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497B1 - 의류자재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자재관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2497B1 KR102492497B1 KR1020210134665A KR20210134665A KR102492497B1 KR 102492497 B1 KR102492497 B1 KR 102492497B1 KR 1020210134665 A KR1020210134665 A KR 1020210134665A KR 20210134665 A KR20210134665 A KR 20210134665A KR 102492497 B1 KR102492497 B1 KR 1024924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bar
- frame
- cylinder
- cloth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6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5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5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를 제조하기 위한 의류제조장치와, 의류를 제조에 사용되는 자재를 관리하기 위한 의류자재관리장치와, 제조가 완료된 의류제품을 살균처리하기 위한 의류살균처리장치로 이루어지는 의류제조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자재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의류를 제조에 사용되는 자재를 관리하기 위한 의류자재관리장치로 이루어지는 의류제조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비자의 신체측정치를 기준으로 소비자의 일반적인 사이즈와 의류 제조자의 사이즈를 비교해 가장 잘 맞는 의류를 재단, 봉제, 드라이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하고 있다.
또한, 항균과 탈취 기능이 뛰어난 기능을 갖는 천연항균물질을 원사에 도포하여 첨가하고, 봉제함으로 항균 및 탈취기능이 뛰어난 의류를 제조하고 있다.
본 발명은 선택되는 원단을 재단, 도시, 커팅, 봉제, 드라이, 포장, 검수를 통해 수동 및 자동으로 의류를 제조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의류를 제조하기 위한 자재를 색상별, 두께별 등으로 분류하여 보관 관리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조가 완료된 제품에 살균처리하여 의류의 변질로부터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의류를 제조하기 위한 의류제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의류제조장치는, 선택되는 원단을 설정되는 치수에 맞게 재단하기 위한 원단재단부; 및 제작디자인을 원단에 도시하기 위한 디자인도시부; 및 디자인 도안에 따라 원단을 커팅하기 위한 커팅부; 및 커팅된 원단을 봉제하기 위한 봉제부; 및 완료된 제품을 드라이하기 위한 드라이부; 및 드라이가 완료된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부; 및 포장된 제품의 양불량을 검수하기 위한 검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단재단부는, 원단이 거치되도록 지면에 형성되는 원단적재프레임과, 롤형태의 원단을 고정하기 위해 원단적재프레임 일측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원단고정바와, 일측으로 권출되는 원단을 절단하기 위해 원단적재프레임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되는 원단커팅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자인도시부는, 설정되는 도안을 도시하기 위해 절단된 원단이 안착되도록 원단적재프레임 일측방향 지면에 형성되는 마킹프레임과, 원단 상에 설정된 도안을 도시하기 위해 마킹프레임과 일정 높이를 두고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되는 패턴입력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팅부는, 패턴이 도시된 원단이 안착 고정되도록 마킹프레임 일측방향 지면에 형성되는 커팅프레임과, 패턴입력기로 도시된 선을 따라 원단을 커팅하기 위해 커팅프레임과 일정 높이를 두고 슬라이드 커팅 되도록 형성되는 패턴커팅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봉제부는, 패턴커팅기로 커팅된 원단이 안착되도록 커팅프레임 일측방향 지면에 형성되는 봉제프레임과, 봉제프레임에 안착된 원단을 박음질 하기 위해 봉제프레임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봉제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드라이부는, 봉제기를 통해 박음질된 제품이 안착되도록 봉제프레임 일측방향 지면에 형성되는 드라이프레임과,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박음질된 제품을 드라이하도록 드라이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드라이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장부는, 드라이기를 통해 드라이가 완료된 제품을 포장하기 위해 제품이 안착되도록 드라이프레임 일측방향 지면에 형성되는 포장안착프레임과, 포장되는 제품이 적재되도록 포장안착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포장제품안착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검수부는, 포장제품안착대에 안착되는 제품을 이동시켜 안착되도록 포장안착프레임 일측방향 지면에 형성되는 검수프레임과, 검수프레임에 안착되는 제품을 영상을 통해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검수제어기 측으로 제공하도록 검수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검수카메라와, 검수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정보를 미리입력된 양호 영상정보와 대비하여 양호제품을 판독하기 위해 검수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검수제어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의류제조장치는, 원단을 디자인도시부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원단이송부가 선택되어 설치되되, 상기 원단이송부는, 사각의 틀로 지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원단이송프레임과, 원단이송컨베어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해 원단이송프레임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원단이송롤러와, 원단이송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원단이송롤러 간의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원단이송컨베어벨트와, 원단이송패널이 안착결합되도록 원단이송컨베어벨트 상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패널안착돌기와, 원단이 안착되며, 패널안착돌기에 안착되어 원단이송컨베어벨트의 회전시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원단이송패널과, 패널안착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단이송패널 하면에 형성되는 패널안착홈과, 원단의 안착을 감지하도록 원단이송패널 상면에 형성되는 원단안착센서와, 원단이송컨베어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원단이송롤러 중 어느 하나의 원단이송롤러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롤러기어와,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원단이송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컨베어모터와, 컨베어모터로부터 생성되는 회전동력을 롤러기어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컨베어모터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모터기어와, 모터기어의 회전동력을 롤러기어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모터기어와 롤러기어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기어벨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를 제조에 사용되는 자재를 관리하기 위한 의류자재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의류자재관리장치는, 의류 제조에 사용되는 자재를 각각 종류에 따라 적재하기 위해 사각의 틀로 지면에 안착형성되는 자재적재프레임과, 각각의 자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자재적재프레임 내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자재안착판과, 각 자재안착판에 안착된 자재를 각각 분류하기 위해 자재적재프레임 내부로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자재분류바와, 자재적재프레임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자재적재프레임 하부에 복수개 형성되는 지면고정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의류자재관리장치는, 자재안착판 측으로 자재를 이송시키기 위한 자재이송부가 선택되어 설치되되, 상기 자재이송부는, 자재적재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지면에 형성되는 자재이송레일과, 자재이송레일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레일프레임과, 자재이송레일에 결합 안착되어 레일프레임 하부로 형성되는 프레임롤러와, 자재이송플레이트를 승하강 시키기 위해 레일프레임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승하강실린더와, 자재가 안착되어 승하강되도록 승하강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자재이송플레이트와, 승하강되는 자재이송플레이트의 높낮이를 감지하기 위해 자재이송플레이트 일측으로 형성되는 높낮이감지센서와, 자재이송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자재를 감지하기 위해 자재이송플레이트 상면으로 형성되는 자재안착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조가 완료된 의류제품을 살균처리하기 위한 의류살균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의류살균처리장치는, 검수가 완료된 제품을 출고 전 살균처리하기 위해 사각의 챔버로 내부가 밀폐되도록 형성되는 살균처리챔버와, 제품이 안착되도록 살균처리챔버 내부의 판슬라이드단에 각각 안착 형성되는 제품판과, 제품판이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살균처리챔버 내부 양측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살균처리챔버 내부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판슬라이드단과, 제품판을 살균처리챔버로부터 외부로 배출시 제품판을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제품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판손잡이와, 살균처리챔버 내부로 위치되는 제품을 살균하기 위해 살균처리챔버 내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살균기와, 살균처리챔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살균처리챔버 하부로 형성되는 환기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의류살균처리장치는, 살균처리챔버 내부에서 살균처리가 완료된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의류배출부가 선택되어 설치되되, 상기 의류배출부는, 살균제품을 살균처리챔버 내부에서 배출시키기 위해 살균처리챔버 후면에 형성되는 배출실린더와, 배출실린더에 의해 살균제품과 접촉되도록 배출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배출바와, 배출바에 의해 배출되는 살균제품이 원활하게 슬라이드 배출 될 수 있도록 제품판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배출롤러와, 배출바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되는 감지신호를 배출실린더 측으로 제공하여 배출바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제품판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바감지센서와, 배출되는 살균제품이 제품판 상 중앙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제품판 