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965B1 -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965B1
KR102493965B1 KR1020220062623A KR20220062623A KR102493965B1 KR 102493965 B1 KR102493965 B1 KR 102493965B1 KR 1020220062623 A KR1020220062623 A KR 1020220062623A KR 20220062623 A KR20220062623 A KR 20220062623A KR 102493965 B1 KR102493965 B1 KR 102493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fabric
weight
yar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셀
Priority to KR1020220062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32B37/06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resulting in the laminate being partially bon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3Agents inhibiting growth of microorg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는, 발포성형층, 및 상기 발포성형층 상부에 접착되어 위치하고 매트의 표면을 보호하는 스킨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킨부는 직물원단, 상기 직물원단 하부에 위치하고 발포성형층과 접착되어 결합되는 폴리우레탄 시트, 및 상기 직물원단과 폴리우레탄 시트를 접착하는 점착층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는 매트 표면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 커피나 음료수 등과 같은 액체류나 이물질 등이 흡수되어 매트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매트의 외관을 청결하고 미려하게 관리 유지할 수 있어 매트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매트의 사용 기한을 연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BUFFER MAT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본 발명은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물원단이 접착된 발포성형층이 퍼즐 형태로 연결되어 가정이나 유치원, 어린이집 혹은 체육관이나 각종 운동시설을 갖춘 실내에서 충격이나 부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층간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유치원, 어린이집 혹은 체육관이나 각종 운동시설을 갖춘 실내에는 충격이나 부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층간 소음 등을 감소시키기 위한 바닥 매트를 깔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바닥 매트는 통상적으로 우레탄 발포 성형방법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발포 성형 매트 자체의 우수한 탄력성 및 완충성으로 인해 부상 방지 및 소음 감소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발포 성형되는 바닥 매트의 표면에는 다양한 종류 및 색상 혹은 재질로 된 표피재를 함께 부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바닥 매트의 사용 목적이나 사용 용도 혹은 설치 장소에 따라 적합한 형태의 두께나 무늬 혹은 장식 패턴 등이 형성된 제품을 선택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바닥 매트는 실용신안등록 제20-0430351호와 같이, 무가교 PE발포수지의 밑면에 PE수지를 코팅하여 엠보싱을 형성하고 무가교 PE발포수지의 윗면에는 PP부직포를 액상수지로 접착하여 보온 및 단열효과가 우수하면서, 촉감과 통기성이 양호하며, 생산성이 높은 등의 효과가 있도록 한 실내외용 매트가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510270호와 같이 바닥 매트의 하부면에 직물재가 구비됨으로써 바닥 난방시 바닥 매트로부터 유해물질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웃하는 바닥 매트의 직물재 상에 벨크로부재가 동시에 부착되어 양측 바닥 매트가 다양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직물재 또는 벨크로부재에 다수의 미끄럼방지 돌기가 돌출 구비되어 있어 직물재로 인해 바닥 매트가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직물재가 구비된 바닥 매트가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87722호와 같이 탄성재질을 사용하여 판 형태로 형성된 바닥접촉층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접촉층부가 생활공간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바닥 매트에 있어서, 상기 바닥접촉층부는 저면에 홈바닥에 펌핑작용기둥을 갖는 폐루프형태의 펌핑작용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고, 상기 펌핑작용홈과 둘레연부 사이에는 작용홈공기안내홈이 상기 펌핑작용홈으로부터 방사상방향을 따라 절취 형성되어 있는 바닥 매트가 등록된 바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바닥 매트를 발포 성형하는 방법으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15537호와 같이 폴리우레탄 폼을 발포하여 시트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에어 벤트를 설치하되 에어 벤트의 입구가 금형 내부로 돌출되어 폴리우레탄 폼에 묻히도록 함으로써, 시트가 성형되고 나면 에어 벤트의 입구에 의해 시트 표면에 오목하게 꺼진 요입부가 형성되므로 시트를 성형할 때 에어 벤트의 구멍을 타고 일부 배출되어 경화되는 돌기들이 요입부에 의해 묻혀 시트의 표면으로 돌출 되지 않게 한 발포 금형의 에어 벤트 구조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트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황변 현상에 의해 누렇게 변색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매트 모서리의 들뜸 현상이 발생하며, 매트 모서리의 들뜬 공간으로 커피나 음료수 등과 같은 액체류, 먼지 등이 흡착되어 매트 및 바닥면을 오염시키고, 이로 인해 매트 자체에 대한 품질 저하와 매트의 사용 기한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매트는 완충매트의 표층이 시트형 합성수지로 형성되는데, 상기 시트형 합성수지는 발포체와 쉽게 박리되어 분리되기 쉽고 이로 인해 매트의 품질저하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또한, 습기나 먼지 등 오염 물질의 접촉에 의한 곰팡이 등의 번식으로 위생상의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국내등록특허 제10-1610902호(2016년 04월 04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485357호(2015년 01월 16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474899호(2014년 12월 15일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매트 표면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 커피나 음료수 등과 같은 액체류나 이물질 등이 흡수되어 매트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매트의 외관을 청결하고 미려하게 관리 유지할 수 있어 매트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매트의 사용 기한을 연장할 수 있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스킨부와 발포성형층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습기나 온도 변화에 의한 구조 변형을 줄일 수 있으며 내오염성, 내후성 등 물성이 우수하고 항균, 항취, 탈취 등의 효과가 우수한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를 개시한다.
