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703B1 - 조작 방지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대형 수도 계량기 - Google Patents

조작 방지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대형 수도 계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703B1
KR102492703B1 KR1020220065787A KR20220065787A KR102492703B1 KR 102492703 B1 KR102492703 B1 KR 102492703B1 KR 1020220065787 A KR1020220065787 A KR 1020220065787A KR 20220065787 A KR20220065787 A KR 20220065787A KR 102492703 B1 KR102492703 B1 KR 102492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tamper
side wall
cover
larg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택
송행숙
김하늘
Original Assignee
김진택
주식회사 그린플로우
(주)한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택, 주식회사 그린플로우, (주)한진테크 filed Critical 김진택
Priority to KR102022006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07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comprising means to prevent frau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 방지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대형 수도 계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형 수도 계량기는, 수도물이 유입 및 배출되며 구경이 65mm 이상인 유입구(11) 및 배출구(12)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하우징(1)과, 상기 하부하우징(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수도물의 사용량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기(20)가 장착되는 상부하우징(2)을 포함하는 대형 수도 계량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2)은, 상기 하부하우징(1)의 상부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며 하우하우징(1) 내부와 연통되는 통로(211)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와(21)와; 상기 덮개(21) 상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통로(211)와 연통되는 중공부(221)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 판 형상을 취하되, 중공부(221)를 감싸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상기 계측기(20)가 안착되는 안착부(222)와, 상기 안착부(222)의 외곽에 형성되어 있으며 안착부(222)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23)와, 상기 돌출부(223)의 외곽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223)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부(224)와, 상기 돌기부(224)의 외곽에 형성되어 있되, 상면이 상기 돌기부(224) 하단보다 낮게 이루어져 있고, 일측 단부가 돌기부(224)의 외곽측 단부보다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돌기부(224)와의 사이로 끼움공간(225)을 형성하는 판상의 홈형성부(226)와, 상기 홈형성부(226)의 일측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고정키(227)로 구성되어 있는 고정판(22)과; 상부 중앙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공부(221)와 연통되는 설치공간(23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설치공간(231)에 상기 계측기(20)가 삽입되고, 설치공간(231)을 감싸 형성되어 있는 측벽(232)의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끼움공간(225)에 강제로 끼워진 채 상기 돌출부(223)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결합돌기(233)들이 서로 이격된 채 복수 개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232)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고정키(227)가 끼워지도록 내측으로 패인 키삽입홈(234)이 형성되어 있는 조작방지케이스(23)와; 상기 조작방지케이스(23)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작방지케이스(23)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2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대형 수도 계량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간단한 조립 작업으로 조작 및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작 방지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대형 수도 계량기{large water matter for preventing rigging and rotating}
본 발명은 수도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하우징에 대해 볼트 결합되는 상부하우징을 구비한 대형 수도 계량기의 조작 및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작 방지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대형 수도 계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 계량기는 사용자의 수도물 사용량을 계측 및 표시해 주는 기기로써 검침원이 사용량을 계측하고, 이를 근거로 수도물 사용 비용을 산출한다.
도수란 남의 집 물을 인위적으로 사용하거나, 수도물 사용량이 많은 목욕탕 또는 건물에서 인위적으로 수도물 사용량을 줄여 이에 따른 사용 요금을 포탈하는 것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수도 계량기(수도미터라고도 한다.)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도관과 가정 또는 건물 내부로 공급되는 수도관 사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계량기 내부에 수도물의 유량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기가 설치되고 계측기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나사 방식으로 고정되며, 커버와 수도 계량기 몸체가 상호 봉인선에 의해 봉인되어 외부에서 검침원이 봉인 여부 및 수도물 사용량을 계측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수돗물의 사용량을 인위적으로 조작하기 위해 상 기 커버를 분해한 후 계측기를 조작하여 수돗물의 사용량을 현격하게 줄여 수돗물 의 사용 비용을 포탈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사회적 물의를 빚기도 했다.
