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277B1 -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277B1
KR102231277B1 KR1020200122568A KR20200122568A KR102231277B1 KR 102231277 B1 KR102231277 B1 KR 102231277B1 KR 1020200122568 A KR1020200122568 A KR 1020200122568A KR 20200122568 A KR20200122568 A KR 20200122568A KR 102231277 B1 KR102231277 B1 KR 102231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water
flooding
flood warn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일
Original Assignee
김도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일 filed Critical 김도일
Priority to KR1020200122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50Pedestal- or pad-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바닥측으로부터 기준높이(H)의 단턱(11) 및 단턱(11)의 상부측에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2)를 가지는 함체(10)와; 함체(10)의 내측에서 단턱(11)의 기준높이(H)까지 함체 내주면에 형성되는 방수포켓(20)과; 함체(10) 바닥에 고정되는 다리(31)에 의하여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된 것으로서, 수배전을 위한 수배전장치(E)가 설치되는 이격테이블(30)과; 함체(10)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침수예비신호(S1)를 발생하는 침수예비신호 신호발생부(40)와; 침수예비신호(S1)가 발생되었을 때, 방수포켓(20)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모터펌프(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A distributing board having self monitoring and responding}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위 침수 상황이 발생될 때, 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하고, 물이 유입되었을 때 외부로 배수함과 동시에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대처 기능을 가지는,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이란 발전소로부터 공급받은 특고압 전력을 학교, 빌딩, 공장등과 같은 전력수요처로 분배하는 계통의 핵심 설비로서, 함체 내부에 변압기, 계기용 변압기(PT), 계기용 변류기(CT), 계기용 변성기(MOF), 피뢰기(LA), 파워퓨즈(PF)등의 수배전에 필요한 각종 부속품으로 구성된 수배전장치(E)가 내장된다.
한편, 최근에 이상 기상변화로 인하여 많은 폭우가 발생하고, 다수의 태풍에 의하여 여러 지역 및 장소에서 침수상황이 발생되고 있으며,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침수 지역에 수배전반이 설치되었을 때, 외부의 물이 수배전반 내부로 유입되는 상황이 발생되었다.
그런데, 수배전반으로 물이 유입될 경우, 고압에 의한 감전사고의 우려가 발생되고, 수배전반과 연결되는 지역에서 갑작스런 정전의 발생됨으로써 수많은 기업 및 가정에서 차 피해가 발생되었다.
또한 수배전반이 침수될 경우 수배전에 관련된 많은 부속품이 손상되며, 이에 따라 침수 상황이 종료되더라도 기존 수배전반을 폐기하고 새로 설치하여야 하였고, 이 과정에서 오랜 시간동안 전력 공급 차질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배전반 주위에서 침수 상황이 발생될 때, 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물이 유입되었을 때 외부로 배수할 수 있는,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배전반으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 수배전을 위한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감전 사고를 예방하고, 침수 상황을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는,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은, 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바닥측으로부터 기준높이(H)의 단턱(11) 및 단턱(11)의 상부측에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2)를 가지는 함체(10); 상기 함체(10)의 내측에서 상기 단턱(11)의 기준높이(H)까지 함체 내주면에 형성되는 방수포켓(20); 상기 함체(10) 바닥에 고정되는 다리(31)에 의하여 상기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된 것으로서, 수배전을 위한 수배전장치(E)가 설치되는 이격테이블(30); 상기 함체(10)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침수예비신호(S1)를 발생하는 침수예비신호 신호발생부(40); 상기 침수예비신호(S1)가 발생되었을 때, 방수포켓(20)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모터펌프(50); 상기 함체(10)의 주위를 감싸는 테두리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함체 주위의 침수상황에서 상기 함체(10)를 따라 부유하는 부표부(60); 및 상기 함체(10)의 외주면 바닥과 상기 부표부(60)를 연결하는 자바라방수백(70);를 포함하고; 상기 부표부(60)는, 상기 함체(10)를 주위를 감싸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단면이 "ㄷ"형태인 테두리프레임(61)과, 테두리프레임(61)에 끼어져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가 빈 테두리튜브(62)를 포함하고; 상기 자바라방수백(70)은 내부백(71)과 