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044B1 - 교사의 편의성 제공과 참가자의 수업흥미도 유발을 기대할 수 있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사의 편의성 제공과 참가자의 수업흥미도 유발을 기대할 수 있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044B1
KR102493044B1 KR1020220159708A KR20220159708A KR102493044B1 KR 102493044 B1 KR102493044 B1 KR 102493044B1 KR 1020220159708 A KR1020220159708 A KR 1020220159708A KR 20220159708 A KR20220159708 A KR 20220159708A KR 102493044 B1 KR102493044 B1 KR 102493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server module
authentication
qui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9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Priority to KR1020220159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with provision for individual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참가자 간의 소통형 수업을 온라인 상에서 보조하기 위한 수업도구 서비스에 교육용 콘텐츠 전송기능과 온라인 퀴즈 소통기능이 구비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흥미로운 교육환경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사의 편의성 제공과 참가자의 수업흥미도 유발을 기대할 수 있는 교육용 콘텐츠 전송기능이 구비된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사의 편의성 제공과 참가자의 수업흥미도 유발을 기대할 수 있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n online class tool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for teachers and induce participants' interest in class}
본 발명은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참가자 간의 소통형 수업을 온라인 상에서 보조하기 위한 수업도구 서비스에 교육용 콘텐츠 전송기능과 온라인 퀴즈 소통기능이 구비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흥미로운 교육환경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사의 편의성 제공과 참가자의 수업흥미도 유발을 기대할 수 있는 교육용 콘텐츠 전송기능이 구비된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개학이 연기되고, 비대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업계는 에듀테크 확산을 위해 발빠르게 대처하고 있으며, 국내 교육서비스 및 에듀테크 스타트업은 코로나19로 영향을 받는 학생들에게 자사 서비스 무료 이용 혜택을 주며 고객 유치에 나서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온라인 상에서 교육을 제공하는 다양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의 인기는 폭발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교육 서비스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디지털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식을 의미한다.
온라인 교육 서비스 이용자(즉, 학습자)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원하는 교육 콘텐츠를 반복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도 대부분, 학습자의 학습능력, 학습특성이나 학습일정에 관계없이, 학습자가 선택한 교육 콘텐츠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과목의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하는 과목의 교사 또는 강사가 칠판 앞에 서서 미리 설정된 학습일정에 따라 교육을 진행하는 동영상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따라서,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능력, 학습일정에 따라 적절한 교육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을지라도, 학습자는 정해진 온라인 교육시간 내내 교사의 일방적인 설명과 문제풀이 모습을 보게 되므로, 학습자와 교사의 양방향의 소통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이는 지루한 수업환경을 야기하게 될 수도 있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즉, 오프라인 상의 교육과 같은 원활한 소통방식의 양방향 교육을 실현하면서도, 온라인 교육 서비스의 다양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고, 실제로 코로나 사태 이후, 직접 서로 대면하게 될 오프라인 교육에서도 흥미롭고 편리한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를 보조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교사에게는 보다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참가자에게는 보다 향상된 흥미도를 유발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6822호(발명의 명칭: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참가자 간의 소통형 수업을 온라인 상에서 보조하기 위한 수업도구 서비스에 교육용 콘텐츠 전송기능과 온라인 퀴즈 소통기능이 구비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흥미로운 교육환경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사의 편의성 제공과 참가자의 수업흥미도 유발을 기대할 수 있는 교육용 콘텐츠 전송기능이 구비된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참가자 간의 대면 수업을 온라인 상에서 보조하기 위한 수업도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 제1 활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단말; 상기 참가자의 인증신호, 제2 활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단말; 상기 제1,2 단말 및 웹, 외부 서버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통신하면서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교사 인증이 완료되면, 수업과 연관하여 콘텐츠 공유, 온라인 퀴즈 진행 중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소통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을 지원하도록 미리 프로그래밍된 클래스 툴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자동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2 단말이 모두 접속되면, 상기 제1,2 활동신호의 실시간 입력에 따른 각각의 데이터가 상기 클래스 툴에 모두 반영되도록 하고, 상기 