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900B1 -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900B1
KR102496900B1 KR1020220107466A KR20220107466A KR102496900B1 KR 102496900 B1 KR102496900 B1 KR 102496900B1 KR 1020220107466 A KR1020220107466 A KR 1020220107466A KR 20220107466 A KR20220107466 A KR 20220107466A KR 102496900 B1 KR102496900 B1 KR 102496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adhesive
polyurethane adhesive
band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7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현
Original Assignee
(주)동연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연디자인 filed Critical (주)동연디자인
Priority to KR1020220107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27D5/003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securing a veneer strip to a panel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5/02Machines with table
    • B27C5/06Arrangements for clamping 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27D5/006Trimming, chamfering or bevelling edgings, e.g. l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11/00Applying adhesives or glue to surfaces of wood to be joined
    • B27G11/005Glue guns, glue spr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urniture or of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7/00After-treatment, e.g. reducing swelling or shrinkage, surfacing; Protecting the edges of boards against access of humidity
    • B27N7/005Coating boards, e.g. with a finishing or decorating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Abstract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엣지 접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밴딩장치의 설치조건을 확인하고, 가구용 판재 밴딩장치에 포함되는 각 장치를 설치하고 세팅하는 설정 단계(S100); 치수에 맞게 절단된 상하면을 코팅시트로 접착 마감한 가구용 판재가 엣지밴딩장치의 컨베이어 벨트 위에 투입되면, 밴딩이 부착되는 절단면을 사전 가공하는 전 처리 단계(S110); 상기 전 처리된 절단면에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하고, 사전 준비된 밴딩을 부착하는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 단계(S120); 가구용 부재의 전방에 접착되고 남은 밴딩을 제거하는 제1 엔드 커팅 단계(S130); 가구용 부재의 상하면으로 노출된 밴딩부분과 여분의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거하는 제1 트리밍 단계(S140); 상하면 칼날 트리밍이 완료된 밴딩의 모서리부분을 스크래핑하여 연마하여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하는 스크래핑 단계(S150); 가구용 부재의 후방에 접착되고 남은 밴딩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절단 칼날을 사용하여 가구용 부재의 후방의 남은 밴딩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제2 엔드 커팅 단계(S160); 가구용 부재의 전방 및 후방의 모서리에 노출된 밴딩부분과 여분의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거하는 제2 트리밍 단계(S170); 가구용 부재의 오염 및 남아 있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거하는 버핑 단계(S180);를 포함하여, 상기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 단계(S120)는,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의 진행 방향에 수직으로 하나 이상의 노즐이 배열되어 형성된 노즐 배열 토출부(122)를 제어하여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절단면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 {Method for producing board for furniture using edge banding using polyurethane adhesive, and Edge bending device for board for furniture used therefor}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 가구용 판재 밴딩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가구용 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 이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가구용 판재에 관한 것이다.
파티클 보드나 MDF를 이용한 가구제작을 위해서는 가구용 판재의 절단이 필요하며, 절단면의 마감을 위해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에 엣지를 접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엣지 밴딩이라한다. 이러한 엣지밴딩을 위한 엣지의 접착을 위해, 주로 EVA(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계열의 접착제가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이보다 성능이 우수한 PUR 접착제(폴리우레탄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접착제를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에 도포하는 방식으로는, 접착제를 절단면에 밀착되는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롤러 방식의 경우 도포량이 일정치 않고, 절단면 상하로 접착제가 노출되어 이의 제거를 위해 이형제, 보호제, 청정제 등을 도포하고 이를 제거하는 공정들이 추가로 필요한 문제가 있으며, 특히 일정한 열에 의해 용융된 접착제를 위에서 아래로 롤러로 흘려 내리는 방식으로 롤로 방식을 채택할 경우 특히, 습식건조방식인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경우 공기 노출로 인해 접착 품질이 일정치 않은 문제가 발생하고, 설비를 작동을 일시 중단할 경우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경화되어 재 가동시 사용이 불가해지므로 가구용 판재 제작 설비를 일시 중단할 수 없고 쉬는 시간 없이 지속적으로 가동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방수성능의 향상 필요 등 가구의 사용환경이나, 폴리우레탄 접착제 도포하는 엣지밴딩이 적용되는 파티클 보드나 MDF의 재질 및 표면상태, 폴리우레탄 접착제 도포하는 엣지밴딩 작업환경, 및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혼합상태에 따라,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도포 두께나 