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125B1 -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125B1
KR102490125B1 KR1020200182668A KR20200182668A KR102490125B1 KR 102490125 B1 KR102490125 B1 KR 102490125B1 KR 1020200182668 A KR1020200182668 A KR 1020200182668A KR 20200182668 A KR20200182668 A KR 20200182668A KR 102490125 B1 KR102490125 B1 KR 102490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head
reading
lens
light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6967A (ko
Inventor
무 정
티에웨이 뤄
쥔 티엔
더지아오 후
이청 리우
Original Assignee
아메티스툼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메티스툼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메티스툼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86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by us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3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stor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8Modula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11B7/131Arrangement of detectors in a multiple arr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2Mirr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5Beam splitters or comb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4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specially adapted to record on, or to reproduce from, more than one track simultaneous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Holo Graphy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홀로그래픽 저장 기술 분야에 속하는 것으로, 양면 동시 기록/판독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은 직교 광의 상호 비간섭 특성과 볼륨 홀로그래픽 저장의 브래그 선택 특성을 이용하여, 홀로그래픽 저장 매체 동일 위치의 양측에서 2개의 광헤드를 사용하여 편광 방향으로 직교된 2개의 간섭 필드를 형성함으로써, 홀로그램에 대해 이중 경로 동시 기록/판독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은 홀로그래픽 저장의 이중 경로 병행 기록/판독을 구현하였으며, 시프트 멀티플렉싱과 원주 방향 멀티플렉싱을 함께 결합하여 정보 데이터 기록 및 판독 과정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홀로그래픽 저장의 용량을 개선하였다.

Description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및 방법 {HOLOGRAPHIC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ON TWO SIDES OF MEDIA}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멀티플렉싱 저장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록/판독 속도가 향상된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홀로그램의 멀티플렉싱 저장 기술 원리도이며, 이는 구면 기준파를 이용하여 시프트 멀티플렉싱 기록 및 홀로그램 재생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홀로그램이 기록된 후 매체를 조금만 이동해도 해당 홀로그램을 재생할 수 없다. 즉, 새로운 홀로그램을 다시 기록해야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그 원리에 따르면 신호광(ks), 기준광(kr) 및 격자 벡터(kg)는 공동으로 삼각형을 구성하며, 매체가 이동하면 원래의 삼각형이 파괴되어 홀로그램이 재생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프트 멀티플렉싱 기록 방식에서는 홀로그램을 x축 방향(자기 트랙 방향)으로 3 내지 5μm 간격으로 덮어쓰기 기록할 수 있으나, y축 방향(자기 트랙에 수직 방향) 상에서 약 250 내지 600μm 이동해야 하며, 이러한 시프트량을 시프트 선택성이라고 부른다.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끊임없이 시프트 멀티플렉싱을 수행함으로써, 홀로그램을 전체 저장 매체 상에 기록할 수 있으나, y축 방향의 시프트 선택성이 약하기 때문에 저장 멀티플렉싱 수에 여전히 비교적 큰 제한이 있으며 저장 밀도가 개선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플렉싱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이러한 2차원 기록 방식을 기반으로 원주 방향으로 저장 매체를 회전시키고 덮어쓰기 기록, 즉 원주 방향 회전 멀티플렉싱을 수행함으로써 멀티플렉싱 수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먼저 시프트 멀티플렉싱 기록을 통해 하나의 2차원 홀로그램 어레이를 획득하고, 이어서 저장 매체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며, 상기 각도는 교차각이다. 그 후 하나의 새로운 2차원 홀로그램 어레이를 기록하고 이전 어레이와 서로 중첩시키는데, 이러한 시프트 멀티플렉싱과 원주 방향 회전 멀티플렉싱을 결합한 기록 방법을 크로스 시프트 멀티플렉싱 기록이라고 한다. 바람직하게는 교차각은 45° 이상이어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크로스 시프트 멀티플렉싱 저장 시스템이라고 부르며, 이는 용량을 늘리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이 방법을 적용하면 저장 매체 하나의 저장 용량이 수십 TB에 달할 수 있다(저장 매체 직경 120mm). 그러나 시프트 멀티플렉싱 저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저장 매체 또는 광헤드가 끊임없이 정지와 시프트 조작을 수행해야 하므로 기록과 판독 속도가 제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결함(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직교 편광의 2세트 광을 이용하여 각각 저장 매체의 상하 양면이 동시에 홀로그램의 기록/판독을 수행하도록 하여, 저장과 판독 속도를 배로 늘릴 수 있으며, 종래 기술에서 데이터 기록/판독 속도가 느린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본 발명은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를 제공하며, 여기에서 저장 매체의 양측에 복수의 광헤드가 설치되고,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정보 기록/판독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매체의 양측에 2개의 광헤드가 설치되며, 2개의 광헤드는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정보 기록/판독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2개의 광헤드는 제1 광헤드와 제2 광헤드로 기록된다.
상기 장치에서 동일한 광헤드가 인출하는 신호광과 기준광은 비축(off-axis)이고, 홀로그램 기록 시 2개 광헤드 중의 신호광 또는 기준광은 서로 동축이며, 홀로그램 기록 시 2개 광헤드 사이 빔의 편광 방향은 서로 직교하고, 동일한 광헤드 내 신호광은 기준광 편광 방향과 동일하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광헤드 중 하나에 의해 기록된 홀로그램에 대해 판독을 수행할 때, 획득된 재생 신호광은 다른 광헤드 중의 광검출기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 장치는 저장 매체 이동 유닛을 더 포함하며, 이는 저장 매체를 이동시켜 저장 매체 양면에서 동시에 시프트 멀티플렉싱 저장을 수행한다.
제1 광헤드와 제2 광헤드는 바람직하게는 대칭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광헤드는 제1 레이저 출력 유닛, 제1 기준암(reference arm), 제1 빔 확장 필터 유닛 및 제1 신호암(signal arm)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레이저 출력 유닛은 제1 레이저 장치, 제1 셔터, 제1 편광판, 제1 빔 성형기 및 제1 탈편광 빔 스플리터를 포함하고, 제1 기준암은 제1 반사 렌즈, 제1 반파장판 및 제1 집광 렌즈를 포함하고, 제1 빔 확장 필터 유닛은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1 저역 필터를 포함하고, 제1 신호암은 제1 광검출기, 제1 편광 빔 스플리터, 제1 공간광 변조기, 제1 릴레이 렌즈, 제2 저역 필터 및 제1 푸리에 렌즈를 포함한다.
