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528B1 - 냉장 박스 덮개, 냉장 박스 및 냉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냉장 박스 덮개, 냉장 박스 및 냉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528B1
KR102489528B1 KR1020210018859A KR20210018859A KR102489528B1 KR 102489528 B1 KR102489528 B1 KR 102489528B1 KR 1020210018859 A KR1020210018859 A KR 1020210018859A KR 20210018859 A KR20210018859 A KR 20210018859A KR 102489528 B1 KR102489528 B1 KR 102489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refrigerant
refrigerating box
cooling
refrig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4575A (ko
Inventor
지아홍 루
Original Assignee
프로어드밴서 로지스틱스 테크놀로지 (쑤저우)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095167.6A external-priority patent/CN113266986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0170662.4U external-priority patent/CN211601304U/zh
Application filed by 프로어드밴서 로지스틱스 테크놀로지 (쑤저우)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프로어드밴서 로지스틱스 테크놀로지 (쑤저우)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104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4Stationary cabinets
    • F25D3/04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6/00Devices using a combination of a cooling mode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with a cooling mode not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 박스 덮개, 냉장 박스 및 냉장 시스템을 제공하되, 상기 냉장 박스 덮개는 제1 덮개 본체와 제2 덮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덮개 본체와 상기 제2 덮개 본체 사이에 축냉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축냉 모듈은 외부 카세트와 상기 외부 카세트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카세트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카세트의 내부에 상기 냉장 박스 내부에 대해 제냉을 수행하기 위한 축냉제가 수용되고; 상기 외부 카세트와 상기 내부 카세트와의 간극에는 냉매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카세트에 상기 냉장 박스 덮개의 외부와 연통되는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액체 입구는 상기 냉매가 상기 간극 내에 유입되어, 상기 냉매와 상기 내부 카세트가 열교환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액체 출구는 열교환된 상기 냉매가 상기 외부 카세트로부터 유출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 박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제냉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며, 상이한 냉장 박스 본체에 대한 적용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냉장 박스 덮개, 냉장 박스 및 냉장 시스템{REFRIGERATOR LID, REFRIGERATOR AND REFRIG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제냉 설비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냉장 박스 덮개, 냉장 박스 및 냉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제 사회가 점점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서 냉장 박스의 사용이 점점 보편화되고 있다.
기존의 냉장 박스는, 일반적으로 박스 본체와 박스 덮개 등의 구성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박스 본체에 개구를 갖는 캐비티가 형성되고, 박스 덮개는 개구 상에 씌워져, 박스 본체와 함께 캐비티를 밀폐시킨다. 상기 캐비티 내부에 냉장이 필요한 물품을 저장할 수 있다. 냉장 박스의 캐비티 내부가 보다 낮은 온도를 갖도록, 냉장 박스 내에 제냉통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제냉통은 일반적으로 냉장 박스의 박스 바닥에 설치되거나 냉장 박스의 박스 본체 상에 설치되고, 제냉통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축냉제 등의 자체의 상변화를 통해 열량을 흡수하는 재료가 구비되어, 제냉통을 통해 냉장 박스 내부에 대해 제냉하여, 냉장 박스 내의 물품에 대한 냉장을 실현한다.
하지만, 상술한 방식은 냉장 박스에 대한 전력 소비가 보다 크며, 제냉 효과가 저하된다. 또한, 제냉통이 냉장 박스의 박스 본체 또는 박스 바닥에 장착된 후에는 상기 냉장 박스에 대한 제냉에만 사용될 뿐, 즉 서로 다른 냉장 박스에 대한 제냉통의 적용성이 낮다.
배경기술에서 언급된 적어도 하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장 박스의 전력 소비를 줄일 뿐만 아니라 제냉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냉장 박스 본체에 대한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 박스 덮개, 냉장 박스 및 냉장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은 냉장 박스 본체의 개구 상에 씌워져 설치되는 냉장 박스 덮개를 제공하되, 상기 냉장 박스 덮개는 제1 덮개 본체와 제2 덮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덮개 본체와 상기 제2 덮개 본체 사이에 축냉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축냉 모듈은 외부 카세트와 상기 외부 카세트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카세트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카세트의 내부에 상기 냉장 박스 내부에 대해 제냉을 수행하기 위한 축냉제가 수용되고; 상기 외부 카세트와 상기 내부 카세트와의 간극에는 냉매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카세트에 상기 냉장 박스 덮개의 외부와 연통되는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액체 입구는 상기 냉매가 상기 간극 내에 유입되어, 상기 냉매와 상기 내부 카세트가 열교환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액체 출구는 열교환된 상기 냉매가 상기 외부 카세트로부터 유출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냉장 박스 덮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덮개 본체에서 상기 축냉 모듈에 가까운 일측에 제1 오목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덮개 본체에서 상기 축냉 모듈에 가까운 일측에 제2 오목홈이 구비되며, 상기 축냉 모듈은 상기 제1 오목홈과 상기 제2 오목홈에 의해 둘러싸여 이루어진 공간 내에 설치된다.
상술한 냉장 박스 덮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덮개 본체에서 상기 축냉 모듈에 가까운 일측에 제3 오목홈이 구비되고, 상기 축냉 모듈은 상기 제3 오목홈 내에 끼움 설치된다.