상기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는, 발포성형층, 및 상기 발포성형층 상부에 접착되어 위치하고 매트의 표면을 보호하는 스킨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킨부는 직물원단, 상기 직물원단 하부에 위치하고 발포성형층과 접착되어 결합되는 폴리우레탄 시트, 및 상기 직물원단과 폴리우레탄 시트를 접착하는 점착층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는 매트 표면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 커피나 음료수 등과 같은 액체류나 이물질 등이 흡수되어 매트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매트의 외관을 청결하고 미려하게 관리 유지할 수 있어 매트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매트의 사용 기한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는 스킨부와 발포성형층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습기나 온도 변화에 의한 구조 변형을 줄일 수 있으며 내오염성, 내후성 등 물성이 우수하고 항균, 항취, 탈취 등의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를 구성하는 스킨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를 구성하는 스킨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는 발포성형층(100), 및 상기 발포성형층(100) 상부에 접착되어 위치하고 외부적인 충격으로부터 매트의 표면을 보호하는 스킨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발포성형층(100)은 가정이나 아파트의 주방 바닥면에 설치되어 탄성을 제공하고 외부적인 충격을 흡수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며 소음을 흡수, 완화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 발포성형층(100)은 발포우레탄폼,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과 같이 탄성력 및 완충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킨부(200)는 상기 발포성형층(100) 상부에 접착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스킨부(200)는 외부적인 충격으로부터 매트의 표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커피나 음료수 등과 같은 액체류나 이물질 등이 흡수되어 매트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매트의 외관을 청결하고 미려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킨부(200)는 직물원단(220), 상기 직물원단(220) 하부에 위치하고 발포성형층(100)과 접착되어 결합되는 폴리우레탄 시트(260), 및 상기 직물원단(220)과 폴리우레탄 시트(260)를 접착하는 점착층(240)을 포함한다.
상기 직물원단(220)은 완충매트(10)의 표면을 구성하고 내오염성, 내후성 등 물성이 우수하고 항균, 항취, 탈취 등의 효과가 우수한 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직물원단(220)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직물원단(220)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직물원단(220)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폴리에스테르 칩을 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직물원단(220)은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형성된 칩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형성된 칩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크릴, 나일론, 비닐론,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아세테이트, 레이온 등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칩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칩에 항균항충 첨가제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항균항충 첨가제는 오염 물질, 진드기류, 해충 등에 대한 항균, 살충, 항충 효과가 있는 물질을 이용할 수 있는데, 상기 항균 항충첨가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칩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항충 첨가제는 제충국 추출물, 쿠아시아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고추냉이 추출물 및 박하 추출물의 혼합물일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항균항충 첨가제는 제충국 추출물, 쿠아시아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고추냉이 추출물 및 박하 추출물이 1:1: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충국 추출물, 쿠아시아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고추냉이 추출물 및 박하 추출물은 열수 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 공지된 다양한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초음파 추출법이란 시료에 추출 용매로서 물, C1~C6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를 10배 내지 20배 부피량으로 가한 후, 1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시간의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추출 방법을 의미한다.
상기 제충국 추출물은 제충국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데, 상기 제충국(Insect flower, Pyrethrum, Dalmatian pyrethrum)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제충국의 꽃에는 피레트린(Pyrethrins)이라는 담적황색의 유상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피레트린은 냉혈동물, 특히 곤충의 신경계를 마비시켜 강한 살충력을 나타내지만, 사람과 같은 온혈동물에는 독성이 없는 안전한 천연 유래의 살충성분이다. 구체적으로, 피레트린은 곤충에 대한 강한 살충 작용을 지니는바 유제 외에 코일(Coil)형 모기향 등으로서 모기, 파리의 구제에 사용되고 있으며, 바퀴벌레, 벼룩, 개미 및 이와 유사한 기어다니는 곤충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다른 천연살충제 성분과 혼합되어 작물보호제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쿠아시아 추출물은 쿠아시아(Quassia amara)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데, 상기 쿠아시아(Quassia amara)는 부드럽고 회색의 수피, 복엽, 작고 노란 꽃을 가지고 30cm 정도 자라는 낙엽수이다. 상기 쿠아시아는 나무 전체에 매우 쓴맛을 내는 쿠아신(Quassin)이라고 부르는 레진이 스며들어 있고, 이 성분은 천연 살충제로 사용될 수 있다. 농약으로서 쿠아신은 무당벌레나 벌에 거의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다양한 해충을 구제하기 때문에 가정 원예에서 가장 안전한 재료로 여겨지고 있다.