제2 광헤드는 제2 레이저 출력 유닛, 제2 기준암, 제2 빔 확장 필터 유닛 및 제2 신호암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2 레이저 출력 유닛은 제2 레이저 장치, 제2 셔터, 제2 편광판, 제2 빔 성형기 및 제2 탈편광 빔 스플리터를 포함하고, 제2 기준암은 제2 반사 렌즈, 제2 반파장판 및 제2 집광 렌즈를 포함하고, 제2 빔 확장 필터 유닛은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3 저역 필터를 포함하고, 제2 신호암은 제2 광검출기, 제2 편광 빔 스플리터, 제2 공간광 변조기, 제2 릴레이 렌즈, 제4 저역 필터 및 제2 푸리에 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편광판 투광 방향은 수평 방향을 따르며, 레이저가 제1 탈편광 빔 스플리터로 입사된 후 신호광(A)과 기준광(B)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1 공간광 변조기는 입력 신호를 신호광(A)에 인가하여 그 편광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조정한다. 상기 제1 반파장판은 기준광(B) 편광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조정하며, 신호광(A)과 기준광(B)는 공동으로 S 기록 채널을 구성하고, 저장 매체 상에 간섭이 일어나 홀로그램이 형성되어 기록된다. 상기 제2 편광판 투광 방향은 수직 방향을 따르며, 레이저가 제2 탈편광 빔 스플리터로 입사된 후 신호광(C)과 기준광(D)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2 공간광 변조기는 입력 신호를 신호광(C)에 인가하여 그 편광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조정한다. 상기 제1 반파장판은 기준광(D) 편광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조정하며, 신호광(C)과 기준광(D)는 공동으로 P 기록 채널을 구성하고, 저장 매체 다른 일면의 동일 위치 지점에 간섭이 일어나 홀로그램이 형성되어 기록된다. 기록 위치는 제1 푸리에 렌즈와 제2 푸리에 렌즈의 후면 초점면에 위치한다.
대안으로, 제1 광헤드는 제1 레이저 출력 유닛, 제1 빔 결합 유닛, 제 1 기준암 및 제1 신호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제1 레이저 출력 유닛은 제1 레이저 장치, 제1 셔터, 제1 편광판 및 제1 빔 성형기를 포함하고, 제1 빔 결합 유닛은 제3 편광 빔 스플리터, 제3 공간광 변조기, 제3 반사 렌즈, 제3 릴레이 렌즈 및 제5 저역 필터를 포함하고, 제1 기준암은 제1 반사 렌즈 및 제1 집광 렌즈를 포함하고, 제1 신호 송수신 유닛은 제4 편광 빔 스플리터, 제3 반파장판, 제3 푸리에 렌즈, 제1 이미징 렌즈 및 제3 광검출기를 포함한다.
제2 광헤드는 제2 레이저 출력 유닛, 제2 빔 결합 유닛, 제2 기준암 및 제2 신호 송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2 레이저 출력 유닛은 제2 레이저 장치, 제2 셔터, 제2 편광판 및 제2 빔 성형기를 포함하고, 제2 빔 결합 유닛은 제5 편광 빔 스플리터, 제4 공간광 변조기, 제4 반사 렌즈, 제4 릴레이 렌즈 및 제6 저역 필터를 포함하고, 제2 기준암은 제2 반사 렌즈, 제4 반파장판 및 제2 집광 렌즈를 포함하고, 제2 신호 송수신 유닛은 제6 편광 빔 스플리터, 제4 푸리에 렌즈, 제2 이미징 렌즈 및 제4 광검출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3 편광 빔 스플리터는 입사광을 신호광(A)과 기준광(B)으로 분할하며, 여기에서 반사 기준광(B) 편광 방향은 수직 방향을 따르고, 투과 신호광(A) 편광 방향은 수평 방향을 따르고, 신호광(A)은 제3 반사 렌즈와 제3 공간광 변조기를 거친 후 제3 편광 빔 스플리터로 돌아가 기준광과 합쳐지고, 제4 편광 빔 스플리터는 신호광을 기준광과 다시 분리하며, 여기에서 투과 신호광(A)은 제3 반파장판을 거친 후 편광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조정하고, 반사 기준광(B)과 함께 S 기록 채널을 구성하며, 저장 매체 상에서 간섭을 일으켜 홀로그램을 형성하여 기록한다. 상기 제5 편광 빔 스플리터는 입사광을 신호광(C)과 기준광(D)으로 분할하며, 여기에서 반사 기준광(D) 편광 방향은 수직 방향을 따르고, 투과 신호광(C) 편광 방향은 수평 방향을 따르고, 신호광은 제4 반사 렌즈와 제4 공간광 변조기를 거친 후 제5 편광 빔 스플리터로 돌아가 기준광과 합쳐지고, 제6 편광 빔 스플리터는 신호광을 기준광과 다시 분리하며, 여기에서 투과 신호광(D)은 제4 반파장판을 거친 후 편광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조정하고, 투과 기준광(C)과 함께 P 기록 채널을 구성한다. 저장 매체 다른 일면의 동일 위치 지점 상에서 간섭을 일으켜 홀로그램을 형성하여 기록한다. 기록 위치는 제3 푸리에 렌즈와 제4 푸리에 렌즈의 후면 초점면에 위치한다.
다른 일 양상에 있어서, 본 발명은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저장 매체의 양측에 대칭으로 설치된 제1 광헤드와 제2 광헤드를 통해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정보를 기록/판독하며, 제1 광헤드에 의해 기록된 정보는 제2 광헤드 중의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되고, 제2 광헤드에 의해 기록된 정보는 제1 광헤드 중의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된다.
