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756B1 -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방법과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방법과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756B1
KR102494756B1 KR1020210022791A KR20210022791A KR102494756B1 KR 102494756 B1 KR102494756 B1 KR 102494756B1 KR 1020210022791 A KR1020210022791 A KR 1020210022791A KR 20210022791 A KR20210022791 A KR 20210022791A KR 102494756 B1 KR102494756 B1 KR 102494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lack box
image
network connection
wireless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8835A (ko
Inventor
김차광
Original Assignee
하나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퍼블릭 씨오.,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퍼블릭 씨오.,엘티디. filed Critical 하나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퍼블릭 씨오.,엘티디.
Priority to KR1020210022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756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방법과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가 제공된다. 블랙박스 영상 수신 방법은, 전방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전방 차량이 인식된 경우, 상기 전방 차량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영상 인식하는 단계; 상기 차량 번호를 네트워크 암호로 사용하여 상기 전방 차량과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전방 차량으로부터 블랙박스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방법과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LACKBOX VIDEO}
본 발명은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방법과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랙박스는 항공기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블랙박스를 회수하여 그 저장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항공기의 사고 경위를 정확하게 알아내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장치로, 차량용 블랙박스는 교통사고의 정확한 파악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주행 중뿐만 아니라 주차나 정차 중에도 영상 또는 차량의 속도 등 다양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최근에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이 적용되어, 블랙박스는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도로 영상에서 차선을 인식하고 차선을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선이탈경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고, 차량의 주행 속도와 전방 차량과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고려하여 추돌사고 위험을 선제적으로 경고하는 전방추돌경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방 차량에서 블랙박스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주행 중 영상을 제공받아 전방 차량에 가려져 인지하기 어려운 전방 상황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방법과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수신 방법은, 전방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전방 차량이 인식된 경우, 상기 전방 차량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영상 인식하는 단계; 상기 차량 번호를 네트워크 암호로 사용하여 상기 전방 차량과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전방 차량으로부터 블랙박스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는,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을 이용하여 차선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차선을 기준으로 동일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을 상기 전방 차량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 영상 수신 방법은, 상기 검출된 차선을 기준으로 인접한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을 상기 전방 차량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 영상 수신 방법은, 상기 전방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전방 차량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영상 인식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차량 번호를 네트워크 암호로 사용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방법은, 차량 번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설정하는 단계; 후방 차량으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연결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연결 요청은 상기 후방 차량이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설정한 차량 번호와 상기 후방 차량이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블랙박스 영상을 상기 후방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수신 장치는, 전방 차량을 인식하는 차량 인식 모듈; 상기 전방 차량이 인식된 경우, 상기 전방 차량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영상 인식하는 영상 인식 모듈; 상기 차량 번호를 네트워크 암호로 사용하여 상기 전방 차량과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 설정 모듈;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전방 차량으로부터 블랙박스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인식 모듈은,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을 이용하여 차선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차선을 기준으로 동일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을 상기 전방 차량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인식 모듈은, 상기 검출된 차선을 기준으로 인접한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을 상기 전방 차량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인식 모듈은, 상기 전방 차량을 인식하거나, 상기 전방 차량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영상 인식하는 것을 반복 수행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연결 설정 모듈은, 상기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차량 번호를 네트워크 암호로 사용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재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전송 장치는, 후방 차량으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연결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연결 요청은 상기 후방 차량이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차량 번호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설정하는 차량 번호 설정 모듈; 및 블랙박스 영상을 상기 후방 차량에 전송하는 영상 전송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설정한 차량 번호와 상기 후방 차량이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영상 전송 모듈은, 상기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블랙박스 영상을 상기 후방 차량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후방 차량이 전방 차량에서 블랙박스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주행 중 영상을 제공받아 전방 차량에 가려져 인지하기 어려운 전방 상황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서, 후방 차량의 안전 운행, 교통 법규 준수, 교통 사고 저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방법과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는 차량(V1, V2)에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는 차량(V1, V2)에 탑재되는 블랙박스 장치 내부에서 영상을 촬영 및 기록하는 회로와 함께 구현되거나, 영상을 촬영 및 기록하는 회로와 구분되지만 블랙박스 장치와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블랙박스 장치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구현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성을 위해,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가 차량(V1, V2)의 블랙박스 장치와 일체형으로 구현된다는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차량(V1) 전방에 차량(V2)이 주행 중인 상황을 주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 때 차량(V1)은 "후방 차량(V1)"으로 지칭될 수 있고, 차량(V2)은 "전방 차량(V2)"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차량(V1)은 전방 차량(V2)으로부터, 전방 차량(V2)의 블랙박스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주행 중 영상을 제공받아, 전방 차량(V2)에 가려져 인지하기 어려운 전방 상황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후방 차량(V1)은 블랙박스 영상 수신 장치를 탑재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전방 차량(V2)은 블랙박스 영상 전송 장치를 탑재하는 것으로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그 의미는 차량(V1, V2)에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 중 어느 하나만이 탑재된다는 것으로 한정 해석되지 않으며, 차량(V1, V2)는 다른 차량과의 관계에서 전방 차량이 될 수도 있고 후방 차량이 될 수도 있으므로, 차량(V1, V2) 각각은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를 모두 탑재할 수 있다.
