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851B1 -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851B1
KR102490851B1 KR1020220057785A KR20220057785A KR102490851B1 KR 102490851 B1 KR102490851 B1 KR 102490851B1 KR 1020220057785 A KR1020220057785 A KR 1020220057785A KR 20220057785 A KR20220057785 A KR 20220057785A KR 102490851 B1 KR102490851 B1 KR 102490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ind
air
flow rat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현대강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강전(주) filed Critical 현대강전(주)
Priority to KR1020220057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851B1/ko
Priority to PCT/KR2023/006357 priority patent/WO20232194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45Ducts
    • F04D29/547Ducts having a special shape in order to influence flui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2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유도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원통형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생성모듈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며, 원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 내부의 유동장에 압력구배가 발생되도록 하는 유속향상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속향상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를 통해 유입되어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냉각 및 고온 공기가 원거리까지 송풍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A long-range blast system}
본 발명은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되는 공기가 회오리형으로 유동되도록 하여 원거리 송풍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기는, 바람을 일으켜 보내는 기계로, 사물를 식히거나,실내외 환기, 건조, 분무 및 방제 등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송풍기는 크게 압력식, 축류식, 원심식 등 터빈의 형태에 따라 여러 방식이 존재한다. 다만, 이러한 송풍기는 바람을 일으켜 보낼 수 있는 범위가 한정적임에 따라 골프장의 그린과 같이 광범위한 지대에서 골퍼들이 자유롭게 운동을 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으며 잔디의 관리를 위한 송풍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들어, 초겨울, 밤에 내려간 기온에 의해 얼어버린 그린이나 그린의 서리를 녹이기 위한 고온공기, 고온다습한 여름철에는 건조공기 및 냉각공기 등의 송풍을 통해 잔디가 관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송풍기의 한계로 인해 이처럼 넒은 지대에서 배관이나 덕트를 설치하지 않고는 송풍되는 바람이 잔디에 도달하기 전에 흩어지므로 실질적으로 송풍 효율이 급격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송풍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68324호를 살펴보면, 농축산용 미스트 송풍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근거리에서는 너무 강한 풍력에 의해 잔디나 지면이 손상될 수 있으며, 원거리에서는 충분한 송풍이 이루어지지 않아 광범위한 지대에서의 송풍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68324호 (2015.11.05.)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후에 따라 시원한 바람, 냉각공기, 건조공기 및 고온공기 등 잔디관리를 위한 공기가 원거리까지 송풍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에 있어서, 공기의 유동방향이 유도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출구측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의 원통형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공기를 유입시켜 바람을 일으키는 바람생성모듈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며 원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바람생성모듈에 의해 형성된 바람이 상기 본체부 내부를 이동할 때, 상기 본체부 내부 유동장에 압력구배가 발생되도록 하여 바람의 풍속을 향상시키는 유속향상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회오리형 날개로 구성되어, 상기 바람생성모듈에서 생성된 바람이 유동될 때, 상기 바람이 상기 회오리형 날개의 곡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유도하여 회오리형 바람과 코안다 현상을 일으키는 회오리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오리생성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에서 유동되는 바람이 직진하지 못하게 회오리형으로 유동되도록 하고 코안다 현상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베르누이 법칙에 따라 상기 바람의 유속이 향상되도록 하여, 원거리 송풍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사물를 식히는 바람, 냉각 및 고온 공기와 분무공기가 원거리까지 송풍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의 내부에서 바람과 압력구배가 발생되도록 하고, 공기가 나선형으로 유동되도록 하여 송풍거리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 내부에서 압력이 낮아지는 부분에 유입구가 마련되도록 