양을 정밀하게 조정하여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도포 방식 및 도포 장치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도포 두께나 양을 정밀하게 조정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거나 매우 복잡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있어, 상기 롤러 방식의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노즐 배열 토출부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 이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가구용 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있어, 새로운 노즐 배열 토출부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에 있어, 용이하게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도포 두께의 정밀 조정이 가능한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 이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가구용 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엣지 접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밴딩장치의 설치조건을 확인하고, 가구용 판재 밴딩장치에 포함되는 각 장치를 설치하고 세팅하는 설정 단계(S100); 치수에 맞게 절단된 상하면을 코팅시트로 접착 마감한 가구용 판재가 엣지밴딩장치의 컨베이어 벨트 위에 투입되면, 밴딩이 부착되는 절단면을 사전 가공하는 전 처리 단계(S110); 상기 전 처리된 절단면에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하고, 사전 준비된 밴딩을 부착하는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 단계(S120); 가구용 부재의 전방에 접착되고 남은 밴딩을 제거하는 제1 엔드 커팅 단계(S130); 가구용 부재의 상하면으로 노출된 밴딩부분과 여분의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거하는 제1 트리밍 단계(S140); 상하면 칼날 트리밍이 완료된 밴딩의 모서리부분을 스크래핑하여 연마하여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하는 스크래핑 단계(S150); 가구용 부재의 후방에 접착되고 남은 밴딩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절단 칼날을 사용하여 가구용 부재의 후방의 남은 밴딩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제2 엔드 커팅 단계(S160); 가구용 부재의 전방 및 후방의 모서리에 노출된 밴딩부분과 여분의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거하는 제2 트리밍 단계(S170); 가구용 부재의 오염 및 남아 있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거하는 버핑 단계(S180);를 포함하여, 상기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 단계(S120)는,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의 진행 방향에 수직으로 하나 이상의 노즐이 배열되어 형성된 노즐 배열 토출부(122)를 제어하여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절단면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설정 단계(S100)는,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에 도포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두께에 따라 하나이상의 사전 제작된 두께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기의 도포부에 설치하여 세팅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 배열 토출부(122)는, 복수의 원형 노즐을 배열하거나 복수의 짧은 슬릿 형태의 노즐을 배열하여 구성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 배열 토출부(122)는, 하나의 긴 형태의 노즐로 구성된다.
여기서, 설정 단계(S100)에서,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은 접착제 도포 헤드부(121)에 가구용 부재 이송방향으로 일정한 경사각(
Figure 112022089740488-pat00001
)을 가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경사각이 0이 되는 경우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 단계(S120)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각이 0보다 큰 사전 설정된 각도로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 단계(S120)의 수행이 중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에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하고, 사전 준비된 밴딩을 부착하는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기(120)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기(120)는, 도포 헤드부(121)의 가구용 판재의 이송측면에 설치되어, 폴리우테탄 접착제를 도출하여 이송되는 가구용 판재의 밴딩될 절단면에 도포하는 접착제 토출부(122)를 포함하여, 상기 접착제 토출부(122)는,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의 진행 방향에 수직으로 하나 이상의 노즐이 배열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제 토출부(122)는, 복수의 원형 노즐을 배열하거나 복수의 짧은 슬릿 형태의 노즐을 배열하여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에 도포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두께에 따라 하나이상의 사전 제작된 두께를 가지며, 접착제 도포 헤드부(121)에 결합되어, 가구용 판재의 밴딩될 절단면이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에 밀착되어 이송되며 상기 사전 제작된 두께만큼 접착제 토출부(122)로부터 이송되는 가구용 판재의 밴딩될 절단면이 일정하게 이격되도록 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은 접착제 도포 헤드부(121)에 가구용 판재 이송방향으로 일정한 경사각(
Figure 112022089740488-pat00002
