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897B1 -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및 그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및 그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897B1
KR102489897B1 KR1020220055095A KR20220055095A KR102489897B1 KR 102489897 B1 KR102489897 B1 KR 102489897B1 KR 1020220055095 A KR1020220055095 A KR 1020220055095A KR 20220055095 A KR20220055095 A KR 20220055095A KR 102489897 B1 KR102489897 B1 KR 102489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ressure
steam valve
converter
valve reg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천규
최용대
임훈
신효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네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네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네스지
Priority to KR1020220055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01D17/1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 F01D17/14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 F01D17/141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shiftable members or valves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 F01D17/145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shiftable members or valves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by means of valves, e.g. for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20Devices dealing with sensing elements or final actuators or transmitting means between them, e.g. power-assisted
    • F01D17/22Devices dealing with sensing elements or final actuators or transmitting means between them, e.g. power-assisted the operation or power assistance being predominantly non-mechanical
    • F01D17/24Devices dealing with sensing elements or final actuators or transmitting means between them, e.g. power-assisted the operation or power assistance being predominantly non-mechanical elect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involving features specific to the use of a compressible medium, e.g. air,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9/00Testing; Calibrating; Fault detection or monitor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fluid-pressure system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9/002Calib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3/00Intensifiers or fluid-pressure converters, e.g. pressure exchangers; Conveying pressure from one fluid system to another, without contact between the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및 그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발전기의 성능을 운전상태와 동일한 상태에서 진단 보정하기 위해 발전기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고 터빈의 설정 출력값을 보정할 수 있도록 유압변환기와 증기밸브조절기가 연동설치된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및 그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압공급장치(HPU)로부터 고압제어유를 공급받아 발전소 유압변환기(100)의 압력포트(P)를 연결하는 압력포트(P'), 유압공급장치(HPU)로부터 비상유압유을 공급받아 발전소 유압변환기(100)의 공급포트(B)를 연결하는 공급포트(B'), 상기 유압변환기(100)의 압력포트에서 유입된 유압을 콘트롤포트(C)를 통하여 증기밸브조절기의 릴레이측에 공급하기 위한 콘트롤포트(C'), 상기 유압변환기(100)의 압력포트에서 유입된 유압을 배유포트(Drain Port)(D)를 통하여 배유시키기 위한 배유포트(D')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포트(P'), 공급포트(B') 및 콘트롤포트(C')에는 압력게이지가 장착되는 발전소 유압변환기의 테스트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유압변환기(100)와 연결 설치되어 증기 터빈의 출력값을 보정할 수 있도록 증기밸브조절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및 그 보정방법은 유압을 측정하고 동작상태 진단함으로써, 유압변환기의 건전성을 진단할 수 있고, 증기밸브조절기의 출력값을 점검하고 확인함으로써 터빈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및 그 보정방법{Steam valve adjust device used E/H convert and the calibration method}
본 발명은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및 그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발전기의 성능을 운전상태와 동일한 상태에서 진단 보정하기 위해 발전기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고 터빈의 설정 출력값을 보정할 수 있도록 유압변환기와 증기밸브조절기가 연동설치된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및 그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증기밸브조절기는 보일러에서 만들어진 고온, 고압 증기의 양을 조절하여 터빈에 공급함으로써 발전소의 출력(Hz,MW)을 정밀하게 제어한다.
이러한 발전소 증기밸브 조절기를 통한 제어는 전기신호를 유압 변환기에 인가하여 출력을 조절하게 된다.
발전소 효율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 운전 후에는 발전소 기기에 대한 수리가 필요하다. 즉 발전소 설비와 부품에 대하여 정상동작이 이루어지는지 설비와 부품 상태를 점검하고, 불량이나 열화된 부품에 대해서는 교체한 후 부품과 설비를 재조립하여 발전소를 재 기동하기 전 발전소 설비와 부품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밀 튜닝을 실시한다.
이 중에서 발전소 기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유압변환기의 정밀 튜닝작업은 발전소가 원하는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중요한 작업이다. 즉 발전소 기기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유압변환기 가변유압력이 비례하여 출력되어야 하고 출력된 결과를 분석하여 유압변환기가 정상 동작할 수 있는 구간이 설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유압변환기의 정확한 제어 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제어유 온도와 환경조건을 동일하게 조절한 상태에서 오직 전기신호만을 변수로 하여 조업자가 해당 전기신호에 대한 유압을 육안으로 확인한 후에 유압 그래프를 그리고 이 유압 그래프를 발전소 기기의 설치시 제공된 기준 그래프와 비교함으로써 정밀 튜닝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했다.