반영된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2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모듈의 생성과 동시에, 상기 제1 단말을 상기 서버모듈에 자동 접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서버모듈을 상기 제1 단말이 우선적으로 접속된 상태일 경우에만 상기 제2 단말이 접속가능하게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모듈을 복수개의 상기 제2 단말이 다중 접속가능하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서버모듈로부터 접속 해제된 이후 30분간, 상기 접속 해제 직전의 기존 서버모듈에 기접속된 기존 제2 단말의 접속상태를 유지하되, 신규 제2 단말의 접속시도는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서버모듈로부터 접속 해제된 이후 30분 이내에 재접속을 시도할 경우, 상기 접속 해제 직전의 기존 서버모듈로 자동 접속시키되, 상기 제1 단말의 재접속 이후에는 상기 기존 서버모듈로 다시 신규 제2 단말이 접속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서버모듈로부터 접속 해재된 이후 30분을 초과하면, 상기 접속 해제 직전의 기존 서버모듈을 자동 소멸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참가자의 인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각각에 대응하는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교사의 인증 또는 상기 참가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완료신호를 출력하는 인증 관리부; 상기 교사의 인증이 완료된 인증완료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클래스 툴을 통한 콘텐츠의 전송권한 및 퀴즈의 생성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클래스 툴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자동 생성하면서 상기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2 단말이 모두 접속되면, 상기 제1,2 단말의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서버모듈 관리부; 상기 제1,2 단말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제1,2 활동신호를 데이터화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2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따라 실시간 반응하기 위한 상기 클래스 툴을 미리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서버모듈 관리부에 의해 부여된 식별정보에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제1,2 활동신호의 데이터를 매핑하여 상기 클래스 툴에 반영되도록 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반영된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알림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활동신호는, 상기 클래스 툴을 구성하는 임의의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클래스 정보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서버모듈의 고유 식별 데이터에 대한 클래스 정보를 확인 및 수정하고자 하는 클래스 관리신호; 상기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참가자 정보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제2 단말들에 대한 참가자 정보를 확인 및 수정하고자 하는 참가자 관리신호; 상기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콘텐츠 전송 아이콘을 선택하여, 자동 제공되는 콘텐츠 전송 설정 플랫폼을 따라 임의의 공유대상 콘텐츠를 검색, 선정 및 전송하면서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제2 단말들에 대한 상기 알림부의 디스플레이 환경변화를 통해 상기 참가자의 콘텐츠 시청 및 감상을 유도하고자 하는 콘텐츠 공유신호; 및 상기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퀴즈 생성 아이콘을 선택하여, 자동 제공되는 퀴즈 설정 플랫폼을 따라 상기 퀴즈를 제작 및 출제하고자 하는 퀴즈 생성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는, 국/검정 교과서의 학습단원별 주제에 매칭가능하게 미리 수집된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교육용 콘텐츠일 수 있고, 상기 외부 서버는, 임의의 국내외 교육매체 기관과의 제휴를 통해 300만 내지 350만 건의 상기 콘텐츠를 수집 및 확보하여 보관한 ER Bank(Educational Resource Bank)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전송 설정 플랫폼은, 상기 ER Bank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ER Bank 서버 내의 상기 콘텐츠를 상기 교사가 검색하여 선정한 후 전송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교사가 상기 제1 단말에 기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직접 첨부하여 업로드하거나, 상기 웹 상의 이미지 파일 링크를 직접 입력하여 업로드한 후 전송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퀴즈 설정 플랫폼은, 상기 교사가 주관식, 객관식 OX 선택식 중 어느 하나의 문제유형의 퀴즈를 제작 및 출제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매핑되는 제1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공유대상 콘텐츠를 전송하고자 하는 콘텐츠 공유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과 함께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상기 제2 단말의 알림부에, 상기 공유대상 콘텐츠가 자동 팝업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이후, 상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의 알림부에는, 텍스트 형태로 해당 참가자가 상기 공유대상 콘텐츠를 시청 및 감상 진행중임을 나타내는 대기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매핑되는 제1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퀴즈를 출제하고자 하는 퀴즈 생성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과 함께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상기 제2 단말의 알림부에, 상기 퀴즈 생성신호에 기반하여 출제된 퀴즈에 대한 상기 참가자의 답안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퀴즈 풀이 플랫폼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이후, 상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의 알림부에는, 텍스트 형태로 해당 참가자가 퀴즈 풀이를 진행중임을 나타내는 대기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활동신호는, 상기 퀴즈 풀이 플랫폼을 따라 상기 퀴즈를 해답 및 제출하고자 하는 퀴즈 응답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매핑되는 