)을 가지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판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 롤러 방식의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노즐 배열 토출부를 이용하여, 습식건조방식인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경우 공기 노출로 인해 접착 품질이 일정치 않은 문제와 가구용 판재 제작 설비를 일시 중단할 수 없고 쉬는 시간 없이 지속적으로 가동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 이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가구용 판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새로운 노즐 배열 토출부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에 있어 방수성능의 향상 필요 등 가구의 사용환경이나, 폴리우레탄 접착제 도포하는 엣지밴딩이 적용되는 파티클 보드나 MDF의 재질 및 표면상태, 폴리우레탄 접착제 도포하는 엣지밴딩 작업환경, 및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혼합상태에 따라 요구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도포 두께의 정밀 조정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구용 판재의 도포부로의 진입여부 및 도포부에서의 도포 위치를 판단하는 구성이 가능해져 접착제의 도포의 자동화된 처리가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폴리우레탄 접착제 도포의 정밀도를 더욱 향상하며,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과량 도포나 부족 도포를 감소시켜 이로 인해 발생하는 후 작업량의 증가 및 밴딩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 접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 접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100)의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기(120)의 접착제 도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접착제 도포부 및 이에 포함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에 의한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도포 두께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접착제 도포부에 포함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각 실시예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에 의하여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도포 두께를 유지하며 도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접착제 토출부(122)의 노즐 배열 토출부를 구현하는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의 진행 방향에 수직방향 일직선 상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노즐의 예시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 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명백히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 접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 접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은 도 2 내지 도 7에서 설명되는 엣지밴딩장치를 포함하는 가구용 판재 제작 설비에 의하여 수행되며, 일반적인 과정을 생략하고 이와 연관된 특징적인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설정 단계(S100)는, 도 2의 엣지 접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밴딩장치의 설치조건을 확인하고, 가구용 판재 밴딩장치에 포함되는 각 장치를 설치하고 세팅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은, 가구용 판재 밴딩장치의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기에 있어서,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에 도포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두께에 따라 하나이상의 사전 제작된 두께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기의 도포부에 설치하여 세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엣지 접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밴딩장치의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기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도포부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토출부는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의 진행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노즐이 배열된 노즐 배열 토출부를 가진다.
상기 노즐 배열 토출부는,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의 진행 방향에 수직방향 일직선 상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다양한 형태의 노즐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요되는 도포 두께에 따라 사전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복수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을 포함하고,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은, 도포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소요되는 도포 두께에 따라 선택되어 사전 설정 단계에서 선택되어 설치 및 교체된다.
선택된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의 두께에 따라,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도포 압력조건들을 조정하여 설정한다.
전 처리 단계(S110)는, 치수에 맞게 절단된 상하면을 코팅시트로 접착 마감한 가구용 판재가 엣지밴딩장치의 컨베이어 벨트 위에 투입되면, 밴딩이 부착되는 절단면을 사전 가공하는 과정이다.
전 처리 단계는 RT커터로 회전하는 RT컷터 날물이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을 따라 일정한 (예컨대,1mm) 두께로 절단면을 균일하게 절단하여 처내는 RT커팅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가열부를 포함하여 상기 RT커팅된 절단면을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는 절단면 가열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로는 비접촉식 가열을 위해 고온의 광선을 방출하는 할로겐 램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100)의 전 처리부(110)에 의하여 수행된다.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 단계(S120)는, 상기 전 처리된 절단면에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하고, 사전 준비된 밴딩을 부착하는 과정으로, 본 발명의 경우 후술하는 특징적인 구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사전 설정된 두께로 절단면에 도포하는 도포부에 의하여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사전 설정된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고, 압착롤러를 포함하는 접착부에 의하여 도포된 절단면에 밴딩을 부착하고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경화시켜 절단면에 밴딩을 접착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100)의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기(120)에 의하여 수행된다.
도 3 및 도 7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의 진행 방향에 수직으로 하나 이상의 노즐이 배열되어 형성된 노즐 배열 토출부(122)를 제어하여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절단면에 도포한다.
