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901B1 - Bicycle saddle having function of seat position adjustment - Google Patents

Bicycle saddle having function of seat position adjus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901B1
KR102491901B1 KR1020210027800A KR20210027800A KR102491901B1 KR 102491901 B1 KR102491901 B1 KR 102491901B1 KR 1020210027800 A KR1020210027800 A KR 1020210027800A KR 20210027800 A KR20210027800 A KR 20210027800A KR 102491901 B1 KR102491901 B1 KR 102491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ing
seat
bicycle
sheet member
bicycle s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8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4334A (en
Inventor
곽상훈
강정화
이훈우
Original Assignee
곽상훈
강정화
이훈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상훈, 강정화, 이훈우 filed Critical 곽상훈
Priority to KR1020210027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901B1/en
Publication of KR20220124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3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9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0Internal adjustment of sad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5Saddles having a seating area with multiple separate weight bea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 부위의 형상과 넓이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과 후방의 좌우측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시트부들과 상기 시트부들이 전후 및 좌우로 이송 가능한 이송 가이드구조를 구비하되, 전방에 배치되는 시트부의 전후이동에 따라 후방에 배치되는 좌우의 시트부들의 이격 간격이 연동되어 변경되는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 saddle capable of adjusting the shape and width of a bicycle saddle, which includes seat parts separated into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sides, and a transfer guide structure in which the seat parts can be transported forward and backward and left and right, Provided is a bicycle saddle having an adjustment function in which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left and right seat parts disposed at the rear is interlocked and changed according to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a seat part disposed at the front.

Description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BICYCLE SADDLE HAVING FUNCTION OF SEAT POSITION ADJUSTMENT}Bicycle saddle with adjustable function {BICYCLE SADDLE HAVING FUNCTION OF SEAT POSITION ADJUSTMENT}

본 발명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전거의 사용형태에 따라 안장 부위의 형상과 넓이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cycle saddle capable of adjusting the shape and width of a saddle part according to the type of use of the bicycle.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탑승자가 두 발로 페달을 밟아 생긴 힘으로 바퀴를 돌리면서 추진하는 단거리 이동 수단을 의미하는데, 넓은 범위에서는 외륜, 삼륜 또는 사륜 등의 형태나 노면은 물론 수상 또는 빙상에서 주행하는 다양한 용도의 것도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In general, a bicycle refers to a short-distance means of transportation propelled by turning wheels with the force generated by stepping on pedals by a rider with both feet. It is understood that the intended use is also included.

이러한 자전거는 페달에 제공된 동력이 후륜에 전달되고 전륜은 피동적으로 구름동작하면서 핸들과 연결되어 진행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자전거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59816호로서 공개되어 있으며, 자전거의 구조 및 안장과 관련하여 개시하고 있다. In general, such a bicycl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ower provided to the pedal is transmitted to the rear wheel and the front wheel passively rolls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handle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ravel. Such a bicycle is disclosed a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59816, and is disclosed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and saddle of the bicycle.

도 1은 일반적인 자전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general bicycle.

종래기술의 자전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휠(3)이 회전 지지되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전방측에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핸들(4)과, 상기 핸들에 연결되어 전륜휠(2)로 조향력을 전달하여 구름을 지지하는 전륜프레임(6)을 구비한다.As shown in the prior art bicycle, a frame 1 on which a rear wheel 3 is supported for rotation, a handle 4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 so as to be rotatable left and right, and a handle connected to the handle It is provided with a front wheel frame (6) for supporting the rolling by transmitting the steering force to the front wheel (2).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시트(5)가 구비되어 이용자가 엉덩이 부위를 안착할 수 있고, 상기 핸들(4)은 파지가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사항에서는 동력원으로서 페달(50)을 밟는 힘을 사용하게 되며, 페달(50)의 작동에 따라 소정의 스프로켓이 회전되고 후륜휠(3)과 함께 회전되는 스프로켓이 체인과 같은 구동력 전달부재에 의하여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최종적으로 후륜휠(3)이 회전하면서 전진이 가능하게 된다. 이용자는 엉덩이 부위를 시트에 안착하고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페달을 밟는 동작을 함으로써 주행이 가능하게 되는데, 후륜휠에 전달되는 토크는 자이로 효과에 의하여 직립 및 직진 안정성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seat 5 so that the user can seat the buttocks, and the handle 4 is made in a form capable of gripping. In the illustrated details, the force of stepping on the pedal 50 is used as a power source, and a predetermined sprocket is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edal 50, and the sprocket rotated together with the rear wheel 3 is attached to a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such as a chain. By receiving rotational power, the rear wheel 3 finally rotates while moving forward. The user can drive by stepping on the pedal while seated on the seat with his buttocks and gripping the handle. The torque transmitted to the rear wheel provides upright and straight stability by the gyro effect.

이러한 자전거의 시트는 일반적인 의자보다는 면적이 작고 양쪽 다리를 움직여서 페달을 돌려야 하기 때문에 다리의 상하 동작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앞쪽은 좁고 뒤쪽은 인체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넓게 이루어져 있는 것이 통상이다. Since the seat of such a bicycle has a smaller area than a general chair and needs to move both legs to turn the pedals, the front part is narrow in order to freely move the legs up and down, and the rear part is usually made wide to support the load of the human body.

그런데, 종래기술의 자전거용 시트는 장거리 주행이나 고속으로 주행시 탑승자의 회음부, 골반뼈, 항문 등에 지속적인 압박과 충격을 가하고 이러한 현상이 누적되면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의 시도가 있어 왔다. However, the prior art bicycle seat applies continuous pressure and impact to the occupant's perineum, pelvic bones, anus, etc. during long-distance driving or high-speed driving, and when these phenomena accumulate,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pain, a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is. .

상기 등록특허는 쿠션 튜브를 구성하여 완충을 시도하고 있고, 근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탑승자의 둔부를 받치는 시트를 분할하고 서로 이격하도록 하는 조절장치를 구성하여 골반뼈의 압력을 분산할 수 있는 기술도 제시되어 있으나, 자전거의 운행시 가해지는 충격을 제대로 해소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The registered patent attempts buffering by configuring a cushion tube, and recent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pressure of the pelvic bones by configuring an adjusting device that divides the seats supporting the occupant's buttocks and separates them from each other. There is also a proposed technology, but there was a limit to properly relieving the shock appli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icycle.

상기와 같은 통증은 특히 회음부의 부위가 다른 곳에 비하여 연약한데 반해 자전거용 안장에 지속적으로 접촉하고 마찰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데 큰 원인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bove-described pain is caused by continuous contact and friction with the bicycle saddle while the perineal region is particularly weak compared to other places, and measures to solve this problem are needed.

특히 허리를 숙이고 진행하는 상황과 자세를 세워서 서행하는 상황에서는 안장과 접촉되는 엉덩이의 부위와, 면적, 압력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종래기술들에서는 인지하고 있지 못하였다. In particular, the prior art did not recognize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art of the hip in contact with the saddle, the area, and the pressure in the situation where the waist is bent and the situation where the posture is upright and slow.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주행 상황별로 엉덩이의 형상과 가해지는 압력의 부위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cycle saddle having an adjustment function capable of changing the shape by appropriately 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ip and the part of the applied pressure for each driving situation. .

