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425B1 - 에피나스틴 함유 점안액 - Google Patents

에피나스틴 함유 점안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425B1
KR102491425B1 KR1020197013276A KR20197013276A KR102491425B1 KR 102491425 B1 KR102491425 B1 KR 102491425B1 KR 1020197013276 A KR1020197013276 A KR 1020197013276A KR 20197013276 A KR20197013276 A KR 20197013276A KR 102491425 B1 KR102491425 B1 KR 102491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epinastine
acid
antiseptic
eye d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956A (ko
Inventor
마사히로 가와하타
나오키 마쓰모토
히로유키 이노우에
도모키 하라
사치에 히카게
다카시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37001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49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4Decongestants or antiallerg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0.075%(w/v) 초과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액으로서, 실질적으로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점안액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피나스틴 함유 점안액
본 발명은 0.075%(w/v) 초과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액으로서, 실질적으로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액(이하, "본 발명의 점안액"이라고도 함)에 관한 것이다.
점안액은, 반복된 사용에 수반하는 균류 등의 번식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이상의 방부 대책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점안액에는 통상, 방부제가 배합되고 있다. 방부제로서 예를 들면, 벤잘코늄 염화물은 수용성이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다른 방부제와 비교해도 방부 효력이 높으므로, 범용적으로 점안액에 사용된다. 그러나, 벤잘코늄 염화물에는 세포 장애성이 있어, 폭로량이 증가하면 각막 상피 장애를 야기할 가능성이 증대한다. 그 때문에, 특히 벤잘코늄 염화물에 과민한 반응을 나타내는 환자나 중증의 각막 상피 장애를 갖는 환자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
현재, 일본에서 출시되고 있는 알레지온(등록상표) 점안액 0.05%는, 에피나스틴 염산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점안액이고, 벤잘코늄 염화물과 같은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는 대신에, 방부 작용을 갖는 다른 성분(붕산, 에데트산(EDTA))이 첨가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즉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액을 반복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벤잘코늄 염화물과 같은 방부제를 반드시 함유하지 않아도 되지만, 그것을 대신하는 다른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으로 방부 효력을 담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인식되어 있다. 한편으로,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 중 어느 것도 첨가되어 있지 않은,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액은 일절 알려져 있지 않다.
한편, 출시되고 있는 점안액에 있어서,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 중 어느 것도 첨가되어 있지 않은 점안액은 알려져 있지만, 그들은 유닛 도즈형(1회용 타입)의 것 또는 방부제 프리 용기(방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특별한 구조를 갖는 용기)에 보존되어 있는 것이고, 유효 성분 자신이 방부 작용을 발휘하는 점안액은 알려져 있지 않다. 즉,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 자신이 방부 작용을 갖는 것은 일절 알려져 있지 않다.
알레지온(등록상표) 점안액 0.05% 첨부 문서
따라서, 실질적으로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액을 제공하는 것은 흥미로운 과제이다.
본 발명자들은,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 중 어느 것도 첨가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그들의 양이 감량된,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액을 발견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행한 바, 점안액 중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의 농도를 0.075%(w/v) 초과로 하는 것에 의해, 실질적으로 방부제 또는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을 함유함이 없이, 충분한 방부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하를 제공한다.
(1) 0.075%(w/v) 초과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액으로서, 실질적으로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점안액.
(2) 0.1%∼5.0%(w/v)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1)에 기재된 점안액.
(3)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이 에피나스틴 염산염인, (1) 또는 (2)에 기재된 점안액.
(4)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이, 염화 벤잘코늄, 클로르헥시딘 또는 그의 염, 붕산, 붕사, 및 에데트산 또는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인, (1)에 기재된 점안액.
(5) 유효 성분으로서 0.075%(w/v) 초과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만을 함유하고, 첨가물로서 완충제, 등장화제 및 pH 조절제만을 함유하는, 점안액.
(6) 0.1%∼5.0%(w/v)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5)에 기재된 점안액.
(7)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이 에피나스틴 염산염인, (5) 또는 (6)에 기재된 점안액.
(8) 완충제가 인산 또는 그의 염인, (5)∼(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안액.
