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929B1 - 천연 미생물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미생물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929B1
KR102496929B1 KR1020210020606A KR20210020606A KR102496929B1 KR 102496929 B1 KR102496929 B1 KR 102496929B1 KR 1020210020606 A KR1020210020606 A KR 1020210020606A KR 20210020606 A KR20210020606 A KR 20210020606A KR 102496929 B1 KR102496929 B1 KR 102496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arbon source
natural
natural 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7024A (ko
Inventor
주지환
Original Assignee
주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환 filed Critical 주지환
Priority to KR1020210020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929B1/ko
Publication of KR20220117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024A/ko
Priority to KR1020230013702A priority patent/KR20230022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60Biochemical treatment, e.g. by using enzy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정화를 위한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낙엽에 서식하는 천연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정화를 위한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탄소원을 준비하는 과정(1과정),
상기한 탄소원을 가열하여 익힌 탄소원을 형성하는 과정(2과정),
상기한 익힌 탄소원을 낙엽속에 묻어 낙엽 속 미생물을 탄소원에 배양하는 과정(3과정),
상기한 낙엽 속 미생물이 배양된 탄소원을 발효시켜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형성하는 과정(4과정),
상기 형성된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물로 희석하고 숙성시키는 과정을 수행하여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완성하는 과정(5과정),
을 포함하는 천연 미생물 정화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탄소원은 쌀, 보리, 밀, 옥수수, 귀리 또는 조를 포함하는 곡류이고,
상기한 3과정의 낙엽은 소나무, 전나무, 주목 등의 침엽수 또는/및 상수리나무, 플라타너스, 느티나무, 단풍나무, 오동나무, 참나무, 도토리 나무 등의 활엽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미생물 정화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천연 미생물 정화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연 미생물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a natural bio depurant and the making method}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정화를 위한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낙엽에 서식하는 천연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정화를 위한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 가정에서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쓰레기 처리장에 수집되어 재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처리된다. 그 처리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음식물 쓰레기에서 비닐 봉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해 낸 후 음식물 쓰레기를 작은 크기로 분쇄하게 된다.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고액분리기에 투입되어 탈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음식물 쓰레기에서 일차적으로 분리된 고형물은 재처리되어 가축 사료 등으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 고액분리기에 의해 고형물을 남기고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 탈리액은 다량의 수분과, 유지방 성분 및 입자성 물질이 포함된 혼합물로서 죽 같이 걸죽한 상태이다.
또한, 가축의 분료를 처리하는 과정에서도 이와 같은 탈리액이 발생하게 된다.
탈리액은 초 고농도의 오염물로 처리가 매우 어렵다.
복잡하고 대규모의 장치를 이용하여 탈리액을 필터에 대해 가압함으로써 물을 분리해 내는 정화 방법도 있으나, 이 경우 복잡하고 대규모인 정화 장치를 제작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정화장치를 운전하는데 에너지 소모가 큰 단점이 있다. 또한, 필터가 쉽게 막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정화 작업을 진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탈리액 분리방식은 미세한 슬러지를 분리하여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처리된 탈리액의 함수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미세한 슬러지가 분리되지 않은 탈리액은 약품처리 등을 거쳐 폐수처리시설로 반입해야 하므로 그 처리비용이 높고 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이유로, 선행기술(등록번호 10-1118820, 가축 분료 및 음식물 쓰레기 폐수 정화 장치)는,
"가축 분료 및 음식물 쓰레기 폐수를 물과 슬러지로 분리하는 가축 분료 및 음식물 쓰레기 폐수 정화 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망상의 투과부를 구비하는 외측부재; 상기 외측부재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몸체부와, 상기 회전 몸체부의 외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 몸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회전 날개부를 구비하는 내측부재; 상기 내측부재와 외측부재를 밀폐되도록 수용하며, 상기 내측부재와 외측부재의 사이로 폐수가 공급되는 폐수유입구와, 상기 외측부재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폐수에서 분리된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구와, 폐수에서 분리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내측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시키는 내측 회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부재의 상기 회전 날개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내측부재의 회전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외측부재의 투과부에 밀착하는 스퀴징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분료 및 음식물 쓰레기 폐수 정화 장치"를 제시한바 있다.
