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998B1 - 광물 또는 식물 섬유 배트 내부에서의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광물 또는 식물 섬유 배트 내부에서의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998B1
KR102492998B1 KR1020177020985A KR20177020985A KR102492998B1 KR 102492998 B1 KR102492998 B1 KR 102492998B1 KR 1020177020985 A KR1020177020985 A KR 1020177020985A KR 20177020985 A KR20177020985 A KR 20177020985A KR 102492998 B1 KR102492998 B1 KR 102492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blanket
conveyor belt
conveyo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2290A (ko
Inventor
클레어 펠리니
아르투르 조와다
바즈테라 프란시스코 자비에르 아센시오
Original Assignee
쌩-고벵 이조베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이조베르 filed Critical 쌩-고벵 이조베르
Publication of KR20170102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6Textiles
    • G01N33/367Fabric or wove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4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29C67/248Moulding mineral fibres or particles bonded with resin, e.g. for insulating or roofing board
    • B29C67/249Moulding mineral fibres or particles bonded with resin, e.g. for insulating or roofing board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D04H1/4218Glass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D04H1/4218Glass fibres
    • D04H1/4226Glass fibres characteris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glass flee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2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6Textiles
    • G01N33/362Material before processing, e.g. bulk cotton or w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1개의 컨베이어 벨트(20A, 20B)와 함께 이동하는 광물 및/또는 식물 섬유 배트 내부에서의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센서(32) 및 센서를 배트(12) 안에 도입하기 위한 작동기(34)를 포함하는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고, 작동기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장착되고 센서를 후퇴된 위치와 배트 내부의 측정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법은 컨베이어 벨트 이동의 영향 하의 작동기를 이용하여 배트 안에 센서를 도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물 또는 식물 섬유 배트 내부에서의 측정 방법
본 발명은 광물 또는 식물 섬유, 특히 유리 울 또는 암석 울 유형의 광물 울의 연속 블랭킷(blanket)의 내부에서의 측정 방법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 블랭킷은 나중에 절단되어 예를 들어 열 및/또는 음향 절연 패널 또는 롤을 형성하도록 의도된다.
절연 섬유의 그러한 블랭킷의 제조는 주로 섬유화하여 섬유를 천공된 이동성 트랜스포터 또는 컨베이어 상에 침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새롭게 생성된 섬유 덩어리는 컨베이어 아래에 배열된 흡인 박스의 도움으로 컨베이어 상에 프레싱되어 컨베이어 상에 섬유가 침착된다. 섬유화 동안, 인발된 섬유 상에 휘발성 액체, 예컨대 물 중의 용액 또는 현탁액의 형태로 결합제가 분사되고, 이 결합제는 접착성 특성을 가지고, 보통은 열-경화가능한 물질, 예컨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한다.
그 다음, 수집기 컨베이어 상의 상대적으로 느슨한 섬유의 일차 층을 문제의 분야에서 가교 오븐이라고 흔히 알려진 가열 장치에 전달한다. 섬유의 블랭킷은 추가의 천공된 컨베이어에 의해 오븐을 통해 그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통과한다. 빈번히, 컨베이어는 생성되는 블랭킷의 두께를 결정하기에 적당한 거리만큼 이격되는 서로 대면하는 2개의 엔드리스 벨트(endless belt)이다. 게다가, 컨베이어의 각 벨트는 블랭킷의 가열 동안에 방출되는 공기 및 다른 기체에 대해 투과성이도록 천공된 상호간 관절식 그릴을 형성하는 플라이트(flight)에 의해 생성된다. 이러해서, 그러한 블랭킷은 오븐 내에서 2개의 컨베이어가 가하는 압축 정도에 의존해서 더 크거나 더 작은 밀도를 갖는다.
블랭킷이 오븐을 통과할 때, 블랭킷은 동시에 건조되고, 섬유 표면 상에 존재하는 결합제의 열경화성 수지의 중합 (또는 "경화")를 야기하는 특정 열 처리를 받는다.
결합제의 경화를 야기하는 데 이용되는 절차는 가열된 공기를 블랭킷을 통해 통과시키고 이렇게 해서 블랭킷의 두께 전체에 걸쳐서 존재하는 결합제가 그의 경화 온도 초과의 온도에 점진적으로 도달하는 데 있다. 이 목적으로, 가교 오븐은 블랭킷 둘레에 폐쇄된 챔버를 형성하는 인클로저로 이루어지고, 인클로저 안에는 팬에 의해 순환되도록 된 뜨거운 공기가 버너로부터 공급되는 박스의 세트가 배치된다. 이러해서, 각 박스는 특정 가열 조건이 조절되는 독립적 가열 구역을 형성한다. 박스는 블랭킷 및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를 위한 개구를 갖는 벽에 의해 분리된다. 이러해서, 복수의 박스의 이용은 오븐을 통한 블랭킷의 통과 전체에 걸쳐서 블랭킷의 온도의 점진적 증가를 허용하고, 국소적 과열에 기인하는 뜨거운 지점의 출현 또는 별법으로, 블랭킷 내에 결합제가 완전히 중합되지 않은 구역의 존재를 피한다. 이러해서, 매우 흔하게는, 광물 울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오븐은 다수의 박스 (예를 들어, 3 내지 10 개) 및 또한, 각 박스 내의 가변 열 조건을 확립하기 위한 공지된 수단을 포함한다.