그러나, 전기신호 및 유압을 측정하는 방법이 자동화되지 않고, 서로 다른 작업자가 작업함에 따라 개인적인 편차가 개입되므로 측정한 유압 그래프와 기준 그래프 간의 편차를 정확히 계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전소의 유압변환기는 발전소 설비중 거버너시스템(Governor System)에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토크모터(T/M; Torque Motor), 피스톤(Piston), 시트(Seat), 배유가변밸브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터빈에 공급되는 증기량을 조절하는 증기밸브조절기 제어 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유압변환기의 구조 및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테스트블럭 및 그 보정 장치와 블록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발전소에 사용되는 유압변환기는 공급라인으로 고압제어유와 비상유압유가 공급되는데, 고압제어유는 유압변환기의 배유가변밸브에 공급후 증기밸브조절기의 릴레이(Relay)측에 공급되는 가변유압력을 형성하며, 비상유압유는 스풀(Spool)의 후단측에 압력을 형성하여 고압제어유의 압력이 배유하지 않게 한다.
상기 배유가변밸브는 그 하부로 가변유압력이 형성되어 개폐가 되는데, 개폐튜닝은 조절스크류 등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정밀한 전기신호를 유압변환기(70)에 공급하기 위한 정전류원(10); 상기 전기신호에 의해 유압변환기(70)에서 발생된 출력 압력을 압력신호로 변환하는 압력변환기(20); 상기 전기신호 및 압력신호 관계를 전류/압력 그래프로 나타내고, 상기 전류/압력 그래프를 기준곡선 그래프와 비교하여 전류/압력 그래프의 편향을 분석하되, 기준선 대비 바이어스(BIAS)가 나타나도록 전류/압력 그래프 및 기준곡선 그래프를 편향 그래프로 전환하여 나타내는 제어부(30); 및 상기 제어부(30)에서 제공된 전류/압력 그래프와 편향 그래프를 도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하는 종래기술에 의한 발전소용 전기 유압 컨버터의 정밀튜닝 장치를 게시하였으나, 발전소 현장에 직접 튜닝 장치를 장착해야만 해서 발전소 운전중에 튜닝하는 것이 매우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발전소 유압변환기의 보정 시스템은 소정의 발전소 유압변환기의 테스트블럭을 사용함으로써, 발전소의 실제 운전여부와는 상관없이 상기 유압변환기의 유압을 측정하고 동작상태를 진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유압변환기의 테스트블럭은 증기밸브조절기와 연동되지 않았고 터빈 출력을 위한 보정을 수행할 수 없었으므로 증기밸브조절기의 스팀밸브의 출력성능을 정확하게 보여주기 위해서는 별도의 보정장치가 필요하였고 그로 인한 보정방법도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93267호(2010. 11.03. 등록)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48590호(2015.08.25.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압 변환기의 정밀한 튜닝을 위하여 유압 변환기에 입력되는 전기신호와 출력 유압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준 그래프와의 편향을 분석하여 최적의 상태로 유압변환기와 연결 설치된 증기밸브조절기를 조절하여 기준 그래프가 되도록 보정할 수 있는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및 그 보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증기터빈에서의 출력 성능을 보정할 수 있도록 유압변환기와 연동 설치된 증기밸브조절기를 점검 동작함으로써 터빈의 출력값을 정확하게 확인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보정할 수 있는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보정방법을 제공하는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유압공급장치(HPU)로부터 고압제어유를 공급받아 발전소 유압변환기(100)의 압력포트(P)를 연결하는 압력포트(P'), 유압공급장치(HPU)로부터 비상유압유을 공급받아 발전소 유압변환기(100)의 공급포트(B)를 연결하는 공급포트(B'), 상기 이에이치 컨버터(100)의 압력포트에서 유입된 유압을 콘트롤포트(C)를 통하여 증기밸브조절기의 릴레이측에 공급하기 위한 콘트롤포트(C'), 상기 유압변환기(100)의 압력포트에서 유입된 유압을 배유포트(D)를 통하여 배유시키기 위한 배유포트(D')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포트(P'), 공급포트(B') 및 콘트롤포트(C')에는 압력게이지가 장착되는 발전소 유압변환기의 테스트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유압변환기(100)와 연결 설치되어 증기 터빈의 출력값을 보정할 수 있도록 증기밸브조절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기밸브조절기(200)는, 어드져스트 어세이(202)와, 릴레이 어세이(204)와, 캠 어세이(20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발전소 유압변환기의 테스트 블록에 발전소 유압변환기, 압력계, 압력전송기, 차단밸브를 장착하며, 배관 및 센서케이블들을 연결하는 유압변환기 설치단계와, 상기 유압변환기에 전원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된 배관으로 유압변환기의 테스트 블록에 유압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비상유압유를 차단후 장착된 압력계, 압력전송기로 유압을 측정하여 가변유압력의 감소상태를 확인하는 가변유압력 확인단계와, 상기 유압변환기에 전원을 변화시키는 전원조절단계와, 장착된 압력계, 압력전송기로 유압을 측정하여 가변유압력 변동을 확인하는 가변유압력 확인단계 및 가변유압력의 이상 판단시 조절스크류 및 심플레이트(Shime Plate)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유압변환기에 증기밸브조절기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증기밸브조절기의 릴레이 