말을 잠금 해제해야 하며, 그후 이동 단말중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켜고,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스캔 기능을 턴 온하여, 코드 스캔 결제를 진행한다.
보다 시피, 이동 단말이 스캔 대상에 대하여 인식할 때, 작업이 번거롭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대상 인식 방법 및 이동 단말을 제공하여, 이동 단말이 스캔 대상에 대하여 인식할 때,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를 해결한다.
제1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대상 인식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 상태로 되어있을 때, 제1 운행 상태로 되어있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1 채집 결과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제1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것임을 확정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가 제2 운행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운행 상태로 되어있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2 채집 결과를 얻으며, 또한 상기 제2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온 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스캔 대상에 대응되는 인식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2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는 상기 카메라가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보다 크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이동 단말은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 상태로 되어있을 때, 제1 운행 상태로 되어있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1 채집 결과를 얻기 위한 채집 모듈; 및
상기 제1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것임을 확정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가 제2 운행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운행 상태로 되어있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2 채집 결과를 얻으며, 또한 상기 제2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온 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스캔 대상에 대응되는 인식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모듈;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2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는 상기 카메라가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보다 크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동 통신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은: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대상 인식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대상 인식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 상태로 되어있을 때, 제1 운행 상태로 되어있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1 채집 결과를 얻고; 상기 제1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것임을 확정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가 제2 운행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운행 상태로 되어있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2 채집 결과를 얻으며, 또한 상기 제2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온 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스캔 대상에 대응되는 인식 결과를 표시하며; 그 중,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2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는 상기 카메라가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보다 크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은 카메라가 스크린-오프 상태에서 제1 운행 상태로 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카메라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턴 온 할 필요가 없이 수시로 스캔 대상을 채집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작업이 편리하고, 또한 스캔 효율을 제고하였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간단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인 것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들에 의해 기타 도면들을 더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대상 인식 방법의 플로우차트 1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대상 인식 방법의 플로우차트 2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동 단말의 구조도 1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동 단말의 구조도 2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동 단말중의 표시 모듈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동 단말의 구조도 3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얻어지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대상 인식 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1: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 상태로 되어있을 때, 제1 운행 상태로 되어있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1 채집 결과를 얻는다.
그 중, 스크린-오프 상태는 이동 단말이 운행 상태에 있고, 또한 스크린에는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로 이해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 단말 스크린을 잠금한 후, 이동 단말 스크린에 정보가 표시되지 않을 때의 상태를 말한다. 이 단계에서,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 상태에 있을 때, 카메라는 턴 온 상태에 있고 또한 제1 운행 상태에서 운행한다.
상기 제1 운행 상태는 카메라의 운행 파워는 기설정 파워값보다 작은 상태일 수 있고, 예컨대, 운행 파워는 50밀리와트, 60밀리와트 또는 100밀리와트 등 파워보다 작은 저파워 소모 운행 상태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을 조종하여 카메라가 제1 운행 상태에서 normally open 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또는 이동 단말이 파워 온 일 때 자동으로 카메라를 턴 온하고 또한 제1 운행 상태에서 운행할 수 있게 하며, 즉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 또는 스크린-온 일때 전부 턴 온 되여, 사용자가 수시로 카메라를 사용하여 스캔 대상을 채집하는데 편리하다. 구체적인 실시에서, 또한 카메라가 오직 스크린-오프 상태에서만 턴 온 되고, 스크린-온 상태에서는 턴 오프 되여, 진일보 파워 소모를 절약할 수 있다. 이외, 제1 운행 상태는 픽셀이 기설정 픽셀값보다 작은 상태일 수 있고, 제1 운행 상태에서의 픽셀이 낮아, 카메라의 파워 소모를 감소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운행 상태는 상기 카메라의 부분 픽셀 유닛을 턴 온 한 상태이고, 상기 제2 운행 상태는 상기 카메라의 전부 픽셀 유닛을 턴 온 한 상태이다.