본 발명은, 자전거의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안장으로서, 전방측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전방시트부(1100)와, 상기 전방시트부에 대해 후방측에 배치되되 좌우측으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후방시트부(1200)와, 상기 전방시트부의 전후이동에 따라 폭이 가변되면서 후방시트부 사이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는 변형레일부(2100)를 포함하는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을 제공한다.
상기 변형레일부는, 좌우측 후방시트부에 연결되는 양측의 가지부위와, 상기 가지부위들의 전방측을 연결하되 양측의 가지부위의 벌어지는 방향 또는 좁아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작동시키는 연결부(2101)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a saddle mounted on a main frame of a bicycle, includes a front seat portion 1100 dispos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on the front side, and a rear seat disposed on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front seat portion and separa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Provided is a bicycle saddle having an adjustment function including a part 1200 and a deformable rail part 2100 that adjust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rear seat parts while the width is varie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ront seat part.
The deformable rail portion is composed of branch portions on both side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rear seat portions, and a connecting portion 2101 that connects the front side of the branch portions and operat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widening or narrowing of the branch portions on both sides. can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시트부가 변형레일부의 후단 일측에 결합되는 제1시트부재(1210)와, 변형레일부의 후단 타측에 결합되는 제2시트부재(1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Preferably, the rear seat portion may be composed of a first sheet member 1210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ar end of the deformable rail unit and a second sheet member 1220 coupled to the other rear end side of the deformable rail unit.

상기 제1시트부재 및 제2시트부재는, 전방시트부의 전방 이동에 따라 좌우 이격 간격이 넓어진다. The left and right spac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at members is widened according to the forward movement of the front seat portion.

또한, 상기 전방시트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변형레일부에서 전후 이동에 따라 후단측의 폭을 변화시키는 조절브라켓부(3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adjustment bracket part 3000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eat part and changing the width of the rear end side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deformable rail part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변형레일부의 후단측에 형성되는 폭조절추종부(2130)의 좌우방향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2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guide frame 2200 for guiding transf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idth adjusting follower 2130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deformable rail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한편, 상기 제1시트부재 및 제2시트부재는 변형레일부 양단측의 폭조절추종부에 각각 결합되어 함께 이격 간격이 변경되되, 가이드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상하 위치 또는 전후 위치 또는 지면에 대한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heet member and the second sheet member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width adjusting tracking parts on both ends of the deformable rail unit,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changed together, and the vertical position or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r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frame. to be variable.

상기 조절브라켓부의 전후 이송을 가이드하되 자전거의 메인프레임과 결합되는 장착부(4100)를 구비하는 지지프레임(40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frame 4000 having a mounting portion 4100 coupled to a main frame of a bicycle while guiding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adjustment bracket.

상기 지지프레임은 후단측이 가이드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upport frame may have a rear end coupled to the guide frame.

또한, 상기 변형레일부는 외주로 돌출되고 조절브라켓부에 형성되는 돌기삽입부(3221)에 삽입되어 전방시트부의 전후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deformable rail portion protrudes outward and includes one or more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nsertion portion 3221 formed in the adjustment bracket portion to fix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front seat portion.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주행 환경과 주법에 따라 엉덩이와 밀착되는 부위, 형태 및 면적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시간 주행해도 통증이 최소화되고 운동의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hape and area of the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hip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and the driving method,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pain and maximizing exercise efficiency even when driving for a long time.

또한, 안장에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회음부와의 마찰에 의한 불편함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통풍이 가능하기 때문에 쾌적한 라이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안장으로 고속주행과 저속주행 환경의 최적화가 가능하여 다양한 라이더들의 니즈를 만족할 수 있고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 certain space is formed in the saddle to reduce discomfort caused by friction with the perineum, and ventilation is possible, which not only enables comfortable riding, but also optimizes high-speed and low-speed driving environments with one saddle It can satisfy the needs of various riders and has the effect of improving marketability.

도 1은 종래기술의 자전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에 따른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된 본 발명의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을 상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변형레일부와 가이드프레임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을 후방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절브라켓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prior art bicycle.
Figure 2 is a bottom view of a bicycle saddle having an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bicycle saddle having an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icycle saddle having an adjus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from above.
5 is a view showing a deformable rail unit and a guide fram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icycle saddle having an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the rear side.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djustment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bicycle saddle having an adjusting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only intended to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invention, thereby limiting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n't mean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품이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connected with other parts or devices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자전거에 장착되는 안장으로서, 전방과 후방의 좌우측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시트부들과 상기 시트부들이 전후 및 좌우로 이송 가능한이송 가이드구조를 구비하되, 전방에 배치되는 시트부의 전후이동에 따라 후방에 배치되는 좌우의 시트부들의 이격 간격이 연동되어 변경되는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saddle mounted on a bicycle, and includes seat parts separated into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sides, and a transfer guide structure in which the seat parts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left and right, but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seat part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icycle saddle having an adjusting func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eat parts disposed at the rear is linked and changed is provided.

자전거는 통상 후륜휠을 회전지지하는 메인프레임과, 전륜휠과 함께 좌우 회동되도록 메인프레임에 지지되는 조향축과, 상기 조향축에 연결되는 핸들과,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착좌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자전거의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와 같다. 여기서 자전거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본 발명의 도면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은 변형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자전거 또는 사람이 탑승하여 이동될 수 있는 다양한 이송수단에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2륜, 3륜 내지는 4륜 이상의 안장을 구비하는 이송수단은 물론, 전륜에서 조향이 이루어지거나 후륜에서 조향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본 발명의 균등한 사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 bicycle generally includes a main frame for rotationally supporting the rear wheel, a steering shaft supported by the main frame to rotate left and right together with the front wheel, a handle connected to the steering shaft, and a saddle coupled to allow seating on the main frame. The basic structure of such a bicycle is as described above. Here, the bicycle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xamples of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deformable bicycles or various means of transportation in which people can ride and move. For example, a case where steering is performed on the front wheel or rear wheel as well as a transportation means equipped with a saddle of 2, 3, or 4 wheels should be understood as equivalent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에 따른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의 저면도이다. Figure 2 is a bottom view of a bicycle saddle having an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자전거의 정상적인 정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측에 배치되는 전방시트부(1100)와, 상대적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시트부(1200)가 상호 전후방으로 이격 및 인접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후방시트부(1200)는 좌우측으로 이격 가능한 두 개의 제1시트부재(1210)와 제2시트부재(1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격 간격은 주행 환경에 따라 가변되는 것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작동이다. 이러한 시트부의 재질은 완충이 가능한 메모리폼, 스폰지, 합성고무, 가죽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시트부의 형상과 크기는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택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front seat portion 1100 dispos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eat portion 1200 disposed relatively rearward relative to the normal running direction of the bicycle are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an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addition, the rear seat portion 1200 is composed of two first seat members 1210 and second seat members 1220 that can be spaced apart from left to right, and the separation interval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it works The material of the seat portion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mory foam, sponge, synthetic rubber, and leather capable of buffering. In addition, the shape and size of the seat por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and may be formed according to selection.

