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573B1 -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 및 수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 및 수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573B1
KR102489573B1 KR1020210058609A KR20210058609A KR102489573B1 KR 102489573 B1 KR102489573 B1 KR 102489573B1 KR 1020210058609 A KR1020210058609 A KR 1020210058609A KR 20210058609 A KR20210058609 A KR 20210058609A KR 102489573 B1 KR102489573 B1 KR 102489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device
submersion
submersion detection
water level
til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1406A (ko
Inventor
국중교
Original Assignee
(주)우산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산씨앤씨 filed Critical (주)우산씨앤씨
Priority to KR1020210058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573B1/ko
Publication of KR20220151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7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floa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방수 용기와, 상기 방수 용기에 내장되어 상기 방수 용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및 상기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결정한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침수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에 대한 침수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 및 수위 측정 장치{AN APPARATUS FOR DETECTING FLOODING BASED ON TILT SENSOR AND AN APPARATUS FOR ESTIMATING WATER LEVEL}
본 발명은 침수 감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와 수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정 장치나 설비, 또는 소정 위치에 대해서 침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전기 또는 전자적 구성을 포함하는 장치나 설비는 침수가 되는 경우 고장이 발생하거나 오작동이 문제될 수 있다. 또한 기계적 장치나 설비 역시 침수되는 경우 급격한 노후화 및 이로인한 오작동과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근래 구조물들에 대한 무인 운영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구조물의 침수 상황에 대해 빠르게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구조물의 안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또한 지하도, 지하차도, 지하철, 하천둔치 주차장, 하천둔치 산책로 및 체육시설, 저지대 침수, 지하건축물, 지하시설물, 하수구 및 배수구 법람, 저수지, 보, 방죽 등 담수시설의 범람 붕괴 등의 요인으로 침수에 의한 인명피해는 물론 재산상의 피해를 입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장마철 및 이상기후 현상에 의한 국지성 폭우 등으로 그 피해와 안전사고 위험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종래 침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로 양(+)극과 음(-)극의 단전 상태를 기반으로 침수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의 침수 센서가 사용되어 왔으나, 양 극의 사이에 예를 들어 오물 및 기타 먼지 등의 오염 물질이 쌓여 정확한 감지가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침수 센서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 필터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보호 필터에 쌓인 오물 및 쓰레기로 인해 물이 침수 센서 쪽으로 유입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9-0012921 호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누수 및 침수 감지센서", (주)파이버피아)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 용기 및 방수 용기에 내장된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침수 여부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오물과 같은 오탐 요인으로부터 자유롭고 무선 방식으로 설치 난이도 및 유지 관리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침수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침수 감지 장치를 기반으로 침수 여부의 감지 및 수위의 측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복수 침수 감지 장치를 이용한 수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는,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로서,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방수 용기; 상기 방수 용기에 내장되어 상기 방수 용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및 상기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결정한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침수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에 대한 침수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침수 감지 장치는, 상기 방수 용기에 내장되어,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 또는 상기 제어부에 따른 침수 여부 결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수 용기는, 상기 방수 용기가 침수되었을 때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을 변화시키도록 물보다 작은 밀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기반으로 침수 정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침수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기반으로 수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 및 상기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에 대응하는 침수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 (Look-Up Table, LUT) 을 이용하여,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에 따른 침수 정도 또는 수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수 용기에 내장되어 상기 방수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결정한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 상기 온도 센서에 따른 온도 측정값이 미리 결정한 온도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 또는 상기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결정한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온도 센서에 따른 온도 측정값이 미리 결정한 