또한, 공개특허 특2003-0068273호(이하 선행기술 2)는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및 음식물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가스, 응축수의 정화장치 및 그 방법"을 제시한바,
"기체상태의 요오드공급부(1)와, 1차가스 수용부(2)와, 가스의 정화와 가스의 응축을 수행하는 1차 가스정화, 단백질분해 및 응축부(5)와, 1차 가스, 응축수정화부(6)와, 2차 가스 수용부(7) 및 3차 가스수용부(8)와, 2차 가스,응축수정화부(9)와, 정화된 응축수수용부(10)와, 2차 가스정화, 단백질분해 및 응축부(11)와, 4차 가스수용부(12)와, 3차 가스, 응축수정화부(13)와, 3차 가스정화, 단백질분해 및 응축부(15)와, 5차 가스수용부(16)와, 4차 가스, 응축수정화부(17)와, 고압집진 및 오존발생부(19)와, 4차 가스정화, 단백질분해 및 응축부(20)와, 최종 정화된 가스수용부(21)와, 고온다습한 가스의 흡입 및 최종 정화된 가스의 배출수단인 펌프(24)로 이루어져 있는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를 제공한바 있다.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상기한 선행기술 등은 처리효율이 매우 느리고 효과적이지 않아 냄새가 유발되거나,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분해되지 않아 이를 방류할 경우 하수구가 쉽게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는바,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효율이 현저히 높고 또한 냄새가 발생하지 않으며 점도가 낮아 배출시에 하수구가 막히지 않는 천연 미생물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탄소원을 준비하는 과정(1과정),
상기한 탄소원을 가열하여 익힌 탄소원을 형성하는 과정(2과정),
상기한 익힌 탄소원을 낙엽속에 묻어 낙엽 속 미생물을 탄소원에 배양하는 과정(3과정),
상기한 낙엽 속 미생물이 배양된 탄소원을 발효시켜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형성하는 과정(4과정),
상기 형성된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물로 희석하고 숙성시키는 과정을 수행하여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완성하는 과정(5과정),
을 포함하는 천연 미생물 정화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탄소원은 쌀, 보리, 밀, 옥수수, 귀리 또는 조를 포함하는 곡류이고,
상기한 3과정의 낙엽은 소나무, 전나무, 주목 등의 침엽수 또는/및 상수리나무, 플라타너스, 느티나무, 단풍나무, 오동나무, 참나무, 도토리 나무 등의 활엽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미생물 정화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천연 미생물 정화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미생물 정화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음식물 쓰레기에 사용한 결과 종래의 미생물을 이용한 처리기술에 비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효율이 현저히 높고 또한 냄새가 발생하지 않으며 점도가 낮아 배출시에 하수구가 막히지 않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오염의 정화를 위한 천연 미생물 정화제의 제조방법 절차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낙엽에 서식하는 천연 미생물을 이용한 수질 오염의 정화를 위한 천연 미생물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고농도의 COD, BOD를 함유하는 하폐수, 음식물 쓰레기 등을 처리하기 위한 천연 미생물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는 고속퇴비화, 혐기소화, 건조/탄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처리하나 최근에는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소멸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주로 생산되는 제품들은 건조 압축방식과 발효 소멸방식의 2종으로 구분되는데, 건조 압축방식은 음식물 쓰레기의 75%를 차지하는 수분을 가열 등으로 건조시킨 후 물리적으로 압축하여 그 부피를 줄이는 방식인데 유기물들이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매립 후에 다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
하고 있다. 발효 소멸장치는 교반과 미생물의 분해 능력을 이용하여 쓰레기 내의 유기물질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하는 방식으로 최근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방식인데 소멸화 촉진제로 유기물의 분해활성이 우수한 미생물을 이용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 발생하는 문제점의 해결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발효소멸 또는 호기성 처리시에 사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또는 장치에 사용하는 천연 미생물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탄소원을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1과정)
상기한 탄소원은 탄소를 제공할 수 있는 곡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쌀, 보리, 밀, 옥수수, 귀리, 조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탄소원은 쌀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며 1~40% 도정된 쌀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좋다.