상기 방법은 구체적으로 S1: 제1 광헤드에서 인출하는 편광 방향이 수직 방향을 따르는 신호광과 기준광을 이용하여 S 기록 채널을 구성하고, 제2 광헤드가 동일한 위치에서 인출하는 편광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는 신호광과 기준광은 P 기록 채널을 구성하고, 동일한 광헤드에서 인출하는 신호광과 기준광은 저장 매체의 동일 위치에서 간섭을 일으키고 홀로그램을 형성하여 입력 신호를 기록하는 단계;
S2: 저장 매체를 이동하며, 저장 매체면 내에서 선형 시프트 멀티플렉싱과 원주 방향 회전 멀티플렉싱을 수행하고, 단계 S1을 반복하며, 저장 매체 상하 양측의 전체 표면에서 시프트 멀티플렉싱 저장을 수행하는 단계; 및
S3: 원래 S 기록 채널의 기준광을 이용하여 상응하는 위치에서 기록된 홀로그램을 재생하고, 그 회절광은 저장 매체를 통과하여 P 채널 중의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되고, 원래 P 기록 채널의 기준광을 이용하여 상응하는 위치에서 기록된 홀로그램을 재생하고, 그 회절광은 저장 매체를 통과하여 S 채널 중의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서 기준광은 모두 구면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서 2개의 신호광은 동축이어야 하며, 2개의 기준광은 동축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서 각 광헤드의 신호광과 기준광은 비축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서 광헤드를 소형화할 수 있다면, 4개 이상의 광헤드를 사용하여 동시에 기록 및 재생함으로써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램 저장 장치 및 이의 방법은 직교 편광의 상호 비간섭 특성 및 볼륨 홀로그램 저장의 브래그 선택 특성을 이용하여 홀로그래픽 저장 매체 동일 위치의 양측에서 2개 광헤드를 이용해 편광 방향 직교의 2개 간섭 필드를 형성하고, 홀로그램에 대해 이중 경로 동시 기록 및 판독을 수행한다. 상기 장치 및 방법은 홀로그래픽 저장의 이중 경로 병행 기록 또는 판독을 구현하였으며, 시프트 멀티플렉싱, 원주 방향 회전 멀티플렉싱, 편광 멀티플렉싱을 함께 결합하여 정보 데이터 기록 및 판독 과정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홀로그래픽 저장의 용량을 개선하였다.
본 발명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필요한 첨부 도면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창의적인 노력 없이 이러한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첨부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시프트 멀티플렉싱 기록 방법의 원리도이다.
도 2는 크로스 시프트 멀티플렉싱의 원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에 있어서 실시예 1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에 있어서 실시예 2의 구조도이다.
첨부 도면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에서 제1 광헤드(100)는 제1 레이저 출력 유닛(101): 제1 레이저 장치(1011), 제1 셔터(1012), 제1 편광판(1013), 제1 빔 성형기(1014) 및 제1 탈편광 빔 스플리터(1015); 제1 기준암(102): 제1 반사 렌즈(1021), 제1 반파장판(1022) 및 제1 집광 렌즈(1023); 제1 빔 확장 필터 유닛(103): 제1 렌즈(1031), 제2 렌즈(1032) 및 제1 저역 필터(1033); 및 제1 신호암(104): 제1 광검출기(1041), 제1 편광 빔 스플리터(1042), 제1 공간광 변조기(1043), 제1 릴레이 렌즈(1044), 제2 저역 필터(1045) 및 제1 푸리에 렌즈(1046)를 포함한다. 제 2 광헤드(200)는 제2 레이저 출력 유닛(201): 제2 레이저 장치(2011), 제2 셔터(2012), 제2 편광판(2013), 제2 빔 성형기(2014) 및 제2 탈편광 빔 스플리터(2015); 제2 기준암(202): 제2 반사 렌즈(2021), 제2 반파장판(2022) 및 제2 집광 렌즈(2023); 제2 빔 확장 필터 유닛(203): 제1 렌즈(2031), 제2 렌즈(2032) 및 제3 저역 필터(2033); 및 제2 신호암(204): 제2 광검출기(2041), 제2 편광 빔 스플리터(2042), 제2 공간광 변조기(2043), 제2 릴레이 렌즈(2044), 제4 저역 필터(2045) 및 제2 푸리에 렌즈(2046)를 포함한다.
실시예 2에서 제1 광헤드(100)는 제1 레이저 출력 유닛(101): 제1 레이저 장치(1011), 제1 셔터(1012), 제1 편광판(1013) 및 제1 빔 성형기(1014); 제1 빔 결합 유닛(105): 제3 편광 빔 스플리터(1051), 제3 공간광 변조기(1052), 제3 반사 렌즈(1053), 제3 릴레이 렌즈(1054) 및 제5 저역 필터(1055); 제1 기준암(102): 제1 반사 렌즈(1021) 및 제1 집광 렌즈(1023); 및 제1 신호 송수신 유닛(106): 제4 편광 빔 스플리터(1061), 제3 반파장판(1065), 제3 푸리에 렌즈(1062), 제1 이미징 렌즈(1063) 및 제3 광검출기(1064)를 포함한다. 제2 광헤드(200)는 제2 레이저 출력 유닛(201): 제2 레이저 장치(2011), 제2 셔터(2012), 제2 편광판(2013) 및 제2 빔 성형기(2014); 제2 빔 결합 유닛(205): 제5 편광 빔 스플리터(2051), 제4 공간광 변조기(2052), 제4 반사 렌즈(2053), 제4 릴레이 렌즈(2054) 및 제6 저역 필터(2055); 제2 기준암(202): 제2 반사 렌즈(2021) 및 제4 반파장판(2022) 및 제2 집광 렌즈(2023); 및 제2 신호 송수신 유닛(206): 제6 편광 빔 스플리터(2061), 제4 푸리에 렌즈(2062), 제2 이미징 렌즈(2063) 및 제4 광검출기(2064)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며, 설명된 실시예는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획득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발명의 첨부 도면은 예시적인 설명을 위해서만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없다. 이하의 실시예를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첨부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으며 이는 실제 제품의 크기를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첨부 도면에서 공지된 구조 및 그 설명이 생략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실시예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는 제1 광헤드(100), 제2 광헤드(200) 및 저장 매체(3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광헤드(100)는 편광 방향이 수직 방향을 따르는 신호광(A)과 기준광(B)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며, 제1 레이저 출력 유닛(101), 제1 기준암(102), 제1 빔 확장 필터 유닛(103) 및 제1 신호암(104)을 포함한다. 제2 광헤드(200)는 편광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는 신호광(C)과 기준광(D)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며, 제2 레이저 출력 유닛(201), 제2 기준암(202), 제2 빔 확장 필터 유닛(203) 및 제2 신호암(204)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제1 레이저 출력 유닛(101)은 제1 레이저 장치(1011), 제1 셔터(1012), 제1 편광판(1013), 제1 빔 성형기(1014) 및 제1 탈편광 빔 스플리터(1015)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레이저 장치(1011)에서 방출된 빔은 제1 셔터(1012), 제1 편광판(1013) 및 제1 빔 성형기(1014)를 거친 후, 레이저 편광 방향은 수평 방향으로 엄격하게 제어하고 제1 탈편광 빔 스플리터(1015)로 입사하여 반사 기준광과 투과 신호광을 획득한다. 여기에서 반사 기준광은 제1 기준암(102)으로 진입하며, 투과광은 제1 빔 확장 필터 유닛(103)으로 진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 장치(1011)는 반도체 레이저 장치이고, 제1 셔터(1012)는 노출을 제어하고, 제1 편광판(1013)은 편광 방향을 조정하고, 제1 빔 성형기(1014)는 반도체 레이저 장치(1011)에 의해 방출되는 불규칙한 빔을 성형한다.
