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141B1 - 무선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141B1
KR102489141B1 KR1020160088831A KR20160088831A KR102489141B1 KR 102489141 B1 KR102489141 B1 KR 102489141B1 KR 1020160088831 A KR1020160088831 A KR 1020160088831A KR 20160088831 A KR20160088831 A KR 20160088831A KR 102489141 B1 KR102489141 B1 KR 102489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monitor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594A (ko
Inventor
오세원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8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1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1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 H01Q19/18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having two or more spaced reflecting surfaces
    • H01Q19/185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having two or more spaced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5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05Array of radiating elements provided with a feedback control over the element weights, e.g. adaptive arrays
    • H01Q3/2611Means for null steering; Adaptive interference nulling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 장착용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방사하는 안테나, 안테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리플렉터, 안테나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제1 리플렉터는, 모니터와 일정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장착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모니터 장착용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방사하는 안테나, 안테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리플렉터, 안테나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제1 리플렉터는, 모니터와 일정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장착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는 무선통신을 구현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필요한 장치로, 공간에 효율적으로 전파를 방사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안테나는 송신할 때 송신기에 의하여 변조된 교류전압을 전자기파로 대기 중에 방사하며, 수신할 때 전자기파를 수신기에 의해 평가된 교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안테나 중에서 듀얼 밴드(dual band) 안테나 설계 기술은 사용 주파수에 적합한 길이 만큼으로 방사체를 분기하여 공진 주파수를 형성하는 형태로 구현되며, 이 때 방사체는 메탈(metal) 형태 또는 프린티드(Printed) 형태로 안테나 설계를 하게 된다.
특히, 안테나의 성능은 방사 신호의 세기, 거리, 방사각 등으로 표현된 극좌표도를 이용할 수 있으며, 안테나는 방사장 패턴, 이득, 로브, 빔 폭, 지향성 등 다양한 수치로 안테나의 성능을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안테나의 성능 중 안테나의 전면에 방사되는 양과 안테나의 후면에 방사되는 양의 비율은 후면 대 전면 비율(back-to-front ratio)로 표현되며, 안테나 지향성(directivity)으로도 표현된다. 이 때, 안테나는 적용되는 전자 기기에 따라서 특정 방향으로 더욱 효과적인 파동을 송수신할 수 있는 지향성을 가질 수 있으며, 지향성이 없는 무지향성을 가지고 방사할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자 기기에 설치되는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디자인 및 심미성의 문제 때문에 패널의 후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안테나가 송신하는 신호는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모두 방사되어 퍼지게 된다.
그런데, 안테나가 적용되는 모듈과 그 모듈이 장착되는 TV, DTV 등 전자 기기의 구조 특성상, TV 및 DTV에 설치되는 안테나는 방사 성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전면 방사보다 후면 방사가 더 성능이 좋게 형성된다. 이는, TV 또는 DTV에는 전체의 금속 패널이 존재하며, 패널 위쪽으로 모듈 및 안테나가 위치하기 때문에 안테나의 방사 패턴이 후면을 향하게 된다.