외부백(72)으로 된 2 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함체(10) 바닥에는 유입된 물이 모아질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호퍼수집홈(15)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침수예비신호 발생부(40)는, 상기 호퍼수집홈(15)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수집홈(15)으로 유입된 물을 감지하여 제1침수예비신호(S1-1)를 발생하는 제1수위센서(41)와, 상기 방수포켓(20)의 상단 위치에 설치되어 방수포켓(20)의 상단까지 수용되는 물을 감지하여 제2침수예비신호(S1-2)를 발생하는 제2수위센서(42)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부표부(60)가 최대한 상승하였을 때 침수경고신호(S2)를 발생하는 침수경고신호 발생부(80)와; 상기 침수경고신호(S2)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수배전장치(E)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연동되는 전원차단부(9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함체(10)의 내측에서 기준높이(H)까지 함체 내주면에 형성되는 방수포켓(20), 함체(10) 바닥으로부터 수배전장치(E)를 이격되게 지지하는 이격테이블(30) 및 침수예비신호(S1)가 발생되었을 때 방수포켓(20)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모터펌프(50)를 채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방수포켓(20)으로 물이 유입될 때 모터펌프(50)가 물을 함체(10) 외부로 배수시키고, 이 상태에서 정상적인 수배전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침수상황에서 함체(10)를 따라 부유하는 부표부(60) 및 부표부(60)에 연동되어 함체(10)의 중간측까지 감싸는 자바라방수백(70)을 채용함으로써, 함체(10) 주위에서 심한 침수 형상이 발생되더라도 물이 함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부표부(60)가 최대한 상승하였을 때 침수경고신호(S2)를 발생하는 침수경고신호 발생부(80) 및 침수경고신호(S2)에 연동되어 수배전장치(E)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90)를 채용함으로써, 부표부(60)가 상승되는 위급한 침수 상황에서 전원차단부(90)가 수배전장치(E)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압 전원에 의하여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배전반의 내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수배전반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부표부가 상승하여 자바라방수백이 함체를 감싸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부표부가 최대한 상승하였을 때 침수경고신호를 발생하는 침수경고신호 발생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배전반의 내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수배전반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 4는 도 1의 부표부가 상승하여 자바라방수백이 함체를 감싸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부표부가 최대한 상승하였을 때 침수경고신호를 발생하는 침수경고신호 발생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은, 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바닥측으로부터 기준높이(H)의 단턱(11) 및 단턱(11)의 상부측에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2)를 가지는 함체(10)와; 함체(10)의 내측에서 상기 단턱(11)의 기준높이(H)까지 함체 내주면에 형성되는 방수포켓(20)과; 함체(10) 바닥에 고정되는 다리(31)에 의하여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된 것으로서, 수배전을 위한 수배전장치(E)가 설치되는 이격테이블(30)과; 함체(10)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침수예비신호(S1)를 발생하는 침수예비신호 발생부(40)와; 침수예비신호(S1)가 발생되었을 때, 방수포켓(20)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모터펌프(50)와; 함체(10)의 주위를 감싸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함체 주위의 침수상황에서 함체(10)를 따라 부유하는 부표부(60)와; 함체(10)의 외주면 바닥과 상기 부표부(60)를 연결하는 자바라방수백(70)과; 부표부(60)가 최대한 상승하였을 때 침수경고신호(S2)를 발생하는 침수경고신호 발생부(80)와; 상기 침수경고신호(S2)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수배전장치(E)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연동되는 전원차단부(90)와; 침수예비신호(S1) 및 침수경고신호(S2)를 관리자 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상기 구성들의 통합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함체(1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체도장된 철판이 육면체 형태로 절곡 및 용접됨으로써 구현되고, 전방측에는 도어(12)를 바닥으로부터 기준높이(H), 예를 들면 30cm 의 기준높이(H) 이상의 높이에 위치시키는 단턱(11)이 형성된다.
함체(10) 바닥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된 물이 모아질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호퍼수집홈(15)이 형성된다. 이러한 호퍼수집홈(15)에는 후술할 제1수위센서(41)가 설치되고, 함체(10) 내부로 소량의 물이 유입되더라도 이를 감지할 수 있게 한다.