블랙박스 영상 수신 장치(10)는 후방 차량(V1)에 탑재되어 전방 차량(V2)으로부터 블랙박스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랙박스 영상 수신 장치(10)는 차량 인식 모듈(110), 영상 인식 모듈(120), 무선 네트워크 설정 모듈(130), 영상 수신 모듈(14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인식 모듈(110)은 전방 차량(V2)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인식 모듈(110)은 카메라(160)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에서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차량 인식 모듈(110)이 촬영 영상으로부터 차량을 인식하는 방식은 특정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영상의 픽셀 구성 자체를 분석하여 차량을 인식하는 방식부터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하여 차량을 인식하는 방식까지 다양할 수 있다.
차량 인식 모듈(110)에 의해 전방 차량(V2)이 인식된 경우, 영상 인식 모듈(120)은 전방 차량(V2)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영상 인식할 수 있다. 차량 인식 모듈(110)과 마찬가지로, 영상 인식 모듈(120)이 촬영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방식은 특정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영상의 픽셀 구성 자체를 분석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방식부터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방식까지 다양할 수 있다.
촬영 영상으로부터 차량 또는 차량 번호를 인식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한 예로서, 딥러닝 기반 영상 인식 기술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차량 내에 탑재 가능한 장치 상에서 인공지능 영상 인식을 구현할 수 있도록 경량(Lightweight) 딥러닝 기술 또는 하드웨어 가속화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경량 딥러닝 기술은 영상 인식의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모델의 크기를 줄이거나 연산을 간소화하여 소형 장치에 탑재할 수준으로 경량화하는 것으로,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의 콘볼루션 필터를 변형하여 연산 차원을 축소(reduction)하거나, 영향이 미미한 신경망의 가중치를 삭제하는 가지치기(pruning), 가중치 값의 부동 소수점을 줄여 연산 간소화를 구현하는 양자화(quantization) 등의 기법들이 있다. 한편, 하드웨어 가속화 기술은 인공지능의 판정 연산 가속화를 위한 전용 칩세트 또는 NPU(Neural Processing Unit)의 개발로 딥러닝 처리를 모바일 프로세서에 통합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네트워크 설정 모듈(130)은, 영상 인식 모듈(120)에 의해 인식된 전방 차량(V2)의 차량 번호를 네트워크 암호로 사용하여 전방 차량(V2)과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는 블루투스 네트워크, 와이파이 네트워크, 셀룰러 네트워크 등 임의의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로 블루투스 네트워크가 사용되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 설정 모듈(130)은 차량 번호를 블루투스 네트워크의 페어링 암호로 사용하여 전방 차량(V2)과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무선 네트워크로 와이파이 네트워크가 사용되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 설정 모듈(130)은 차량 번호를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접속 암호로 사용하여 전방 차량(V2)과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영상 수신 모듈(140)은, 무선 네트워크 설정 모듈(130)에 의해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전방 차량(V2)으로부터 블랙박스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블랙박스 영상은 차량(V1) 내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운전자, 동승자 등 탑승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V1)의 네비게이션 장치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신된 블랙박스 영상은 차량(V1)의 블랙박스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탑승자의 모바일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전방 차량(V2)으로부터 수신한 블랙박스 영상은 특정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후방 차량(V1)의 탑승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수신된 블랙박스 영상이 압축된 경우에는, 영상 수신 모듈(140)은 블랙박스 영상을 탑승자에게 제공하기 전에, 압축 해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압축 해제 방식은 후술할 블랙박스 영상 전송 장치(20)의 영상 전송 모듈(220)이 블랙박스 영상을 압축한 방식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는 후방 차량(V1)이 인식한 전방 차량(V2)의 차량 번호를 통해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방 차량(V2)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블랙박스 영상 전송 장치(20)는 전방 차량(V2)에 탑재되어 후방 차량(V1)에 블랙박스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랙박스 영상 전송 장치(20)는 차량 번호 설정 모듈(210), 영상 전송 모듈(2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번호 설정 모듈(210)은 블랙박스 영상 전송 장치(20)가 탑재된 자신의 차량 번호, 즉 전방 차량(V2)의 차량 번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번호 설정 모듈(210)은 전방 차량(V2)의 탑승자로부터,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을 통해 차량 번호를 직접 입력받고 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설정할 수 있으나, 차량 번호 설정 모듈(210)이 차량 번호를 입력받는 방식은 특정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후방 차량(V1)으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 연결 요청은 후방 차량(V1)이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차량 번호 설정 모듈(210)에 의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설정한 차량 번호와, 후방 차량(V1)이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후방 