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957B1 - 스크린 자동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자동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957B1
KR102488957B1 KR1020200111325A KR20200111325A KR102488957B1 KR 102488957 B1 KR102488957 B1 KR 102488957B1 KR 1020200111325 A KR1020200111325 A KR 1020200111325A KR 20200111325 A KR20200111325 A KR 20200111325A KR 102488957 B1 KR102488957 B1 KR 102488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buoy
rainwater
cleaning device
buo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9244A (ko
Inventor
이성일
김효상
최영화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블루그린링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블루그린링크(주)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1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95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9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3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01D29/645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with a translationa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07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01D29/642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with a translationa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시설의 전단에 들어가는 전처리 스크린 또는 단독으로 사용 가능한 스크린 여과장치를 자동으로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스크린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자동세척장치로서, 상기 스크린의 전방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며 상기 여과시설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또는 하수의 수면에 부상하는 부표부재와; 상기 부표부재의 상면에 양단부가 안착되어 상기 우수 또는 하수의 유입량에 따라 상기 부표부재의 높낮이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부표부재와 함께 높낮이가 변동되면서 상기 스크린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여과시설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나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스크린이 여과시설 내부의 수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세척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여과 동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스크린의 관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크린 자동세척장치{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SCREEN}
본 발명은 스크린 자동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과시설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나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스크린이 여과시설 내부의 수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세척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여과 동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스크린의 관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자동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된 하수도를 통하여 집수되는 하수는 생활이나 사업에 기인하거나 수반되는 오수와 자연강우에 의한 우수를 총칭하고, 상기 하수도는 상기 하수를 배출원에서 처리장까지 수송하여 처리한 다음 방류지점까지 운반하는데 요구되는 시설의 총체를 칭하며, 상기 하수도에는 도관(하수관거) 및 기타의 공작물과 시설(관거, 부대설비, 하수종말처리시설, 이를 보완하기 위한 펌프시설 등) 등이 포함된다.
상기 하수도는 지역의 특성, 방류 수역의 여건, 수질보전, 방류 하천 하류의 환경 보호, 주민의 감정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분류식 또는 합류식으로 배제하여 정화 방류시키고 있는데, 상기 분류식이란 오수와 우수를 각각의 관거에 의하여 배제하는 방식을 칭하고, 상기 합류식이란 오수와 우수를 한개의 하수관거에 의하여 배제하는 방식을 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강우시 상기 하수도를 통하여 우수토실에 집수된 하수는 다량의 토사와 협잡물이 섞여서 유입되는데 상기 하수를 그대로 방류관을 통하여 배출시킬 경우에는 방류관의 내부에 토사 또는 협잡물이 퇴적되어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며, 어느 정도를 넘어서면 상기 방류관이 차단되어 상기 우수토실과 연결된 맨홀 또는 합류관거 등으로 하수가 월류(over flow)되어 상기 하수도가 설치된 지역 일대가 침수되는 사고가 발생된다.
상기 방류관의 내부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상기 우수토실의 내부에 월류웨어(over flow weir)를 설치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류관(11)의 유입구 측에 스크린(1)을 설치하여 하수에 포함된 토사와 협잡물을 분리시켜는 방법으로 우수배제시설이 설치되어 운전되고 있었다.