상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배출가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단을 재단, 도시, 커팅, 봉제, 드라이, 포장, 검수를 통해 수동 및 자동으로 의류를 제조하는 것으로, 제조의 유리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식을 선택사용하는 것으로, 수동의 난이도가 높은 의류는 자동방식으로 처리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재를 색상별, 두께별 등으로 분류하여 자재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완료된 의류제품에 살균처리함으로 의류가 변질되지 않도록 함으로, 의류 보관기한을 높여 제품의 불량을 줄여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제조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제조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4는 의류제조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원단이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6은 의류제조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제품이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8은 의류제조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제품적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의류자재관리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2는 의류자재관리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재이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4는 의류자재관리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자재출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6은 의류자재관리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재자동적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 의류살균처리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20은 의류살균처리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의류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22는 의류살균처리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살균의류분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24는 의류살균처리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양불량제품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제조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4는 의류제조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원단이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6은 의류제조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제품이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8은 의류제조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제품적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의류자재관리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2는 의류자재관리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재이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4는 의류자재관리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자재출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6은 의류자재관리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재자동적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 의류살균처리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20은 의류살균처리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의류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22는 의류살균처리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살균의류분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24는 의류살균처리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양불량제품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제조시스템(10)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의류제조시스템(10)은 의류제조장치(100)와 의류자재관리장치와 의류살균처리장치로 이루어진다. 의류제조시스템은 의류자재관리장치 일수 있다.
상기 의류제조장치(100)는 의류를 제조하기 위한 각 공정인 원단재단부(110), 디자인도시부(120), 커팅부(130), 봉제부(140), 드라이부(150), 포장부(160), 검수부(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의류자재관리장치는 의류를 제조하기 위한 자재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색상도료, 봉제를 위한 실, 단추, 지퍼 등의 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류살균처리장치는 제조가 완료되어 포장되거나, 포장되기 전의 완료제품을 살균처리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제조장치(100)에 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의류제조장치(100)는 의류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의류제조장치(100)는 원단재단부(110), 디자인도시부(120), 커팅부(130), 봉제부(140), 드라이부(150), 포장부(160), 검수부(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단재단부(110)는 선택되는 원단을 설정되는 치수에 맞게 재단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단재단부(110)는 원단적재프레임(111), 원단고정바(112), 원단커팅기(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단적재프레임(111)은 원단이 거치되도록 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원단적재프레임(111)은 사각의 틀로 형성되며, 상면에 패널이 안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단고정바(112)는 롤형태의 원단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원단고정바(112)는 원단적재프레이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단커팅기(113)는 일측으로 권출되는 원단을 절단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원단커팅기(113)는 원단적재프레임(111)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자인도시부(120)는 제작디자인을 원단에 도시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자인도시부(120)는 마킹프레임(121)과 패턴입력기(1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킹프레임(121)은 설정되는 도안을 도시할 수 있도록 작업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마킹프레임(121)은 원단적재프레임(111)의 일측방향 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턴입력기(122)는 원단 상에 미리 설정된 도안을 도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턴입력기(122)는 마킹프레임(121)과 일정 높이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마킹프레임(121) 상에서 다방향으로 이동하며 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팅부(130)는 디자인 도안이 도시된 원단을 커팅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팅부(130)는 커팅프레임(131)과 패턴커팅기(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팅프레임(131)은 패턴이 도시된 원단이 안착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커팅프레임(131)은 마킹프레임(121) 일측방향 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턴커팅기(132)는 패턴입력기(122)로 원단에 도시된 선을 따라 원단으 커팅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턴커팅기(132)는 커팅프레임(131)과 일정 높이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다방향으로 이동하여 커팅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제부(140)는 커팅된 원단의 끝을 봉제하여 마감처리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제부(140)는 봉제프레임(141)과 봉제기(142)로 이루어진다.
상기 봉제프레임(141)은 패턴커팅기(132)로부터 커팅된 원단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봉제프레임(141)은 커팅프레임(131) 일측방향 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제기(142)는 봉제프레임(141)에 안착된 원단을 박음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봉제기(142)는 봉제프레임(141)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봉제기(142)는 자동으로 봉제가 이루어지거나, 작업자가 수동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라이부(150)는 완료된 제품을 드라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라이부(150)는 드라이프레임(151)과 드라이기(152)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라이프레임(151)은 봉제기(142)를 통해 박음질된 제품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드라이프레임(151)은 봉제프레일 일측방향 지면에 형성되며, 상기 드라이프레임(151)은 상면에 드라이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평평한 패널이 형성되며, 열에 강한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드라이기(152)는 봉제기(142)를 이용하여 박음질된 제품을 드라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드라이기(152)는 드라이프레임(151) 일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드라이기(152)는 자동으로 이루어지거나, 작업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부(160)는 드라이가 완료된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부(160)는 포장안착프레임(161)과 포장제품안착대(162)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장안착프레임(161)은 드라이기(152)를 통해 드라이가 완료된 제품을 포장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포장안착프레임(161)은 제품이 안착되도록 드라이프레임(151) 일측방향 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제품안착대(162)는 포장되는 제품이 적재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포장제품안착대(162)는 포장안착프레임(161)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제품안착대(162)는 복수의 제품을 각 종류별 적재하도록 복수의 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수부(170)는 포장된 제품의 양불량을 검수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수부(170)는 검수프레임(171), 검수카메라(172), 검수제어기(173)로 이루어진다.