(9) 등장화제가 이온성 등장화제인, (5)∼(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안액.
(10) 멀티 도즈형 점안액인,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안액.
(11)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0.075%(w/v) 초과의 농도로 배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액에 방부 효력을 부여하는 방법.
(12)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0.075%(w/v) 초과의 농도로 배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액의 방부 효력을 유지하는 방법.
한편, 상기 (1) 내지 (12)의 각 구성은 임의로 2 이상을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도 제공한다.
(13)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치료상 유효량의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안액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방법.
(14)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는,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안액.
본 발명은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 중 어느 것도 첨가하지 않더라도 방부 효과를 갖는,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액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피나스틴"이란, 화학명 (±)-3-Amino-9,13b-dihydro-1H-dibenz[c,f]imidazo[1,5-a]azepine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또한 하기 식:
Figure 112019047163364-pct00001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점안액에 있어서, 함유되는 에피나스틴은 염이어도 되고, 의약으로서 허용되는 염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산과의 염, 유기산과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산과의 염으로서는, 염산, 브로민화 수소산, 아이오딘화 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유기산과의 염으로서는, 아세트산, 옥살산, 푸마르산, 말레산, 석신산, 말산, 시트르산, 타타르산, 아디프산, 글루콘산, 글루코헵톤산, 글루쿠론산, 테레프탈산, 메테인설폰산, 알라닌, 락트산, 히푸르산, 1,2-에테인다이설폰산, 이세티온산, 락토바이온산, 올레산, 갈산, 파모산, 폴리갈락투론산, 스테아르산, 타닌산, 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황산 라우릴, 황산 메틸, 나프탈렌설폰산, 설포살리실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에피나스틴의 염으로서는, 일염산염(에피나스틴 염산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함유되는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은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형태를 취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의 함유량은 0.075%(w/v) 초과이면 충분하지만, 0.085%(w/v) 이상 또는 0.1%(w/v) 이상으로 할 수도 있고, 그 상한은 안과 제제로서 허용되는 농도이면 되며, 예를 들면 5%(w/v)이다.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의 함유량으로서는, 0.1∼5.0%(w/v)가 바람직하고, 0.1∼3.0%(w/v)가 보다 바람직하며, 0.1∼1.0%(w/v)가 더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0.1∼0.5%(w/v), 0.1∼0.3%(w/v)이지만, 0.1%(w/v), 0.2%(w/v), 0.3%(w/v), 0.4%(w/v), 0.5%(w/v)도 보다 더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에피나스틴의 염이 함유되는 경우, 이들의 값은 에피나스틴의 염의 함유량이다. "%(w/v)"는, 본 발명의 점안액 100mL 중에 포함되는 대상 성분(여기에서는,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의 질량(g)을 의미한다. 이하, 특별히 예고가 없는 한 마찬가지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벤잘코늄, 브로민화 벤잘코늄, 염화 벤제토늄, 클로르헥시딘 또는 그의 염, 소르브산 또는 그의 염, 파라옥시벤조산 메틸, 파라옥시벤조산 프로필, 클로로뷰탄올 등을 들 수 있다.