상기 은행잎 추출물을 은행나무의 잎으로부터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은행나무는 학명 Ginkgo biloba L로 표기하고,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송 교목으로, 예로부터 정원수나 가로수로 사용되었고, 그 열매인 은행은 식용 또는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은행나무의 잎은 예로부터 한방에서 고혈압, 파킨스병 및 당뇨병 등의 치료제로 널리 처방되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은행잎으로부터 추출한 독특한 플라보노이드성분을 이용한 약제가 고혈압, 노인성 치매증 및 당뇨병 등 성인병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화장품이나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은행나무를 이용하여 항균 소재를 처리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고추냉이 추출물은 고추냉이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데, 상기 고추냉이(Wasabia koreana, Wasabia japonica)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상록, 다년생 숙근성 반음지 식물로서, 시니그린(sinigrin), 알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allylisothiocyanate), 비타민 C(vitamin C), 글루코오스(glucucos), KHSO4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부패 방지, 항균 및 식용 향신료 등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항균항충 첨가제가 혼합된 폴리에스테르 칩을 이용하여 원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원사는 상기 항균항충 첨가제가 혼합된 폴리에스테르 칩을 이용하여 용융, 방사, 냉각 등과 같은 통상적인 공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원사는 압출기의 출구 쪽에 일정한 굵기 및 형상을 가지는 원사 방출홀이 다수개 형성되어 구성되는 원사 제조용 금형을 설치하고, 상기 압출기 내에 항균항충 첨가제가 혼합된 폴리에스테르 칩을 투입한 후 용융·방사 등 공지의 과정을 거친 후 일정한 온도로 냉각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사는 상기 항균항충 첨가제가 혼합된 폴리에스테르 칩을 220 내지 320℃ 온도에서 용융·방사시키고, 20 내지 60℃ 온도의 냉각기에서 냉각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원사를 제조하는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상기 원사에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원사를 부풀게 할 수 있다.
상기 에어는 원사 상에 분사됨으로써 상기 원사를 벌키(Bulky)하게 형성할 수 있는데, 추후 공정에서 상기 벌키하게 부푼 원사 내부 사이로 코팅액이 균일하게 흡수되어 도포됨으로써 균일한 물성의 직물원단(220)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 압력은 3 내지 7 바(Bar)로 하여 상기 원사에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데, 상기 에어 압력이 3 바(bar) 미만인 경우에는 압력이 약하여 충분하게 벌키한 원사를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7 바(bar)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어 압력에 의한 장력이 커서 원사의 중공 변형률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부풀어진 원사에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원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코팅액은 상기 원사에 도포됨으로써 코팅원사로 제조되는 직물원단(220)의 내오염성, 내후성, 항균, 항취, 탈취 등의 기능적 효과를 부가할 수 있는데, 상기 코팅액은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MQ 레진, 나노실리카, 증점제, 알콕시실란 화합물, 티타니아졸, 팽창흑연분말, 무기산화나노입자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코팅액은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MQ 레진 1 내지 3 중량부, 나노실리카 0.1 내지 1 중량부, 증점제 3 내지 7 중량부, 알콕시실란 화합물 2 내지 4 중량부, 티타니아졸 0.1 내지 0.3 중량부, 팽창흑연분말 0.1 내지 1 중량부, 무기산화나노입자 0.1 내지 1 중량부 및 정제수 40 내지 6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상기 원사에 결합되는 바인더로서 기능할 수 있는데,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27 내지 33 중량부, 트리에칠아민 0.5 내지 1.5 중량부를 쇄연장제로 사용하고, N-메칠디에탄올아민 2 내지 4 중량부 및 물 70 내지 7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MQ 레진은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MQ 레진은 M 단위(R3SiO1/2) 및 Q 단위(SiO4/2)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MQ 레진은 일관능성 실록산 단위(M 단위)와 4관능성 실록산 단위(Q단위)를 포함하는 3차원 망상의 입체적 분자 구조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을 의미하고, R은 규소 원자에 결합되어 있는 관능기를 의미한다.
상기 식 중에서, R은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의, 탄소 원자수 2~8의 1가 탄화수소이고, M 단위(R3SiO1/2)/Q 단위(SiO4/2)로 나타내는 몰비가 1.2 내지 1.4일 수 있다.