제2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퀴즈를 제출하고자 하는 퀴즈 응답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제2 활동신호를 기반으로 임의의 통계 알고리즘에 의해 통계 처리된 응답 통계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해당 제2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2 단말과 함께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상기 제1 단말의 알림부에, 상기 추출된 응답 통계정보에 대응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콘텐츠 전송기능이 구비된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참가자 간의 소통형 수업을 온라인 상에서 보조하기 위한 클래스 툴에 교육용 콘텐츠 전송기능과 온라인 퀴즈 소통기능이 구비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흥미로운 교육환경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사의 편의성 제공과 참가자의 수업흥미도 유발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콘텐츠 전송기능이 구비된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상기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상기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1,2 단말 및 그의 알림부를 나타낸 이미지.
도 4는 상기 제1 단말을 이용하는 교사 시점에서의 상기 제어부의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상기 제2 단말을 이용하는 참가자 시점에서의 상기 제어부의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상기 제1,2 단말 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유기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상기 제어부의 인증 관리부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
도 8은 상기 교사의 제1 활동신호 중 클래스 관리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
도 9 및 도 10은 상기 제1 활동신호 중 참가자 관리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
도 11 내지 도 21은 상기 제1 활동신호 중 콘텐츠 공유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
도 22는 상기 제1 활동신호 중 퀴즈 생성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
도 23 및 도 24는 상기 참가자의 제2 활동신호 중 퀴즈 응답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콘텐츠 전송기능이 구비된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상기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상기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1,2 단말 및 그의 알림부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4는 상기 제1 단말을 이용하는 교사 시점에서의 상기 제어부의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5는 상기 제2 단말을 이용하는 참가자 시점에서의 상기 제어부의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상기 제1,2 단말 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유기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7은 상기 제어부의 인증 관리부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8은 상기 교사의 제1 활동신호 중 클래스 관리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9 및 도 10은 상기 제1 활동신호 중 참가자 관리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11 내지 도 21은 상기 제1 활동신호 중 콘텐츠 공유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22는 상기 제1 활동신호 중 퀴즈 생성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23 및 도 24는 상기 참가자의 제2 활동신호 중 퀴즈 응답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콘텐츠 전송기능이 구비된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참가자 간의 대면 수업을 온라인 상에서 보조하기 위한 수업도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단말(110), 제2 단말(120), 웹(130), 외부 서버(140), 제어부(150) 및 알림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본 발명을 위해 필수적인 최소한의 구성일뿐, 이보다 더 부가적인 구성요소들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110)은 키보드, 패드, 마우스 등 다양한 공지의 입력기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교사에게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기를 통한 교사의 인증신호, 제1 활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웹(130), 외부 서버(140) 및 제어부(150)에 입력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120)은 상술한 제1 단말(110)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그 구성요소는 상기 제1 단말(110)과 동일하게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참가자에게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기를 통한 참가자의 인증신호, 제2 활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웹(130), 외부 서버(140) 및 제어부(150)에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2 단말(110, 120)은 바람직하게는, 태블릿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PC, 스마트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2 단말(110, 120)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게재된 통상의 단말장치에 해당하므로, 세부 구성은 도면에 미도시 하였음은 물론, 그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웹(130)은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음향, 비디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터넷 서비스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2 단말(110, 120)과 연결되어 상기 제1,2 단말(110, 120)을 각각 이용하는 교사 및 참가자에게 다양한 공지의 교육용 미디어가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웹(130)은 구글(google)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외부 