해당 실시 방식에 있어서, 이동 단말은 기존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제1 운행 상태에서 해당 카메라의 부분 픽셀 유닛을 제어하여 normally open 상태로 되게 하고, 즉,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 및 스크린-온 경우, 전부 턴 온 상태로 되어 있으며, 그 중, 한개 픽셀 유닛은 한개 픽셀에 대응된다.
예컨대, 1200만 픽셀인 카메라에서, 제1 운행 상태하에, 균일하게 30만 픽셀을 선출하여 작업하고, 나머지 픽셀은 작업하지 않으며; 또 예컨대, 5M인 카메라를, 160×120의 저해상도인 저파워 소모 모드로 턴 온하여, 이로써 해당 카메라가 제1 운행 상태에서 운행하도록 제어한다.
카메라가 오직 부분 픽셀 유닛으로 작업시의 파워가 기설정 파워값보다 작고, 카메라는 턴 온 된 부분 픽셀 유닛을 이용하여 수시로 스캔 대상을 채집할 수 있으며, 파워 소모를 절약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으며, 단독으로 저파워 카메라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 중, 카메라가 제1 운행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이동 단말은 스크린-온 또는 스크린-오프 상태로 되어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카메라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턴 온하여 채집할 필요가 없이 수시로 스캔 대상을 채집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작업이 편리하다.
상술한 제2 운행 상태인 즉 카메라의 전부 픽셀 유닛을 턴 온하는 것이고, 예컨대, 1200만 픽셀의 카메라에서, 제2 운행 상태하에, 모든 픽셀 유닛이 전부 작업하도록 제어하고, 이에 따라 더욱 뚜렷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인식율을 제고시킬 수 있다.
단계 102: 상기 제1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것임을 확정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가 제2 운행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운행 상태로 되어있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2 채집 결과를 얻으며, 또한 상기 제2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온 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스캔 대상에 대응되는 인식 결과를 표시하며; 그 중,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2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는 상기 카메라가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보다 크다.
이 단계에서, 이동 단말은 스캔 대상에 대한 인식 알고리즘을 미리 저장할 수 있고, 예컨대, 안면 알고리즘, 큐알 코드 인식 알고리즘, 제스처 인식 알고리즘 등 이며, 선택 가능하게, 스캔 대상에 대한 인식 알고리즘을 카메라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가 스캔 대상을 채집한 후, 카메라는 제1 채집 결과에 따라, 또한 스캔 대상의 특징을 결합하여 초보적으로 스캔 대상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따라서 스캔 대상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이동 단말이 진일보 스캔 대상에 대하여 채집 및 인식을 진행하도록 웨이크업한다.
그 중, 기설정 조건은 이동 단말이 미리 설정 및 저장한 조건일 수 있고,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것은 스캔 대상이 기설정 타입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기설정 타입은 큐알코드, 제스처 및 안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은 오직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스캔 대상에 대하여 진일보 인식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에서 큐알코드 인식 알고리즘을 통합하고, 카메라가 이미지를 채집한 후, 카메라가 해당 이미지가 큐알코드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 예컨대, 카메라가 안면 인식 이미지를 통합하고, 카메라가 이미지를 채집한 후, 카메라에서 채집된 이미지가 안면 이미지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카메라가 제1 운행 상태에서 채집한 이미지의 픽셀이 비교적 낮기에, 이에 따라, 카메라가 스캔 대상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의 판단에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스캔 대상이 기설정 조건에 부함되는 것임으로 판단될 경우, 카메라는 제2 운행 상태로 진입하고, 또한 제2 운행 상태로 되어있는 카메라를 통하여 스캔 대상을 채집한다. 제2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는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보다 높기에, 카메라는 제2 운행 상태에서 더욱 뚜렷한 이미지를 채집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은 카메라가 제2 운행 상태에서 채집한 제2 채집 결과를 기반으로 스캔 대상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하고, 일 측면에서는 카메라가 제1 운행 상태에서 스캔 대상에 대한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고; 다른 측면에서는, 더욱 정확하게 스캔 대상의 구체적인 내용을 인식할 수 있다.