상술한 냉장 박스 덮개에서, 선택적으로, 제냉 배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냉 배관은 액체 진입 배관과 액체 배출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액체 진입 배관의 일단은 상기 액체 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냉매가 상기 액체 진입 배관을 통해 상기 외부 카세트와 상기 내부 카세트와의 간극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액체 배출 배관의 일단은 상기 액체 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냉매가 상기 액체 배출 배관을 통해 상기 외부 카세트로부터 유출되도록 하고; 상기 액체 진입 배관의 타단과 상기 액체 배출 배관의 타단은 상기 냉장 박스 덮개의 외측으로 통한다.
상술한 냉장 박스 덮개에서, 선택적으로, 통풍 배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외부 카세트 상에 가스 입구와 가스 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통풍 배관은 상기 축냉 모듈 내부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통풍 배관의 양단은 각각 상기 가스 입구와 상기 가스 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가스 입구는 상기 통풍 배관 내부로 냉각 기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가스 출구는 열교환된 상기 냉각 기류가 유출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냉장 박스 덮개에서, 선택적으로, 송풍기와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송풍기는 상기 가스 입구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덮개 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송풍기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상술한 냉장 박스 덮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덮개 본체에서 상기 제1 덮개 본체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 장착홈이 설치되되, 상기 장착홈과 상기 냉장 박스 본체의 개구 둘레가 서로 매칭된다.
상술한 냉장 박스 덮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덮개 본체 및/또는 상기 제2 덮개 본체는 단열부재이다.
제2 측면에서, 본 발명은, 냉장 박스 본체와 상술한 냉장 박스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냉장 박스 덮개는 탈착 가능하게 상기 냉장 박스 본체의 개구 상에 씌워져 설치되는 냉장 박스를 더 제공한다.
제3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냉장치와 상술한 냉장 박스를 포함하되; 제냉장치 상에 제1 배관과 제2 배관이 설치되고, 상기 제냉장치 내에 냉매가 구비되며, 상기 제냉장치는 상기 냉매에 대해 냉각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배관은 상기 냉장 박스의 냉장 박스 덮개의 외부 카세트와 내부 카세트와의 간극으로 상기 냉매를 입력하고,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냉장 박스 내부로부터 이동되는 상기 냉매를 제공받는 냉장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 냉장 박스 및 냉장 시스템에서, 상기 냉장 박스 덮개는 제1 덮개 본체와 제2 덮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덮개 본체와 상기 제2 덮개 본체 사이에 축냉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축냉 모듈은 외부 카세트와 상기 외부 카세트 내부에 설치된 내부 카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카세트의 내부에 상기 냉장 박스 내부에 대해 제냉을 수행하기 위한 축냉제가 수용되고; 상기 외부 카세트와 상기 내부 카세트와의 간극에는 냉매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카세트에는 상기 냉장 박스 덮개의 외부와 연통되는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액체 입구는 상기 냉매가 상기 간극 내로 유입되어, 상기 냉매와 상기 내부 카세트가 열교환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액체 출구는 열교환된 상기 냉매를 상기 아웃 통체로부터 유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저온의 냉매가 액체 입구로부터 외부 카세트와 내부 카세트와의 간극으로 유입되고, 액체 출구를 통해 외부 카세트로부터 유출될 수 있으므로, 내부 카세트에 대해 제냉할 수 있으며, 내부 카세트가 냉각된 후, 내부 카세트 내의 축냉제는 저온에서 대량의 냉량(cold quantity)을 흡수 및 저장하고, 동시에 외부 카세트 내 저온의 냉매를 통해 외부로 냉량을 방출하여 냉장 박스 본체 내의 물품에 대한 제냉을 수행하며, 내부 카세트 내부에 축냉제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축냉제는 저장된 냉량을 냉매에 전달하여, 제냉 시간을 연장시키고, 제냉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축냉 모듈을 냉장 박스의 냉장 박스 덮개 상에 설치함으로써, 냉장 박스 덮개는 일반적으로 냉장 박스 상부 지점에 위치하므로, 물리학 중 냉기 하강 원리에 따라, 본 발명은 냉장 박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제냉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축냉 모듈이 냉장 박스 덮개 상에 설치될 경우, 상기 냉장 박스 덮개는 동시에 각종 상이한 형상 및 상이한 크기의 냉장 박스 본체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이한 냉장 박스 본체에 대한 적용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구조 및 그 기타 발명의 목적과 유리한 효과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술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도면을 간략히 소개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진보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이러한 도면을 기초로 기타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의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의 다른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의 제2 덮개 본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의 또 다른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의 축냉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의 축냉 모듈과 제1 덮개 본체가 연결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에서의 냉매와 냉각 기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의 또 다른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의 장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 및 이점이 보다 명확해지도록,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재한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구비한 부재를 나타낸다.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초 상에서, 당업자가 진보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어진 모든 기타 실시예는, 전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재에서, 특별히 설명하면, 별도의 명확한 규정 및 한정이 존재하지 않는 한, 용어 "장착", "서로 연결", "연결"은 넓은 범위로 이해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고정적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적 연결일 수도 있고, 두 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 또는 두 개의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도 있다. 당업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상술한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의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의 다른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의 제2 덮개 본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의 또 다른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의 축냉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의 축냉 모듈과 제1 덮개 본체가 연결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 내부에서의 냉매와 냉각 기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의 또 다른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 박스의 냉장 박스 본체의 개구 상에 씌워져 설치되어, 냉장 박스를 전체적으로 밀폐시키는 냉장 박스 덮개(100)를 제공한다. 냉장 박스 덮개(100)와 냉장 박스 본체는 서로 별개로 이루어진 분리식 구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들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냉장 박스 덮개(100)와 냉장 박스 본체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경우, 냉장 박스를 밀폐시킬 필요가 없을 때에는 냉장 박스 덮개(100)를 냉장 박스 본체로부터 분리시키고, 냉장 박스를 밀폐시켜야 할 경우에는, 냉장 박스 덮개(100)를 냉장 박스 본체 상에 장착하여, 냉장 박스를 전체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 박스 덮개(100)는 제1 덮개 본체(10)와 제2 덮개 본체(20)를 포함하며, 제1 덮개 본체(10)와 제2 덮개 본체(20) 사이에는 축냉 모듈(30)이 설치된다.