온도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침수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에 대한 침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 측정 장치는, 복수의 침수 감지 센서를 이용한 수위 측정 장치로서, 제 1 높이에 설치된 제 1 침수 감지 장치 및 상기 제 1 높이와 상이한 제 2 높이에 설치된 제 2 침수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침수 감지 장치 어레이; 및 상기 제 1 침수 감지 장치 및 상기 제 2 침수 감지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침수 여부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높이 또는 상기 제 2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수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침수 감지 장치 및 상기 제 2 침수 감지 장치는,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방수 용기; 상기 방수 용기에 내장되어 상기 방수 용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및 상기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결정한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침수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에 대한 침수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침수 감지 장치 어레이에 포함된 침수 감지 장치들 중 침수 여부를 감지한 가장 높은 설치 위치의 침수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 및 상기 침수 여부를 감지한 가장 높은 설치 위치의 침수 감지 장치의 기울기 센서에 따른 측정값을 기반으로 수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침수 감지 장치 및 상기 제 2 침수 감지 장치 각각은, 회전 중심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접합된 구성 실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침수 감지 장치의 회전 중심의 높이와 제 2 침수 감지 장치의 회전 중심의 높이의 차이는, 제 1 침수 감지 장치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 1 침수 감지 장치의 구성 수용부의 샤프트와의 접합 위치 까지의 거리와 제 2 침수 감지 장치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2 침수 감지 장치의 구성 수용부의 최외곽 까지의 거리를 합한 거리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침수 감지 장치의 회전 중심과 제 2 침수 감지 장치의 회전 중심 사이의 수평 방향 이격 거리는, 상기 제 1 침수 감지 장치 및 제 2 침수 감지 장치의 방수 용기가 회전에도 불구하고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간섭 방지 간격 (999) 이상의 거리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에 따르면, 방수 용기 및 방수 용기에 내장된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침수 여부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오물과 같은 오탐 요인으로부터 자유롭고 무선 방식으로 설치 난이도 및 유지 관리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침수 감지 장치를 이용한 수위 측정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침수 감지 장치를 기반으로 침수 여부의 감지 및 수위의 측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오물과 물때와 같은 오탐 요인으로부터 자유로움을 확보할 수 있고, 무선 방식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설치 난이도 및 유지 관리가 쉬워지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부력 용기 안에 센서가 내장된 형태로서 배터리를 이용한 무선 센싱 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의 예시적인 형태를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의 제 1 수위에서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의 제 2 수위에서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의 제 3 수위에서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의 제 4 수위에서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측정 장치의 침수 감지 센서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9 는 도 8 의 수위 측정 장치에 따른 수위 측정의 예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 은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에 따른 침수 정도를 나타내는 룩-업 테이블 (Look-Up Table, LUT) 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소정 장치나 설비, 또는 소정 위치에 대해서 침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필요성이 존재하며, 특히 근래 구조물들에 대한 무인 운영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구조물의 침수 상황에 대해 빠르게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구조물의 안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있어 구조물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한 침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침수 감지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관련하여, 종래 침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로 양(+)극과 음(-)극의 단전 상태를 기반으로 침수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의 침수 센서가 사용되어 왔으나, 양 극의 사이에 예를 들어 오물 및 기타 먼지 등의 오염 물질이 쌓여 정확한 감지가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침수 센서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 필터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보호 필터에 쌓인 오물 및 쓰레기로 인해 물이 침수 센서 쪽으로 유입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 역시 존재하였다.
광 케이블을 이용한 인식 방식 역시 광 케이블의 인식면에 오물이 쌓이게 되면 침수 여부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동일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기존 센서 및 부력기를 이용한 방법들은 모두 유선 방식의 구현이 필수적이어서, 설치의 불편함과 유지 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들어 방수 용기 및 방수 용기에 내장된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침수 여부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오물과 같은 오탐 요인으로부터 자유로움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울기 센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무선 방식의 구현이 가능하여, 설치 난이도 및 유지 관리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오물과 물때와 같은 오탐 요인으로부터 자유로움을 확보할 수 있고, 무선 방식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설치 난이도 및 유지 관리가 쉬워지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부력 