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779B1 -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표면마감방법 - Google Patents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표면마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779B1
KR102488779B1 KR1020220063670A KR20220063670A KR102488779B1 KR 102488779 B1 KR102488779 B1 KR 102488779B1 KR 1020220063670 A KR1020220063670 A KR 1020220063670A KR 20220063670 A KR20220063670 A KR 20220063670A KR 102488779 B1 KR102488779 B1 KR 102488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tree
antibacterial
antiv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순
박혜원
Original Assignee
정정순
박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순, 박혜원 filed Critical 정정순
Priority to KR1020220063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n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 마감방법에 관한 것으로, 황토분말, 무기광물질, 항균나무 분말 및 변성전분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은 건축물 및 바닥, 벽체에 도포가 가능한 친환경적인 항바이러스성 수성도료이며, 생분해성 바인더를 사용함으로써 생분해도를 높이고,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휘발성 유기물질이나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위생적인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은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면서 실내 각종 유해물질을 거의 완벽하게 흡착 분해함으로써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여 쾌적한 대기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피부 자극성 및 인체 독성이 없어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표면마감방법 {Antiviral composite comprising antibacterial plants and surface finishing metho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표면 마감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토분말, 무기광물질, 항균나무 분말 및 변성전분 분말을 포함하는 실내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 분해하여 쾌적한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여 쾌적한 대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 마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오피스, 물류창고 등 다양한 건축물 바닥면, 벽면 등은 블록 시공을 하거나 또는 도료(paint) 등을 사용하여 그 외장을 마감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장마감재는 통상적으로 내수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내화학성, 난연성 등의 다양한 기능 외에도 최근에는 친환경성에 대한 요구가 중요한 사항으로 대두되고 있다.
도료는 유동성의 물질로 도장물의 표면에 도포하여 박막 층을 형성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건조 및 경화시키며 생성된 피막이 도장물에 부착하여 표면을 보호하고, 외양 내지 형상을 변화시켜 심미성을 부여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도료는 크게 수성 도료와 유성 도료로 구별되며, 수성도료는 유기계 용제 대신 물을 사용한 것으로 경제적이고 취급이 간편하며, 안정성이 우수하여 건물의 벽 도장 내지 석재용 바탕도료로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에멀젼 도료, 수용성 베이킹수지 도료 등이 수성 도료에 해당한다. 유성 도료는 주료 천연 유지 등으로 제조되는 전색제를 이용하는 도료로서, 유성 페인트, 유성 에나멜 등이 대표적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도료 조성물로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계 및 비교적 근래에 개발되어진 수성 에멀젼계 수지 등과 같은 유기고분자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고분자 도료를 주로 도장마감재로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유기고분자 도료들은 가공성, 접착성, 유연성 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도막을 형성하는 유기물이 자외선에 의해 변질이 쉽고, 수분 흡수에 의한 열화가 일어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지고, 내열성이 낮고, 표면 오염이 쉽게 되는 문제점 외에도 유기 VOC가 혼입되어 있어 대기 공해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실내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 분해하여 쾌적한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한 결과, 황토 분말, 무기광물질, 항균나무 분말 및 변성전분 분말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이 실내 각종 유해물질을 거의 완벽하게 흡착 분해함으로써 쾌적한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면서 실내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 분해하여 쾌적한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여 쾌적한 대기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피부 자극성 및 인체 독성이 없는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표면 마감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황토분말, 무기광물질, 항균나무 분말 및 변성전분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은 황토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광물질 80 내지 120 중량부, 항균나무 분말 50 내지 80 중량부 