어세이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증기밸브조절기의 캠 어세이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릴레이 어세이와 캠 어세이를 동작하여 증기밸브조절기를 보정하여 출력값을 구현하도록 보정하는 증기밸브조절기 보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발전소의 유압변환기에 증기밸브조절기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유압변환기에 전원을 변화시키는 전원조절단계; 상기 증기밸브조절기의 릴레이 어세이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증기밸브조절기의 캠 어세이를 동작시키는 단계; 가변 유압력에 따른 행정(Stroke)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증기밸브조절기의 어드져스트 어세이를 보정하여 릴레이 어세이의 탄성 인장력과 복귀력을 변화시켜서 상하 평행이동하여 출력값을 보정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 어세이의 탄성력을 변화시켜 경사(기울기) 이동하여 증기밸브조절기의 개도량(선도)을 보정하는 단계; 상기 캠 어세이의 각도를 변화시켜서 경사(기울기) 이동하여 증기밸브조절기 의 개도량(선도)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증기밸브조절기 보정단계에서 가변유압력의 변화에 따른 증기밸브조절기의 행정을 확인하고 보정하여 출력값을 재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및 그 보정방법은 유압을 측정하고 동작상태를 진단함으로써, 유압변환기의 건전성을 진단할 수 있고, 증기밸브조절기의 출력값을 점검하고 확인함으로써 터빈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압변환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외관 예시사진
도 2는 종래의 유압변환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 및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발전소용 유압변환기의 장치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발전소용 유압변환기의 보정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압변환기의 테스트블럭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의 연동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의 연동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8a 및 도8b는 본 발명의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의 보정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의 보정방법을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으로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및 그 보정방법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압변환기의 테스트블럭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의 연동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의 연동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의 보정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의 보정방법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및 그 보정방법을 설명하여 보면, 먼저,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유압변환기(100)와, 증기밸브조절기(200) 및 테스트 블록(300)을 포함한다.
상기 유압변환기(100)는 조절스크류(102,104)를 구비하고, 상기 증기밸브조절기(200)는 어드져스트 어세이(202), 릴레이 어세이(204), 캠 어세이(206)를 포함한다.
상기 유압변환기(100)에는 테스트 블록(300)이 구비된다.
상기 유압변환기(100)는 상기 테스트 블록(300)을 통해 테스트가 유압을 측정하고 동작상태를 진단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증기밸브조절기(200)는 터빈의 출력이 셋팅값의 출력과 동일하게 출력될 수 있는지 점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유압변환기(100)의 증기밸브조절기(200) 및 테스트 블록(Test Block)(300)은 발전소 설비중 거버너시스템(Governor System)에 장착되고, 상기 증기밸브조절기(200)는 고온 고압의 스팀양을 터빈에 공급하는 경우 터빈에 대하여 출력이 정확하게 발휘되는지 진단하고 보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유압변환기의 테스트 블록(300)은 발전소의 실제 운전여부와는 상관없이 운전 상태와 동일한 상태에서 진단하기 위한 것으로 발전소 유압변환기를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다.
도5 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테스트 블록(300)은 유압공급장치(HPU)로부터 고압제어유를 공급받아 유압변환기의 압력포트관로와 연결되는 압력포트(P)와, 유압공급장치(HPU)로부터 비상유압유을 공급받아 발전소 유압변환기의 공급포트관로를 연결하는 공급포트(B)와, 상기 유압변환기의 압력포트에서 유입된 유압을 콘트롤포트(C)를 통하여 증기밸브조절기의 릴레이 어세이(204)측에 공급하기 위한 콘트롤포트와, 상기 유압변환기의 압력포트에서 유입된 유압을 배유시키기 위한 배유포트(D)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포트, 공급포트 및 콘트롤포트에는 압력게이지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압변환기의 테스트 블록(300)은 발전소 유압변환기(100)의 건전성을 진단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상기 발전소 유압변환기(100) 뿐 아니라, 압력계(PM), 압력전송기(PT), 차단밸브 등이 장착되어 사용되어 진다.