카메라의 제1 운행 상태에서의 파워가 비교적 낮기에,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카메라를 통하여 스캔 대상에 대하여 채집 및 인식을 진행하면, 파워 소모를 절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스캔 대상에 대하여 진일보 채집하여, 스캔 대상의 오인식을 방지하며, 또한 더욱 정확하게 스캔 대상의 구체적인 내용을 채집할 수 있고 또는 스캔 대상의 구체적인 정보를 진일보 채집할 수 있으며, 즉 인식 결과를 채집할 수 있고, 따라서 이동 단말의 스크린에서 해당 인식 결과를 표시한다. 예컨대, 카메라가 스캔 대상이 큐알코드인 것을 인식하였을 때, 진일보 큐알코드의 구체적인 내용이 큐알코드 결제인 것을 인식하고, 따라서 스크린에 결제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이외, 카메라가 스캔 대상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였을 때, 스캔 대상에 대하여 진일보 인식을 진행하지 않고, 파워 소모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방안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하여, 하기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동 단말은 후방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후방 카메라에 큐알코드의 인식 알고리즘이 통합되어 있다. 이동 단말의 후방 카메라는 normally open 상태 및 저파워 운행 상태로 되어 있고, 즉 제1 운행 상태이며, 그 중, 저파워 운행 상태는 오직 카메라의 부분 픽셀 유닛을 턴 온하는 것이며, 또한 운행 파워는 기설정 파워값보다 낮은 상태이다. normally open 상태는 카메라가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 및 스크린-온이 전부 턴 온 된 상태이다.
사용자가 결제를 해야 할 때, 이동 단말은 스크린-온 또는 스크린-오프 상태로 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는 이동 단말의 후방 카메라를 결제 큐알코드로 향해 놓고, 후방 카메라가 저파워 상태에서 normally open 상태로 되어있기에, 후방 카메라는 큐알코드를 포함한 이미지를 채집하여, 카메라는 진일보 해당 이미지에 큐알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채집된 이미지에 큐알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카메라에서 판단하였을 경우, 이동 단말은 카메라의 전부 픽셀 유닛이 전부 턴 온되도록 제어하여, 카메라가 제2 운행 상태로 진입한다. 이동 단말은 카메라의 전부 픽셀 유닛을 통하여 큐알코드 이미지를 채집하고, 또한 진일보 큐알코드중의 정보를 인식하고, 큐알코드중의 정보에 따라 스크린에 결제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이 큐알코드를 스캔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스캔 작업을 상호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없고, 결제가 신속하며,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카메라를 통하여 큐알코드에 대하여 채집 및 인식을 진행하여, 파워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대상 인식 방법은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단말에 적용할 수 있고, 예컨대: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Tablet Personal Computer), 랩탑 컴퓨터 (Laptop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모바일 통신망 기기 (Mobile Internet Device,MID) 또는 착용형 기기 (Wearable Device)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 상태로 되어있을 때, 제1 운행 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1 채집 결과를 얻고; 상기 제1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것임을 확정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가 제2 운행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운행 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2 채집 결과를 얻으며, 또한 상기 제2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온 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스캔 대상에 대응되는 인식 결과를 표시하며; 그 중,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2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는 상기 카메라가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보다 크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은 카메라가 스크린-오프 상태에서 제1 운행 상태로 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카메라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턴 온 할 필요가 없이 수시로 스캔 대상을 스캔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작업이 편리하고, 또한 스캔 효율을 제고시킨다. 또한 제2 운행 상태에서의 카메라를 기반으로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인식을 진행하여, 인식의 정확도를 제고시키고,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와 상술한 실시예의 주요한 구별점은,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카메라가 스캔 대상의 특징 및 기설정 특징이 서로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 제2 운행 상태에서의 카메라를 통하여 스캔 대상을 채집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대상 인식 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도 2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1 채집 결과를 얻는다.