서버(140)는 상술한 웹(130)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2 단말(110, 120), 웹(130) 및 제어부(150)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 따르면, 임의의 국내외 교육매체 기관과의 제휴를 통해 300만 내지 350만 건의 콘텐츠를 수집 및 확보하여 보관한 ER Bank(Educational Resource Bank) 서버와, 공지의 유튜브(youtube)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외부 서버(140)는 웹(130)과 연동하여 제어부(150)에 다양한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공지의 기술로서,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ER Bank 서버에 포함된 콘텐츠는 국/검정 교과서의 학습단원별 주제에 매칭가능하게 미리 수집된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교육용 콘텐츠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ER Bank 서버와 제휴된 기관은 BBC, Discovery Education, KBS, MBC, YTN, EBS, 고려대학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다양한 학습소통유형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서버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 단말(110, 120) 및 상기 웹(130), 외부 서버(140)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50)는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1 단말(110)을 통해 교사의 인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교사 인증이 완료되면, 수업과 연관하여 콘텐츠 공유, 온라인 퀴즈 진행 중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소통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을 지원하도록 미리 프로그래밍된 클래스 툴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자동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2 단말(110, 120)이 모두 접속되면, 상기 제1,2 활동신호의 실시간 입력에 따른 각각의 데이터가 상기 클래스 툴에 모두 반영되도록 하고, 상기 반영된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술한 서버모듈의 생성과 동시에, 상기 제1 단말(110)을 서버모듈에 자동 접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서버모듈을 제1 단말(110)이 우선적으로 접속된 상태일 경우에만 상기 제2 단말(120)이 접속가능하게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모듈을 복수개의 상기 제2 단말(120)이 다중 접속가능하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단말(110)이 서버모듈로부터 접속 해제된 이후 30분간, 상기 접속 해제 직전의 기존 서버모듈에 기접속된 기존 제2 단말(120)의 접속상태를 유지하되, 신규 제2 단말(120)의 접속시도는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제1 단말(110)이 서버모듈로부터 접속 해제된 이후 30분 이내에 재접속을 시도할 경우, 상기 접속 해제 직전의 기존 서버모듈로 자동 접속시키되, 상기 제1 단말(110)의 재접속 이후에는 상기 기존 서버모듈로 다시 신규 제2 단말(120)이 접속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말(110)이 서버모듈로부터 접속 해재된 이후 30분을 초과하면, 상기 접속 해제 직전의 기존 서버모듈을 자동 소멸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50)는 좀 더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관리부(151), 서버모듈 관리부(152), 데이터 생성부(153), 데이터 베이스부(154), 데이터 처리부(155) 및 알림신호 출력부(1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증 관리부(151)는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1 단말(110)로부터 교사의 인증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참가자의 인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각각에 대응하는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교사의 인증 또는 상기 참가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완료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인증 프로그램은 웹(130)을 통한 회원가입으로 로그인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공지의 인증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는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서버모듈 관리부(152)는 교사의 인증이 완료된 상기 인증완료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단말(110)에 상기 클래스 툴을 통한 콘텐츠의 전송권한 및 퀴즈의 생성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클래스 툴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자동 생성하면서 상기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2 단말(110, 120)이 모두 접속되면, 상기 제1,2 단말(110, 120)의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를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생성부(153)는 제1,2 단말(110, 120)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제1,2 활동신호를 데이터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54)는 데이터 생성부(153)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2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따라 실시간 반응하기 위한 상기 클래스 툴을 미리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55)는 서버모듈 관리부(152)에 의해 부여된 식별정보에 상기 데이터 생성부(153)에 의해 생성된 제1,2 활동신호의 데이터를 매핑하여 상기 클래스 툴에 반영되도록 한다.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156)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55)를 통해 반영된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활동신호는 클래스 관리신호, 참가자 관리신호, 콘텐츠 공유신호 및 퀴즈 생성신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래스 관리신호는 전술한 클래스 툴을 구성하는 임의의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클래스 정보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서버모듈의 고유 식별 데이터에 대한 클래스 정보를 확인 및 수정(도 8 참조)하고자 하는 신호이다.