상기 스크린(1)을 설치한 경우 운전 초기에는 상기 스크린(1)에 의하여 다량의 토사와 협잡물이 걸러져서 양호한 우수 배제 효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이를 적절한 시기에 제거해주지 않으면 상기 스크린(1)이 없는 경우 보다 짧은 시간에 방류관(11)이 차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상기 우수토실(7)의 방류관(11)에 스크린(1)을 설치한 경우에는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스크린(1)에 들어붙은 협잡물을 걷어내는 작업을 통하여 상기 스크린(1)을 세척해줘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시설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나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스크린이 여과시설 내부의 수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세척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여과 동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스크린의 관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자동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크린 자동세척장치는, 여과시설의 전단에 들어가는 전처리 스크린 또는 단독으로 사용 가능한 스크린 여과장치를 자동으로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스크린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자동세척장치로서, 상기 스크린의 전방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며 상기 여과시설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또는 하수의 수면에 부상하는 부표부재와; 상기 부표부재의 상면에 양단부가 안착되어 상기 우수 또는 하수의 유입량에 따라 상기 부표부재의 높낮이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부표부재와 함께 높낮이가 변동되면서 상기 스크린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부표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부표부재의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 스크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단은 양단부가 상기 부표부재의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며 공급되는 수분이 분사되는 통로인 분사노즐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된 분사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단은 양단부가 상기 부표부재의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외면에 회전 구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부표부재의 승하강 이동에 따라 상기 스크린의 표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스크린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브러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세척수단이 브러쉬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상기 브러쉬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을 형성하는 와이어는 상기 브러쉬부재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이 가압되면 상기 와이어에 의하여 형성되는 간격이 확장된 후에 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단은 양단부가 상기 부표부재의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판넬부재와, 상기 판넬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스크린의 표면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스크린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융모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세척수단은 강우가 종료된 후에 상기 우수 또는 하수가 유출되면서 수위가 낮아지면서 상기 스크린이 외부로 노출시에 동작하여 상기 스크린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자동세척장치는, 여과시설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나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스크린이 여과시설 내부의 수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세척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여과 동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여과시설 내부의 수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스크린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스크린의 관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무동력으로 스크린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동력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류관 측에 설치된 스크린이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자동세척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자동세척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자동세척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자동세척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자동세척장치가 방류관 측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자동세척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자동세척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자동세척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자동세척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자동세척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자동세척장치가 방류관 측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자동세척장치는, 여과시설의 전단에 들어가는 전처리 스크린(1) 또는 단독으로 사용 가능한 스크린(1)을 자동으로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스크린(1)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자동세척장치로서, 상기 스크린(1)의 전방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며 상기 여과시설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또는 하수의 수면에 부상하는 부표부재(100)와; 상기 부표부재(100)의 상면에 양단부가 안착되어 상기 우수 또는 하수의 유입량에 따라 상기 부표부재(100)의 높낮이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부표부재(100)와 함께 높낮이가 변동되면서 상기 스크린(1)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크린(1)은 여과시설 전단에 설치되어 여과시설로 유입되는 우수나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스크린(1)은 복수의 와이어(1a)가 격자를 이루도록 상호 수직으로 배치된 구성을 갖는다.
스크린(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부표부재(10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부표부재(100)의 일측이 삽입되며 스크린(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레일(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린(1)을 형성하는 와이어(1a)는 브러쉬부재(230)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1)이 가압되면 상기 와이어(1a)에 의하여 형성되는 간격이 확장된 후에 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와이어(1a)를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브러쉬부재(230)를 이용하여 스크린을 세척시에 브러쉬부재(230)가 격자에 얽히더라도 와이어(1a)가 끊어지지 않도록 하여 스크린(1)이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스크린(1)을 구성하는 와이어(1a)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를 형성하도록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격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가로 방향으로만 배치되어 가로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혹은 세로 방향으로만 배치되어 세로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부표부재(100)는 우수 또는 하수의 수면에 부상하여 세척수단(200)이 수면에 위치하도록 세척수단(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부표부재(100)는 우수 또는 하수의 표면에 부상할 수 있도록 물보다 밀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됨을 물론이며, 부표부재(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세척수단(200)을 지지하여 수면에 위치시킬 수 있을 정도의 부력을 형성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부표부재(100)는 스크린(1)의 전방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면에 부상할 수 있도록 스크린(1)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2)에 부표부재(100)의 일측이 삽입되어 부표부재(100)의 이동이 안내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수단(200)은 양단부가 부표부재(100)의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며 공급되는 수분이 분사되는 통로인 분사노즐(211)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된 분사파이프(210)로 구성될 수 있다.