설정 단계(S100)에서 소요되는 도포 두께에 따라 사전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복수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 중 선택되어 설치된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의 두께에 따라,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도포된다.
제1 엔드 커팅 단계(S130)는, 가구용 판재의 전방에 접착되고 남은 밴딩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절단 칼날로 가구용 판재의 전방의 남은 밴딩을 절단하여 제거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100)의 제1 엔드 커팅부(130)에 의하여 수행된다.
제1 트리밍 단계(S140)는, 가구용 판재의 상하면으로 노출된 밴딩부분과 여분의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거하는 과정이다. 상하면에 다이아 컷터를 장착한 트리머 및 상하면에 칼날을 장착한 트리머를 포함하여 상하면에 다이아 컷터를 장착한 트리머로 노출된 밴딩부분과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거하여 다듬고, 이어 칼날을 장착한 트리머는, 가구용 보드의 두께에 맞게 다듬어진 밴딩 부분의 모서리를 칼날로 다듬어 상하면을 칼날 트리밍한다. 대략 0.5R 값을 가진 칼날이 사용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100)의 제1 트리밍부(140)에 의하여 수행된다.
스크래핑 단계(S150)는, 상하면 칼날 트리밍이 완료된 밴딩의 모서리부분을 스크래핑하여 연마하여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가구용 판재의 형태 및 상태에 따라 적절한 사양의 스크래퍼가 선택되어 사용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100)의 스크래핑부(150)에 의하여 수행된다.
제2 엔드 커팅 단계(S160)는, 가구용 판재의 후방에 접착되고 남은 밴딩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절단 칼날을 사용하여 가구용 판재의 후방의 남은 밴딩을 절단하여 제거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100)의 제2 엔드 커팅부(160)에 의하여 수행된다.
제2 트리밍 단계(S170)는, 가구용 판재의 전방 및 후방의 모서리에 노출된 밴딩부분과 여분의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거하는 과정이다. 전방 및 후방의 수직 모서리에 대응하여 다이아 컷터를 장착한 트리머 및 칼날을 장착한 트리머를 사용하며 다이아 컷터를 장착한 트리머로 노출된 밴딩부분과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거하여 다듬고, 이어 칼날을 장착한 트리머는, 다듬어진 밴딩 부분의 전방 및 후방 수직 모서리를 칼날로 다듬어 상하면을 칼날 트리밍한다. 대략 0.5R 값을 가진 칼날이 사용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100)의 제2 트리밍부(170)에 의하여 수행된다.
버핑 단계(S180)는, 가구용 판재의 오염 및 남아 있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회전하는 버핑천이 사용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100)의 버핑부(S180)에 의하여 수행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 접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100)는 엣지밴딩장치의 컨베이어 벨트 위에 투입된 치수에 맞게 절단된 상하면을 코팅시트로 접착 마감한 가구용 판재의 엣지밴딩을 위해, 컨베이어 벨트 주변에 설치되는, 전 처리부(110),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기(120), 제1 엔드 커팅부(130), 제1 트리밍부(140), 스크래핑부(150), 제2 엔드 커팅부(160), 제2 트리밍부(170), 및 버핑부(S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 처리부(110)는, 밴딩이 부착되는 절단면을 사전 가공하는 장치로서, 회전하는 RT컷터 날물이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을 따라 일정한 (예컨대,1mm) 두께로 절단면을 균일하게 절단하여 처내는 RT커팅을 수행하는 RT커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상기 RT커팅된 절단면을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열부로 비접촉 식 가열을 위해 고온의 광선을 방출하는 할로겐 램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기(120)는, 상기 전 처리된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에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하고, 사전 준비된 밴딩을 부착하는 장치로서,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사전 설정된 두께로 절단면에 도포하는 도포부와 상기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도포된 절단면에 밴딩을 부착하고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경화시켜 절단면에 밴딩을 접착하는 압착롤러를 포함하는 접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 도포부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토출부는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의 진행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된 노즐 배열 토출부를 가지며, 실시예에 따라, 소요되는 도포 두께에 따라 사전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복수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을 포함하고,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은, 도포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소요되는 도포 두께에 따라 선택되어 사전 설정 단계에서 선택되어 설치 및 교체 가능하다. 이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7을 통하여 설명한다.
