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099B1 - 풀무치 분말을 포함하는 모질개선용 반려견 간식 - Google Patents

풀무치 분말을 포함하는 모질개선용 반려견 간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099B1
KR102491099B1 KR1020200003086A KR20200003086A KR102491099B1 KR 102491099 B1 KR102491099 B1 KR 102491099B1 KR 1020200003086 A KR1020200003086 A KR 1020200003086A KR 20200003086 A KR20200003086 A KR 20200003086A KR 102491099 B1 KR102491099 B1 KR 102491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dog
snack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9918A (ko
Inventor
김현진
구희연
김정은
김성연
이유범
김지수
김도익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200003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099B1/ko
Publication of KR20210089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30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무치 분말을 포함하는 반려견 간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반려견 간식 조성물은 반려견의 선호도가 우수하여 반려견이 잘 섭취하며, 단백질 및 지방 함량 뿐만 아니라 총아미노산과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아 반려견에게 충분한 영양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반려견 간식을 꾸준히 반려견이 섭취하였을 경우 반려견의 모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풀무치 분말을 포함하는 모질개선용 반려견 간식 {Snack for companion dog comprising powder of Locusta migratoria for improving hair quality}
본 발명은 풀무치 분말을 포함하는 모질개선용 반려견 간식 사료에 관한 것으로, 풀무치 분말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함유하는 습식형 또는 반습식형 반려견 간식은 반려견의 모(毛)를 풍성하고 윤기있게 하는 모질 개선 효과가 있다.
2010년 약 1조원 수준이던 국내 반려동물 시장 규모는 2020년 5조 8100억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농협경제연구원, 2013). 국내 반려동물 사료시장은 해외 수입브랜드가 70% 이상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형편이다. 네슬레, 마스와 같은 다국적 브랜드의 고급 사료에 대항하는 우리나라의 반려동물 사료업체(대한사료, 대주사료, CJ, 우성 등)의 사료는 중저가품 사료로서 최근 성장하는 고가품 사료에 대한 시장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실제로 2015년의 경우 반려동물 사료 수입량은 최근 5년간 20만 톤인 데 비해 수출량은 3만톤 규모로서 약 7배의 차이가 나고 있으며, 고급화된 수입 사료와 국산 사료와의 가격 차이로 인해 수출액 155억 원 대비 수입액이 약 1,775억 원으로 약 11.5배의 높은 격차를 보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1인 가구의 증가, 저출산, 고령화 등에 따라 국내 반려동물 보유가구 비율은 2015년에 약 21.89%, 사육가구 수는 약 457만 가구로서 5가구 중 1가구가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으며, 이는 지난 2010년의 17.4%에 비해 4.4%p 증가한 것이다. 반려동물 산업이 일찍이 발달했던 미국은 2015년 기준으로 전체 가정의 68%가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으며, 반려동물 수는 약 2억 2천만 마리로 추정된다.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에 의하면 2012년 기준 일본 가구의 반려동물 보유비율은 약 16.8%이며 개와 고양이 2천만 마리를 기르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사료 및 사료첨가제 산업을 살펴보면, BCC Research 시장보고서 "Compound Feeds and Additives Global Markets(2014.6)"에 따르면 전 세계 배합사료 시장규모의 경우, 2013년 856억 290만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성장률 6.6%로 성장하여 2018년에는 1,177억 9,52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전 세계 사료첨가제 시장규모는 2013년 204억 3,960만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성장률 5.41%로 성장하여 2018년 266억 25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세계 각국은 국가중점관리기관을 통해 생물자원의 국가적 관리를 실시 중이며, 특히 곤충은 유엔이 추천하는 미래의 대안 음식 중 하나이다.