상기 전방시트부(1100)는 기본적으로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이러한 전방시트부(1100)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1시트부재(1210)와 제2시트부재(1220)의 좌우 간격이 가변되어 전체적으로 안장이 차지하는 면적과 간격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제1시트부재(1210)와 제2시트부재(1220)는 상호 좌우로 선형적 이동하는 것을 기본적인 이동의 형태로 하나, 좌우로 이격 및 인접되는 과정에서 상하 위치 및/또는 전후 위치 및/또는 인체를 바라보는 각도도 가변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가이드프레임(2200)의 형상에 의하여 좌우될 수 있는바 이와 관련하여서 추가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방시트부(1100)의 이동도 전후방의 선형적인 이동을 기본으로 하나 상하방향의 이동이나 각도의 변경도 허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front seat part 1100 basically moves forward and backward, and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front seat part 1100, the left and right intervals between the first seat member 1210 and the second seat member 1220 are varied, so that the overall saddle is comfortable. Its occupied area and spacing can be changed. The first sheet member 1210 and the second sheet member 1220 are linearly moved left and right to each other as a basic form of movement, but in the process of being spaced apart and adjacent to each other, the vertical position and / or the front and rear position and / or the human body The viewing angle may also be variable. This may be influenced by the shape of the guide frame 2200. In this regard, additional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although the movement of the front seat part 1100 is also based on linear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change in angle may be allowed.

상기 전방시트부(1100)의 전후 이동을 지지하기 위하여 변형레일부(2100)가 구성되며, 이러한 변형레일부(2100)는 전체적으로 안장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전방시트부(1100)는 하측에 결합되는 조절브라켓부(3000)에서 변형레일부(2100)에 결합되되, 조절브라켓부(3000)와 변형레일부(2100)는 상호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변형레일부(2100)는 조절브라켓부(3000)의 전후 이송에 대한 가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기초적인 이송 가이드 및 하중의 지지는 프레임에 연결되는 부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A deformable rail portion 2100 is formed to support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ront seat portion 1100, and the deformable rail portion 2100 is dispos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saddle as a whole. The front seat part 1100 is coupled to the deformable rail part 2100 in the adjustment bracket part 3000 coupled to the lower side, and the adjustment bracket part 3000 and the deformable rail part 2100 are coupled so that relative movement is possible. do. Accordingly, the deformable rail unit 2100 can perform a guide function for forward and backward transfer of the adjustment bracket unit 3000,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ic transfer guide and support for the load be made in the area connected to the fram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o.

본 발명에서는 상기 후방시트부(1200)의 이동 및 변형을 전방시트부(1100)의 이동과 연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변형레일부(2100)의 폭이 좌우로 변경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한다. 후방시트부(1200)를 구성하는 제1시트부재(1210)와 제2시트부재(1220)는 변형레일부(2100)의 후단측에서 이러한 변형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idth of the deformable rail part 2100 can be changed left and right in order to link the movement and deformation of the rear seat part 1200 with the movement of the front seat part 1100. The first sheet member 1210 and the second sheet member 1220 constituting the rear seat portion 1200 may be moved together at the rear end of the deformable rail portion 2100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상기 개념에 따라 상기 전방시트부(1100)는 변형레일부(2100)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시트부재(1210)와 제2시트부재(1220)는 최소한 변형레일부(2100)의 좌우 변형(또는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될 것이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cept, the front seat part 1100 is coupled to the deformable rail part 2100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nd the first seat member 1210 and the second seat member 1220 are at least of the deformable rail part 2100. They will be coupled so that they can move together according to left and right transformation (or movement).

상기 조절브라켓부(3000)는 변형레일부(21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전방시트부(110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 하는 동시에, 상측으로 전방시트부(1100)의 하중을 지지하며, 변형레일부(2100)와의 접촉 부위의 가변에 따라 폭을 조절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이러한 조절브라켓부(300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adjusting bracket part 3000 moves along the deformable rail part 2100 and guide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ront seat part 1100, and at the same time supports the load of the front seat part 1100 upward, and the deformable rail part ( 2100), it also performs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width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contact area.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djustment bracket unit 300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변형레일부(2100)는 후측에서 좌우로 폭의 변형에 따라 양 단부측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프레임(22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시된 사항을 살펴보면, 가이드프레임(2200)은 대략 안장의 후측에서 좌우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고 변형레일부(2100)의 후단측에 형성되는 폭조절추종부(2130)가 가이드프레임(2200)을 대략 감싸는 형태로 연결된다. 상기 조절브라켓부(3000)의 이동에 의하여 폭이 가변되면 이에 대응하여 상호 이격 및 인접되도록 이동되는 것이다. The deformable rail part 2100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frame 2200 so that both end sides can mov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width change from the rear side to the left and right.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guide frame 2200 is disposed acros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rear side of the saddle, and the width adjustment follower 2130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deformable rail unit 2100 is the guide frame 2200. It is connected in a form that roughly wraps the . When the width is changed by the movement of the adjusting bracket part 3000, it is moved to be spaced apart and adjacent to each other in response to this.

본 발명에서는 전방시트부(1100)의 전후이동의 운동방향을 제1방향(α)으로, 후방시트부(1200)의 좌우이동의 운동방향을 제2방향(β1,β2)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 이동은 반드시 직선이동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ront seat portion 1100 is defined as the first direction (α), and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rear seat portion 1200 is defined as the second directions (β1, β2).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ovement does not necessarily mean only linear movement.

상기 폭조절추종부(2130)는 상측으로 각각 제1시트부재(1210)와 제2시트부재(1220)를 결합하여 변형레일부(2100)의 변형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프레임(2200)의 말단에는 스토퍼부(2210)가 더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시트부재(1210)와 제2시트부재(1220)의 하중의 지지를 위하여 변형레일부(2100)에의 지지구조 또는 지지프레임(도 3의 4000)에의 지지구조들이 추가적으로 채택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대해서는 공지의 다양한 지지를 위한 구성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width adjustment tracking unit 2130 may be moved upwardly according to deformation of the deformable rail unit 2100 by combining the first sheet member 1210 and the second sheet member 1220, respectively. A stopper part 2210 may be further disposed at an end of the guide frame 2200. In order to support the load of the first sheet member 1210 and the second sheet member 1220, support structures for the deformable rail unit 2100 or support structures for the support frame (4000 in FIG. 3) may be additionally adopted. Since various well-known configurations for support may be applied to thi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가이드프레임(2200)은 주로 후방시트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지지프레임이 추가로 결합되는데 이와 관련된 실시예는 아래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The guide frame 2200 can mainly perform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load of the rear seat portion, and a support frame is additionally coupled thereto. Examples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bicycle saddle having an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사항에서는 하측에서 바라보고 있으며 전방시트부(1100)의 하측에는 변형레일부(2100)가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전방시트부(1100)의 후측 양방으로 제1시트부재(1210)와 제2시트부재(1220)가 배치된다. In the illustrated details, it is viewed from the lower side, and the deformable rail unit 210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eat unit 1100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first seat member 1210 is disposed on both rear sides of the front seat unit 1100. And the second sheet member 1220 is disposed.

