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006B1 - 목재 가공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목재 가공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006B1
KR102489006B1 KR1020220110965A KR20220110965A KR102489006B1 KR 102489006 B1 KR102489006 B1 KR 102489006B1 KR 1020220110965 A KR1020220110965 A KR 1020220110965A KR 20220110965 A KR20220110965 A KR 20220110965A KR 102489006 B1 KR102489006 B1 KR 102489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ood
hexadecane
surfac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수
Original Assignee
최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수 filed Critical 최경수
Priority to KR102022011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urniture or of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27D5/003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securing a veneer strip to a panel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3/00Arrangements for removing bark-zones, chips, waste, or dust,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wood-working machine or in wood-working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03Mechanical surfac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7/00After-treatment, e.g. reducing swelling or shrinkage, surfacing; Protecting the edges of boards against access of humidity
    • B27N7/005Coating boards, e.g. with a finishing or decorating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02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by means of internal or external coatings
    • F16L58/04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F16L58/10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by rubber or plastics
    • F16L58/1054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by rubber or plastics the coating being placed outside the pi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가공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절단기를 이용하여 목재 판재를 절단하는 절단단계(S11),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통해 상기 목재 판재의 표면을 가공하는 면처리단계(S12) 및 엣지밴딩기를 이용하여 상기 목재 판재에 마감재를 부착하는 엣지밴딩단계(S1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공단계(S1); 및 가공된 목재 판재를 조립하여 가공품으로 제조하는 단계(S2);를 포함하되, 상기 절단기는 상기 목재 판재가 안착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가압부와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목재 가공품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WOOD PRODUCT}
본 발명은 목재 가공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재는 우수한 내구성, 전기절연성 및 열안정성을 가져 건물의 외장 및 내장재, 가구류 등의 다양한 부재로 적용되며, 가공성이 우수하고, 석유화학 물질과는 달리 연소 시에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아 인체 및 환경 친화적인 소재로 밀접하게 사용되고 있다.
목재 가구와 같은 목재 가공품의 원료로는 상기 목재 원목, 파티클 보드(Particle board), 중밀도 섬유판(medium denislty fiberboard)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원목은 각 크기에 맞는 나무를 구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더러 가격도 비싸고 무거워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파이클 보드는 목재를 두께 0.1mm~0.5mm 너비 2~10mm 길이 1~5mm로 깍은 나무조각에 합성수지계 접착제를 섞어서 고압 처리하여 밀도 있게 만든 것으로서 강도와 섬유방향에 따른 방향성이 없고 변형이 적으며 방부 방화제의 첨가에 따라 방부 방화성을 높일 수도 있고, 흡음성과 열의 차단성도 좋으며 강도가 큰 장점이 있다.
또한, 중밀도 섬유판은 리그노셀룰로오스를 고온에서 기계적 화학적으로 처리한 섬유나 섬유다발에 접착제를 첨가하여 열압시켜 만든 판재로서 합판이나 일반가구 소재 대용으로 쓰이며 실내의 벽 수장재, 천장판으로 쓰이는것 이외에 두꺼운 것은 바닥재료로 쓰인다.
따라서 목재를 이용한 가구에서는 주로 파티클 보드나 중밀도 섬유판을 이용하여 제작된 다수의 패널을 조립하여 책상, 탁자, 교자상, 수납장 등을 제작하고 패널의 양측면 또는 사방 측면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색상의 무늬가 있는 몰딩을 부착한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등록특허 제10-2325444호(이하 종래기술)는 목제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 재질로 구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에 소정의 문양이 반영된 음각 패턴 및 양각 패턴을 각각 형성시키고 상호 적층 치합시킨 후 양각 패턴 이외의 상부 플레이트 부분을 절삭 가공하여 제거하는 방식으로 목제품을 제조함으로써, 목재 천연의 무늬, 색감 및 질감을 확보하는 범위 내에서 사용자의 니즈에 커스터마이징된 문양을 목재 표면에 부가하여 목제품의 장식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표면이 매끈한 목재 가공품(또는 목재 제품)을 제조하기 어렵고, 다양한 크기를 갖는 목재 판재를 가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표면이 매끈한 목재 가공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를 갖는 목재 판재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목재 가공품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재 판재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목재 가공품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재 가공품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절단기를 이용하여 목재 판재를 절단하는 절단단계(S11),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통해 상기 목재 판재의 표면을 가공하는 면처리단계(S12) 및 엣지밴딩기를 이용하여 상기 목재 판재에 마감재를 부착하는 엣지밴딩단계(S1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공단계(S1); 및 가공된 목재 판재를 조립하여 가공품으로 제조하는 단계(S2);를 포함하되, 상기 절단기는 상기 목재 판재가 안착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가압부와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면처리단계(S12)는 