이는 봉인선에 의해 봉인된 커버를 쉽게 분해 후 봉인선 부분만 인 위적으로 커버 하거나 유사한 봉인선으로 봉인함으로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한 봉인 여부 및 수돗물의 도수 여부를 판별하기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도 계량기의 임의 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일예로, "수도 계량기의 상부캡 회전 방지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3424호, 특허문헌 1)에는 미터기를 고정시키는 상부캡의 외주면에 치형돌기로 형성되는 끼움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방지구가 구비되고, 몸체의 상부에는 끼움편과 끼움 결합되는 삽입부가구비된 체결구가 구비된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체결구에 회전방지구를 치형돌기로 맞물려 체결함으로써 상부캡의 회전이 불가능하여 상부캡을 열고 미터기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의 경우 회전방지구와 체결구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단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다른 기술로, "수도미터 조작 방지캡"(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9585호, 특허문헌 2)에는 계측기가 내측으로 수용되는 고정커버와, 상기 고정커버를 감싸는 회전커버로 구성하되, 회전커버는 고정커버에 대하여 회전은 가능하나 이탈이 되지 않도록 구성함과 더불어 봉인돌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고정커버를 풀 수 없도록 한 바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2의 경우 조임 공구를 활용하여 회전커버의 외측을 눌러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커버가 같이 풀릴 수 있어 조작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더하여,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모두 소형 수도 계량기에 설치되는 것인데 최근 대형 수도 계량기(구경 65mm 이상)는 디지털 계측기가 내장되며, 디지털 계측기는 액정에 카운터가 있는데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카운팅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도수의 위험성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대형 수도 계량기에는 하부의 하우징과 상부의 하우징이 통상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바, 특허문헌 1, 2와 같이 소형 수도 계량기에 적용된 구조를 적용하는 것도 어렵다.
따라서, 대형 수도 계량기에 적합하게 조작 및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보다 더 요구되는 실정이라 하겠다.
KR 10-0403424 (2003.10.15) KR 10-0999585 (2010.12.02)
본 발명의 조작 방지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대형 수도 계량기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대형 수도 계량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간단한 조립 작업으로 조작 및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덮개에 고정판이 볼팅 결합되고, 계측기가 내장되는 조작방지케이스는 고정판에 강제 끼움 결합되며 고정판에 돌출 형성된 고정키라 조작방지케이스에 형성된 키삽입홈에 끼워지도록 하여 조작방지케이스의 회전 및 조작을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작 방지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대형 수도 계량기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도물이 유입 및 배출되며 구경이 65mm 이상인 유입구(11) 및 배출구(12)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하우징(1)과, 상기 하부하우징(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수도물의 사용량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기(20)가 장착되는 상부하우징(2)을 포함하는 대형 수도 계량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2)은, 상기 하부하우징(1)의 상부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며 하우하우징(1) 내부와 연통되는 통로(211)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와(21)와; 상기 덮개(21) 상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통로(211)와 연통되는 중공부(221)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 판 형상을 취하되, 중공부(221)를 감싸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상기 계측기(20)가 안착되는 안착부(222)와, 상기 안착부(222)의 외곽에 형성되어 있으며 안착부(222)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23)와, 상기 돌출부(223)의 외곽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223)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부(224)와, 상기 돌기부(224)의 외곽에 형성되어 있되, 상면이 상기 돌기부(224) 하단보다 낮게 이루어져 있고, 일측 단부가 돌기부(224)의 외곽측 단부보다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돌기부(224)와의 사이로 끼움공간(225)을 형성하는 판상의 홈형성부(226)와, 상기 홈형성부(226)의 일측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고정키(227)로 구성되어 있는 고정판(22)과; 상부 중앙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공부(221)와 연통되는 설치공간(23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설치공간(231)에 상기 계측기(20)가 삽입되고, 설치공간(231)을 감싸 형성되어 있는 측벽(232)의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끼움공간(225)에 강제로 끼워진 채 상기 돌출부(223)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결합돌기(233)들이 서로 이격된 채 복수 개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232)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고정키(227)가 끼워지도록 내측으로 패인 키삽입홈(234)이 형성되어 있는 조작방지케이스(23)와; 상기 