분사파이프(210)의 양단부는 부표부재(1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별도의 관건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사파이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분사노즐(211)은 스크린의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스크린(1)에 형성된 격자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사노즐(211)에서 분사되는 수압에 의하여 탈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수단(200)은 양단부가 부표부재(100)의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축부재(220)와, 축부재(220)의 외면에 회전 구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부표부재(100)의 승하강 이동에 따라 스크린(1)의 표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 구동하면서 스크린(1)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브러쉬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수단(200)이 브러쉬부재(230)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스크린(1)은 상기 스크린(1)의 전면에 상기 브러쉬부재(2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브러쉬부재(230)가 스크린(1)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스크린(1)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세척수단(200)을 구성하는 축부재(220)의 양단부는 부표부재(10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별도의 관건수단에 의하여 부표부재(100)의 상면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브러쉬부재(230)는 축부재(2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부표부재(100)에 의하여 축부재(220)가 승하강 이동시에 스크린(1)과의 표면 마찰에 의하여 브러쉬부재(230)가 회전 구동되도록 하여 스크린(1)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수단(200)은 양단부가 부표부재(100)의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판넬부재(240)와, 판넬부재(24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돌출되어 스크린(1)의 표면과 접촉됨으로써 스크린(1)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융모(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판넬부재(240)의 양단부는 부표부재(10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별도의 관건수단에 의하여 부표부재(100)의 상면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융모(250)는 스크린(1)의 전면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판넬부재(240)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융모(250)의 길이는 스크린(1)을 구성하는 복수의 와이어(1a)에 의하여 형성되는 격자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부표부재(100)가 하강 이동시에 스크린(1)의 와이어(1a)에 부착된 이물질이 융모(250)에 의하여 탈거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성을 갖는 세척수단(200)은 강우가 종료된 후에 상기 우수 또는 하수가 유출되면서 수위가 낮아지면서 스크린(1)이 외부로 노출시에 동작하여 스크린(1)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세척수단(200)은 구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없이 수면에 높낮이 변화에 따라 수면에서 승하강 이동하는 부표부재(100)와 함께 이동하면서 무동력에 의하여 스크린(1)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장치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수단(200)의 동작을 위한 별도의 전원 공급을 하지 않아도 스크린(1)을 세척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자동세척장치는, 여과시설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나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스크린이 여과시설 내부의 수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세척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여과 동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스크린의 관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스크린 1a : 와이어
100 : 부표부재 200 : 세척수단
210 : 분사파이프 211 : 분사노즐
220 : 축부재 230 : 브러쉬부재
240 : 판넬부재 250 : 융모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여과시설의 전단에 들어가는 전처리 스크린(1) 또는 단독으로 사용 가능한 스크린(1)을 자동으로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스크린(1)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자동세척장치로서,
    상기 스크린(1)의 전방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며 상기 여과시설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또는 하수의 수면에 부상하는 부표부재(100)와;
    상기 부표부재(100)의 상면에 양단부가 안착되어 상기 우수 또는 하수의 유입량에 따라 상기 부표부재(100)의 높낮이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부표부재(100)와 함께 높낮이가 변동되면서 상기 스크린(1)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단(200)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단(200)은 양단부가 상기 부표부재(100)의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며 공급되는 수분이 분사되는 통로인 분사노즐(211)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된 분사파이프(2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자동세척장치.
  4. 여과시설의 전단에 들어가는 전처리 스크린(1) 또는 단독으로 사용 가능한 스크린(1)을 자동으로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스크린(1)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자동세척장치로서,
    상기 스크린(1)의 전방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며 상기 여과시설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또는 하수의 수면에 부상하는 부표부재(100)와;
    상기 부표부재(100)의 상면에 양단부가 안착되어 상기 우수 또는 하수의 유입량에 따라 상기 부표부재(100)의 높낮이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부표부재(100)와 함께 높낮이가 변동되면서 상기 스크린(1)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단(200)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단(200)은 양단부가 상기 부표부재(100)의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축부재(220)와, 상기 축부재(220)의 외면에 회전 구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부표부재(100)의 승하강 이동에 따라 상기 스크린(1)의 표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스크린(1)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브러쉬부재(23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자동세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200)이 브러쉬부재(230)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스크린(1)은 상기 스크린(1)의 전면에 상기 브러쉬부재(2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자동세척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1)을 형성하는 와이어(1a)는 상기 브러쉬부재(230)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1)이 가압되면 상기 와이어(1a)에 의하여 형성되는 간격이 확장된 후에 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자동세척장치.