상기 나노실리카는 코팅액에 포함되어 원사에 균일하게 도포됨으로써 내마모성, 접착성, 내스크래치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상기 나노실리카는 입경이 50 내지 150nm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나노실리카는 나노사이즈를 가지는 실리카 분말로서, 상기 나노실리카는 실리카 마이크로 분말을 분쇄하여 나노사이즈를 가지는 실리카 분말을 얻거나 또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실리카 나노분말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코팅액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증점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옥시에틸렌황산나트륨, 황산칼륨 및 물이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점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20 내지 3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황산나트륨 5 내지 15 중량부, 황산칼륨 1 내지 3 중량부 및 물 40 내지 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알콕시실란 화합물은 상기 원사와 코팅액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알콕시실란 화합물은 3관능기 알콕시실란과 4관능기 알콕시실란을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관능기 알콕시실란은 3-acrylamidopropyltrimethoxysilane 또는 (3-Methalcrylamidopropyl)trimethoxysilane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4관능기 알콕시실란은 비스(메틸디에톡시실릴)에탄 또는 비스(에틸메톡시실릴)부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티타니아졸은 실내에서의 가시광 활성을 높여 형광등 및 실내의 가시광선 영역에서 우수한 공기정화 성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티타니아졸은 반용기에 증류수 350g을 넣은 후 5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트리톤(triton) X-100(트리톤(triton)-X(C14H22O(C2H4O)n))을 0.25g 투입하고 45분 동안 480rpm으로 교반한 후, 티타늄 테트라 이소프로폭사이드(Ti(OC3H7)4) 120g을 40g씩 3분 간격으로 3회 나누어 첨가하고, 480rpm으로 75분 동안 교반한 후 포름산(HCOOH) 15g과 34.5% 과산화수소수 12g을 각각 순서대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황(S)을 0.57g 첨가한 후 125℃에서 5시간 동안 환류교반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트리톤(triton) X-100의 구성은 공지된 기술인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팽창흑연분말은 팽창흑연을 분말화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흑연은 탄소 원자의 6 원자 고리가 평면적으로 무한히 연결된 평면형 거대분자가 층을 이루어 포개어진 광물로서, 그 성질은 전기의 양도체이고, 또한 폴리센의 층상구조로 인해 유연하고 활성(滑性)이 있으며, 쪼개지기는 쉽지만 거대 분자여서 반응성이 낮은 특징이 있다.
그러나 흑연은 폴리센 구조의 탄소 평면 사이가 반데르발스 힘으로 연결되어 있을 뿐이어서 탄소 원자 사이의 간격인 14.2㎚에 비하여 35.5㎚로 넓기 때문에 층 사이의 틈새에 다른 원자를 삽입하여 층간화합물을 만들 수 있다. 즉, 흑연결정의 망상평면을 유지한 채로 평면 사이의 틈새에 많은 원자나 분자 또는 이온을 삽입하여 층간화합물을 만드는 것이다.
즉, 흑연의 층 사이에 황산과 같은 산을 도포한 층간화합물 또는 잔류화합물을 1000℃에 가까운 온도로 급가열하면, 산이 기화되어 가스가 발생되고 그 가스의 팽창압에 의해 흑연 층간이 수십 내지 수백 배로 팽창하는데, 이를 팽창흑연이라 한다.
상기 무기산화나노입자는 발열 및 항균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무기산화나노입자는 나노크기의 이산화티탄(TiO2) 및 산화아연(ZnO)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제수는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MQ 레진, 나노실리카 등의 조성물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분산하기 위한 용매로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코팅원사를 건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상기 코팅원사를 120 내지 140℃ 온도의 열풍건조기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1차 건조한 후 10 내지 20℃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2차 건조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2차의 건조를 진행함으로써 원사 내부까지 코팅액이 균일하게 도포되어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직물원단(220)을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건조된 코팅원사를 제직하여 직물원단(220)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직물원단(220)은 상기 건조된 코팅원사를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십자 모양으로 교착하도록 엮어 제직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건조된 코팅원사를 이용하여 제직하는 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의 기술인 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시트(260)는 상기 직물원단(220) 하부에 점착층(240)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폴리우레탄 시트(260)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thermoplastic polyurethane film)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시트(260)는 직물원단(220)을 포함하는 스킨부(200)가 발포성형층(100)이 형성되는 발포 성형 몰드 내에 투입되어 스킨부(200)와 발포성형층(100)이 접합되어 완충매트(10)를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직물원단(220)과 발포성형층(100)을 접합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발포성형층(100)을 구성하는 발포체가 발포 성형 몰드 내에 투입된 직물원단(220)으로 침투되어 직물원단(220)이 오염되거나 더렵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필름은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부가 반응된 화합물로 분자구조 중 우레탄 결합을 갖고 있는 고무탄성 고분자체(elastomer)로서 선형 고분자를 말한다. 고무와 플라스틱의 중간영역 탄성으로 고반발 탄성, 기계적 강성, 내마모성, 내유성, 내약품성, 내한성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상기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필름은 타 수지와의 블렌드가 용이하여 일부 타 수지와 펠렛형태로 혼합하여 일반적인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엘라스토머로서의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왠만한 외력에 의해서도 찢어지거나 갈라지지 않으며 상용성 내지는 부착성이 매우 뛰어난데, 본 발명에서 상기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필름으로 형성되는 TPU 필름층(300)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 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점착층(240)은 상기 직물원단(220) 및 폴리우레탄 시트(26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직물원단(220) 및 폴리우레탄 시트(260)를 접착하기 위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점착층(240)은 아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우레탄은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와 hard segment(하드 세크먼트)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구조를 가진 물질로써,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디올 혹은 디아민 등과 반응하여 반복단위 내에 우레탄 혹은 우레아 결합을 가지도록 합성함으로써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진 물질인 하드 세그먼트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우레탄은 