및 변성전분 분말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기광물질은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산화칼슘, 금운모, 구리, 규조토, 맥반석, 옥, 백토, 숯 및 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항균나무는 녹나무, 측백나무, 소나무, 삼나무, 드릅나무, 동백나무, 향나무, 장미, 허브, 물푸레나무, 은행나무, 인동나무, 아마, 벼과, 운향, 백합, 연잎, 꿀풀, 참나무, 선학초, 붉나무, 자초, 작약, 진피, 당귀, 라벤더, 로즈마리, 마취현, 목련, 박하, 병죽, 삼백초, 어성초, 쪽(창대), 황금, 황백, 편백, 계피나무, 페퍼민트, 감초, 강황, 백작약, 구절초, 사과나무 및 자몽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변성전분 분말은 송진, 콩단백, 해초, 우뭇가사리, 옥수수, 구아검, 아라비아검, 닥나무, 닥죽, 목풀 셀룰로오스 및 한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은 황토 80 내지 120 중량부, 규조토 20 내지 50 중량부, 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부, 제올라이트 1 내지 5 중량부, 산화아연 5 내지 10 중량부, 일라이트 5 내지 15 중량부, 노랑황토 25 내지 45 중량부, 목풀 셀룰로오스 5 내지 20, 선학초 1 내지 5 중량부, 오배자 1 내지 5 중량부, 구연산 0.5 내지 8 중량부, 인산염 1.5 내지 8 중량부, 금운모 4.5 내지 25 중량부, 알루미나 5 내지 8 중량부, 붕사 1.5 내지 2.5 중량부, 붕산 1.5 내지 3.5 중량부, 무수석고 4 내지 15 중량부, 규사 15 내지 20 및 이산화티탄 0.5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표면 마감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은 건축물 및 바닥, 벽체에 도포가 가능한 친환경적인 항바이러스성 수성도료이며, 생분해성 바인더를 사용함으로써 생분해도를 높이고,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휘발성 유기물질이나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위생적인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은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면서 실내 각종 유해물질을 거의 완벽하게 흡착 분해함으로써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여 쾌적한 대기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피부 자극성 및 인체 독성이 없어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체의 유해물질 방출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2는 TCID50 분석 공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체의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균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체의 대장균에 대한 항균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체의 대장균에 대한 항균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황토분말, 무기광물질, 항균나무 분말 및 변성전분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은 황토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광물질 80 내지 120 중량부, 항균나무 분말 50 내지 80 중량부 및 변성전분 분말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은 건축물 및 바닥, 벽체에 도포가 가능한 친환경적인 항바이러스성 수성도료이며, 생분해성 바인더를 사용함으로써 생분해도를 높이고,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휘발성 유기물질이나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위생적인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황토는 곰팡이 및 인체에 유해한 각종 균류의 서식을 방지하고 집 진드기 환경 호르몬 물질의 억제를 통한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효능이 있으며, 유해전자파 차단 컴퓨터나 TV 등 가전제품의 주변에 두면 유해 전자파를 차단하거나 흡수하고, 음식 냄새와 담배 냄새 등 유해한 냄새를 신속히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무기광물질은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산화칼슘, 금운모, 구리, 규조토, 맥반석, 옥, 백토, 숯 및 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기광물질은 유해중금속인 납(pb), 비소(As), 카드륨(Cd), 수은(Hg), 육가크롬(cr), 구리(Cu) 등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을 65~100% 흡착하는 기능과 벤젠, 톨루엔, 포롬알데히드,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등 유해가스는 82~97% 흡착 제거하며, 녹농균, 대장균, 포도상구균(식중독균), 페렴간균, 박테리아 등 유해 병원균을 제거하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다른 물질에 비해 많은 양을 방사하며, 모든 악취와 분진, 가스, 세균까지 흡착 탈취하는 기능이 탁월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무기광물질은 황토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내지 12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무기광물질을 80 중량부 미만의 양으로 사용하면 항균 및 살균효과가 떨어지며, 상기 무기광물질을 12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이외의 성분들과 결착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항균나무는 녹나무, 측백나무, 소나무, 삼나무, 드릅나무, 동백나무, 향나무, 장미, 허브, 물푸레나무, 은행나무, 인동나무, 아마, 벼과, 운향, 백합, 연잎, 꿀풀, 참나무, 선학초, 붉나무, 자초, 작약, 진피, 당귀, 라벤더, 로즈마리, 마취현, 목련, 박하, 병죽, 삼백초, 어성초, 쪽(창대), 황금, 황백, 편백, 계피나무, 페퍼민트, 감초, 강황, 백작약, 구절초, 사과나무 및 자몽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항균나무는 피톤치드 발산으로 유해한 냄새 제거, 스트레스 해소, 안정감 및 청량감 증대하며, 무기광물질과 결합되어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항균나무 분말은 황토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8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항균나무 분말을 50 중량부 미만의 양으로 사용하면 냄새 제거효과가 떨어지며, 상기 항균나무 분말을 8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량 대비 효과가 비례적이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변성전분 분말은 송진, 콩단백, 해초, 우뭇가사리, 옥수수, 구아검, 아라비아검, 닥나무, 닥죽, 목풀 셀룰로오스 및 한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변성전분 분말은 전분에 각종 가공처리를 하여 본래의 구조나 물성을 변형시킨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증진시키는 바인더로서 사용된다. 