특히 TV, DTV 에 설치되는 안테나의 경우 전면 방사의 성능이 좋지 못한 경우, TV, DTV로의 신호 송수신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구조적인 성능 저하 요인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안테나의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다. 그러나, 전체 성능을 향상시키는 해결방안은 불필요한 부품 또는 전력을 낭비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전면 방사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1 리플렉터 및 제2 리플렉터를 설치하여 모니터에 장착되는 안테나의 전면 방사를 개선한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모니터 장착용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방사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리플렉터, 상기 안테나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플렉터는, 상기 모니터와 일정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리플렉터가 상기 모니터와 15도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상기 모니터와 0도 내지 15도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리플렉터가 상기 제2 리플렉터보다 상기 모니터의 패널에 더 가깝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리플렉터가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슬롯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평행사변형, 원형, 타원형, 그 외 기타 다각형의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슬롯이 상기 제2 리플렉터의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리플렉터가 상기 제2 리플렉터의 좌측단에 형성된 제1 반사부, 상기 제2 리플렉터의 우측단에 형성된 제2 반사부, 상기 제2 리플렉터의 하단에 형성된 제3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반사부 및 상기 제2 반사부가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제3 반사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리플렉터의 하단에 가까운 슬롯일 수록 상기 슬롯의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리플렉터 및 상기 제2 리플렉터가 상기 모니터와 이루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모니터, 상기 모니터의 후면에 배치되어 무선 신호를 방사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리플렉터, 상기 안테나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플렉터는, 상기 모니터와 일정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장착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설치되는 전자 기기가 전면 방사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널 포인트(Null point)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는, 안테나의 일면 및 타면에 제1 리플렉터 및 제2 리플렉터를 포함하여, 2회의 반사를 통한 전면 방사의 성능을 개선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는, 리플렉터에 슬롯을 포함하여, 리플렉터 자체의 형태를 형성함으로써 일정한 형태의 방사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리플렉터 및 제2 리플렉터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전면 방사 및 후면 방사의 비율을 조절하고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 도 1b는 종래의 모니터에 설치되는 안테나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2a, 도 2b는 본 발명의 모니터에 설치되는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3e는 본 발명의 리플렉터 형태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종래 발명 및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가 가지는 방사패턴 성능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종래 발명 및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가 가지는 return loss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a, 도 2b는 본 발명의 모니터에 설치되는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는 안테나(210), 제1 리플렉터(220), 제2 리플렉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210)는 무선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이 때, 안테나는 장착된 모니터(20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모니터 방향 및 모니터 반대 방향으로 모두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리플렉터는 특정한 영역에 광선 또는 전자파를 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자파가 도체면에서 반사되는 현상을 이용할 수 있다. 전자기파는 금속에 도달하면 완전반사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금속을 통하여 전자파를 특정 방향으로 보낼 수 있게 된다. 제1 리플렉터 및 제2 리플렉터는 도체 성분의 판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구리, 은, 금, 그외 기타 반사가 가능한 합금 등 다양한 소재로 구현할 수 있다.
제1 리플렉터(220)는 안테나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리플렉터(230)는 안테나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리플렉터는 제2 리플렉터보다 모니터의 패널에 더 가깝게 장착될 수 있다. 제1 리플렉터(220)는 모니터(200)에 직접 연결되어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리플렉터(230)는 모니터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연결되어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플렉터 및 제2 리플렉터는 안테나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효과적으로 반사하기 위하여 안테나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안테나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제1 리플렉터 또는 제2 리플렉터에 도달하여, 입사각과 반사각에 따라 반사된다. 반사된 신호는 합쳐지거나 소멸되며, 최종적으로는 전자 기기(TV, DTV 등)의 전면을 향해 나아가게 된다.
또한, 제1 리플렉터 및 제2 리플렉터는 모니터와 일정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장착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모니터(200)를 기준 선으로 설정하고, 제1 리플렉터(220)는 모니터(200)와 각도(221)를 이루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리플렉터(230) 역시 모니터(200)와 각도를 이루어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제1 리플렉터 및 제2 리플렉터는 모니터(200)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 없더라도, 모니터, 제1 리플렉터, 제2 리플렉터의 평면이 가상으로 연장되어 만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리플렉터(220)는 모니터(200)와 15도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리플렉터(230)는 모니터(200)와 0도 내지 15도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안테나(210)가 모니터(200)에 대비하여 약 15도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장착될 수 있으므로, 제1 리플렉터는 안테나(210)와 평행하여 배치되어 반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리플렉터(230)는 전방 방사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직접적인 반사 장치에 해당하므로, 모니터(200)와 평행하도록 0도 각도를 이루어 장착할 수도 있으며, 전방에서 위쪽으로 방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15도 각도를 이루어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리플렉터(220) 및 제2 리플렉터(230)는 모니터와 이루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전자기파는 입사각과 같은 각으로 반사되므로, 리플렉터의 각도를 조절하여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조절할 수도 있다. 제1 리플렉터와 제2 리플렉터의 각도 조절을 위하여,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리플렉터 또는 제2 리플렉터가 장착되는 부위에 힌지(Hinge) 구조, 경첩, 핀, 회전부 등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3e는 본 발명의 리플렉터 형태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리플렉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리플렉터는 제1 리플렉터(220) 및 제2 리플렉터(230)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방사 패턴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제1 리플렉터 또는 제2 리플렉터 중 어느 하나에 적용할 수도 있고, 두 리플렉터에 모두 적용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리플렉터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311)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311)은 리플렉터(310)의 내부 또는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슬롯으로 인하여 리플렉터의 일부가 타공되어 빈 공간으로 남게 된다. 이러한 슬롯을 리플렉터에 형성함으로써, 안테나에서 방사하는 신호가 전면 방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방 방사 및 후방 방사가 안테나로부터 골고루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슬롯(311)은 리플렉터의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롯의 형성으로 인하여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신호의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게 되는데,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는 전방 방사와 후방 방사의 불균형성을 개선하기 위함이며, 좌측 및 우측으로 향하는 방사는 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슬롯은 좌측과 우측의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도록 좌우대칭의 형태로 형성하여 방사 패턴이 좌측/우측으로 기울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슬롯(311)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평행사변형, 원형, 타원형, 그 외 기타 다각형의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슬롯(311)은 다수의 형태를 혼합하여 리플렉터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e를 참조하면, 원형의 슬롯(327)과 직사각형의 슬롯을 혼합하여 리플렉터(320)에 형성할 수 있다.