그 중, 이 단계의 구체적인 실시 방식은 단계 101을 참조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 상태로 되어있을 때,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스캔 대상을 채집하기 이전, 상기 방법은: 상기 카메라를 턴 온하여,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1 운행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해당 실시 방식에 있어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에 대한 작업을 진행하여 카메라를 턴 온 할 수 있고, 또는 이동 단말이 턴 온 할 때 자동으로 카메라를 턴 온 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은 카메라가 제1 운행 상태 및 제2 운행 상태에서의 핸드 오버 제어 에리먼트(element)를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핸드 오버 제어 에리먼트(element)에 작업을 진행하여 카메라가 제1 운행 상태에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및 이동 단말의 상태에 따라 영활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은 턴 온 할 때 카메라가 제1 운행 상태로 될 수 있게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어, 이동 단말의 파워 소모를 절약하고, 또한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조종하여 스캔 대상에 대하여 스캔을 진행하는데 편리하다. 주의해야 할 것은, 해당 실시 방식은 도 1에 대응하는 실시예에 적용하여, 또한 동일한 유익한 효과에 도달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카메라를 턴 온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이 파워 온 또는 스크린-오프일 때, 상기 카메라를 턴 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해당 실시 방식에 있어서, 이동 단말은 파워 온일 때 즉 카메라를 턴 온하고, 또한 카메라를 제어하여 스크린-오프 및 스크린-온 상태에서 전부 normally open 상태로 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시로 이동 단말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스캔을 진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은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임을 검출하였을 때, 카메라를 턴 온하고, 스크린-온 일 때 카메라를 턴 오프 할 수 있어, 파워 소모를 절약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 상태에서 스캔을 하는데 편이하다. 주의해야 할 것은, 해당 실시 방식은 도 1에 대응하는 실시예에 적용하여, 또한 동일한 유익한 효과에 도달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스캔 대상을 채집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스캔 대상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것임을 판단하였을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제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해당 실시 방식에 있어서, 카메라가 인식한 스캔 대상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이동 단말은 제시 정보를 출력하고, 구체적으로 진동 또는 음성 출력의 방식을 통하여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 상태일 때, 스캔 대상 인식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될 때, 제시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는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사용자가 제때에 이동 단말이 표시하는 정보를 조회할 수 있게 제시 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것은, 해당 실시 방식은 도 1에 대응하는 실시예에 적용하여, 또한 동일한 유익한 효과에 도달할 수 있다.
단계 202: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제1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의 특징을 인식한다.
그 중, 카메라는 스캔 대상에 대한 인식 알고리즘을 통합할 수 있고, 예컨대, 안면 인식 알고리즘, 제스처 인식 알고리즘 및 큐알코드 인식 알고리즘 등등을 통합할 수 있다. 카메라가 스캔 대상을 채집한 후, 제1 채집 결과에 따라 스캔 대상의 특징을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큐알코드의 특징은 윤곽 특징, 및 큐알코드의 포지션 포인트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고; 안면 이미지의 특징은 오관 특징 및 분포 위치를 포함하는, 등등이다. 카메라는 스캔 대상의 특징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하여, 스캔 대상이 기설정 타입의 스캔 대상인지를 확정할 수 있다.
단계 203: 상기 스캔 대상의 특징과 기설정 특징이 서로 매칭되는 것임으로 상기 카메라에서 판단하였을 경우, 상기 카메라가 제2 운행 상태로 진입되도록 제어하고; 그 중,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2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보다 크다.