유압변환기의 테스트 블록(300)은, 공급라인으로 고압제어유와 비상유압유가 공급되며, 고압제어유는 유압변환기에서 증기밸브조절기의 릴레이(Relay)측에 공급되는 가변유압력을 형성하고, 비상유압유는 스풀(Spool)의 후단측에 압력을 형성하여 고압제어유의 압력이 배유되지 않게 하는 발전소 유압변환기를 테스트하기 위한 블록에 유압공급장치(HPU)로부터 고압제어유를 공급받아 발전소 유압변환기(100)의 압력포트(P)를 연결하는 압력포트(P'), 유압공급장치(HPU)로부터 비상유압유을 공급받아 발전소 유압변환기(100)의 공급포트(B)를 연결하는 공급포트(B'), 상기 유압변환기(100)의 압력포트에서 유입된 유압을 콘트롤포트(C)를 통하여 증기밸브조절기의 릴레이 어세이에 공급하기 위한 콘트롤포트(C'), 상기 유압변환기(100)의 압력포트에서 유입된 유압을 배유포트(D)를 통하여 배유시키기 위한 배유포트(D')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포트(P'), 공급포트(B')및 콘트롤포트(C')에는 압력게이지가 장착된다.
이어서, 상기 테스트 블록(300)에서 콘트롤포트(C')의 출구에는 차단밸브를 장착하여 유압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압력게이지가 장착되는 콘트롤포트(C')의 출구에는, 차단밸브를 장착하여 유압을 단속하며 압력포트에서 유입된 오일이 유압변환기의 배유가변밸브를 통과한 후 형성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테스트 블록(3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h1)이나, 상기 테스트 블록에 유압변환기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홀(h2)들이 부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게이지로는 압력계(PM), 압력전송기(PT) 등이 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도 생략키로 하며, 기타, 상기 테스트 블록(300)에 압력게이지, 차단밸브 등의 기구를 장착하는데 있어서의 기술적 사항들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도6은 유압변환기와 증기밸브조절기의 연동구조 보정 시스템 및 도7은 유압변환기와 증기밸브조절기의 연동구조 보정 시스템을 보여주는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전소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의 보정 시스템은 본 발명에 의한 소정의 발전소 유압변환기(100)와 증기밸브조절기(200)가 연동 설치되고 상기 유압변환기(100)에 테스트 블록(300)을 사용함으로써, 발전소의 실제 운전여부와는 상관없이 상기 유압변환기의 유압을 측정하고 동작상태 진단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증기밸브조절기를 이용하여 증기터빈의 출력값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유압공급장치(HPU)로부터 고압제어유를 공급받아 발전소 유압변환기(100)의 압력포트(P)를 연결하는 압력포트(P'), 유압공급장치(HPU)로부터 비상유압유을 공급받아 발전소 유압변환기(100)의 공급포트(B)를 연결하는 공급포트(B'), 상기 유압변환기(100)의 압력포트에서 유입된 유압을 콘트롤포트(C)를 통하여 증기밸브조절기의 릴레이측에 공급하기 위한 콘트롤포트(C'), 상기 유압변환기(100)의 압력포트에서 유입된 유압을 배유포트(D)를 통하여 배유시키기 위한 배유포트(D')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포트(P'), 공급포트(B') 및 콘트롤포트(C')에는 압력게이지가 장착되는 발전소 유압변환기의 테스트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유압변환기(100)와 연결 설치되어 증기 터빈의 출력값을 보정할 수 있도록 증기밸브조절기(200)를 포함한다.