상기 전방시트부(1100)에 결합되는 조절브라켓부(3000)는 변형레일부(210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이에 따라 변형레일부(2100)의 폭이 가변되면 폭조절추종부(2130)는 가이드프레임(2200)을 따라 폭방향으로 이동되고 변형레일부(2100)측에 연결된 제1시트부재(1210)와 제2시트부재(1220)의 간격이 조절됨은 상기한 바와 같다. The adjusting bracket part 3000 coupled to the front seat part 1100 is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deformable rail part 2100, and accordingly, when the width of the deformable rail part 2100 is changed, the width adjusting following part 2130 )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guide frame 220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heet member 1210 and the second sheet member 1220 connected to the deformable rail unit 2100 is adjusted as described above.

상기 변형레일부(2100)는 대략 전방측에서는 폭이 좁고 후방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개념을 따른다면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deformable rail unit 2100 has a shape that is narrower at the front side and wider toward the rear side,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if this concept is followed.

도 2를 참고하면 전단측은 양측의 가지부위가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2101)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연결부(2101)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방향 내지는 좁아지는 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이 작동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변형레일부(2100)는 최소한 폭방향으로는 탄성변형이 가능하고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Referring to FIG. 2 , the front end side forms a connection portion 2101 in which branch portions on both sid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lastic restoring force in a widening direction or a narrowing direction is operated around the connection portion 2101.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deformable rail part 2100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at least in the width direction and having restoring force.

일실시예로서, 상기 변형레일부(2100)는 비교적 좌우 이격 간격이 좁은 전방조절부(2110)와, 비교적 좌우 이격 간격이 넓은 후방조절부(2120)로 영역을 구분해볼 수 있다. 도 3의 (a)는 조절브라켓부(3000)가 후방조절부(2120)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조절브라켓부(3000)의 전후 이동에 따라 비교적 작은 거리(각도)의 변형이 일어나고 있다. 또한, 도 3의 (b)는 조절브라켓부(3000)가 전방조절부(2110)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조절브라켓부(3000)의 전후 이동에 따라 비교적 큰 거리(각도)의 변형이 일어남에 유의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방조절부(2110)와 후방조절부(2120)의 사이에는 급격한 각도나 거리의 변경이 일어나는 연결부위가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As an example, the deformable rail unit 2100 can be divided into a front control unit 2110 with a relatively narrow left-right spacing and a rear control unit 2120 with a relatively wide left-right spacing. 3(a) shows that the adjusting bracket part 3000 is disposed in the area of the rear adjusting part 2120, and as the adjusting bracket part 3000 moves back and forth, deformation of a relatively small distance (angle) occurs. there is. In addition, (b) of FIG. 3 shows that the adjusting bracket part 3000 is disposed in the area of the front adjusting part 2110, and a relatively large distance (angle) is obtaine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adjusting bracket part 3000. Note that transformation occurs. To this end, a connection portion where a sudden change in angle or distance occur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control unit 2110 and the rear control unit 2120.

또한, 상기 조절브라켓부(3000)의 전후 이동에 따른 위치의 어느 정도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변형레일부(2100)의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지점들에는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들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좌우 한 쌍을 이루어 전방측과 후방측에 전방돌기(2111)와 후방돌기(212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절브라켓부(3000)에는 이에 대응되는 홈 내지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들은 내주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지고 삽입되거나 변형될 수 있는 구조 내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or more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disposed at one or more selected points of the deformable rail part 2100 in order to provide some degree of fixing force to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adjustment bracket part 3000. Do.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protrusions 2111 and rear protrusions 2121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corresponding grooves or holes may be formed in the adjustment bracket part 3000. The protrusions may be made of a structure or material capable of being inserted or deformed with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가이드프레임(2200)는 후방시트부(1200)의 하측에 배치되어 폭조절추종부(2130)가 이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로서 기능할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 도시된 예에서 가이드프레임(2200)은 대략 하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제1시트부재(1210)와 제2시트부재(1220)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움직일수록 폭방향 중심측을 바라보는 경사도가 더 커질 것이다. 이렇게 가이드프레임(2200)의 형상에 따라 후방시트부(1200)의 위치 이동에 따른 각도도 가변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frame 2200 is disposed below the rear seat portion 1200 so that the width adjustment following portion 2130 can function as a guide sliding left and right along the guide frame 2200 .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guide frame 2200 is shown in a substantially convex shape downward. In this case, as the first sheet member 1210 and the second sheet member 1220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y are spaced apart, they look toward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the slope will be greater. Note that the angle according to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rear seat portion 1200 may also be vari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frame 2200.

상기 가이드프레임(2200)의 말단에는 스토퍼부(221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토퍼부(2210)의 배치에 따라 폭조절추종부(2130)의 좌우 이동 한계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부는 제1시트부재(1210)와 제2시트부재(1220)가 충격이나 과도한 변형에 따라 정해진 경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안전성이 향상될 것이다. A stopper part 2210 may be coupled to an end of the guide frame 2200, and a horizontal movement limit of the width adjusting follower 2130 may be se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stopper part 2210. This stopper performs a function to prevent the first sheet member 1210 and the second sheet member 12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edetermined path due to impact or excessive deformation, and thus safety will be improved.

한편, 상기 가이드프레임(2200)은 전체적인 구조물, 특히 후방시트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전방으로 지지프레임(4000)이 연결된다. 상기 조절브라켓부(3000)는 기본적으로 변형레일부(2100)를 따라 이동되나, 하중의 견고한 지지를 위하여서는 지지프레임(4000)을 따라 이송이 주로 가이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전방시트부(1100)에 대한 이송의 가이드 및 하중의 지지는 지지프레임(4000)에서 수행하고 이송에 따른 폭의 가변에 대해서는 변형레일부(2100)에서 수행하도록 그 기능을 구별함으로써 작동의 신뢰성과 내구성 및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guide frame 2200 can perform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entire structure, particularly the rear seat portion, to which the support frame 4000 is connected to the front. The adjustment bracket unit 3000 is basically moved along the deformable rail unit 2100, but in order to firmly support the load,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fer is mainly guided along the support frame 4000. That is, the support of the transport guide and the load for the front seat portion 1100 is performed by the support frame 4000, and the deformation rail portion 2100 performs the change in width according to the transport, thereby distinguishing the functions of the operation. Reliability, durability and safety can be guaranteed.

이를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브라켓부(3000)의 상측은 변형레일부(2100)와 연결되는 조정부(3100)이고 하측은 지지프레임(4000)과 연결되는 이송부(3200)로 구분해볼 수 있으며, 상호 결합되거나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된 실시예는 후술한다. To this end, preferably, the upper side of the adjustment bracket unit 3000 is an adjustment unit 3100 connected to the deformable rail unit 2100 and the lower side is a transfer unit 3200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4000. They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or composed of one member to perform different functions. Examples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와 같이 변형과 하중지지의 구조 분리에 따라, 지지프레임(4000)은 전체적으로 상측에 전방시트부(1100)의 하중을 지지하고 있으며, 하측으로는 자전거의 메인프레임(도 1의 1 참조)에 연결될 수 있는 장착부(4100)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100)는 예를 들어, 메인프레임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되는 지주를 고정할 수 있는 체결브라켓 등의 공지된 구조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ructural separation of deformation and load support, the support frame 4000 supports the load of the front seat portion 1100 on the upper side as a whole, and the main frame of the bicycle (see 1 in FIG. 1) on the lower side. It can be fastened with the mountable part 4100 that can be connected. The mounting portion 4100 may have a known structure and shape, such as a fastening bracket capable of fixing a post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formed in a main frame.

