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279B1 -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279B1
KR102494279B1 KR1020210085551A KR20210085551A KR102494279B1 KR 102494279 B1 KR102494279 B1 KR 102494279B1 KR 1020210085551 A KR1020210085551 A KR 1020210085551A KR 20210085551 A KR20210085551 A KR 20210085551A KR 102494279 B1 KR102494279 B1 KR 102494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fan
cylindrical body
cameras
fa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3912A (ko
Inventor
김배훈
김호열
곽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국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국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국전자
Priority to KR1020210085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279B1/ko
Publication of KR20230003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03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 F28D21/0005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8D21/0008Air hea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원통본체, 원통본체의 회전축으로부터 원통본체의 내측을 연결하여 복수로 구획하는 구획부, 원통본체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유동팬을 포함하는 공기예열기용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은 유동팬에서 이격된 원통본체의 회전축으로부터 유동팬의 하측을 따라 배치되는 지지대, 지지대를 따라 소정 간격을 갖고 배치되며, 길이방향에 대한 일측영역과 타측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중공을 갖는 케이스, 타측영역 개구의 개구영역 내에 배치되는 렌즈를 갖고, 유동팬의 하측부분을 촬영할 수 있는 복수의 카메라 및 유동팬의 하측부분에 대한 정상상태영상 및 비정상상태영상을 저장하며, 유동팬이 회전되는 상태에서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복수의 영상에 기초하여 유동팬의 하측부분의 현재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Monitoring Camera System}
본 발명은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예열기의 유동팬 하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기예열기는 버려질 수 있는 열을 재활용하여 외부 공기를 예열하여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이다. 공기예열기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원통본체, 원통본체의 축선으로부터 원통본체의 내측을 연결하여 복수로 구획하는 구획부 및 원통본체의 축선과 동일한 축선을 갖고 원통본체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원통본체의 내측면과 구획부의 하부에 밀접하게 회전되어 원통본체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유동팬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동팬은 원통본체의 내측면과 구획부의 하부에 밀접한 상태로 회전하여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유동팬의 하부영역은 매우 고온의 영역이므로 모니터링하기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유동팬의 하부영역이 불량한 상태인지 정상적인 상태인지를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유동팬의 상태가 불량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정기적으로 유동팬을 무조건 교체하여야 한다. 이에 의한 경제적 손실이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팬의 하부영역이 불량한 상태인지 정상적인 상태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원통본체, 상기 원통본체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원통본체의 내측을 연결하여 복수로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원통본체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유동팬을 포함하는 공기예열기용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은 상기 유동팬에서 이격된 상기 원통본체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유동팬의 하측을 따라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따라 소정 간격을 갖고 배치되며, 길이방향에 대한 일측영역과 타측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중공을 갖는 케이스; 상기 타측영역 개구의 개구영역 내에 배치되는 렌즈를 갖고,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을 촬영할 수 있는 복수의 카메라; 및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에 대한 정상상태영상 및 비정상상태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유동팬이 회전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복수의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의 현재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유동팬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고온의 유동팬 하부영역을 복수의 카메라로 촬영한 후 현재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유동팬을 교체하지 않고 유동팬 하부영역의 상태에 따라 유지관리를 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 및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측영역의 개구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에어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면 고온의 유동팬 하부영역에서 촬영영역의 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연결하여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의 전체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의 전체영상을 상기 정상상태영상 및 상기 비정상상태영상과 비교하여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의 불량을 판단하면 유동팬의 하측부분의 불량을 쉽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촬영각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으로 접근 및 이격되도록 하는 케이스구동부를 더 포함하면 다양한 각도에서 유동팬의 하측부분을 촬영할 수 있고, 확대하여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복수의 영상이 식별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면 상기 케이스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촬영각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으로 접근 및 이격되도록 하며,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을 재촬영하도록 제어하면 유동팬의 하측부분의 불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팬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고온의 유동팬 하부영역을 복수의 카메라로 촬영한 후 현재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유동팬을 교체하지 않고 유동팬 하부영역의 상태에 따라 유지관리를 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 및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이 공기예열기에 설치된 예시도이다.
도 2는 카메라가 지지대에 설치된 예시도이다.
도 3은 케이스에 설치된 카메라의 상세도이다.
도 4는 촬영영상의 정상상태영상 및 비정상상태영상 예시도이다.
도 5는 촬영영상을 연결하여 만든 전체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6과 7은 카메라가 회전 및 이동하는 동작도이다.