상기 검수프레임(171)은 포장제품안착대(162)에 안착되는 제품을 이동시켜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검수프레임(171)은 포장안착프레임(161) 일측방향 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수카메라(172)는 검수프레임(171)에 안착되는 제품을 영상을 통해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검수제어기(173) 측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검수카메라(172)는 검수프레임(171)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수제어기(173)는 검수카메라(172)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정보를 미리입력된 양호 영상정보와 대비하여 양호제품을 판독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검수제어기(173)는 검수프레임(17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의류제조장치(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원단이송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원단이송부(200)는 의류제조장치(100)에 더 포함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원단이송부(200)는 원단을 디자인도시부(120)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단이송부(200)는 원단이송프레임(210), 원단이송롤러(211), 원단이송컨베어벨트(212), 패널안착돌기(213), 원단이송패널(214), 패널안착홈(215), 원단안착센서(216), 롤러기어(217), 컨베어모터(218), 모터기어(219), 기어벨트(220)를 포함한다.
상기 원단이송프레임(210)은 사각의 틀로 지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단이송롤러(211)는 원단이송컨베어벨트(212)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원단이송롤러(211)는 원단이송프레임(210)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단이송컨베어벨트(212)는 원단이송프레임(210)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원단이송컨베어벨트(212)는 원단이송롤러(211) 간의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안착돌기(213)는 원단이송패널(214)이 안착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안착돌기(213)는 원단이송컨베어벨트(212) 상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단이송패널(214)은 원단이 안착되며, 패널안착돌기(213)에 안착되어 원단이송컨베어벨트(212)의 회전시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안착홈(215)은 패널안착돌기(2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안착홈(215)은 원단이송패널(214)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단안착센서(216)는 원단의 안착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원단안착센서(216)는 원단이송패널(214)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기어(217)는 원단이송컨베어벨트(212)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기어(217)는 복수개의 원단이송롤러(211) 중 어느 하나의 원단이송롤러(211)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베어모터(218)는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컨베어모터(218)는 원단이송프레임(2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기어(219)는 컨베어모터(218)로부터 생성되는 회전동력을 롤러기어(217)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기어(219)는 컨베어모터(218)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벨트(220)는 모터기어(219)의 회전동력을 롤러기어(217)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기어벨트(220)는 모터기어(219)와 롤러기어(217)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의류제조장치(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제품이송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품이송부(300)는 의류제조장치(100)에 더 포함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이송부(300)는 포장이 완료된 제품의 검수를 위해 포장부(160)와 검수부(170) 사이 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이송부(300)는 제품이송프레임, 제품이송롤러(311), 제품이송컨베어벨트(312), 벨트구동모터(313), 제품이송가이드(314), 제품푸시바(315), 푸시바고정대(316), 푸시실린더(317), 제품감지센서(318)를 포함한다.
상기 제품이송프레임은 사각의 틀로 지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이송롤러(311)는 제품이송컨베어벨트(312)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이송롤러(311)는 제품이송프레임 상부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이송컨베어벨트(312)는 제품이송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이송컨베어벨트(312)는 제품이송롤러(311) 간의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벨트구동모터(313)는 제품이송컨베어벨트(312)를 회전시키기 위해 연결되며, 제품이송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이송가이드(314)는 이동되는 제품이 제품푸시바(315)에 의해 접촉되어 정렬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이송가이드(314)는 제품이송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푸시바(315)는 제품과 밀착되어 제품이송가이드(314) 측으로 제품을 밀어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푸시바(315)는 푸시실린더(317)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바고정대(316)는 푸시실린더(317)를 제품이송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푸시바고정대(316)는 제품이송프레임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실린더(317)는 제품을 제품이송가이드(314) 측으로 밀어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푸시실린더(317)는 푸시고정대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감지센서(318)는 이동되는 제품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푸시실린더(317)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감지센서(318)는 제품이송가이드(314)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의류제조장치(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제품적재부(35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품적재부(350)는 의류제조장치(100)에 더 포함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적재부(350)는 검수부(170)를 통해 검수가 완료된 제품을 적재하기 위해 검수부(170) 일측방향 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적재부(350)는 제품적재프레임(351), 적재케이스(352), 적재슬라이드롤러(353), 적재격벽(354), 격벽감지부재(355), 적재감지센서(356), 적재이동프레임(357), 이동가이드바(358), 이동패널(359), 이동롤러(360), 이동모터(361), 이동위치감지센서(362), 회전부재(363), 회전모터(364), 회전가이드홈(365), 회전가이드돌기(366), 제품안착패널(367), 제품이동실린더(368), 제품이동바(369)를 포함한다.