차량(V1)과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후방 차량(V1)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로 블루투스 네트워크가 사용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후방 차량(V1)으로부터 블루투스 네트워크 연결 요청을 수신할 때, 후방 차량(V1)이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를 블루투스 네트워크의 페어링 암호로서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차량 번호 설정 모듈(210)에 의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설정한 차량 번호와, 후방 차량(V1)이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후방 차량(V1)과의 블루투스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무선 네트워크로 와이파이 네트워크가 사용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후방 차량(V1)으로부터 와이파이 네트워크 연결 요청을 수신할 때, 후방 차량(V1)이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를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접속 암호로서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차량 번호 설정 모듈(210)에 의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설정한 차량 번호와, 후방 차량(V1)이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후방 차량(V1)과의 와이파이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영상 전송 모듈(220)은,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카메라(240)를 통해 촬영되는 전방 차량(V2)의 전방에 대한 블랙박스 영상을 후방 차량(V1)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영상 전송 모듈(220)은, 무선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을 절약하기 위해 블랙박스 영상을 후방 차량(V1)에 전송하기 전에 영상 압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영상 압축 방식은 MPEG, HEVC 등 국제표준 영상압축 기술을 비롯하여 인공지능 기반 영상압축 기술까지 특정 구현 방식에 구애 받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후방 차량이 전방 차량에서 블랙박스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주행 중 영상을 제공받아 전방 차량에 가려져 인지하기 어려운 전방 상황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서, 후방 차량의 안전 운행, 교통 법규 준수, 교통 사고 저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행 중 전방 차량에 의해 후방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지 못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교통 사고 및 교통 법규 위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거리 교차로에서 전방 차량(특히, 버스, 대형 트럭 등)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신호등, 정체 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 신호 위반 및 그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추월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전방 차량이 어린이 보호 차량인 경우, 해당 차량에서 하차한 어린이가 안전하게 도로를 건널 때까지 확인할 수 있어 어린이의 교통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차량은, 자신과 동일 차선에서 주행하는 전방 차량뿐 아니라, 인접한 차선에서 주행하는 전방 차량으로부터 블랙박스 영상을 수신할 수도 있어서, 편도 2차선 도로의 횡단보도 앞 1차선에 정차한 차량이 있을 경우, 2차선 차량이 횡단 보도 진행 시 좌측에서 건너오는 보행자를 화면을 통해 인지함으로써,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3차선 도로에서 차량(V1 내지 V4)이 주행 중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블랙박스 장치(B1)와 함께 차량(V1)에 탑재된 블랙박스 영상 수신 장치(10)의 차량 인식 모듈(110)이 먼저 전방 차량(V2)을 인식할 수 있다(S10). 차량 인식 모듈(110)은, 예를 들어, 카메라(160)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에 대해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예를 들어, 초 단위의 간격)으로 차량을 인식하기 위한 시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V1) 전방에 차량(V2)이 주행하기 시작하면, 차량 인식 모듈(110)은 자동적으로 전방 차량(V2)을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전방 차량(V2)을 인식함에 있어서, 차량 인식 모듈(110)은,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을 이용하여 차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차선을 기준으로 동일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을 전방 차량(V2)으로 인식할 수 있다.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은 차선이탈경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판단하기 위해 차선을 인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차량 인식 모듈(110)은, 이러한 차선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차선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차선 인식을 구현하는 방식은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영 영상으로부터 차량 또는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경우와 같이, 차량 인식 모듈(110) 스스로 영상의 픽셀 구성 자체를 분석하여 차선을 인식하는 방식부터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하여 차선을 인식하는 방식까지 다양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인식 모듈(110)에 의해 전방 차량(V2)이 인식된 후, 블랙박스 영상 수신 장치(10)의 영상 인식 모듈(120)은 전방 차량(V2)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 번호 "2222"를 영상 인식할 수 있다(S20).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블랙박스 영상 수신 장치(10)의 무선 네트워크 설정 모듈(130)은, 영상 인식 모듈(120)에 의해 인식된 전방 차량(V2)의 차량 번호 "2222"를 네트워크 암호로 사용하여 전방 차량(V2)과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해당 차량 번호를 전방 차량(V2)에 전송할 수 있다(S30).