상기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면처리기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면처리기는, 상기 목재 판재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목재 판재를 상기 회전부재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보다 전방에 구비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 상단에 구비되고 후방으로 연장된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 후단측 상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축부재 및 상기 축부재와 축결합되어 회전되는 로울러를 포함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입장치가 연결되는 흡입호스의 유입구를 상기 회전부재 측에 배치하여 먼지를 흡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폐기되는 표면이 매끈한 목재 가공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를 갖는 목재 판재를 절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목재 판재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가공품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절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면처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엣지밴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흡입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가공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가공품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절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면처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엣지밴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가공품 제조 방법은 표면이 매끈한 목재 가공품(6)(후술하는 도 6 참조)을 제조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를 갖는 목재 판재(5)를 가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방법’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방법(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가공품 제조 방법)은 가공단계(S1), 및 조립단계(S2)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가공단계(S1)는 절단기(1)를 이용하여 목재 판재(5)를 절단하는 절단단계(S11), 회전하는 회전부재(21)를 통해 상기 목재 판재(5)의 표면을 가공(연삭 또는 연마 등)하는 면처리단계(S12) 및 엣지밴딩기(4)를 이용하여 상기 목재 판재(5)에 마감재(미도시)를 부착하는 엣지밴딩단계(S1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방법에 가공 원료인 목재는 예시적으로 파티칼 보드, MDF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절단단계(S11)는 상기한 절단기(1)에 의해 수행되는데,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절단기(1)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절단기(1)는 상기 목재 판재(5)가 안착되는 작업대(11) 및 상기 작업대(11)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가압부(121)와 상기 작업대(11)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121)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122)를 포함하는 고정수단(12)을 포함한다.
또한 절단기(1)는 상기 작업대(11)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절단날(13)과, 상기 절단날(13)을 승강 시키는 구동수단(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동수단(14)은 예시적 으로 유압실린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프레임과 같은 부재를 통해 상기 작업대(11)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절단날(13)은 상기 구동수단(14)에 의해 예시적으로 승강 이동하며 작업대(11) 상에 배치된 목재 판재(5)를 절단할 수 있다.
상기한 고정수단(12)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가압부(121)는 예시적으로 금속 재질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한 이동부(122)는 예시적으로 유압실린더일 수 있고, 상기 가압부(121)와 연결되어 가압부(121)를 측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작업대(11) 상에 배치되는 목재 판재(5)는 롤러 등을 통해 일방향(도 2를 기준으로 ‘A’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상기한 측 방향(도 2를 기준으로‘B’방향)은 상기한 일 방향에 대하여 평면상에서 직교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한 절단기(1)는 작업대(11)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지지부재(15)를 포함할 수 있고, 목재 판재(5)는 작업대(11) 상에서 상기 지지부재(15)와 가압부(121) 사이에 배치되고, 가압부(121)가 측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작업대(11) 상에 배치된 목재 판재(5)를 가압하여 목재 판재(5)가 흔들리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본 방법은 다양한 크기(예시적으로 폭)를 갖는 목재 판재(5)를 작업대(11)에 고정하여 절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공단계(S1)는 면처리단계(S12)를 포함할 수 있는데, 면처리단계(S12)는 면처리기(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한 회전부재(21)는 면처리기(2)에 포함되는 구성이며,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면처리단계(S21)를 수행하는 면처리기(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면처리기(2)는 목재 판재(5)를 수평 방향 중 제1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목재 판재(5)를 상기 회전부재(21)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이송부(23)는 상기한 회전부재(21)보다 하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방향은 도 3을 기준으로 ‘D’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한 이송부(23)는 예시적으로 컨베이어일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면처리기(2)는 상기한 회전부재(21)보다 상측에 구비되어 회전부재(2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동모터(22)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프레임과 같은 부재들에 의해 이송부(23)의 받침대와 연결되어 이송부(23)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회전부재(21)는 예시적으로 패드 또는 그라인더와 같은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한 구동모터(22)의 샤프트에 연결되어 샤프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면처리기(2)는 상기한 회전부재(21) 또는 구동모터(22)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승강부(미도시)는 