하여 외기의 유입을 유도함으로써, 송풍되는 유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의 후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의 유속향상부와 회오리생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외주면에 단열방음부가 코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개시된 터빈의 형태에 따른 유속향상부의 상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의 바람생성모듈이 항력식 터빈으로 마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은, 공기의 유동방향이 유도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출구측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의 원통형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후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공기를 유입시켜 바람을 일으키는 바람생성모듈(2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마련되며 원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바람생성모듈(200)에 의해 형성된 바람이 상기 본체부(100) 내부를 이동할 때, 상기 본체부(100) 내부 유동장에 압력구배가 발생되도록 하여 바람의 풍속을 향상시키는 유속향상부(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주면과 상기 유속향상부(300) 사이에 구비되는 회오리생성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회오리생성부(120)는, 상기 바람생성모듈(200)과 인접하는 상기 본체부(100)의 입구측에서부터 출구측까지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사선지게 연장되는 다수개의 회오리형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회오리형 날개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내주면과 상기 유속향상부(300) 외주면 사이의 유로가 다수개로 구획되어, 상기 본체부(100) 내부를 통과하는 바람이 상기 회오리형 날개의 곡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회오리형 바람으로 유도된다. 그리고, 상기 회오리생성부에 의해 변화된 회오리형 바람은, 상기 회오리형 날개의 곡면, 상기 본체부(100)의 둥근 내주면의 곡면 및, 상기 유속향상부(300)의 둥근 외주면의 곡면을 따라 유동하여 코안다 현상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베르누이 법칙에 의해 상기 바람의 유속이 향상되도록 하여, 원거리 송풍이 가능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본체부(100)는, 중공형의 원통 형태로 마련되며 양단부가 개방되나 출구측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상기 바람생성모듈(20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의 후단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일방향으로 유동되어 송풍될 수 있도록 하는 유로의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에서 공기가 회전되어 회오리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하여 분출된 공기가 원거리까지 송풍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유속향상부(300)는, 외주면이 유선형을 이루는 회전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00) 내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과 압력이 변동될 수 있도록 하여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회오리생성부(120)는, 상기 바람생성모듈(20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부(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오리형으로 회전하며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상기 회오리생성부(12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사선지게 연장되는 다수개의 회오리형 날개형태로 마련된다. 즉, 상기 회오리생성부(120)는, 상기 본체부(100)를 통과하는 바람이 다수로 구획되도록 하고 구획된 공기가 회오리형으로 유동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00)를 통과하여 분출된 공기는 회오리가 형성되어 원거리까지 송풍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부(100)는, 적어도 4개 이상의 회오리형 날개로 구성된 회오리생성부(120)를 구비하여, 상기 바람생성모듈(200)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본체부(100) 내를 이동하는 바람이 상기 회오리생성부(120)의 회오리형 날개 곡면을 따라 흐르도록 유도함으로써, 코안다 현상이 일어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회오리생성부(120)는, 상기 본체부(100) 내를 이동하는 바람이 상기 회오리생성부(120)를 따라 대각선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코안다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부(100) 내를 이동하는 바람이 상기 본체부(100)의 둥근 내주면과 상기 유속향상부(300)의 둥근 외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직진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대각선(사선 또는 회오리형)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곡면 이동에 의한 코안다 현상이 발생되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이, 회오리생성부(120)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서 이동되는 바람은, 상기 회오리생성부(120)의 양쪽 날개면 2면과, 상기 본체부(100) 내주면 및 상기 유속향상부(300) 외주면 2면을 합한 4면 모두에서 각각 코안다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되는 코안다 현상은 베르누이 법칙에 의해 유체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킴으로 인해 상기 본체부(100)의 출구측에서 분출되는 바람이 보다 빠르게 이동되므로, 바람이 원거리까지 보내질 수 있다. 