도 8은 변형 가능한 케이스의 동작도이다.
도 9는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1)을 상세히 설명한다.
공기예열기(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원통본체(2-1), 원통본체(2-1)의 축선으로부터 원통본체(2-1)의 내측을 연결하여 복수로 구획하는 구획부(2-2) 및 원통본체(2-1)의 축선과 동일한 축선을 갖고 원통본체(2-1)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원통본체(2-1)의 내측면과 구획부(2-2)의 하부에 밀접하게 회전되어 원통본체(2-1)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유동팬(2-3)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1)이 공기예열기(2)에 설치된 예시도이고, 도 2는 카메라(20)가 지지대(80)에 설치된 예시도이며, 도 3은 케이스(10)에 설치된 카메라(20)의 상세도이고, 도 4는 촬영영상의 정상상태영상 및 비정상상태영상 예시도이며, 도 5는 촬영영상을 연결하여 만든 전체영상의 예시도이고, 도 6과 7은 카메라(20)가 회전 및 이동하는 동작도이며, 도 8은 변형 가능한 케이스(10)의 동작도이고, 도 9는 제어블록도이다.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1)은 케이스(10), 카메라(20), 에어공급장치(30), 카메라구동부(40), 케이스구동부(50), 통신부(60), 디스플레이부(62), 사용자입력부(64), 제어부(70) 및 지지대(8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원통본체(2-1) 내측에 지지되며 내향 설치되며, 길이방향에 대한 일측영역과 타측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12, 13)를 갖는다. 케이스(10)는 케이스본체(11), 에어유입구(12), 에어배출구(13) 및 중공부(14)를 갖는다.
케이스본체(11)는 축선을 따라 형성된 중공부(14)가 형성되는 관형으로 이루어진다.
에어유입구(12)는 길이방향에 대한 일측영역 즉, 원통본체(2-1)에 설치된 후 원통본체(2-1) 외측에 배치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에어배출구(13)는 길이방향에 대한 타측영역 즉, 원통본체(2-1)에 설치된 후 원통본체(2-1) 내측에 배치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에어배출구(13)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중공부(14)는 케이스본체(11)의 축선을 따라 형성되며 에어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20)는 케이스(10)의 타측영역 개구의 개구영역 내에 배치되는 렌즈를 갖고 설치되며, 유동팬(2-3)과 원통본체(2-1)의 내측면 및 구획부(2-2)의 하부의 밀접부분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20)는 제1카메라(21), 제2카메라(22) 및 제3카메라(23)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수에는 한정이 없다.
제1카메라(21)는 제1렌즈(211), 제2카메라(22)는 제2렌즈(221) 및 제3카메라(23)는 제3렌즈(23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케이스(10)에 복수의 에어배출구(13)가 마련되는 경우 제1카메라(21), 제2카메라(22) 및 제3카메라(23) 각각도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에어공급장치(30)는 케이스(10)의 일측영역의 개구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에어공급장치(30)는 에어공급모터(31), 에어탱크(32), 에어단속밸브(33) 및 에어배관(34)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공급모터(31)는 에어탱크(32)로 에어를 압축할 수 있고, 에어탱크(32)는 에어모터(31)로부터 압축된 공기를 저장할 수 있다.
에어단속밸브(33)는 에어배관(34) 상에 설치되어 에어배관(34)을 유동하는 에어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다. 에어배관(34)은 에어탱크(32)로부터 에어유입구(12)를 연통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카메라구동부(4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0) 각각의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동할 수 있다. 카메라구동부(40)는 카메라회전모터(41) 및 카메라이동모터(42)를 가질 수 있다. 카메라(2)는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회전모터(41)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0) 각각을 회전시켜 유동팬(2-3)의 테두리영역과 원통본체(2-1)의 내측면 및 구획부(2-2)의 하부가 접하는 부분 중 여러 곳을 촬영할 수 있도록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카메라이동모터(42)는 유동팬(2-3)의 테두리영역과 원통본체(2-1)의 내측면 및 구획부(2-2)의 하부가 접하는 부분과 카메라(20)의 렌즈(211, 221, 231)가 접근 및 이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0) 각각을 이동시킬 수 있다.