상기 유압변환기(100)는 초기 전기신호가 없을 때 상기 배유가변밸브(106)의 코일 스프링을 조정할 수 있고 상기 배유가변밸브(106)의 위치를 탄력적으로 조정하여 가변유압력을 조정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증기밸브조절기(200)는 어드져스트 어세이(202)와, 릴레이 어세이(204)와, 캠 어세이(206)을 구비하고 가변유압력에 따른 증기밸브조절기(200)의 행정(stroke)을 측정하여 터빈의 출력값을 확인하고 이후 터빈의 사용량에 대하여 변화되어야 할 출력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증기밸브조절기(200)에 구비된 릴레이 어세이 또는 캠 어세이를 이용하여 보정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어드져스트 어세이(202)는 복귀탄성체(201)를 구비하고 상하로 탄력적으로 동작되면서 하강시에는 상기 복귀 탄성체(201)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상승시에는 고압유에 의해 하방향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릴레이 어세이(204) 및 캠 어세이(106)와 함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귀 탄성체(201)는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귀탄성체(216)는 사각 또는원통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 디스크 스프링, 가스 스프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어세이(204)는, 터빈의 셋팅된 출력값에 대하여 평행이동에 의한 변화된 값의 보정시 경사(기울기) 또는 평행이동에 의해 보정값을 보정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캠 어세이(206)는 터빈의 셋팅된 출력값에 대하여 원점은 유지하고 결과치가 변화된 보정시 셋팅된 출력값의 원점을 유지함과 동시에 결과치의 경사(기울기)값으로 보정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발전소 유압변환기의 테스트 시스템에서 유압공급장치(HPU)와 토크모터(T/M), 상기 유압공급장치(HPU)와 토크모터(T/M)를 제어하는 콘트롤러(CTRL), 증기밸브조절기 등에 대한 기술적 사항들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이때, 상기 유압변환기(100)에는 증기밸브조절기(200)가 연결되어 보정시스템을 운영하게 된다. 즉, 증기터빈의 셋팅 출력을 확인 점검하고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출력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면서 변화하는 경우, 변화된 출력의 증감 값을 보정하는 보정 시스템이 운영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변환기(100)에 고압제어유를 공급하고 상기 유압변환기(100)는 제공받은 고압제어유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증기밸브조절기에 가변제어유를 공급한다.
이때, 상기 고압유와 비상유압유는 제2 증기밸브조절기로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캠의 마모로 인하여 후술되는 도9에서와 같이 비정상적인 그래프로 출력값이 변화되어 나타나는 경우 터빈의 셋팅 출력값에 따라 터빈의 성능이 좌우되므로 증기밸브조절기(200)를 통한 보정이 필요하다.
이어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의 보정 방법은 상기 발전소 유압변환기의 테스트 블록을 이용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발전소 유압변환기의 테스트 블록에 발전소 유압변환기, 압력계, 압력전송기, 차단밸브를 장착하며, 배관 및 센서케이블들을 연결하는 유압변환기 설치단계와, 상기 유압변환기에 전원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된 배관으로 유압변환기의 테스트 블록에 유압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비상유압유를 차단후 장착된 압력계, 압력전송기로 유압을 측정하여 가변유압력의 감소상태를 확인하는 가변유압력 확인단계와, 상기 유압변환기에 전원을 변화시키는 전원조절단계와, 장착된 압력계, 압력전송기로 유압을 측정하여 가변유압력 변동을 확인하는 가변유압력 확인단계 및 가변유압력의 이상 판단시 조절스크류 및 심플레이트(Shime Plate)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변환기에 증기밸브조절기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증기밸브조절기의 릴레이 어세이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증기밸브조절기의 캠 어세이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릴레이 어세이와 캠 어세이를 동작하여 증기밸브를 보정하여 셋팅된 출력값을 구현하도록 보정하는 증기밸브조절기 