여기서, 축냉 모듈(30)의 설치 방식은 아래와 같은 두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가능한 구현방식으로서, 제1 덮개 본체(10)에서 축냉 모듈(30)에 가까운 일측에 제1 오목홈(미도시)이 구비되고, 제2 덮개 본체(20)에서 축냉 모듈(30)에 가까운 일측에 제2 오목홈(미도시)이 구비되며, 축냉 모듈(30)이 제1 오목홈과 제2 오목홈에 의해 둘러싸여 이루어진 공간 내에 설치된다.
다른 일 가능한 구현방식으로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덮개 본체(20)에서 축냉 모듈(30)에 가까운 일측에 제3 오목홈(201)이 구비되고, 축냉 모듈(30)은 제3 오목홈(201) 내에 끼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냉 모듈(30)은 외부 카세트(301)와 외부 카세트(301) 내부에 설치된 내부 카세트(302)를 포함하되, 여기서, 내부 카세트(302)의 내부에 냉장 박스 내부에 대해 제냉하기 위한 축냉제가 수용되고, 외부 카세트(301)와 내부 카세트(302)와의 간극(303)에는 냉매가 수용될 수 있다.
특별히 설명하면, 축냉제는 유기 또는/및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끈적이는 교질 혼합물로서, 저온에서 대량의 냉량을 흡수 및 저장할 수 있고, 온도가 보다 높을 경우에는 대량의 냉량을 방출할 수 있으며, 보다 긴 시간 동안 자신과 주위의 작은 범위 내를 저온 환경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냉매는 간접적 냉각 방식으로 동작하는 제냉 장치에서, 피냉각 물체의 열량을 증발되고 있는 제냉제로 전달하는 물질을 가리킨다. 냉매는 통상적으로 액체로서, 열량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상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일부 냉매는 기체, 또는 이원 얼음(Binary Ice) 등과 같은 액체와 고체의 혼합물일 수 도 있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내부 카세트(302)와 외부 카세트(301)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먼저 내부 카세트(302)를 꺼낸 후 다른 제냉 설비에 넣어 예비 냉각을 수행한 후, 사용이 필요할 경우, 예비 냉각된 내부 카세트(302)를 외부 카세트(301) 내에 안착시키고, 냉매를 통해 내부 카세트(302)를 제냉시켜, 내부 카세트(302)의 냉각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카세트(301) 상에 냉장 박스 덮개(100) 외부와 연통되는 액체 입구(3011)과 액체 출구(3012)가 더 구비되며, 액체 입구(3011)는 냉매가 간극(303) 내에 유입되어, 냉매와 내부 카세트(302) 사이에 열교환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액체 출구(3012)는 열교환된 냉매가 외부 카세트(301)로부터 유출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제1 덮개 본체(10) 및/또는 제2 덮개 본체(20)는 단열부재일 수 있다. 냉장 박스 덮개(100)가 단열 박스 덮개이므로, 냉장 박스 덮개(100) 내의 냉매가 외부로 냉량을 방출하는 것을 방지하여, 냉장 박스 내의 물품에 대한 제냉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덮개 본체(10) 및/또는 제2 덮개 본체(20)의 재질은 EPP 재질일 수 있다.
특별히 설명하면, EPP는 발포 폴리프로필렌의 약어(Expanded polypropylene)로서, 신형 폼 플라스틱의 약칭이다. 구체적으로, EPP는 폴리프로필렌 플라스틱 발포 재료이고, 고결정형 폴리머/기체 복합 재료로서, 현재 가장 빨리 증가하고 있는 친환경 신형 내압 완충 단열 재료이며, 재활용이 가능하고, 자연적으로 분해될 수 있으며, 백색 오염을 초래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장 박스 덮개(100) 내부에는 제냉 배관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냉 배관은 액체 진입 배관(401)과 액체 배출 배관(402)을 포함하되, 액체 진입 배관(401)의 일단은 액체 입구(3011)와 연통되어, 냉매가 액체 진입 배관(401)을 통해 외부 카세트(301)와 내부 카세트(302)와의 간극(303)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액체 배출 배관(402)의 일단은 액체 출구(3012)와 연통되어, 냉매가 액체 배출 배관(402)을 통해 외부 카세트(301)로부터 유출되도록 한다. 액체 진입 배관(401)의 타단과 액체 배출 배관(402)의 타단은 냉장 박스 덮개(100)의 외측으로 통한다.