상기 참가자 관리신호는 상술한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참가자 정보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제2 단말(120)들에 대한 참가자 정보를 확인 및 수정(도 9 및 도 10 참조)하고자 하는 신호이다.
상기 콘텐츠 공유신호는 상술한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콘텐츠 전송 아이콘을 선택하여, 자동 제공되는 콘텐츠 전송 설정 플랫폼을 따라 임의의 공유대상 콘텐츠를 검색, 선정 및 전송하면서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제2 단말(120)들에 대한 상기 알림부의 디스플레이 환경변화를 통해 상기 참가자의 콘텐츠 시청 및 감상을 유도하고자 하는 신호이다.
상기 퀴즈 생성신호는 상술한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퀴즈 생성 아이콘을 선택하여, 자동 제공되는 퀴즈 설정 플랫폼을 따라 상기 퀴즈를 제작 및 출제하고자 하는 신호이다.
이때, 상기 클래스 정보는 교사 및 상기 참가자의 학급, 담임명, 수업단원, 수업주제, 수업목표 중 적어도 하나의 공통된 요소를 표현하기 위한 텍스트 데이터와, 상기 제2 단말(120)이 서버모듈로의 접속을 위해 상기 서버모듈의 생성과 동시에 자동 부여되는 QR 코드와, 상기 제2 단말(120)이 QR 코드 인식을 통한 접속과 개별적인 경로로 상기 서버모듈로의 접속을 위해 랜덤 생성 또는 상기 클래스 관리신호에 따라 직접 입력되는 클래스 코드와, 상기 교사가 희망하는 참가자만을 모집하기 위해 상기 클래스 관리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가능한 암호코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전송 설정 플랫폼은 도 1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구글 웹, ER Bank 서버, 유튜브 서버 등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구글 웹, ER Bank 서버, 유투브 서버 내의 상기 콘텐츠를 상기 교사가 검색하여 선정한 후 전송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교사가 상기 제1 단말(110)에 기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직접 첨부하여 업로드하거나, 상기 웹(130) 및 외부 서버(140) 상의 이미지 파일 링크를 직접 입력하여 업로드한 후 전송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퀴즈 설정 플랫폼은 도 22를 참조하여, 상기 교사가 주관식, 객관식 OX 선택식 중 어느 하나의 문제유형의 퀴즈를 제작 및 출제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15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처리부(155)를 통해 매핑되는 제1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공유대상 콘텐츠를 전송하고자 하는 콘텐츠 공유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110)과 함께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상기 제2 단말(120)의 알림부(160)에, 상기 공유대상 콘텐츠가 자동 팝업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도 20 참조)할 수 있고, 이후, 상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110)의 알림부(160)에는, 텍스트 형태로 해당 참가자가 상기 공유대상 콘텐츠를 시청 및 감상 진행중임을 나타내는 대기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도 21 참조)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156)는 데이터 처리부(155)를 통해 매핑되는 제1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퀴즈를 출제하고자 하는 퀴즈 생성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110)과 함께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상기 제2 단말(120)의 알림부(160)에, 상기 퀴즈 생성신호에 기반하여 출제된 퀴즈에 대한 상기 참가자의 답안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퀴즈 풀이 플랫폼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도 23 참조)할 수 있고, 이후, 상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110)의 알림부(160)에는, 텍스트 형태로 해당 참가자가 퀴즈 풀이를 진행중임을 나타내는 대기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도 24 참조)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 활동신호는 상술한 퀴즈 풀이 플랫폼을 따라 상기 퀴즈를 해답 및 제출하고자 하는 퀴즈 응답신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156)는 데이터 처리부(155)를 통해 매핑되는 제2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퀴즈를 제출하고자 하는 퀴즈 응답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제2 활동신호를 기반으로 임의의 통계 알고리즘에 의해 통계 처리된 응답 통계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해당 제2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2 단말(120)과 함께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상기 제1 단말(110)의 알림부(160)에, 상기 추출된 응답 통계정보에 대응하는 알림신호를 출력(도 24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160)는 제어부(150)로부터 출력된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사의 제1 단말(110), 상기 참가자의 제2 단말(120)에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말(110)의 알림부(160)는 교실 내에 미리 설치된 대형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알림부(16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0 :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 제1 단말