용기 안에 센서가 내장된 형태로서 배터리를 이용한 무선 센싱 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침수 감지 장치를 이용한 수위 측정 장치에 따라 복수의 침수 감지 장치를 기반으로 침수 여부의 감지 및 수위의 측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침수 감지 장치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 (100) 는, 방수 용기 (110) 및 제어부 (180)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용기 (110) 는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물이 차오르면 방수 용기 (110) 의 고정되지 않은 타 단부가 떠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용기 (110) 의 일 단부는 예를 들어 회전축 (105) 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수면이 상승하게 되면 방수 용기 (110) 의 회전축 (105) 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단부가 수면 상승과 함께 떠오르는 것에 의해 방수 용기 (110) 가 상승 및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방수 용기 (110) 에는 기울기 센서 (120) 가 구비될 수 있다. 기울기 센서 (120) 는 방수 용기 (110) 의 상승 및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울기 센서 (120) 는 방수 용기 (110) 의 기울기에 대한 측정값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 용기 (110) 는, 방수 용기 (110) 가 침수되었을 때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기울기 센서 (120) 의 측정값을 변화시키도록 물보다 작은 밀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수 용기 (110) 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용기일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에 따르면, 방수 용기 (110) 에는 기체 탱크 (140) 가 구비되어 방수 용기 (110) 가 침수되었을 때 보다 확실하게 방수 용기 (110) 가 상승 및 회전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기체 탱크 (140) 에 주입되는 기체의 종류 및 양은 실시 형태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기체의 종류 및/또는 양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방수 용기 (110) 의 부력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도 1 에는 회전축 (105) 을 기준으로 방수 용기 (110) 가 회전하는 형태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의 방수 용기의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는 것은, 회전을 위한 구성의 유형 및/또는 방수 용기의 형태를 불문하고 방수 용기의 침수 정도에 따라 방수 용기에 내장되는 기울기 센서의 기울기 값이 변화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어부 (180) 는 기울기 센서 (120) 의 측정값이 미리 결정한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침수 감지 장치 (100) 의 설치 위치에 대한 침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80) 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용기 (110) 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2 에 도시된 바와 달리 방수 용기 (110)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면에 따르면, 방수 용기 (110) 에는 통신부 (150) 가 내장될 수 있다. 통신부 (150) 는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부 (150) 는 기울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 또는 제어부에 따른 침수 여부 결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어부 (180) 가 방수 용기 (110) 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 방수 용기 (110) 에 내장된 통신부 (150) 는 기울기 센서 (120) 에 의해 측정된 방수 용기 (110) 의 기울기 측정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어부 (180) 는 통신부 (150) 가 방출한 무선 신호에 포함된 기울기 측정값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방수 용기 (110) 의 기울기가 미리 결정한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침수 감지 장치 (100) 의 설치 위치에 대한 침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 (180) 가 방수 용기 (110)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 제어부 (180) 는 기울기 센서 (120) 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침수 여부를 결정하고, 통신부 (150) 는 제어부 (180) 에 의한 침수 여부 결정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수 감지 장치 (100) 의 설치 위치에 대한 침수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서버 (미도시) 는 침수 감지 장치 (100) 로부터 방출되는 침수 여부 결정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침수 감지 장치 (100) 의 설치 위치에 대한 침수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 (180) 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181) 및 저장 매체 (183) 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제어부 (180) 는 기울기 센서 (120) 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침수 감지 장치 (100) 의 설치 위치에 대한 침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침수 감지에 대한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의 임계값을 미리 설정하여, 일정 각도 이상 방수 용기 (110) 의 기울기가 변경된 경우에 침수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기울기 측정값에 변화가 생겼다는 자체만으로 침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 (180) 는, 기울기 센서 (120) 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기반으로 침수 정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화된 기울기 값의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침수에 대한 위험도를 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울기 변화량이 5 도 이상일 때, 침수 위험도는 '관심' 으로 결정될 수 있고, 기울기 변화량이 10 도 이상일 때, 침수 위험도는 '주의' 로 결정될 수 있으며, 기울기 변화량이 15 도 이상일 때, 침수 위험도는 '심각' 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침수 감지 장치가 설치된 장치, 설비 또는 구조물의 소정 위치에 대한 침수의 위험 정도에 따라 관리자가 모니터링 및 대응 정도를 달리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일 측면에 따르면, 방수 용기 (110) 내부에 기울기 센서 (120) 및 무게가 있는 추를 내장시켜 부력을 측정하여 기울기 값과 부력 값을 조합하여 침수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50g, 100g, 150g, 200g 과 같이 무게를 차등화하여 침수의 단계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방수 