제1 기준암(102)은 제1 반사 렌즈(1021), 제1 반파장판(1022) 및 제1 집광 렌즈(1023)를 포함하고, 수평 편광 반사광은 제1 반사 렌즈(1021), 제1 반파장판(1022) 및 제1 집광 렌즈(1023)를 거친 후 편광 방향이 수직 방향을 따르는 구면파 기준광(B)을 획득한다.
제1 빔 확장 필터 유닛(103)은 제1 렌즈(1031), 제2 렌즈(1032) 및 제1 저역 필터(1033)를 포함하고, 수평 편광된 투과 신호광은 빔 확장 필터링 후 제1 신호암(104)으로 입사된다.
제1 신호암(104)은 제1 광검출기(1041), 제1 편광 빔 스플리터(1042), 제1 공간광 변조기(1043), 제1 릴레이 렌즈(1044), 제2 저역 필터(1045) 및 제1 푸리에 렌즈(1046)를 포함한다. 수평 편광 신호광은 제1 편광 빔 스플리터(1042)에 진입한 후에 투과만 발생시키며, 제1 공간광 변조기(1043)는 투과광에 입력 신호를 인가한 후 반사하고 그 편광 방향을 90°회전시켜 수직 편광 신호광으로 바꾼다. 수직 편광 신호광은 제1 편광 빔 스플리터(1042)에 의해 반사되고, 제1 릴레이 렌즈(1044), 제2 저역 필터(1045) 및 제1 푸리에 렌즈(1046)를 거친 후 수직 편광 신호광(A)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제1 릴레이 렌즈(1044)가 제1 공간광 변조기(1043)에 대해 형성한 이미지는 제1 푸리에 렌즈(1046)의 전면 초점면에 위치한다.
상기 수직 편광된 신호광(A)과 구면파 기준광(B)은 S 기록 채널을 구성하고, 저장 매체(300) 지점에서 간섭을 일으켜 홀로그램을 형성하고 기록한다. 여기에서 저장 매체(300)는 제1 푸리에 렌즈(1046)의 후면 초점면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제2 레이저 출력 유닛(201)은 제2 레이저 장치(2011), 제2 셔터(2012), 제2 편광판(2013), 제2 빔 성형기(2014) 및 제2 탈편광 빔 스플리터(2015)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레이저 장치(2011)에서 방출된 빔은 제2 셔터(2012), 제2 편광판(2013) 및 제2 빔 성형기(2014)를 거친 후, 레이저 편광 방향은 수직 방향으로 엄격하게 제어하고 제2 탈편광 빔 스플리터(2015)로 입사하여 반사 기준광과 투과 신호광을 획득한다. 여기에서 반사 기준광은 제2 기준암(202)으로 진입하며, 투과광은 제2 빔 확장 필터 유닛(203)으로 진입한다.
제2 기준암(202)은 제2 반사 렌즈(2021), 제2 반파장판(2022) 및 제2 집광 렌즈(2023)를 포함하고, 수직 편광 반사광은 제2 반사 렌즈(2021), 제2 반파장판(2022) 및 제2 집광 렌즈(2023)를 거친 후 편광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는 구면파 기준광(D)을 획득한다.
제2 빔 확장 필터 유닛(203)은 제1 렌즈(2031), 제2 렌즈(2032) 및 제3 저역 필터(2033)를 포함하고, 수직 편광된 투과 신호광은 빔 확장 필터링 후 제2 신호암(204)으로 입사된다.
제2 신호암(204)은 제2 광검출기(2041), 제2 편광 빔 스플리터(2042), 제2 공간광 변조기(2043), 제2 릴레이 렌즈(2044), 제4 저역 필터(2045) 및 제2 푸리에 렌즈(2046)를 포함한다. 수직 편광 신호광은 제2 편광 빔 스플리터(2042)에 진입한 후에 투과만 발생시키며, 제2 공간광 변조기(2043)는 투과광에 입력 신호를 인가한 후 반사하고 그 편광 방향을 90°회전시켜 수평 편광 신호광으로 바꾸고 다시 반사한다. 수평 편광 신호광은 제2 편광 빔 스플리터(2042)로 돌아와 투과만 발생시키고, 제2 릴레이 렌즈(2044), 제4 저역 필터(2045) 및 제2 푸리에 렌즈(2046)를 거친 후 수평 편광 신호광(C)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제2 릴레이 렌즈(2044)가 제2 공간광 변조기(2043)에 대해 형성한 이미지는 제2 푸리에 렌즈(2046)의 전면 초점면에 위치한다.
상기 수평 편광된 신호광(C)과 구면파 기준광(D)은 P 기록 채널을 구성하고, 저장 매체(300) 지점에서 간섭을 일으켜 홀로그램을 형성하고 기록한다. 여기에서 저장 매체(300)는 제2 푸리에 렌즈(2046)의 후면 초점면에 위치한다.
저장 매체를 이동시켜 저장 매체 양면에서 동시에 시프트 멀티플렉싱 저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직교 편광광의 비간섭 특성을 이용하여 저장 매체 상하 양면에서 동시에 홀로그램의 저장을 수행한다.