곤충은 체중의 50% 이상이 단백질로 되어 있으며, 미네랄, 아미노산 등이 풍부하여 식용 및 가축, 가금류, 어류 및 애완동물의 사료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풀무치(Locusta migratoria)는 메뚜기목 메뚜기과로서 보통 4~6cm정도로 메뚜기과에서도 크기가 큰 곤충에 속하는 것으로써 이미 단백질원 공급원으로 인간이 섭취할 수 있거나 동물사료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식용곤충자원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풀무치는 농작물 피해를 일으키는 메뚜기과 곤충에 해당되는 바, 최근에는 농약이나 살충제의 사용으로 발생수가 감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이를 인공적으로 사육하고자 하는 농가들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풀무치를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풀무치의 활용 방안을 연구하던 중 풀무치를 반려견에게 급여할 경우 반려견의 모질이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5764호(2014.04.2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3822호(2019.07.25.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52251호(2019.05.16. 공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풀무치 분말을 포함하는 모질 개선용 반려견 간식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모질 개선용 반려견 간식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풀무치 분말을 포함하는 모질 개선용 반려견 간식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풀무치(Locusta migratoria)는 메뚜기목 메뚜기과에 속하는 곤충으로서, 성충 20 ~ 30일의 풀무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풀무치 분말은 성충 20 ~ 30일의 풀무치를 건조하고 미분쇄한 것을 말한다. 여기서, 건조는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열풍 건조 또는 동결 건조이다. 또한, 상기 미분쇄는 입자 크기가 100 메쉬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 메쉬인 것을 말한다. 상기 입자 크기가 100 메쉬 미만일 경우 반려견의 선호도가 감소할 수 있으며, 200 메쉬 초과일 경우 가공 비용의 상승으로 비경제적이다.
상기 풀무치 분말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8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1.1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중량%로 함유한다. 풀무치 분말의 함량이 0.8 중량% 미만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의 모질 개선 효과를 획득할 수 없으며, 1.5 중량% 초과인 경우 반려견의 선호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섭취 감소에 따른 반려견의 모질 개선 효과를 획득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려견 간식은 반려견의 보조사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주사료와 함께 반려견에게 제공하거나 주사료와 주사료의 급여 사이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반려견 간식은 건식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습식 또는 반습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습식 또는 반습식으로 제공될 경우 반려견의 행동학적 특성에 따른 다양한 반려견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의 상기 반려견 간식이 습식형인 경우 상기 반려견 간식은 상술한 풀무치 분말 이외에 닭가슴살, 쇠고기다짐육, 젤라틴, 야채 후레이크, 비타민, 미네랄,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상기 닭가슴살은 간식의 습식형을 고려하여 근육의 결대로 찢어진 형상이면서 그 길이가 최대 1cm를 넘지 않도록 가열 조리한 것이다.
상기 쇠고기다짐육은 쇠고기를 다진 후 좁쌀 크기로 가열 조리한 것이다.
상기 야채 후레이크는 계절 야채를 일정 크기, 예를 들어 가로 및 세로 1cm 정도로 잘라 건조한 것이다. 상기 계절 야채는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양배추, 시금치, 당근, 호박, 고구마, 브로콜리 등이 있다. 상기 건조는 통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자연 건조, 열풍 건조, 동결 건조 등이 있다.
상기 젤라틴은 식품용 원료 또는 식품첨가물로 사용이 가능한 젤라틴 또는 피쉬젤라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은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오틴, 비타민 B12, A, D3, 토코페롤 등이 혼합된 제제로서, 직접 제조할 수 있으나,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비타민 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은 제이인산칼슘, 염화나트륨, 구연산칼륨, 황산칼륨, 산화마그네슘, 탄산망간, 구연산철, 탄산아연, 탄산구리, 요오드화칼륨, 셀레늄, 황산크롬칼륨 등이 혼합된 제제로서, 직접 제조할 수 있으나,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비타민 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려견 간식은 풀무치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닭가슴살 5000 내지 60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200 내지 560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0 내지 5500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5400 중량부; 쇠고기다짐육 300 내지 7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600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 중량부; 젤라틴 100 내지 3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20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 중량부; 야채 후레이크 200 내지 3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28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260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중량부; 비타민 1 내지 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2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2 중량부; 미네랄 1 내지 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2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2 중량부; 및 정제수 잔여 중량부;로 포함한다.
