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653B1 - 혼합 충전제를 이용한 고 방열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혼합 충전제를 이용한 고 방열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5653B1 KR102495653B1 KR1020200071799A KR20200071799A KR102495653B1 KR 102495653 B1 KR102495653 B1 KR 102495653B1 KR 1020200071799 A KR1020200071799 A KR 1020200071799A KR 20200071799 A KR20200071799 A KR 20200071799A KR 102495653 B1 KR102495653 B1 KR 1024956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ler
- expanded graphite
- heat
- heat dissipation
- mix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8—Materials not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충전제를 이용한 고 방열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팽창 그라파이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및 금속나노입자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충전제(Filler) 및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고분자(Base Polymer)를 포함하는 방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혼합 충전제를 이용한 고 방열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팽창 그라파이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및 금속나노입자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충전제를 포함한 고 방열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 조명시장에서 LED(Light Emitting Diode)의 규모는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전체 조명 시장의 50%에 육박하는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LED 광원은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로 전계 발광 효과를 이용한다. LED가 전계 발광 효과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80%를 열에너지로 방출하지만, LED자체는 온도가 올라가면 발광 효율이 떨어지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LED조명의 접합부 온도가 10℃ 낮아지면 발광효율은 20%가량 향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LED의 방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개질된 팽창 그라파이트를 충전제(Filler) 함유시켜 열전도성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있었다. 하지만 LED의 출력이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높아지며, 그에 따라 방출하는 열 또한 증가하여 종래의 개질된 팽창 그라파이트를 충전제(Filler)를 함유한 방열 접착제로는 온도 상승으로 인한 발광효율 감소를 막기 힘들어지는 실정에 이르렀다.
또한 방열 실리콘 시트를 부착하여 방열 효율을 높이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방열 시트는 굴곡 부분의 방열에는 취약한 단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 전도성이 우수한 방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 전도성이 우수한 방열 코팅제 및 방열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방열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열 조성물은 팽창 그라파이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및 금속나노입자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충전제(Filler);및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고분자(Base Polymer);를 포함하는 방열 조성물 일 수 있다.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는 부피 팽창률이 200 이상이고, 평균 입도가 100 내지 200미크론인 것일 수 있고, 상기 충전제는,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와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9:1 내지 5: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금속나노입자는 평균 입도가 10 내지 300nm이고, 금, 은, 구리, 알루미늄, 은코팅니켈, 은코팅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규소,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탄화규소, 질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규소 및 질화티타늄 중 한가지 이상의 금속나노입자 일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분산제 및 계면활성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폴리비닐실록산 및 폴리디메틸실록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인 방열 코팅제 및 방열 접착제는 팽창 그라파이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및 금속나노입자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충전제(Filler) 및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고분자(Base Polym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 접착제는 금속-실리콘 소재 간 접착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LED(Light Emitting Diode)조명의 접착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열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열 코팅제 및 방열 접착제는 충전제의 우수한 분산성으로 인해 도포 시 일정한 열전도성을 가지며, 도포된 방열 코팅제 및 방열 접착제는 2.5W/mK 이상의 열전도도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방열 조성물은 최고 150℃까지 물성을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내열 성능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코팅제를 LED조명 기판에 도포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조성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조성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 조성물은 팽창 그라파이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및 금속나노입자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충전제를 사용한다. 