판독할 때, 제1 공간광 변조기(1043)는 입력 신호가 없고 그 반사되는 빔은 여전히 수평 편광 방향이므로 제1 편광 빔 스플리터에 의해 반사되어 신호광 채널로 진입할 수 없어 신호광은 0이며 수직 방향을 따라 편광된 기준광(B)만 있다. 기준광(B)은 저장 매체(300)에 입사된 후 회절이 일어나며, 회절광은 신호를 휴대하며 원래 신호광(A) 방향을 따라 제2 신호암(204)으로 진입하고, 제2 푸리에 렌즈(2046) 역푸리에 변환, 제2 릴레이 렌즈(2044) 이미징, 제4 저역 필터(2045) 필터링을 거친 후 제2 편광 빔 스플리터(2042)에 입사한다. 이때 반사광만 존재하며 반사광은 제2 광검출기(2043)에 의해 수용된다. 마찬가지로 제2 공간광 변조기(2043)는 출력 신호가 없고 그 반사되는 빔은 여전히 수직 편광 방향이므로 제1 편광 빔 스플리터에 의해 투과되어 신호광 채널로 진입할 수 없어 신호광은 0이며 수평 방향을 따라 편광된 기준광(D)만 있다. 기준광(D)은 저장 매체(300)에 입사된 후 회절이 일어나며, 회절광은 신호를 휴대하며 원래 신호광(C) 방향을 따라 제1 신호암(104)으로 진입하고, 제1 푸리에 렌즈(1046) 역푸리에 변환, 제1 릴레이 렌즈(1044) 이미징, 제2 저역 필터(1045) 필터링을 거친 후 제1 편광 빔 스플리터(1042)에 입사한다. 이때 투과광만 존재하며 투과광은 제1 광검출기(1043)에 의해 수용된다.
실시예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는 제1 광헤드(100), 제2 광헤드(200) 및 저장 매체(3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광헤드(100)는 편광 방향이 수직 방향을 따르는 신호광(A)과 기준광(B)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며, 구체적으로 제1 레이저 출력 유닛(101), 제1 빔 결함 유닛(105), 제1 기준암(102) 및 제1 신호 송수신 유닛(106)을 포함한다. 제2 광헤드(200)는 편광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는 신호광(C)과 기준광(D)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며, 구체적으로 제2 레이저 출력 유닛(101), 제2 빔 결함 유닛(105), 제2 기준암(102) 및 제2 신호 송수신 유닛(106)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제1 레이저 출력 유닛(101)은 제1 레이저 장치(1011), 제1 셔터(1012), 제1 편광판(1013) 및 제1 빔 성형기(1014)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레이저 장치(1011)에서 방출하는 빔은 제1 셔터(1012), 제1 편광판(1013) 및 제1 빔 성형기(1014)를 거친 후, 레이저 편광 방향이 수평 방향과 45°를 이루고, 제1 빔 결합 유닛(105)까지 입사된다.
제1 빔 결합 유닛(105)은 제3 편광 빔 스플리터(1051), 제3 공간광 변조기(1052), 제3 반사 렌즈(1053), 제3 릴레이 렌즈(1054) 및 제5 저역 필터(1055)로 구성되며, 출력광을 동축의 신호광과 기준광으로 변환하고 그 빔을 확장하여 제1 신호 송수신 유닛(106)으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편광 빔 스플리터(1051)는 입력광을 편광 방향이 수직인 반사 기준광과 편광 방향이 수평인 투과광으로 분할한다. 여기에서 투과광은 제3 반사 렌즈(1053)에 의해 반사된 후 제3 공간광 변조기(1052) 상에 조사되고, 제3 공간광 변조기(1052)는 광에 입력 신호를 인가한 후 반사하고, 반사 신호광은 제3 편광 빔 스플리터(1051)로 돌아간 후 투과되어 반사 기준광과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결합광은 제3 릴레이 렌즈(1054) 이미징 및 제5 저역 필터(1055) 필터링을 거친 후 제1 신호 송수신 유닛(106)으로 출력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유닛(106)은 제4 편광 빔 스플리터(1061), 제3 반파장판(1065), 제3 푸리에 렌즈(1062), 제1 이미징 렌즈(1063) 및 제3 광검출기(1064)로 구성되어, 수신된 신호광을 기준광과 분리하는 동시에 신호 판독 시 제2 광헤드(200)의 재생 신호광을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입력광 중의 수직 편광 기준광 성분은 제4 편광 빔 스플리터(1061)에 의해 반사되어 제1 기준암(102)으로 출력되고, 입력광 중의 수평 편광 신호광 성분은 투과되어 제3 반파장판(1065)에 의해 편광 방향이 수직 방향으로 조정되며, 제3 푸리에 렌즈(1062)에 의해 수렴되어 편광 방향이 수직인 신호광(A)을 형성한다.
제1 기준암(102)은 제1 반사 렌즈(1021) 및 제1 집광 렌즈(1023)를 포함하며, 수직 편광된 반사광은 제1 반사 렌즈(1021) 및 제1 집광 렌즈(1023)를 거친 후, 편광 방향이 수직 방향을 따르는 구면파 기준광(B)을 획득한다.
상기 수직 편광된 신호광(A)과 구면파 기준광(B)은 S 기록 채널을 구성하고, 저장 매체(300) 지점에서 간섭을 일으켜 홀로그램을 형성하고 기록한다. 여기에서 저장 매체(300)는 제3 푸리에 렌즈(1062)의 후면 초점면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제2 레이저 출력 유닛(201)은 제2 레이저 장치(2011), 제2 셔터(2012), 제2 편광판(2013) 및 제2 빔 성형기(201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레이저 장치(2011)에서 방출하는 빔은 제2 셔터(2012), 제2 편광판(2013) 및 제2 빔 성형기(2014)를 거친 후, 레이저 편광 방향이 수평 방향과 45°를 이루고, 제2 빔 결합 유닛(205)까지 입사된다.
제2 빔 결합 유닛(205)은 제5 편광 빔 스플리터(2051), 제4 공간광 변조기(2052), 제4 반사 렌즈(2053), 제4 릴레이 렌즈(2054) 및 제6 저역 필터(2055)로 구성되며, 출력광을 동축의 신호광과 기준광으로 변환하고 그 빔을 확장하여 제2 신호 송수신 유닛(206)으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편광 빔 스플리터(2051)는 입력광을 편광 방향이 수직인 반사 기준광과 편광 방향이 수평인 투과광으로 분할한다. 여기에서 투과광은 제4 반사 렌즈(2053)에 의해 반사된 후 제4 공간광 변조기(2052) 상에 조사되고, 제4 공간광 변조기(2052)는 광에 입력 신호를 인가한 후 반사하고, 반사 신호광은 제4 편광 빔 스플리터(2051)로 돌아간 후 투과되어 반사 기준광과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결합광은 제4 릴레이 렌즈(2054) 이미징 및 제6 저역 필터(2055) 필터링을 거친 후 제2 신호 송수신 유닛(206)으로 출력된다.