현재,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를 대체하는 새로운 대체 결합제의 이용은 위에서 서술된 통상적인 오븐에서 섬유의 블랭킷을 경화하는 방법의 조건을 제어하는 것을 더 어렵게 하고 있다. 포름알데히드를 일반적으로 함유하지 않고 때때로 "그린 바인더"(green binder)로 알려져 있는 그러한 결합제는, 특히 그러한 결합제가 특히 예를 들어 WO 2009/080938 및 WO 2010/029266에 서술된 바와 같은 수소화된 또는 비수소화된 당으로부터 유래되는 유형의 재생가능한 특히 식물 기반 출발 물질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래될 때, 열경화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경화 온도의 매우 좋은 조절을 매우 자주 요구하고, 경화 온도의 범위가 더 좁다. 매우 특히, 이 결합제는 그의 경화를 달성하기 위한 최소값과 초과하면 결합제가 신속하게 열화되는 최대값 사이의 온도로 처리되어야 하고, 이러해서 궁극적으로는 최종 생성물의 손상된 기계적 특성을 심지어 그것이 설치된 후에도 초래한다.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는 그린 바인더의 유형에 의존해서 대략 정확히 20℃ 또는 심지어, 그 미만일 수 있다. 따라서, 섬유의 블랭킷의 두께 및 폭 전체에 걸친 온도 제어는 새로운 기술 및 특히, 오븐의 설계의 변화를 요구한다.
본 발명의 한 목표는 블랭킷의 경화 동안에 온도의 정밀 제어를 요구하는 결합제의 경우를 포함해서 블랭킷에서 결합제의 좋은 가교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조 방법을 갖는 것이다.
이 목적으로, 본 발명의 한 대상은 측정 방법이 센서 및 센서를 블랭킷 안에 도입하기 위한 작동기를 포함하는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고, 작동기가 컨베이어 벨트 상에 장착되고 센서를 후퇴된 위치와 블랭킷 내부의 측정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측정 방법이 컨베이어 벨트 이동의 영향 하에서의 작동기에 의한 블랭킷 안으로의 센서의 도입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갖는 적어도 1개의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광물 및/또는 식물 섬유 블랭킷의 내부에서의 측정 방법이다.
측정 방법은 오븐을 통해 블랭킷의 이동 동안에 어느 때든 블랭킷 내부에서 (즉, 두께 내의 위치와 관계 없이) 온도를 아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해서, 오븐을 통한 블랭킷의 이동을 따라서 블랭킷 내부의 온도를 반복적으로 및 심지어, 체계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가교 온도에 도달했는지 여부, 어떤 속도로, X ℃ 넘게 초과했는지, 얼마나 많은 시간이 걸렸는지 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방법은 특히 블랭킷의 두께, 밀도 또는 수분 함량이 변할 때 블랭킷의 가열 및 건조가 최적화되는 것을 허용한다.
특별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 방법은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행가능한 조합으로 고려되는 다음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 이 방법은 블랭킷으로부터 센서를 제거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고;
- 측정 위치에서는 센서가 컨베이어 벨트 밖으로 돌출하고,
- 후퇴된 위치에서는 센서가 컨베이어 벨트 내부로 후퇴되고,
- 작동기가 자율형 및 수동형이고,
- 작동기가 작동 질량체를 포함하고, 중력의 영향 하 및 컨베이어 벨트 이동의 영향 하에서의 작동 질량체의 이동이 센서를 후퇴된 위치로부터 측정 위치로 및/또는 측정 위치로부터 후퇴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 작동기가 측정 위치의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메카니즘이 자율형 및 수동형이고,
- 작동기가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에서의 컨베이어 벨트의 변형의 영향 하에 작용하는 작동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 컨베이어 벨트가 관절식 요소에 의해 형성되고, 작동기가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에서의 관절식 요소의 상대 이동을 이용하여 센서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 센서에 센서를 후퇴된 위치로부터 측정 위치로 및/또는 측정 위치로부터 후퇴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 질량체가 제공되고/제공되거나 그러한 작동 질량체를 형성하고,
- 센서가 무선이고, 바람직하게는 자율형 및 수동형이고,
- 센서가 온도 센서이고,
- 센서가 SAW 유형이고,
- 방법이 센서와 소통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고정된 유닛을 포함하고,
- 시스템이 센서가 컨베이어의 경로를 따라서 그 유닛과 소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 방법이 가교 오븐을 통해 통과함으로써 블랭킷에 존재하는 결합제를 가교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센서가 오븐 내에서 또는 오븐에 진입하기 전에 도입되고, 오븐 내에서 또는 오븐을 나간 후에 제거되고,
- 측정 방법이 광물 울을 제조하기 위한 연속 방법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대상은 블랭킷을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를 갖는 적어도 1개의 컨베이어, 및 블랭킷 내부에서 측정하기 위한 센서 및 센서를 블랭킷 안에 도입하기 위한 작동기를 포함하는 측정 시스템을 포함하고, 작동기가 컨베이어 벨트 상에 장착되고 센서를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의 영향 하에 컨베이어 내의 후퇴된 위치와 블랭킷 내부의 측정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인, 광물 및/또는 식물 섬유 블랭킷의 제조 라인이다.