케이스구동부(50)는 직선형 및 벤트형 간을 변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케이스(10)가 변형될 수 있도록 구동할 수 있다. 케이스구동부(50)는 케이스회동모터(51) 및 케이스이동모터(5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벤팅 및 신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회동모터(51)는 유동팬(2-3)의 테두리영역과 원통본체(2-1)의 내측면 및 구획부(2-2)의 하부가 접하는 부분 중 여러 곳을 촬영할 수 있도록 케이스(10)를 회동시켜 카메라(20)의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케이스이동모터(52)는 유동팬(2-3)의 테두리영역과 원통본체(2-1)의 내측면 및 구획부(2-2)의 하부가 접하는 부분과 카메라(20)의 렌즈(211, 221, 231)가 접근 및 이격될 수 있도록 케이스(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통신부(6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0) 각각에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2)는 카메라(20)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64)는 관리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이다.
제어부(70)는 에어공급장치(30)가 일측영역의 개구(12)로 에어를 공급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0)가 유동팬(2-3)과 원통본체(2-1)의 내측면 및 구획부(2-2)의 하부의 밀접부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유동팬(2-3)의 하측부분에 대한 정상상태영상 및 비정상상태영상을 저장하며, 유동팬(2-3)이 회전되는 상태에서 복수의 카메라(20)로부터 촬영된 복수의 영상에 기초하여 유동팬(2-3)의 하측부분의 현재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복수의 카메라(20)로부터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연결하여 유동팬(2-3)의 하측부분의 전체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유동팬(2-3)의 하측부분의 전체영상을 정상상태영상 및 비정상상태영상과 비교하여 유동팬(2-3)의 하측부분의 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복수의 카메라(20)로부터 촬영된 복수의 영상이 식별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면 케이스구동부(40)를 제어하여 복수의 카메라(20)의 촬영각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유동팬(2-3)의 하측부분으로 접근 및 이격되도록 하며, 유동팬(2-3)의 하측부분을 재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지지대(80)는 유동팬(2-3)에서 이격된 원통본체(2-1)의 회전축으로부터 유동팬(2-3)의 하측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카메라(20)가 지지대(80)에 설치된 예시도이다.
카메라(20)가 지지대(80)로부터 유동팬(2-3)의 하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배치되며 지지대(8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위와 아래로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촬영영상의 정상상태영상 및 비정상상태영상 예시도이다.
도 4 (a) 촬영영상이 정상상태이며,
도 4 (b) 촬영영상이 비정상상태로 이물질이 묻어 있는 것, 녹슬어 있는 것 등을 나타낸다.
도 5는 촬영영상을 연결하여 만든 전체영상의 예시도이다.
카메라(20)들의 위치에 따라 유동팬(2-3)이 회전되는 것을 촬영하므로 하나의 카메라(20)로부터 촬영영상이 원형띠 형상이 되며 이를 연결하여 전체영상(파노라마)으로 편집할 수 있다.
도 6은 카메라(20)가 회전하는 동작도이다.
도 6 (a) 케이스본체(11) 내에 카메라(20)가 에어배출구(13)의 개구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배치된 상태에서 카메라(20)는 상방(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6 (b) 카메라회전모터(41)의 구동에 따라 에어배출구(13)의 개구영역 내에서 카메라(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된 상태에서 카메라(20)는 우상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는 카메라(20)가 이동하는 동작도이다.
도 7 (a) 케이스본체(11) 내에 카메라(20)가 에어배출구(13)의 개구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배치된 상태에서 카메라(20)는 상방(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7 (b) 카메라이동모터(42)의 구동에 따라 에어배출구(13)의 개구영역 내에서 카메라(20)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된 상태에서 카메라(20)는 유동팬(2-3)과 원통본체(2-1)의 내측면 및 구획부(2-2)의 하부의 밀접부분에 접근되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변형 가능한 케이스(10)의 동작도이다.