역설적으로, 상기 회오리생성부(120)의 다수개의 날개 전면과 후면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의 내주면과 상기 유속향상부(300) 외주면은 통과하는 공기가 회오리 바람을 일으켜 코안다 현상을 일으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오리생성부(120)가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각도는 이동하는 바람의 속도에 따라 효율이 다를 수 있으나, 상기 본체부(100)를 기준으로 2도 내지 15도 이내가 바람직하며, 구비되는 방향은 상기 바람생성모듈(200)의 터빈이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해야 한다. 또한, 상기 회오리생성부(120) 자체의 휘임 각도는 바람의 이동 속도와 상기 본체부(100)와 유속향상부(300)의 크기에 따른 각도 그리고 바람을 일으키는 터빈의 형태에 따라 여러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휘임 형태는 상기 터빈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유속향상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중심축에 해당되는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양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로 마련되나, 상기 바람생성모듈(200)의 내부에 마련되는 임펠러의 종류에 따라 형태의 일부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임펠러를 회전시켜 바람을 일으키기 위한 전동기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물고 임펠러(날개)가 설치되는 보스가 바람을 생성하는 터빈의 가운데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빈은 양력식터빈(210)으로, 상기 샤프트와 보스는 바람을 생성하지 못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상기 유속향상부(300) 후단 중앙부쪽으로는 바람이 오질 않아 로스를 줄이고 효율를 높이기 위해 상기 유속향상부(300)의 공기 유입쪽이 유선형이 아닌 단절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경우 상기 유속향상부(300)의 형태가 도 7의 (a)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내주면과 유속향상부(300) 간의 간격은 상기 유속향상부(300)의 중심부 또는 직경이 큰 부분에서 가장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00) 내에 형성되는 유동장은, 상기 유속향상부(300)의 직경변화에 따라 체적이 커지거나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속향상부(300)의 중심부 또는 직경이 큰 부분에서의 체적이 가장 작음으로 인해, 상기 유속향상부(300)의 중심부 또는 직경이 큰 부분에서 유속이 가장 빠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르누이의 법칙에 따르면, 상기 유속향상부(300)의 중심부 또는 직경이 큰 부분에서 유속이 가장 빠르므로, 상기 본체부(100) 내 유동장에서 압력이 가장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속향상부(300)는, 상기 본체부(1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속향상부(300)의 경사면은, 2도 내지 15도의 각도로 마련되어, 상기 유속향상부(300)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에 저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유속향상부(300)의 각도가 2도 미만으로 형성되면, 상기 본체부(100) 내에 형성되는 유동장에 압력구배를 형성하기 어렵고 상기 유속향상부(300)가 길어져서 설치상에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속향상부(300)의 각도가 15도 이상으로 형성되면,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유속향상부(300)의 경사면에 부딪히며 항력이 발생되어 유속이 저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오리생성부(120)의 회오리 각도와 휘임 각도 및 상기 유속향상부(300)의 경사 각도는 바람의 유속과 상기 터빈(210, 410)의 종류와 사용 용도 등에 따라 달라지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원주에는 상기 본체부(100) 둘레를 따라 개방되는 원형 띠 형태의 유입구(1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0)는, 상기 유속향상부(300)에 의한 본체부(100) 내부의 압력구배에 따라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압력이 가장 낮게 형성되는 부분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100) 내,외부의 압력차를 통해 상기 본체부(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 내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유입구(1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원주면 일부가 개방되어 띠 형태의 홀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유속향상부(300)와 근접하게 구비되는 유입구(110)는 상기 유속향상부(300)의 중심부 또는 직경이 큰 부분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유입구(110)는, 상기 유속향상부(30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 내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압력이 가장 낮게 형성되는 부분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110)측의 압력이 대기보다 낮아져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는 벤츄리 효과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상기 유속향상부(300)를 구비하여 상기 유속향상부(300)와 상기 유입구(110)와의 간격을 줄일 수 있어 바람이 통과하는 면적도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본체부(100)의 외경을 줄이지 