한 특별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조 라인은 광물 섬유의 블랭킷에 존재하는 결합제를 가교시키기 위한 오븐을 포함하고, 컨베이어는 블랭킷을 오븐을 통해 수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단지 예로서 주어진 다음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광물 울의 블랭킷을 섬유화하기 위한 현행 설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블랭킷을 가교시키기 위한 오븐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측정 시스템이 블랭킷 컨베이어의 컨베이어 벨트 상에 장착된, 오븐을 통해 통과하는 블랭킷 내부에서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 2의 오븐의 일부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센서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 내지 4c는 컨베이어의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을 이용해서 측정 센서를 이동시키는 측정 시스템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작동기의 변형 실시양태의 하면 투시도이다.
도 1은 광물 섬유, 더 특히 유리 울을 기재로 하는 광물 섬유의 연속 블랭킷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라인의 처음 스테이지들을 나타내고, 이 라인은 광물 섬유 및 아마도, 식물 섬유를 기재로 하는 제품의 제조에 적당한 임의의 유형임을 이해한다.
예로서, 유리 울의 경우, 라인은 예를 들어 내부 원심분리에 의한 섬유화 방법에 따른 섬유화 유닛(1)을 포함한다. 섬유화 유닛은 적어도 1개의 원심분리기(2)가 위에 놓인 후드(도 1에는 나타내지 않음)를 포함한다. 각 원심분리기는 이전에 용융된 섬유화 유리의 쓰레드를 회수하기 위한 저장기(도 1에는 나타내지 않음) 및 주변 벽에 많은 오리피스가 제공된 접시 형태의 부품(3)을 포함한다. 작동시, 용융 퍼네이스(나타내지 않음)로부터 쓰레드(4)로 형성되고 맨 먼저 원심분리기의 저장기에 수집된 용융된 유리가 접시(3)의 오리피스를 통해 회전되는 다수의 필라멘트의 형태로 빠져나간다. 게다가, 환형 버너(5)가 원심분리기(2) 위에 놓이고, 환형 버너(5)는 원심분리기의 벽의 주변에서 유리 필라멘트를 커튼(6) 형태의 섬유로 인발하기에 충분히 높은 온도의 고속 기체의 흐름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인덕터 유형의 가열 수단(7)은 유리 및 원심분리기를 적절한 온도에서 유지시키는 데 기여한다. 커튼(6)이 화살표(8)로 나타낸 압력 하에 도입되는 공기의 기체 흐름에 의해 둘러싸인다. 커튼(6)은 수용액에 열경화성 결합제를 함유하는 결합 작용제를 분사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둘러싸이고, 도 1에는 분사 장치의 2개의 요소(9)만 나타낸다.
그것은 예를 들어 페놀계 결합제 또는 낮은 함량의 포름알데히드를 갖는 대체 결합제이고, 그러한 결합제는 특히 그것이 특히 수소화된 또는 비수소화된 당으로부터 유래되는 유형의 재생가능한, 특히 식물 기재, 출발 물질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래될 때 때때로 "그린 바인더"라고 알려져 있다.
섬유화 후드의 하부는 위에 서술된 섬유화 공정으로부터 생기는 기체, 예컨대 공기, 연기 및 과량의 수성 조성물을 위한 흡인 박스(11)가 내부에 배치된 기체 및 물 투과성인 엔드리스 벨트(10)를 포함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섬유 수용 장치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해서, 결합 조성물과 친밀 혼합된 유리 울 섬유의 블랭킷(12)이 컨베이어의 벨트(10) 상에 형성된다. 블랭킷(12)은 컨베이어(10)에 의해 열경화성 결합제를 가교시키기 위한 오븐(14)에 운반된다.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오븐(14)은 입구 및 출구 포트의 경계를 정하는 (입구 및 출구에서의 블랭킷 둘레를 제외하고는) 폐쇄된 인클로저(16) 및 벽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팬에 의해 순환하도록 된 버너에 의한 뜨거운 공기가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박스의 세트 (도 1 및 2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둘러싸인다. 블랭킷(12)을 수송하고 검정하기 위한 2개의 컨베이어(18A, 18B)에 의해 인클로저를 통과한다. 이 컨베이어는 서로 대면하는 상부 컨베이어(18A) 및 하부 컨베이어(18B)이다. 컨베이어(18A, 18B) 사이의 거리는 블랭킷(12)의 두께를 검정하도록 조정가능하다.