물질의 종류 및 조성 변화 등의 방법으로 탄성체에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이르기까지 넓은 범위의 물성을 발현할 수 있는 물질로서 최근 환경적, 법률적 규제로 휘발성 유기물 사용을 제한하는 압력이 거세짐에 따라 UV 경화 기술은 에너지 절감효과, 환경보호적 측면뿐만 아니라 높은 전환율을 갖는 장점이 부각되면서 도료, 잉크, 코팅제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아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즉, 1 단계의 하이드록시가 양말단에 존재하는 폴리우레탄을 합성하기 위해서,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와 폴리디올(Polydiol)을 준비한 후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액을 반응시킬 수 있는데, 상기 혼합액은 디이소시아네이트 1 몰(mol) 및 폴리올 1.25 내지 2.0 몰(mol)의 비율로 준비한 후 혼합하여 제조되고, 상기 혼합액의 반응은 80 내지 85℃의 온도에서 4 내지 8 시간 동안 촉매 반응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1 단계에서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및 4,4'-메틸렌비스(사이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4,4'-Methylenebis(cyclohexyl isocya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반응에서 촉매는, 예를 들어, 주석 촉매로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dibutyl tin dilaurate), 디부틸 틴 디아세테이트(dibutyl tin diacetate), 디부틸 틴 말레이트(dibutyl tin maleate), 디옥틸 틴 디아세테이트(dioctyl tin diacetate), 디부틸 틴 디브로마이드 (dibutyl tin dibromide) 및 디부틸 틴 디클로라이드(dibutyl tin dichlor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티타네이트 촉매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Tetra Iso-propyl titanate),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Tetra n-Butyl titanate), 부틸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Butylisopropyl titanate) 및 테트라에틸티타네이트(Tetraethyl tita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비스무스 촉매로 비스무스네오데카노에이트(Bismuth Neodecanoate) 또는 비스무스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Bismuth tri-2-Ethylhexanoat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1 단계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합성하기 위해서, 디이소시아네이트 1몰과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몰의 비율로 준비되고, 준비된 디이소시아네이트에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상온(15~25℃)에서 2 내지 4 시간 동안 적하(滴下)(Dropping)하여 촉매 반응이 이루어진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및 4,4'-메틸렌비스(사이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4,4'-Methylenebis(cyclohexyl isocya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hydroxy acrylate Monomer)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acrylate), 2-하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acrylate), 2-하이드록시프부틸 아크릴레이트(2-Hydroxybutyl acrylate) 및 알릴 알코올(Allyl alcoh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응에서 촉매는, 예를 들어, 주석촉매로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dibutyl tin dilaurate), 디부틸 틴 디아세테이트(dibutyl tin diacetate), 디부틸 틴 말레이트(dibutyl tin maleate), 디옥틸 틴 디아세테이트(dioctyl tin diacetate), 디부틸 틴 디브로마이드 (dibutyl tin dibromide) 및 디부틸 틴 디클로라이드(dibutyl tin dichlor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티타네이트 촉매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Tetra Iso-propyl titanate),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Tetra n-Butyl titanate), 부틸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Butylisopropyl titanate) 및 테트라에틸티타네이트(Tetraethyl tita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비스무스 촉매로 비스무스네오데카노에이트(Bismuth Neodecanoate) 또는 비스무스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Bismuth tri-2-Ethylhexanoat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2 단계 반응은 1 단계에서 반응된 하이드록시가 양말단에 존재하는 폴리우레탄(Hydroxy terminated Polyurethane)에 1 단계에서 반응된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Acrylate monomer(containing isocyanate group)) 및 사슬연장제를 투입하면서 80 내지 85℃의 온도에서 4 내지 6 시간 동안 반응시켜 비닐기가 양말단 또는 단말단에 존재하는 아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우레탄(Di-vinyl or Mono-vinyl terminated Polyurethane)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2 단계에서 상기 하이드록시가 양말단에 존재하는 폴리우레탄, 사슬연장제(chain extender) 및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각각 하이드록시가 양말단에 존재하는 폴리우레탄 60 내지 85 중량부, 사슬연장제 5 내지 10 중량부 및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 내지 3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상기 아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사슬연장제는 1,6-헥산디올(1,6-Hexanediol), 부탄디올(Butanediol),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네오펜틸글라이콜(Neopentyl Glycol) 및 3-메틸1,5-펜탄디올(3-Methyl 1,5-Pentanedi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hydroxy acrylate Monomer)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acrylate), 2-하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acrylate) 및 2-하이드록시프부틸 아크릴레이트(2-Hydroxybutyl 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이외에도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Isobornyl acrylate),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Isooctyl acrylate)과 같은 하나의 비닐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와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트리메틸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와 같은 여러 개의 비닐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직물원단, 점착층 및 폴리우레탄 시트로 구성된 스킨부를 발포성형층이 형성되는 발포 성형 몰드 내에 투입하여 열압착함으로써 발포성형층의 상부와 폴리우레탄 시트가 접합되어 결합된 완충매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직물원단은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제조하였고, 점착층은 아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로 제조하였으며, 폴리우레탄 시트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thermoplastic polyurethane film)으로 제조하였고, 상기 발포성형층은 발포우레탄폼으로 제조하였다.