구체적으로 사용 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입구(3011)를 액체 진입 배관(401)에 연결시키고, 액체 출구(3012)를 액체 배출 배관(402)에 연결시켜, 저온의 냉매가 액체 입구(3011)로부터 외부 카세트(301)와 내부 카세트(302)와의 간극(303)으로 유입되고, 액체 출구(3012)를 통해 외부 카세트(301)로부터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카세트(302)에 대해 제냉을 수행할 수 있고, 내부 카세트(302)가 냉각된 후에, 액체 입구(3011)와 액체 출구(3012)를 각각 액체 진입 배관(401) 및 액체 배출 배관(402)과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때, 외부 카세트(301) 내의 저온의 냉매를 통해 외부로 냉량을 방출하여 냉장 박스 본체 내의 물품에 대한 제냉을 실현할 수 있으며, 내부 카세트(302) 내부에 축냉제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축냉제는 저장된 냉량을 냉매로 전달하여, 제냉 시간을 연장시키고, 제냉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장 박스 덮개(100) 내부에는 통풍 배관(50)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외부 카세트(301) 상에 가스 입구(3013)와 가스 출구(3014)가 설치되고, 통풍 배관(50)은 축냉 모듈(30) 내부에 관통 설치되며; 통풍 배관(50)의 양단은 각각 가스 입구(3013) 및 가스 출구(3014)와 연통되고, 가스 입구(3013)는 통풍 배관(50) 내부로 냉각 기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가스 출구(3014)는 열교환된 냉각 기류가 유출되기 위한 것이다.
특별히 설명하면, 도7에서 공심 화살표는 냉매의 흐름 방향을 나타내고, 실심 화살표는 냉각 기류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장 박스 덮개(100) 내부에는 송풍기(60)와 컨트롤러(70)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송풍기(60)는 가스 입구(3013) 지점에 설치될 수 있고, 컨트롤러(70)는 제1 덮개 본체(10) 상에 설치되며, 컨트롤러(70)와 송풍기(6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컨트롤러(70)는 송풍기(6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송풍기(60)와 컨트롤러(70)는 조합되어 사용되어, 통풍 배관(50) 내부로 냉각 기류를 인가하여 내부 카세트(302)에 대해 추가적으로 제냉하는 효과를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사용 시, 외부 카세트(301) 상에 가스 입구(3013)와 가스 출구(3014)가 설치되고, 통풍 배관(50)은 축냉 모듈(30) 내부에 관통 설치되며, 가스 입구(3013) 지점에 설치되는 송풍기(60)를 사용하여, 차가운 공기를 통풍 배관(50)으로 도입시키며, 통풍 배관(50)을 따라 내부 카세트(302)로 전달한다. 종래기술에서 단순히 공기의 자연적인 유동을 통해 냉량을 확산하는 방식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기(60)를 사용하여 냉공기가 통풍 배관(50)을 따라 전송되도록 구동함으로써, 제냉 속도를 더욱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덮개 본체(20)에서 제1 덮개 본체(10)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는 장착홈(202)이 설치되되, 장착홈(202)과 냉장 박스 본체의 개구 둘레는 서로 매칭되어, 냉장 박스 덮개(100)와 냉장 박스 본체의 밀폐를 구현한다.
냉장 박스 본체가 상이한 형상이거나 상이한 크기를 갖더라도, 냉장 박스 본체는 동일한 개구 둘레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축냉 모듈(30)이 냉장 박스 덮개(100) 상에 설치될 경우, 상기 냉장 박스 덮개(100)의 장착홈(202)은 동시에 각종 상이한 형상 및 상이한 크기의 냉장 박스 본체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이한 냉장 박스 본체에 대한 적용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장착홈(202)으로 둘러싸인 형상은 원형, 구형, 다각형 등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냉장 박스 본체(100)는 상이한 개구 둘레를 갖는 냉장 박스 본체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100)는 동일한 개구 둘레를 갖는 상이한 형상 및 상이한 크기의 냉장 박스 본체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이한 장착홈(202)을 설치하여 냉장 박스 덮개(100)가 상이한 개구 둘레를 갖는 임의의 형상 및 임의의 사이즈의 냉장 박스 본체에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특별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착홈(202)의 형상 및 크기에 대해 한정하지 않고, 상술한 예시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진입 배관(401)에서 액체 입구(3011)에 멀리 떨어진 일단 및 액체 배출 배관(402)에서 액체 출구(3012)에 멀리 떨어진 일단에 신속 커플러(8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액체 진입 배관(401) 및 액체 배출 배관(402)과 기타 외부 연통 배관이 직접 신속하게 연결될 수 있다.
신속 커플러는 도구가 없이도 배관을 연통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커플러를 가리킨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속 커플러(80)는 공기용 신속 커플러, 산소 연소 기체용 신속 커플러, 기체 액체 공용 신속 커플러, 유압용 신속 커플러, 불활성 기체용 신속 커플러, 냉각수 온유용 신속 커플러 또는 반도체 신속 커플러 등일 수 있다.