않고 상기 유입구(110)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본체부(100)의 바람의 이동 속도를 높일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본체부(100) 경을 줄이지 않는다 함은, 일반적으로 벤츄리 효과를 이용할 때 관의 경을 줄여 유속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이용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부(100)의 경을 줄이지 않고 벤츄리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뜻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00)의 관경을 줄이지 않고 벤츄리 효과를 얻을수 있다는 의미는 상기 본체부(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상기 유입구(110)의 면적이 커지는 것으로, 공기의 양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수 있는 특징을 갖게된다. 또한, 상기 유입구(110)는, 상기 유입구(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라운딩부(111) 및, 차단막(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운딩부(111)는,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상기 본체부(100) 내에서 유동되는 공기와 합류가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서 이동하는 유체의 이탈를 방지한다. 일례로, 상기 라운딩부(111)는,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마련된다. 즉, 상기 라운딩부(111)는, 상기 유입구(110)의 둘레를 따라 이어지도록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으로 곡면이 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상기 라운딩부(111)에 의해 자연스럽게 본체부(100) 내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함께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막(112)은,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면에 상기 라운딩부(111)와 대응되도록 칸막이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마련될 시, 상기 차단막(112)은, 상기 본체부(100) 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본체부(100)의 바깥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보다 원만히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바람생성모듈(200)은, 상기 본체부(100)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작동 시에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공기가 송풍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상기 바람생성모듈(200)은, 상기 본체부(100)의 주축과 수직되는 터빈 형태로 마련되며, 공기가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양력식터빈(210), 상기 본체부(100) 내에 유입되는 공기가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냉각모듈(220), 상기 본체부(100) 내에 유입되는 공기에 수분이 함유될 수 있도록 하는 분무모듈(230), 상기 냉각모듈(220)과 분무모듈(230)과 양력식터빈(210)이 연결되도록 하는 전달관(240) 및, 상기 본체부(100)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막는 안전커버(26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안전커버(260)는,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매쉬 망형태로 마련되며, 이물질이 용이하게 차단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여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력식터빈(210)은, 상기 본체부(100)의 중심축과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회전되는 동력 전달축에 의해 회전되어 외기가 상기 본체부(100)의 후단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냉각모듈(220)은, 전력으로 가동되고 냉매를 통해 차가운 공기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분무모듈(230)은, 외부로부터 물를 공급받아 분무가 생성될수 있도록 전력으로 가동한다. 그리고, 상기 전달관(240)은, 상기 냉매모듈(220) 및 분무모듈(230)에서 생성된 차가운 공기와 분무가 상기 터빈(210, 410)에 전달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냉각모듈(220)과 분무모듈(230)에 의해, 차가운 공기 또는 분무가 상기 본체부(100) 내에 전달되어, 상기 본체부(100)를 통과하여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거나, 공기에 수분이 함유될 수 있다. 이때, 수분이 함유되어 송풍되는 바람이 잔디와 지면을 마찰하며 지나가게 되면, 바람과 일부분의 수분은 상기 잔디와 지면을 식히며 지나가지만 대부분의 수분은 잔디와 지면에 남게 되는데, 남은 수분이 증발하게 되면서 주변 공기에 대한 흡열반응을 일으켜 효과적으로 잔디와 지면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람생성모듈(200)은, 상기 바람생성모둘(200)과 상기 본체부(100)를 지지함과 동시에 기설정된 제어에 따라 회동될 수 있는 상,하.