제1 엔드 커팅부(130)는, 가구용 판재의 전방에 접착되고 남은 밴딩을 제거하는 장치로, 절단 칼날을 포함하여 가구용 판재의 전방의 남은 밴딩을 절단하여 제거한다.
제1 트리밍부(140)는, 가구용 판재의 상하면으로 노출된 밴딩부분과 여분의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거하는 장치로, 상하면에 다이아 컷터를 장착한 트리머 및 상하면에 칼날을 장착한 트리머를 포함하여 상하면에 다이아 컷터를 장착한 트리머로 노출된 밴딩부분과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거하여 다듬고, 이어 칼날을 장착한 트리머는, 가구용 보드의 두께에 맞게 다듬어진 밴딩 부분의 모서리를 칼날로 다듬어 상하면을 칼날 트리밍한다. 대략 0.5R 값을 가진 칼날이 사용된다.
스크래핑부(150)는, 상하면 칼날 트리밍이 완료된 밴딩의 모서리부분을 스크래핑하여 연마하여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하는 장치로, 적절한 형태의 스크래퍼가 장착된다.
제2 엔드 커팅부(160)는, 가구용 판재의 후방에 접착되고 남은 밴딩을 제거하는 장치로, 절단 칼날을 포함하여 가구용 판재의 후방의 남은 밴딩을 절단하여 제거한다.
제2 트리밍부(170)는, 가구용 판재의 전방 및 후방의 모서리에 노출된 밴딩부분과 여분의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거하는 장치로, 전방 및 후방의 수직 모서리에 대응하여 다이아 컷터를 장착한 트리머 및 칼날을 장착한 트리머를 포함하여 다이아 컷터를 장착한 트리머로 노출된 밴딩부분과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거하여 다듬고, 이어 칼날을 장착한 트리머는, 다듬어진 밴딩 부분의 전방 및 후방 수직 모서리를 칼날로 다듬어 상하면을 칼날 트리밍한다. 대략 0.5R 값을 가진 칼날이 사용된다.
버핑부(S180)는, 가구용 판재의 오염 및 남아 있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거하는 장치로, 회전하는 버핑천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100)의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기(120)의 접착제 도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100)의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기(120)의 접착제 도포부는 접착제 도포 헤드부(121), 접착제 토출부(122),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 토출 높이 조절부(124), 표시부(125), 폴리우레탄 접착제 공급부(126), 및 온도 조절부(127)을 포함한다.
접착제 토출부(122)는 도포 헤드부(121)의 가구용 판재의 이송측면에 설치되어, 폴리우테탄 접착제를 도출하여 이송되는 가구용 판재의 밴딩될 절단면에 도포한다.
이를 위해, 엣지 접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밴딩장치의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기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도포부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토출부(122)는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의 진행 방향에 수직으로 하나 이상의 노즐이 배열되어 형성된 노즐 배열 토출부를 가진다.
상기 노즐 배열 토출부는, 도 7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의 진행 방향에 수직방향 일직선 상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노즐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요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노즐에 의하여 토출하여 이송되는 가구용 판재 절단면에 직접 도포함으로써, 기존 롤러방식이나 접착제를 아래로 흘리는 방식의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도포시 공기 노출로 인해 접착 품질이 일정치 않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식사, 휴식 등 설비를 정지하여야 하는 경우 단순히 노즐 배열 토츨부의 접착제 분출 및 도포를 정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가구용 판재 제작 설비를 쉬는 시간 없이 지속적으로 가동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은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에 도포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두께에 따라 하나이상의 사전 제작된 두께를 가지며, 접착제 도포 헤드부(121)에 결합되어, 가구용 판재의 밴딩될 절단면이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에 밀착되어 이송되며 상기 사전 제작된 두께만큼 접착제 토출부(122)로부터 이송되는 가구용 판재의 밴딩될 절단면이 일정하게 이격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에 도포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두께를 용이하게 일정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에 도포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두께에 따라 하나이상의 사전 제작된 두께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기의 도포부에 설치하여 세팅하며, 이를 위해, 소요되는 도포 두께에 따라 사전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복수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을 포함하고,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은, 도포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소요되는 도포 두께에 따라 선택되어 사전 설정 단계에서 선택되어 설치 및 교체된다.