특별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속 커플러(80)의 구체적인 유형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상술한 예시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는, 제1 덮개 본체와 제2 덮개 본체를 포함하되; 제1 덮개 본체와 제2 덮개 본체 사이에 축냉 모듈이 설치되고, 축냉 모듈은 외부 카세트와 외부 카세트 내부에 설치된 내부 카세트를 포함하고, 내부 카세트의 내부에 냉장 박스 내부에 대해 제냉을 수행하기 위한 축냉제가 수용되고; 외부 카세트와 내부 카세트와의 간극에는 냉매가 수용될 수 있고, 외부 카세트에 냉장 박스 덮개 외부와 연통되는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가 구비되되, 액체 입구는 냉매가 간극 내에 유입되어, 냉매와 내부 카세트가 열교환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액체 출구는 열교환된 냉매가 외부 카세트로부터 유출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저온의 냉매가 액체 입구로부터 외부 카세트와 내부 카세트와의 간극으로 유입되고, 액체 출구를 통해 외부 카세트로부터 유출될 수 있으므로, 내부 카세트에 대해 제냉할 수 있으며, 내부 카세트가 냉각된 후, 내부 카세트 내의 축냉제는 저온에서 대량의 냉량을 흡수 및 저장하고, 동시에 외부 카세트 내 저온의 냉매를 통해 외부로 냉량을 방출하여 냉장 박스 본체 내의 물품에 대한 제냉을 수행하며, 내부 카세트 내부에 축냉제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축냉제는 저장된 냉량을 냉매에 전달하여, 제냉 시간을 연장시키고, 제냉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축냉 모듈을 냉장 박스의 냉장 박스 덮개 상에 설치함으로써, 냉장 박스 덮개는 일반적으로 냉장 박스 상부 지점에 위치하므로, 물리학 중 냉기 하강 원리에 따라, 냉장 박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제냉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축냉 모듈이 냉장 박스 덮개 상에 설치될 경우, 상기 냉장 박스 덮개는 동시에 각종 상이한 형상 및 상이한 크기의 냉장 박스 본체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이한 냉장 박스 본체에 대한 적용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의 장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예 1의 기초 상에서,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냉장 박스 본체(1) 및 상술한 실시예 1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100)를 포함하는 냉장 박스(200)를 제공한다.
여기서, 냉장 박스 덮개(100)는 탈착 가능하게 냉장 박스 본체(1)의 개구 상에 씌워져 설치된다. 냉장 박스 덮개(100) 내의 축냉 모듈(30)은 냉장 박스(200) 내의 물품에 대해 제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 박스(200)는, 구체적으로 사용 시, 액체 입구(3011)를 액체 진입 배관(401) 상에 연결하고, 액체 출구(3012를 액체 배출 배관(402) 상에 연결하고, 저온의 냉매가 액체 입구(3011)를 통해 외부 카세트(301)와 내부 카세트(302)와의 간극(303)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액체 출구(3012)를 통해 외부 카세트(301)로부터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카세트(302)에 대해 제냉할 수 있으며, 내부 카세트(302)가 냉각된 후, 액체 입구(3011) 및 액체 출구(3012)를 각각 액체 진입 배관(401) 및 액체 배출 배관(402)과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때, 외부 카세트(301) 내의 저온의 냉매를 통해 외부로 냉량을 방출하여 냉장 박스 본체(1) 내의 물품에 대한 제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내부 카세트(302)에 축냉제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축냉제는 저장된 냉량을 냉매에 전달하여, 제냉 시간을 연장시키고, 제냉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기타 기술적 특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공하는 냉장 박스는, 적어도 냉장 박스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 박스 덮개는 제1 덮개 본체와 제2 덮개 본체를 포함하고; 제1 덮개 본체와 제2 덮개 본체 사이에 축냉 모듈이 설치되고, 축냉 모듈은 외부 카세트와 외부 카세트 내부에 설치된 내부 카세트를 포함하되, 내부 카세트의 내부에 냉장 박스 내부에 대해 제냉하기 위한 축냉제가 수용되고; 외부 카세트와 내부 카세트와의 간극에는 냉매가 수용될 수 있으며, 외부 카세트에 냉장 박스 덮개 외부와 연통되는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가 구비되되, 액체 입구는 냉매가 간극 내로 유입되어, 냉매와 내부 카세트가 열교환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액체 출구는 열교환된 냉매를 외부 카세트로부터 유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저온의 냉매는 액체 입구를 통해 외부 카세트와 내부 카세트와의 간극으로 유입되고, 액체 출구를 통해 외부 카세트로부터 유출되며, 내부 카세트에 대해 제냉을 수행하여, 내부 카세트가 냉각된 후에, 내부 카세트 내의 축냉제가 저온에서 대량의 냉량을 흡수 및 저장함과 동시에 외부 카세트 내의 저온의 냉매를 통해 외부로 냉량을 방출하여 냉장 박스 본체 내의 물품에 대한 제냉을 구현하며, 내부 카세트에 축냉제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축냉제는 저장된 냉량을 냉매에 전달하여, 제냉 시간을 연장시키고, 제냉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축냉 모듈을 냉장 박스의 냉장 박스 덮개 상에 설치함으로써, 냉장 박스 덮개는 일반적으로 냉장 박스 상부 지점에 위치하므로, 물리학 중 냉기 하강 원리에 따라, 냉장 박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제냉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축냉 모듈이 냉장 박스 덮개 상에 설치될 경우, 상기 냉장 박스 덮개는 동시에 각종 상이한 형상 및 상이한 크기의 냉장 박스 본체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이한 냉장 박스 본체에 대한 적용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기초 상에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3은 