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130A - 냄새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냄새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130A
KR20200001130A KR1020180073699A KR20180073699A KR20200001130A KR 20200001130 A KR20200001130 A KR 20200001130A KR 1020180073699 A KR1020180073699 A KR 1020180073699A KR 20180073699 A KR20180073699 A KR 20180073699A KR 20200001130 A KR20200001130 A KR 20200001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mixing device
composition
waste treatment
od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연희
윤의선
Original Assignee
조연희
윤의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연희, 윤의선 filed Critical 조연희
Priority to KR1020180073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130A/ko
Publication of KR2020000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냄새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냄새를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여 쓰리기 처리과정에서 냄새를 제거할 수 있어서 처리 시설의 간소화와 냄새로 인한 민원 등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냄새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냄새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처리장치에 의하면 화학물질을 사용하거나 처리 후 별도의 유해하거나 처리가 힘든 쓰레기가 더 많이 발생하지는 않고, 미생물을 분리하여 배양하지 않고, 다양한 미생물을 천연 냄새 흡착제와 함께 자연상태에서 배양하므로 비용이 절감되며, 쓰레기처리장치에서 전처리과정인 선별, 분쇄장치만 밀폐된다면 전체적으로 냄새가 완전히 제거될 수 있고, 냄새제거를 위한 장치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아도 되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냄새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처리장치{DEODORIZATION MATERIAL AND WASTE DISPOSAL DEVICE}
본 발명은 냄새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냄새를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여 쓰리기 처리과정에서 냄새를 제거할 수 있어서 처리 시설의 간소화와 냄새로 인한 민원 등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냄새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냄새란 냄새를 내는 물질에 의해 방출되는 고주파 발산과 후각 수용체중의 색소과립과의 상호작용이다.
발산은 각각의 특이한 냄새를 내는 물질의 특징적인 분자진동으로부터 유도되며, 각종 냄새들 간의 구별은 방출되는 발산의 파장에서의 차이를 기준으로 하여 형성된다.
화학적 이론에서, 뇌에 의해 냄새라고 감지되는 것은 분자중의 작용부분과 후각 수용체와의 반응성이다. 최근에는 냄새 수용체의 정확한 자극 에너지가 냄새를 내는 물질, 특히 후각 점막에서의 용액상의 분자층의 결합각의 변형 및 후각 수용체에 의해 감지되는 정전기장의 후속적인 변경 또는 불균형으로부터 전기 화학적으로유도되는 것으로 추측되어 왔다.
이 이론은 화학구조가 완전히 상이한 복합물질이 동일하거나 상이한 냄새를 낼 수도 있는 이유와 또한 둘 이상의 냄새를 내는 물질의 혼합물이 어떠한 냄새도 내지 않는 것으로 인지될 수도 있는 이유도 설명할 수 있다.
특정한 물질이 냄새를 내는 이유에도 불구하고, 이들 냄새를 제거하는 방법이 대다수 제안되어왔다.
일반적으로, 이들 방법은 두 범주, 즉 (a) 우세한 향기로 후각 수용체를 덮을 목적으로, 비교적 강한 향기를 내는 물질을 보다 덜한 향기를 내는 물질을 함유하는 지대로 혼입시키는 냄새덮기(odor masking) 또는 (b) 화학적 반응, 흡착 또는 냄새를 내는 물질에 대하여 흡착 우선성을 나타내는 흡착제상에서 흡수시켜 비휘발성 형태의 악취물질의 은폐(sequestering) 중의 한 범주에 속할 수있다.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서 가장 많이 통용되는 고체 흡착제는 활성화된 목탄 또는 활성탄이지만, 또한 실리카 겔, 활성화 알루미나, 규조토, 백토 및 기타의 점토 광물 및 제올라이트도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냄새 흡착제로서 제안되어 왔다.
상기 실리카 겔, 활성탄 및 제올라이트의 혼합물은 실내공기로부터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공기 여과장치용 흡착제로서 문헌[참조 : 미합중국 특허 제4,604,110호]에 기재되어 있다.