이러한 지지프레임(4000)은 후단측에서 가이드프레임(2200)과 결합될 수 있는데, 폭조절추종부(2130)와 달리 좌우방향으로 상호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프레임(4000)의 후단인 부착부(4030)는 변형레일부(2100)의 변형 작동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폭조절추종부(2130)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배치상태는 치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부착부(4030)는 위치를 조정하여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수단(참조번호 미표시)이 부가될 수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부착부(4030)는 웰딩 방식으로 가이드프레임(2200)과 결합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e support frame 4000 may be combined with the guide frame 2200 at the rear end side, and unlike the width control follower 2130, it would be preferable to fasten so that mutual flow does not occu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attachment part 4030, which is the rear end of the support frame 4000, is disposed inside the width adjustment following part 2130 so as not to obstruct the deformation operation of the deformable rail part 2100. In some cases, Of course, the arrangement may be substituted. Additionally, a fastening means (reference numeral not shown) may be added to the attachment part 4030 so as to be fastened by adjusting the position. In some cases,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attachment part 4030 is coupled to the guide frame 2200 by welding.

상기와 같이 지지프레임(4000)은 변형레일부(21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전후 이동을 함께 가이드 하는 동시에 하중을 지지하고 메인프레임과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프레임(4000)의 형상은 구조적인 프레임으로서의 기능과 가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영역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방측에서 조절브라켓부(300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동부(4010)와, 상기 가동부(4010)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장착부(4100)가 체결되는 절곡부(4020)와, 절곡부(4020)의 후단측에 가이드프레임(2200)에 결합되는 부착부(4030)로 구성된다. 상기 가동부(4010)는 변형레일부(2100)과는 달리 전후 이송만을 정확하게 지지하는 기능에 충실하도록 양측에서 평행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frame 400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deformable rail unit 2100 to guid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together, support a load, and combine with the main frame.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support frame 4000 is separated from a predetermined area so that it can perform a function as a structural frame and a guide function. A movable part 4010 for guiding movement, a bent part 4020 bent downward at the rear end of the movable part 4010 to which the mounting part 4100 is fastened, and a guide frame 2200 at the rear end of the bent part 4020 It consists of an attachment part 4030 coupled to. Unlike the deformable rail unit 2100, the movable part 4010 may preferably be formed in a parallel form on both sides so as to be faithful to the function of accurately supporting only forward and backward transfer.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a)는 가동부(4010)의 후측에 조절브라켓부(3000)가 배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된 절곡부(4020)의 배치 및 형상에 따라 절곡부(4020)의 전단은 조절브라켓부(3000)가 후방 이동될 수 있는 한계위치를 규정하는 일종의 스토퍼로서도 기능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이 경우 전방시트부(1100)와 후방시트부(1200)는 가장 인접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제1시트부재(1210)와 제2시트부재(1220)도 인접된 상태이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of FIG. 3 shows that the adjustment bracket part 300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movable part 4010. Note tha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d shape of the bent part 4020 described above, the front end of the bent part 4020 may also function as a kind of stopper that defines a limit position at which the adjustment bracket part 3000 can move backward. In this case, the front seat portion 1100 and the rear seat portion 1200 are most adjacent, and similarly, the first sheet member 1210 and the second sheet member 1220 are also adjacent.

도 3의 (b)는 전방시트부(110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변형레일부(2100)의 전방조절부(2110) 및 가동부(4010)의 전방측에 조절브라켓부(3000)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변형레일부(2100)는 좌우로 벌어진 형태로 변형되고 후단측의 폭조절추종부(2130)는 가장 이격된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변형레일부(2100)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1시트부재(1210)와 제2시트부재(1220)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다. (b) of FIG. 3 shows that the front seat part 1100 is moved forward and the adjustment bracket part 300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adjusting part 2110 and the movable part 4010 of the deformable rail part 2100. indicates Accordingly, the deformable rail unit 2100 is deformed in a wide-open form, and the width control follower 2130 at the rear end is disposed in the most spaced form. Accordingly, the first sheet member 1210 and the second sheet member 1220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deformable rail unit 21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도 4는 상기된 본 발명의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을 상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icycle saddle having an adjus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from above.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도 4의 (a)는 전방시트부(1100)와 후방시트부(1200)가 가장 인접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가이드프레임(2200)에서 양측의 폭조절추종부(2130)는 서로 가장 인접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측에 연결되는 제1시트부재(1210)와 제2시트부재(1220)도 서로 인접 내지는 밀착되어 배치된다. 이는 일상적인 주행이나 시야의 확보가 필요한 혼잡지의 주행 또는 서행의 상황에서의 적용에 적합하다. 상기 전방시트부(1100)와 후방시트부(1200)의 상측의 형상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반드시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후이격공간(1310)은 최소가 되며, 설계에 따라서는 전방시트부(1100), 제1시트부재(1210) 및 제2시트부재(1220)를 상호 밀착시키도록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Referring to FIG. 3, (a) of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front seat portion 1100 and the rear seat portion 1200 are most adjacent. Accordingly, in the guide frame 2200, the width adjusting tracking units 2130 on both sides are disposed most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first sheet member 1210 and the second sheet member 1220 connected to the upper side are also disposed adjacent to or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do. This is suitable for daily driving or driving in congested areas or slow-moving situations where visibility is required. Note that the shape of the upper side of the front seat portion 1100 and the rear seat portion 1200 will be able to apply various known shapes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In this state, the front and back space 1310 is minimized, and depending on the design, the front seat 1100, the first seat member 1210, and the second seat member 1220 may be set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도 4의 (b)는 조절브라켓부(30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후방측의 폭조절추종부(2130)를 이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조절브라켓부(30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전방시트부(1100)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제1시트부재(1210) 및 제2시트부재(1220)는 좌우로 벌어진다. 이러한 작동에 의하여 전후이격공간(1310)과 좌우이격공간(1320)은 최대인 상태가 된다. (b) of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width adjusting following part 2130 on the rear side is spaced apart while the adjusting bracket part 3000 moves forward, and thus the front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adjusting bracket part 3000. The seat portion 1100 is moved forward, and the first sheet member 1210 and the second sheet member 1220 are spread left and right. By this operation, the front and rear separation space 1310 and the left and right separation space 1320 are in a maximum state.

