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755B1 - 전기차 급속 충전기 - Google Patents

전기차 급속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755B1
KR102494755B1 KR1020220117219A KR20220117219A KR102494755B1 KR 102494755 B1 KR102494755 B1 KR 102494755B1 KR 1020220117219 A KR1020220117219 A KR 1020220117219A KR 20220117219 A KR20220117219 A KR 20220117219A KR 102494755 B1 KR102494755 B1 KR 102494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electric vehicle
disposed
charger body
heat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기도
Original Assignee
(주) 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하 filed Critical (주) 아하
Priority to KR1020220117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1DC charging controlled by the charging station, e.g. mode 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2Cooling of charging equip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81Filters; Lou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급속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충전모듈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충전기 본체, 상기 충전기 본체의 외부면에 배치되어 있는 거치박스 및 케이블로 상기 충전모듈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거치박스의 내부에 거치된 충전 플러그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박스와 상기 충전기 본체에는 상기 충전기 본체의 내부와 상기 거치박스의 내부를 연결하는 방열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방열홀이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충전기 본체의 외관은 미려해질 수 있다. 그리고 빗물, 먼지 따위가 배치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차 급속 충전기{Electric vehicle fast charger}
본 발명은 전기차 급속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자동차로, 화석 연료의 연소로부터 구동에너지를 얻는 것이 아닌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구동에너지를 얻어 운행한다. 운행 후 배터리가 방전되면 충전을 하여야 한다.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은 급속충전기 또는 완속충전기를 이용하여 한다. 급속충전기는 350kW급으로 완전방전상태에서 80% 충전까지 30분이 소요되며, 완속충전기는 약 7kW급으로 완전방전에서 완전충전까지 7 ~ 8 시간이 소요된다.
급속충전기의 경우 충전기 본체의 내부에 각종 전자소자들로 이루어진 충전모듈이 배치되어 있다. 급속충전 과정 중에 충전모듈에는 전자소자들에 의해 열이 발생한다. 이에 충전기 본체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되었다.
열은 전자소자들의 성능이 저하, 파손 등의 원인이 되었다. 이 때문에, 전자소자들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도록 충전기 본체의 내부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충전기 본체의 일부분을 타공하여 복수의 미세 방열홀을 형성하거나, 슬롯 형태로 일부분을 절개하여 방열홀을 형성하여 충전기 본체의 내부 열이 배출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방열홀이 충전기 본체에서 노출되어 충전기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였다. 또한 벌레들이 방열홀을 통해 충전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73803호 (2022.03.08.)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77549호 (2021.06.25.)
본 발명은 전기차 급속 충전기에서 충전기 본체의 내부로 벌레의 유입을 방지하며 방열홀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급속 충전기는 충전모듈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충전기 본체, 상기 충전기 본체의 외부면에 배치되어 있고 충전 플러그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박스, 상기 거치박스와 상기 충전기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방열홀과 연결된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박스를 상기 충전기 본체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부재 및 상기 스페이서부재와 상기 충전기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방열홀을 막고 있는 필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박스와 상기 충전기 본체에는 상기 충전기 본체의 내부와 상기 거치박스의 내부를 연결하는 방열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차 급속 충전기는 상기 거치박스와 상기 충전기 본체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방열홀의 주변부를 따라 배치된 기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전기차 급속 충전기는 상기 스페이서부재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거치박스 및 상기 충전기 본체의 외부면과 각각 접하는 기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부재의 내부에는 개방부를 갖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차 급속 충전기는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홀을 폐쇄하는 차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는 가장자리가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는 차단몸체, 그리고 상기 차단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스페이서부재의 일측으로 노출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파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열홀이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충전기 본체의 외관은 미려해질 수 있다. 그리고 빗물, 먼지 따위가 배치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치공간의 공기가 방열홀을 통해 거치공간으로 유동하여 거치박스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배치공간의 공기 유동으로 충전모듈의 전자소자 냉각 효과가 발생하여 열에 의한 전자소자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본체와 바디의 사이에 스페이서부재가 배치되어 거치본체와 바디는 기설정된 간격을 유지한다. 이에 거치본체의 개방된 전면에서 경첩으로 거치본체와 연결된 거치도어는 경첩을 기준으로 움직일 때 바디와 간섭되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본체와 바디의 사이에 기밀부재가 배치되어 빗물이 거치본체와 바디의 사이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빗물 유입에 의한 충전모듈, 충전 플러그의 고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부재가 스페이서부재에 결합되면 방열홀을 통해 연결된 배치공간과 거치공간은 차단된다. 이에 전기차 급속 충전기 미 사용 시 배치공간과 거치공간을 차단하여 거치공간을 통해 배치공간으로 벌레 따위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벌레 따위로부터 충전모듈의 손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본체와 바디의 사이 또는 스페이서부재와 바디의 사이에 필터부재가 배치되어 거치공간에서 배치공간으로 벌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벌레 따위에 의해 배치공간이 오염되고, 충전모듈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급속 충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거치박스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급속 충전기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급속 충전기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급속 충전기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급속 충전기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급속 충전기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급속 충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거치박스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급속 충전기(1)는 충전기 본체(10), 거치박스(40) 및 충전 플러그(30)를 포함하며 충전기 본체(10)의 내부로 벌레의 유입을 방지하며 충전기 본체(10)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도록 한다.