방수포켓(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의 내측에서 단턱(11)의 기준높이(H)까지 함체 내주면, 즉 바닥면과 단턱(11) 높이에 대응되는 4 개의 내측면에 방수액을 여러번 코팅됨으로써 구현된다. 이때 방수액에는 불연재가 포함되고, 이에 완성된 방수포켓(20)은 한여름에 함체가 고온 상태로 달구어지거나, 수배전장치(E)에 과부하게 인가되어 과열되더라도 방수포켓(20)은 충분한 내구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방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수포켓(20)은 함체(10) 네주면에서 단턱(11)까지 형성되므로, 수배전반 외부에서 단턱(11)의 기준높이(H)인 30cm 까지 침수되더라도 물이 함체(10)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이격테이블(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 바닥에 고정되는 다리(31)에 의하여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되며, 수배전장치(E)를 함체(10)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이격테이블(30)에 설치되는 수배전장치(E)는, 예를 들면,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압시키는 변압기,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하는 계기용 변압기(PT),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환하는 계기용 변류기(CT), 적산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한 계량기로 구성되는 계기용 변성기(MOF), 전기회로에서 발생되는 이상 고전압을 안전하게 방전하여 기기의 파손을 예방하는 피뢰기(LA), 파워퓨즈(PF)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격테이블(30)은 단턱(11)의 상부측에 위치되며, 이에 따라 함체(10) 내측의 방수포켓(20)에 물이 완전히 차도 수배전장치(E)를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침수예비신호 발생부(40)는 함체(10)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 침수신호(S)를 발생한다. 이러한 침수예비신호 발생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수집홈(15)에 설치되어 호퍼수집홈(15)으로 유입된 물을 감지하여 제1침수예비신호(S1-1)를 발생하는 제1수위센서(41)와, 방수포켓(20)의 상단 위치에 설치되어 방수포켓(20)의 상단까지 수용되는 물을 감지하여 제2침수예비신호(S1-2)를 발생하는 제2수위센서(42)를 포함한다.
제1수위센서(41)는 함체(10) 내측으로 소량의 물이 유입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1침수예비신호(S1-1)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침수가 아닌 폭우나 바람에 의하여 함체(10) 내측으로 물이 들이칠 경우를 감지한다. 이러한 제1침수예비신호(S1-1)는 후술할 이벤트신호 발생부(100)에 의하여 관리자서버로 전송되어, 관리자가 예의 주시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수위센서(42)는, 함체(10) 주위가 침사됨에 따라 함체(10) 내로 물이 유입되어 방수포켓(20)의 상단까지 수용될 때 이를 감지하여 제2침수예비신호(S1-2)를 발생한다. 이러한 제2침수예신신호(S1-2)가 발생되었을 때, 제어부(100)는 모터펌프(50)를 작동시키고, 방수포켓(20)에 수용된 물을 함체(10) 외부로 배수시킨다.
모터펌프(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수신호(S)가 발생될 때, 엄밀하게는 제2침수신호(S2)가 발생될 때, 방수포켓(20)이 수용하는 물을 외부로 배수한다. 모터펌프(50)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호스(51)와, 유입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호스(52)와 연결된다. 유입호스(51)는 호퍼수집홈(15)까지 연장되어 있고, 배수호스(52)는 함체(10)의 상부측을 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모터펌프(50)는, 제1침수예비신호(S1-1)에서는 작동하지 않고, 제2침수예비신호(S1-2)가 발생될 때 작동되어 호퍼수집홈(15)에 모아지는 물을 함체(10) 외부로 배수시킨다.
즉, 침수신호(S)는 제1수위센서(41)에서 발생되는 제1침수예비신호(S1-1)와 제2수위센서(42)에서 발생되는 제2침수예비신호(S1-2)로 구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침수신호(S)가 발생되더라도 수배전장치(E)는 이격테이블(30)에 의하여 물에 닿지 않게 되고, 수배전장치(E)는 정상 작동된다. 그러나 제1,2침수예비신호(S1-1)(S1-2)는 관리자에게 전송되어, 관리자서버는 해당 수배전반을 예의 주시한다.
부표부(60)는, 함체(10) 주위에 테두리 형태로 설치되어 승강되는 것으로서, 함체(10) 주위가 침수될 때 물에 부유한다. 부표부(6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를 주위를 감싸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단면이 "ㄷ"형태인 테두리프레임(61)과, 테두리프레임(61)에 끼어져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가 빈 테두리튜브(62)로 구성된다.
테두리프레임(61)은 금속 재질로 되어 후술할 자바라방수백(70)을 견고하게 지지한다. 또한 테두리프레임(61)은 단면이 "ㄷ"형태이기 때문에,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테두리튜브(62)를 끼어 위치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테두리튜브(62)를 3 면에서 보호하므로 함체(10) 외부에서 불특정한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테두리튜브(62)는 견고하게 보호된다.
또한 테두리프레임(61)은 단면이 "ㄷ"형태이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외형을 유지하는 강한 내구성을 가지며,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초기 형태를 유지함으로서 간혹 발생되는 침수 상황에서도 함체(10) 주위를 따라 승강이 가능하다.