상기한 함량으로 제조된 반려견 간식은 반려견의 선호도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그에 따라 반려견의 모질을 개선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의 상기 반려견 간식이 반습식형인 경우 상기 반려견 간식은 상술한 풀무치 분말 이외에 오리고기, 고구마, 타피오카, 야채류, 비타민, 및 미네랄을 포함한다.
상기 오리고기는 뼈를 제외한 오리를 좁쌀 크기로 가열 조리한 것이다.
상기 고구마는 삶은 고구마를 1cm 두께로 절단하여 건조한 후 일정 크기로 절단한 것으로, 상기 건조는 통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자연 건조, 열풍 건조, 동결 건조 등이 있다.
상기 타피오카는 식품용 원료 또는 식품첨가물로 사용이 가능한 타피오카 분말 또는 전분이다.
상기 야채류는 계절 야채를 일정 크기, 예를 들어 가로 및 세로 1cm 정도로 잘라 건조한 것이다. 상기 계절 야채는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양배추, 시금치, 당근, 호박, 브로콜리 등이 있다. 상기 건조는 통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자연 건조, 열풍 건조, 동결 건조 등이 있다. 의 야채를 1cm 정도로 잘라 건조한 것으로, 상기 건조는 통상의 방법에 의한다.
상기 비타민은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오틴, 비타민 B12, A, D3, 토코페롤 등이 혼합된 제제로서, 직접 제조할 수 있으나,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비타민 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은 제이인산칼슘, 염화나트륨, 구연산칼륨, 황산칼륨, 산화마그네슘, 탄산망간, 구연산철, 탄산아연, 탄산구리, 요오드화칼륨, 셀레늄, 황산크롬칼륨 등이 혼합된 제제로서, 직접 제조할 수 있으나,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비타민 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려견 간식은 풀무치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오리 3000 내지 34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100 내지 330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150 내지 3250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3200 중량부; 고구마 4300 내지 47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400 내지 460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4450 내지 4550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4500 중량부; 타피오카 800 내지 1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00 내지 110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950 내지 1050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 중량부; 야채류 800 내지 1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00 내지 110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950 내지 1050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 중량부; 비타민 90 내지 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2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중량부; 및 미네랄 90 내지 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2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중량부;로 포함한다.
상기한 함량으로 제조된 반려견 간식은 반려견의 선호도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그에 따라 반려견의 모질을 개선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풀무치 분말을 포함하는 모질 개선용 반려견 간식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질 개선용 반려견 간식의 제조 방법은, 성충 20 ~ 30일의 풀무치를 건조하고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풀무치 분말을 전체 중량의 0.8 내지 1.5 중량% 함량으로 다른 간식 재료와 배합하는 단계; 상기 배합된 간식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된 간식을 살균하고 냉각한 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합은 간식의 형상이 습식인지 반습식인지에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습식형 반려견 간식인 경우 풀무치 분말 이외에 닭가슴살, 쇠고기다짐육, 젤라틴, 야채 후레이크, 비타민, 미네랄,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또한, 반습식형 반려견 간식인 경우 풀무치 분말 이외에 오리, 고구마, 타피오카, 야채류, 비타민, 및 미네랄을 포함한다. 이들 성분의 함량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성형은 일정한 모양으로 만드는 것인데, 습식형인 경우 특별히 제한된 모양이 없을 수 있으나, 반습식형인 경우 반려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는다.