이 컨베이어(18A, 18B) 각각은 상호 관절식 그릴 형태의 일련의 플라이트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엔드리스 컨베이어 벨트(20A, 20B), 지면에 또는 적당한 프레임 상에 놓이는 적어도 1개의 모터(도 1에서 (20), (21)), 및 벨트(20A, 20B)를 구동하기 위해 모터(들)(20, 21)에 연결되는 단부 롤러(22, 23)를 포함한다. 플라이트는 더 일반적으로는 천공된 금속 플레이트, 또는 훨씬 더 일반적으로는 기체 투과성 운반 요소이고, 이것들이 조립되어 엔드리스 벨트를 형성한다.
결합제의 신속한 경화를 조장하는 뜨거운 기체의 통과를 보장하는 동안, 컨베이어(18A, 18B)는 블랭킷(12)에 요망되는 두께를 주기 위해 블랭킷(12)을 압축한다. 예로서, 완성된 제품의 경우, 요망되는 두께는 전형적으로 10 내지 450 mm이고, 유리 울 층의 밀도는 예를 들어 5 내지 250 kg/㎥이다. 이러해서, 예를 들어 밀도가 5 내지 15 kg/㎥ 사이에서 다양한 저밀도 제품이라고 불리는 제품, 15 내지 40 kg/㎥의 밀도를 갖는 중밀도 제품이라고 불리는 제품, 및 훨씬 더 큰 밀도를 갖는 고밀도 제품으로 구별된다.
입구 및 출구 포트는 연기를 위한 추출기 후드로 통하고(그의 배기 방향을 도 2에서 화살표로 나타냄), 이 후드는 상기 연기를 처리하기 위한 전용 회로(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에 연결된다.
도면에서, 오븐에서의 공기 순환을 화살표로 나타낸다.
예로서, 처음 박스들에서는, 뜨거운 공기가 오븐의 하부를 통해 도입되고, 블랭킷을 통과한 후 상부를 통해 배기된다. 복수의 박스의 이용은 블랭킷의 섬유 상에 존재하는 결합제의 가교 온도 이상의 온도까지 섬유의 블랭킷의 점진적 온도 증가를 허용한다.
다음 박스들에서는, 이번에는 뜨거운 공기가 오븐의 상부를 통해 도입되고 하부를 통해 배기된다.
박스에서 발생되는 추가의 연기는 최종적으로 후드를 거쳐 출구 또는 입구 포트를 통해 배기된다.
일반적인 방식으로, 박스(24)-(30)에서 오븐을 통해 송풍되는 뜨거운 공기의 온도는 결합제의 가교 온도(또한, "경화" 온도라고도 부름)보다 높고, 예를 들어 뜨거운 공기의 온도는 180℃ 내지 300℃이다.
더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을 통과하는 컨베이어(20A, 20B) 중 한 컨베이어(20B), 더 특히 그의 컨베이어 벨트에 블랭킷(12)의 코어에서(더 일반적으로 내부에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30)이 구비된다.
한 변형으로서, 그것은 임의의 적당한 유형의 어떤 다른 특징, 예컨대 수분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시스템(30)은 측정 센서(32) 및 센서(32)를 정지 위치와 측정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센서(32)의 작동기(34)를 포함한다.
정지 위치는 컨베이어(18B) 내부, 더 정밀하게는 컨베이어 벨트(20B) 내부의 후퇴된 위치이고, 측정 위치는 컨베이어 벨트(20B) 밖으로, 더 특히, 컨베이어 벨트(20A, 20B) 상에 또는 그 아래에 존재하는 블랭킷(12) 안으로 돌출하는 위치이다.
측정 시스템(30)은 상부 컨베이어(18A)의 컨베이어 벨트(20A) 및 하부 컨베이어(18B)의 컨베이어 벨트(20B)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 상에, 또는 예를 들어, 복수의 측정 시스템이 있을 때는 각각에 장착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센서(32)는 수동형 유형, 예를 들어 SAW("표면 음향파") 유형이라는 특별한 특징을 갖는다. 이 센서는 와이어에 의해 연결될 필요 없거나 또는 심지어 배터리에 의해 전기가 공급될 필요 없다. 이 센서는 안테나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기장을 변조함으로써 "온도" 정보 또는 더 일반적으로, "측정" 정보를 제공하고, 이것은 전자기장의 이 변조를 해석한다. 따라서, 이 센서는 프레임에 고정될 필요 없고, 단지 통신 유닛으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둘 필요 있고, 통신 유닛에 관한 한, 통신 유닛은 인클로저(16) 내부에 예를 들어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32)는 코어 온도를 위해 블랭킷(12)의 두께의 절반에 상응하는 깊이에 도입된다.