토출 높이 조절부(124)는, 예컨대 조작핸들 등으로 이루어져, 조작핸들의 작동에 의하여 도포/밴딩 접착기(120)의 접착제 도포부의 높이를 조정한다.
표시부(125)는, 도포부의 작동에 소요되는 사전 조절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토출량, 토출압력, 토출 높이 등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한다.
폴리우레탄 접착제 공급부(126)는, 용융상태의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저장부(미도시)로부터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공급받아 임시 저장하며, 일정 압력을 유지하며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접착제 토출부(122)로 일정한 량이 분출되도록 한다.
온도 조절부(127)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공급부(126)에 열을 공급하여 사전 설정된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조절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접착제 도포부 및 이에 포함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에 의한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도포 두께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접착제 도포부에 포함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4 (a) 내지 도 4(c)에서와 같이 각각 소요되는 도포 두께에 따라 사전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복수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이 포함되며, 소요되는 도포 두께에 따라 선택되어 사전 설정 단계에서 선택되어 설치 및 교체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a)의 실시예의 경우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은, 접착제 도포 헤드부(121)에 밀착 결합되어, 사전 제작된 두께만큼 접착제 토출부(122)로부터 이송되는 가구용 판재의 밴딩될 절단면이 일정하게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b)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은 접착제 도포 헤드부(121)에 가구용 판재 이송방향으로 일정한 경사각(
Figure 112022089740488-pat00003
)을 가지고 후단에 결합부분을 축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각 실시예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에 의하여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도포 두께를 유지하며 도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a)는 도 5(a)의 실시예의 경우로 이송되는 가구용 판재(10)의 절단면은 접착제 도포 헤드부(121)에 밀착 결합된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에 밀착되어 슬라이딩 되며 이송되고, 이에 따라, 선택되어 결합된 사전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의 사전 설정된 두께에 따라 절단면에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하여 일정한 두께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층(1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b)는 도 5(b)의 실시예의 경우로, 이송되는 가구용 판재(10)의 절단면은 접착제 도포 헤드부(121)의 일단에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을 가압하여, 접착제 도포 헤드부(121)에 밀착시키며 슬라이딩하며 이송되고, 이에 따라, 선택되어 결합된 사전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의 사전 설정된 두께에 따라 절단면에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접착제(11)을 도포할 수 있다. 도 5(b)의 실시예가 적용된 도 6(b)의 경우,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에 적용된 탄성에 의하여,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과 가구용 판재(10)의 절단면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경사각(
Figure 112022089740488-pat00004
)의 변화에 따라, 가구용 판재(10)의 도포부로의 진입여부 및 도포부에서의 도포 위치를 판단하는 구성이 가능해져, 가구용 판재(10)가 진입하여 도포 위치에 진입하였을 경우, 상기 경사각(
Figure 112022089740488-pat00005
)이 0이 되므로 접착제 토출부(122)를 제어하여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도포를 개시하고, 도포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거나 도포가 완료되어 도포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경사각(
Figure 112022089740488-pat00006
)은 0보다 크고 초기 값 경사 값 이하의 범위 이므로 접착제 토출부(122)를 제어하여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도포를 중지할 수 있어, 상기 경사각이 0이 되는 경우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 단계(S120)가 개시되거나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상기 경사각이 0보다 큰 사전 설정된 각도로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 단계(S120)의 수행을 중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착제의 도포 및 밴딩의 부착의 자동화된 처리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폴리우레탄 접착제 도포의 정밀도를 더욱 향상하며,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과량 도포나 부족 도포를 감소시켜 이로 인해 발생하는 후 작업량 및 밴딩 품질의 열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접착제 토출부(122)의 노즐 배열 토출부를 구현하는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의 