카메라가 스캔 대상의 특징을 인식한 후, 해당 특징을 기설정 특징과 비교할 수 있다. 스캔 대상의 특징과 기설정 특징의 유사도가 기설정 유사도 값보다 클 때, 예컨대, 80%보다 클 때, 스캔 대상의 특징은 기설정 특징과 서로 매칭되는 것임을 나타내고, 즉 스캔 대상은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며, 이동 단말은 카메라가 제2 운행 상태로 진입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카메라가 스캔 대상에 대하여 초보적으로 인식을 진행하는 것을 통하여,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카메라 운행 파워는 비교적 낮기에, 이동 단말의 파워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작업이 편이하다.
단계 204: 상기 제2 운행 상태에서의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2 채집 결과를 얻고, 또한 상기 제2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하며, 상기 이동 단말을 스크린-온으로 제어하고, 상기 스캔 대상에 대응되는 인식 결과를 표시한다.
이 단계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단계 102중의 관련 설명을 참조하고,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대상 인식 방법은,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인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을 잠금 해제를 할 필요없이 신속하게 스캔 작업을 완성할 수 있어, 사용자 작업이 편이하며; 또한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카메라를 통하여 스캔 대상에 대한 채집 및 인식 작업을 실행하여, 이동 단말의 에너지 소모를 절약할 수 있으며; 또한 제2 운행 상태에서의 카메라가 채집한 스캔 대상을 기반으로 인식을 진행하여, 스캔 대상에 대한 인식의 정확율을 제고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동 단말의 구조도이며, 상기 이동 단말은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300)은: 채집 모듈(301) 및 표시 모듈(302)을 포함한다.
채집 모듈(301)은,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1 채집 결과를 얻기 위한 것이고;
표시 모듈(301)은, 상기 제1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것임을 확정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가 제2 운행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운행 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2 채집 결과를 얻으며, 또한 상기 제2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온 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스캔 대상에 대응되는 인식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2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는 상기 카메라가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보다 크다.
선택 가능하게, 도 4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카메라를 턴 온하여, 상기 카메라가 상기 상기 제1 운행 상태로 진입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턴 온 모듈(303)을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턴 온 모듈(303)은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이 파워 온 또는 스크린-오프 할 때, 상기 카메라를 턴 온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운행 상태는 상기 카메라의 부분 픽셀 유닛을 턴 온 한 상태이고, 상기 제2 운행 상태는 상기 카메라의 전부 픽셀 유닛을 턴 온 한 상태이다.
선택 가능하게, 도 5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표시 모듈(302)은: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제1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의 특징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서브 모듈(3021); 및
상기 카메라가 상기 스캔 대상의 특징과 기설정 특징이 서로 매칭되는 것임으로 판단하였을 경우, 상기 카메라가 제2 운행 상태로 진입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상태 핸드 오버 서브 모듈(3022); 을 포함한다.
이동 단말(300)은 도 1 내지 도 2가 대응하는 방법 실시예에서의 이동 단말이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이동 단말(300)은, 카메라가 스크린-오프 상태에서 제1 운행 상태로 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카메라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턴 온 할 필요가 없이 수시로 스캔 대상을 채집할 수 있어, 사용자 작업이 편이하며, 스캔 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제2 운행 상태에서의 카메라를 기반으로 채집한 스캔 대상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하여, 인식의 정확도를 제고하고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 예시도이고, 해당 이동 단말(600)은 무선 주파수 유닛(601), 네트워크 모듈(602), 오디오 출력 유닛(603), 입력 유닛(604), 센서(605), 표시 유닛(606), 사용자 입력 유닛(607), 인터페이스 유닛(608), 메모리(609), 프로세서(610), 및 전원(611) 등 컴포넌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도 6에 나타내는 단말 구조는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이동 통신 단말은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컴포넌트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를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팜톱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웨어러블 기기, 및 보수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 프로세서(610)는,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제1 운행 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1 채집 결과를 얻고; 상기 제1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것임을 확정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가 제2 운행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운행 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2 채집 결과를 얻으며, 또한 상기 제2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온 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스캔 대상에 대응되는 인식 결과를 표시하며; 그 중,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2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는 상기 카메라가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보다 크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은 카메라가 스크린-오프 상태에서 제1 운행 상태로 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카메라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턴 온 할 필요가 없이 수시로 스캔 대상을 스캔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작업이 편리하고, 또한 스캔 효율을 제고시킨다.