용기 (110) 에는 온도 센서 (130) 가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 (130) 는 방수 용기 (110) 에 내장되어 방수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 (180) 는 온도 센서 (130) 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이 미리 결정한 온도 임계값 미만이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침수 감지 장치 (100) 의 설치 위치에 대한 침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온도 측정값의 변화 정도를 기반으로 측정값의 변화 정도가 커질수록 침수 위험도를 단계별로 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 (180) 는 기울기 센서 (120) 의 측정값과 온도 센서 (130) 의 측정값을 조합하여 침수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80) 는,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결정한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 온도 센서에 따른 온도 측정값이 미리 결정한 온도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 또는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결정한 임계값 이상이고 온도 센서에 따른 온도 측정값이 미리 결정한 온도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침수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에 대한 침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 (180) 가 기울기 센서 (120) 의 측정값과 온도 센서 (130) 의 측정값을 조합하여 침수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 예를 들어 기울기 센서 (120) 의 측정값과 온도 센서 (130) 의 측정값이 모두 각각의 임계값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침수 감지 장치 (100) 의 설치 위치가 침수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돌풍이나 물리적 충돌과 같은 오탐 요인에 의해 침수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 (180) 는, 침수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기울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기반으로 수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관련하여,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의 예시적인 형태를 나타낸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침수 감지 장치 (200) 를 참조하여 침수 감지 센서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 센서의 구현 형태는 도 3 의 예시적 도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 (200) 는 회전축 (205) 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샤프트 (209) 및 구성 실장부 (210)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 용기는 샤프트 (209) 및 구성 실장부 (210) 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성 실장부 (210) 가 방수 용기로 지칭될 수도 있다. 즉, 본원 발명에 따른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 방수 용기는 구현 형태를 불문하고 침수 정도에 따라 방수 용기에 구비된 기울기 센서의 기울기 측정값이 변화되도록 구성된 형태를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의 제 1 수위에서의 형상을 나타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의 제 2 수위에서의 형상을 나타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의 제 3 수위에서의 형상을 나타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의 제 4 수위에서의 형상을 나타낸다. 이하,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수위 변화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의 변화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높이 (300) 에 침수 감지 장치 (200) 의 회전축이 위치하도록 침수 감지 장치 (200) 가 설치된 경우, 침수 감지 장치 (200) 는 수위가 감지 하한 높이 (310) 이상인 경우에 침수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위는 감지 하한 높이 (310) 미만일 수 있고, 이 경우 침수 감지 장치 (200) 는 침수가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감지 하한 높이 (310) 는 기준 높이 (300) 로부터 하방으로 침수 감지 장치 (200) 의 회전축 중심으로부터 용기 최하단 까지의 길이 (317) 만큼 이격된 것일 수 있다. 수위가 침수 감지 장치 (200) 의 감지 하한 높이 (310) 를 넘어서게 되면 방수 용기가 회전하게 되고,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이 변화하게 되고 침수 감지 장치 (200) 는 감지 위치에 대해 침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가 없는 상태의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이 '0'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수위 상승에 따라 방수 용기가 회전하면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이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가 제 2 수위 (320) 에 이르면, 예를 들어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이 '45 도' 에 이를 때까지 방수 용기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 (180) 는 침수 감지 장치 (200) 의 감지 위치에 대한 침수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 (180) 는 나아가 침수 감지 장치 (200) 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기울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기반으로 수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80) 는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기준 높이 (300) 로부터 제 2 수위 (320) 까지의 이격 거리 (327) 를 산출하거나, 감지 하한 높이 (310) 로부터 제 2 수위 (320) 까지의 이격 거리 (323) 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180) 는 침수 감지 장치 (200) 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로서 기준 높이 (300) 에 대한 정보 및/또는 감지 하한 높이 (31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80) 는 기준 높이 (300) 에 대한 정보 및 기준 높이 (300) 로부터 제 2 수위 (320) 까지의 이격 거리 (327) 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수위가 제 2 수위 (320) 라고 결정할 수 있고, 또는 감지 하한 높이 (310) 에 대한 정보 및 감지 하한 높이 (310) 로부터 제 2 수위 (320) 까지의 이격 거리 (323) 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수위가 제 2 수위 (320) 라고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 (180) 는 예를 들어 삼각 함수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기울기 센서 (120) 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기준 