120 : 제2 단말 130 : 웹
140 : 외부 서버 150 : 제어부
151 : 인증 관리부 152 : 서버모듈 관리부
153 : 데이터 생성부 154 : 데이터 베이스부
155 : 데이터 처리부 156 : 알림신호 출력부
160 : 알림부

Claims (1)

  1.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참가자 간의 대면 수업을 온라인 상에서 보조하기 위한 수업도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 제1 활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단말;
    상기 참가자의 인증신호, 제2 활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단말;
    상기 제1,2 단말 및 웹, 외부 서버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통신하면서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교사 인증이 완료되면, 수업과 연관하여 콘텐츠 공유, 온라인 퀴즈 진행 중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소통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을 지원하도록 미리 프로그래밍된 클래스 툴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자동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2 단말이 모두 접속되면, 상기 제1,2 활동신호의 실시간 입력에 따른 각각의 데이터가 상기 클래스 툴에 모두 반영되도록 하고, 상기 반영된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2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모듈의 생성과 동시에, 상기 제1 단말을 상기 서버모듈에 자동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서버모듈을 상기 제1 단말이 우선적으로 접속된 상태일 경우에만 상기 제2 단말이 접속가능하게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버모듈을 복수개의 상기 제2 단말이 다중 접속가능하게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서버모듈로부터 접속 해제된 이후 30분간, 상기 접속 해제 직전의 기존 서버모듈에 기접속된 기존 제2 단말의 접속상태를 유지하되, 신규 제2 단말의 접속시도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서버모듈로부터 접속 해제된 이후 30분 이내에 재접속을 시도할 경우, 상기 접속 해제 직전의 기존 서버모듈로 자동 접속시키되, 상기 제1 단말의 재접속 이후에는 상기 기존 서버모듈로 다시 신규 제2 단말이 접속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서버모듈로부터 접속 해재된 이후 30분을 초과하면, 상기 접속 해제 직전의 기존 서버모듈을 자동 소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참가자의 인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각각에 대응하는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교사의 인증 또는 상기 참가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완료신호를 출력하는 인증 관리부;
    상기 교사의 인증이 완료된 인증완료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클래스 툴을 통한 콘텐츠의 전송권한 및 퀴즈의 생성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클래스 툴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자동 생성하면서 상기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2 단말이 모두 접속되면, 상기 제1,2 단말의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서버모듈 관리부;
    상기 제1,2 단말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제1,2 활동신호를 데이터화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2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따라 실시간 반응하기 위한 상기 클래스 툴을 미리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서버모듈 관리부에 의해 부여된 식별정보에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제1,2 활동신호의 데이터를 매핑하여 상기 클래스 툴에 반영되도록 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반영된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알림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활동신호는,
    상기 클래스 툴을 구성하는 임의의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클래스 정보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서버모듈의 고유 식별 데이터에 대한 클래스 정보를 확인 및 수정하고자 하는 클래스 관리신호;
    상기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참가자 정보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제2 단말들에 대한 참가자 정보를 확인 및 수정하고자 하는 참가자 관리신호;
    상기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콘텐츠 전송 아이콘을 선택하여, 자동 제공되는 콘텐츠 전송 설정 플랫폼을 따라 임의의 공유대상 콘텐츠를 검색, 선정 및 전송하면서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제2 단말들에 대한 상기 알림부의 디스플레이 환경변화를 통해 상기 참가자의 콘텐츠 시청 및 감상을 유도하고자 하는 콘텐츠 공유신호; 및
    상기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퀴즈 생성 아이콘을 선택하여, 자동 제공되는 퀴즈 설정 플랫폼을 따라 상기 퀴즈를 제작 및 출제하고자 하는 퀴즈 생성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콘텐츠는,