선택 가능하게, 프로세서(610)는, 상기 카메라를 턴 온하여,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1 운행 상태로 진입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프로세서(610)는 상기 카메라를 턴 온하는 것을 실행하는 것은: 상기 이동 단말이 파워 온 또는 스크린-오프일 때, 상기 카메라를 턴 온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운행 상태는 상기 카메라의 부분 픽셀 유닛을 턴 온 한 상태이고, 상기 제2 운행 상태는 상기 카메라의 전부 픽셀 유닛을 턴 온 한 상태이다.
선택 가능하게, 프로세서(610)는, 상기 제1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확정할 때, 상기 카메라가 제2 운행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실행하고, 해당 단계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제1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의 특징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가 상기 스캔 대상의 특징과 기설정 특징이 서로 매칭되는 것임으로 판단하였을 경우, 상기 카메라가 제2 운행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정보 송수신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 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6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고;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6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바, 예컨대, 사용자를 도와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브라우징, 스트리밍 미디어 액세스 등을 수행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603)은 무선 주파수 유닛(601) 또는 네트워크 모듈(602)이 수신한 또는 메모리(6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유닛(603)은 또한, 이동 통신 단말(600)이 수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컨대, 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603)은 스피커, 버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6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유닛(604)은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 6041) 및 마이크(60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6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컨대, 카메라)에 의해 채집된 스틸 사진 또는 비디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유닛(606)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6041)에 의한 처리를 거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6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601) 또는 네트워크 모듈(602)을 경유하여 송신된다. 마이크(60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유닛(601)을 경유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가능한 포맷으로 전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600)은, 예컨대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한 가지 센서(60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환경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도에 따라 표시 패널(606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이동 통신 단말(600)이 귓가로 이동했을 때, 표시 패널(6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턴 오프할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계 센서는 각각의 방향에서의(통상적으로, 3 축)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 자태(예컨대, 가로 및 세로 스크린 스위칭, 관련 게임, 자기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 (예컨대, 보수계, 태핑) 등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60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하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표시 유닛(60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유닛(606)은 표시 패널(6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표시 패널(6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6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부호 정보를 수신하고,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산생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607)은 터치 패널(6071) 및 기타 입력 기기(6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6071)은, 터치 스크린으로 칭하기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상 또는 부근에서의 터치 조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로 터치 패널(6071) 상 또는 터치 패널(6071) 부근에서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60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제어기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위를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송신하며;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점 좌표로 전환시킨 후에 프로세서(610)로 보내고, 프로세서(610)가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탄성파 등 다양한 유형으로 터치 패널(60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6071)외에, 사용자 입력 유닛(607)은 기타 입력 기기(60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6072)는 물리 키보드, 기능키(예컨대, 음량 제어 키버튼, 전원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진일보하여, 터치 패널(6071)은 표시 패널(6061)을 커버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6071)은 터치 패널(6061) 상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검출한 후, 프로세서(610)에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확정하도록 하고, 그 후, 프로세서(6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6061) 상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6에서 터치 패널(6071)과 표시 패널(6061)이 독립된 두 컴포넌트로서 이동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나, 몇몇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널(6071)과 표시 패널(6061)을 집적하여 이동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바,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인터페이스 유닛(608)은 외부 장치가 이동 통신 단말(60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60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컨대, 데이터 정보, 파워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이동 통신 단말(600)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자에 전송하기 위한 것 또는 이동 통신 단말(600)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6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6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작업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작성된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이동 단말의 제어 중심이고, 각종 인터페이스 및 회선을 이용하여 전체 이동 단말의 각 부분을 연결시킨다. 