좌,우 조정장치(420)와 지지대(25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속향상부(300)는, 상기 유속향상부(300)에 내장되어 상기 유속향상부(300)가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전열기구(3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열기구(310)는, 전력을 통해 열을 생성하여 상기 유속향상부(300)가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상기 전열기구(310)에 의해 상기 유속향상부(300)가 가열되는 경우, 열전도와 복사열 및 적외선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를 통과하는 공기는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열기구(310)는, 상기 본체부(100)를 통과하는 공기를 데워 건조한 온풍이 송풍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100)를 통과한 공기가 회오리지며 원거리까지 송풍될 수 있도록 하며, 선택적으로 수분을 함유한 공기, 차가운 공기 및 따뜻한 공기가 송풍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면에는 단열을 위한 단열재와 방음을 위한 방음재로 구성된 단열방음부(43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방음부(430)는 코팅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원거리용 송풍시스템도 지상 또는 고정식다이 및 이동식다이에 상기 지지대(250)로 지지되고, 상기 좌,우,상,하 조정장치(420)로 조정하면 바람 분출구쪽으로 4방향 송풍이 가능하도록 할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바람생성모듈(200)의 하단부와 상기 지지대(250) 사이에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바람생성모듈(200)을 좌우와 상하로 각각 회동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회전축과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좌,우,상,하 조정장치(420)를 구비하면, 상기 조정장치(420)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넓은 지역으로 송풍은 물론 의도한 방향으로의 송풍이 가능해질 것이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상기 바람생성모듈(400)은,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항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항력식터빈(410)을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100)의 후단부를 통해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된다면, 어느 형태의 터빈이 상기 본체부(100)의 후단부에 마련되더라도, 본 발명의 주목적인 원거리까지의 송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당연하다. 단, 상기 유속향상부(300)의 형태는 도 1 내지 도 5와는 달리 부분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내지 도 5에서는 도 7의 (a)와 같이 공기 유입구 쪽이 단절형인 유속향상부(300)를 적용하였으나, 상기 항력식터빈(410)을 적용할 시에는 상기 본체부(100) 입구로 들어오는 바람의 구성이 상이하여 도 7의 (b)와 같이 양쪽 단부가 유선형이며 가운데의 직경이 큰 상기 유속향상부(300)를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상기 항력식터빈(410)은 구조상 전동기의 샤프트와 임펠러가 설치되는 보스가 바람이 유입되는 쪽에 있어 바람을 일으키는 형태가 상기 양력식터빈(210)과는 상이하므로 바람의 구성 또한 상이하여, 상기 본체부(100) 입구로 들어오는 바람이 가운데가 비어있지 않고 채워져서 들어오므로 공기의 저항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는 상기 유속향상부(300)의 바람 유입측의 형태가 유선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체부
110 : 유입구
111 : 라운딩부
112 : 차단막
120 : 회오리생성부
200 : 바람생성모듈
210 : 양력식터빈
220 : 냉각모듈
230 : 분무모듈
240 : 전달관
250 : 지지대
260 : 안전커버
300 : 유속향상부
310 : 전열기구
400 : 바람생성모듈
410 : 항력식터빈
420 : 상,하,좌,우 조정장치
430 : 단열방음부

Claims (6)

  1. 공기의 유동방향이 유도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출구측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의 원통형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공기를 유입시켜 바람을 일으키는 바람생성모듈; 및
    상기 본체부 내부에 원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바람생성모듈에 의해 형성된 바람이 상기 본체부 내부를 유동할 때, 상기 본체부 내부 유동장에 압력구배가 발생되도록 하여 바람의 풍속을 향상시키는 유속향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과 상기 유속향상부 사이에 구비되는 회오리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오리생성부는, 상기 바람생성모듈과 인접하는 상기 본체부의 입구측에서부터 출구측까지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사선지게 연장되는 다수개의 회오리형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회오리형 날개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과 상기 유속향상부 외주면 사이의 유로가 다수개로 구획되어, 상기 본체부 내부를 통과하는 바람이 상기 회오리형 날개의 곡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회오리형 바람으로 유도되며,
    상기 회오리생성부에 의해 변화된 회오리형 바람은, 상기 회오리형 날개의 곡면, 상기 본체부의 둥근 내주면의 곡면 및, 상기 유속향상부의 둥근 외주면의 곡면을 따라 유동하여 코안다 현상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베르누이 법칙에 의해 상기 바람의 유속이 향상되도록 하여, 원거리 송풍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원형 띠 형태의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본체부 내부에 상기 유속향상부가 구비됨으로 인해 상기 본체부의 외경이 커지더라도, 상기 본체부 내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며 압력이 낮아지므로, 벤츄리 효과에 의해 많은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송풍되는 바람의 양이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온도가 외부요인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의 소음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하는 단열방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생성모듈은,