< 비교예 >
종래 폴리우레탄 발포폼으로 제조된 매트를 준비하였고, 이를 비교예에 따른 완충매트로 사용하였다.
1. 수분 저항성 실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완충매트에 30초 동안 120 내지 140℃ 온도의 수증기를 가한 후, 60분 동안 35℃ 온도에서 건조하였다.
60분 건조시간이 경과한 후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완충매트의 파손 및 변형 여부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와 같이 표시하였다.
○ ; 바닥매트가 파손 및 변형되지 않음
△ ; 바닥매트의 일부가 파손 및 변형이 발생함
× ; 바닥매트의 파손 및 변형이 심함
구분 실시예 비교예
파손 및 변형 여부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완충매트는 뜨거운 수증기가 가해진 경우에도 파손 및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내구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미끄럼방지성 등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바닥매트를 바닥면에 시공한 후 미끄럼방지성, 내구성, 밀착성 등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1) 미끄럼방지성 평가
상온에서의 마찰계수를 측정함으로써, 미끄럼방지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마찰계수가 2.0 이상을 ◎, 1.5 이상 및 2.0 미만은 △, 1.5 미만은 ×로 나타내었다.
(2) 내구성 평가
염수분무 시험 1000시간 이상 경과 후, 직물원단, 점착층 및 폴리우레탄 시트를 포함하는 스킨부, 발포성형층 등의 박리 현상이 발생하는지를 관찰함으로써,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박리 현상의 발생이 염수분무 시험 1000시간 이상 경과 후 있다면 ◎, 500시간 이상 및 1000시간 미만 경과 후 있다면 △, 500시간 미만 경과 후 있다면 ×로 나타내었다.
(3) 밀착성 평가
접착테이프 시험법에 의하여 직물원단, 점착층 및 폴리우레탄 시트를 포함하는 스킨부, 발포성형층 등의 박리 현상이 발생하는지를 관찰함으로써, 밀착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박리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면 ◎, 10개 미만으로 박리 현상이 발생한다면 △, 10개 이상 박리 현상이 발생한다면 ×로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미끄럼방지성
내구성 ×
밀착성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완충매트는 미끄럼방지성, 내구성, 밀착성 등 물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발연성 측정
상기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완충매트(스킨부)의 발연성을 측정하였고, 이에 대한 측정 기준을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고, 측정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등급 시험 항목 시험조건 적합기준
불연재료
(1급)
불연성
(전기로 연소)
최고온도와 최종평형 온도와의온도차(℃) 750℃,
20분 연소
20℃ 이하
질량감소율 30% 이하
가스유해성 평균행동정지시간 마우스 9분 이상
준불연재료
(2급)
콘칼로리미터 총열방출량(MJ/m2) 약 800℃,
10분 연소
8 MJ/m2 이하
열방출율이 20kW/m2를 초과하는 시간(초) 10초 이하
심재의 전부용융, 관통하는 균열 및 구멍 등의 변화 육안 심재의 균열, 구멍 및 용융이 없을 것
가스유해성 평균행동정지시간 마우스 9분 이상
난연재료
(3급)
콘칼로리미터 총열방출량(MJ/m2) 약 800℃,
5분 연소
8 MJ/m2 이하
열방출율이 20kW/m2를 초과하는 시간(초) 10초 이하
심재의 전부용융, 관통하는 균열 및 구멍 등의 변화 육안 심재의 균열, 구멍 및 용융이 없을 것
가스유해성 평균행동정지시간 마우스 9분 이상
실시예 기준
콘칼로리미터 총방출률(MJ/m2) 5.08 8 MJ/m2 이하
열방출율이 20kW/m2를 초과하는 시간(초) 0 10초 이하
심재의 전부용융, 관통하는 균열 및 구멍 등의 변 없음 심재의 균열, 구멍 및 용융이 없을 것
발연 없음 -
판정 난연 2급 상당
상기 [표 4]에 나타낸 것처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완충매트는 난연성이 우수하여 난연 2급에 해당하는 물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완충매트의 항균성 및 항진균성 측정
상기 실시예,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완충매트의 항균성 및 항진균성을 평가하였다.