그러나, 한 변형에서, 블랭킷(12) 내부의 깊이는 예를 들어 임의의 적당한 값을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개략적 예에서는, 블랭킷(12)이 오븐(14)에 진입한 후에 블랭킷(12)에 센서(32)가 도입되고, 블랭킷(12)이 오븐을 나가기 전에 센서(32)가 제거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방식으로, 센서(32)는 오븐에 진입하기 전 또는 후에 삽입되고 오븐(14)을 나가기 전 또는 후에 회수되며, 다시 말해서, 센서(32)는 적어도 블랭킷(12)이 오븐(14)을 통과할 때 어느 시점에서 블랭킷(12)에 삽입된다. 그러나, 한 변형에서는, 예를 들어 블랭킷이 오븐(14)을 나간 직후에 센서가 도입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센서(32)의 작동기(34)는 자율형 및 수동형이다. 자율형은 이것이 원격 전력 공급원 또는 임의의 종류의 공급원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수동형은 이것이 외부 요소의 영향, 즉, 이 경우에는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 하에 센서의 이동이 작동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은 두 가지 영향을 미친다: 한 가지는 센서를 이동시키는 영향, 더 특히, 센서를 벨트의 단부로 귀환시키는 영향이고, 이것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메카니즘의 수동형 작동을 위해 중력의 영향을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 가지는 벨트의 단부에서 컨베이어 벨트를 변형시키는 영향이고, 이 변형은 또한 센서를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기에 의해 수동형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시스템의 전체 작동의 개략도이다.
작동기(34)는 컨베이어(18B)(즉, 운반하는 부품)의 컨베이어 벨트(20B) 상에 장착되고, 결과적으로 컨베이어 벨트(20B)에 고정되고, 즉, 컨베이어 벨트와 함께 이동한다.
오븐(14)을 통과하는 센서(32)의 경로를 따라서, 센서(32)는 오븐(14) 내부에서 센서(32)의 경로를 따라서 위치하는 상이한 연속적인 안테나(36)와 소통한다.
도 4 및 5는 수동형 및 자율형 작동기의 가능한 예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4c에서, 작동기(34)는 블랭킷(12)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관절식 아암(40)을 가지고, 아암(40)은 컨베이어 벨트(20B) 내부, 즉, 컨베이어(18B) 내부의 후퇴된 위치(도 4a 및 4c 참조)와 대향하는 컨베이어(18A)와 접촉하는, 더 특히, 대향하는 컨베이어 벨트(20A)와 접촉하는 위치(도 4 및 4b 참조)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4b에서는 각 컨베이어 벨트(20A, 20B)의 오직 1개의 플라이트(42A, 42B)만 나타낸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관절식 아암(40) 및 센서(32)가 플라이트(42B)를 통해 이동하기 위해 플라이트(42B)에 공간이 형성된다.
2개의 링크 봉(46)을 갖는 구동 메카니즘(44)이 센서의 하우징(48) 내에서의 센서(32)의 수직 이동을 아암(40)의 단부(50)의 수직 이동의 절반인 이동에 종속시킨다. 이러해서, 아암(40)이 대향하는 컨베이어 벨트(20A)와 접촉할 때, 작동기가 센서(32)의 단부를 2개의 컨베이어(18A, 18B) 사이의 중간으로, 즉, 블랭킷의 코어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한 변형에서는, 센서(32)의 이동을 아암(40)의 이동에 이렇게 종속시키는 것이 임의의 다른 적당한 유형이다.
아암의 후퇴된 위치로부터 대향하는 컨베이어와 접촉하는 아암의 연장된 위치로의 아암(40)의 이동은 2개의 플레이트(52)에 의해 얻어지고, 플레이트(52)는 작동 질량체를 형성하고, 아암(40)을 보관하는 케이싱(54) 상에 회전하게 장착된다(도 4b는 케이싱(54)의 내부를 나타냄). 2개의 플레이트(52)는 핀(56) 상에서 회전하도록(도 4, 4a 및 4c) 및 아암(40)에 고정된 핀(62)(특히 도 4c 참조)을 슬라이딩 피벗 연결로 유지하도록 장착된다. 플레이트(52)의 축(56)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플레이트(52)의 회전은 관절식 아암(40)의 근위 단부(64)에 장착된 핀(62)에 작용하여 아암(40)을 연장한다. 한 변형에서는, 작동 질량체가 임의의 적당한 유형이고, 작동기가 중력의 영향 하에 적어도 1개의 작동 질량체에 의해 아암(40) 및 센서(32)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훨씬 더 일반적으로, 도 5의 실시양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동기(34)가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관절식 아암을 갖지 않는다.