제냉장치(2)와 상술한 실시예 2에 따른 냉장 박스(200)를 포함하는 냉장 시스템(300)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냉장치(2) 상에 제1 배관(21)과 제2 배관(22)이 설치되고, 제냉장치(2) 내에 냉매가 구비되며, 제냉장치(2)는 냉매에 대해 냉각하고, 제1 배관(21)은 액체 진입 배관(3011)과 연통되어, 냉장 박스(200)의 냉장 박스 덮개(100)의 외부 카세트(301)와 내부 카세트(302)와의 간극(303)으로 냉매를 입력하고, 제2 배관(22)은 액체 배출 배관(3012)과 연통되어, 냉장 박스(200) 내로부터 이동되는 냉매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제1 배관(21)이 액체 진입 배관(3011)과 연통되고, 제2 배관(22)이 액체 배출 배관(3012)과 연통되어, 냉매가 제1 배관(21)을 통해 외부 카세트(301)와 내부 카세트(302)와의 간극(303) 내부로 유입되고, 제2 배관(22)을 통해 외부 카세트(302)로부터 유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냉장 박스(200) 내의 물품에 대해 제냉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 시스템(300)은, 구체적으로 사용 시, 액체 입구(3011)를 액체 진입 배관(401) 상에 연결시키고, 액체 출구(3012)를 액체 배출 배관(402) 상에 연결시켜, 저온의 냉매가 액체 입구(3011)를 통해 외부 카세트(301)와 내부 카세트(302)와의 간극(303)으로 유입되고, 액체 출구(3012)를 통해 외부 카세트(301)로부터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카세트(302)에 대해 제냉을 수행할 수 있고, 내부 카세트(302)가 냉각된 후에, 액체 입구(3011)와 액체 출구(3012)를 각각 액체 진입 배관(401) 및 액체 배출 배관(402)과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때, 외부 카세트(301) 내의 저온의 냉매를 통해 외부로 냉량을 방출하여 냉장 박스 본체 내의 물품에 대한 제냉을 실현할 수 있으며, 내부 카세트(302) 내부에 축냉제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축냉제는 저장된 냉량을 냉매로 전달하여, 제냉 시간을 연장시키고, 제냉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기타 기술적 특징은 실시예 1 및/또는 실시예 2와 동일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제공하는 냉장 시스템은, 적어도 냉장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 박스는 적어도 냉장 박스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 박스 덮개는 제1 덮개 본체와 제2 덮개 본체를 포함하고; 제1 덮개 본체와 제2 덮개 본체 사이에 축냉 모듈이 설치되고, 축냉 모듈은 외부 카세트와 외부 카세트 내부에 설치된 내부 카세트를 포함하되, 내부 카세트의 내부에 냉장 박스 내부에 대해 제냉하기 위한 축냉제가 수용되고; 외부 카세트와 내부 카세트와의 간극에는 냉매가 수용될 수 있으며, 외부 카세트에 냉장 박스 덮개 외부와 연통되는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가 구비되되, 액체 입구는 냉매가 간극 내로 유입되어, 냉매와 내부 카세트가 열교환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액체 출구는 열교환된 냉매를 외부 카세트로부터 유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저온의 냉매는 액체 입구를 통해 외부 카세트와 내부 카세트와의 간극으로 유입되고, 액체 출구를 통해 외부 카세트로부터 유출되며, 내부 카세트에 대해 제냉을 수행하여, 내부 카세트가 냉각된 후에, 내부 카세트 내의 축냉제가 저온에서 대량의 냉량을 흡수 및 저장함과 동시에 외부 카세트 내의 저온의 냉매를 통해 외부로 냉량을 방출하여 냉장 박스 본체 내의 물품에 대한 제냉을 구현하며, 내부 카세트에 축냉제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축냉제는 저장된 냉량을 냉매에 전달하여, 제냉 시간을 연장시키고, 제냉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축냉 모듈을 냉장 박스의 냉장 박스 덮개 상에 설치함으로써, 냉장 박스 덮개는 일반적으로 냉장 박스 상부 지점에 위치하므로, 물리학 중 냉기 하강 원리에 따라, 냉장 박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제냉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축냉 모듈이 냉장 박스 덮개 상에 설치될 경우, 상기 냉장 박스 덮개는 동시에 각종 상이한 형상 및 상이한 크기의 냉장 박스 본체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이한 냉장 박스 본체에 대한 적용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기재에서, "상", "하", "전", "후", "수직", "수평" , "위", " 아래", "내", "외" 등의 용어가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기반한 방위 또는 위치 관계로서, 본 발명을 쉽게 설명하고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한 것이며, 일컫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 방위, 특정된 방위로 구성 및 조작되어야 하는 것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므로, 본 발명에 대해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기재에서, "복수"는 별도의 명확한 구체적인 규정이 존재하지 않는 한, 둘 또는 둘 이상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청구범위 및 상술한 도면에서 "제1 ", "제2 ", "제3", "제4" 등(만약 존재한다면)의 용어는 유사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정 순서거나 선후 순서를 나타낼 필요는 없다. 이렇게 사용되는 데이터는 적합한 경우에 서로 바뀌어 사용됨으로써 여기에 기재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예를 들어 여기에 도시되거나 기재된 것 이외의 순서로 실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포함", "구비"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된 용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기기는 명확하게 나열된 단계 또는 유닛에 한정될 필요가 없이,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기기의 고유적인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비록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분야의 당업자는 여전히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해 수정을 진행하거나, 그 중 부분 또는 전부의 기술적 특징에 대해 동등한 치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치환에 의해 대응되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본질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100 : 냉장 박스 덮개