예를 들어, 시야확보가 필요하거나 미세한 조종성을 향상하고자 하는 경우는 허리를 편 상태로 착좌하고 도 4의 (a)와 같은 수축상태에서 주행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여기서 고속주행시 허리를 숙이게 되면 회음부와의 마찰부위에 대한 변화가 있고 엉덩이 및 허벅지의 접촉 면적도 다소 넓어지는 경향이 있기에 도 4의 (b)와 같이 전후 및 좌우로 간격을 넓히고 그 사이에 여유 공간을 형성해주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For example, when it is necessary to secure a field of vision or to improve fine maneuverability, it would be appropriate to sit in a seated state with the waist stretched and drive in a contracted state as shown in FIG. 4(a). Here, when the waist is bent during high-speed driving, there is a change in the friction part with the perineum and the contact area of the buttocks and thighs tends to widen somewhat, so the gap is widened in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It would be appropriate to form

추가적으로, 상기 전방시트부(1100)의 후측에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회음를 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선택된 형상의 홈 또는 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시트부재(1210) 및 제2시트부재(1220)의 전방측 마주보는 부위에도 회음부를 위한 공간을 고려하여 외측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홈 또는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후이격공간(1310)과 좌우이격공간(1320)이 최소화된 상태라도 회음부공간을 마련하여 어떠한 주행상황에서도 쾌적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Additionally, a space for perineum may be provided by extending forward from the rear side of the front seat portion 1100, which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or hole of a selected shap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grooves or holes concave outwardly are formed in the front facing portions of the first sheet member 1210 and the second sheet member 1220 in consideration of the space for the perineum. Even when the front and back space 1310 and the left and right space 1320 are minimized, the perineum space is provided to ensure comfort in any driving situ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변형레일부와 가이드프레임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deformable rail unit and a guide fram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변형레일부(2100)는 기본적으로 전방측의 연결부(2101)에서 시작하여 후방으로 갈수록 양 가지부위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조절브라켓부(3000)는 이러한 가지부위의 양측에서 탄성복원력에 저항하여 이러한 간격을 변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변형레일부(2100)의 간격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우는 조절브라켓부(3000)의 전후 이동에 따라 폭, 더욱 정확하게는 폭조절추종부(2130)의 간격이 일정하게 변화될 것이다. The deformable rail part 2100 is basically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branches gradually widens as it goes to the rear side starting from the connection part 2101 on the front side. The adjusting bracket unit 3000 can change this distance by resisting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n both sides of the branch.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deformable rail units 2100 increases linearly, the width, more precisely, the interval between the width adjustment tracking units 2130 will be constantly change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adjustment bracket unit 3000.

상기 전후 이동에 따른 폭의 변화는 변형레일부(2100)의 형태에 의존할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보도록 한다. The change in width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may depend on the shape of the deformable rail unit 2100, and this embodiment will look at this in more detail.

상기 변형레일부(2100)는 전방측의 전방조절부(2110)와 상기 전방조절부(2110)에 상대적으로 후방측의 후방조절부(2120)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조절부(2110)와 후방조절부(2120)를 연결하는 변곡부(2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방조절부(2110)는 연결부(2101)에서 개시되어 양측 및 후방측으로 뻗어나가는 부위이며 후방조절부(21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변곡부(2112)는 상기 전방조절부(2110)와 후방조절부(2120)의 폭의 변화를 급격하게 만드는 요소가 되는데, 다만 조절브라켓부(3000)의 이동 가이드를 위하여 상기 곡률은 조정될 수 있다. The deformable rail part 2100 can be divided into a front adjusting part 2110 on the front side and a rear adjusting part 2120 on the rear side relative to the front adjusting part 2110, and the front adjusting part 2110 And it may be made of a curved portion 2112 connecting the rear adjusting portion (2120). The front control unit 2110 is a portion that starts from the connection unit 2101 and extends to both sides and the rear side, and may have a relatively narrower width than the rear control unit 2120. The inflection part 2112 is an element that rapidly changes the width of the front adjusting part 2110 and the rear adjusting part 2120, but the curvature can be adjusted for the movement guide of the adjusting bracket part 3000. .

전방조절부(2110) 및/또는 후방조절부(2120)의 외측으로는 조절브라켓부(3000)의 위치결정 및 고정을 위하여 전방돌기(2111) 및 후방돌기(2121)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돌기들의 개수 및 배치는 선택적이다. A front protrusion 2111 and a rear protrusion 2121 may be formed outside the front adjusting unit 2110 and/or the rear adjusting unit 2120 to position and fix the adjusting bracket unit 3000 . However,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protrusions are optional.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프레임(2200)은 상방에서 바라볼 때 직선 형태로 표현되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경우를 고려해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좌우 이동에 따라 전후 위치가 가변될 수 있고, 이렇게 후방시트부(1200)의 배치 형태는 가이드프레임(2200)의 형상에 의존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추가적인 실시예는 후술한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guide frame 2200 is expressed in a straight line form when viewed from above. As another embodiment, a case of being concave forward may be considered. In this case,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may be varied according to left and right movement, and the arrangement of the rear seat portion 1200 may depend on the shape of the guide frame 2200. In this regard, additional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을 후방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icycle saddle having an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the rear side.

상기한 바와 같이 후방시트부(1200)의 좌우방향의 위치는 기본적으로 조절브라켓부(3000)에 의한 변형레일부(2100)의 형태에 의존한다. 즉, 제1시트부재(1210)와 제2시트부재(1220)가 폭조절추종부(2130)에 결합되어 함께 좌우로 이동되기 때문인데 상하 및 전후의 이동과 각도는 가이드프레임(2200)의 형상에 의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eft-right position of the rear seat part 1200 basically depends on the shape of the deformable rail part 2100 by the adjusting bracket part 3000. That is, because the first sheet member 1210 and the second sheet member 1220 are coupled to the width adjusting follower 2130 and move left and right together, the vertical and forward movement and angle are the shape of the guide frame 2200. can depend 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는 후방시트부(1200)의 좌우 이격 간격에 따른 위치와 형태를 더 다양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In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to further diversify the position and shape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spacing of the rear seat portion 1200 is proposed.

도 3의 예에서는 가이드프레임(2200)이 하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제1시트부재(1210)와 제2시트부재(122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시 가상의 원호 중심을 바라보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일정하게 형성할 것이다. In the example of FIG. 3, since the guide frame 2200 is convex downward, the first sheet member 1210 and the second sheet member 1220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so as to look at the center of a virtual arc when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ll form regularly.

상기한 바와 같이 폭조절추종부(2130)의 상측에는 직접 또는 연결부재가 개재된 상태에서 제1시트부재(1210)와 제2시트부재(1220)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프레임(2200)의 폭조절추종부(2130)의 사이에는 부착부(4030)가 지지프레임(4000)과 가이드프레임(2200)을 결합함은 상기와 같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heet member 1210 and the second sheet member 1220 ar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width adjusting follower 2130 directly or with a connecting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attachment part 4030 between the width adjusting following part 2130 of the guide frame 2200 couples the support frame 4000 and the guide frame 2200 as described above.

도시된 예에서 가이드프레임(2200)은 폭방향 중심에서 인접된 중심구간(2220)에서는 대략 수평한 직선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폭조절추종부(2130)가 중심구간(2220)을 이동하게 되면 좌우이격공간(1320)의 폭만 변화할 것이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guide frame 2200 has a substantially horizontal straight line shape in the center section 2220 adjacent to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width adjusting follower 2130 moves the central section 2220, only the width of the left and right spaced spaces 1320 will change.