조작방지케이스(23)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작방지케이스(23)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2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측벽(232)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바깥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24)의 외주면 상단에는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22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233)의 내주면 하단에는 상향 경사진 제2경사부(2331)가 형성되어, 고정판(22)과 조작방지케이스(23)의 결합시 제2경사부(2331)가 제1경사부(2241)를 타고 미끄러지면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측벽(232)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보조측벽(235)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보조측벽(235)의 하단은 돌출부(223)의 벽면에 지지되도록 하향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덮개(21)와 고정판(22)은 측벽(232)과 보조측벽(235) 사이의 공간에서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대형 수도 계량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간단한 조립 작업으로 조작 및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작 방지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대형 수도 계량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고정판과 조작방지케이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단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고정판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조작방지케이스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조작 방지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대형 수도 계량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각 부위에 따른 돌기부와 체결돌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보조측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덮개와 고정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도물이 유입 및 배출되며 구경이 65mm 이상인 유입구(11) 및 배출구(12)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하우징(1)과, 상기 하부하우징(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수도물의 사용량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기(20)가 장착되는 상부하우징(2)을 포함하는 대형 수도 계량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하우징(2)은 덮개(21), 고정판(22), 조작방지케이스(23) 및 커버(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덮개(21)는 상기 하부하우징(1)의 상부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는 판 형태를 취하며, 중앙에는 하부하우징(1) 내부와 연통되기 위한 통로(2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통로(211) 주변의 외곽에는 하부하우징(1)과 볼트 결합하기 위한 제1볼트결합홀(212)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통로(211) 주변의 중앙측 상면에는 고정판(22)과 볼트 결합하기 위한 제2볼트결합홀(213)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22)은 상기 덮개(21) 상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통로(211)와 연통되는 중공부(221)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 판 형상을 취한다.
고정판(22)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중공부(221)를 감싸는 판상의 안착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안착부(222)에는 상부에 계측기(20)가 안착된다.
더하여, 안착부(222)의 외곽에는 안착부(222)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부(223)의 외곽에는 돌출부(223)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부(224)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24)의 외곽 상단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테이퍼진 제1경사부(2241)로 이루어져 있어 결합돌기(233)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돌기부(224)의 외곽에는 상면이 상기 돌기부(224) 하단보다 낮게 이루어져 있고, 일측 단부가 돌기부(224)의 외곽측 단부보다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돌기부(224)와의 사이로 끼움공간(225)을 형성하는 판상의 홈형성부(2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움공간(225)에는 결합돌기(233)가 끼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홈형성부(226)의 일측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고정키(227)가 형성되어 있어 고정키(227)가 키삽입홈(234)가 끼워짐으로써 조작방지케이스(23)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고정판(22)은 덮개(21)에 볼트 결합되기 위하여 덮개(21)의 제2볼트결합홀(213)과 수직으로 일직선상이 되는 위치에 제3볼트결합홀(228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3볼트결합홀(2281)은 평면상에서 돌출부(223)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제3볼트결합홀(2281)은 "ㄱ"자 단면 형상의 브라켓(228) 하부가 돌기부(224)에 연결된 채 상부는 중공부(221) 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부 평평한 부분에 제3볼트결합홀(2281)이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덮개(21)가 상기 하부하우징(1)의 상부에 볼트 결합되고, 다시 고정판(22)이 덮개(21)에 볼트 결합됨으로써 고정판(22)의 회전은 방지된다.
조작방지케이스(23)는 상부 중앙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공부(221)와 연통되는 설치공간(23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설치공간(231)에 상기 계측기(20)가 삽입 설치된다.