상기 제품적재프레임(351)은 제품이 적재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적재프레임(351)은 일측이 개구된 형태의 사각 함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케이스(352)는 제품적재프레임(351)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슬라이드롤러(353)는 제품이 적재케이스(352) 내부로 슬라이드 되어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적재슬라이드롤러(353)는 적재케이스(352) 바닥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격벽(354)은 적재되는 제품을 각각 분류하여 적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적재격벽(354)은 제품적재프레임(351)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감지부재(355)는 격벽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격벽감지부재(355)는 제품적재프레임(351) 전면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감지센서(356)는 제품의 적재시 적재상태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적재감지센서(356)는 적재케이스(352) 내부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이동프레임(357)은 이동가이드바(358)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가이드바(358)는 적재이동프레임(357)이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가이드바(358)는 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패널(359)은 회전모터(364)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패널(359)은 적재이동프레임(357)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롤러(360)는 이동가이드를 따라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롤러(360)는 일측이 적재이동프레임(357) 하부로 연결되고, 타측이 이동가이드바(358)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모터(361)는 이동롤러(360)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모터(361)는 적재이동프레임(357) 하부로 형성되며, 이동롤러(360)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위치감지센서(362)는 격벽감지부재(355)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위치감지센서(362)는 이동패널(359)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재(363)는 이동패널(359)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측으로 형성되며, 회전모터(364)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모터(364)는 이동패널(359) 상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가이드홈(365)은 회전가이드돌기(36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가이드홈(365)은 제품안착패널(367) 하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가이드돌기(366)는 회전가이드홈(365)이 삽입되어 회전모터(364)의 구동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가이드돌기(366)는 회전부재(363) 상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안착패널(367)은 제품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안착패널(367)은 회전부재(363) 상면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이동실린더(368)는 제품이동바(369)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이동실린더(368)는 제품안착패널(367)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이동바(369)는 제품이동실린더(368)의 작동시 제품이 적재케이스(352) 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이동바(369)는 제품이동실린더(368)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 의류자재관리장치(4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의류자재관리장치(400)는 의류를 제조에 사용되는 자재를 관리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류자재관리장치(400)는 자재적재프레임(410), 자재안착판(411), 자재분류바(412), 지면고정바(413)를 포함한다.
상기 자재적재프레임(410)은 의류 제조에 사용되는 자재를 각각 종류에 따라 적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자재적재프레임(410)은 사각의 틀로 지면에 안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재안착판(411)은 각각의 자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자재안착판(411)은 자재적재프레임(410) 내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재분류바(412)는 각 자재안착판(411)에 안착된 자재를 각각 분류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자재분류바(412)는 자재적재프레임(410) 내부로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면고정바(413)는 자재적재프레임(410)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면고정바(413)는 자재적재프레임(410) 하부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의류자재관리장치(4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재이송부(5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도 12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재이송부(500)는 의류자재관리장치(400)에 더 포함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자재이송부(500)는 자재안착판(411) 측으로 자재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재이송부(500)는 자재이송레일(510), 레일프레임(511), 프레임롤러(512), 승하강실린더(513), 자재이송플레이트(514), 높낮이감지센서(515), 자재안착센서(516)를 포함한다.
상기 자재이송레일(510)은 자재적재프레임(410)의 폭방향으로 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프레임(511)은 자재이송레일(510)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레일프레임(511)을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롤러(512)는 자재이송레일(510)에 결합 안착되어 레일프레임(511)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실린더(513)는 자재이송플레이트(514)를 승하강 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실린더(513)는 레일프레임(511)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재이송플레이트(514)는 자재가 안착되어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자재이송플레이트(514)는 승하강실린더(513)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낮이감지센서(515)는 승하강되는 자재이송플레이트(514)의 높낮이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높낮이감지센서(515)는 자재이송플레이트(514)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재안착센서(516)는 자재이송플레이트(514)에 안착되는 자재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자재안착센서(516)는 자재이송플레이트(514) 상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4는 의류자재관리장치(4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자재출납부(6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도 14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동자재출납부(600)는 의류자재관리장치(400)에 더 포함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자동자재출납부(600)는 자재안착판(411)에 적재된 자재를 자동 배출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자재출납부(600)는 자재배출수단(610)과 자재거치수단(630)과 제어수단(6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재배출수단(610)은 자재를 자재거치수단(630) 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자재적재프레임(41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재배출수단(610)은 배출실린더(611), 배출바(612), 배출롤러(613), 바감지센서(614), 배출가드(615)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실린더(611)는 자재를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실린더(611)는 자재적재프레임(410) 후면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바(612)는 자재에 밀착되도록 배출실린더(611)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롤러(613)는 자재가 슬라이드 배출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롤러(613)는 자재안착판(411)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감지센서(614)는 자재배출시 배출바(612)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되는 정보를 제어수단(640) 측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감지센서(614)는 자재적재프레임(410) 전면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가드(615)는 배출바(612)에 의해 슬라이드 배출되는 자재를 정렬시켜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가드(615)는 자재안착판(411) 상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재거치수단(630)은 자재배출수단(610)으로부터 배출되는 자재가 안착되도록 자재적재프레임(410) 일측방향 지면으로 슬라이드이동과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재거치수단(630)은 거치플레이트(631), 이동플레이트(632), 플레이트레일(633), 거리감지센서(634), 거리감지부재(635), 플레이트실린더(636)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플레이트(631)는 배출되는 자재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거치플레이트(631)는 플레이트 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632)는 플레이트레일(633)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레일(633)은 이동플레이트(632)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레일(633)은 지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감지센서(634)는 자재적재프레임(410) 전면 하부로 형성되는 거리감지부재(635)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거리감지센서(634)는 이동플레이트(632)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감지부재(635)는 거리감지센서(634)가 센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거리감지부재(635)는 자재적재프레임(410) 전면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실린더(636)는 이동플레이트(632)를 기준으로 거치플레이트(631)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실린더(636)는 일측이 이동플레이트(632) 상면에 형성되고, 실린더 축이 이동플레이트(632) 하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640)은 거리감지센서(634)에 의해 배출실린더(611)와 플레이트실린더(636)가 작동되도록 자재적재프레임(4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640)은 바감지센서(614)와 거리감지센서(634)로부터 제공받는 정보를 이용하여 배출실린더(611)와 플레이트실린더(636)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6은 의류자재관리장치(4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재자동적재부(65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7은 도 16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재자동적재부(650)는 의류자재관리장치(400)에 더 포함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자재자동적재부(650)는 자재를 회전 및 승하강시켜 자재적재프레임(410)이 자동 적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재자동적재부(650)는 적재이송레일(651), 이송부재(652), 부재회전판(653), 판회전모터(654), 승하강지지대(655), 승하강레일(656), 승하강바(657), 바실린더(658)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이송레일(651)은 이송부재(652)가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적재이송레일(651)은 지면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재(652)는 적재이송레일(651)에 안착되어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회전판(653)은 자재의 방향을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재회전판(653)은 이송부재(652)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회전모터(654)는 부재회전판(653)을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판회전모터(654)는 이송부재(652) 하면에 모터축이 관통되도록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지지대(655)는 승하강바(657)의 승하강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지지대(655)는 부재회전판(653) 상부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레일(656)은 승하강바(657)가 슬라이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레일(656)은 승하강지지대(655)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바(657)는 승하강레일(656)에 걸리며, 승하강지지대(655)를 관통하여 자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실린더(658)는 승하강바(657)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실린더(658)는 일측이 승하강지지대(655) 상부일측에 고정되고, 실린더 축이 승하강바(657) 일측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 의류살균처리장치(7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19는 도 18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의류살균처리장치(700)는 제조가 완료된 의류제품을 살균처리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류살균처리장치(700)는 살균처리챔버(710), 제품판(711), 판슬라이드단(712), 판손잡이(713), 살균기(714), 환기팬(715)을 포함한다.