도 3c 내지 도 3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리플렉터는 리플렉터의 좌측단에 형성된 제1 반사부(321), 리플렉터의 우측단에 형성된 제2 반사부(322), 리플렉터의 하단에 형성된 제3 반사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부, 제2 반사부, 제3 반사부의 구성으로 인하여, 리플렉터의 상단에는 슬롯 역할을 하는 빈 공간이 형성되므로, 전자기파의 일부는 반사하면서 일부는 통과하도록 한다.
이 때, 제1 반사부, 제2 반사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제1 반사부(321)에는 슬롯(324)이 세로 길이 방향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반사부(322)에도 슬롯이 세로 길이 방향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3d와 같은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도 3e와 같이 제1 반사부 및 제2 반사부에 원형의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가로 길이 방향의 직사각형, 정사각형, 그 외 기타 다각형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반사부(323)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슬롯(325, 326, 그 외)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둘 이상의 슬롯의 경우, 리플렉터의 하단에 가까운 슬롯일수록 슬롯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리플렉터의 위치에 따라서 슬롯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방사 포인트를 조절하고 전방 방사 및 후방 방사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종래 발명 및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가 가지는 방사패턴 성능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종래 발명 및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가 가지는 return loss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종래의 무선 통신 장치의 전면 방사는 후면 방사에 비하여 불규칙적이고 고르지 못한 분포를 보인다. 종래의 안테나의 경우, 구조적인 한계로 인하여 전면 방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체 성능을 증폭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지만, 이는 전체 전자 기기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효과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였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에 상, 하 리플렉터를 설치하여 각도를 15도로 조절하는 경우, 전면 방사 및 후면 방사가 고르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에서 적색의 패턴을 보이는 부분은 전자기파의 도달이 더 많이 이루어지는 것을 뜻하는데, 종래의 무선 통신 장치에 비하여 전방 방사가 더욱 효율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에 상, 하 리플렉터를 설치하여 각도를 15도로 조절하고, 리플렉터에 슬롯을 형성하여 패턴을 만드는 경우, 후면 방사를 보강하면서 전면 방사 역시 개선하도록 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후면 방사가 더 좋게 이루어지는 경우에 전체적인 전자 기기의 성능이 향상되므로, 슬롯을 형성하게 되면 불완전한 전면 방사를 보강하면서 후면 방사를 더욱 증가시켜, 전자 기기의 성능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종래의 무선 통신 장치가 가지는 return loss와 본 발명의 리플렉터 및 슬롯이 형성된 무선 통신 장치가 가지는 return loss에 관한 것이다. 반사 손실(return loss)은 전기 신호를 전송할 때 전송계에 임피던스의 부정합이 존재하는 경우, 이 때 입사 전력과 반사 전력의 비율을 로그 값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d에서, 가로축은 주파수를 의미하며, 세로축은 방사된 신호값에 대비한 되돌아오는 값을 의미한다. 도 5a의 종래 발명과 도 5b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15도 각도를 기울여 있거나 슬롯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중심주파수 부근에서 return loss값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는 반사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모니터, 상기 모니터의 후면에 배치되어 무선 신호를 방사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리플렉터, 상기 안테나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플렉터는, 상기 모니터와 일정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장착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기기는 모니터를 이용하는 모든 컴퓨터 장치, TV, DTV(Digital TV), 브라운관, 디스플레이 장치, 모니터 일체형 컴퓨터 등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안테나를 장착한 다양한 전자 기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종래의 모니터
110 : 종래의 모니터에 설치된 안테나
200 : 모니터
210 : 안테나
220 : 제1 리플렉터
221 : 모니터와 제1 리플렉터 사이의 각도
230 : 제2 리플렉터
310, 320 : 리플렉터
311, 324, 325, 326, 327 : 슬롯
321 : 제1 반사부
322 : 제2 반사부
323 : 제3 반사부

Claims (12)

  1. 모니터 장착용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방사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리플렉터; 및