높이 (300) 로부터 제 2 수위 (320) 까지의 이격 거리 (327) 및/또는 감지 하한 높이 (310) 로부터 제 2 수위 (320) 까지의 이격 거리 (323) 를 직접 연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일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 (180) 는,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 및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에 대응하는 침수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 (Look-Up Table, LUT) 을 이용하여, 기울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에 따른 침수 정도 또는 수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1 은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에 따른 침수 정도를 나타내는 룩-업 테이블 (Look-Up Table, LUT) 의 예시도이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룩-업 테이블은, 미리 산출된 기울기 센서의 측정 값에 각각 대응하는 거리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거리 정보는 예를 들어 기준 높이 (300) 로부터 제 2 수위 (320) 까지의 이격 거리 (327) 및/또는 감지 하한 높이 (310) 로부터 제 2 수위 (320) 까지의 이격 거리 (3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용기의 구현 헝태에 따라 회전 위치나 각도 및 수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다소 상이할 수 있다. 방수 용기의 폭에 따라 상이한 정도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직접 연산하게 되는 경우의 연산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소정 형태의 방수 용기의 구현 형태에 따라 각도에 따른 거리 정보를 미리 산출하여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수위 측정 절차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룩-업 테이블이나 침수 감지 장치 (200) 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기준 높이, 감지 상한 높이, 감지 하한 높이를 포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예를 들어 제어부 (180) 에 포함된 저장 매체 (183) 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가 제 3 수위 (330) 에 이르면, 예를 들어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이 '90 도' 에 이를 때까지 방수 용기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 (180) 는 침수 감지 장치 (200) 의 감지 위치에 대한 침수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180) 는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기준 높이 (300) 로부터 제 3 수위 (330) 까지의 이격 거리 (337) 를 산출하거나, 감지 하한 높이 (310) 로부터 제 3 수위 (330) 까지의 이격 거리 (333) 를 산출하고, 침수 감지 장치 (200) 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로서 기준 높이 (300) 에 대한 정보 및/또는 감지 하한 높이 (31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80) 는 기준 높이 (300) 에 대한 정보 및 기준 높이 (300) 로부터 제 3 수위 (330) 까지의 이격 거리 (337) 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수위가 제 3 수위 (330) 라고 결정할 수 있고, 또는 감지 하한 높이 (310) 에 대한 정보 및 감지 하한 높이 (310) 로부터 제 3 수위 (330) 까지의 이격 거리 (333) 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수위가 제 3 수위 (330) 라고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높이 (300) 에 침수 감지 장치 (200) 의 회전축이 위치하도록 침수 감지 장치 (200) 가 설치된 경우, 침수 감지 장치 (200) 는 수위가 감지 상한 높이 (340) 이하인 경우 까지 수위 결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수위가 감지 상한 높이 (340) 일 수 있고, 감지 상한 높이 (340) 는 기준 높이 (300) 로부터 상방으로 침수 감지 장치 (200) 의 회전축 중심으로부터 구성 수용부의 샤프트와의 접합 위치 까지의 거리 (347) 만큼 이격된 것일 수 있다. 수위가 침수 감지 장치 (200) 의 감지 상한 높이 (340) 를 넘어서게 되면 방수 용기는 수위 변화와 회전 여부의 관련성을 상실하게 된다. 감지 상한 높이 (340) 에서의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은 예를 들어 '180 도'일 수 있다.
한편,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이 예를 들어 도 6 과 같이 '90 도' 를 초과하고, 도 7 과 같이 '180 도' 미만인 경우에도, 수위의 측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80) 는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기준 높이 (300) 로부터 현재 수위 까지의 이격 거리를 결정하고, 기준 높이 (300) 에 대한 정보를 더 이용하여 현재 수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 (180) 는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감지 상한 높이 (340) 로부터 현재 수위 까지의 이격 거리를 결정하고, 감지 상한 높이 (340) 에 대한 정보를 더 이용하여 현재 수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방수 용기 (110) 내부에 기울기 센서
복수 침수 감지 센서를 이용한 수위 측정 장치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측정 장치의 침수 감지 센서의 배치를 나타내고, 도 9 는 도 8 의 수위 측정 장치에 따른 수위 측정의 예시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침수 감지 센서를 이용한 수위 측정 장치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측정 장치 (1000) 는, 복수의 침수 감지 센서를 이용한 수위 측정 장치일 수 있으며, 복수의 침수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침수 감지 장치 어레이 (1100) 및 제어부 (1200)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수 감지 장치 어레이 (1100) 는, 제 1 높이 (910) 에 설치된 제 1 침수 감지 장치 (1010) 및 제 1 높이와 상이한 제 2 높이 (920) 에 설치된 제 2 침수 감지 장치 (102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침수 감지 장치 어레이 (1100) 는 제 2 높이 (930) 에 설치된 제 3 침수 감지 장치 (1030) 및 제 4 높이 (940) 에 설치된 제 4 침수 감지 장치 (1040) 를 더 포함하는 것과 같이, 복수의 침수 감지 장치를 구비하여 수위 측정 가능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 (1200) 는 프로세서 (1210) 및 저장 매체 (1230) 를 구비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침수 감지 장치 어레이 (1100) 에 포함된 각각의 침수 감지 장치는 제어부 (1200) 로 기울기 센서에 따른 측정 값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 (1200) 는 침수 감지 장치 어레이 (1100) 에 포함된 각각의 침수 감지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침수 여부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침수 감지 장치들 각각의 설치 높이 중 하나를 이용하여 수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200) 