상기 살균처리챔버(710)는 검수가 완료된 제품을 출고 전 살균처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살균처리챔버(710)는 사각의 챔버로 내부가 밀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판(711)은 제품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판(711)은 살균처리챔버(710) 내부의 판슬라이드단(712)에 각각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슬라이드단(712)은 제품판(711)이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판슬라이드단(712)은 살균처리챔버(710) 내부 양측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살균처리챔버(710) 내부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손잡이(713)는 제품판(711)을 살균처리챔버(710)로부터 외부로 배출시 제품판(711)을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판손잡이(713)는 제품판(7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기(714)는 살균처리챔버(710) 내부로 위치되는 제품을 살균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살균기(714)는 살균처리챔버(710) 내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기팬(715)은 살균처리챔버(7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환기팬(715)은 살균처리챔버(710)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0은 의류살균처리장치(7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의류배출부(8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1은 도 20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의류배출부(800)는 의류살균처리장치(700)에 더 포함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의류배출부(800)는 살균처리챔버(710) 내부에서 살균처리가 완료된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류배출부(800)는 배출실린더(810), 배출바(811), 배출롤러(812), 바감지센서(813), 배출가드(814)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실린더(810)는 살균제품을 살균처리챔버(710) 내부에서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실린더(810)는 살균처리챔버(710) 후면에 형성되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바(811)는 배출실린더(810)에 의해 살균제품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바(811)는 배출실린더(810)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롤러(812)는 배출바(811)에 의해 배출되는 살균제품이 원활하게 슬라이드 배출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롤러(812)는 제품판(711)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감지센서(813)는 배출바(811)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되는 감지신호를 배출실린더(810) 측으로 제공하여 배출바(811)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감지센서(813)는 제품판(711)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가드(814)는 배출되는 살균제품이 제품판(711) 상 중앙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가드(814)는 제품판(711) 상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2는 의류살균처리장치(7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살균의류분류부(9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3은 도 22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살균의류분류부(900)는 의류살균처리장치(700)에 더 포함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살균의류분류부(900)는 살균처리가 된 제품의 이동시 양호제품과 불량제품을 분류하기 위해 살균처리챔버(710) 일측방향 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의류분류부(900)는 의류분류컨베어(910), 분류기(911), 터치감지센서(912), 의류스토퍼(913), 양호푸시실린더(914), 양호푸시바(915), 불량푸시실린더(916), 불량푸시바(917), 양호컨베어(918), 불량컨베어(919)로 이루어진다.
상기 의류분류컨베어(910)는 일측방향으로 살균제품이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의류분류컨베어(910)는 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류기(911)는 미리 저장된 양호 영상정보와 양호 초음파정보를 실시간으로 촬여되는 정보와 대조하여 양불량정보를 양호푸시실린더(914) 전에 형성되는 터치감지센서(912) 측으로 제공하거나, 불량푸시실린더(916) 전에 형성되는 터치감지센서(912)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류기(911)는 의류분류컨베어(910)와 일정 높이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감지센서(912)는 분류기(911)에서 양호정보를 제공받아 센서가 작동하여 감지시 감지정보를 의류스토퍼(913)와 양호푸시실린더(914) 측으로 제공하도록 하며, 분류기(911)에서 불량정보를 제공받아 센서가 작동하여 감지시 감지정보를 의류스토퍼(913)와 불량푸시실린더(916) 측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터치감지센서(912)는 양호푸시실린더(914) 일측과 불량푸시실린더(916) 일측인 의류분류컨베어(910)의 프레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류스토퍼(913)는 터치감지센서(912)로부터 제공받은 감지정보에 의해 작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의류스토퍼(913)는 터치감지센서(912)와 양호푸시실린더(914) 사이의 의류분류컨베어(910) 프레임과 터치감지센서(912)와 불량푸시실린더(916) 사이의 의류분류컨베어(910) 프레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호푸시실린더(914)는 양호정보로 터치감지센서(912)로부터 제공받아 작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양호푸시실린더(914)는 의류분류컨베어(910) 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호푸시바(915)는 양호제품을 양호컨베어(918) 측으로 밀어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양호푸시바(915)는 양호푸시실린더(914)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량푸시실린더(916)는 불량정보로 터치감지센서(912)로부터 제공받아 작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불량푸시실린더(916)는 의류분류컨베어(910) 프레임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량푸시바(917)는 불량제품을 불량컨베어(919) 측으로 밀어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불량푸시바(917)는 불량푸시실린더(916)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호컨베어(918)는 양호푸시바(915)에 의해 일측으로 배출되는 양호제품이 안착되어 양호제품 트레이 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양호컨베어(918)는 의류분류컨베어(9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량컨베어(919)는 불량푸시바(917)에 의해 일측으로 배출되는 불량제품이 안착되어 불량제품 트레이 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불량컨베어(919)는 의류분류컨베어(9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4는 의류살균처리장치(7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양불량제품배출부(95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5는 도 24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양불량제품배출부(950)는 의류살균처리장치(700)에 더 포함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양불량제품배출부(950)는 양호컨베어(918)와 불량컨베어(919)를 통해 각각 배출되는 제품을 권취하여 배출시키기 위해 양호컨베어(918) 일측 지면과 불량컨베어(919) 일측 지면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불량제품배출부(950)는 양호배출수단(960)과 불량배출수단(970)을 포함한다.