    상기 안테나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리플렉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플렉터는, 상기 모니터와 일정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장착되고,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상기 제2 리플렉터의 좌측단에 형성된 제1 반사부;
    상기 제2 리플렉터의 우측단에 형성된 제2 반사부;
    상기 제2 리플렉터의 하단에 형성된 제3 반사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플렉터는,
    상기 모니터와 15도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장착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상기 모니터와 0도 내지 15도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장착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플렉터는,
    상기 제2 리플렉터보다 상기 모니터의 패널에 더 가깝게 장착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평행사변형, 원형, 타원형, 그 외 기타 다각형의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무선 통신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제2 리플렉터의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무선 통신 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 및 상기 제2 반사부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반사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리플렉터의 하단에 가까운 슬롯일 수록 상기 슬롯의 폭이 좁아지는 무선 통신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플렉터 및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상기 모니터와 이루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
  12. 모니터;
    상기 모니터의 후면에 배치되어 무선 신호를 방사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리플렉터; 및
    상기 안테나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리플렉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플렉터는, 상기 모니터와 일정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장착되고,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상기 제2 리플렉터의 좌측단에 형성된 제1 반사부;
    상기 제2 리플렉터의 우측단에 형성된 제2 반사부;
    상기 제2 리플렉터의 하단에 형성된 제3 반사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0160088831A 2016-07-13 2016-07-13 무선 통신 장치 KR102489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831A KR102489141B1 (ko) 2016-07-13 2016-07-13 무선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831A KR102489141B1 (ko) 2016-07-13 2016-07-13 무선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594A KR20180007594A (ko) 2018-01-23
KR102489141B1 true KR102489141B1 (ko) 2023-01-13

Family

ID=61070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831A KR102489141B1 (ko) 2016-07-13 2016-07-13 무선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1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428A (ko) * 2000-08-22 2002-02-28 홍철택 어레이형 패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는 소형 평면 안테나
KR100947239B1 (ko) * 2007-10-22 2010-03-11 박상인 다수 반사기를 이용한 안테나
KR20140148150A (ko) * 2013-06-21 2014-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594A (ko) 201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7922B2 (en) Antenna feed system
US8698687B2 (en) Microwave system
US3195137A (en) Cassegrainian antenna with aperture blocking correction
WO2013168319A1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アンテナ装置の取りつけ方法
WO2018064835A1 (zh) 一种喇叭天线
JP6778820B2 (ja) 反射アレイアンテナおよび通信デバイス
TWI518992B (zh) 高增益天線及無線裝置
WO2021017777A1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11864341B (zh) 天线组件及电子设备
WO2020119657A1 (zh) 天线和通信设备
JP6340690B2 (ja) アンテナ装置
US10396466B2 (en) Microwave system
CN110808462A (zh) 一种毫米波印刷偶极子天线阵列辐射单元及阵列天线
CN220341510U (zh) 一种宽带极化紧耦合偶极子透射阵天线
WO2017028379A1 (zh) 超宽频双极化天线及其超宽频双极化天线振子
KR102489141B1 (ko) 무선 통신 장치
CN213584189U (zh) 高增益格里高利反射面天线
US10879619B2 (en) Microwave system
CN112310653B (zh) 电子设备
CN112310655A (zh) 电子设备
CN112310652B (zh) 电子设备
CN210224292U (zh) 一种超宽带毫米波天线
WO2023203752A1 (ja) アンテナ用反射器及び無線通信装置用カバー
CN108666767A (zh) 微带天线及通信系统
CN105633589B (zh) 基站天线的背板以及基站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