동물의분비물 냄새를 흡착하고 중화시키기 위한 알팔파, 벤토나이트 점토 및 결합제의 혼합물은 문헌[참조 : 미합중국 특허 제3,789,799호]에 제안되어 있다. 문헌[참조 : 미합중국 특허 제4,437,429호]에는 애완동물의 깔짚으로부터 나는 냄새를 억제하는 데에 점토와의 혼합물로서 수화된 제올라이트 사용이 특히 유용하다고 제안되었으나, 일반적으로 점토에 비해 물흡착성이 낮기 때문에 제올라이트 자체의 깔짚 재료로서의 용도는 성공하지 못해온 것으로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냄새를 억제하는 데에 제올라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한 종류는 입체망상 Si/ Al비가 넣고, 물 또는 기타의 고극성 분자(예 : 암모니아 또는 황화수소)에 대한 흡착용량이 높은 종이다.
이러한 화학물질 또는 흡착제를 제외하고, 미생물을 영양액에서 증식시켜 냄새를 제거하는 방법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97060호에 개시된 바 있다.
최근에는 음식물, 분뇨 등의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서 다양한 쓰레기처리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0356966호에 따르면 메탄가스 포집배관, 가스저장조 등 전 과정에서 냄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장치들이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냄새제거제 조성물 및 쓰레기처리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흡착제나 화학물질을 이용한 냄새제거제 조성물일 경우, 처리 후에 남는 쓰레기가 많고, 화학물질을 사용하므로 환경이 오염된다.
(2) 미생물을 이용한 냄새제거제 조성물일 경우, 배양을 하기 위해서 배양을 위한 새로운 장치가 필요하다.
(3) 쓰레기처리장치의 전 과정에서 악취(냄새)가 심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처리장치 자체에 대한 주변 민원이 많다.
(4) 쓰레기처리장치에 냄새 제거를 위한 여러가지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비비가 많이 소요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탄과 낙엽을 습한 장소에 1년간 숙성한 후 바실러스균 등의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 후 분말형태로 형성되는 냄새제거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쓰레기투여장치와;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쓰레기를 파쇄선별하는 파쇄선별장치와; 상기 파쇄선별장치에서 선별된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장치와; 분쇄장치에서 분쇄된 쓰레기가 컨베이어에 의해서 이동하여 냄새제거제 조성물과 혼합하는 제1차혼합장치와; 상기 제1차혼합장치에서 처리된 쓰레기를 다시한번 냄새제거제 조성물과 혼합하는 제2차혼합장치와; 상기 2차혼합장치에서 처리된 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장치와; 상기 건조된 쓰레기를 출하는 출하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냄새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처리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화학물질을 사용하거나 처리 후 별도의 유해하거나 처리가 힘든 쓰레기가 더 많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2) 미생물을 분리하여 배양하지 않고, 다양한 미생물을 천연 냄새 흡착제와 함께 자연상태에서 배양하므로 비용이 절감된다.
(3) 쓰레기처리장치에서 전처리과정인 선별, 분쇄장치만 밀폐된다면 전체적으로 냄새가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4) 냄새제거를 위한 장치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아도 되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종래의 쓰레기처리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냄새제거제 조성물을 이용한 쓰레기처리장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탄과 낙엽을 습한 장소에 1년간 숙성한 후 바실러스균 등의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서 증식시킨 후 분말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이탄(泥炭, peat) 또는 토탄(土炭, turf)은 탄소 함유량 60%의 석탄을 말하는 것으로, 석탄은 압력과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다섯 종류의 석탄이 차례로 만들어 지는데 그 종류에는 이탄, 아탄, 갈탄, 역청탄, 무연탄이 있다.