상기 혼합 충전제는 기존의 단일 충전제를 사용한 경우 보다, 추가로 첨가되는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으로 인해 열전도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혼합 충전제의 구성요소로 팽창 그라파이트와 탄소나노튜브 혼합물, 팽창 그라파이트와 그래핀 혼합물, 팽창 그라파이트와 금속나노입자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분산성 측면에서 팽창 그라파이트와 탄소나노튜브 혼합물을 이용한 혼합 충전제가 분산성이 우수하여 일정한 물성을 가지므로 그라파이트와 탄소나노튜브 혼합물을 이용한 혼합 충전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는 바람직하게 부피 팽창률이 200 이상이고, 평균 입도가 100 내지 200미크론(micron)이며, 기공의 직경은 1 내지 50 ㎛이고, 기공형상이 벌집 모양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의 부피 팽창률이 200 이상이 되어야 방열 조성물에 열이 가해진 경우 팽창 그라파이트의 부피 팽창으로 표면적이 크게 넓어지며 우수한 방열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의 평균 입도가 100미크론 미만인 경우 부피팽창으로 인한 방열효과가 떨어지며, 200미크론보다 큰 경우에는 충전제에서 다른 조성물과 혼합될 때 분산성이 떨어지고 방열 조성물의 균일한 물성을 기대하기 어려워진다. 하지만 본 발명 팽창 그라파이트은 상기 물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탄소계 소재인 팽창 그라파이트(Expanded graphite)는 열전도도가 높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가벼워서 고기능성 복합재료를 요하는 분야에서 응용이 기대 되는 신소재로 주목 받고 있다. 팽창 그라파이트는 천연 그라파이트 또는 인조 그라파이트 등의 그라파이트에 화학처리를 거치면 그라파이트 층간 화합물을 형성하고, 이에 대해 고온처리 과정을 거치면 급속히 분해된 후 다시 팽창하여, 체적이 기존의 수십 내지 수 백배로 증가되어 얻어진 것을 말한다.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를 적용한 복합재료의 열전도도는 팽창 그라파이트가 박리된 정도, 분산상태, 종횡비에 따라 달라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상기 팽창그라파이트를 사용하게 되면, 주재료인 실리콘 수지 내에서 분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충전제는 전도성 물질인 팽창 그라파이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및 금속나노입자 등을 포함하고 있어, 전도성을 가진다. 따라서 전류의 흐름이 필요한 접착 부위에서 본 발명의 방열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제만으로도 전류가 흐를 수 있고, 별도의 도선이 필요하지는 않은 장점이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이중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 wall carbon nanotube)일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일 때, 직경은 5 내지 30 nm일 수 있고, 길이는 3 내지 20 ㎛일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조성물로서 바람직하게 팽창 그라파이트와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9:1 내지 5:5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조성 비율은 필요한 물성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상기 중량범위에서 5:5의 중량비와 가까운 중량비일 수록 전도성이 높아지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탄소나노튜브의 중량비가 상기 9:1 보다 적은 경우, 기존의 팽창 그라파이트만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열전도도 개선효과가 미미하며, 탄소나노튜브의 중량비가 상기 5:5 보다 많은 경우, 방열 조성물의 팽창성이 떨어져 부피 팽창으로 인한 열전도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충전제의 조성물로 포함될 수 있는 금속나노입자는 평균 입도가 10 내지 3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나노입자의 평균 입도가 10nm보다 작은 경우 열전도 개선 효과가 떨어지며, 300nm보다 큰 경우에는 팽창 그라파이트와의 관계에서 분산성이 저하되어 일정한 물성의 방열 조성물을 제조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금속나노입자는 바람직하게 금, 은, 구리, 알루미늄, 은코팅니켈, 은코팅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규소,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탄화규소, 질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규소, 질화티타늄 중 한 가지 이상의 금속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기 및 열전도성이 높은 금, 은, 구리 중 한가지 이상의 금속일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분산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분산제(Dispersant) 및 계면활성제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표면 개질을 할 수 있다. 표면 개질은 질산, 황산, 염산, 아세트산, 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하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산과 황산의 혼합산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이때 질산과 황산은 0.1:1 ~ 1:1 부피비로 혼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표면 개질을 통해 도입되는 기능화기는 산소함유 기능화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에폭시기, 카르보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기능화기의 도입으로 인하여 상기 충전재가 더욱 미립화될 수 있으며, 구조적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조성물이 구조적으로 안정됨으로써 충전제의 침전을 방지하고, 실리콘계 수지와의 결합력, 밀착력 및 분산성을 향상시켜 보다 균질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이와 같은 균일한 분산을 통하여 조성물의 방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기재고분자에 포함되는 실리콘계 수지는 바람직하게 폴리비닐실록산(Polyvinyl siloxane) 및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실록산 및 폴리디메틸실록산 모두 기재 고분자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폴리비닐실록산과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중량비는 60:40 내지 90:10인 것이 바람직하며, 고점도의 폴리비닐실록산의 중량비가 높아질수록 방열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는 특성이 나타난다. 고점도의 폴리비닐실록산과 저점도의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중량비를 조절하여 필요한 점도의 방열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하지만 폴리비닐실록산이 상기 90:10 보다 많이 첨가된 경우, 방열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 접착제 및 코팅제로 도포되는 경우에 적합하지 않으며, 폴리비닐실록산이 상기 60:40 보다 적게 첨가되는 경우, 방열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아 접착제 또는 코팅제로 도포 시 흘러내리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팽창 그라파이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및 금속나노입자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충전제(Filler) 및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고분자(Base Polymer)를 포함하는 방열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열 코팅제 또는 방열 접착제 일 수 있다.
상기 방열 코팅제 및 방열 접착제는 산업용으로 열전도도가 2.5 내지 3.0 W/Mk일 수 있다.