충전기 본체(10)는 바디(11)와 도어(12)를 포함하며 전기차 급속 충전기(1)의 외형을 형성한다.
바디(11)의 내부에는 배치공간(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배치공간은 바디(11)의 전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배치공간에는 충전모듈(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충전모듈은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의 급속충전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충전모듈은 완속충전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도어(12)는 바디(11)의 전면에 배치되어 일측이 경첩(도시하지 않음)으로 바디(11)와 연결되어 있다. 도어(12)의 전면에는 충전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니터, 카드 삽입구, 태그패널 등이 배치되어 있다. 모니터, 카드 삽입구, 태그패널의 위치를 도어(12)로 한정하지 않는다.
바디(11)와 도어(12)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바디(11)와 도어(12)는 수지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충전기 본체(10)는 받침대(20)에 지지되어 있고, 캐노피(도시하지 않음)가 덮고 있다.
충전 플러그(30)는 충전기 본체(10)의 외부에 위치하여 케이블(31)을 통해 충전모듈과 연결되어 있다. 충전 플러그(30)는 전기 자동차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충전모듈이 충전 플러그(30)를 통해 전기 자동차와 연결되어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는 충전될 수 있다.
거치박스(40)는 거치본체(41), 그리고 거치도어(42)를 포함하며 바디(11)의 외부면에 배치되어 있고 충전 플러그(30)를 먼지, 벌레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거치본체(41)의 내부에는 거치공간(411)이 형성되어 있다. 거치공간(411)은 거치본체(41)의 전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거치본체(41)의 내부 바닥 일부분은 개방되어 전면 개방부와 연결되어 있다.
거치본체(41)의 일측면은 바디(11)의 외부면과 접하여 결합되어 있다. 거치본체(41)는 바디(11)와 리벳, 볼트 따위의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거치본체(41)와 바디(11)는 걸림고리와 걸림홈으로 결합될 수 있다. 거치본체(41)와 바디(11)의 결합 구조는 전기차 급속 충전기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거치도어(42)는 거치본체(41)의 전면에 배치되어 일측이 경첩으로 거치본체(41)와 연결되어 있다. 거치도어(42)는 거치본체(41)의 개방된 전면을 열고 닫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거치본체(41)와 거치도어(42)는 수지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거치본체(41)와 거치도어(42)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충전 플러그(30)는 거치공간(411)에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다. 충전 플러그(30)의 일부분은 거치본체(41)의 바닥 개방부를 통해 노출되어 있다.
한편, 거치본체(41)와 바디(11)가 접하고 있는 부분에는 배치공간과 거치공간(411)을 연결하는 방열홀(50)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바디(11)의 일부분과 거치본체(41)의 일측면 일부분이 제거되어 방열홀(50)이 형성되어 있다. 충전모듈의 전자소자들에 의해 배치공간에서 발생한 열은 방열홀(50)을 통해 거치공간(411)으로 유동하며 거치본체(41)의 바닥면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열 방출로 충전모듈의 전자소자들이 냉각될 수 있으며 전자소자들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방열홀(50)이 바디(1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충전기 본체(10)의 외관은 미려해질 수 있다. 그리고 빗물, 먼지 따위가 배치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방열홀(50)에는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휀(F)이 배치될 수 있다. 휀의 구동으로 배치공간의 공기는 배기되어 충전모듈의 전자소자들 방열 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도면 도 2에서 휀(F)이 배치공간에 위치하여 방열홀(50)의 주변부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휀(F)은 방열홀(50)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급속 충전기(1)는 기밀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밀부재(60)는 거치본체(41)의 일측면과 바디(11)의 외부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기밀부재(60)는 거치본체(41)와 바디(11)가 결합될 때 압착될 수 있다. 기밀부재(60)는 실리콘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기밀부재(60)는 거치본체(41)와 바디(11)의 사이 틈새를 통해 먼지, 빗물 따위가 방열홀(5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면 도 3을 더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금속 충전기(2)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를 그대로 가지면서 스페이서부재(70)를 더 포함한다.