    상기 본체부의 주축과 수직되는 터빈 형태로 마련되며, 공기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양력식터빈;과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항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항력식터빈;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생성모듈은,
    상기 본체부 내에 유입되는 공기가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냉각모듈;
    상기 본체부 내에 유입되는 공기에 수분이 함유될 수 있도록 하는 분무모듈;
    상기 본체부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막는 안전커버;
    상기 본체부와 바람생성모듈이 기설정된 제어에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상,하 조정장치; 및
    상기 본체부와 바람생성모듈 및 조정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향상부는,
    상기 유속향상부에 내장되어 상기 유속향상부와 회오리생성부 및 본체부 내부가 가열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바람생성모듈에서 일으키는 바람이 따뜻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열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

KR1020220057785A 2022-05-11 2022-05-11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 KR102490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785A KR102490851B1 (ko) 2022-05-11 2022-05-11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
PCT/KR2023/006357 WO2023219418A1 (ko) 2022-05-11 2023-05-10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785A KR102490851B1 (ko) 2022-05-11 2022-05-11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0851B1 true KR102490851B1 (ko) 2023-01-20

Family

ID=85108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785A KR102490851B1 (ko) 2022-05-11 2022-05-11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0851B1 (ko)
WO (1) WO20232194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418A1 (ko) * 2022-05-11 2023-11-16 현대강전 주식회사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491Y1 (ko) * 2000-01-08 2000-06-15 주식회사신성이엔지 천장 설치용 공기혼합장치
JP2012506514A (ja) * 2008-10-24 2012-03-15 モセン エルティーディー 改良型のトンネル換気装置
KR20130138920A (ko) * 2012-06-12 2013-12-20 김태섭 통기구를 포함하는 이중구조의 은닉 날개 선풍기 또는 송풍기
KR101568324B1 (ko) 2015-05-26 2015-11-13 주식회사 금강그린팬 농축산용 미스트 송풍장치
KR20180069612A (ko) * 2016-12-15 2018-06-25 코웨이 주식회사 송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851B1 (ko) * 2022-05-11 2023-01-20 현대강전(주)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491Y1 (ko) * 2000-01-08 2000-06-15 주식회사신성이엔지 천장 설치용 공기혼합장치
JP2012506514A (ja) * 2008-10-24 2012-03-15 モセン エルティーディー 改良型のトンネル換気装置
KR20130138920A (ko) * 2012-06-12 2013-12-20 김태섭 통기구를 포함하는 이중구조의 은닉 날개 선풍기 또는 송풍기
KR101568324B1 (ko) 2015-05-26 2015-11-13 주식회사 금강그린팬 농축산용 미스트 송풍장치
KR20180069612A (ko) * 2016-12-15 2018-06-25 코웨이 주식회사 송풍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418A1 (ko) * 2022-05-11 2023-11-16 현대강전 주식회사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9418A1 (ko)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14453B (zh) 壁挂式室内机及空调器
KR102490851B1 (ko) 원거리용 송풍 시스템
WO2018064923A1 (zh) 空调出风部件、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101647319B1 (ko) 온실용 공기 순환장치
WO2017202056A1 (zh) 一种具有多方向出风的空调器及其出风控制方法
CN104390267B (zh) 空调器及该空调器的送风方法
CN107314452A (zh) 壁挂式室内机及空调器
CN110762618A (zh) 一种可逆送风的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05352152A (zh) 空调器送风结构、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107559954A (zh) 壁挂式空调室内机及其导风板安装位置的选择方法
CN105352036B (zh) 空调室内机
CN104456883B (zh) 风道系统及其送风方法、具有该风道系统的风扇和空调器
CN107702202A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207936229U (zh) 空调室内机
CN105841241A (zh) 空调柜机
CN210050964U (zh) 一种利用螺旋气流的空调导风装置
CN209558509U (zh) 转筒组件和具有其的空调器
CN109974269A (zh) 一种利用螺旋气流的空调导风装置及方法
KR101263615B1 (ko)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CN207394978U (zh) 壁挂式室内机及空调器
CN207622412U (zh) 种子烘干机
CN206626676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6895160B2 (ja) 空調装置
CN109654604A (zh) 一种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107940934A (zh) 一种种子烘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