도 8 (a) 케이스본체(11)가 복수의 마디(111 내지 115)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마디(111 내지 115)는 인접한 마디가 소정 각도 기우어진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8 (b) 케이스구동부(50)의 케이스회동모터(51)의 구동에 따라 우측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카메라로 유동팬과 원통본체의 내측면 및 구획부의 하부의 밀접부분을 촬영한 후 분석한 결과 유동팬과 원통본체의 내측면 및 구획부의 하부 사이의 틈이 소정 기준 이상으로 벌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벌어진 부분의 유동팬에 보완지지판을 보충설치하도록 알릴 수 있다. 또는, 유동팬을 정지한 후 유동팬 전체를 교체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고온으로 인한 카메라의 촬영이 선명하지 않게 이루어지는 경우 에어공급량이 증가되도록 에어공급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1)으로 인하여, 유동팬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고온의 유동팬 하부영역을 복수의 카메라로 촬영한 후 현재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유동팬을 교체하지 않고 유동팬 하부영역의 상태에 따라 유지관리를 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 및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1: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 2: 공기예열기
2-1: 원통본체 2-2: 구확부
2-3: 유동팬
10: 케이스 11: 케이스본체
12: 에어유입구 13: 에어배출구
14: 중공부
20: 카메라 21: 제1카메라
22: 제2카메라 23: 제3카메라
30: 에어공급장치 31: 에어공급모터
32: 에어탱크 33: 에어단속밸브
34: 에어배관
40: 카메라구동부 41: 카메라회전모터
42: 카메라이동모터
50: 케이스구동부 51: 케이스회동모터
52: 케이스이동모터
60: 통신부 62: 디스플레이부
64: 사용자입력부
70: 제어부 80: 지지대

Claims (5)

  1.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원통본체, 상기 원통본체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원통본체의 내측을 연결하여 복수로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원통본체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유동팬을 포함하는 공기예열기용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동팬에서 이격된 상기 원통본체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유동팬의 하측을 따라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따라 소정 간격을 갖고 배치되며, 길이방향에 대한 일측영역과 타측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중공을 갖는 케이스;
    상기 타측영역 개구의 개구영역 내에 배치되는 렌즈를 갖고,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을 촬영할 수 있는 복수의 카메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촬영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케이스회동모터와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으로 접근 및 이격되도록 하는 케이스이동모터를 포함하는 케이스구동부; 및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에 대한 정상상태영상 및 비정상상태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가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하며,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의 복수의 영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촬영각도가 조절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유동팬이 회전되는 상태에서 촬영된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의 복수의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의 현재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영역의 개구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에어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연결하여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의 전체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의 전체영상을 상기 정상상태영상 및 상기 비정상상태영상과 비교하여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의 불량을 판단하는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촬영각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으로 접근 및 이격되도록 하는 케이스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복수의 영상이 식별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면 상기 케이스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촬영각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으로 접근 및 이격되도록 하며, 상기 유동팬의 하측부분을 재촬영하도록 제어하는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
KR1020210085551A 2021-06-30 2021-06-30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 KR102494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551A KR102494279B1 (ko) 2021-06-30 2021-06-30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551A KR102494279B1 (ko) 2021-06-30 2021-06-30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912A KR20230003912A (ko) 2023-01-06
KR102494279B1 true KR102494279B1 (ko) 2023-02-06

Family

ID=8492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551A KR102494279B1 (ko) 2021-06-30 2021-06-30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2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731Y1 (ko) 2004-12-30 2005-03-18 윤길산 감시카메라 케이스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5295B2 (ja) * 2012-10-24 2016-12-14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高温炉内監視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高温炉内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731Y1 (ko) 2004-12-30 2005-03-18 윤길산 감시카메라 케이스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912A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49641B (zh) 用于涡轮发动机的燃烧室的检验系统
US7574770B2 (en) System for automatically cleaning and inspecting stud bolt holes, and managing histories of the stud bolt holes
KR102494279B1 (ko)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
WO2019146456A1 (ja) 基板処理装置
CA2948637A1 (en) High speed variable focal field lens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JPH11132624A (ja) 冷蔵庫の集中式冷気供給装置
JP6658713B2 (ja) 制御モジュール
JP6992315B2 (ja) 空気調和機
KR102585168B1 (ko) 모니터링 카메라시스템
JP5886156B2 (ja) 空気調和機
JP6657512B2 (ja) 支持システム、及び支持システム
JP6068301B2 (ja) 空気調和機
JP2013195037A (ja) 空調室内機
WO2022133940A1 (zh) 间接蒸发冷却装置、冷却系统及控制方法
JP2017139584A (ja) 撮像装置
CN208794778U (zh) 多联机组、末端分配系统与分配器
JP6818625B2 (ja) 給湯システム
JP6593795B2 (ja) 室内機撮影装置
KR102566874B1 (ko) 온도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짐벌 장치
KR101733712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산업용 cctv
CN113374998B (zh) 一种智能终端查看手术安排及手术进展的医疗系统
JP2022134402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9145885A (ja) 制御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2008196773A (ja) 空気調和ユニット
JP6508949B2 (ja) 熱交換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