진행 방향에 수직방향 일직선 상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노즐의 예시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원형 노즐을 배열하여 노즐 배열 토출부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도 7(a)의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3개의 원형 노즐을 수직방향 일직선 상에 배열하여 노즐 배열 토출부를 구현한 것이며, 또한, 복수의 직사각형 내지 짧은 슬릿 형태의 노즐을 수직방향 일직선 상에 배열하여 노즐 배열 토출부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도 7(b)의 경우 3개의 직사각형 내지 짧은 슬릿 형태의 노즐을 수직방향 일직선 상에 배열하여 노즐 배열 토출부를 구현한 것이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의 노즐로서 노즐 배열 토출부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도 7(c)의 경우 하나의 직사각형 내지 긴 슬릿 형태의 노즐을 수직방향 일직선 상에 배열하여 노즐 배열 토출부를 구현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 롤러 방식의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노즐 배열 토출부를 이용하여, 습식건조방식인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경우 공기 노출로 인해 접착 품질이 일정치 않은 문제와 가구용 판재 제작 설비를 일시 중단할 수 없고 쉬는 시간 없이 지속적으로 가동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 이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가구용 판재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새로운 노즐 배열 토출부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에 있어 방수성능의 향상 필요 등 가구의 사용환경이나, 폴리우레탄 접착제 도포하는 엣지밴딩이 적용되는 파티클 보드나 MDF의 재질 및 표면상태, 폴리우레탄 접착제 도포하는 엣지밴딩 작업환경, 및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혼합상태에 따라 요구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도포 두께의 정밀 조정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구용 판재의 도포부로의 진입여부 및 도포부에서의 도포 위치를 판단하는 구성이 가능해져 접착제의 도포의 자동화된 처리가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폴리우레탄 접착제 도포의 정밀도를 더욱 향상하며,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과량 도포나 부족 도포를 감소시켜 이로 인해 발생하는 후 작업량 및 밴딩 품질의 열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가구용 판재
11: 폴리우레탄 접착제 층
100: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

Claims (12)

  1.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에 있어서,
    엣지 접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밴딩장치의 설치조건을 확인하고, 가구용 판재 밴딩장치에 포함되는 각 장치를 설치하고 세팅하는 설정 단계(S100);
    치수에 맞게 절단된 상하면을 코팅시트로 접착 마감한 가구용 판재가 엣지밴딩장치의 컨베이어 벨트 위에 투입되면, 밴딩이 부착되는 절단면을 사전 가공하는 전 처리 단계(S110);
    상기 전 처리된 절단면에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하고, 사전 준비된 밴딩을 부착하는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 단계(S120);
    가구용 판재의 전방에 접착되고 남은 밴딩을 제거하는 제1 엔드 커팅 단계(S130);
    가구용 판재의 상하면으로 노출된 밴딩부분과 여분의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거하는 제1 트리밍 단계(S140);
    상하면 칼날 트리밍이 완료된 밴딩의 모서리부분을 스크래핑하여 연마하여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하는 스크래핑 단계(S150);
    가구용 판재의 후방에 접착되고 남은 밴딩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절단 칼날을 사용하여 가구용 판재의 후방의 남은 밴딩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제2 엔드 커팅 단계(S160);
    가구용 판재의 전방 및 후방의 모서리에 노출된 밴딩부분과 여분의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거하는 제2 트리밍 단계(S170);
    가구용 판재의 오염 및 남아 있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거하는 버핑 단계(S180);를 포함하여,
    상기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 단계(S120)는,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의 진행 방향에 수직으로 하나 이상의 노즐이 배열되어 형성된 접착제 토출부(122)를 제어하여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절단면에 도포하며,
    상기 설정 단계(S100)는,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에 도포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두께에 따라 하나이상의 사전 제작된 두께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기의 도포부에 설치하여 세팅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토출부(122)는, 복수의 원형 노즐을 배열하거나 복수의 짧은 슬릿 형태의 노즐을 배열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토출부(122)는, 하나의 긴 형태의 노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설정 단계(S100)에서,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은 접착제 도포 헤드부(121)에 가구용 판재 이송방향으로 일정한 경사각(
    Figure 112022128710388-pat00007