블랙박스 장치(B2)와 함께 차량(V2)에 탑재된 블랙박스 영상 전송 장치(20)의 차량 번호 설정 모듈(210)은, 자신의 차량 번호 "2222"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설정한 상태이다. 블랙박스 영상 전송 장치(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후방 차량(V1)으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 연결 요청은 후방 차량(V1)이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 "2222"를 포함할 수 있다.
블랙박스 영상 전송 장치(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차량 번호 설정 모듈(210)에 의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설정한 차량 번호 "2222"와, 후방 차량(V1)이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 "2222"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후방 차량(V1)과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방 차량(V2)이 인식된 후, 후방 차량(V1)과 전방 차량(V2)은 자동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블랙박스 영상 전송 장치(20)의 영상 전송 모듈(220)은,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카메라(240)를 통해 촬영되는 전방 차량(V2)의 전방에 대한 블랙박스 영상을 후방 차량(V1)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블랙박스 영상 수신 장치(10)의 영상 수신 모듈(140)은, 무선 네트워크 설정 모듈(130)에 의해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전방 차량(V2)으로부터 블랙박스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S40).
수신된 블랙박스 영상은 차량(V1) 내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운전자, 동승자 등 탑승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V1)의 네비게이션 장치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신된 블랙박스 영상은 차량(V1)의 블랙박스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탑승자의 모바일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수신 방법은, 전방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S601); 전방 차량이 인식된 경우, 전방 차량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영상 인식하는 단계(S603); 차량 번호를 네트워크 암호로 사용하여 전방 차량과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S605);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전방 차량으로부터 블랙박스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S607); 및 수신한 블랙박스 영상을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609)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601)는,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을 이용하여 차선을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차선을 기준으로 동일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을 전방 차량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S601)는, 검출된 차선을 기준으로 인접한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을 전방 차량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블랙박스 영상 수신 방법은, 전방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또는 전방 차량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영상 인식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차량 번호를 네트워크 암호로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랙박스 영상 수신 방법의 상술한 단계들에 대한 더욱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방법은, 차량 번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설정하는 단계(S701); 후방 차량으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70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설정한 차량 번호와 후방 차량이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를 비교하는 단계(S705); 및 동일한 경우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블랙박스 영상을 후방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S705)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703)에서, 무선 네트워크 연결 요청은 후방 차량이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방법의 상술한 단계들에 대한 더욱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6에서 차량(V1) 전방에서 주행하던 차량(V2)이 차량(V1)의 시야에서 사라진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영상 수신 장치(10)의 차량 인식 모듈(110)은 전방 차량을 인식하거나, 전방 차량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영상 인식하는 것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S50). 예를 들어, 차량 인식 모듈(110)은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예를 들어, 초 단위의 간격)으로 전방 차량을 인식하는 것을 반복 수행하거나, 전방 차량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영상 인식하는 것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랙박스 영상 수신 장치(10)의 영상 인식 모듈(120)은 전방 차량(V3)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 번호 "3333"을 영상 인식하고, 영상 수신 장치(10)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 설정 모듈(130)은,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가 "2222"에서 "3333"으로 변경되었으므로, 변경된 차량 번호 "3333"을 네트워크 암호로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해 변경된 차량 번호를 전방 차량(V3)에 전송할 수 있다(S60).