본 발명은 상기한 탄소원을 가열하여 익힌 탄소원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2과정)
상기한 탄소원을 가열하는 과정은 탄소원을 물에 불린 후 물기를 제거한 후 증기를 이용하여 익히는 과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으로 1~40% 도정된 쌀을 사용하고 쌀을 잘 씻어 1~12시간 정도 불린 후 1~2시간 정도 물기를 빼고 찜통이나 시루에서 물을 가열하여 발생한 증기로 쪄 낸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물은 통상의 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자연수, 하천수, 지하수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도수는 염소 성분의 함유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용 물에 천연의 재료를 이용하여 추출한 천연 기능성 첨가물을 혼합하여 하기할 낙엽 속 미생물이 탄소원에 잘 배양되게 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천연 기능성 첨가물은 증기용 물 100중량부에 0.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상기한 천연 기능성 첨가물은 삼초 100중량부에 황백 80~120중량부, 황기 80~120중량부, 방기 80~120중량부, 백출 80~120중량부, 교맥 80~120중량부, 백선피 80~120중량부, 질경이 80~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한 천연 기능성 첨가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상기의 혼합한 원재료 100 중량부에 물을 300~1500중량부를 혼합하여 가열기에 넣고 12~24시간 정도로 가열하고 필터링을 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기능성 첨가물의 필터링은 통상의 필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는 직물 여과재로 이루어진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천연성분으로 이루어진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직물 여과재는 모, 면, 마 등의 천연 섬유 또는 고분자 물질과 같은 합성 섬유 등 섬유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섬유 재료에 기능성 소재를 코팅하여 직조한 필터를 사용하여 추출과정에서 유입된 잡균, 화락균 등을 완전히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기능성 소재는 테트라클로로에틸렌(tetrachloroethylene), 트르펜틴(turpentine), 페트롤 에테르(petrol ether), 폴리스틸렌(Polystyrene),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을 혼합한 기능성 혼합물 100 중량부에, 제올라이트 10~20 중량부, 양이온 교환수지 10~30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한 기능성 혼합물은 테트라클로로에틸렌(tetrachloroethylene) 100중량부에 트르펜틴(turpentine) 10~30중량부, 페트롤 에테르(petrol ether) 5~20중량부, 폴리스틸렌(Polystyrene) 10~50중량부, 폴리술폰(Polysulfone) 10~50중량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20~60중량부를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양이온 교환수지는 술폰산기, 카르복실기, 인산기 등의 양이온 교환능이 있는 작용기를 도입한 유기 중합체 또는 스티렌-디비닐벤젠계, 폴리비닐알코올계, 메타아크리레이트계 등의 폴리머 매트릭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기능성 소재에 금속염 반응 용액을 포함하여 미세한 필터를 형성시켜 미세한 이물질(micro particle) 및 세균(virus)을 걸러내는 작용을 하여 추출되는 천연 기능성 첨가물의 질을 현저히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금속염 반응 용액은 기능성 혼합물 100 중량부에 0.5 ~ 5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한 금속염 반응 용액은 금속염과 알칼리 유체를 혼합한 용액을 의미한다.