상기 중심구간(2220)의 양측에서는 서서히 융기하도록 경사지는 가변구간(2230)이 형성되며 이렇게 제2방향(β)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시트부재(1210)와 제2시트부재(1220)는 이격되면서, 대칭적으로, 중심을 바라보는 각도를 가지고 소정 높이로 융기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속도가 높아지면서 엎드리는 자세가 되면 엉덩이와 허벅지를 받치는 폭이 넓어지고 중심의 공간인 좌우이격공간(1320)을 띄우면서 후방시트부(1200)는 다소 측방으로 이동하면서 측면을 보다 잘 잡아줄 수 있도록 중심을 바라보는 경사를 가짐과 동시에 엎드리는 자세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후방측 높이를 높이는 것이다.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section 2220, a variable section 2230 is formed that slopes gradually to rise, and as it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β, the first sheet member 1210 and the second sheet member 12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it does, it rises symmetrically to a predetermined height with an angle facing the cent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speed increases and the posture is lowered, the width of supporting the hips and thighs widens, and the left and right spaced space 1320, which is the central space, is opened while the rear seat portion 1200 moves slightly to the side while looking at the side It has an inclination toward the center so that it can be held well, and at the same time, the height of the rear side is increased so that the posture of lying down is made more smoothly.

상기 가변구간(2230)의 단부측은 말단부(2240)로 정의하며 스토퍼부(2210)가 배치되어 제1시트부재(1210)와 제2시트부재(1220)의 이격 간격으로 한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가변구간(2230)은 말단부(2240)측에서는 경사가 완만하여졌다. The end side of the variable section 2230 is defined as an end portion 2240, and a stopper portion 2210 is disposed to determine a limit at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sheet member 1210 and the second sheet member 1220.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variable section 2230 has a gentle slope at the distal end 2240 side.

이러한 전방시트부(1100)와 연동되어 움직이는 후방시트부(1200)의 배열과 위치는 가이드프레임(2200)의 형상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격에 따라 하강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고,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된다면 다양한 형태가 적용 가능하다. The arrangement and position of the rear seat part 1200 moving in conjunction with the front seat part 1100 may be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guide frame 2200, and in some cases, it may be considered that it is lowered according to the separation, Various forms can be applied if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절브라켓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djus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조절브라켓부(3000)는 상측으로는 전방시트부(110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하측으로는 지지프레임(4000)에 지지되고 전후방향의 이송이 가이드되되, 변형레일부(2100)에서 전후 이송되면서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adjusting bracket part 3000 performs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front seat part 1100 upwardly,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4000 downwardly and guiding forward-backward transfer, the deformable rail part ( 2100) simultaneously performs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distance while being transferred forward and backward.

본 발명의 사상을 따른다면 상기 조절브라켓부(3000)는 다양한 구성과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I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lowed, the adjustment bracket unit 3000 may be applied in various configurations and shapes.

일실시예로서, 상기 조절브라켓부(3000)는 전방시트부(1100)의 하측에 체결되는 상판(3310)과, 변형레일부(2100)에 결합되어 전후 이송되면서 폭조절을 수행하는 조정부(3100)와, 지지프레임(4000)에서 지지되어 전후 이송이 가이드되는 이송부(3200)로 그 위치와 기능이 구별될 수 있다. 상기 상판(3310), 조정부(3100) 및 이송부(3200)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각각이 서로 다른 부재로 구성되어 상호 체결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As an embodiment, the adjustment bracket unit 3000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3310 fasten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eat unit 1100 and the deformable rail unit 2100 to adjust the width while being transported back and forth (3100). ) and the transfer part 3200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4000 and guided for forward and backward transfer,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which can be distinguished. The top plate 3310, the adjustment unit 3100, and the transfer unit 320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module as a whole, but in some cases,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y are composed of different members and fastened to each other.

상기 상판(3310)은 전방시트부(1100)의 하측에서 예를 들어, 볼팅 등과 같은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3311)을 가지는 판상 내지는 브라켓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per plate 33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or bracket having a fastening hole 3311 that can be fasten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eat part 1100 by, for example, bolting.

이러한 상판(3310)의 하측으로는 조정블록(3110)이 연장되거나 체결되어 양측으로 변형레일부(2100)의 와이어프레임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레일홈(311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adjustment block 3110 is extended or fastened to the lower side of the top plate 3310 to form rail grooves 3111 into which a part of the wire frame of the deformable rail unit 2100 can be inserted.

상기 조정블록(3110)의 하측으로는 지지프레임(40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이송홀(3211)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조정블록(3110)의 하측으로는 커버블록(3210)이 덮는 형태로 체결되어 상기 홈에 대응되는 홈을 가지고 이송홀(3211)을 완전하게 구성할 수 있다. A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support frame 4000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adjustment block 3110 to form a part of the transfer hole 3211, and on the lower side of the adjustment block 3110 The cover block 3210 is fastened in a covering form to completely configure the transfer hole 3211 with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이러한 형태에 의하여 상하 및 좌우로 지지프레임(4000)을 완전히 감싸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안정적인 이송 및 하중의 지지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조정블록(3110)과 커버블록(3210)은 상하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상하방향의 견고한 체결이 가능할 수 있다. With this shape, it will be possible to stably transfer and support loa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completely covering the support frame 4000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e adjustment block 3110 and the cover block 3210 may be firmly fast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penetrating vertically.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레일홈(3111)이 하중의 지지보다는 변형레일부(2100)의 조정기능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변형레일부(2100)의 내측이 레일홈(3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커버블록(3210)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레일홈커버부(3220)가 상기 레일홈(3111)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어 측면에서 변형레일부(2100)를 감싸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상기 커버블록(3210)과 레일홈커버부(3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홈커버부(3220)에는 상기 전방돌기(2111) 및 후방돌기(2121)에 대응되는 홈 또는 홀 형태의 돌기삽입부(3221)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ail groove 3111 focus on the adjustment function of the deformable rail part 2100 rather than supporting the load. In the state, the rail groove cover part 3220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cover block 3210 covers part or all of the rail groove 3111 and covers the deformable rail part 2100 from the side. . The cover block 3210 and the rail groove cover part 3220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rail groove cover part 3220 may include protrusion insertion parts 3221 in the form of grooves or holes corresponding to the front protrusion 2111 and the rear protrusion 2121 .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에 의하여, 주행 환경과 주법에 따라 엉덩이와 밀착되는 부위, 형태 및 면적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시간 주행해도 통증이 최소화되고 운동의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Advantages of minimizing pain and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exercise even when riding for a long time because the above-described bicycle saddle having an adjus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adjust the shape and area of the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hip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and the driving method. there is

또한, 안장에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회음부와의 마찰에 의한 불편함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통풍이 가능하기 때문에 쾌적한 라이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 the saddle, discomfort due to friction with the perineum is reduced, and ventilation is possible, so comfortable riding is possible.