더하여, 설치공간(231)을 감싸 형성되어 있는 측벽(232)의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끼움공간(225)에 강제로 끼워진 채 상기 돌출부(223)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결합돌기(233)들이 서로 이격된 채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233)의 내측 하단 모서리는 테이퍼진 제2경사부(2331)로 이루어져 있어 고정판(22)에 체결할 때 돌기부(224)의 제1경사부(2241)에 가이드되어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2경사부(2331)와 제1경사부(2241)가 접촉하면서 위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제1경사부(2241)가 제2경사부(2331)를 타고 미끄러지면서 측벽(232)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이동하다가 결합돌기(233)가 끼움공간(225)에 끼워지면서 탄성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더하여 측벽(232)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고정키(227)가 끼워지도록 내측으로 패인 키삽입홈(2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키삽입홈(234)은 측벽(232) 외주면 일측이 절개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키삽입홈(234)은 결합돌기(233) 사이의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키삽입홈(234)이 결합돌기(233)와 중앙을 기준으로 동일축선상에 위치할 경우 조립이 원할히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측벽(232)은 하단 외주면이 상기 고정판(22)의 상단 외측과 마감면이 일치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키삽입홈(234)에 고정키(227)가 끼워지게 되면 키삽입홈(234) 좌우 벽면에 고정키(227)가 지지되어 조작방지케이스(23)의 수평 회전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측벽(232)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바깥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고정판(22)에 대해 강제 끼움시 잘 벌어져 끼움 결합이 용이해진다.
한편, 상기 측벽(232)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보조측벽(235)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측벽(235)은 계측기(20)를 이중으로 보호해주고, 전술한 브라켓(228) 등과 같은 부품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게 된다.
이때, 조작방지케이스(23)를 비틀거나 들어올려 분리하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조측벽(235)의 하단이 돌출부(223)의 상면보다 하부로 연장되어 돌출부(223)와 안착부(222)의 경계 지점 벽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될 경우 조작방지케이스(23)의 강제 변형이 어려워 조작을 가일층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 : 하부하우징 11 : 유입구
12 : 배출구 2 : 상부하우징
20 : 계측기 21 : 덮개
211 : 통로 212 : 제1볼트결합홀
213 : 제2볼트결합홀 22 : 고정판
221 : 중공부 222 : 안착부
223 : 돌출부 224 : 돌기부
2241 : 제1경사부 225 : 끼움공간
226 : 홈형성부 227 : 고정키
228 : 브라켓 2281 : 제3볼트결합홀
23 : 조작방지케이스 231 : 설치공간
232 : 측벽 233 : 결합돌기
2331 : 제2경사부 234 : 키삽입홈
235 : 보조측벽 24 : 커버

Claims (5)

  1. 수도물이 유입 및 배출되며 구경이 65mm 이상인 유입구(11) 및 배출구(12)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하우징(1)과, 상기 하부하우징(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수도물의 사용량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기(20)가 장착되는 상부하우징(2)을 포함하는 대형 수도 계량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2)은,
    상기 하부하우징(1)의 상부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며 하우하우징(1) 내부와 연통되는 통로(211)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와(21)와;
    상기 덮개(21) 상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통로(211)와 연통되는 중공부(221)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 판 형상을 취하되, 중공부(221)를 감싸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상기 계측기(20)가 안착되는 안착부(222)와, 상기 안착부(222)의 외곽에 형성되어 있으며 안착부(222)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23)와, 상기 돌출부(223)의 외곽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223)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부(224)와, 상기 돌기부(224)의 외곽에 형성되어 있되, 상면이 상기 돌기부(224) 하단보다 낮게 이루어져 있고, 일측 단부가 돌기부(224)의 외곽측 단부보다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돌기부(224)와의 사이로 끼움공간(225)을 형성하는 판상의 홈형성부(226)와, 상기 홈형성부(226)의 일측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고정키(227)로 구성되어 있는 고정판(22)과;
    상부 중앙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공부(221)와 연통되는 설치공간(23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설치공간(231)에 상기 계측기(20)가 삽입되고, 설치공간(231)을 감싸 형성되어 있는 측벽(232)의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끼움공간(225)에 강제로 끼워진 채 상기 돌출부(223)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결합돌기(233)들이 서로 이격된 채 복수 개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232)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고정키(227)가 끼워지도록 내측으로 패인 키삽입홈(234)이 형성되어 있는 조작방지케이스(23)와;