메모리(609)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그리고 메모리(609)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이동 단말의 각종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이동 단말에 대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프로세서(6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6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작업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술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610)에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600)은 각각의 컴포넌트에 파워를 공급하는 전원(611)(예컨대, 배터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6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610)와 로직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파워 소비 관리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600)은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동 통신 단말을 더 제공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은 프로세서(610), 메모리(609), 및 메모리(609)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610)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대상 인식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대상 인식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으로 약칭),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으로 약칭),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내포’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여,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런 요소들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기타 요소들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고유한 요소들을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진일보한 한정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 어구'하나의 …를 포함'에 의해 한정되는 요소는, 당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다른 동일한 요소가 존재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한 실시형태의 설명을 통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상기의 실시예 방법이 소프트웨어 플러스 필수적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의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나, 전자가 더 바람직한 실시형태인 경우가 많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개시에 따른 기술방안의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당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고, 몇몇 명령들을 포함하여 하나의 이동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이 본 개시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위에서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계시하에 본 개시의 취지와 특허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더 실시할 수 있으며, 그러한 형태들은 모두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대상 인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제1 운행 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1 채집 결과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제1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것임을 확정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가 제2 운행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운행 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2 채집 결과를 얻으며, 또한 상기 제2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온 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스캔 대상에 대응되는 인식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2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는 상기 카메라가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보다 크며,
    상기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온 할 때, 상기 카메라를 턴 오프하는 단계 ;
    를 더 포함하는 대상 인식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스캔 대상을 채집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카메라를 턴 온하여,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1 운행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상 인식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턴 온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이 파워 온 또는 스크린-오프 할 때, 상기 카메라를 턴 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 인식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운행 상태는 상기 카메라의 부분 픽셀 유닛을 턴 온 한 상태이고, 상기 제2 운행 상태는 상기 카메라의 전부 픽셀 유닛을 턴 온 한 상태 인 대상 인식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것임을 확정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가 제2 운행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제1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의 특징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캔 대상의 특징과 기설정 특징이 서로 매칭되는 것임을 상기 카메라에서 판단하였을 경우, 상기 카메라가 제2 운행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상 인식 방법.
  6.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오프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1 채집 결과를 얻기 위한 채집 모듈; 및
    상기 제1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것임을 확정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가 제2 운행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운행 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스캔 대상을 채집하여, 제2 채집 결과를 얻으며, 또한 상기 제2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온 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스캔 대상에 대응되는 인식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모듈; 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2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는 상기 카메라가 제1 운행 상태에서의 운행 파워보다 크며,
    상기 이동 단말이 스크린-온 할 때, 상기 카메라를 턴 오프하는 것인 이동 단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카메라를 턴 온하여, 상기 카메라가 상기 상기 제1 운행 상태로 진입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턴 온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턴 온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이 파워 온 또는 스크린-오프 할 때, 상기 카메라를 턴 온하기 위한 것인 이동 단말.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운행 상태는 상기 카메라의 부분 픽셀 유닛을 턴 온 한 상태이고, 상기 제2 운행 상태는 상기 카메라의 전부 픽셀 유닛을 턴 온 한 상태인 이동 단말.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제1 채집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캔 대상의 특징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서브 모듈; 및
    상기 스캔 대상의 특징과 기설정 특징이 서로 매칭되는 것임을 상기 카메라에서 판단하였을 경우, 상기 카메라가 제2 운행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상태 핸드 오버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11. 이동 통신 단말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대상 인식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인 이동 단말.