보정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압변환기의 테스트방법은,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발전소 유압변환기의 테스트 블록을 이용한 발전소 유압변환기의 테스트 방법에 있어서, 유압변환기의 테스트 블록에 발전소 유압변환기(100), 압력계(PM), 압력전송기(PT), 차단밸브 등의 주변기구를 장착하며, 배관 및 센서케이블들을 연결하는 단계(S10); 상기 유압변환기(100)에 전원을 연결하는 단계(S12); 상기 유압변환기의 테스트 블록(300)에 유압을 공급하는 단계(S14); 상기 비상유압유를 차단후 장착된 압력게이지(PT1)로 유압을 측정하여 가변유압력 감소확인 단계(S16); 상기 유압변환기에 전원을 변화시키는 단계(S18); 장착된 압력게이지(PT1)로 유압을 측정하여 가변유압력 변동확인 단계(S20); 가변유압력의 이상판단시 조절스크류 및 심플레이트(Shime Plate)를 조절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후, 유압변환기에 증기밸브조절기를 연결하는 단계(S30)와, 상기 증기밸브조절기의 릴레이 어세이를 동작시키는 단계(S40)와, 상기 증기밸브조절기의 캠 어세이를 동작시키는 단계(S50), 상기 릴레이 어세이와 캠 어세이를 동작하여 증기밸브조절기를 보정하여 셋팅 출력값을 구현하도록 보정하는 증기밸브조절기 보정단계(S60)를 수행함으로써 출력 보정을 진행한다. 즉, 터빈 출력값의 그래프를 보정하기 위해서 상기 증기밸브조절기의 어드져스트 어세이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어드져스트 어세이를 조절함에 따라 연동하여 동작이 이루어지고 터빈의 출력값을 셋팅값에 근사해지도록 상하 평행 및 기울기를 조정하여 터빈의 셋팅 출력값에 근사해지도록 릴레이 어세이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릴레이 어세이가 동작함에 따라 연동하여 동작이 이루어지고 소정의 각도만큼 상하 이동하며 기울기(경사)를 조정하여 터빈의 출력값을 셋팅값에 근사해지도록 캠 어세이가 조절되는 단계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증기밸브조절기의 보정시 테스트 조건은 가변유압력에 따른 증기밸브조절기의 행정을 측정하는 것으로, 대상설비로는 고압 증기밸브조절기, 저압 증기밸브조절기 및 추기 증기밸브조절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테스트 조건으로는 공장시험 또는 발전소 현장시험이 가능하며 공장시험에서는 고압유 공급압력을 설정하는 단계와, 고압유의 2차 압력을 설정하는 단계와, 오일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 행정 측정용 및 확인용 선형가변변위변환기,접점 스위치 또는 측정기를 설정하는 단계 및 복귀 스프링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테스트 조건이 갖춰지면 먼저 일정시간 제어유를 공급하여 증기밸브조절기의 계통내 에어를 배출하고, 밸브가 완전히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의 정적특성을 확인한다.
이때, 가변유압력의 증감에 따른 행정을 확인하고 포지션의 안정화를 유지한 후 정적특성을 측정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스트 항목으로는 상기 가변유압력에 따른 증기밸브조절기의 행정, 히스테리시스, 배유량 측정 및 비상트립 등을 시험할 수 있다.
도8b를 살펴보면, 증기밸브조절기의 조절방법(40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증기밸브조절기(200)의 조절방법(400)은 상기 증기밸브조절기(200)를 유압변환기(100)에 연결 및 설치하는 단계(S30)와, 상기 증기밸브조절기(200)에 유압을 공급하는 단계(S32)와, 상기 유압을 공급한 후에 유압변환기(100)의 전원을 조절하는 단계(S34)와 상기 증기밸브절기(100)의 행정(Stroke)을 확인하는 단계(S36)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증기밸브조절기(200)를 보정하는 단계(S60)를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9는 본 발명의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의 보정방법을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의 보정 그래프는, 도9a에서와 같이, 전기신호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 유압력과 증기밸브조절기의 행정에 대하여 출력값의 변화를 살펴보면, 비례적으로 상승하는 출력값의 기본 그래프(검은색)에 비하여 전체 그래프가 일정 수치만큼 더 높게 이동하여 형성되는 상방으로 평행 이동한 그래프(A)(빨간색)와 일정수치만큼 더 낮게 하방으로 평행 이동하여 형성되는 그래프(B)(빨간색)를 볼 수 있다.
그리고, 도9b에서와 같이, 전기신호에 따라서 변화하는 가변유압력과 증기밸브조절기의 행정에 대하여 출력값의 변화를 살펴보면 출력값의 기본 그래프에 비하여 원점은 동일하지만 소정의 각도만큼 더 높게 이동하여 나타나는 기울기(경사) 각도가 변화된 그래프(C)(파란색)와 소정의 각도만큼 더 낮게 이동하여 형성되는 기울기(경사) 각도가 변화된 그래프(D)(파란색)를 볼 수 있다.