상기 살균은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예로서 121℃에서 10분간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풀무치 분말을 포함하는 모질 개선용 반려견 간식은 반려견의 선호도가 우수하여 반려견이 잘 섭취할 수 있으며, 단백질 및 지방 함량 뿐만 아니라 총아미노산과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아 반려견에게 충분한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반려견 간식을 꾸준히 반려견이 섭취하였을 경우 반려견의 모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풀무치 분말 1중량% 함유된 습식형 반려견 간식을 1개월 동안 섭취한 반려견의 모질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풀무치 분말 1중량% 함유된 반습식형 반려견 간식을 1개월 동안 섭취한 반려견의 모질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풀무치 건조 분말의 제조
성충 20 ~ 30일의 풀무치를 60℃ 열풍으로 1시간 동안 건조한 후 이를 분말 형태로 분쇄하여 풀무치 건조 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습식형 반려견 간식 제조
하기 표 1의 배합비로 습식형 반려견 간식을 배합하고 일정 모양으로 성형한 후 121℃에서 10분간 살균한 후 냉각하고 이를 포장하였다. 닭가슴살은 가열 조리된 후 근육의 결대로 최대 1cm 길이로 찢여 제조하였으며, 쇠고기다짐육은 쇠고기를 다진 후 좁쌀 크기로 가열 조리하여 제조하였으며, 야채 후레이크는 양배추, 시금치, 당근, 호박, 및 고구마 등의 야채를 가로 및 세로가 1cm 이하로 잘라 건조된 시판 야채 후레이크이다. 또한, 젤라틴은 식용 젤라틴이며, 비타민은 시판 중인 복합 비타민제로서,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오틴, 비타민 B12, A, D3, 토코페롤 등의 혼합 제제이다. 미네랄은 시판 중인 복합 미네랄제로서, 제이인산칼슘, 염화나트륨, 구연산칼륨, 황산칼륨, 산화마그네슘, 탄산망간, 구연산철, 탄산아연, 탄산구리, 요오드화칼륨, 셀레늄, 황산크롬칼륨 등의 혼합 제제이다.
구분 대조구 1% 첨가 2% 첨가 3% 첨가 4% 첨가 5% 첨가
풀무치 분말 0 1 2 3 4 5
닭가슴살 55 54 53 52 51 50
쇠고기다짐육 5 5 5 5 5 5
젤라틴 2 2 2 2 2 2
야채 후레이크 2.5 2.5 2.5 2.5 2.5 2.5
비타민 0.02 0.02 0.02 0.02 0.02 0.02
미네랄 0.02 0.02 0.02 0.02 0.02 0.02
정제수 35.46 35.46 35.46 35.46 35.46 35.46
제조예 2: 반습식형 반려견 간식 제조
하기 표 2의 배합비로 반습식형 반려견 간식을 배합하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한 후 121℃에서 10분간 살균한 후 냉각하고 이를 포장하였다. 오리는 삶은 오리를 뼈를 발라내고 다져 좁쌀 크기로 제조한 것이며, 고구마는 삶은 고구마를 1cm 두께로 절단하여 건조한 후 좁쌀 크기로 제조한 것이다. 타피오카는 분말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였으며, 야채류는 양배추, 시금치, 당근, 호박, 브로콜리 등의 야채를 가로 및 세로로 1cm 정도로 잘라 건조한 것이다. 비타민, 및 미네랄은 상기 습식형의 비타민, 및 미네랄과 동일하다.
구분 대조구 처리1 처리2 처리3
풀무치 분말 0 1 3 5
오리 33 32 30 28
고구마 45 45 45 45
타피오카 10 10 10 10
야채류 10 10 10 10
비타민 1 1 1 1
미네랄 1 1 1 1
실시예 1: 풀무치 분말 첨가량에 따른 반려견의 선호도 조사
소형견 10마리를 대상으로 상기 제조예 2 및 3의 풀무치 분말의 함유량에 따른 반려견 간식의 선호도를 선호 1점 및 미선호 0점으로 하여 그 합계를 조사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구는 시판 중인 통조림형태의 습식형 간식이며, 대조구는 풀무치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습식형 간식이다.
풀무치 첨가량에 따른 습식형 간식의 선호도 조사
구분 양성대조구 대조구 1% 첨가 2% 첨가 3% 첨가 4% 첨가 5% 첨가
선호도 10 10 9 5 3 1 1
풀무치 첨가량에 따른 반습식형 간식의 선호도 조사
구분 양성대조구 대조구 처리1 처리2 처리3
선호도 9 9 8 5 2
상기 표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습식형 반려견 간식에서 풀무치 분말의 첨가량이 1%인 경우에 반려견의 선호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상기 표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습식형 반려견 간식에서 풀무치 분말의 첨가량이 1%인 경우(처리 1) 반려견의 선호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실시예 2: 풀무치 첨가량에 따른 반려견 간식의 일반성분 및 아미노산 함량 조사
2-1. 일반성분 분석
상기 제조예 2 및 3에서 제조한 반려견 간식의 일반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일반성분 분석은 AOAC(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방법에 따라 수분은 상압가열건조법(125℃, 3시간), 조회분은 직접회화로법(550℃, 6시간), 단백질은 킬달질소정량법, 지방은 속슬렛(Soxhlet)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양성대조구는 시판 중인 통조림형태의 습식형 간식이며, 대조구는 풀무치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습식형 간식이다.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5 및 6에 나타내었다.