스페이서부재(70)는 거치본체(41)의 일측면과 바디(11)의 외부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부재(70)에는 결합수단이 관통하는 관통홀(72)이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부재(70)의 중앙에는 연결홀(71)이 관통되어 있다. 연결홀(71)을 통해 거치본체(41)와 바디(11)의 방열홀(50)이 연결되어 배치공간과 거치공간(411)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배치공간의 열은 거치공간(411)으로 유동할 수 있다.
연결홀(71)의 둘레에는 복수의 블레이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는 연결홀(71)을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스페이서부재(70)가 기 설정된 두께를 가지므로 거치본체(41)는 바디(11)의 외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거치도어(42)는 경첩을 기준으로 움직임이 용이해질 수 있다.
스페이서부재(70)는 고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스페이서부재(70)는 거치본체(41)가 결합수단을 통해 바디(11)와 결합될 때 압착되어 빗물, 먼지 따위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스페이서부재(70)는 수지 따위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도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부재(70)의 양측에는 실리콘 따위로 만들어진 기밀부재(61, 62)가 배치될 수 있다. 기밀부재(61, 62)에도 결합수단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 도 5를 더 참고하면, 스페이서부재(70)의 내부에는 개방부를 갖는 슬라이드홈(73)이 형성되어 있다. 개방부는 스페이서부재(7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개방부를 통해 슬라이드홈(73)으로 차단부재(8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있다.
차단부재(80)는 차단몸체(81), 그리고 손잡이(82)를 포함하며, 연결홀(71)을 폐쇄할 수 있다.
차단몸체(81)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가장자리가 슬라이드홈(73)에 위치하며 중앙 부분은 연결홀(71)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몸체(81)는 연결홀(71)을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치공간과 거치공간(411)은 차단될 수 있다. 그러나 차단몸체(81)가 슬라이드홈(73)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배치공간과 거치공간(411)의 연통 정도를 조절하여 공기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몸체(81)의 중앙은 관통되어 있고 메쉬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메쉬부재에 의해 차단부재(80)는 필터 역할을 할 수 있다.
손잡이(82)는 차단몸체(81)의 전면 가장자리에서 돌출되어 스페이서부재(7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손잡이(82)에는 파지홀(821)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82)를 이용하여 차단몸체(81)를 스페이서부재(70)의 내부로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손잡이(82)를 파지 하였을 때 파지홀(821)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는다. 그러나 파지홀(821)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손잡이(82)의 표면에 요철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82)에는 거치본체(41)와 연결된 분실방지끈(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단부재(80)는 전기차 급속 충전기 사용시 스페이서부재(70)에서 분리되어 배치공간의 공기가 거치공간(411)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전기차 급속 충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차단부재(80)는 스페이서부재(70)에 결합되어 벌레, 먼지 따위의 이물질이 배치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면 도 6을 더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금속 충전기(3)는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를 그대로 가지면서 필터부재(90)를 더 포함한다.
필터부재(90)는 메쉬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필터부재(90)는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재(90)는 거치본체(41)와 바디(11)의 사이에 위치하여 가장자리가 방열홀(50)의 주변부와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필터부재(90)는 스페이서부재(70)와 바디(11)의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필터부재(90)는 벌레 따위가 거치공간(411)에서 배치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벌레 따위가 충전모듈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여 벌레에 의한 전자소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2, 3: 전기차 급속 충전기 10: 충전기 본체
11: 바디 12: 도어
20: 받침대 30: 충전 플러그
31: 케이블 40: 거치박스
41: 거치본체 411: 거치공간
42: 거치도어 50: 방열홀
60, 61, 62: 기밀부재 70: 스페이서부재
71: 연결홀 72: 관통홀
73: 슬라이드홈 80: 차단부재
81: 차단몸체 82: 손잡이
821: 파지홀 90: 필터부재

Claims (7)

  1. 충전모듈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충전기 본체,
    상기 충전기 본체의 외부면에 배치되어 있고 충전 플러그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박스,
    상기 거치박스와 상기 충전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충전기 본체의 내부와 상기 거치박스의 내부를 연결하는 방열홀,
    상기 거치박스와 상기 충전기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방열홀과 연결된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박스를 상기 충전기 본체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부재 및
    상기 스페이서부재와 상기 충전기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방열홀을 막고 있는 필터부재
    를 포함하는 전기차 급속 충전기.