또한, 도9c에서와 같이, 전기신호에 따라서 변화하는 가변유압력과 증기밸브조절기의 행정에 대하여 출력값의 변화를 살펴보면, 터빈 출력값의 그래프를 보정하기 위해서 상기 증기밸브조절기의 어드져스트 어세이를 조절하고, 상기 어드져스트 어세이를 조절함에 따라 연동하여 동작이 이루어지고 경사(기울기) 또는 평행이동하며 터빈의 출력값을 원하는 셋팅값(목적값)에 근사해지도록 릴레이 어세이가 조절되며, 상기 릴레이 어세이가 조절됨에 따라 평행이동 및 기울기(경사)가 변화되는 그래프로 나타난다. 즉, 릴레이 어세이가 조절된 상태의 출력값이 연동하여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도9c의 터빈 출력값의 그래프를 보정하기 위해서 캠 어세이를 조절함에 따라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기(경사)가 상하로 이동하며 터빈의 출력값에 근사해지도록 캠 어세이가 조절된다. 이때, 상기 캠 어세이에 의해서 평행 이동의 그래프 변화 보정도 가능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테스트 블록에 장착되는 발전소 유압변환기의 토크모터(Torque Motor)에 전원 변화에 따른 가변유압력의 크기 변화를 나타내는 테스트 그래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발전소 유압변환기의 운동 및 건전성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유압변환기의 동작 신뢰성을 파악하기 위해 가변유압력의 상태를 측정하는 한편, 리턴포트(T)로 배유되는 유압을 측정하여 발전소 유압변환기의 성능저하를 미연에 감지하고, 발전소의 실제 운전여부와는 상관없이 정비함으로써, 발전정지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의 보정 테스트를 통하여 증기터빈을 보정하여 출력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내의 기술적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유압변환기 102 : 댐퍼 스크류
104 : 어드져스팅 스크류 106 : 배유가변밸브
200 : 증기밸브조절기 202 : 어드져스트 어세이
204 : 릴레이 어세이 206 : 캠 어세이
300 : 테스트 블록

Claims (4)

  1. 유압공급장치(HPU)로부터 고압제어유를 공급받아 발전소 유압변환기(100)의 압력포트(P)를 연결하는 압력포트(P'), 유압공급장치(HPU)로부터 비상유압유를 공급받아 발전소 유압변환기(100)의 공급포트(B)를 연결하는 공급포트(B'), 상기 유압변환기(100)의 압력포트에서 유입된 유압을 콘트롤포트(C)를 통하여 증기밸브조절기의 릴레이측에 공급하기 위한 콘트롤포트(C'), 상기 유압변환기(100)의 압력포트에서 유입된 유압을 배유포트(D)를 통하여 배유시키기 위한 배유포트(D')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포트(P'), 공급포트(B') 및 콘트롤포트(C')에는 압력게이지가 장착되는 발전소 유압변환기의 테스트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유압변환기(100)와 연결 설치되어 증기 터빈의 출력값을 보정할 수 있도록 증기밸브조절기(200)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밸브조절기(200)는,
    어드져스트 어세이(202)와, 릴레이 어세이(204)와, 캠 어세이(206)를 구비하되,
    상기 어드져스트 어세이(202)는 복귀탄성체(201)를 구비하고 상하로 탄력적으로 동작되면서 하강시에는 상기 복귀 탄성체(201)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상승시에는 고압유에 의해 하방향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릴레이 어세이(204) 및 캠 어세이(106)와 함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릴레이 어세이(204)는, 터빈의 셋팅된 출력값에 대하여 평행이동에 의한 변화된 값의 보정시 경사(기울기) 또는 평행이동에 의해 보정값을 보정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캠 어세이(206)는 터빈의 셋팅된 출력값에 대하여 원점은 유지하고 결과치가 변화된 보정시 셋팅된 출력값의 원점을 유지함과 동시에 결과치의 경사(기울기)값으로 보정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2. 삭제
  3. 발전소 유압변환기의 테스트 블록에 발전소 유압변환기, 압력계, 압력전송기, 차단밸브를 장착하며, 배관 및 센서케이블들을 연결하는 유압변환기 설치단계와, 상기 유압변환기에 전원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된 배관으로 유압변환기의 테스트 블록에 유압을 공급하는 단계와, 비상유압유를 차단후 장착된 압력계, 압력전송기로 유압을 측정하여 가변유압력의 감소상태를 확인하는 가변유압력 확인단계와,
    상기 유압변환기에 전원을 변화시키는 전원조절단계와, 장착된 압력계, 압력전송기로 유압을 측정하여 가변유압력 변동을 확인하는 가변유압력 확인단계 및 가변유압력의 이상 판단시 조절스크류 및 심플레이트(Shime Plate)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유압변환기에 증기밸브조절기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증기밸브조절기의 릴레이 어세이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증기밸브조절기의 캠 어세이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릴레이 어세이와 캠 어세이를 동작하여 증기밸브조절기를 보정하여 출력값을 구현하도록 보정하는 증기밸브조절기 보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보정방법.