(1) 항균성
항균성은 JIS L 1902 기준으로 시험균(대장균,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성을 평가하였다. 시험 균액을 35 ± 1℃, RH 90 ± 5%에서 24시간 정치 배양한 후, 균수를 측정하여 항균율을 산출하였다.
(2) 항진균성
항진균성은 ASTM G-21을 기준으로 5종의 혼합 균주를 사용하여 시료에서 성장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상기 항진균성을 평가하기 위한 곰팡이 균주(혼합균주)로는 Aspergillns niger, Penicillium pinophilum, Chaetomium globosum, Gliosiadiun virens 및 Aureobasidium pullulans를 사용하였다.
상기 항균성 및 항진균성에 대한 결과를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항균율
(%)
항곰팡이 시험
배양시간의 기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97.8 0 0 0 0
비교예 28.3 1 2 2 3
< 항곰팡이 시험 판정 기준 >
0 : 시험편의 접종한 부분에 균사의 발육이 인지되지 않음.
1 : 시험편 위 10% 이하로 발육이 인지됨.
2 : 시험편 위 10 ~ 30% 이하로 발육이 인지됨.
3 : 시험편 위 30 ~ 60% 이하로 발육이 인지됨.
4 : 시험편 위 60% 이상 발육이 인지됨.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완충매트의 경우 항균성 및 항진균성이 우수하며 그 효과가 오래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완충매트
100; 발포성형층
200; 스킨부 220; 직물원단
240; 점착층 260; 폴리우레탄 시트

Claims (4)

  1. 발포성형층, 및 상기 발포성형층 상부에 접착되어 위치하고 매트의 표면을 보호하는 스킨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킨부는 직물원단, 상기 직물원단 하부에 위치하고 발포성형층과 접착되어 결합되는 폴리우레탄 시트, 및 상기 직물원단과 폴리우레탄 시트를 접착하는 점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에 있어서,
    상기 직물원단은, 폴리에스테르 칩을 준비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칩에 항균항충 첨가제를 혼합하며, 상기 항균항충 첨가제가 혼합된 폴리에스테르 칩을 이용하여 원사를 제조하고, 상기 원사에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원사를 부풀게 하며, 상기 부풀어진 원사에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원사를 제조하고, 상기 코팅원사를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코팅원사를 제직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되고, 상기 항균항충 첨가제는 제충국 추출물, 쿠아시아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고추냉이 추출물 및 박하 추출물의 혼합물이 사용되며, 상기 코팅액은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MQ 레진, 나노실리카, 증점제, 알콕시실란 화합물, 티타니아졸, 팽창흑연분말, 무기산화나노입자 및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MQ 레진은 M 단위(R3SiO1/2) 및 Q 단위(SiO4/2)를 포함하고, 상기 R은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의, 탄소 원자수 2~8의 1가 탄화수소이고, M 단위(R3SiO1/2)/Q 단위(SiO4/2)로 나타내는 몰비가 1.2 내지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항충 첨가제는 제충국 추출물, 쿠아시아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고추냉이 추출물 및 박하 추출물이 1:1: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고, 상기 코팅액은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MQ 레진 1 내지 3 중량부, 나노실리카 0.1 내지 1 중량부, 증점제 3 내지 7 중량부, 알콕시실란 화합물 2 내지 4 중량부, 티타니아졸 0.1 내지 0.3 중량부, 팽창흑연분말 0.1 내지 1 중량부, 무기산화나노입자 0.1 내지 1 중량부 및 정제수 40 내지 6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며, 상기 코팅원사의 건조는 상기 코팅원사를 120 내지 140℃ 온도의 열풍건조기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1차 건조한 후 10 내지 20℃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2차 건조함으로써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부 및 발포성형층의 접착은 상기 직물원단, 점착층 및 폴리우레탄 시트를 포함하는 스킨부가 발포성형층이 형성되는 발포 성형 몰드 내에 투입되어 열압착됨으로써 발포성형층의 상부와 폴리우레탄 시트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
  4. 삭제
KR1020220062623A 2022-05-23 2022-05-23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 KR102493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623A KR102493965B1 (ko) 2022-05-23 2022-05-23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623A KR102493965B1 (ko) 2022-05-23 2022-05-23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965B1 true KR102493965B1 (ko) 2023-02-07

Family