    국/검정 교과서의 학습단원별 주제에 매칭가능하게 미리 수집된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교육용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외부 서버는,
    임의의 국내외 교육매체 기관과의 제휴를 통해 300만 내지 350만 건의 상기 콘텐츠를 수집 및 확보하여 보관한 ER Bank(Educational Resource Bank)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콘텐츠 전송 설정 플랫폼은,
    상기 ER Bank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ER Bank 서버 내의 상기 콘텐츠를 상기 교사가 검색하여 선정한 후 전송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교사가 상기 제1 단말에 기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직접 첨부하여 업로드하거나, 상기 웹 상의 이미지 파일 링크를 직접 입력하여 업로드한 후 전송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퀴즈 설정 플랫폼은,
    상기 교사가 주관식, 객관식 OX 선택식 중 어느 하나의 문제유형의 퀴즈를 제작 및 출제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매핑되는 제1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공유대상 콘텐츠를 전송하고자 하는 콘텐츠 공유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과 함께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상기 제2 단말의 알림부에, 상기 공유대상 콘텐츠가 자동 팝업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후, 상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의 알림부에는, 텍스트 형태로 해당 참가자가 상기 공유대상 콘텐츠를 시청 및 감상 진행중임을 나타내는 대기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매핑되는 제1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퀴즈를 출제하고자 하는 퀴즈 생성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과 함께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상기 제2 단말의 알림부에, 상기 퀴즈 생성신호에 기반하여 출제된 퀴즈에 대한 상기 참가자의 답안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퀴즈 풀이 플랫폼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후, 상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의 알림부에는, 텍스트 형태로 해당 참가자가 퀴즈 풀이를 진행중임을 나타내는 대기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콘텐츠 전송기능이 구비된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159708A 2022-03-23 2022-11-24 교사의 편의성 제공과 참가자의 수업흥미도 유발을 기대할 수 있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93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708A KR102493044B1 (ko) 2022-03-23 2022-11-24 교사의 편의성 제공과 참가자의 수업흥미도 유발을 기대할 수 있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111A KR102484345B1 (ko) 2022-03-23 2022-03-23 교육용 콘텐츠 전송기능이 구비된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159708A KR102493044B1 (ko) 2022-03-23 2022-11-24 교사의 편의성 제공과 참가자의 수업흥미도 유발을 기대할 수 있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111A Division KR102484345B1 (ko) 2022-03-23 2022-03-23 교육용 콘텐츠 전송기능이 구비된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044B1 true KR102493044B1 (ko) 2023-01-31

Family

ID=84924946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111A KR102484345B1 (ko) 2022-03-23 2022-03-23 교육용 콘텐츠 전송기능이 구비된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159710A KR102560663B1 (ko) 2022-03-23 2022-11-24 교사의 편의성 제공과 참가자의 수업흥미도 유발을 기대할 수 있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20159708A KR102493044B1 (ko) 2022-03-23 2022-11-24 교사의 편의성 제공과 참가자의 수업흥미도 유발을 기대할 수 있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159709A KR102493045B1 (ko) 2022-03-23 2022-11-24 온라인 상의 수업도구 서비스에 온라인 퀴즈 소통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111A KR102484345B1 (ko) 2022-03-23 2022-03-23 교육용 콘텐츠 전송기능이 구비된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159710A KR102560663B1 (ko) 2022-03-23 2022-11-24 교사의 편의성 제공과 참가자의 수업흥미도 유발을 기대할 수 있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9709A KR102493045B1 (ko) 2022-03-23 2022-11-24 온라인 상의 수업도구 서비스에 온라인 퀴즈 소통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4843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345B1 (ko) * 2022-03-23 2023-01-04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교육용 콘텐츠 전송기능이 구비된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946A (ko) * 2009-05-29 2010-12-08 (주)지유에듀테인먼트 실감형 인스턴트 지식 커뮤니티 서버 시스템 및 실감형 인스턴트 지식 커뮤니티 제공방법