10 : 제1 덮개 본체
20 : 제2 덮개 본체
201 : 제3 오목홈
202 : 장착홈
30 : 축냉 모듈
301 : 외부 카세트
3011 : 액체 입구
3012 : 액체 출구
3013 : 가스 입구
3014 : 가스 출구
302 : 내부 카세트
303 : 간극
401 : 액체 진입 배관
402 : 액체 배출 배관
50 : 통풍 배관
60 : 송풍기
70 : 컨트롤러
80 : 신속 커플러
1 : 냉장 박스 본체
2 : 제냉장치
21 : 제1 배관
22 : 제2 배관
200 : 냉장 박스
300 : 냉장 시스템

Claims (10)

  1. 냉장 박스 본체의 개구 상에 씌워져 설치되는 냉장 박스 덮개에 있어서,
    상기 냉장 박스 덮개는 제1 덮개 본체와 제2 덮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덮개 본체와 상기 제2 덮개 본체 사이에 축냉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축냉 모듈은 외부 카세트와 상기 외부 카세트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카세트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카세트의 내부에 상기 냉장 박스 내부에 대해 제냉을 수행하기 위한 축냉제가 수용되고; 상기 외부 카세트와 상기 내부 카세트와의 간극에는 냉매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카세트에 상기 냉장 박스 덮개의 외부와 연통되는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액체 입구는 상기 냉매가 상기 간극 내에 유입되어, 상기 냉매와 상기 내부 카세트가 열교환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액체 출구는 열교환된 상기 냉매가 상기 외부 카세트로부터 유출되기 위한 것인 냉장 박스 덮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 본체에서 상기 축냉 모듈에 가까운 일측에 제1 오목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덮개 본체에서 상기 축냉 모듈에 가까운 일측에 제2 오목홈이 구비되며, 상기 축냉 모듈은 상기 제1 오목홈과 상기 제2 오목홈에 의해 둘러싸여 이루어진 공간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박스 덮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덮개 본체에서 상기 축냉 모듈에 가까운 일측에 제3 오목홈이 구비되고, 상기 축냉 모듈은 상기 제3 오목홈 내에 끼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박스 덮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냉 배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냉 배관은 액체 진입 배관과 액체 배출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액체 진입 배관의 일단은 상기 액체 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냉매가 상기 액체 진입 배관을 통해 상기 외부 카세트와 상기 내부 카세트와의 간극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액체 배출 배관의 일단은 상기 액체 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냉매가 상기 액체 배출 배관을 통해 상기 외부 카세트로부터 유출되도록 하고; 상기 액체 진입 배관의 타단과 상기 액체 배출 배관의 타단은 상기 냉장 박스 덮개의 외측으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박스 덮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풍 배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외부 카세트 상에 가스 입구와 가스 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통풍 배관은 상기 축냉 모듈 내부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통풍 배관의 양단은 각각 상기 가스 입구와 상기 가스 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가스 입구는 상기 통풍 배관 내부로 냉각 기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가스 출구는 열교환된 상기 냉각 기류가 유출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박스 덮개.
  6. 제 5 항에 있어서,
    송풍기와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송풍기는 상기 가스 입구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덮개 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송풍기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박스 덮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덮개 본체에서 상기 제1 덮개 본체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 장착홈이 설치되되, 상기 장착홈과 상기 냉장 박스 본체의 개구 둘레가 서로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박스 덮개.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 본체 및/또는 상기 제2 덮개 본체는 단열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박스 덮개.
  9. 냉장 박스 본체와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냉장 박스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냉장 박스 덮개는 탈착 가능하게 상기 냉장 박스 본체의 개구 상에 씌워져 설치되는 것인 냉장 박스.
  10. 제냉장치와 제 9 항에 따른 냉장 박스를 포함하되; 제냉장치 상에 제1 배관과 제2 배관이 설치되고, 상기 제냉장치 내에 냉매가 구비되며, 상기 제냉장치는 상기 냉매에 대해 냉각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배관은 상기 냉장 박스의 냉장 박스 덮개의 외부 카세트와 내부 카세트와의 간극으로 상기 냉매를 입력하고,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냉장 박스 내부로부터 이동되는 상기 냉매를 제공받는 것인 냉장 시스템.