블랙박스 장치(B3)와 함께 차량(V3)에 탑재된 블랙박스 영상 전송 장치(20)의 차량 번호 설정 모듈(210)은, 자신의 차량 번호 "3333"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설정한 상태이다. 블랙박스 영상 전송 장치(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후방 차량(V1)으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 연결 요청은 후방 차량(V1)이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 "3333"을 포함할 수 있다.
블랙박스 영상 전송 장치(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차량 번호 설정 모듈(210)에 의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설정한 차량 번호 "3333"과, 후방 차량(V1)이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 "3333"을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후방 차량(V1)과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새로운 전방 차량(V3)이 인식된 후, 후방 차량(V1)과 전방 차량(V3)은 자동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블랙박스 영상 전송 장치(20)의 영상 전송 모듈(220)은,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카메라(240)를 통해 촬영되는 전방 차량(V3)의 전방에 대한 블랙박스 영상을 후방 차량(V1)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블랙박스 영상 수신 장치(10)의 영상 수신 모듈(140)은, 무선 네트워크 설정 모듈(130)에 의해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전방 차량(V3)으로부터 블랙박스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2 내지 도 5의 경우와 다르게, 또는 도 2 내지 도 5의 경우에 추가하여, 전술한 방식으로 차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차선을 기준으로 인접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을 전방 차량(V4)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차량(V2 내지 V4)는 모두 차량(V1)의 시야각(VA) 내에서 주행 중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후, 블랙박스 영상 수신 장치(10)의 영상 인식 모듈(120)은 인접한 차선의 전방 차량(V4)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 번호 "4444"를 영상 인식하고, 영상 수신 장치(10)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 설정 모듈(130)은 차량 번호 "4444"를 네트워크 암호로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해 해당 차량 번호를 전방 차량(V4)에 전송할 수 있다.
블랙박스 장치(B4)와 함께 차량(V4)에 탑재된 블랙박스 영상 전송 장치(20)의 차량 번호 설정 모듈(210)은, 자신의 차량 번호 "4444"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설정한 상태이다. 블랙박스 영상 전송 장치(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후방 차량(V1)으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 연결 요청은 후방 차량(V1)이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 "4444"를 포함할 수 있다.
블랙박스 영상 전송 장치(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차량 번호 설정 모듈(210)에 의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설정한 차량 번호 "4444"와, 후방 차량(V1)이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 "4444"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후방 차량(V1)과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후방 차량(V1)과 전방 차량(V4)은 자동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블랙박스 영상 전송 장치(20)의 영상 전송 모듈(220)은,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카메라(240)를 통해 촬영되는 전방 차량(V4)의 전방에 대한 블랙박스 영상을 후방 차량(V1)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블랙박스 영상 수신 장치(10)의 영상 수신 모듈(140)은, 무선 네트워크 설정 모듈(130)에 의해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전방 차량(V4)으로부터 블랙박스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방법과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방법과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는 컴퓨팅 장치(5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50)는 버스(520)를 통해 통신하는 프로세서(510), 메모리(5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5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550) 및 저장 장치(5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50)는 또한 네트워크(40), 예컨대 무선 네트워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7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70)는 네트워크(40)를 통해 다른 개체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AP(Application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모리(530) 또는 저장 장치(56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임의의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기능 및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530) 및 저장 장치(5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531) 및 RAM(random access memory)(5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530)는 프로세서(5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메모리(530)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5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방법과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는 컴퓨팅 장치(5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방법과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는 컴퓨팅 장치(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후방 차량이 전방 차량에서 블랙박스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주행 중 영상을 제공받아 전방 차량에 가려져 인지하기 어려운 전방 상황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서, 후방 차량의 안전 운행, 교통 법규 준수, 교통 사고 저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에서 전방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전방 차량이 인식된 경우, 상기 전방 차량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영상 인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요청을 상기 전방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방 차량에서 설정한 차량 번호와, 상기 전방 차량에 전송된 차량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 번호를 네트워크 암호로 사용하여 상기 전방 차량과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전방 차량으로부터 블랙박스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블랙박스 영상을 차량 내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랙박스 영상 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는,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을 이용하여 차선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차선을 기준으로 동일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을 상기 전방 차량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랙박스 영상 수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차선을 기준으로 인접한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을 상기 전방 차량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랙박스 영상 수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전방 차량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영상 인식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요청을 상기 전방 차량에 전송하고, 상기 전방 차량에서 설정한 차량 번호와, 상기 전방 차량에 전송된 차량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차량 번호를 네트워크 암호로 사용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랙박스 영상 수신 방법.