또한, 하나의 안장으로 고속주행과 저속주행 환경의 최적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라이더들의 니즈를 만족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상품성의 향상을 의미한다.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high-speed and low-speed driving environment with one saddle, it will be able to satisfy the needs of various riders, which means improved marketability.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examples and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1100...전방시트부 1200...후방시트부
1210...제1시트부재 1220...제2시트부재
1310...전후이격공간 1320...좌우이격공간
2100...변형레일부 2101...연결부
2110...전방조절부 2111...전방돌기
2112...변곡부 2120...후방조절부
2121...후방돌기 2130...폭조절추종부
2200...가이드프레임 2210...스토퍼부
2220...중심구간 2230...가변구간
2240...말단부 3000...조절브라켓부
3100...조정부 3110...조정블록
3111...레일홈 3200...이송부
3210...커버블록 3211...이송홀
3220...레일홈커버부 3221...돌기삽입부
3300...체결부 3310...상판
3311...체결공 4000...지지프레임
4010...가동부 4020...절곡부
4030...부착부 4100...장착부
1100... front seat 1200... rear seat
1210 ... first sheet member 1220 ... second sheet member
1310... front and back space 1320... left and right space
2100 ... deformable rail part 2101 ... connection part
2110... front control part 2111... front projection
2112 ... inflection part 2120 ... rear control part
2121 ... rear protrusion 2130 ... width adjustment following part
2200 ... guide frame 2210 ... stopper part
2220...center section 2230...variable section
2240...end part 3000...adjustment bracket part
3100 ... adjustment unit 3110 ... adjustment block
3111... rail home 3200... transport
3210 ... cover block 3211 ... transfer hole
3220... Rail groove cover part 3221... Protrusion insertion part
3300 ... fastening part 3310 ... upper plate
3311 ... fastening hole 4000 ... support frame
4010 ... moving part 4020 ... bending part
4030...attachment 4100...attachment

Claims (8)

자전거의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안장으로서,
전방측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전방시트부(1100);
상기 전방시트부에 대해 후방측에 배치되되 좌우측으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후방시트부(1200); 및
상기 전방시트부의 전후이동에 따라 폭이 가변되면서 후방시트부 사이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는 변형레일부(2100);를 포함하되,
상기 변형레일부는,
좌우측 후방시트부에 연결되는 양측의 가지부위와, 상기 가지부위들의 전방측을 연결하되 양측의 가지부위의 벌어지는 방향 또는 좁아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작동시키는 연결부(2101)로 이루어지는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
As a saddle mounted on the main frame of a bicycle,
A front seat portion 1100 dispos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from the front side;
A rear seat portion 1200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seat portion and separat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nd
A deformable rail part 2100 for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rear seat parts while the width is varie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ront seat part; including,
The deformable rail part,
A bicycle having an adjustment function consisting of branch parts on both side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rear seat parts, and a connecting part 2101 that connects the front side of the branch parts and operates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widening or narrowing of the branch parts on both sides. sad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시트부는,
변형레일부의 후단 일측에 결합되는 제1시트부재(1210)와, 변형레일부의 후단 타측에 결합되는 제2시트부재(1220)로 이루어지는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seat portion,
A bicycle saddle having an adjusting function comprising a first seat member 1210 coupled to one rear end of the deformable rail unit and a second seat member 1220 coupled to the other rear end side of the deformable rail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부재 및 제2시트부재는,
전방시트부의 전방 이동에 따라 좌우 이격 간격이 넓어지는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sheet member and the second sheet member,
A bicycle saddle with an adjustment function that widens the left-right separation distance according to the forward movement of the front se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시트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변형레일부에서 전후 이동에 따라 후단측의 폭을 변화시키는 조절브라켓부(3000);를 더 포함하는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
According to claim 2,
A bicycle saddle having an adjustment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n adjustment bracket part (3000)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eat part and changing the width of the rear end side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deformable rail pa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레일부의 후단측에 형성되는 폭조절추종부(2130)의 좌우방향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2200);을 더 포함하는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
According to claim 4,
A bicycle saddle with an adjusting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guide frame 2200 for guiding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idth adjusting following part 2130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deformable rail pa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부재 및 제2시트부재는,
변형레일부 양단측의 폭조절추종부에 각각 결합되어 함께 이격 간격이 변경되되, 가이드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상하 위치 또는 전후 위치 또는 지면에 대한 각도가 가변될 수 있는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sheet member and the second sheet member,
A bicycle saddle having an adjustment function that is coupled to the width adjusting tracking part at both ends of the deformable rail par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changed together, and the vertical position or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r the angle to the ground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fram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브라켓부의 전후 이송을 가이드하되 자전거의 메인프레임과 결합되는 장착부(4100)를 구비하는 지지프레임(40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후단측이 가이드프레임에 결합되는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
According to claim 4,
A support frame 4000 having a mounting portion 4100 coupled to the main frame of the bicycle to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adjusting bracket unit; further comprising,
The support frame,
A bicycle saddle with an adjustable function in which the rear end is coupled to the guide fram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레일부는,
외주로 돌출되고 조절브라켓부에 형성되는 돌기삽입부(3221)에 삽입되어 전방시트부의 전후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는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
According to claim 5,
The deformable rail part,
A bicycle saddle with an adjusting function including one or more protrusions that protrude outward and are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nsertion portion 3221 formed in the adjusting bracket portion to fix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front seat portion.
KR1020210027800A 2021-03-03 2021-03-03 Bicycle saddle having function of seat position adjustment KR1024919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800A KR102491901B1 (en) 2021-03-03 2021-03-03 Bicycle saddle having function of seat position adjus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800A KR102491901B1 (en) 2021-03-03 2021-03-03 Bicycle saddle having function of seat position adjust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334A KR20220124334A (en) 2022-09-14
KR102491901B1 true KR102491901B1 (en) 2023-01-26

Family

ID=8327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800A KR102491901B1 (en) 2021-03-03 2021-03-03 Bicycle saddle having function of seat position adjus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90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33A (en) * 1994-09-29 1995-10-11 车丹华 Adjustable split saddle
CN1978270A (en) * 2005-12-05 2007-06-13 极点股份有限公司 Size-adjustable bicycle saddle cushion
KR102141304B1 (en) 2019-03-31 2020-09-14 주식회사 한국노바스텍 Seat-width regulating type bicycle sadd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33A (en) * 1994-09-29 1995-10-11 车丹华 Adjustable split saddle
CN1978270A (en) * 2005-12-05 2007-06-13 极点股份有限公司 Size-adjustable bicycle saddle cushion
KR102141304B1 (en) 2019-03-31 2020-09-14 주식회사 한국노바스텍 Seat-width regulating type bicycle sad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334A (en)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5099B1 (en) Saddle for bicycles
KR102410521B1 (en) Relax seat belt for vehicle
US7690447B2 (en) Dynamic balancing vehicle with a seat
US6213553B1 (en) Seat element
EP1104380B1 (en) Cycle seat
US5725274A (en) Bicycle seat
JP2007186075A (en) Saddle for bicycle
US8894591B2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KR101042540B1 (en) Saddle assembly for bicycle
CN115530560A (en) Chair (Ref. TM. Chair)
JP2000325179A (en) Seat structure for vehicles
EP1437293B1 (en) Small vehicle
KR101957329B1 (en) Automatically width-controllable bicycle saddle
KR102491901B1 (en) Bicycle saddle having function of seat position adjustment
KR100456832B1 (en) A bicycle saddle
US6874849B1 (en) Saddles for pedal-operated machines
KR101919235B1 (en) bicycle saddle
KR100935441B1 (en) Bicycle saddle
KR200471943Y1 (en) Saddle for bicycle
US6609751B1 (en) Bicycle seat
ES2863273T3 (en) Bicycle saddle
US6302480B1 (en) Bicycle seat with weight distributed for avoidance of vascular injury
KR20200133470A (en) Bicycle saddle assembly
KR102283421B1 (en) Functional bicycle saddle with pelvic correction and prevention
JPH05112269A (en) Sheet for pedal-operate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