풀무치 첨가량에 따른 습식형 간식의 일반성분 함량 (%)
구분 양성대조구 대조구 1% 첨가 2% 첨가 3% 첨가 4% 첨가 5% 첨가
수분 78.5 76.59±0.95 77.34±1.48 74.35±1.69 74.30±0.89 71.35±1.50 70.15±1.97
단백질 8.5 18.65±0.39 20.08±1.52 20.56±1.48 21.63±0.56 22.73±0.92 23.23±0.91
지방 0.15 0.64±0.16 0.86±0.12 0.80±0.18 0.67±0.13 0.60±0.14 0.72±0.16
회분 1.0 0.90±0.05 0.96±0.04 1.06±0.07 1.05±0.02 1.11±0.02 1.26±0.06
풀무치 첨가량에 따른 반습식형 간식의 일반성분 함량 (%)
구분 양성대조구 대조구 처리1 처리2 처리3
수분 26.09±0.15 29.54±0.09 29.20±0.11 28.04±0.04 27.58±0.17
단백질 9.99±0.05 11.18±0.07 12.07±0.18 13.67±0.10 15.92±0.25
지방 2.42±0.04 4.35±0.04 4.48±0.01 4.43±0.01 4.52±0.02
회분 3.27±0.07 2.78±0.06 2.77±0.18 2.80±0.05 2.79±0.02
상기 표 5 및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예 2 및 3에서 제조한 풀무치 분말을 포함하는 반려견 간식은 대조구에 비하여 단백질 및 지방 함량이 높아 반려견에게 영양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풀무치가 1중량% 함유된 경우라도 풀무치 함량이 높은 경우와 비교하여 거의 동등한 수준의 단백질 및 지방 함량을 나타내므로 풀무치 함량을 최소화하더라도 반려견에게 충분한 영양을 공급하는 장점이 있다.
2-2. 주요 아미노산 함량 분석
상기 제조예 2 및 3에서 제조한 풀무치 분말을 포함하는 반려견 간식에 대한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아미노산 함량 분석은 닌히드린(ninhydrin) 방법을 이용하였다. 시료의 전처리는 시료를 0.5mm이하로 분쇄하고 6N HCL 15ml를 첨가한 후 드라이 오븐(dry oven)에서 24시간(110℃) 반응 시켰다. 분해된 시료를 수조(55℃)를 이용해 2회 감압농축 시킨 후, 25ml 정량 플라스크에 정용 하였다. 0.45μl 멤브레인(membrane filter)로 여과 후 희석하여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양성대조구는 시판 중인 통조림형태의 습식형 간식이며, 대조구는 풀무치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습식형 간식이다.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7 및 8에 나타내었다.