클로르헥시딘 또는 그의 염으로서는, 클로르헥시딘 글루콘산염, 클로르헥시딘 염산염, 클로르헥시딘 아세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소르브산 또는 그의 염으로서는, 소르브산 나트륨, 소르브산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붕산, 붕사, 에데트산 또는 그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에데트산 또는 그의 염으로서는, 에데트산 일나트륨, 에데트산 이나트륨, 에데트산 사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다"란, 점안액에 해당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을 일절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해당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이 단독으로 제17개정 일본 약국방에 기재된 보존 효력 시험법에 적합하지 않을 정도로 포함되는 것을 가리킨다. 상기의 "단독으로 제17개정 일본 약국방에 기재된 보존 효력 시험법에 적합하지 않을 정도"란, 예를 들면 EDTA이면 0.01%(w/v) 또는 0.02%(w/v) 정도여도 되는데, 이것은 EDTA가 가지는 방부 작용이 아니라 안정화 작용을 얻기 위해서 점안액에 포함된다. 또한, 예를 들면 붕산이면 0.01%(w/v) 또는 0.02%(w/v) 정도여도 되는데, 이것은 붕산이 가지는 방부 작용이 아니라 완충 작용을 얻기 위해서 점안액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질적으로"란 본질이 달라지지 않으면 되고,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다"란, 해당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을 일절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방부 효과를 의도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해당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이 단독으로 제17개정 일본 약국방에 기재된 보존 효력 시험법에 적합하지 않을 정도로 포함되는 것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멀티 도즈형 점안액이란, 멀티 도즈형 용기에 넣어진 점안액을 가리킨다. 멀티 도즈형 용기란, 복수회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캡 등의 개폐를 자유롭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용기이고, 개봉 후 일정 기간에 걸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 운반도 용이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크기나 형상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유닛 도즈형 용기(1회용 타입)여도 되지만, 점안액에 방부 효과가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멀티 도즈형 용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역류 방지 기능 등의 방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특별한 구조를 갖는 용기, 예를 들면 PFMD(Preservative Free Multi Dose) 용기는 포함되지 않는다. 한편, 용기의 소재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일반적으로 범용되는 용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제, 폴리프로필렌(PP)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제 등의 용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안액은, 구성 성분이 모두 용해 또는 일부 현탁되어 있어도 되지만, 구성 성분이 모두 용해되어 있는 액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안액에 완충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완충제는, 의약품의 첨가물로서 사용 가능한 완충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인산 또는 그의 염, 시트르산 또는 그의 염, 아세트산 또는 그의 염, 탄산 또는 그의 염, 타타르산 또는 그의 염, ε-아미노카프로산, 트로메타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이어도 된다.
인산 또는 그의 염으로서는, 인산 나트륨, 인산이수소 나트륨, 인산수소 이나트륨, 인산 칼륨, 인산이수소 칼륨, 인산수소 이칼륨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수화물이어도 된다.
시트르산 또는 그의 염으로서는, 시트르산 나트륨, 시트르산 이나트륨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수화물이어도 된다.
아세트산 또는 그의 염으로서는, 아세트산 나트륨, 아세트산 칼륨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수화물이어도 된다.
탄산 또는 그의 염으로서는, 탄산 나트륨, 탄산수소 나트륨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수화물이어도 된다.
타타르산 또는 그의 염으로서는, 타타르산 나트륨, 타타르산 칼륨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수화물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안액에 완충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완충제는, 인산 또는 그의 염이 보다 바람직하고, 인산이수소 나트륨, 인산수소 이나트륨 또는 이들의 수화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완충제를 2 이상 함께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안액에 완충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완충제의 함유량은, 완충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지만, 0.001∼10%(w/v)가 바람직하고, 0.01∼5%(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1∼3%(w/v)가 더 바람직하며, 0.2∼1.5%(w/v)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안액에 등장화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등장화제는, 의약품의 첨가물로서 사용 가능한 등장화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이온성 등장화제나 비이온성 등장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온성 등장화제로서는,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염화 칼슘, 염화 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등장화제로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라이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소르비톨, 