자바라방수백(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의 외주면 바닥과 부표부(70)의 테두리프레임(61)과 연결된다. 자바라방수백(70)은, 평소 부표부(60)의 무게에 의하여 함체(10)의 주위에서 납작하게 눌리어져 접히고, 부표부(60)가 상승할 때 펼쳐지면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체(10)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
자바라방수백(70)은 내부백(71)과 외부백(72)으로 된 2 겹으로 있다. 외부백(72)은 침수시 물에 함께 휩쓸려오는 날카로운 이물질을 방어하여 내부백(7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침수액에 날카로운 이물질이 있더라도 자바라방수백(70)은 함체(10)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는 방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침수경고신호 발생부(80)는 함체(10) 주위가 침수되어 부표부(60)가 최대한 상승하였을 때 수배전장치(E)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원차단부(90)를 작동시키는 침수경고신호(S2)를 발생한다. 이러한 침수경고신호 발생부(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프레임(61)에 설치되는 마그네트(81)와, 부표부(60)가 최대한 상승한 위치에 대응되는 함체(10)에 설치된 마그네트 스위치(82)를 포함하고, 마그네트(81)가 마그네트 스위치(82)에 대응되는 위치, 즉, 부표부(60)가 최대한 상승한 위치에 있을 때, 마그네트 스위치(82)는 침수경고신호를 발생한다. 이에 따라 부표부(60)가 하부측에 위치되는 일반 상황에서는 침수경고신호(S2)가 발생되지 않아 수배전장치(E)가 정상작동되고, 함체(10) 주위가 과도하게 침수되어 부표부(60)가 최대한 상승되었을 때 침수경고신호(S2)가 발생되어 수배전장치(E)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
이벤트신호 전송부(100)와는 전술한 침수예비신호(S1) 및 침수경고신호(S2)가 발생되었을 때, 이를 관리자 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관리자 서버는 해당 수배전반에서 침수와 같은 이벤트 상황이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지 여부를 예의 주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함체(10)의 내측에서 기준높이(H)까지 함체 내주면에 형성되는 방수포켓(20), 함체(10) 바닥으로부터 수배전장치(E)를 이격되게 지지하는 이격테이블(30) 및 침수예비신호(S1)가 발생되었을 때 방수포켓(20)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모터펌프(50)를 채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방수포켓(20)으로 물이 유입될 때 모터펌프(50)가 물을 함체(10) 외부로 배수시키고, 이 상태에서 정상적인 수배전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침수상황에서 함체(10)를 따라 부유하는 부표부(60) 및 부표부(60)에 연동되어 함체(10)의 중간측까지 감싸는 자바라방수백(70)을 채용함으로써, 함체(10) 주위에서 심한 침수 형상이 발생되더라도 물이 함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부표부(60)가 최대한 상승하였을 때 침수경고신호(S2)를 발생하는 침수경고신호 발생부(80) 및 침수경고신호(S2)에 연동되어 수배전장치(E)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90)를 채용함으로써, 부표부(60)가 상승되는 위급한 침수 상황에서 전원차단부(90)가 수배전장치(E)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압 전원에 의하여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E ... 부속품
10 ... 함체 11 ... 단턱
12 ... 도어 20 ... 방수포켓
30 ... 이격테이블 31 ... 다리
40 ... 침수예비신호 발생부 41 ... 제1수위센서
42 ... 제2수위센서 50 ... 모터펌프
51 ... 유입호스 52 ... 배수호스
60 ... 부표부 61 .. 테두리프레임
62 ... 테두리튜브 70 ... 자바라방수백
71 ... 내부백 72 ... 외부백
80 ... 침수경고신호 발생부 81 ... 마그네트
82 ... 마그네트 스위치 90 ... 전원차단부
100 ... 이벤트신호 전송부

Claims (5)

  1. 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바닥측으로부터 기준높이(H)의 단턱(11) 및 단턱(11)의 상부측에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2)를 가지는 함체(10);
    상기 함체(10)의 내측에서 상기 단턱(11)의 기준높이(H)까지 함체 내주면에 형성되는 방수포켓(20);
    상기 함체(10) 바닥에 고정되는 다리(31)에 의하여 상기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된 것으로서, 수배전을 위한 수배전장치(E)가 설치되는 이격테이블(30);
    상기 함체(10)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침수예비신호(S1)를 발생하는 침수예비신호 발생부(40);
    상기 침수예비신호(S1)가 발생되었을 때, 방수포켓(20)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모터펌프(50);
    상기 함체(10)의 주위를 감싸는 테두리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함체 주위의 침수상황에서 상기 함체(10)를 따라 부유하는 부표부(60); 및
    상기 함체(10)의 외주면 바닥과 상기 부표부(60)를 연결하는 자바라방수백(70);를 포함하고,