상기 방열 접착제는 금속과 실리콘 소재를 접착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열 접착제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금속의 부착하려는 부위를 프라이머(Primer) 처리를 할 수 있다. 접착용 프라이머로는 실란 커플링제와 같은 저분자 화합물 또는 고형분이 낮은 저점도의 고분자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열 접착제는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의 기판 부분에 도포되어 금속기재에 부착시키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LED 조명은 고출력일수록 발열량 또한 많은 특성이 있다. 따라서 LED 조명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기판을 통해 본 발명의 방열접착제를 사용하여 금속에 접착시킨다면, LED 조명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효율적으로 금속기판으로 이동하여 열을 빠르게 방출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a) 팽창 그라파이트 분산액에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혼합 충전제 제조단계, b) 폴리비닐실록산에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첨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기재고분자 제조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기재고분자(Base Polymer)에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혼합 충전제를 첨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열 조성물 제조방법일 수 있다.
상기 방열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백금과 같은 촉매가 더 첨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방열 조성물 제조방법은 일반적인 접착제 또는 코팅제에 첨가되는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험예: 방열 코팅제의 물성 측정]
하기 [표 1]은 종래 단일 팽창 그라파이트 만을 사용하여 충전제을 제조한 경우(비교예1)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 그라파이트와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충전제를 제조한 경우(실시예1)의 방열 코팅제의 물성을 비교하였다.
구분 | 비교예1 | 실시예1 |
충전제 조성물 | 팽창 그라파이트 | 팽창 그라파이트+CNT 혼합 |
충전제 입도(Particle Size) <시험규격: ISO-13320-1> |
100미크론 이하 | 100~200미크론 |
충전제 제타전위(Zeta Potential) <시험규격: ISO 13099> |
22 mV | 38~40 mV |
방열 코팅제 열전도도<시험규격: ASTM C518> | 1.5 W/mK | 2.5~3.0 W/mK |
코팅 성능<시험규격: ASTM D3359> | 2B | 4B |
내열 성능(부피변화=물성파괴 온도) <시험규격: ASTM D648> |
120℃ | 138~150 ℃ |
(CNT: 탄소나노튜브)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제는 제타전위가 종래 충전제의 제타 범위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제타전위 값이 클수록 입자들간의 반발력이 크고 안정된 특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충전제는 종래 충전제에 비하여 분산성이 크고 충전제가 기재 고분자에 골고루 분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1에 따른 방열 코팅제의 열 전도도는 비교에1에 따른 방열 코팅제의 열전도도에 비하여 최대 2배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방열 조성물, 상기 방열 조성물의 용도 및 본 발명의 방열 조성물 제조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 LED 조명의 기판 부분에 도포되어 금속기재에 부착시키는 방열 접착제로,
상기 방열 접착제는,
팽창 그라파이트와 탄소나노튜브가 9:1 내지 5:5의 중량비로 혼합된 충전제(Filler); 및
폴리비닐실록산(Polyvinylsiloxane)과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이 60:4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이루어진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고분자(Base Polymer);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는 평균 입도가 100 내지 200미크론이고, 부피 팽창률이 200 이상이며,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직경 5 내지 30 nm 및 길이 3 내지 20 ㎛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이고,
상기 충전제의 제타전위가 38-40 m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접착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분산제 및 계면활성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접착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LED 조명의 기판 부분에 도포되어 금속기재에 부착시키는 방열 접착제의 제조방법으로,
a) 팽창 그라파이트 분산액에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혼합 충전제 제조단계;
b) 폴리비닐실록산에 폴리디메틸실록산을 60:4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첨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고분자 제조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기재고분자(Base Polymer)에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혼합 충전제를 첨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충전제는, 팽창 그라파이트와 탄소나노튜브가 9:1 내지 5: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는 평균 입도가 100 내지 200미크론이고, 부피 팽창률이 200 이상이며,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직경 5 내지 30 nm 및 길이 3 내지 20 ㎛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이고,
상기 제조된 혼합 충전제의 제타전위가 38-40 mV인,
방열 접착제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0/007678 WO2021251533A1 (ko) | 2020-06-12 | 2020-06-12 | 혼합 충전제를 이용한 고 방열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0200071799A KR102495653B1 (ko) | 2020-06-12 | 2020-06-12 | 혼합 충전제를 이용한 고 방열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1799A KR102495653B1 (ko) | 2020-06-12 | 2020-06-12 | 혼합 충전제를 이용한 고 방열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4617A KR20210154617A (ko) | 2021-12-21 |