상기 습한장소란 탄광이 위치한 주변의 습한장소를 말하는 것으로, 낙엽(여러종류의 나무의 낙엽을 의미하고, 특정한 나뭇잎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이 쌓인 생태에서 그 위에 비가 내려서 습기가 공급되는 장소를 의미한다.
상기 낙엽은 볏짚이나 일반적인 건초일 수 있다.
상기 1년간 숙성한다는 것은 자연상태로 둔다는 것으로, 노지에서 일반적인 자연환경을 겪을 수 있도록 방치하여 형성한다.
본 발명의 냄새제거제 조성물은 최하온도 -20℃에서 최고온도 50도℃ 정도의 환경에서 자연환경의 영향을 그대로 받도록 하여 형성한다.
본 발명의 쓰레기처리장치는 쓰레기투여장치(①)와;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쓰레기를 파쇄선별하는 파쇄선별장치(②)와; 상기 파쇄선별장치(②)에서 선별된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장치(③)와; 상기 분쇄장치(③)에서 분쇄된 쓰레기가 컨베이어에 의해서 이동하여 냄새제거제 조성물과 혼합하는 제1차혼합장치(④)와; 상기 제1차혼합장치(④)에서 처리된 쓰레기를 다시한번 냄새제거제 조성물과 혼합하는 제2차혼합장치(⑤)와; 상기 2차혼합장치(⑤)에서 처리된 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장치(⑦)와; 상기 건조된 쓰레기를 출하는 출하장치(⑩)로 구성된다.
상기 쓰레기투여장치(①)는 여러가지 잡쓰레기(비닐, 금속, 유리, 돌 등)이 포함된 유기물 쓰레기를 수거차량으로 가져와서 투여하는 장치이다.
상기 파쇄선별장치(②)는 유기물 쓰레기에서 잡쓰레기를 제거하는 장치로 여러가지 선별기가 형성된다.
상기 분쇄장치(③)는 유기물 쓰레기만을 분쇄하여 혼합이 잘 되도록 하는 분쇄장치이다.
상기 제1차혼합장치(④)는 함수율이 80%이상인 분쇄된 유기물 쓰레기와 냄새제거제 조성물을 유기물 쓰레기의 중량에 20~60%에 해당하는 중량과 혼합하여 냄새를 제거함과 동시에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2차혼합장치(⑤)는 제1차혼합장치에서 유기물 쓰레기의 함수율이 약 50%정도까지 내려간 상태의 유기물 쓰레기가 유입되고, 여기에 냄새제거제 조성물을 10 중량%를 투입하여 회전시켜서 처리하는 장치이다.
상기 건조장치(⑦)와 출하장치(⑩)는 통상적으로 함수율이 낮은 처리된 쓰레기를 출하하는 것으로, 건조장치에서 35%이하로 건조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건조저장장치(⑨)를 둘 수 있다.
상기 쓰레기투여장치(①)와, 파쇄선별장치(②) 및 분쇄장치(③)는 밀폐된 상태에서 형성하고, 내부 덕트를 통해서 악취를 별도로 처리한다.
본 발명의 쓰레기처리장치는 별도의 악취나 가스의 처리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다만 증기에 의한 수분처리장치만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비비가 현저히 줄어듬과 동시에 냄새로 인한 민원발생이 현저히 줄어든다.
본 발명의 냄새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처리장치에 의하면 화학물질을 사용하거나 처리 후 별도의 유해하거나 처리가 힘든 쓰레기가 더 많이 발생하지는 않고, 미생물을 분리하여 배양하지 않고, 다양한 미생물을 천연 냄새 흡착제와 함께 자연상태에서 배양하므로 비용이 절감되며, 쓰레기처리장치에서 전처리과정인 선별, 분쇄장치만 밀폐된다면 전체적으로 냄새가 완전히 제거될 수 있고, 냄새제거를 위한 장치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아도 되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4)

  1. 이탄과 낙엽을 습한 장소에 1년간 숙성한 후 바실러스균 등의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서 증식시켜 분말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조성물.