    상기 부표부(60)는, 상기 함체(10)를 주위를 감싸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단면이 "ㄷ"형태인 테두리프레임(61)과, 테두리프레임(61)에 끼어져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가 빈 테두리튜브(62)를 포함하고;
    상기 자바라방수백(70)은 내부백(71)과 외부백(72)으로 된 2 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0) 바닥에는 유입된 물이 모아질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호퍼수집홈(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예비신호 발생부(40)는,
    상기 호퍼수집홈(15)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수집홈(15)으로 유입된 물을 감지하여 제1침수예비신호(S1-1)를 발생하는 제1수위센서(41)와,
    상기 방수포켓(20)의 상단 위치에 설치되어 방수포켓(20)의 상단까지 수용되는 물을 감지하여 제2침수예비신호(S1-2)를 발생하는 제2수위센서(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부(60)가 최대한 상승하였을 때 침수경고신호(S2)를 발생하는 침수경고신호 발생부(80)와;
    상기 침수경고신호(S2)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수배전장치(E)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연동되는 전원차단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
KR1020200122568A 2020-09-22 2020-09-22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 KR102231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568A KR102231277B1 (ko) 2020-09-22 2020-09-22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568A KR102231277B1 (ko) 2020-09-22 2020-09-22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277B1 true KR102231277B1 (ko) 2021-03-22

Family

ID=75222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568A KR102231277B1 (ko) 2020-09-22 2020-09-22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2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866B1 (ko) * 2008-01-16 2008-03-27 (합)동양엔지니어링 침수방지 및 절연형 지중전선 배전함
KR20120103984A (ko) * 2011-03-11 2012-09-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충전 스테이션
KR20150027900A (ko) * 2013-09-04 2015-03-13 (주)한진전력 승하강 방식의 지중 매립형 배전반의 시공구조
KR101799490B1 (ko) * 2017-07-20 2017-11-20 윤성식 방폭형 배선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866B1 (ko) * 2008-01-16 2008-03-27 (합)동양엔지니어링 침수방지 및 절연형 지중전선 배전함
KR20120103984A (ko) * 2011-03-11 2012-09-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충전 스테이션
KR20150027900A (ko) * 2013-09-04 2015-03-13 (주)한진전력 승하강 방식의 지중 매립형 배전반의 시공구조
KR101799490B1 (ko) * 2017-07-20 2017-11-20 윤성식 방폭형 배선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5985B1 (ko) 승하강 방식의 지중 매립형 배전반의 시공구조
KR101493356B1 (ko) 사방댐의 홍수 경보장치
CN112490875A (zh) 带有警报系统的配电柜
CN206806817U (zh) 一种散热防尘多功能电力柜
KR20150040774A (ko) 방수 기능과 냉각 기능을 갖는 지하 매설식 개폐기
KR102331056B1 (ko) 지하시설물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맨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맨홀 관제 시스템
KR101140768B1 (ko) 원격 제설 방재 시스템
KR101753351B1 (ko) 침수예방 시스템
KR102231277B1 (ko) 침수경고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
KR20090057849A (ko) 수변전기기 침수방지장치
KR101376774B1 (ko) 센서를 통한 재해감지 및 복구 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시스템 및 건물 통합제어 시스템
KR100788167B1 (ko) 침수방지용 수변전 설비 시스템
KR20190074682A (ko) 침수 및 수위 감지용 센서 모듈
KR101660934B1 (ko) 토양 침식과 퇴적 측정 모듈과 이를 이용하는 토양 침식과 퇴적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N112447038A (zh) 汽车充电桩用环境数据采集装置
CN207115121U (zh) 一种油井动液面测试仪
JP2006318722A (ja) 浸水監視及び乾燥機能付柱上気中開閉器
CN115233737A (zh) 一种智慧城市井盖监测系统
CN214251080U (zh) 一种窨井的数据监测设备
CN114089442A (zh) 一种城市基础设施内涝灾害监测系统和方法
CN210923000U (zh) 用于消防机器人的漏水检测装置
CN207799856U (zh) 一种配电房综合报警装置
KR20220069250A (ko) 수배전반의 차단기 동작 코일 감시 및 경보 장치
JP3019252B2 (ja) ガソリンスタンド地下タンク用漏洩検知装置
JP4363230B2 (ja) 受配電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