도 4c에서 더 상세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또한, 작동기(32)에는 아암(40) 및 센서(32)를 컨베이어 벨트(20B) 내부로 후퇴시키기 위한 메카니즘(70)이 제공되고, 작동기(70)는 작동 질량체(52)의 작용에 대항하도록 구성된다.
메카니즘(70)은 컨베이어 벨트(20B)의 인접하는 플라이트(42B)에 고정된 하우징(74) 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된 링크 봉(72)을 포함한다. 측정 시스템(40)이 컨베이어 벨트(20B)의 단부에 도달할 때, 상류 플라이트 및 센서(32)를 담지하는 플라이트(42B)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기 시작하고, 이렇게 해서 하우징(74) 내에 맞물린 링크 봉(72)의 단부(76)(도 4c)가 케이싱(54) 쪽으로 이동한다. 그 다음, 링크 봉(72)에 고정된 캠 표면(78)이 핀(80)을 이동시키고, 핀(80)에 관한 한, 핀(80)은 작동 플레이트(52)에 순전히 피벗 방식으로 장착된다. 이러해서, 플레이트(52)가 그의 핀(56)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그의 상승된 위치로 다시 위로 이동되고, 이렇게 함으로써 아암(40) 및 센서(32)를 핀(62)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20B) 내부의 후퇴된 위치에 있도록 작동시킨다. 한 변형에서, 메카니즘(70)은 임의의 적당한 유형이다. 일반적인 방식으로, 작동기(34)는 센서(32)를 이동시키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에서의 컨베이어 벨트의 변형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작동기는 자율형 및 수동형 방식으로 센서(32)를 그의 후퇴된 위치로부터 그의 측정 위치로 및 그의 측정 위치로부터 그의 후퇴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5는 블랭킷(12)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갖지 않고 단지 중력의 영향을 이용해서 센서(32)를 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기(34)의 변형 실시양태를 나타낸다.
작동기는 실린더(82) 상에서 제1 하부 위치(도 5)와 제2 하부 위치 사이에서 병진이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원반 형태의 작동 질량체(80)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방식으로, 그것은 임의의 적당한 유형의 질량체이고, 특히 임의의 적당한 크기, 밀도 및 형상을 갖는다.
벨트의 단부에서 측정 시스템이 기울어진 동안, 질량체는 중력의 영향 하에 지지 베이스(84)로부터 멀리 있는 제1 하부 위치로부터 베이스(84)에 더 가까운 새로운 하부 위치로 이동한다.
질량체는 예를 들어 케이블에 의해 센서(32)에 연결되고, 센서(32)에 관한 한, 센서(32)는 이 예에서는 실린더(82) 내부에서 병진이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질량체(80)의 이동은 센서(32)를 그의 정지 위치와 그의 측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한다.
한 변형에서는, 질량체(80)가 센서(32)를 그의 측정 위치 쪽으로 밖으로 이동하게 할 뿐이고 센서(32)의 귀환은 그 자신의 질량에 의해 야기되거나(예를 들어, 상부 컨베이어(18A) 상에 장착되는 경우), 또는 그 역도 일어난다.
추가의 변형에서는, 센서(32)가 질량에 의해 내리눌린다. 이 방식으로, 센서(32)가 상부 컨베이어(18A) 상에 있는 경우, 센서(32)는 센서에 작용하는 오직 중력의 영향 하에 블랭킷에 진입하고/진입하거나 블랭킷을 나간다.
일반적인 방식으로, 작동기는 수동형 및 자율형 작동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시스템(30)은 오븐을 통하는 센서의 전체 경로를 따라서 가교 오븐 내부에서 물질의 코어에서 특성, 예컨대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더욱이, 측정은 통신 유닛에 의해 연속으로 결정가능하다.
오븐의 제어, 특히 건조 및 가열은 측정되는 온도를 고려할 수 있고, 작업자는 수작업으로 올바른 조치를 취할 수 있거나, 또는 제어 시스템이 미리 결정된 설정점의 함수로서 올바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의 큰 이익은 광물 울 제조 방법에서 인식될 것이다.