상기 양호배출수단(960)은 양호컨베어(918)를 따라 이동되는 양호제품을 권취하여 배출시키기 위해 양호컨베어(918) 일측 지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호배출수단(960)은 제1부재회전모터(961), 제1바회전부재(962), 제1연결바(963), 제1권취구동바(964), 제1고정바(965), 제1밀착바(966), 제1압력센서(967), 제1밀착실린더(968), 제1실린더바(969), 양호제품함(97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부재회전모터(961)는 제1바회전부재(96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부재회전모터(961)는 지면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바회전부재(962)는 일정 각도록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바회전부재(962)는 제1부재회전모터(961)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바(963)는 제1권취구동바(964)를 제1바회전부재(962)와 연결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연결바(963)는 일측이 제1권취구동바(964) 중앙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1바회전부재(962)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권취구동바(964)는 제1고정바(965) 측으로 제1밀착바(966)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권취제품이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권취구동바(964)는 제1연결바(96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바(965)는 제1밀착바(966)에 의해 밀착되는 제품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고정바(965)는 제1연결바(963) 일측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밀착바(966)는 제품을 제1고정바(965) 측으로 밀착시켜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밀착바(966)는 제1권취구동바(964) 일측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압력센서(967)는 제1밀착바(966)에 의해 제1고정바(965) 측으로 밀착시 밀착되는 제품의 밀착 압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압력센서(967)는 제1고정바(965)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밀착실린더(968)는 제1밀착바(966)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밀착실린더(968)는 일측이 제1권취구동바(964)에 고정되고, 실린더 축이 제1실린더바(969)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실린더바(969)는 제1밀착바(966)를 슬라이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실린더바(969)는 일측이 제1밀착바(966)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1밀착실린더(968)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호제품함(970)은 제1고정바(965)와 제1밀착바(966) 사이에 고정되는 양호제품을 적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양호제품함(970)은 제1부재회전모터(961) 일측 지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량배출수단(970)은 불량컨베어(919)를 따라 이동되는 불량제품을 권취하여 배출시키기 위해 불량컨베어(919) 일측 지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량배출수단(970)은 제2부재회전모터(971), 제2바회전부재(972), 제2연결바(973), 제2권취구동바(974), 제2고정바(975), 제2밀착바(976), 제2압력센서(977), 제2밀착실린더(978), 제2실린더바(979), 불량제품함(980)을 포함한다.
상기 제2부재회전모터(971)는 제2바회전부재(97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부재회전모터(971)는 지면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바회전부재(972)는 일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바회전부재(972)는 제2부재회전모터(971)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연결바(973)는 제2권취구동바(974)를 제2바회전부재(972)와 연결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연결바(973)는 일측이 제2권취구동바(974) 중앙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바회전부재(972)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권취구동바(974)는 제2고정바(975) 측으로 제2밀착바(976)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권취제품이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권취구동바(974)는 제2연결바(97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고정바(975)는 제2밀착바(976)에 의해 밀착되는 제품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고정바(975)는 제2연결바(973) 일측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밀착바(976)는 제품을 제2고정바(975) 측으로 밀착시켜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밀착바(976)는 제2권취구동바(974) 일측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압력센서(977)는 제2밀착바(976)에 의해 제2고정바(975) 측으로 밀착시 밀착되는 제품의 밀착 압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압력센서(977)는 제2고정바(975)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밀착실린더(978)는 제2밀착바(976)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밀착실린더(978)는 일측이 제2권취구동바(974)에 고정되고, 실린더 축이 제2실린더바(979)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실린더바(979)는 제2밀착바(976)를 슬라이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실린더바(979)는 일측이 제2밀착바(976)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밀착실린더(978)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량제품함(980)은 제2고정바(975)와 제2밀착바(976) 사이에 고정되는 불량제품을 적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불량제품함(980)은 제2부재회전모터(971) 일측 지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의류제조시스템
100 : 의류제조장치
110 : 원단재단부 111 : 원단적재프레임
112 : 원단고정바 113 : 원단커팅기
120 : 디자인도시부 121 : 마킹프레임
122 : 패턴입력기 130 : 커팅부
131 : 커팅프레임 132 : 패턴커팅기
140 : 봉제부 141 : 봉제프레임
142 : 봉제기 150 : 드라이부
151 : 드라이프레임 152 : 드라이기
160 : 포장부 161 : 포장안착프레임
162 : 포장제품안착대 170 : 검수부
171 : 검수프레임 172 : 검수카메라
173 : 검수제어기
200 : 원단이송부
210 : 원단이송프레임 211 : 원단이송롤러
212 : 원단이송컨베어벨트 213 : 패널안착돌기
214 : 원단이송패널 215 : 패널안착홈
216 : 원단안착센서 217 : 롤러기어
218 : 컨베어모터 219 : 모터기어
220 : 기어벨트
300 : 제품이송부
310 : 제품이송프레임 311 : 제품이송롤러
312 : 제품이송컨베어벨트 313 : 벨트구동모터
314 : 제품이송가이드 315 : 제품푸시바
316 : 푸시바고정대 317 : 푸시실린더
318 : 제품감지센서
350 : 제품적재부
351 : 제품적재프레임 352 : 적재케이스