만니톨, 트레할로스, 말토스, 수크로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안액에 등장화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등장화제는, 이온성 등장화제가 보다 바람직하고, 염화 나트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등장화제를 2 이상 함께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안액에 등장화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등장화제의 함유량은, 등장화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지만, 0.001∼10%(w/v)가 바람직하고, 0.01∼5%(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1∼1%(w/v)가 더 바람직하며, 0.2∼0.5%(w/v)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안액의 삼투압비는 안과 제제에 허용되는 범위 내에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0.5∼2.0이고, 0.7∼1.6이 바람직하고, 0.8∼1.4가 보다 바람직하며, 0.9∼1.2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안액에 pH 조절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pH 조절제는, 의약품의 첨가물로서 사용 가능한 pH 조절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산 또는 염기이고, 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인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등,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탄산 나트륨, 탄산수소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안액의 pH는 안과 제제에 허용되는 범위 내에 있으면 되고, 4.0∼8.0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6.0∼8.0이 보다 바람직하며, 6.5∼7.5가 더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pH는 6.7∼7.3이지만, 6.7, 6.8, 6.9, 7.0, 7.1, 7.2, 7.3도 보다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완충제, 등장화제 및 pH 조절제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서 안과 제제에 허용되는 첨가물(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을 제외함)을 1 이상 가할 수 있고, 그 첨가물로서는 예를 들면, 가용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점조화제 등을 가할 수 있다. 또한, 특별히 예고가 없는 한,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 이외의 점안액에 이용되는 유효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가용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포비돈, 폴리소르베이트 80 등, 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포비돈, 폴리소르베이트 80 등, 항산화제로서는, 다이뷰틸하이드록시톨루엔, 아황산 나트륨 등, 점조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복시바이닐 폴리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물은 안과 제제에 허용되는 범위 내로 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각각 2% 이하로 가할 수 있거나, 또는 0.2% 이하, 0.02% 이하, 0.002% 이하의 범위로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안액은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점안액을 투여하는 경우, 원하는 약효를 나타내는 데 충분하면 용법 용량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1회 1방울, 1일 1∼10회, 바람직하게는 1일 2∼6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1일 2∼4회, 더 바람직하게는 1일 2회, 1일 4회로 나누어서 점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안액은, 콘택트렌즈 착용 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제제예 및 방부 효력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이하에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제예를 나타낸다. 한편, 하기 제제예에 있어서 각 성분의 배합량은 제제 1mL 중의 함량이다.
제제예 1
멀티 도즈형 용기(1mL) 중
에피나스틴 염산염 1mg
인산이수소 나트륨 3mg
염화 나트륨 5mg
희염산 적량
수산화 나트륨 적량
정제수 적량
제제예 2
멀티 도즈형 용기(1mL) 중
에피나스틴 염산염 3mg
인산이수소 나트륨 3mg
인산수소 이나트륨 12mg
염화 나트륨 4mg
희염산 적량
수산화 나트륨 적량
정제수 적량
방부 효력 시험(1)
본 시험은 제17개정 일본 약국방에 기재된 보존 효력 시험법에 준하여 실시했다.
1. 피험 제제의 조제
에피나스틴(50mg), 인산이수소 나트륨(25mg), 인산수소 이나트륨 수화물(122mg), 염화 나트륨(40mg)을 물에 용해시키고 여과 멸균을 행하고, pH 조절제와 물을 가하여 전량을 10mL로 하는 것에 의해, 실시예 1의 제제를 조제했다.
실시예 1
1mL 중
에피나스틴 염산염 5mg
인산이수소 나트륨 2.5mg
인산수소 이나트륨 수화물 12.2mg
염화 나트륨 4mg
희염산 적량
수산화 나트륨 적량
정제수 적량
pH 6.7
실시예 1의 조제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2∼4 및 비교예 1∼2의 제제를 조제했다.
실시예 2
1mL 중
에피나스틴 염산염 50mg
인산이수소 나트륨 2.5mg
인산수소 이나트륨 수화물 12.2mg
희염산 적량
수산화 나트륨 적량
정제수 적량
pH 6.7
실시예 3
1mL 중
에피나스틴 염산염 1mg
인산이수소 나트륨 2.5mg
인산수소 이나트륨 수화물 12.2mg
염화 나트륨 4.7mg
희염산 적량
수산화 나트륨 적량
정제수 적량
pH 6.7
실시예 4
1mL 중
에피나스틴 염산염 2mg
인산이수소 나트륨 2.5mg
인산수소 이나트륨 수화물 12.2mg
염화 나트륨 4.5mg
희염산 적량
수산화 나트륨 적량
정제수 적량
pH 6.7
비교예 1
1mL 중
에피나스틴 염산염 0.5mg
인산이수소 나트륨 2.5mg
인산수소 이나트륨 수화물 12.2mg
염화 나트륨 5mg
희염산 적량
수산화 나트륨 적량
정제수 적량
pH 6.7
비교예 2
1mL 중
에피나스틴 염산염 0.75mg
인산이수소 나트륨 2.5mg
인산수소 이나트륨 수화물 12.2mg
염화 나트륨 4.7mg
희염산 적량
수산화 나트륨 적량
정제수 적량
pH 6.7
2. 시험 방법
접종 균으로서 이하의 균주를 사용했다.