예시적으로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방법은 면처리기(2)의 회전부재(21)에 의해 수행되는 면처리단계(S22)를 포함함으로써, 목재 판재(5)의 표면을 보다 매끄럽게 하여 표면이 매끈한 목재 가공품(6)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면처리기(2)는 상기 이송부(23)보다 전방에 구비되는 수직부재(241)를 포함하는 가이드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전방은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제1방향에 직교되는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도 3을 기준으로 ‘C’ 방향일 수 있으며, 후방은 상기 ‘C’ 방향의 역방향을 의미할 수 있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면처리기(2)는 상기 이송부(23)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한 플레이트는 프레임과 같은 부재를 매개로 상기 이송부(2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241)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가이드부(24)는 상기 수직부재(241) 상단에 구비되고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수평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4)는 상기 수평부재(242) 후단부 상측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축부재(243), 및 상기 축부재(243)와 축결합되어 축부재(243)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로울러(24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목재 판재(5)가 이송부(23)에 의해 제1방향으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목재 판재(5)가 로울러(244)에 의해 가이드 되며 제1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목재 판재(5)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탈되거나 흔들리는 것이 억제되며 로울러(244)를 통해 마찰을 최소화 하면서 목재 판재(5)가 제1방향으로 이동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흡입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방법은 흡입장치가 연결(연통)되는 흡입호스(3)의 유입구를 상기 회전부재(21) 측에 배치하여 먼지를 흡입하는 단계(이하 흡입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단계는 상기 면처리단계(S12) 이전 또는 도중 또는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흡입장치는 공지된 먼지 흡입기일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흡입호스(3)는 선단에 형성된 유입구가 상기 회전부재(21) 측에 배치되고, 후단에 배치된 배출구가 상기 흡입장치(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면처리단계(S12)에서 회전부재(21)가 회전하며 목재 판재(5)의 표면을 연삭 또는 연마하는 과정에서 목재 가루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상기한 흡입단계에서 흡입호스(3)에 의해 목재 가루가 포함된 먼지가 흡입되어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방법이 수행되는 작업 현장을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공단계(S1)는 상기한 엣지밴딩단계(S13)를 포함할 수 이?箚? 하였는데, 상기한 엣지밴딩단계(S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엣지밴딩기(4)를 이용하여 상기 목재 판재(5)에 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엣지밴딩단계(S13)는 엣지밴딩기(4)에 의해 본드 및 엣지접착, 1차 칼날앤드, 칼날트리밍, 스크래핑, 2차 칼날앤드, 버핑, 우라홈 등의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엣지밴딩기(4)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가공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조립단계(S2)는 가공단계(S1)에서 가공된 목재 판재(5)를 조립하여 가공품(6)으로 제조하는 단계이다.
예시적으로 가공단계(S1)에서 가공된 목재 판재(5)들은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착되거나, 못,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조립되거나 또는 끼움 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도 3,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방법은 상기 흡입호스(3)의 외면에 방수재(GS) 및 기능성첨가재(G)의 혼합물을 도포하는 추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단계는 상기한 흡입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혼합물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방수재(GS)는 상기 흡입호스(3)의 외면에 도포되고 우레탄 5 중량부를 포함(후술하는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 대비)할 수 있다. 방수재(GS)는 우레탄을 포함하여 상기 흡입호스(3)에 방수성을 부가한다.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알루미늄 0.2 중량부를 포함하는(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내피재(G1),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완충재(G2), 폴리에스터를 0.3 중량부를 포함하는(또는 폴리에스터로 구성되는 이루어지는) 흡음재(G3),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 0.2 중량부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 스프링강 0.2 중량부를 포함하는(또는 스프링강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G5)를 포함한다.
기능성첨가재(G)의 각 성분의 비율은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였다.
상기 내피재(G1)는 상기 열완충재(G2)를 감싸는 구형이고, 상기 흡음재(G3)는 상기 내피재(G1)를 감싸되 외면이 반구형의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요철 형상이고,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상기 흡음재(G3)의 골에 구비되고, 상기 흡음재(G3)는 상기 탄성체(G5)의 내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마루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G5)는 코일 형상이며 상기 삽입홈에 내측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흡음재(G3)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이란 상기 기능성첨가재(G)의 후술하는 단위체(GU)의 중심측을 의미하며, 외측은 상기 중심측에서 방사상 방향을 의미한다.
도 7을 참조하여, 기능성첨가재(G)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내피재(G1)는 구 형상이며, 알루미늄 재질이고, 내측에 후술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방수재(GS)에 혼합되어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내피재(G1)는 알루미늄이 0.2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알루미늄이 0.2 중량부를 초과 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분산성을 저하시키며, 0.2 중량부 미만인 경우 후술하는 열완충재(G2)를 충분히 감싸지 못해 열완충재(G2)가 소실될 우려가 있다.