풀무치 첨가량에 따른 습식형 간식의 아미노산 함량 (mg/100g)
구분 양성대조구 대조구 1% 첨가 2% 첨가 3% 첨가 4% 첨가 5% 첨가
Threonine 4.7±0.3 37.0±4.2 54.6±6.2 47.8±5.4 24.7±2.8 48.3±5.5 47.2±5.3
Cystine 49.7±3.2 23.4±2.9 60.0±2.4 59.0±3.6 62.5±0.7 67.7±4.3 75.4±4.4
Methionine 76.4±1.4 50.1±1.1 77.3±4.1 73.2±3.1 81.7±1.9 79.7±4.7 79.0±1.8
Tyrosine 43.1±1.2 6.0±0.1 113.7±3.6 126.0±7.1 125.5±3.9 139.9±6.7 153.5±4.8
Proline 86.5±2.7 0.0±0.0 341.9±3.1 302.7±8.9 281.7±9.1 342.6±9.3 723.1±6.6
Arginine 81.0±2.1 18.2±0.5 48.3±1.4 47.8±1.4 93.4±2.8 96.4±2.9 65.4±1.9
총아미노산 2,596.4±47.4 2,738.0±74.8 3,975.0±144.9 4,480.8±171.3 4,922.6±44.2 5,267.4±223.0 6,393.8±176.9
필수아미노산 344.4±33.4 275.2±23.6 461.8±11.2 443.3±13.3 480.3±32.9 439.9±36.8 473.3±39.8
풀무치 첨가량에 따른 반습식형 간식의 아미노산 함량 (mg/100g)
구분 양성대조 대조구 처리1 처리2 처리3
Threonine 23.1±1.2 22.0±2.1 23.2±2.1 24.4±1.5 24.9±2.5
Cystine 46.2±2.5 47.5±1.8 57.5±0.6 55.7±4.7 60.6±3.7
Methionine 60.2±0.9 62.5±2.0 73.3±1.3 78.9±0.9 80.8±2.2
Tyrosine 85.5±3.2 90.1±4.3 106.2±1.4 109.9±3.6 111.6±3.9
Proline 13.6±2.3 13.6±0.2 41.1±0.6 38.1±0.4 41.3±3.5
Arginine 50.7±0.8 137.1±4.8 162.7±2.0 171.0±2.8 178.8±1.6
총아미노산 2,444.6±53.4 2,555.6±97.1 2,970.1±39.1 3,077.4±71.7 3,140.6±93.3
필수아미노산 522.7±2.9 577.4±21.4 679.1±4.3 681.2±2.6 728.4±11.5
상기 표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예 2의 풀무치 분말을 함유하는 습식형 반려견 간식은 풀무치 분말을 무첨가한 경우(대조구)에 비하여 총 아미노산 함량 및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모두 약 1.5 내지 2배 이상 증가하였다. 특히, 반려견이 선호하는 풀무치 분말 함유량이 1%인 경우 풀무치 분말 함유량 2% 및 4%인 경우에 비하여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상기 표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예 3의 풀무치 분말을 함유하는 반습식형 반려견 간식은 풀무치 분말을 무첨가한 경우(대조구)에 비하여 총 아미노산 함량 및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약 16 내지 18% 증가하였다.
실시예 4: 반려견의 모질 개선 효과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선호도가 좋은 풀무치 분말 1% 함유된 반려견 간식을 1개월 동안 반려견에게 오전 및 오후 하루에 2번 100g씩 간식으로 급여하였다. 그 결과로서, 도 1 및 도 2는 제조예 2의 습식형 간식을, 도 3은 제조예 3의 반습식형 간식을 급여한 결과이다. 도 1 내지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간식은 반려견의 듬성등성한 털을 풍성하고 윤기나게 하여 모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풀무치 분말과 풀무치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닭가슴살 5000 내지 6000 중량부, 쇠고기다짐육 300 내지 700 중량부, 젤라틴 100 내지 300 중량부, 야채 후레이크 200 내지 300 중량부, 비타민 1 내지 3 중량부, 및 미네랄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의 모질 개선용 반려견 반습식형 간식 조성물.
  4. 풀무치 분말과 풀무치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오리 3000 내지 3400 중량부, 고구마 4300 내지 4700 중량부, 타피오카 800 내지 1200 중량부, 야채류 800 내지 1200 중량부, 비타민 90 내지 110 중량부, 및 미네랄 90 내지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의 모질 개선용 반려견 습식형 간식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풀무치는 성충이 된 후 20 내지 30일째 되는 풀무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의 모질 개선용 반려견 반습식형 간식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풀무치는 성충이 된 후 20 내지 30일째 되는 풀무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의 모질 개선용 반려견 습식형 간식 조성물.