  12.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그 중,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대상 인식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07036650A 2018-05-22 2019-04-26 대상 인식 방법 및 이동 단말 KR102497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494006.7A CN110517034A (zh) 2018-05-22 2018-05-22 一种对象识别方法及移动终端
CN201810494006.7 2018-05-22
PCT/CN2019/084500 WO2019223493A1 (zh) 2018-05-22 2019-04-26 对象识别方法及移动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127A KR20210013127A (ko) 2021-02-03
KR102497444B1 true KR102497444B1 (ko) 2023-02-07

Family

ID=68616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650A KR102497444B1 (ko) 2018-05-22 2019-04-26 대상 인식 방법 및 이동 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816768A4 (ko)
JP (1) JP7221305B2 (ko)
KR (1) KR102497444B1 (ko)
CN (1) CN110517034A (ko)
WO (1) WO20192234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7367A1 (zh) * 2020-04-27 2021-11-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开启应用程序的方法、装置及终端
CN114860178A (zh) * 2021-01-18 2022-08-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投屏的方法和电子设备
WO2023120060A1 (ja) * 2021-12-23 2023-06-29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9935A (zh) * 2016-01-29 2016-07-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2089B1 (en) * 2004-04-29 2007-11-27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utonomous optical wake-up intelligent sensor circuit
JP5066133B2 (ja) 2009-05-20 2012-11-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記録装置、省電力方法
KR101652110B1 (ko) * 2009-12-03 2016-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제스쳐로 제어가능한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CN102148922B (zh) * 2010-02-08 2013-01-1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图像采集装置及图像采集控制方法
CN104375628B (zh) * 2013-08-16 2018-08-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6289184B2 (ja) 2014-03-14 2018-03-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認識装置および画像認識方法
CN104331149B (zh) * 2014-09-29 2018-08-1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4410785B (zh) * 2014-11-17 2019-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807888B (zh) * 2014-12-31 2019-11-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信息处理方法
KR102304693B1 (ko) * 2015-02-12 2021-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CN111368578A (zh) * 2015-08-31 2020-07-0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TW201743241A (zh) 2016-06-01 2017-12-16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及其運作方法
US10627887B2 (en) * 2016-07-01 2020-04-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ace detection circuit
CN107944325B (zh) * 2017-11-23 2020-01-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扫码方法、扫码装置及移动终端
CN108989668A (zh) * 2018-06-29 2018-12-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的工作方法及移动终端
CN109151180B (zh) * 2018-07-27 2020-09-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对象识别方法及移动终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9935A (zh) * 2016-01-29 2016-07-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127A (ko) 2021-02-03
WO2019223493A1 (zh) 2019-11-28
EP3816768A1 (en) 2021-05-05
CN110517034A (zh) 2019-11-29
JP2021524203A (ja) 2021-09-09
JP7221305B2 (ja) 2023-02-13
EP3816768A4 (en) 202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27876B (zh) 一种指纹识别方法及移动终端
US11429248B2 (en) Unread message prompt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8459797B (zh) 一种折叠屏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WO2019196707A1 (zh) 一种移动终端控制方法及移动终端
WO2020020063A1 (zh) 对象识别方法及移动终端
CN107742072B (zh) 人脸识别方法及移动终端
CN108628565B (zh) 一种移动终端操作方法及移动终端
CN109240577B (zh) 一种截屏方法及终端
CN109523253B (zh) 一种支付方法和装置
CN107835286B (zh) 一种防止误解锁的方法及移动终端
CN109343788B (zh) 一种移动终端的操作控制方法及移动终端
WO2019184947A1 (zh) 图像查看方法及移动终端
KR102497444B1 (ko) 대상 인식 방법 및 이동 단말
KR102535334B1 (ko)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이동 단말
CN110096203B (zh) 一种截图方法及移动终端
JP7467667B2 (ja) 検出結果出力方法、電子機器及び媒体
US11348363B2 (en) Fingerprint scann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9600468B (zh) 可折叠终端的控制方法及可折叠终端
CN109544172B (zh) 一种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08762641B (zh) 一种文本编辑方法及终端设备
CN108196663B (zh) 一种人脸识别方法、移动终端
CN107809515B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10213437B (zh) 一种编辑方法及移动终端
CN109491572B (zh) 一种移动终端的截屏方法及移动终端
CN108108608B (zh) 一种移动终端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