흡음재(G3)는 상기한 내피재(G1) 외부에 구비되어 내피재(G1)를 감싸는 것으로, 상기 방수재(GS)와 혼합되어 방수재(GS)에서 분산 배치된다.
흡음재(G3)는 폴리에스터를 포함하여 소리 음파를 흡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음재(G3)는 외면(표면)이 반구형의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요철 형상이어서, 소리 음파와 접촉 면적이 많기 때문에 흡음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흡음재(G3)는 폴리에스터가 0.3 중량부 포함되는데, 폴리에스터가 0.3 중량부 미만일 경우 흡음 성능이 떨어지고 0.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기능성첨가재(G)의 분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피재(G1)가 상기한 흡음재(G3)의 내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흡음재(G3)를 통과하는 소리 음파가 내피재(G1)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한 흡음재(G3)의 내측에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열완충재(G2)는 상기한 내피재(G1)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수용공간에 채워지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헥사데케인을 포함할 수 있다.
헥세데케인(C16H34)는 융점이 약 18.2℃인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이다.
상변화물질은 주변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Phase)이 변할 때, 온도의 변화 없이 잠열(Latent heat)의 형태로 외부 요인 없이 능동적으로 열을 저장·방출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상변화가 일어날 때 온도변화 없이 출입하는 열인 잠열(Latent heat)은, 상변화를 수반하지 않고 온도변화를 보이며 출입하는 열인 현열(Sensible heat)에 비해서 현저하게 높은 열량을 갖는다. 이 특징을 이용해서 높은 양의 열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온도를 유지 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열완충재(G2)는 상기한 융점을 변화시키기 위해 헥세데케인 이외에 운데칸(Undecane), 도데칸(Dodecane), 트리데칸(Tridecane), 테트라데칸(Tetradecane), 펜타데칸(Pentadecane), 헥사데칸(Hexadecane), 헵타데칸(Heptadecane), 옥타데칸(Octadecane), 노나데칸(Nonadecane) 및 에이코산(Eicosane), 트라이아콘테인(Triacontane)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완충재(G2)의 융점은 상온인 15~25℃ 범위 내에서 조절 될 수 있다.
상기한 열완충재(G2)는 상기한 내피재(G1)의 온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라서 열완충재(G2)가 고온에서 팽창하거나 또는 저온에서 수축하여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내피재(G1)의 균열에 따른 열완충재(G2)의 소실 억제와, 소리 음파 반사능의 저하를 억제하여 기능성첨가재(G)의 흡음 성능을 온도 변화에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피재(G1) 및 상기한 흡음재(G3)가 상기한 열완충재(G2)와 연교환을 하여 결과적으로 열완충재(G2)와 방수재(GS)가 열교환을 이루도록 하여, 방수재(GS)의 온도변화에 의한 수축 및 팽창에 따른 균열, 손상, 변형 발생 등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열완충재(G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헥사데케인 0.1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헥사데케인이 0.1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내피재(G1)가 특정 온도(예시적으로 15~25℃ 또는 약 18.2℃)에서 벗어나는 걸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으며, 헥사데케인이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상술한 내피재(G1)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티렌술포닉산을 포함 할 수 있는데, 더하여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피-스티렌술포닉산과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혼합(1:19 비율)하고 UV 경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한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흡음재(G3) 외측에 구비된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0.2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2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음전하가 충분하지 않으며, 0.2 중량부가 초과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분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방수재(GS)에 기능성첨가재(G)의 단위체(GU)가 다수 포함될 수 있는데, 도포되는 과정에서 다수의 단위체(GU)간 정전기적 척력에 의해 상호 밀어내어 본 조성물에서 다수의 단위체(GU)들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흡음재(G3)의 골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이웃하는 단위체(GU)간의 충돌 또는 본 조성물의 다른 물질과의 충돌을 억제하여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G5)는 상기한 흡음재(G3)의 외부(외면, 표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스프링강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음재(G3)는 마루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G3)는 내측 단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구조적을 안정되게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체(G3)는 코일 형상이며 흡음재(G3)의 마루 외측단부에 구비되어 단위체(GU)의 탄성을 부가한다.