ID=85221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623A KR102493965B1 (ko) 2022-05-23 2022-05-23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96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4558A (ja) * 1998-09-21 2000-04-04 Toyo Quality One Corp 防音床材用緩衝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01279B1 (ko) * 2006-02-23 2007-03-29 주식회사 효성 카펫 층 및 기능 층을 가진 실내 건축용 소재
KR100701281B1 (ko) * 2006-02-23 2007-03-29 주식회사 효성 직물 층을 가진 실내 건축용 소재
KR20100075789A (ko) * 2010-05-26 2010-07-05 이재환 고강도 에어로젤 도료 조성물
KR20120139959A (ko) * 2011-06-20 2012-12-28 이재환 고밀도 나노 코팅 조성물
KR101474899B1 (ko) 2014-08-07 2014-12-19 이동훈 층간소음 방지용 매트
KR101485357B1 (ko) 2014-11-07 2015-01-26 이동훈 층간소음 방지용 매트
KR101500681B1 (ko) * 2013-10-02 2015-03-09 (주)득금티앤씨 내구성이 개선된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투습방수원단
KR101610902B1 (ko) 2015-09-01 2016-04-08 (주)홍익이엔아이 폐타이어를 이용한 층간소음 방지용 고무매트
KR102221700B1 (ko) * 2020-10-07 2021-03-02 이준 천연 해충 퇴치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천연 해충 퇴치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4558A (ja) * 1998-09-21 2000-04-04 Toyo Quality One Corp 防音床材用緩衝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01279B1 (ko) * 2006-02-23 2007-03-29 주식회사 효성 카펫 층 및 기능 층을 가진 실내 건축용 소재
KR100701281B1 (ko) * 2006-02-23 2007-03-29 주식회사 효성 직물 층을 가진 실내 건축용 소재
KR20100075789A (ko) * 2010-05-26 2010-07-05 이재환 고강도 에어로젤 도료 조성물
KR20120139959A (ko) * 2011-06-20 2012-12-28 이재환 고밀도 나노 코팅 조성물
KR101500681B1 (ko) * 2013-10-02 2015-03-09 (주)득금티앤씨 내구성이 개선된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투습방수원단
KR101474899B1 (ko) 2014-08-07 2014-12-19 이동훈 층간소음 방지용 매트
KR101485357B1 (ko) 2014-11-07 2015-01-26 이동훈 층간소음 방지용 매트
KR101610902B1 (ko) 2015-09-01 2016-04-08 (주)홍익이엔아이 폐타이어를 이용한 층간소음 방지용 고무매트
KR102221700B1 (ko) * 2020-10-07 2021-03-02 이준 천연 해충 퇴치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천연 해충 퇴치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2904A (en) Case IV (D) adherent controlled release pesticide
TW201038603A (en) Method for formulating a reactive polyurethane emulsion
CN101476379B (zh) 一种环保型地板垫层的制备方法
KR100661168B1 (ko) 탈취 및 살균 효과를 갖는 직물 성형물의 제조 방법
KR102057493B1 (ko) 군용 배낭 및 그 제조방법
US7432312B2 (en) Polyurethane foam having deodorization property or antibacterial effect
US7056522B2 (en) Sustained release pest control products and their applications
CN110843275B (zh) 一种高透气抗菌功能性复合面料的制备方法
KR100833584B1 (ko) 생분해성 소재를 활용한 바닥마감재
KR20190066598A (ko) 항균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부직포 및 생분해성 부직포의 제조방법
US4200664A (en) Adherent controlled release pesticides using organo polysiloxanes
CN105365021A (zh) 一种环保阻燃抗菌强化木地板及其制造方法
US4205096A (en) Case III (C) adherent controlled release pesticide
KR102493965B1 (ko)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매트
WO2011062259A1 (ja) 組成物、抗菌性処理剤及び抗菌性成形品
US20200060366A1 (en) Textured Water-Repellant Fabric
KR102084663B1 (ko) 군용 의류대 및 그 제조방법
KR102245815B1 (ko) 항균필름이 결합된 가구 제작용 패널
KR102239979B1 (ko) 충격흡수 및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보호매트
CN112521576B (zh) 一种植物源芳香驱蚊聚氨酯海绵
US4212897A (en) Adherent controlled release pesticides using organopolysiloxanes
JPWO2004087820A1 (ja) 害虫忌避性塗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工業製品
KR102223950B1 (ko) 친환경 난연성 가구 및 그 제조방법
JP2001354739A (ja) 抗菌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KR101983910B1 (ko) 항균성이 우수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