상기한 금속염 반응 용액은 금속염 100중량부에 알칼리 유체 100~1000중량부를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한 금속염은 알루미늄, 지르코늄, 실리콘, 타이타늄, 철, 바나듐. 팔라듐, 백금. 은, 니켈, 마그네숨, 망간, 크롬 및 이트륨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금속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알칼리 유체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암모니아수, 탄산나트륨 및 탄산암모늄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천연 기능성 첨가물이 증기용 물에 포함되어 낙엽 속 미생물 외의 다른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익힌 탄소원을 자루에 넣어 낙엽속에 묻어 낙엽 속 미생물을 탄소원에 배양하는 과정을 수행한다.(3과정)
상기한 자루는 바람직하게는 망형태의 자루를 사용하는 것이 낙엽 속 미생물이 탄소원에 잘 이동하여 배양되게 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한 망형태의 자루는 1~50메쉬의 망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탄소원 100중량부를 자루에 넣은 후 낙엽 50~500중량부 속에 5~14일 정도 시간동안 묻은 후 13~30 도씨의 온도를 유지한다.
상기한 낙엽은 소나무, 전나무, 주목 등의 침엽수 또는/및 상수리나무, 플라타너스, 느티나무, 단풍나무, 오동나무, 참나무, 도토리 나무 등의 활엽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활엽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한 낙엽 속 미생물이 배양된 탄소원을 발효시켜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4과정)
상기의 탄소원에 미생물을 발효 증식시켜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의 3과정의 미생물이 배양된 탄소원 100중량부에 당분 50~200중량부를 혼합하여 20도씨 이상되는 곳에서 바람직하게는 20~35도씨 정도의 온도에서 7~21일 정도 바람직하게는 10~15일 정도 발효를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한 당분은 단당류, 이당류, 당당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바람직하게는 설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흑설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발효 과정에 천연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여 천연 미생물 정화제 형성 작용을 촉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천연 발효 조성물은 천연 재료를 포함하여 조성한 조성물로서 천연 미생물 정화제 증진을 도와 주고 다른 화락균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천연 발효 조성물은 상기의 3과정의 미생물이 배양된 탄소원 100중량부에 0.5~5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한 천연 발효 조성물은 나복자 100중량부에 맥문동 10~40중량부, 오미자 50~120중량부, 위령선 80~120 중량부, 천오두 80~120 중량부, 선퇴 80~120 중량부, 반하 10~30중량부, 천궁 50~80중량부, 노근 80~120 중량부, 황련 80~120중량부, 신이 80~120중량부, 세신 80~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한 천연 발효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상기의 혼합한 원재료 100 중량부에 물을 300~1500중량부를 혼합하여 가열기에 넣고 12~24시간 정도로 가열하고 필터링을 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발효 조성물을 추출 필터는 상기한 천연 기능성 첨가물을 추출하는 필터와 동일한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잡균의 제거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정으로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형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물로 희석하여 12~36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과정을 수행하여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완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5과정)
본 발명은 4과정에서 형성된 천연 미생물 정화제 100중량부에 물 5,000~30,000중량부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약 12~36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22~26시간 동안 숙성시켜서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완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한 물은 통상의 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자연수, 하천수, 지하수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도수는 염소 성분의 함유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실시예>
15% 도정된 쌀(백미)(탄소원) 1kg을 준비하여 물에 씻은 후 물을 혼합하여 12시간 동안 불리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의 불린 쌀(탄소원)의 1.5시간 동안 물기를 뺀 후 스팀기에 옮기고 증기로 1~2시간 동안 쪄서 고두밥을 만드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의 고두밥을 1~20메쉬의 망에 넣어 마른 참나무 잎 500g 속에 넣고 20도씨의 온도로 10일 정도 유지하여 낙엽 속 미생물을 탄소원에 배양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의 낙엽 속 미생물이 배양된 고두밥에 흑설탕을 1kg을 넣고 잘 혼합하여 발효통에 넣고 20~22도씨 온도에서 12~15일 정도 발효를 하여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형성한다.
상기의 천연 미생물 정화제 200g에 하천수 20,000g을 혼합하여 24시간 동안 숙성시켜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완성한다.
[실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발효 소멸장치)에 넣고 정화를 시키는 과정을 실험하였다.
(1)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상기에서 제조한 천연 미생물 정화제 200g을 음식물 쓰레기 100kg에 넣고 15일 동안 발효를 시켜 처리 결과를 조사하였다.