세균:
대장균, Escherichia Coli ATCC 8739(E. coli라고도 함)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P. aeruginosa라고도 함)
황색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S. aureus라고도 함)
효모균 및 곰팡이류:
칸디다, Candida albicans ATCC 10231(C. albicans라고도 함)
검은 누룩곰팡이, Aspergillus brasiliensis ATCC 16404(A. brasiliensis라고도 함)
각 제제로 이루어지는 시험 시료 중의 균액 농도가 105∼106개/mL(5균종 모두)가 되도록, 접종 균액을 시험 시료에 접종했다. 구체적으로는, 107∼108cfu/mL가 되도록 접종 균액을 조제하고, 이 접종 균액을 105∼106cfu/mL가 되도록,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의 제제로 이루어지는 시험 시료에 각 접종 균액을 접종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시료로 했다. 이들 시료를 차광하 20∼25℃로 보존하고, 각 샘플링 포인트(7일 후, 14일 후, 또는 28일 후)에 있어서, 각 시료로부터 마이크로피펫으로 1mL를 채취하여, 생균수를 측정했다. 각 샘플링 포인트에서는, 시료 용액의 덮개를 열어서 샘플링을 실시하고, 덮개를 닫는 조작을 행했다.
3. 시험 결과 및 고찰
시험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표 1 및 표 2의 시험 결과는, 생균수를 측정했을 때의 균수(A)에 대한 접종 시의 균수(B)의 비(B/A)의 상용 대수값으로 나타내고 있고, 예를 들어, 값이 "1"인 경우에는, 검사 시의 생균수가 접종 균수의 10%로 감소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시험의 합부 판정에 대하여, 세균종(E. coli, P. aeruginosa, S. aureus)에 대해서는, 접종 7일 후에 1.0 이상, 또한 14일 후 또는 28일 후에 3.0 이상인 것, 및 진균종(C. albicans, A. brasiliensis)에 대해서는, 접종 7일 후와 비교하여 접종 14일 후 또는 28일 후의 수치가 감소하고 있지 않는 것을 모두 만족시킬 때에 적합으로 했다.
Figure 112019047163364-pct00002
Figure 112019047163364-pct00003
표 1 및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실시예 1∼4의 제제는,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을 함유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어느 균에 대해서도 충분한 방부 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반해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제제는 충분한 방부 효과를 갖지 않는 것이 나타났다. 이에 의해, 0.075%(w/v) 초과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점안액은,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을 함유하지 않더라도, 멀티 도즈형 점안액으로서, 반복하여 용기를 개폐해서 사용 가능하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본 발명은 0.075%(w/v) 초과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액으로서, 실질적으로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점안액을 제공한다.

Claims (12)

  1. 0.075%(w/v) 초과 5.0%(w/v) 이하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액으로서, 실질적으로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점안액.
  2. 제 1 항에 있어서,
    0.1%∼5.0%(w/v)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액.
  3. 제 1 항에 있어서,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이 에피나스틴 염산염인, 점안액.
  4. 제 1 항에 있어서,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이, 염화 벤잘코늄, 클로르헥시딘 또는 그의 염, 붕산, 붕사, 및 에데트산 또는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인, 점안액.
  5. 유효 성분으로서 0.075%(w/v) 초과 5.0%(w/v) 이하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만을 함유하고, 첨가물로서 완충제, 등장화제 및 pH 조절제만을 함유하는, 점안액.
  6. 제 5 항에 있어서,
    0.1%∼5.0%(w/v)의 농도의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액.
  7. 제 5 항에 있어서,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이 에피나스틴 염산염인, 점안액.
  8. 제 5 항에 있어서,
    완충제가 인산 또는 그의 염인, 점안액.
  9. 제 5 항에 있어서,
    등장화제가 이온성 등장화제인, 점안액.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멀티 도즈형 점안액인, 점안액.
  11.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0.075%(w/v) 초과 5.0%(w/v) 이하의 농도로 배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액에 방부 효력을 부여하는 방법.
  12.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0.075%(w/v) 초과 5.0%(w/v) 이하의 농도로 배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방부제 및 방부 작용을 갖는 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에피나스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액의 방부 효력을 유지하는 방법.