353 : 적재슬라이드롤러 354 : 적재격벽
355 : 격벽감지부재 356 : 적재감지센서
357 : 적재이동프레임 358 : 이동가이드바
359 : 이동패널 360 : 이동롤러
361 : 이동모터 362 : 이동위치감지센서
363 : 회전부재 364 : 회전모터
365 : 회전가이드홈 366 : 회전가이드돌기
367 : 제품안착패널 368 : 제품이동실린더
369 : 제품이동바
400 : 의류자재관리장치
410 : 자재적재프레임 411 : 자재안착판
412 : 자재분류바 413 : 지면고정재
500 : 자재이송부
510 : 자재이송레일 511 : 레일프레임
512 : 프레임롤러 513 : 승하강실린더
514 : 자재이송플레이트 515 : 높낮이감지센서
516 : 자재안착센서
600 : 자동자재출납부
610 : 자재배출수단 611 : 배출실린더
612 : 배출바 613 : 배출롤러
614 : 바감지센서 615 : 배출가드
630 : 자재거치수단 631 : 거치플레이트
632 : 이동플레이트 633 : 플레이트레일
634 : 거리감지센서 635 : 거리감지부재
636 : 플레이트실린더
640 : 제어수단 650 : 자재자동적재부
651 : 적재이송레일 652 : 이송부재
653 : 부재회전판 654 : 판회전모터
655 : 승하강지지대 656 : 승하강레일
657 : 승하강바 658 : 바실린더
700 : 의류살균처리장치
710 : 살균처리챔버 711 : 제품판
712 : 판슬라이드단 713 : 판손잡이
714 : 살균기 715 : 환기팬
800 : 의류배출부
810 : 배출실린더 811 : 배출바
812 : 배출롤러 813 : 바감지센서
814 : 배출가드
900 : 살균의류분류부
910 : 의류분류컨베어 911 : 분류기
912 : 터치감지센서 913 : 의류스토퍼
914 : 양호푸시실린더 915 : 양호푸시바
916 : 불량푸시실린더 917 : 불량푸시바
918 : 양호컨베어 919 : 불량컨베어
950 : 양불량제품배출부
960 : 양호배출수단 961 : 제1부재회전모터
962 : 제1바회전부재 963 : 제1연결바
964 : 제1권취구동바 965 : 제1고정바
966 : 제1밀착바 967 : 제1압력센서
968 : 제1밀착실린더 969 : 제1실린더바
970 : 양호제품함
970 : 불량배출수단
971 : 제2부재회전모터 972 : 제2바회전부재
973 : 제2연결바 974 : 제2권취구동바
975 : 제2고정바 976 : 제2밀착바
977 : 제2압력센서 978 : 제2밀착실린더
979 : 제2실린더바 980 : 불량제품함
100 : 의류제조장치
110 : 원단재단부 111 : 원단적재프레임
112 : 원단고정바 113 : 원단커팅기
120 : 디자인도시부 121 : 마킹프레임
122 : 패턴입력기 130 : 커팅부
131 : 커팅프레임 132 : 패턴커팅기
140 : 봉제부 141 : 봉제프레임
142 : 봉제기 150 : 드라이부
151 : 드라이프레임 152 : 드라이기
160 : 포장부 161 : 포장안착프레임
162 : 포장제품안착대 170 : 검수부
171 : 검수프레임 172 : 검수카메라
173 : 검수제어기
200 : 원단이송부
210 : 원단이송프레임 211 : 원단이송롤러
212 : 원단이송컨베어벨트 213 : 패널안착돌기
214 : 원단이송패널 215 : 패널안착홈
216 : 원단안착센서 217 : 롤러기어
218 : 컨베어모터 219 : 모터기어
220 : 기어벨트
300 : 제품이송부
310 : 제품이송프레임 311 : 제품이송롤러
312 : 제품이송컨베어벨트 313 : 벨트구동모터
314 : 제품이송가이드 315 : 제품푸시바
316 : 푸시바고정대 317 : 푸시실린더
318 : 제품감지센서
350 : 제품적재부
351 : 제품적재프레임 352 : 적재케이스
353 : 적재슬라이드롤러 354 : 적재격벽
355 : 격벽감지부재 356 : 적재감지센서
357 : 적재이동프레임 358 : 이동가이드바
359 : 이동패널 360 : 이동롤러
361 : 이동모터 362 : 이동위치감지센서
363 : 회전부재 364 : 회전모터
365 : 회전가이드홈 366 : 회전가이드돌기
367 : 제품안착패널 368 : 제품이동실린더
369 : 제품이동바
400 : 의류자재관리장치
410 : 자재적재프레임 411 : 자재안착판
412 : 자재분류바 413 : 지면고정재
500 : 자재이송부
510 : 자재이송레일 511 : 레일프레임
512 : 프레임롤러 513 : 승하강실린더
514 : 자재이송플레이트 515 : 높낮이감지센서
516 : 자재안착센서
600 : 자동자재출납부
610 : 자재배출수단 611 : 배출실린더
612 : 배출바 613 : 배출롤러
614 : 바감지센서 615 : 배출가드
630 : 자재거치수단 631 : 거치플레이트
632 : 이동플레이트 633 : 플레이트레일
634 : 거리감지센서 635 : 거리감지부재
636 : 플레이트실린더
640 : 제어수단 650 : 자재자동적재부
651 : 적재이송레일 652 : 이송부재
653 : 부재회전판 654 : 판회전모터
655 : 승하강지지대 656 : 승하강레일
657 : 승하강바 658 : 바실린더
700 : 의류살균처리장치
710 : 살균처리챔버 711 : 제품판
712 : 판슬라이드단 713 : 판손잡이
714 : 살균기 715 : 환기팬
800 : 의류배출부
810 : 배출실린더 811 : 배출바
812 : 배출롤러 813 : 바감지센서
814 : 배출가드
900 : 살균의류분류부
910 : 의류분류컨베어 911 : 분류기
912 : 터치감지센서 913 : 의류스토퍼
914 : 양호푸시실린더 915 : 양호푸시바
916 : 불량푸시실린더 917 : 불량푸시바
918 : 양호컨베어 919 : 불량컨베어
950 : 양불량제품배출부
960 : 양호배출수단 961 : 제1부재회전모터
962 : 제1바회전부재 963 : 제1연결바
964 : 제1권취구동바 965 : 제1고정바
966 : 제1밀착바 967 : 제1압력센서
968 : 제1밀착실린더 969 : 제1실린더바
970 : 양호제품함
970 : 불량배출수단
971 : 제2부재회전모터 972 : 제2바회전부재
973 : 제2연결바 974 : 제2권취구동바
975 : 제2고정바 976 : 제2밀착바
977 : 제2압력센서 978 : 제2밀착실린더
979 : 제2실린더바 980 : 불량제품함
Claims (3)
- 의류를 제조에 사용되는 자재를 관리하기 위한 의류자재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류자재관리장치는,
의류 제조에 사용되는 자재를 각각 종류에 따라 적재하기 위해 사각의 틀로 지면에 안착형성되는 자재적재프레임과,
각각의 자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자재적재프레임 내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자재안착판과,
각 자재안착판에 안착된 자재를 각각 분류하기 위해 자재적재프레임 내부로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자재분류바와,
자재적재프레임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자재적재프레임 하부에 복수개 형성되는 지면고정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의류자재관리장치는,
자재안착판 측으로 자재를 이송시키기 위한 자재이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재이송부는,
자재적재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지면에 형성되는 자재이송레일과,
자재이송레일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레일프레임과,
자재이송레일에 결합 안착되어 레일프레임 하부로 형성되는 프레임롤러와,
자재이송플레이트를 승하강 시키기 위해 레일프레임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승하강실린더와,
자재가 안착되어 승하강되도록 승하강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자재이송플레이트와,
승하강되는 자재이송플레이트의 높낮이를 감지하기 위해 자재이송플레이트 일측으로 형성되는 높낮이감지센서와,
자재이송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자재를 감지하기 위해 자재이송플레이트 상면으로 형성되는 자재안착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의류자재관리장치는,
자재안착판에 적재된 자재를 자동 배출하기 위한 자동자재출납부; 또는
자재를 회전 및 승하강시켜 자재적재프레임이 자동 적재되도록 하기 위한 자재자동적재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설치되되,
상기 자동자재출납부는,
자재를 자재거치수단 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자재적재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자재배출수단; 및
자재배출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자재가 안착되도록 자재적재프레임 일측방향 지면으로 슬라이드이동과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자재거치수단; 및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배출실린더와 플레이트실린더가 작동되도록 자재적재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자재배출수단은,