  7. 여과시설의 전단에 들어가는 전처리 스크린(1) 또는 단독으로 사용 가능한 스크린(1)을 자동으로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스크린(1)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자동세척장치로서,
    상기 스크린(1)의 전방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며 상기 여과시설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또는 하수의 수면에 부상하는 부표부재(100)와;
    상기 부표부재(100)의 상면에 양단부가 안착되어 상기 우수 또는 하수의 유입량에 따라 상기 부표부재(100)의 높낮이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부표부재(100)와 함께 높낮이가 변동되면서 상기 스크린(1)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단(200)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단(200)은 양단부가 상기 부표부재(100)의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판넬부재(240)와, 상기 판넬부재(24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스크린(1)의 표면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스크린(1)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융모(25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자동세척장치.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200)은 강우가 종료된 후에 상기 우수 또는 하수가 유출되면서 수위가 낮아지면서 상기 스크린(1)이 외부로 노출시에 동작하여 상기 스크린(1)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자동세척장치.
KR1020200111325A 2020-09-01 2020-09-01 스크린 자동세척장치 KR102488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325A KR102488957B1 (ko) 2020-09-01 2020-09-01 스크린 자동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325A KR102488957B1 (ko) 2020-09-01 2020-09-01 스크린 자동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244A KR20220029244A (ko) 2022-03-08
KR102488957B1 true KR102488957B1 (ko) 2023-01-16

Family

ID=80813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325A KR102488957B1 (ko) 2020-09-01 2020-09-01 스크린 자동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9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7534B (zh) * 2022-10-20 2023-09-19 无锡学院 一种环境综合性污水净化处理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27B1 (ko) * 2013-11-08 2014-04-18 현빈개발 주식회사 자동 세정형 수처리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689U (ko) * 1997-10-18 1999-05-15 이순자 오,폐수처리용 스크린의 크리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27B1 (ko) * 2013-11-08 2014-04-18 현빈개발 주식회사 자동 세정형 수처리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244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15490B2 (ja) 沈砂池の集砂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464045B1 (ko) 무동력 수질관리시설과 청소시설이 내장된 빗물저류탱크
RU2606282C1 (ru) Водозаборный узел оросительной системы
KR102488107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2488957B1 (ko) 스크린 자동세척장치
JP6242097B2 (ja) 地下排水ポンプ設備
JP3708442B2 (ja) 沈砂池の集砂装置
JP5775499B2 (ja) 水路側部における濾過取水装置及び水路側部における濾過取水方法
JP4156843B2 (ja) 沈砂池設備
KR101306943B1 (ko) 교량용 배수장치
KR101878395B1 (ko) 강우수 정화장치
CN209429146U (zh) 一种边坡及边坡排水结构
KR100681933B1 (ko) 저류지에서의 수질 정화 증대 장치
JP3483847B2 (ja) 床止め工に傾斜取水スクリーンを設置した河川表流水の取水構造
KR100607183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하천부유물 제거장치
KR100986644B1 (ko) 빗물 처리시스템
JP6727027B2 (ja) 沈砂池の除砂装置
KR200224137Y1 (ko)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RU2576964C1 (ru) Устье дренажного коллектора
CN210369220U (zh) 一种海绵城市水循环系统
CN218357939U (zh) 一种水土保持沉砂池
KR102236628B1 (ko) 이중 스크린을 구비한 오수 펌프장
CN110725331A (zh) 基坑降水回收利用系统及回收利用方法
CN213477120U (zh) 一种活鸡运输车辆清洗车间排水装置
KR102653647B1 (ko)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