KR1020200003086A 2020-01-09 2020-01-09 풀무치 분말을 포함하는 모질개선용 반려견 간식 KR102491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086A KR102491099B1 (ko) 2020-01-09 2020-01-09 풀무치 분말을 포함하는 모질개선용 반려견 간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086A KR102491099B1 (ko) 2020-01-09 2020-01-09 풀무치 분말을 포함하는 모질개선용 반려견 간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918A KR20210089918A (ko) 2021-07-19
KR102491099B1 true KR102491099B1 (ko) 2023-01-25

Family

ID=7712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086A KR102491099B1 (ko) 2020-01-09 2020-01-09 풀무치 분말을 포함하는 모질개선용 반려견 간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0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77835A (zh) * 2022-12-01 2023-03-14 佩蒂动物营养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无添加鸭肉及其生产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068B1 (ko) * 2018-01-31 2019-05-24 주식회사 바이오피이드 애완동물용 닭고기 사료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822A (ko) 2001-06-27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1385764B1 (ko) 2011-12-29 2014-04-21 재단법인 한국삽살개재단 개의 모질에 대한 유전자 마커 및 그 진단방법
KR101985910B1 (ko) * 2016-12-29 2019-06-04 주식회사 알파벳 벼메뚜기를 이용한 동물 사료용 조성물
KR102011136B1 (ko) * 2017-10-27 2019-08-14 이대균 반려동물용 기능성 습식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5662B1 (ko) 2017-11-08 2019-10-24 대한민국 풀무치 사육용 인공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풀무치의 인공 사육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068B1 (ko) * 2018-01-31 2019-05-24 주식회사 바이오피이드 애완동물용 닭고기 사료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농업경제신문 기사, "전남농기원, 풀무치이용 반려견 기능성 보조사료 개발추진"(:2019.07.11.)*
농업기술실용화지원사업 최종보고서 "곤충을 첨가한 반려견 사료"(2019.11.발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918A (ko) 202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jernsbekk et al. Raw mechanically separated chicken meat and salmon protein hydrolysate as protein sources in extruded dog food: effect on protein and amino acid digestibility
Vaga et al. Effect of red clover-only diets on house crickets (Acheta domesticus) growth and survival
KR102491099B1 (ko) 풀무치 분말을 포함하는 모질개선용 반려견 간식
Skurray The nutritional evaluation of meat meals for poultry
Onimisi et al. Evaluation of poultry litter as feedstuff for growing rabbits
CN103652430B (zh) 用于预防pse猪肉的饲料添加剂及使用方法和功能饲料
KR101604223B1 (ko) 옥, 광물질, 해조류, 거저리 및 바실러스 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해삼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383868B (zh) 一种宠物多肽营养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Mamo et al. Effect of different proportions of wheat bran and Noug seed cake mixture supplementation on feed intake, digestibility and body weight change of Salale sheep type fed natural grass hay as basal diet
KR100937552B1 (ko) 쑥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14747686A (zh) 一种含天然虾青素的宠物猫粮
JPH11127797A (ja) 伴侶動物用飼料及びその製造方法
Bollido Growth Performance and Profitability of Broilers Chickens with Vermi meal Supplementation under Total Confinement Management
KR20220111096A (ko) 크레아틴 및 옥타코사놀을 포함하는 기능성 사료 조성물
CN112753894A (zh) 一种无鱼粉黄颡鱼饲料及其应用
Nwogor et al. Effect of Locally Produced Blood Meal on Growth Performance and Packed Cell Volume of Broiler Chicks
Oyewole et al. Growth performance and bio-economic indices of varying mixtures of grass-legume pellets fed to West African dwarf (wad) goats
KR20050080380A (ko) 셀레늄 보증란 및 셀레늄 배합사료
CN1038572A (zh) 高效能添加饲料
WO2019000483A1 (zh) 一种肉丝状宠物食品及其制备方法
CN112471352B (zh) 一种用于预防鹅翻翅症的复合饲料添加剂及其鹅料
CN104970193A (zh) 一种适用于斗鱼食用的饲料
KR20120080793A (ko) 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Orire et al. Evaluation of growth performance and body composition of Clarias gariepinus for graded level inclusion of soybean waste
RU2727434C1 (ru) Кормовые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и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