는 제 1 침수 감지 장치 (1010) 및 제 2 침수 감지 장치 (1020) 중 적어도 하나가 침수 여부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 1 높이 (910) 또는 제 2 높이 (920)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수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200) 는, 침수 감지 장치 어레이에 포함된 침수 감지 장치들 중 침수 여부를 감지한 가장 높은 설치 위치의 침수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를 기반으로 수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침수 감지 장치 (1010) 및 제 2 침수 감지 장치 (1020) 중, 제 1 침수 감지 장치 (1010) 만 침수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예를 들어 제 1 높이 (910) 를 수위로 결정하고, 제 1 침수 감지 장치 (1010) 및 제 2 침수 감지 장치 (1020) 가 모두 침수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제 2 높이 (920) 를 수위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 내지 도 9 에 도시된 제 1 높이 (910) 내지 제 4 높이 (940) 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특정 침수 감지 장치가 침수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결정하는 수위의 값은 설정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제어부 (1200) 는 복수의 침수 감지 장치 중 침수 여부가 감지된 침수 감지 장치들을 결정하고, 침수된 침수 감지 장치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침수 감지 장치에 대한 설치 위치의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수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 (1200) 는 침수 감지 장치 어레이에 포함된 침수 감지 장치들 중 침수 여부를 감지한 가장 높은 설치 위치의 침수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침수 여부를 감지한 가장 높은 설치 위치의 침수 감지 장치에 구비된 기울기 센서에 따른 측정값에 더 기반하여 수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수위의 산출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위 측정 장치에 구비되는 침수 감지 장치들 각각은 도 1 내지 도 7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침수 여부가 감지된 침수 감지 장치들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된 침수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보다 정확한 수위의 결정이 가능하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측정 장치의 침수 감지 센서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높이의 측면에서 인접한 두 침수 감지 장치의 회전 중심들 간의 높이 방향 이격 거리는, 하부에 설치된 침수 감지 장치의 기준 높이로부터 감지 상한 높이까지의 거리와, 상부에 설치된 침수 감지 장치의 기준 높이로부터 감지 하한 높이 까지의 거리를 합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침수 감지 장치 (1010) 의 회전 중심의 높이와 제 2 침수 감지 장치 (1020) 의 회전 중심의 높이의 차이는, 제 1 침수 감지 장치 (1010) 의 회전 중심 높이 (910) 로부터 제 1 침수 감지 장치 (1010) 의 감지 상한 높이 까지의 거리 (917) 와, 제 2 침수 감지 장치 (1020) 의 회전 중심 높이 (920) 로부터 제 2 침수 감지 장치 (1020) 의 감지 하한 높이 까지의 거리 (923) 를 합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침수 감지 장치는 도 3 에 예시된 바와 같은 회전축 (205) 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샤프트 (209) 및 구성 실장부 (21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침수 감지 장치의 감지 하한 높이는 침수 감지 장치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침수 감지 장치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방수 용기 최하단 까지의 길이만큼 이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침수 감지 장치의 감지 상한 높이는 회전 중심 높이로부터 상방으로 침수 감지 장치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구성 수용부의 샤프트와의 접합 위치 까지의 거리만큼 이격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침수 감지 장치 (1010) 의 회전 중심의 높이와 제 2 침수 감지 장치 (1020) 의 회전 중심의 높이의 차이는 제 1 침수 감지 장치 (1010) 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구성 수용부의 샤프트와의 접합 위치 까지의 거리와 제 2 침수 감지 장치 (1020) 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구성 수용부의 최외곽 까지의 거리를 합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높이의 측면에서 인접한 두 침수 감지 장치의 회전 중심들 간의 수평 방향 이격 거리는, 각각의 침수 감지 장치의 방수 용기들 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간섭 방지 간격 (999) 이상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침수 감지 장치 (1010) 의 회전 중심과 제 2 침수 감지 장치 (1020) 의 회전 중심 사이의 수평 방향 이격 거리는, 제 1 침수 감지 장치 (1010) 및 제 2 침수 감지 장치 (1020) 의 방수 용기가 회전에도 불구하고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간섭 방지 간격 (999) 이상의 거리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9 는 도 8 의 수위 측정 장치에 따른 수위 측정의 예시도이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 1 침수 감지 장치 (1010), 제 2 침수 감지 장치 (1020) 및 제 3 침수 감지 장치 (1030) 는 침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침수 여부를 감지한 침수 감지 장치들 중 가장 높은 설치 위치 (930) 를 가지는 제 3 침수 감지 (1030) 의 설치 설치 위치 (930) 및 제 3 침수 감지 장치에 구비된 기울기 센서에 따른 측정값을 기반으로 수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침수 감지 장치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부 (1200) 는 예를 들어 제 3 침수 감지 장치 (1030) 의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제 3 침수 감지 장치 (1030) 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수위 (1100) 까지의 거리 (939) 를 결정할 수 있고, 제 3 침수 감지 장치 (1030) 의 설치 위치 (930) 에 대한 정보를 더 이용하여 현재 수위 (1100) 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측정 장치 (1000) 에 포함되는 각각의 침수 감지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 (100, 200) 의 기술적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 또는 수위 측정 장치에 따른 감지 또는 측정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 특징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특징들은 예컨대,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기계 판독 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내의 저장장치 