제2 신호 송수신 유닛(206)은 제6 편광 빔 스플리터(2061), 제4 푸리에 렌즈(2062), 제2 이미징 렌즈(2063) 및 제4 광검출기(2064)로 구성되어, 수신된 신호광을 기준광과 분리하는 동시에 신호 판독 시 제1 광헤드(100)의 재생 신호광을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입력광 중의 수직 편광 기준광 성분은 제6 편광 빔 스플리터(2061)에 의해 반사되어 제2 기준암(202)으로 출력되고, 입력광 중의 수평 편광 신호광 성분은 투과되어 제4 푸리에 렌즈(2062)에 의해 수렴되어 편광 방향이 수평인 신호광(C)을 형성한다.
제2 기준암(202)은 제2 반사 렌즈(2021), 제4 반파장판(2022) 및 제2 집광 렌즈(2023)를 포함하며, 수직 편광된 반사광이 제2 반사 렌즈(2021) 반사와 제4 반파장판(2022)을 거쳐 그 편광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조정한 후, 제2 집광 렌즈(2023)에 의해 수렴되어 편광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는 구면파 기준광(D)을 획득한다.
상기 수평 편광된 신호광(C)과 구면파 기준광(D)은 P 기록 채널을 구성하고, 저장 매체(300) 지점에서 간섭을 일으켜 홀로그램을 형성하고 기록한다. 여기에서 저장 매체(300)는 제3 푸리에 렌즈(2062)의 후면 초점면에 위치한다.
저장 매체를 이동시켜 저장 매체 양면에서 동시에 시프트 멀티플렉싱 저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직교 편광광의 비간섭 특성을 이용하여 저장 매체 상하 양면에서 동시에 홀로그램의 저장을 수행한다.
판독할 때, 제3 공간광 변조기(1052)는 입력 신호가 없고 제1 빔 결합 유닛(105)은 편광 방향이 수직인 기준광(B)만 출력한다. 기준광(B)은 저장 매체(300)에 입사된 후 회절이 일어나며, 회절광은 신호를 휴대하며 원래 신호광(A) 방향을 따라 제2 광헤드(200)로 진입하고, 제4 푸리에 렌즈(2062) 역푸리에 변환, 제6 편광 빔 스플리터(2061) 반사, 제2 이미징 렌즈(2063) 이미징을 거친 후, 제4 광검출기(2064)에 의해 정보 판독이 수행된다. 마찬가지로, 제4 공간광 변조기(2052)는 입력 신호가 없고 제2 빔 결합 유닛(205)은 편광 방향이 수평인 기준광(D)만 출력한다. 기준광(D)은 저장 매체(300)에 입사된 후 회절이 일어나며, 회절광은 신호를 휴대하며 원래 신호광(C) 방향을 따라 제1 광헤드(100)로 진입하고, 제3 푸리에 렌즈(1062) 역푸리에 변환, 제3 반파장판(1065)의 편광 방향 수직 방향 조정, 제4 편광 빔 스플리터(2061) 반사, 제1 이미징 렌즈(1063) 이미징을 거친 후, 제3 광검출기(1064)에 의해 정보 판독이 수행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저장 매체의 양측에 대칭으로 설치된 제1 광헤드와 제2 광헤드를 통해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정보를 기록/판독하며, 제1 광헤드에 의해 기록된 정보는 제2 광헤드 중의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되고, 제2 광헤드에 의해 기록된 정보는 제1 광헤드 중의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된다.
상기 방법은 구체적으로 S1: 제1 광헤드에서 인출하는 편광 방향이 수직 방향을 따르는 신호광과 기준광을 이용하여 S 기록 채널을 구성하고, 제2 광헤드가 동일한 위치에서 인출하는 편광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는 신호광과 기준광은 P 기록 채널을 구성하고, 동일한 광헤드에서 인출하는 신호광과 기준광은 저장 매체의 동일 위치에서 간섭을 일으키고 홀로그램을 형성하여 입력 신호를 기록하는 단계;
S2: 저장 매체를 이동하며, 저장 매체면 내에서 선형 시프트 멀티플렉싱과 원주 방향 회전 멀티플렉싱을 수행하고, 단계 S1을 반복하며, 저장 매체 상하 양측의 전체 표면에서 시프트 멀티플렉싱 저장을 수행하는 단계; 및
S3: 원래 S 기록 채널의 기준광을 이용하여 상응하는 위치에서 기록된 홀로그램을 재생하고, 그 회절광은 저장 매체를 통과하여 P 채널 중의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되고, 원래 P 기록 채널의 기준광을 이용하여 상응하는 위치에서 기록된 홀로그램을 재생하고, 그 회절광은 저장 매체를 통과하여 S 채널 중의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 장치(1011)와 제2 레이저 장치(2012)는 파장이 405nm인 반도체 레이저 장치이고, 상기 제1 공간광 변조기(1043)와 제2 공간광 변조기(2043)는 반사식 액정 공간광 변조기이고, 상기 제3 공간광 변조기(1052)와 제4 공간광 변조기(2052)는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소자이다.