  4. 발전소의 유압변환기에 증기밸브조절기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유압변환기에 전원을 변화시키는 전원조절단계;
    상기 증기밸브조절기의 릴레이 어세이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증기밸브조절기의 캠 어세이를 동작시키는 단계;
    가변 유압력에 따른 행정(Stroke)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증기밸브조절기의 어드져스트 어세이를 보정하여 릴레이 어세이의 탄성 인장력과 복귀력을 변화시켜서 상하 평행이동하여 출력값을 보정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 어세이의 탄성력을 변화시켜 경사(기울기) 이동하여 증기밸브조절기의 개도량(선도)을 보정하는 단계;
    상기 캠 어세이의 각도를 변화시켜서 경사(기울기) 이동하여 증기밸브조절기 의 개도량(선도)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증기밸브조절기 보정단계에서 가변유압력의 변화에 따른 증기밸브조절기의 행정을 확인하고 보정하여 출력값을 재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보정방법.

KR1020220055095A 2022-05-03 2022-05-03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및 그 보정방법 KR102489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095A KR102489897B1 (ko) 2022-05-03 2022-05-03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및 그 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095A KR102489897B1 (ko) 2022-05-03 2022-05-03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및 그 보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897B1 true KR102489897B1 (ko) 2023-01-18

Family

ID=85106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095A KR102489897B1 (ko) 2022-05-03 2022-05-03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및 그 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8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006A (ja) * 1993-06-30 1995-01-20 Mitsubishi Heavy Ind Ltd 蒸気タービンの蒸気加減弁制御装置
KR100993267B1 (ko) 2008-06-18 2010-11-10 주식회사 포스코 화력발전소용 전기 유압 컨버터의 정밀 튜닝 방법 및 그장치
KR20150047809A (ko) * 2013-10-25 2015-05-06 주식회사 에네스지 발전소 이에이치컨버터의 테스트 블록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006A (ja) * 1993-06-30 1995-01-20 Mitsubishi Heavy Ind Ltd 蒸気タービンの蒸気加減弁制御装置
KR100993267B1 (ko) 2008-06-18 2010-11-10 주식회사 포스코 화력발전소용 전기 유압 컨버터의 정밀 튜닝 방법 및 그장치
KR20150047809A (ko) * 2013-10-25 2015-05-06 주식회사 에네스지 발전소 이에이치컨버터의 테스트 블록 및 방법
KR101548590B1 (ko) 2013-10-25 2015-08-31 주식회사 에네스지 발전소 이에이치컨버터의 테스트 블록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3467C2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обнаружения отказа компонента регулирующего клапана
US45709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valve stem thrust
US7478012B2 (en) Computerized evaluation of valve signature graphs
KR101550255B1 (ko) 유량 모니터 부착 압력식 유량 제어 장치와, 이것을 사용한 유체 공급계의 이상 검출 방법 및 모니터 유량 이상 시의 처치 방법
US4896101A (en) Method for monitoring, recording, and evaluating valve operating trends
US5220843A (en) In situ method of determining the thrust on valve components
EP03542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ND WARNING ABOUT DYNAMIC LOADS IN SHOCK-INDUCING SYSTEMS.
KR20130007808A (ko) 밀폐형 스프링 행거의 건전성 검사 장비
KR20100069186A (ko)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
KR102489897B1 (ko)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및 그 보정방법
KR101941355B1 (ko) 공기구동 제어밸브 작동 모사 장치 및 방법
KR102489901B1 (ko)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및 그 보정방법
KR101548590B1 (ko) 발전소 이에이치컨버터의 테스트 블록 및 방법
KR20040072551A (ko) 인-프로세스형 유압서보밸브의 성능진단방법
RU2171462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эксплуатационной готовности арматуры
JP2018131923A (ja) 油圧駆動弁監視装置、油圧駆動弁監視方法、および制御システム
KR100993267B1 (ko) 화력발전소용 전기 유압 컨버터의 정밀 튜닝 방법 및 그장치
KR20240058691A (ko)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추기 증기밸브조절기 및 그 보정방법
KR101182718B1 (ko) 다목적 현장계측기기 테스트 시스템
KR20190019369A (ko) 공기식 컨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KR101467743B1 (ko) 발전소 디스크덤프밸브 테스트 블록장치 및 방법
US20220349771A1 (en) Method of detecting a leak in a hydraulic pitch system
US20230204128A1 (en) Diagnosis apparatus, diagnosis method, and diagnosis program for valve system
CA2237475C (en) Process for testing the operation of fittings
JPH02125903A (ja) 蒸気加減弁振動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