따라서 다수의 단위체(GU)가 포함된 방수재(GS) 및 기능성첨가재(G)를 교반하는 과정에서 이웃하는 단위체(GU)가 충돌함에 따라 단위체(GU)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고, 코일 형상의 탄성체(G5)가 압축되어 탄성 복원됨에 따라 이웃하는 단위체(GU)가 상호 멀어지도록 하여 방수재(GS)에서 기능성첨가재(G)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절단기: 1 작업대: 11
고정수단: 12 가압부: 121
이동부: 122 절단날: 13
구동수단: 14 지지부재: 15
면처리기: 2 회전부재: 21
구동모터: 22 이송부: 23
가이드부: 24 수직부재: 241
수평부재: 242 축부재: 243
로울러: 244 흡입호스: 3
엣지밴딩기: 4 목재 판재: 5
가공품: 6

Claims (4)

  1. 절단기를 이용하여 목재 판재를 절단하는 절단단계(S11),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통해 상기 목재 판재의 표면을 가공하는 면처리단계(S12) 및 엣지밴딩기를 이용하여 상기 목재 판재에 마감재를 부착하는 엣지밴딩단계(S1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공단계(S1); 및
    가공된 목재 판재를 조립하여 가공품으로 제조하는 단계(S2);
    를 포함하되,
    상기 절단기는 상기 목재 판재가 안착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가압부와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면처리단계(S12)는 상기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면처리기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면처리기는,
    상기 목재 판재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목재 판재를 상기 회전부재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보다 전방에 구비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 상단에 구비되고 후방으로 연장된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 후단측 상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축부재 및 상기 축부재와 축결합되어 회전되는 로울러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흡입장치가 연결되는 흡입호스의 유입구를 상기 회전부재 측에 배치하여 먼지를 흡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호스의 외면에 방수재(GS) 및 기능성첨가재(G)의 혼합물을 도포하는 추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수재(GS)는 상기 흡입호스의 외면에 도포되고,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완충재(G2);
    상기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 대비, 알루미늄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완충재(G2)를 감싸고 구형인 내피재(G1);
    상기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 대비, 폴리에스터 0.3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1)를 감싸되 외면이 반구형의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요철 형상이고, 상기 방수재(GS)와 혼합되는 흡음재(G3);
    상기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 대비,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재(G3)의 골에 구비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 및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 대비, 스프링강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루에 구비되는 코일 형상의 탄성체(G5);
    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재(G3)는 마루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G5)는 내측 단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방수재(GS)는 상기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 대비, 우레탄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품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110965A 2022-09-01 2022-09-01 목재 가공품 제조 방법 KR102489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965A KR102489006B1 (ko) 2022-09-01 2022-09-01 목재 가공품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965A KR102489006B1 (ko) 2022-09-01 2022-09-01 목재 가공품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006B1 true KR102489006B1 (ko) 2023-01-13

Family

ID=8490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965A KR102489006B1 (ko) 2022-09-01 2022-09-01 목재 가공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0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837B1 (ko) * 2022-11-29 2023-08-21 반명수 금화규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악취 저감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448A (ko) * 2004-01-28 2005-08-02 장봉관 목재패널의 에지가공장치
KR102118141B1 (ko) * 2018-11-26 2020-06-02 유림목재(주) 목재 홈 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448A (ko) * 2004-01-28 2005-08-02 장봉관 목재패널의 에지가공장치
KR102118141B1 (ko) * 2018-11-26 2020-06-02 유림목재(주) 목재 홈 가공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837B1 (ko) * 2022-11-29 2023-08-21 반명수 금화규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악취 저감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9006B1 (ko) 목재 가공품 제조 방법
CN101722540A (zh) 长幅面集成材及其制作方法
PT2574455T (pt) Placa em material de madeira leve multicamada
US20140370231A1 (en) Laminar Building Block, and System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CA2656602C (en) Laminat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aminates with layers of non-uniform thickness
CN106346565B (zh) 一种纤维板切割装置
JP2017105158A (ja) 化粧パネル及びパネル製造方法
KR101243489B1 (ko) 마루바닥재용 복합기재 구조
JP6719144B1 (ja) 合板製造方法及び木質家具材
KR100545364B1 (ko) 원목 판넬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원목판넬
CN205572608U (zh) 一种切割机
JP2000141312A (ja) 表面に天然素材の切片を配列した化粧合板
US20150050449A1 (en) Flooring having pla layer
KR20220016702A (ko) 원목 판재 및 그 생산 방법
KR20030009923A (ko) 소경재를 이용한 적층 플로링, 적층 집성판재 및 이들의제조방법
JPH0675743U (ja) 積層板
JP3733509B2 (ja) 交走木理を有する単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648374B (zh) 一种抗形变板材的制作工艺
JP2519863Y2 (ja) 積層板
EP0711655A2 (en)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resin and wood laminated product and the laminated product obtained by this method
CN117183048A (zh) 一种家具环保可弯曲复合板制作工艺
JP2523238Y2 (ja) 積層板
JP2543786B2 (ja) 制振床下地材
JP2578197Y2 (ja) 床 材
JPS61192515A (ja) 防音ボ−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