물론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 청구범위의 사상 및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대체 및 개선 등은 본 발명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에 있어서,
    저장 매체의 양측에 2개의 광헤드인 제1 광헤드와 제2 광헤드가 각각 대칭 설치되고, 2개의 광헤드가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정보 기록/판독을 수행하되 홀로그램 기록 시 2개 광헤드 사이 빔의 편광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구비되고, 동일한 광헤드의 신호광과 기준광 편광 방향이 동일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광헤드는 제1 레이저 출력 유닛, 제1 기준암, 제1 빔 확장 필터 유닛 및 제1 신호암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레이저 출력 유닛은 제1 레이저 장치, 제1 셔터, 제1 편광판, 제1 빔 성형기 및 제1 탈편광 빔 스플리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광헤드는 제2 레이저 출력 유닛, 제2 기준암, 제2 빔 확장 필터 유닛 및 제2 신호암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레이저 출력 유닛은 제2 레이저 장치, 제2 셔터, 제2 편광판, 제2 빔 성형기 및 제2 탈편광 빔 스플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동일한 광헤드가 인출하는 신호광과 기준광이 비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홀로그램 기록 시 2개 광헤드 중의 신호광 또는 기준광이 서로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저장 매체를 이동시켜 저장 매체 양면에서 동시에 시프트 멀티플렉싱 저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광헤드 중 하나에 의해 기록된 홀로그램을 판독할 때, 획득된 재생 신호광은 다른 광헤드 중의 광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에 있어서,
    저장 매체의 양측에 제1 광헤드와 제2 광헤드가 설치되고, 2개의 광헤드가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정보 기록/판독을 수행하되 홀로그램 기록 시 2개 광헤드 사이 빔의 편광 방향이 서로 직교하고, 동일한 광헤드의 신호광과 기준광 편광 방향이 동일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광헤드에 의해 기록된 정보는 제2 광헤드 중의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되고, 제2 광헤드에 의해 기록된 정보는 제1 광헤드 중의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광헤드는 제1 레이저 출력 유닛, 제1 기준암, 제1 빔 확장 필터 유닛 및 제1 신호암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레이저 출력 유닛은 제1 레이저 장치, 제1 셔터, 제1 편광판, 제1 빔 성형기 및 제1 탈편광 빔 스플리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광헤드는 제2 레이저 출력 유닛, 제2 기준암, 제2 빔 확장 필터 유닛 및 제2 신호암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레이저 출력 유닛은 제2 레이저 장치, 제2 셔터, 제2 편광판, 제2 빔 성형기 및 제2 탈편광 빔 스플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기준암은 제1 반사 렌즈, 제1 반파장판 및 제1 집광 렌즈를 포함하고; 제2 기준암은 제2 반사 렌즈, 제2 반파장판 및 제2 집광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제1 빔 확장 필터 유닛은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1 저역 필터를 포함하고; 제2 빔 확장 필터 유닛은 제2 렌즈, 제2 렌즈 및 제3 저역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제1 신호암은 제1 광검출기, 제1 편광 빔 스플리터, 제1 공간광 변조기, 제1 릴레이 렌즈, 제2 저역 필터 및 제1 푸리에 렌즈를 포함하고; 제2 신호암은 제2 광검출기, 제2 편광 빔 스플리터, 제2 공간광 변조기, 제2 릴레이 렌즈, 제4 저역 필터 및 제2 푸리에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14. 삭제
  15.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에 있어서,
    저장 매체의 양측에 제1 광헤드와 제2 광헤드가 설치되고, 2개의 광헤드가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정보 기록/판독을 수행하되 홀로그램 기록 시 2개 광헤드 사이 빔의 편광 방향이 서로 직교하고, 동일한 광헤드의 신호광과 기준광 편광 방향이 동일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광헤드에 의해 기록된 정보는 제2 광헤드 중의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되고, 제2 광헤드에 의해 기록된 정보는 제1 광헤드 중의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되도록 구비되며,
    제1 광헤드는 제1 레이저 출력 유닛, 제1 빔 결합 유닛, 제1 기준암 및 제1 신호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이저 출력 유닛은 제1 레이저 장치, 제1 셔터, 제1 편광판 및 제1 빔 성형기를 포함하고;
    제2 광헤드는 제2 레이저 출력 유닛, 제2 빔 결합 유닛, 제2 기준암 및 제2 신호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레이저 출력 유닛은 제2 레이저 장치, 제2 셔터, 제2 편광판 및 제2 빔 성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 빔 결합 유닛은 제3 편광 빔 스플리터, 제3 공간광 변조기, 제3 반사경, 제3 릴레이 렌즈 및 제5 저역 필터를 포함하고; 제2 빔 결합 유닛은 제5 편광 빔 스플리터, 제4 공간광 변조기, 제4 반사 렌즈, 제4 릴레이 렌즈 및 제6 저역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제1 기준암은 제1 반사 렌즈 및 제1 집광 렌즈를 포함하고; 제2 기준암은 제2 반사 렌즈, 제4 반파장판 및 제2 집광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제1 신호 송수신 유닛은 제4 편광 빔 스플리터, 제3 반파장판, 제3 푸리에 렌즈, 제1 이미징 렌즈 및 제3 광검출기를 포함하고; 제2 신호 송수신 유닛은 제6 편광 빔 스플리터, 제4 푸리에 렌즈, 제2 이미징 렌즈 및 제4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19.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에 의거 수행되는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방법에 있어서,
    저장 매체의 양측에 대칭으로 설치된 제1 광헤드와 제2 광헤드를 통해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정보를 기록/판독하며, 홀로그램 기록 시 2개 광헤드 사이 빔의 편광 방향이 서로 직교하고, 동일한 광헤드의 신호광과 기준광 편광 방향이 동일하도록 구비되고,
    제1 광헤드에 의해 기록된 정보는 제2 광헤드 중의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되고, 제2 광헤드에 의해 기록된 정보는 제1 광헤드 중의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하도록 구비되며,
    제1 레이저 장치에서 방출된 빔은 제1 셔터, 제1 편광판 및 제1 빔 성형기를 거친 후, 레이저 편광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제어한 다음 제1 탈편광 빔 스플리터로 입사하여 반사 기준광과 투과 신호광을 획득하고,
    제2 레이저 장치에서 방출된 빔은 제2 셔터, 제2 편광판 및 제2 빔 성형기를 거친 후, 레이저 편광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제어한 다음 제2 탈편광 빔 스플리터로 입사하여 반사 기준광과 투과 신호광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S1: 제1 광헤드에서 인출하는 편광 방향이 수직 방향을 따르는 신호광과 기준광을 이용하여 S 기록 채널을 구성하고, 제2 광헤드가 동일한 위치에서 인출하는 편광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는 신호광과 기준광은 P 기록 채널을 구성하고, 동일한 광헤드에서 인출하는 신호광과 기준광은 저장 매체의 동일 위치에서 간섭을 일으키고 홀로그램을 형성하여 입력 신호를 기록하는 단계;
    S2: 저장 매체를 이동하며, 저장 매체면 내에서 선형 시프트 멀티플렉싱과 원주 방향 회전 멀티플렉싱을 수행하고, 단계 S1을 반복하며, 저장 매체 상하 양측의 전체 표면에서 시프트 멀티플렉싱 저장을 수행하는 단계; 및
    S3: 원래 S 기록 채널의 기준광을 이용하여 상응하는 위치에서 기록된 홀로그램을 재생하고, 그 회절광은 저장 매체를 통과하여 P 채널 중의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되고; 원래 P 기록 채널의 기준광을 이용하여 상응하는 위치에서 기록된 홀로그램을 재생하고, 그 회절광은 저장 매체를 통과하여 S 채널 중의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방법.