    상기 조작방지케이스(23)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작방지케이스(23)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24);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측벽(232)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보조측벽(235)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보조측벽(235)의 하단은 돌출부(223)의 벽면에 지지되도록 하향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방지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대형 수도 계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232)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바깥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방지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대형 수도 계량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24)의 외주면 상단에는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22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233)의 내주면 하단에는 상향 경사진 제2경사부(2331)가 형성되어,
    고정판(22)과 조작방지케이스(23)의 결합시 제2경사부(2331)가 제1경사부(2241)를 타고 미끄러지면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방지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대형 수도 계량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1)와 고정판(22)은 측벽(232)과 보조측벽(235) 사이의 공간에서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방지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대형 수도 계량기.
KR1020220065787A 2022-05-30 2022-05-30 조작 방지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대형 수도 계량기 KR102492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787A KR102492703B1 (ko) 2022-05-30 2022-05-30 조작 방지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대형 수도 계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787A KR102492703B1 (ko) 2022-05-30 2022-05-30 조작 방지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대형 수도 계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703B1 true KR102492703B1 (ko) 2023-01-31

Family

ID=85109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787A KR102492703B1 (ko) 2022-05-30 2022-05-30 조작 방지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대형 수도 계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7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424B1 (ko) 2001-06-01 2003-10-30 한서정밀계기주식회사 수도 계량기의 상부캡 회전 방지장치
KR100999585B1 (ko) 2010-07-20 2010-12-08 (주) 삼원미터텍 수도미터 조작 방지캡
KR102242453B1 (ko) * 2020-12-02 2021-04-20 주식회사 대한계전 대용량 전자식 수도미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424B1 (ko) 2001-06-01 2003-10-30 한서정밀계기주식회사 수도 계량기의 상부캡 회전 방지장치
KR100999585B1 (ko) 2010-07-20 2010-12-08 (주) 삼원미터텍 수도미터 조작 방지캡
KR102242453B1 (ko) * 2020-12-02 2021-04-20 주식회사 대한계전 대용량 전자식 수도미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3459B1 (en) Control for a bathtub waste water drain
US6763691B1 (en) Meter box lock assembly
US9347583B2 (en) Valve position indicator
US4663970A (en) Tamperproof water meter
CA2838692C (en) Flow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US20110017324A1 (en) Valve position indicator
WO2016043862A1 (en) Adjustable meter with tamper detection
EP0061908A2 (en) Improvements relating to fluid control or metering assemblies
KR102492703B1 (ko) 조작 방지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대형 수도 계량기
TWI675979B (zh) 具鎖定機構的閥與集成閥
US20060219619A1 (en) Universal drain cover
US8955540B2 (en) Valve lock assembly
KR100735007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맨홀
KR100999585B1 (ko) 수도미터 조작 방지캡
US4747016A (en) Tamper-resistant removable cover for a utility box assembly
KR101248796B1 (ko) 역류방지용 수도 계량기
JPH10332000A (ja) ガス栓
US6855005B2 (en) Double fluke security sealing ring for watt-hour meters
JPH11100875A (ja) 埋込式水栓の取付構造
KR200351181Y1 (ko) 수도 미터기의 회전커버
CN206267237U (zh) 室外防火栓
US2162930A (en) Locking means for covers for water boxes
US20150159353A1 (en) Modular construction for an electronic trap
CN216382693U (zh) 一种龙头的把手结构和龙头
JP2560265Y2 (ja) ガスコ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