  2. 제1항에서,
    상기 거치박스와 상기 충전기 본체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방열홀의 주변부를 따라 배치된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급속 충전기.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스페이서부재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거치박스 및 상기 충전기 본체의 외부면과 각각 접하는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급속 충전기.
  5. 충전모듈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충전기 본체,
    상기 충전기 본체의 외부면에 배치되어 있고 충전 플러그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박스,
    상기 거치박스와 상기 충전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충전기 본체의 내부와 상기 거치박스의 내부를 연결하는 방열홀,
    상기 거치박스와 상기 충전기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방열홀과 연결된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박스를 상기 충전기 본체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부재 및
    상기 스페이서부재의 내부에는 개방부를 갖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홀을 폐쇄하는 차단부재
    를 포함하는 전기차 급속 충전기.
  6. 제5항에서,
    상기 차단부재는
    가장자리가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는 차단몸체, 그리고
    상기 차단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스페이서부재의 일측으로 노출된 손잡이
    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파지홀이 형성되어 있는
    전기차 급속 충전기.
  7. 삭제
KR1020220117219A 2022-09-16 2022-09-16 전기차 급속 충전기 KR102494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219A KR102494755B1 (ko) 2022-09-16 2022-09-16 전기차 급속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219A KR102494755B1 (ko) 2022-09-16 2022-09-16 전기차 급속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755B1 true KR102494755B1 (ko) 2023-02-06

Family

ID=8522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219A KR102494755B1 (ko) 2022-09-16 2022-09-16 전기차 급속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7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049B1 (ko) * 2023-02-13 2024-05-10 주식회사 크로커스 케이블 텐셔너를 구비한 전기차 충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3417A (ja) * 2009-03-30 2010-10-14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電気自動車用充電装置
KR20210077549A (ko) 2019-12-17 2021-06-25 (주)엠텍정보기술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전력변환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41170A (ko) * 2020-05-15 2021-11-23 코스텔(주)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의 충전건 모듈
KR102373803B1 (ko) 2020-05-15 2022-03-14 코스텔(주)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3417A (ja) * 2009-03-30 2010-10-14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電気自動車用充電装置
KR20210077549A (ko) 2019-12-17 2021-06-25 (주)엠텍정보기술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전력변환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41170A (ko) * 2020-05-15 2021-11-23 코스텔(주)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의 충전건 모듈
KR102373803B1 (ko) 2020-05-15 2022-03-14 코스텔(주)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049B1 (ko) * 2023-02-13 2024-05-10 주식회사 크로커스 케이블 텐셔너를 구비한 전기차 충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15672B (zh) 车载用蓄电池
EP0994523B1 (en) Battery pack with improved heat radiation and sealing
KR102494755B1 (ko) 전기차 급속 충전기
RU2641435C1 (ru) Пылесос и аккумуляторный узел
EP2875711B1 (en) Lawnmower electronics housing
JP5082626B2 (ja) バッテリパックの車両搭載構造
CN108029220B (zh) 用于将dc电压转换成ac电压的逆变器
JP5346251B2 (ja) 爆風放散機能付き集塵装置
US11626624B2 (en) Battery module and power system
JP5402539B2 (ja) 充電器冷却構造および車載機器冷却システム
CN112793443B (zh) 无人机电池充电箱
US7817416B2 (en) Mounting apparatus for fan
JP2004158393A (ja) 自動車用電池冷却装置
JP6879815B2 (ja) 車載用バッテリー
CN113366692A (zh) 车辆的电池冷却结构
CA3024341C (en) Closed loop cooling system for a junction box in a vehicle,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JP2012148673A (ja) 高電圧ユニット装置
CN211182271U (zh) 移动电源
CN211700501U (zh) 便携式换电电动车的动力电池换电柜散热结构
CN214481727U (zh) 一种用于弱电井的交换机散热防尘装置
CN214206247U (zh) 逆变器和具有其的光伏电站
KR102650943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
CN218587557U (zh) 一种带式输送机电气控制箱
KR20210010113A (ko) 차량용 무선충전 장치
KR102376848B1 (ko) 냉각장치의 유지관리가 편리한 배터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