KR1020200182668A 2019-12-31 2020-12-23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및 방법 KR102490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422752.6A CN111243628A (zh) 2019-12-31 2019-12-31 一种双面同时记录/读取的全息存储装置及方法
CN201911422752.6 2019-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967A KR20210086967A (ko) 2021-07-09
KR102490125B1 true KR102490125B1 (ko) 2023-01-18

Family

ID=70863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668A KR102490125B1 (ko) 2019-12-31 2020-12-23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02359B2 (ko)
EP (1) EP3846169A1 (ko)
JP (1) JP7128258B2 (ko)
KR (1) KR102490125B1 (ko)
CN (1) CN111243628A (ko)
SG (1) SG10202012956Q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7902B (zh) * 2022-03-15 2023-08-04 浙江大学 一种单脉冲全无机多维光存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9847A (ja) 1999-06-02 2000-12-08 Nec Software Kobe Ltd 情報記録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74257T3 (es) * 1989-11-27 1995-09-01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Derivados de aminoacidos.
JPH04335237A (ja) * 1991-05-09 1992-11-24 Ricoh Co Ltd 光磁気ディスク装置
KR0178725B1 (ko) * 1995-01-27 1999-04-15 김광호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및 그 방법
US7130092B1 (en) * 1998-02-27 2006-10-31 Optwar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optical information
CN1284119C (zh) * 2003-04-21 2006-11-08 上海理工大学 一种图像存储格式的方法
CN1284149C (zh) * 2004-03-04 2006-11-08 清华大学 偏振正交双通道体全息光学数据存储方法及其系统
KR100916896B1 (ko) * 2005-09-15 2009-09-0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홀로그램 기록 장치
WO2008152682A1 (ja) 2007-06-11 2008-12-18 Pioneer Corporation ホログラム装置並びにその記録及び再生方法
JP4389184B2 (ja) * 2007-06-29 2009-12-24 ソニー株式会社 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9058653A (ja) * 2007-08-30 2009-03-19 Fuji Xerox Co Ltd ホログラム再生装置、ホログラム再生方法、ホログラム記録装置、及びホログラム記録方法
KR20090072449A (ko) * 2007-12-28 200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재생 장치
KR20090080334A (ko) * 2008-01-21 2009-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홀로그래픽 정보 저장매체와, 이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정보기록/재생 장치 및 방법
JP2009289350A (ja) * 2008-05-30 2009-12-10 Hitachi Ltd 光情報記録/再生装置
US20100157776A1 (en) * 2008-12-23 2010-06-24 General Electric Company Vertically tracked data storage device and method
US8817585B2 (en) * 2010-10-19 2014-08-26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Hokkaido University Holographic memory reproduction device and holographic memory reproduction method, demodulation device and demodulation method, and observation device and observation method
US8619533B1 (en) 2012-07-31 2013-12-31 General Electric Company Holographic data storage medium and an associated method thereof
JP2014098797A (ja) 2012-11-14 2014-05-29 Research Institute Of Nanophotonics ホログラム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US20140204437A1 (en) * 2013-01-23 2014-07-24 Akonia Holographics Llc Dynamic aperture holographic multiplexing
JP6653505B2 (ja) 2015-05-20 2020-02-26 学校法人東京理科大学 ホログラム記録再生方法およびホログラム記録再生装置
JP6829366B2 (ja) * 2017-02-24 2021-02-10 学校法人東京理科大学 ホログラム記録再生方法およびホログラム記録再生装置
CN211578370U (zh) * 2019-12-31 2020-09-25 广东紫晶信息存储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双面同时记录/读取的全息存储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9847A (ja) 1999-06-02 2000-12-08 Nec Software Kobe Ltd 情報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28258B2 (ja) 2022-08-30
KR20210086967A (ko) 2021-07-09
JP2021111435A (ja) 2021-08-02
US20210225399A1 (en) 2021-07-22
US11302359B2 (en) 2022-04-12
CN111243628A (zh) 2020-06-05
EP3846169A1 (en) 2021-07-07
SG10202012956QA (en)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1872B2 (ja) モノキュラーホログラフィックデータ記憶システムの構成
JP2006527395A (ja) 高面密度ホログラフィックデータ記憶システム
KR102490122B1 (ko) 고속 병렬 재생 홀로그래픽 광디스크 판독 방법 및 장치
JP3944501B2 (ja) ホログラム記録再生装置およびホログラム記録再生方法
KR20090062014A (ko)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재생장치
JP2010061750A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US7952975B2 (en) Optical reproduction device, optical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and optical reproduction method
US8270278B2 (en) Optical recording apparatus, optical record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reproducing method
KR100738984B1 (ko) 광정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정보 기록 및 재생방법
JP2007149253A (ja) ホログラフィ用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2490123B1 (ko) 싱글 암 구조의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장치
KR102490125B1 (ko) 양면 동시 기록/판독의 홀로그래픽 저장 장치 및 방법
CN211578370U (zh) 一种双面同时记录/读取的全息存储装置
KR100381406B1 (ko) Cd플레이어 및 dvd플레이어와 호환이 가능한홀로그래픽 디지털 저장 시스템
KR101594374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스토리지 시스템
KR100619052B1 (ko) 홀로그램 메모리 매체, 그 기록장치 및 재생장치
JP4863516B2 (ja) ホログラフィックシステム、ホログラフィックデータ記憶用のホログラフィックシステム
US20090046559A1 (en) Holographic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holographic information using the same
JP4132715B2 (ja) ホログラフィーデジタルデータ記憶システム
CN216362047U (zh) 一种交叉-移位复用中提高全息图记录速度的记录及再现装置
KR20090017387A (ko) 홀로그래픽 정보 저장매체와, 이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정보기록/재생 장치 및 방법
JP2008533638A (ja) ホログラフィックデータ記憶システムにデータを記録する方法
KR20210095032A (ko) 반사형 홀로그래픽 광학 저장 방법 및 장치
JP2009282141A (ja) ホログラム再生装置およびホログラム再生方法
US20060077856A1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