자재를 배출시키기 위해 자재적재프레임 후면측으로 형성되는 배출실린더와,
자재에 밀착되도록 배출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배출바와,
자재가 슬라이드 배출 될 수 있도록 자재안착판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배출롤러와,
자재배출시 배출바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되는 정보를 제어수단 측으로 제공하도록 자재적재프레임 전면일측으로 형성되는 바감지센서와,
배출바에 의해 슬라이드 배출되는 자재를 정렬시켜 배출시키기 위해 자재안착판 상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배출가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재거치수단은,
배출되는 자재가 안착되도록 플레이트 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거치플레이트와,
플레이트레일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동플레이트와,
이동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면 상에 형성되는 플레이트레일과,
자재적재프레임 전면 하부로 형성되는 거리감지부재를 감지하기 위해 이동플레이트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거리감지센서와,
거리감지센서가 센싱하기 위해 자재적재프레임 전면 하부로 형성되는 거리감지부재와,
이동플레이트를 기준으로 거치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일측이 이동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고, 실린더 축이 이동플레이트 하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플레이트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재자동적재부는,
이송부재가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지면에 고정 형성되는 적재이송레일과,
적재이송레일에 안착되어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부재와,
자재의 방향을 회전시키기 위해 이송부재 상측으로 형성되는 부재회전판과,
부재회전판을 회전시키기 위해 이송부재 하면에 모터축이 관통되도록 고정 형성되는 판회전모터와,
승하강바의 승하강을 지지하기 위해 부재회전판 상부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승하강지지대와,
승하강바가 슬라이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승하강지지대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승하강레일과,
승하강레일에 걸리며, 승하강지지대를 관통하여 자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하강바와,
승하강바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일측이 승하강지지대 상부 일측에 고정되고, 실린더 축이 승하강바 일측에 연결 형성되는 바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제조시스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4665A KR102492497B1 (ko) | 2021-10-12 | 2021-10-12 | 의류자재관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4665A KR102492497B1 (ko) | 2021-10-12 | 2021-10-12 | 의류자재관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92497B1 true KR102492497B1 (ko) | 2023-03-02 |
Family
ID=85509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4665A KR102492497B1 (ko) | 2021-10-12 | 2021-10-12 | 의류자재관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249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6512B1 (ko) * | 2013-01-21 | 2014-04-17 | 문승일 | 적재공간 가변구조를 갖는 물류창고용 조립식 랙 구조물 |
KR102011055B1 (ko) | 2019-04-24 | 2019-08-14 | 주식회사 디쓰리디 | 의류 제작 시스템과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의류 자판기 |
KR20210011435A (ko) * | 2018-10-12 | 2021-02-01 | 상하이 포트렌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자재 이송 시스템, 자재 이송 방법, 및 자재 보관 장치 |
-
2021
- 2021-10-12 KR KR1020210134665A patent/KR102492497B1/ko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6512B1 (ko) * | 2013-01-21 | 2014-04-17 | 문승일 | 적재공간 가변구조를 갖는 물류창고용 조립식 랙 구조물 |
KR20210011435A (ko) * | 2018-10-12 | 2021-02-01 | 상하이 포트렌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자재 이송 시스템, 자재 이송 방법, 및 자재 보관 장치 |
KR102011055B1 (ko) | 2019-04-24 | 2019-08-14 | 주식회사 디쓰리디 | 의류 제작 시스템과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의류 자판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73666B1 (ko) | 살균처리가 가능한 의류제조시스템 | |
US20160136816A1 (en) | Sorting apparatus and method | |
US20160144407A1 (en) | Method for sorting laundry items, in particular dirty laundry items | |
CN110641784B (zh) | 一种成品服装的自动识别分拣打包设备 | |
US11649117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suspendedly conveyable transport bags | |
US7715615B2 (en) | Separator sheet handling assembly | |
US2007000015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flat articles of clothing into a laundry processing unit | |
KR102492497B1 (ko) | 의류자재관리장치 | |
KR102496964B1 (ko) | 의류제조시스템 | |
JP7308589B2 (ja) | 布類分別装置を備える布類自動展開機 | |
KR102408204B1 (ko) | 인공지능 기반 재활용 의복 분류 시스템 | |
ITVI20080198A1 (it) | Macchina industriale per il riconoscimento e/o la selezione di manufatti di biancheria e metodo attuato mediante tale macchina industriale | |
CN220160595U (zh) | 基于视觉检测的质量检验分拣设备 | |
US20230416975A1 (en) | Autonomous tiered laundry fold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 |
US11752525B2 (en) | System and method of laundry sorting | |
EP1683908A1 (en) | Device and method which are used to load flat articles of clothing into a laundry treatment unit | |
CN212243928U (zh) | 物品存储式智能分拣系统 | |
JPH1190350A (ja) | 農畜産物の選別収集装置 | |
US20240301618A1 (en) | System and method of laundry sorting | |
JP2003220300A (ja) | 布類の種類別折り畳み装置 | |
NL2010518C2 (en) | A storage system with carrier shelves moveable along a track with height adjustable station and control. | |
JP3751140B2 (ja) | 果菜類の選別装置 | |
JP3751141B2 (ja) | 果菜類の選別装置 | |
JP2019044287A (ja) | 布類自動展開機 | |
JP7036847B2 (ja) | 食器洗浄補助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