내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특징들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설명된 실시예들의 함수들을 수행하기 위한 지시어들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설명된 특징들은,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및 지시어들을 수신하기 위해, 및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 데이터 및 지시어들을 전송하기 위해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시스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소정 결과에 대해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내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지시어들의 집합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해석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중 어느 형태로 쓰여지고, 모듈, 소자, 서브루틴(subroutine), 또는 다른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을 위해 적합한 다른 유닛으로서, 또는 독립 조작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포함하는 어느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지시어들의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적합한 프로세서들은, 예를 들어, 범용 및 특수 용도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모두, 및 단독 프로세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터의 다중 프로세서들 중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설명된 특징들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지시어들 및 데이터를 구현하기 적합한 저장 디바이스들은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 내부 하드 디스크들 및 제거 가능한 디스크들과 같은 자기 디바이스들, 광자기 디스크들 및 CD-ROM 및 DVD-ROM 디스크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모든 형태들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ASIC들(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내에서 통합되거나 또는 ASIC들에 의해 추가되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일련의 기능 블록들을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 예들의 조합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구현 및/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들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서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난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 예는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로서,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방수 용기;
    상기 방수 용기에 내장되어 상기 방수 용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상기 방수 용기에 내장되어 상기 방수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방수 용기에 대한 돌풍 또는 물리적 충돌을 포함하는 오탐 요인에 의해 침수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결정한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온도 센서에 따른 온도 측정값이 미리 결정한 온도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침수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에 대한 침수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용기에 내장되어,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 또는 상기 제어부에 따른 침수 여부 결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용기는,
    상기 방수 용기가 침수되었을 때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을 변화시키도록 물보다 작은 밀도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기반으로 침수 정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침수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기반으로 수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 및 상기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에 대응하는 침수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 (Look-Up Table, LUT) 을 이용하여,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에 따른 침수 정도 또는 수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
  7. 삭제
  8. 복수의 침수 감지 센서를 이용한 수위 측정 장치로서,
    제 1 높이에 설치된 제 1 침수 감지 장치 및 상기 제 1 높이와 상이한 제 2 높이에 설치된 제 2 침수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침수 감지 장치 어레이; 및
    상기 제 1 침수 감지 장치 및 상기 제 2 침수 감지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침수 여부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높이 또는 상기 제 2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수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침수 감지 장치 및 상기 제 2 침수 감지 장치는 제 1 항에 따른 침수 감지 장치인, 수위 측정 장치.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침수 감지 장치 어레이에 포함된 침수 감지 장치들 중 침수 여부를 감지한 가장 높은 설치 위치의 침수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 및
    상기 침수 여부를 감지한 가장 높은 설치 위치의 침수 감지 장치의 기울기 센서에 따른 측정값을 기반으로 수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수위 측정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침수 감지 장치 및 상기 제 2 침수 감지 장치 각각은, 회전 중심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접합된 구성 실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침수 감지 장치의 회전 중심의 높이와 제 2 침수 감지 장치의 회전 중심의 높이의 차이는, 제 1 침수 감지 장치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 1 침수 감지 장치의 구성 수용부의 샤프트와의 접합 위치 까지의 거리와 제 2 침수 감지 장치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2 침수 감지 장치의 구성 수용부의 최외곽 까지의 거리를 합한 거리를 가지는, 수위 측정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침수 감지 장치의 회전 중심과 제 2 침수 감지 장치의 회전 중심 사이의 수평 방향 이격 거리는, 상기 제 1 침수 감지 장치 및 제 2 침수 감지 장치의 방수 용기가 회전에도 불구하고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간섭 방지 간격 (999) 이상의 거리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수위 측정 장치.