대비군으로 발효 소멸장치에 사용되는 미생물 정화제는 Cellulase 생산 균주(A), Amylase 생산 균주(B), Protease 생산 균주(C), 통합 균주(D, A+B+C 혼합)를 사용하였다.
미생물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시 수분 함유량은 그 처리 효율을 결정하는데 매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55-65%의 수분 함유량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기 시 수분의 증발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적정 수준의 수분함량을 유지하기 위해 하루에 100ml의 증류수를 보충하였다.
지속적 통기 하에 교반기 내의 pH와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pH를 6~8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또한 온도를 20~25 ℃가 되도록 유지하여 15일간의 음식물 쓰레기 감량을 조사하였다. 공통적으로 10 rpm의 교반 속도를 유지하였으며, 15일 동안 매15분간 교반하고 45분간 정지 상태가 반복되는 조건 하에 실험을 실시하였다.
미생물에 의한 감량효율은 음식물 쓰레기 시료를 건조기에서 90 ℃의 온도로 완전히 건조시킨 후 무게를 달아서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감량율은 음식물 쓰레기의 총 투입무게와 최종 남은 무게로부터 계산하였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소멸화 과정에서는 많은 황 화합물들이 발생하고 그 물질들은 악취를 유발시키는 원인물질 중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바 악취 발생여부를 조사하였다.
(2) 감량률
아래의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비군과 실시예의 음식물 쓰레기 감량율이 나타난바 대비군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감량율(42%)이 나타나게 됨을 알 수가 있다.
대비군 (A) 대비군 (B) 대비군 (C) 대비군 (D) 실시예
감량율(%) 13 21 35 25 42
(3) 악취 발생 여부
아래의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비군과 실시예에서 악취도를 평가한 결과 실시예가 대비군에 비하여 악취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복합악취는 Handheld Odor Meter (Shinyei, Japan)를 이용하여 각각의 조건에 따라 상대적 정도를 측정, 비교분석하였다.
대비군 (A) 대비군 (B) 대비군 (C) 대비군 (D) 실시예
악취발생도(μg/m3) 420 540 620 560 60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과 기능으로 이루어진 천연 미생물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오염수 등을 발효시켜 제거하는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생산, 제조, 판매,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에 넣어 발효시켜 제거하는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생산, 제조, 판매,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Claims (3)

  1. 탄소원을 준비하는 과정(1과정),
    상기한 탄소원을 가열하여 익힌 탄소원을 형성하는 과정(2과정),
    상기한 익힌 탄소원을 낙엽속에 묻어 낙엽 속 미생물을 탄소원에 배양하는 과정(3과정)을 수행하되,
    탄소원을 망형태의 자루에 담은 탄소원 100중량부를 낙엽 50~500중량부 속에 5~14일 동안 묻은 후 13~30 도씨의 온도를 유지하는 과정으로 수행하고,
    상기한 낙엽 속 미생물이 배양된 탄소원을 발효시켜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형성하는 과정(4과정)을 수행하되,
    상기의 3과정의 미생물이 배양된 탄소원 100중량부에 당분 50~200중량부를 혼합하여 20~35도씨의 온도에서 7~21일 발효를 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의 3과정의 미생물이 배양된 탄소원에 천연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여 천연 미생물 정화제 형성 작용을 촉진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한 천연 발효 조성물은 나복자 100중량부에 맥문동 10~40중량부, 오미자 50~120중량부, 위령선 80~120 중량부, 천오두 80~120 중량부, 선퇴 80~120 중량부, 반하 10~30중량부, 천궁 50~80중량부, 노근 80~120 중량부, 황련 80~120중량부, 신이 80~120중량부, 세신 80~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이고,
    상기 형성된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물로 희석하고 숙성시키는 과정을 수행하여 천연 미생물 정화제를 완성하는 과정(5과정),
    을 포함하는 천연 미생물 정화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소원은 쌀, 보리, 밀, 옥수수, 귀리 또는 조를 포함하는 곡류이고,
    상기한 3과정의 낙엽은 소나무, 전나무, 주목 등의 침엽수 또는/및 상수리나무, 플라타너스, 느티나무, 단풍나무, 오동나무, 참나무, 도토리 나무 등의 활엽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미생물 정화제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천연 미생물 정화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미생물 정화제.