KR20130133664A (ko) * 2012-05-21 2013-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616405B1 (ko) * 2015-08-12 2016-04-29 주식회사 오름 키즈용 스마트 교육 시스템
KR20160067449A (ko) * 2014-12-04 2016-06-14 정복문 웹소켓 기반의 실시간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101630607B1 (ko) * 2015-09-17 2016-06-15 김용현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학생회원과 강사회원 사이의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56822B1 (ko) 2017-05-04 2019-12-17 주식회사 매스프레소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345B1 (ko) * 2022-03-23 2023-01-04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교육용 콘텐츠 전송기능이 구비된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946A (ko) * 2009-05-29 2010-12-08 (주)지유에듀테인먼트 실감형 인스턴트 지식 커뮤니티 서버 시스템 및 실감형 인스턴트 지식 커뮤니티 제공방법
KR20130133664A (ko) * 2012-05-21 2013-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60067449A (ko) * 2014-12-04 2016-06-14 정복문 웹소켓 기반의 실시간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101616405B1 (ko) * 2015-08-12 2016-04-29 주식회사 오름 키즈용 스마트 교육 시스템
KR101630607B1 (ko) * 2015-09-17 2016-06-15 김용현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학생회원과 강사회원 사이의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56822B1 (ko) 2017-05-04 2019-12-17 주식회사 매스프레소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345B1 (ko) 2023-01-04
KR102493045B1 (ko) 2023-01-31
KR102560663B1 (ko) 202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tin et al. Examining interactivity in synchronous virtual classrooms
Elizabeth Lavolette, Melissa A. Venable, Eddie Gose, and Eric Huang Comparing synchronous virtual classrooms: Student, instructor and course designer perspectives
DiMaria-Ghalili et al. Webcasting: A new instructional technology in distance graduate nursing education
Goosen Technology-supported teaching and research methods for educators: case study of a massive open online course
KR102493044B1 (ko) 교사의 편의성 제공과 참가자의 수업흥미도 유발을 기대할 수 있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Ramlatchan et al. Enhancing instructor credibility and immediacy in the design of distance learning systems and virtual classroom environments
US20140024005A1 (en) Multi-Platform Learning Environment
KR102499155B1 (ko) 참가자의 향상된 수업참여도를 달성할 수 있는 소통형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MacIntosh Learner concerns and teaching strategies for video-conferencing
Cain et al. Pedagogy and situational creativity in synchronous hybrid learning: Descriptions of three models
KR20190093771A (ko) 멀티디스플레이기반 인터렉션형 온라인 실기수업 영상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36672A (ko) 다중화면 인터랙션을 이용한 온라인 디자인 실기수업 영상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502209B1 (ko) 교육용 웹 유도기능 및 온라인 퀴즈 소통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mant Of Friction Points and Infrastructures: Rethinking the Dynamics of Offering Online Education in Technical Communication in Global Contexts
Revinova et al. E-learning trends and benefits: Russian realities
KR102504454B1 (ko)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147264A (ko) 인터넷을 활용한 실시간 미용 교육 시스템
Ragkhitwetsagul et al. Virtual reality for software engineering presentations
KR102530740B1 (ko) 퀴즈 게임을 이용한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nah et al. Are Students Ready for MOOCs?
Zaid et al. FACULTY MEMBERS’AWARENESS OF E-LEARNING QUALITY STANDARDS
Gudanescu E-learning in Higher and Adult Education
The Practice of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with Google MeetFrom Non-English Major Students View
Haar Using technology to enhance sense of community across course formats
Racheva et al. NAVIGATING THE FUTURE: EXPLORING SYNCHRONOUS HYBRI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POST-COV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