Claims (19)

  1. 컨베이어 벨트(20A, 20B)를 갖는 적어도 1개의 컨베이어(18A, 18B)에 의해 이동되는 광물 및/또는 식물 섬유 블랭킷의 내부에서의 측정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센서(32) 및 센서를 블랭킷(12) 안에 도입하기 위한 작동기(34)를 포함하는 측정 시스템(30)을 이용하고, 상기 작동기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장착되고 센서를 후퇴된 위치와 블랭킷 내부의 측정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법은 컨베이어 벨트 이동의 영향 하에서의 작동기에 의한 블랭킷 안으로의 센서의 도입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블랭킷으로부터의 센서의 제거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측정 위치에서는 센서가 컨베이어 벨트 밖으로 돌출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후퇴된 위치에서는 센서가 컨베이어 벨트 내부로 후퇴되는 것인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동기가 자율형 및 수동형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작동기가 작동 질량체(52, 80)를 포함하고, 중력 및 컨베이어 벨트(20B) 이동의 영향 하에서의 작동 질량체(52, 80)의 이동이 센서(32)를 후퇴된 위치로부터 측정 위치로 및/또는 측정 위치로부터 후퇴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인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동기가 측정 위치의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메카니즘(40)을 포함하고, 상기 메카니즘이 자율형 및 수동형인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작동기가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에서의 컨베이어 벨트의 변형의 영향 하에 작용하는 작동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가 관절식 요소에 의해 형성되고, 작동기가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에서의 관절식 요소의 상대 이동을 이용하여 센서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센서에 센서(32)를 후퇴된 위치로부터 측정 위치로 및/또는 측정 위치로부터 후퇴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 질량체가 제공되고/제공되거나 센서 그 자신이 상기 작동 질량체를 형성하는 것인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센서가 무선인 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센서가 온도 센서인 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센서가 표면 음향파 (SAW) 유형인 방법.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센서와 소통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고정된 유닛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시스템이 센서가 컨베이어의 경로를 따라서 유닛과 소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인 방법.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교 오븐을 통한 통과에 의한 블랭킷에 존재하는 결합제의 가교를 포함하고, 센서가 오븐 내에서 또는 오븐에 진입하기 전에 도입되고 오븐 내에서 또는 오븐을 나간 후에 제거되는 것인 방법.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광물 울을 제조하기 위한 연속 방법인 방법.
  18. 블랭킷을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20A, 20B)를 갖는 적어도 1개의 컨베이어(18A, 18B), 및 블랭킷 내부에서 측정하기 위한 센서(32) 및 센서를 블랭킷 안에 도입하기 위한 작동기(34)를 포함하는 측정 시스템을 포함하고, 작동기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장착되고 센서를 컨베이어 벨트 이동의 영향 하에 컨베이어 내의 후퇴된 위치와 블랭킷 내부의 측정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인, 광물 및/또는 식물 섬유 블랭킷(12)의 제조 라인.
  19. 제18항에 있어서, 광물 섬유 블랭킷 내에 존재하는 결합제를 가교시키기 위한 오븐(14)을 포함하고, 컨베이어가 블랭킷을 오븐을 통해 수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인, 광물 및/또는 식물 섬유 블랭킷(12)의 제조 라인.
KR1020177020985A 2014-12-29 2015-12-21 광물 또는 식물 섬유 배트 내부에서의 측정 방법 KR102492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63391 2014-12-29
FR1463391A FR3031119B1 (fr) 2014-12-29 2014-12-29 Procede de mesure a l'interieur d'un matelas de fibres minerales ou vegetales
PCT/FR2015/053685 WO2016108006A1 (fr) 2014-12-29 2015-12-21 Procédé de mesure à l'intérieur d'un matelas de fibres minérales ou végéta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290A KR20170102290A (ko) 2017-09-08
KR102492998B1 true KR102492998B1 (ko) 2023-01-30

Family

ID=52684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985A KR102492998B1 (ko) 2014-12-29 2015-12-21 광물 또는 식물 섬유 배트 내부에서의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10768163B2 (ko)
EP (1) EP3240922B1 (ko)
JP (1) JP6788591B2 (ko)
KR (1) KR102492998B1 (ko)
CN (1) CN107107483B (ko)
AR (1) AR103306A1 (ko)
AU (1) AU2015373310B2 (ko)
BR (1) BR112017012598B1 (ko)
CA (1) CA2969286C (ko)
DK (1) DK3240922T3 (ko)
ES (1) ES2751648T3 (ko)
FR (1) FR3031119B1 (ko)
PL (1) PL3240922T3 (ko)
RU (1) RU2696411C2 (ko)
SA (1) SA517381834B1 (ko)
SI (1) SI3240922T1 (ko)
WO (1) WO20161080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92121B2 (ja) 2020-04-14 2024-05-29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物理量測定システムおよび物理量測定装置
JP7485921B2 (ja) 2020-04-22 2024-05-17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パッシブセンサ読み取り装置、および、物理量測定システム
FR3112982B1 (fr) 2020-07-29 2023-01-20 Saint Gobain Isover Etuve munie d’un systeme de mesure a l’interieur du matelas fibreux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6272A (ja) * 2006-05-10 2009-10-08 サン−ゴバン・イソベール 鉱物繊維マット中に存在する局所的な欠陥を検出する方法
WO2013015961A1 (en) * 2011-07-26 2013-01-31 Laitram, L.L.C. Bulk-product conveyor with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9232B2 (ko) * 1972-10-28 1978-06-20
SU793011A1 (ru) * 1979-09-04 1985-07-30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Институт По Проектированию Предприятий Кожевенно-Обувной И Мехов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ермического усаживани волокнистого материала
EP0120084A1 (en) * 1982-09-30 1984-10-03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curing of polymeric materials
JP2002503802A (ja) * 1998-02-13 2002-02-05 フェニック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コンベヤベルトの接合を連続的に監視する装置
US7781512B2 (en) * 2004-07-09 2010-08-24 Johns Manville Control of product in curing ovens for formaldehyde-free glass fiber products
JP2007139272A (ja) * 2005-11-16 2007-06-07 Takasago Ind Co Ltd 連続式マイクロ波加熱炉
US20070222612A1 (en) 2006-03-21 2007-09-27 Michal Krisl Modular conveyor belt with RFID
FR2924719B1 (fr) 2007-12-05 2010-09-10 Saint Gobain Isover Composition d'encollage pour laine minerale comprenant un monosaccharide et/ou un polysaccharide et un acide organique polycarboxylique, et produits isolants obtenus.