KR1020197013276A 2016-10-28 2017-10-27 에피나스틴 함유 점안액 KR102491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1696A KR102659499B1 (ko) 2016-10-28 2017-10-27 에피나스틴 함유 점안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11535A JP6134853B1 (ja) 2016-10-28 2016-10-28 エピナスチン含有点眼液
JPJP-P-2016-211535 2016-10-28
PCT/JP2017/038948 WO2018079721A1 (ja) 2016-10-28 2017-10-27 エピナスチン含有点眼液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696A Division KR102659499B1 (ko) 2016-10-28 2017-10-27 에피나스틴 함유 점안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956A KR20190075956A (ko) 2019-07-01
KR102491425B1 true KR102491425B1 (ko) 2023-01-20

Family

ID=5874575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696A KR102659499B1 (ko) 2016-10-28 2017-10-27 에피나스틴 함유 점안액
KR1020247012698A KR20240054409A (ko) 2016-10-28 2017-10-27 에피나스틴 함유 점안액
KR1020197013276A KR102491425B1 (ko) 2016-10-28 2017-10-27 에피나스틴 함유 점안액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696A KR102659499B1 (ko) 2016-10-28 2017-10-27 에피나스틴 함유 점안액
KR1020247012698A KR20240054409A (ko) 2016-10-28 2017-10-27 에피나스틴 함유 점안액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6134853B1 (ko)
KR (3) KR102659499B1 (ko)
AU (1) AU2017348597A1 (ko)
MY (1) MY192577A (ko)
PH (1) PH12019500934A1 (ko)
TW (1) TWI750248B (ko)
WO (1) WO20180797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841620A (zh) * 2017-05-01 2018-12-01 日商參天製藥股份有限公司 點眼劑
JP7355539B2 (ja) * 2018-07-20 2023-10-03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眼科組成物
JP7458159B2 (ja) * 2018-09-28 2024-03-29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眼科組成物
JP2019108320A (ja) * 2018-10-31 2019-07-04 参天製薬株式会社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の変質を抑制する眼科用組成物
JP6736752B2 (ja) * 2019-12-17 2020-08-05 参天製薬株式会社 エピナスチン含有点眼液
JP2020169213A (ja) * 2020-07-15 2020-10-15 参天製薬株式会社 エピナスチン含有点眼液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4516A1 (de) * 1999-11-12 2001-05-17 Boehringer Ingelheim Int Epinastin-haltige Lösungen
KR20110104367A (ko) * 2010-03-16 2011-09-22 삼천당제약주식회사 무보존제 안과용 조성물
EP2664329A1 (de) * 2012-05-15 2013-11-20 F. Holzer GmbH Ophthalmologisches Vehikelsystem
JPWO2015125921A1 (ja) * 2014-02-20 2017-03-30 わかもと製薬株式会社 保存効力を有する医薬用水性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499B1 (ko) 2024-04-19
TWI750248B (zh) 2021-12-21
AU2017348597A1 (en) 2019-05-16
KR20190075956A (ko) 2019-07-01
TW201821060A (zh) 2018-06-16
MY192577A (en) 2022-08-29
PH12019500934A1 (en) 2019-12-02
JP2018070500A (ja) 2018-05-10
WO2018079721A1 (ja) 2018-05-03
KR20230014870A (ko) 2023-01-30
JP6134853B1 (ja) 2017-05-24
KR20240054409A (ko)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1425B1 (ko) 에피나스틴 함유 점안액
RU2745317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дорзоламид и бримонидин
US10632202B2 (en) Preservative containing compositions
JP6736752B2 (ja) エピナスチン含有点眼液
JP7191022B2 (ja) アルカフタジン又はその塩を含有する水性医薬組成物
JP6635974B2 (ja) エピナスチン含有点眼液
CN109641059B (zh) 具有改善的防腐效力或光稳定性的眼科药物组合物
JP2022173166A (ja) エピナスチン含有点眼液
KR102429646B1 (ko) 메글루민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방부제
JP6877613B2 (ja) 防腐効果のある医薬の組合せ
JP6702754B2 (ja) ドルゾラミドを含有する防腐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