KR1020210018859A 2020-02-14 2021-02-10 냉장 박스 덮개, 냉장 박스 및 냉장 시스템 KR102489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0170662.4 2020-02-14
CN202010095167.6A CN113266986A (zh) 2020-02-14 2020-02-14 冷藏箱盖、冷藏箱及冷藏系统
CN202010095167.6 2020-02-14
CN202020170662.4U CN211601304U (zh) 2020-02-14 2020-02-14 冷藏箱盖、冷藏箱及冷藏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575A KR20210104575A (ko) 2021-08-25
KR102489528B1 true KR102489528B1 (ko) 2023-01-17

Family

ID=77488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859A KR102489528B1 (ko) 2020-02-14 2021-02-10 냉장 박스 덮개, 냉장 박스 및 냉장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11273B2 (ko)
KR (1) KR102489528B1 (ko)
TW (1) TWI754547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502Y1 (ko) * 2002-03-19 2002-06-03 박선우 냉각수단을 갖는 아이스박스
KR200486826Y1 (ko) * 2016-05-16 2018-07-05 주식회사 이지앤 보관된 음식물이 눅눅해 지거나 상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습이나 냉각기능을 갖는 밀폐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4184A (en) * 1987-08-26 1989-03-01 Toshiba Corp Cooling delivery heat-insulating box
JP3542453B2 (ja) * 1997-03-11 2004-07-14 クールパックシステム株式会社 小型急冷システム及び保冷方法
JPH11223441A (ja) * 1998-02-09 1999-08-17 Inoac Corporation:Kk 断熱容器用蓋
JP2006240684A (ja) * 2005-03-04 2006-09-14 Inoac Corp 保冷ボックス
CN101598479B (zh) * 2008-06-04 2011-01-26 李茂雄 具有子母盖的保冷箱
KR20090126772A (ko) * 2008-06-05 2009-12-09 주식회사 리우스 축냉팩의 교환이 용이한 축냉식 냉장고
DE102012213542A1 (de) * 2012-08-01 2014-02-06 Goselig UG Kältespeichervorrichtung sowie Kühlanlagenanordnung
KR20140148085A (ko) * 2013-06-21 2014-12-31 권순범 다수의 착탈식 냉온수단을 구비한 냉온 장치
TWI594905B (zh) * 2013-07-12 2017-08-11 Innovation Thru Energy Co Ltd Filled car and container
TWM475570U (en) * 2013-12-17 2014-04-01 Univ Far East Multi-function mobile refrigerator
TWM482058U (zh) * 2014-03-26 2014-07-11 Ind Tech Res Inst 蓄冷箱
US11466918B2 (en) * 2016-11-22 2022-10-11 Innovation Thru Energy Co Ltd. Cold storage container, cold storage container management system, and cold storage program
CN207991044U (zh) * 2018-02-08 2018-10-19 深圳市酷凌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蓄冷式移动冷藏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502Y1 (ko) * 2002-03-19 2002-06-03 박선우 냉각수단을 갖는 아이스박스
KR200486826Y1 (ko) * 2016-05-16 2018-07-05 주식회사 이지앤 보관된 음식물이 눅눅해 지거나 상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습이나 냉각기능을 갖는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575A (ko) 2021-08-25
JP2021127957A (ja) 2021-09-02
TW202134580A (zh) 2021-09-16
TWI754547B (zh) 2022-02-01
JP7011273B2 (ja) 202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2216A (en) Thermoelectric refrigerator
US20150316309A1 (en)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with air temperature control
US202400271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oler Conversion to a Refrigerator
KR100860897B1 (ko) 열 차단 밀폐체 시스템
JP2016512879A (ja) 携帯型自己冷却自律システム
KR102489528B1 (ko) 냉장 박스 덮개, 냉장 박스 및 냉장 시스템
US4096707A (en) Portable refrigeration machine
WO2024001904A1 (zh) 具有制冰功能的便携式冰箱
CN210762198U (zh) 一种可适应极端工况的主动制冷式冷链物流箱
CN218559551U (zh) 一种多层可调节的低温保鲜技术储存装置
JP3238961U (ja) 冷却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保冷庫
WO2008072251A4 (en) Multiple closed loop configurations in automobile and room air conditioners
CN212457617U (zh) 一种箱体可翻转的冷热双控的全功能医药冷藏箱
CN211601304U (zh) 冷藏箱盖、冷藏箱及冷藏系统
JP2008002694A (ja) 冷蔵庫
KR200273591Y1 (ko) 상변화물질을 이용하는 냉축열식 냉방장치의 열교환기
KR200344352Y1 (ko) 자동차용 냉온장고
CN113266986A (zh) 冷藏箱盖、冷藏箱及冷藏系统
CN219160700U (zh) 冰箱
CN2521165Y (zh) 一种具有温度调节装置的食品容器
CN206797211U (zh) 主动制冷的预埋式冰蓄冷车载冰箱
KR20040005502A (ko) 휴대용 냉장고
KR0138831B1 (ko) 정수기의 정수 냉각 공급장치
KR200379303Y1 (ko) 바트냉장고의 냉각구조
CN115978878A (zh) 冷库用制冷装置及冷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