FR2935707B1 (fr) 2008-09-11 2012-07-20 Saint Gobain Isover Composition d'encollage pour laine minerale a base de sucre hydrogene et produits isolants obtenus
CN102574643B (zh) * 2009-10-14 2015-02-11 莱特拉姆有限责任公司 输送带以及受环境控制的输送系统
DE102010038817A1 (de) * 2010-08-03 2012-02-09 Steag Energy Services Gmbh Förderanlage
FR2984371B1 (fr) * 2011-12-20 2014-01-10 Saint Gobain Isover Etuve pour la fabrication d'un produit en laine minerale
US20130292863A1 (en) * 2012-05-03 2013-11-07 Georgia-Pacific Chemical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djusting the composition of a binder system for use in making fiberglass products
FR2994201B1 (fr) 2012-07-31 2014-08-08 Saint Gobain Isover Procede de cuisson d'un matelas continu de fibres minerales ou vegetales
EP2935056B2 (en) * 2012-12-21 2023-07-26 John Bean Technologies Corporation Thermal measurement and process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6272A (ja) * 2006-05-10 2009-10-08 サン−ゴバン・イソベール 鉱物繊維マット中に存在する局所的な欠陥を検出する方法
WO2013015961A1 (en) * 2011-07-26 2013-01-31 Laitram, L.L.C. Bulk-product conveyor with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0922B1 (fr) 2019-08-07
WO2016108006A1 (fr) 2016-07-07
DK3240922T3 (da) 2019-11-04
ES2751648T3 (es) 2020-04-01
CA2969286A1 (fr) 2016-07-07
SA517381834B1 (ar) 2020-11-22
RU2017126988A3 (ko) 2019-05-24
RU2696411C2 (ru) 2019-08-01
FR3031119B1 (fr) 2022-05-27
EP3240922A1 (fr) 2017-11-08
SI3240922T1 (sl) 2019-12-31
BR112017012598A2 (pt) 2018-01-16
FR3031119A1 (fr) 2016-07-01
BR112017012598B1 (pt) 2022-05-10
JP2018503087A (ja) 2018-02-01
KR20170102290A (ko) 2017-09-08
US20180003693A1 (en) 2018-01-04
CN107107483B (zh) 2020-08-18
AU2015373310A1 (en) 2017-08-17
PL3240922T3 (pl) 2020-03-31
AU2015373310B2 (en) 2021-03-25
CN107107483A (zh) 2017-08-29
CA2969286C (fr) 2023-03-28
AR103306A1 (es) 2017-05-03
RU2017126988A (ru) 2019-01-31
US10768163B2 (en) 2020-09-08
JP6788591B2 (ja)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598B1 (ko) 광물 면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오븐
KR102492998B1 (ko) 광물 또는 식물 섬유 배트 내부에서의 측정 방법
US10279511B2 (en) Method for baking a continuous mat of mineral or plant fibers
US20180156539A1 (en) Drying oven for crosslinking a continuous mat of mineral or plant fibers
JPH01212886A (ja) 建築用プレートの乾燥装置
CN104154742B (zh) 一种scr全自动温控辊棒电窑
CN204043384U (zh) 一种scr全自动温控辊棒电窑
CN203621400U (zh) 一种适合于大尺寸砂型烘干的微波烘干设备
CN107931048B (zh) 一种真空绝热板芯材用高温固化炉
US20230294336A1 (en) Oven provided with a measurement system inside the fibrous mat
KR100374364B1 (ko) 단열패널의 건조 및 제조방법
CN215930519U (zh) 一种岩棉生产用低碳固化炉加热装置
RU2744242C1 (ru) Способ устранения дефектов минераловатных плит в процессе их производства
CN105170428A (zh) 一种取向硅钢表面绝缘层的固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