  2. 제 1항에 잇어서,
    상기 낙엽은 볏짚 또는 건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조성물.
  3. 쓰레기처리장치는 쓰레기투여장치(①)와;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쓰레기를 파쇄선별하는 파쇄선별장치(②)와; 상기 파쇄선별장치(②)에서 선별된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장치(③)와; 상기 분쇄장치(③)에서 분쇄된 쓰레기가 컨베이어에 의해서 이동하여 냄새제거제 조성물과 혼합하는 제1차혼합장치(④)와; 상기 제1차혼합장치(④)에서 처리된 쓰레기를 다시한번 냄새제거제 조성물과 혼합하는 제2차혼합장치(⑤)와; 상기 2차혼합장치(⑤)에서 처리된 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장치(⑦)와; 상기 건조된 쓰레기를 출하는 출하장치(⑩)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제1차혼합장치와 제2차혼합장치에서 사용되는 냄새제거제 조성물은 이탄과 낙엽을 습한 장소에 1년간 숙성한 후 바실러스균 등의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서 증식시켜 분말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혼합장치(④)는 함수율이 80%이상인 분쇄된 유기물 쓰레기와 냄새제거제 조성물을 유기물 쓰레기의 중량에 20~60%에 해당하는 중량과 혼합하고,
    상기 제2차혼합장치(⑤)는 냄새제거제 조성물을 유기물 쓰레기 중량의 10 중량%를 투입하여 회전시켜서 처리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80073699A 2018-06-27 2018-06-27 냄새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처리장치 KR20200001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699A KR20200001130A (ko) 2018-06-27 2018-06-27 냄새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699A KR20200001130A (ko) 2018-06-27 2018-06-27 냄새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130A true KR20200001130A (ko) 2020-01-06

Family

ID=6915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699A KR20200001130A (ko) 2018-06-27 2018-06-27 냄새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1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024A (ko) * 2021-02-16 2022-08-23 주지환 천연 미생물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024A (ko) * 2021-02-16 2022-08-23 주지환 천연 미생물 정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94293B (zh) 一种城市生活垃圾综合处理方法
CN107376940B (zh) 一种快速高效修复有机污染土壤的复合催化剂材料及其制备方法
CN101289336B (zh) 一种城市生活垃圾综合处置方法
Viana et al. Using rice husks in water purification in Brazil
CN114929378A (zh) 用于市政废水处理的吸收剂
KR20200001130A (ko) 냄새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처리장치
RU2609809C1 (ru) Состав для получения органоминерального удобре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101156250B1 (ko) 유기성 폐기물 퇴비화 장치 및 방법
JP5525533B2 (ja) 脱臭材及び脱臭装置
CN202272828U (zh) 一种将生活污泥制成肥料的装置
JPH04305284A (ja) 集合住宅用の生ゴミ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9501626A (ja) 生分解性有機材料を含有する産業及び都市の固形及び半固形廃棄物を処理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JP4067447B2 (ja) 汚染土壌の浄化方法
CN102390891B (zh) 萃取法去除沼液中挥发性有机恶臭物质的方法
KR101976009B1 (ko) 고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
KR101059387B1 (ko) 상수오니 또는 애쉬를 이용한 다기능성 흡착제 및 축사환경개선제
Li et al. Emission of odor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a municipal manure treatment plant and their removal using a biotrickling filter
Anasonye et al. Role of biochar and fungi on PAH sorption to soil rich in organic matter
CN207918527U (zh) 一种同时处理污水与臭气的湿地系统
Sardar et al. A review of veterinary antibiotic pollution in the agro-environment of Pakistan: alarm bells are ringing
Rastogi et al. Composting an emerging technology for solid waste management in India
KR20240139221A (ko) 비료겸용 토양개질제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44802A (ko) 생활폐기물 처리시스템
Mollazadeh et al. Composting: a new method for reduction of solid waste and wastewater
JP6792237B2 (ja) 硫化水素低減材および硫化水素低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