KR1020210058609A 2021-05-06 2021-05-06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 및 수위 측정 장치 KR102489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609A KR102489573B1 (ko) 2021-05-06 2021-05-06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 및 수위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609A KR102489573B1 (ko) 2021-05-06 2021-05-06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 및 수위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406A KR20220151406A (ko) 2022-11-15
KR102489573B1 true KR102489573B1 (ko) 2023-01-17

Family

ID=84042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609A KR102489573B1 (ko) 2021-05-06 2021-05-06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 및 수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5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843B1 (ko) * 2011-12-22 2012-09-03 온라인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호우 관리 기능을 갖는 도로 경계석
JP2012173043A (ja) * 2011-02-18 2012-09-10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燃料タンク及び作業機械
JP2019158463A (ja) * 2018-03-09 2019-09-19 株式会社 拓和 水位センサ、点流速センサ、及び開度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841B1 (ko) * 2010-06-15 2012-11-20 주식회사 디앤샤인 도로 침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036260B1 (ko) 2017-07-31 2019-10-24 (주)파이버피아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누수 및 침수 감지센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3043A (ja) * 2011-02-18 2012-09-10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燃料タンク及び作業機械
KR101178843B1 (ko) * 2011-12-22 2012-09-03 온라인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호우 관리 기능을 갖는 도로 경계석
JP2019158463A (ja) * 2018-03-09 2019-09-19 株式会社 拓和 水位センサ、点流速センサ、及び開度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406A (ko)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89996B (zh) 复合式水文监测系统
US9163973B2 (en) Identifying undesired conditions in the function of a floating roof of a tank
KR101800210B1 (ko) 여수 감지 및 여수량 모니터링과 저수지 만수위 보정이 가능한 저수지 관리 시스템
JP5047886B2 (ja) 水流計測システム及び水流計測方法
CN108291407B (zh) 检测屏障的位置
KR102489573B1 (ko)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침수 감지 장치 및 수위 측정 장치
KR102476971B1 (ko) 집중 호우시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 시스템
KR102331056B1 (ko) 지하시설물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맨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맨홀 관제 시스템
KR101753351B1 (ko) 침수예방 시스템
JP4523904B2 (ja) 水位計測装置とこの水位計測装置を使用した水位計測システム
JP6794899B2 (ja) 液位測定システム、液位測定方法、及び液位測定プログラム
KR102176799B1 (ko) 진동 신호를 기반으로 한 안전 진단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진동 센서
KR101751037B1 (ko) 만수위 재조정이 가능한 저수지 관리 시스템
US7493702B2 (en) Tilt control method
KR101660934B1 (ko) 토양 침식과 퇴적 측정 모듈과 이를 이용하는 토양 침식과 퇴적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JP5580612B2 (ja) 冠水検出センサ
KR101330114B1 (ko) 수위검출장치
CN115638835A (zh) 一种基于图像识别算法的量水堰流量自动监测方法及装置
KR102151093B1 (ko) 신뢰도가 향상된 여수로의 수위감지 시스템
EP1443208A1 (en) Wind turbine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518056B1 (ko) 무인 충전 또는 무인 주유 시설의 안전 사고 모니터링 및 사고 원인 분석을 위한 방법
KR102635185B1 (ko) 지표면 수위 계측장치
JP3418737B2 (ja) 流向検知装置および流向検知システム
KR102632463B1 (ko) 도심지 침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31277B1 (ko)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