    )을 가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경사각이 0이 되는 경우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 단계(S120)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이 0보다 큰 사전 설정된 각도로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 단계(S120)의 수행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
  7.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에 있어서,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에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하고, 사전 준비된 밴딩을 부착하는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기(120)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도포/밴딩 접착기(120)는,
    도포 헤드부(121)의 가구용 판재의 이송측면에 설치되어, 폴리우테탄 접착제를 도출하여 이송되는 가구용 판재의 밴딩될 절단면에 도포하는 접착제 토출부(122)를 포함하여,
    상기 접착제 토출부(122)는,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의 진행 방향에 수직으로 하나 이상의 노즐이 배열되어 형성되고,
    가구용 판재의 절단면에 도포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두께에 따라 하나이상의 사전 제작된 두께를 가지며, 접착제 도포 헤드부(121)에 결합되어, 가구용 판재의 밴딩될 절단면이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에 밀착되어 이송되며 상기 사전 제작된 두께만큼 접착제 토출부(122)로부터 이송되는 가구용 판재의 밴딩될 절단면이 일정하게 이격되도록 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토출부(122)는, 복수의 원형 노즐을 배열하거나 복수의 짧은 슬릿 형태의 노즐을 배열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은 접착제 도포 헤드부(121)에 가구용 판재 이송방향으로 일정한 경사각(
    Figure 112022089740488-pat00008
    )을 가지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접착제 두께 조절판(123)은 후단에 결합부분을 축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
  12. 삭제
KR1020220107466A 2022-08-26 2022-08-26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 KR102496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466A KR102496900B1 (ko) 2022-08-26 2022-08-26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466A KR102496900B1 (ko) 2022-08-26 2022-08-26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900B1 true KR102496900B1 (ko) 2023-02-07

Family

ID=8522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466A KR102496900B1 (ko) 2022-08-26 2022-08-26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9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448A (ko) * 2004-01-28 2005-08-02 장봉관 목재패널의 에지가공장치
KR102109769B1 (ko) * 2019-11-01 2020-05-12 주식회사 넥시스 패널의 엣지 접착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448A (ko) * 2004-01-28 2005-08-02 장봉관 목재패널의 에지가공장치
KR102109769B1 (ko) * 2019-11-01 2020-05-12 주식회사 넥시스 패널의 엣지 접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8561B2 (ja) 風力タービンブレードの自動製造システム
JPH0335063B2 (ko)
KR102496900B1 (ko)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한 엣지밴딩 방식의 가구용 판재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구용 판재 엣지밴딩장치
US20050167027A1 (en) Method of surfacing a substrate
GB2150078A (en) Book binding machine
EP2774758B1 (en) Apparatus for adhering a soft slab and a covering material together
JP2021181235A (ja) 有寸単板整形方法及び成形機構
US3279283A (en) Method of making razor blades
TW201034794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injection of CMP slurry
US3753832A (en) Edge banding machine
KR20100127427A (ko) 연마시트
KR101516489B1 (ko) 대리석 타일 제조 시스템 및 방법
CN102966649A (zh) 粘带的切割及粘结方法
US201703202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embossed sanding sponge
CN104275912B (zh) 一种带天窗顶棚的板材复合工艺
CN205436174U (zh) 单面研磨抛光机的晶片上蜡装置
CN210480401U (zh) 海绵贴装装置、生产线
KR101602072B1 (ko) 패드를 활용한 터치스크린 패널용 보호시트 제조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보호시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보호시트
KR200323301Y1 (ko) 목재 패널의 측면과 상면에 가공 및 부착필름의 부착이동시에 가능한 필름 부착장치
JP6995344B2 (ja) 昇降式糸糊バルブ装置及び横はぎ単板製造システム
KR101847261B1 (ko) 연마 도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0482071Y1 (ko) 샌딩기용 금속판 수평 유지장치
KR101605269B1 (ko) 지그를 활용한 터치스크린 패널용 보호시트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보호시트
KR102458930B1 (ko) 연마벨트용 연마제품 절단장치
CN218589085U (zh) 一种手术刀组装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