  5. 차량 번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설정하는 단계;
    후방 차량으로부터, 상기 후방 차량이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정한 차량 번호와, 상기 후방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차량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 번호를 네트워크 암호로 사용하여 상기 후방 차량과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블랙박스 영상을 상기 후방 차량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방법.
  6.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에서 전방 차량을 인식하는 차량 인식 모듈;
    상기 전방 차량이 인식된 경우, 상기 전방 차량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영상 인식하는 영상 인식 모듈;
    상기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요청을 상기 전방 차량에 전송하고, 상기 전방 차량에서 설정한 차량 번호와, 상기 전방 차량에 전송된 차량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 번호를 네트워크 암호로 사용하여 상기 전방 차량과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 설정 모듈;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전방 차량으로부터 블랙박스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영상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블랙박스 영상 수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인식 모듈은,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을 이용하여 차선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차선을 기준으로 동일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을 상기 전방 차량으로 인식하는, 블랙박스 영상 수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인식 모듈은,
    상기 검출된 차선을 기준으로 인접한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을 상기 전방 차량으로 인식하는, 블랙박스 영상 수신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인식 모듈은,
    상기 전방 차량을 인식하거나, 상기 전방 차량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영상 인식하는 것을 반복 수행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연결 설정 모듈은,
    상기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요청을 상기 전방 차량에 전송하고, 상기 전방 차량에서 설정한 차량 번호와, 상기 전방 차량에 전송된 차량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차량 번호를 네트워크 암호로 사용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재설정하는, 블랙박스 영상 수신 장치.
  10. 후방 차량으로부터, 상기 후방 차량이 영상 인식한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설정한 차량 번호와, 상기 후방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차량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 번호를 네트워크 암호로 사용하여 상기 후방 차량과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차량 번호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설정하는 차량 번호 설정 모듈; 및
    상기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블랙박스 영상을 상기 후방 차량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블랙박스 영상 전송 장치.
KR1020210022791A 2021-02-19 2021-02-19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방법과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 KR102494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791A KR102494756B1 (ko) 2021-02-19 2021-02-19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방법과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791A KR102494756B1 (ko) 2021-02-19 2021-02-19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방법과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835A KR20220118835A (ko) 2022-08-26
KR102494756B1 true KR102494756B1 (ko) 2023-01-31

Family

ID=83113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791A KR102494756B1 (ko) 2021-02-19 2021-02-19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방법과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7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500B1 (ko) * 2019-03-07 2020-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정보 제공 차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723B1 (ko) * 2016-10-11 2022-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운송 수단으로 시야 확보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27610B1 (ko) * 2019-07-17 2021-03-15 곽종현 차량, 데이터 획득 장치 및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획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500B1 (ko) * 2019-03-07 2020-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정보 제공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835A (ko) 202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9694B2 (en) Blind spot alert
US10486712B2 (en) Evacuation control apparatus and evacuation control method
KR102492637B1 (ko) 주행 성향 분석 방법, 주행 성향 분석 장치 및 차량 제어 시스템
CN108399792B (zh) 一种无人驾驶车辆避让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102239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from big data of outside image of vehicle
KR101687073B1 (ko) 터널 높이 추정 장치 및 터널 높이 추정 방법
JP2018062237A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および車両制御プログラム
WO2019148819A1 (zh) 辅助车辆行驶的方法及装置
CN110461677B (zh) 车辆控制系统、车辆控制方法及存储介质
US10671861B2 (en) Image recording system, image recording method and image recording program
JP2009223845A (ja) 車載通信装置
KR102635265B1 (ko) 라이다를 이용한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JP2019119230A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40357A (ko) 차량의 주행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N111369708A (zh) 车辆行驶的信息记录方法及装置
KR102494756B1 (ko)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방법과 블랙박스 영상 전송 및 수신 장치
JP5145138B2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制御方法および運転支援制御処理プログラム
US20200312125A1 (en) Communication system
JP4059151B2 (ja) 車載情報提供装置
KR102614325B1 (ko) 차량의 사고 이벤트를 분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90510B1 (ko) 통신망을 통해 긴급정보를 송수신하는 블랙박스 및 그 이용방법
US11893889B2 (en) Travel assistance system, travel assistan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hat stores program
US20240025415A1 (en) Vehicle control system, computer program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2024016151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which Enhances Parking Related Func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20190070693A (ko) 자율주행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