KR1020210020606A 2021-02-16 2021-02-16 천연 미생물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6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606A KR102496929B1 (ko) 2021-02-16 2021-02-16 천연 미생물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30013702A KR20230022916A (ko) 2021-02-16 2023-02-01 천연 미생물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606A KR102496929B1 (ko) 2021-02-16 2021-02-16 천연 미생물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3702A Division KR20230022916A (ko) 2021-02-16 2023-02-01 천연 미생물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024A KR20220117024A (ko) 2022-08-23
KR102496929B1 true KR102496929B1 (ko) 2023-02-06

Family

ID=830929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606A KR102496929B1 (ko) 2021-02-16 2021-02-16 천연 미생물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30013702A KR20230022916A (ko) 2021-02-16 2023-02-01 천연 미생물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3702A KR20230022916A (ko) 2021-02-16 2023-02-01 천연 미생물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969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9603A (ja) 2002-11-15 2004-06-10 Palace Chemical Co Ltd 植物系廃棄物分解微生物、該微生物を含む植物系廃棄物処理剤及び該微生物を用いた植物系廃棄物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337B1 (ko) * 2013-01-02 2015-01-26 이학렬 혼성 미생물군을 이용한 곡분 발효액, 곡분 발효액 제조 방법 및 곡분 발효액 사용 방법
KR20200001130A (ko) * 2018-06-27 2020-01-06 조연희 냄새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9603A (ja) 2002-11-15 2004-06-10 Palace Chemical Co Ltd 植物系廃棄物分解微生物、該微生物を含む植物系廃棄物処理剤及び該微生物を用いた植物系廃棄物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916A (ko) 2023-02-16
KR20220117024A (ko)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7761B2 (ja) 家畜廃水の処理用プロセス、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20080021571A (ko) 유기성폐기물을 이용한 자원화 장치 및 그 방법
CN102211107B (zh) 餐厨废弃物无害化资源化处理设备
CN106348562A (zh) 一种污水处理产生活性污泥的处理及提取蛋白质的方法
JP2007252972A (ja) 石油汚染土壌の浄化方法
KR101898892B1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 소멸장치
US74226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osting-free disposal of organic wastes
KR102496929B1 (ko) 천연 미생물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970255A (zh) 一种马铃薯淀粉废水制备肥水的方法
CN110295077A (zh) 一种用含油污泥生产的再生清洁燃料及其制造方法
CN109231724A (zh) 一种煤化工高浓度难降解有机废水处理方法
KR20140073802A (ko) 신속한 처리를 위한 음식물쓰레기 발효처리장치 및 발효처리방법
CN104307848A (zh) 厨余垃圾处理方法
WO2017216720A2 (en) Process for treating and generating energy from biomasses
CN113336292A (zh) 一种高效垃圾污水处理工艺
KR20010001588A (ko) 음식물쓰레기 혐기성 호기성 복합처리공정
CN107935332B (zh) 一种赤泥的连续生物脱碱工艺
CN105481091A (zh) 一种化工废水的处理方法
JP4849370B2 (ja) 焼酎粕、動植物煮汁等高水分廃棄物を処理する方法及びその処理装置
JP3448813B1 (ja) 廃水浄化処理用基材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4557541B2 (ja) 有機廃棄物堆積放置不要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処理方法
CN100422119C (zh) 有机废弃物免堆处理系统及其方法
CN210012701U (zh) 一种新型工业废水一体化处理装置
CN210150975U (zh) 一种有机废物处理装置
JP2002153849A (ja) 生ゴミ処理器付の流し台と大型ゴミへの応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