KR102495653B1 true KR102495653B1 (ko) | 2023-02-06 |
Family
ID=78846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1799A KR102495653B1 (ko) | 2020-06-12 | 2020-06-12 | 혼합 충전제를 이용한 고 방열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5653B1 (ko) |
WO (1) | WO202125153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9638B1 (ko) * | 2021-10-14 | 2024-04-23 | 경일대학교 산학협력단 | 원전해체기기에 적용을 위한 전자파차폐 실링용 조성물 |
CN114213922B (zh) * | 2022-01-24 | 2022-07-05 | 东莞市安宿泰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散热涂料及其制备方法 |
CN115505309A (zh) * | 2022-10-26 | 2022-12-23 | 天津中电立正石墨烯科技有限公司 | 一种水性石墨烯散热涂料及其制备方法 |
CN117050408A (zh) * | 2023-08-09 | 2023-11-14 |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唐山供电公司 | 一种高导热复合材料和制备方法及其所制得的高效散热管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112568A (ja) * | 2017-12-25 | 2019-07-11 | 日本ゼオン株式会社 | 熱伝導シート |
CN110800388A (zh) | 2017-07-06 | 2020-02-14 | 株式会社Lg化学 | 复合材料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216353A (ja) * | 2014-04-23 | 2015-12-03 | 日東電工株式会社 | 波長変換接合部材、波長変換放熱部材および発光装置 |
EP3182417A1 (en) * | 2014-08-14 | 2017-06-21 | Alteco Korea Co. Ltd. | Conductive complex and preparing method therefor |
KR102254221B1 (ko) * | 2014-10-07 | 2021-05-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JP6091019B2 (ja) * | 2015-02-02 | 2017-03-08 |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 熱伝導性導電性接着剤組成物 |
WO2017150748A1 (ko) * | 2016-03-02 | 2017-09-08 | 주식회사 대신테크젠 | 자동차 조명 하우징 적용을 위한 고열전도성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2020
- 2020-06-12 WO PCT/KR2020/007678 patent/WO202125153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06-12 KR KR1020200071799A patent/KR10249565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800388A (zh) | 2017-07-06 | 2020-02-14 | 株式会社Lg化学 | 复合材料 |
JP2019112568A (ja) * | 2017-12-25 | 2019-07-11 | 日本ゼオン株式会社 | 熱伝導シー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251533A1 (ko) | 2021-12-16 |
KR20210154617A (ko) | 2021-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95653B1 (ko) | 혼합 충전제를 이용한 고 방열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TWI700243B (zh) | 六方晶氮化硼粉末及其製造方法以及使用其之組成物及散熱材 | |
Kim et al. | Roles of silica-coated layer on graphite for thermal conductivity, heat dissipation, thermal stability, and electrical resistivity of polymer composites | |
Hong et al. | A review on thermal conductivity of polymer composites using carbon-based fillers: carbon nanotubes and carbon fibers | |
JP2016135730A (ja) | 窒化ホウ素凝集粒子、該粒子の製造方法、該粒子を含む組成物、及び該粒子を含む成形体 | |
Akhtar et al. | Hybridization of hexagonal boron nitride nanosheets and multilayer graphene: Enhanced thermal properties of epoxy composites | |
JP2007516314A (ja) | ナノコンポジットおよびナノコンポジットに関する方法 | |
JPWO2008013252A1 (ja) | 熱伝導性接着剤 | |
JP2008303263A (ja) | 熱伝導性塗料 | |
KR100972753B1 (ko) | 방열용 질화알루미늄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열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01574B1 (ko) | 하이브리드 필러를 이용한 전도성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 |
JP6500339B2 (ja) | 放熱シートおよび放熱シート用塗布液、並びにパワーデバイス装置 | |
JP2014196403A (ja) | 熱硬化性樹脂組成物、熱伝導性樹脂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パワーモジュール | |
EP2688970A1 (en) | HIGH PERFORMANCE DIE ATTACH ADHESIVES (DAAs) NANOMATERIALS FOR HIGH BRIGHTNESS LED | |
CN111154126A (zh) | 一种纳米金刚石修饰氮化硼高柔性高导热复合薄膜的制备方法 | |
KR102111551B1 (ko) | 방열 소재 및 그 제조방법 | |
JP6379579B2 (ja) | 窒化ホウ素シート | |
JP2019131669A (ja) | 樹脂組成物および絶縁熱伝導性シート | |
KR100642622B1 (ko) |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면상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 |
Nayak et al. | Silver nanoparticles decorated α-alumina as a hybrid filler to fabricate epoxy-based thermal conductive hybrid composite for electronics packaging application | |
KR102384105B1 (ko) | 방열복합소재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766230B1 (ko) | 탄소복합소재를 이용한 방열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2015209546A (ja) | ナノカーボン複合材料 | |
Wu et al. | Synergistic Enhancement of Thermal Conductivity Through Nano Diamond Coordinated Boron Nitride | |
CN108611670B (zh) | 一种高导热绝缘基材的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