변성전분 분말은 여러 가지 곡물이나 근경에서 유래한 전분을 소량의 화학물질로 처리하여 전분의 하이드록시기와 반응물질 사이의 반응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형시킨 것 또는 이를 호화한 것으로서 천연 전분의 단점인 열안정성이 개선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변성전분 분말은 황토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변성전분 분말이 1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져 문제가 있으며, 상기 변성전분 분말을 2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도장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은 황토 80 내지 120 중량부, 규조토 20 내지 50 중량부, 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부, 제올라이트 1 내지 5 중량부, 산화아연 5 내지 10 중량부, 일라이트 5 내지 15 중량부, 노랑황토 25 내지 45 중량부, 목풀 셀룰로오스 5 내지 20, 선학초 1 내지 5 중량부, 오배자 1 내지 5 중량부, 구연산 0.5 내지 8 중량부, 인산염 1.5 내지 8 중량부, 금운모 4.5 내지 25 중량부, 알루미나 5 내지 8 중량부, 붕사 1.5 내지 2.5 중량부, 붕산 1.5 내지 3.5 중량부, 무수석고 4 내지 15 중량부, 규사 15 내지 20 및 이산화티탄 0.5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친환경적이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은 분말 형태일 수 있으며, 이 때 분말의 크기는 300 내지 500 메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은 물, 분산제, 소포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탄산칼슘과 같은 무기 안료의 분산을 최적화시켜 주고 차광 효과와 저장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분산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 아크릴산, 암모늄염 등이 있다.
상기 소포제는 조성물 제조 과정 중이나 안료의 분산 과정 또는 조성물의 도포 과정 중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고 기포 자국으로 인한 차광 효과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소포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변성 실리콘류, 지방산류, 고급 알콜류, 광물류, 고급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디메틸 폴리실록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소수성 실리카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표면 마감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은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은 건축물 및 바닥, 벽체에 도포가 가능한 친환경적인 항바이러스성 수성도료이며, 생분해성 바인더를 사용함으로써 생분해도를 높이고,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휘발성 유기물질이나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위생적인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은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면서 실내 각종 유해물질을 거의 완벽하게 흡착 분해함으로써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여 쾌적한 대기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피부 자극성 및 인체 독성이 없어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 제조
황토 100 중량부, 규조토 30 중량부, 탄산칼슘 10 중량부, 제올라이트 3 중량부, 산화아연 7 중량부, 일라이트 10 중량부, 노랑황토 30 중량부, 목풀 셀룰로오스 10, 선학초 3 중량부, 오배자 3 중량부, 구연산 4 중량부, 인산염 4 중량부, 금운모 10 중량부, 알루미나 6 중량부, 붕사 2 중량부, 붕산 2 중량부, 무수석고 10 중량부, 규사 18 및 이산화티탄 3 중량부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선학초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오배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목풀 셀룰로오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의 물성 평가
본 시험예의 평가방법은 하기와 같다.
(접착성)
건축물 표면 상에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을 코팅하고, 건조대 내부에서 5일 동안 자외선 조사를 한 후, 접착불량으로 박리현상이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방수성)
표면 마감 코팅층을 구성하고, 40℃의 물을 코팅층 위에 부은 후, 투수되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내열성)
표면 마감 코팅층을 구성하고, 이를 100℃ 온도하에서 10분간 유지시킨 후, 부풀음 등의 현상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내한성)
표면 마감 코팅층을 구성하고, 이를 ??25℃ 하에서 10분간 유지시킨 후, 크랙이 발생하는 지 검토하였다.
(방청성)
상온에서 168시간 동안의 폭로시험을 통해 모체의 산화여부를 검토하였다.
(노화방지성)
표면 마감 코팅층을 구성하고, 이를 강한 자외선에 5시간가량 노출시킨 후, 노화현상이 발생하는 지 검토하였다.
(유연성)
표면 마감 코팅층을 구성하고, 이를 -25℃에서 100℃로 온도를 상향 또는 하향 조절하면서 크랙이 발생하는 지 검토하였다.
(내충격성)
표면 마감 코팅층층을 구성하고, 이를 ASTM D256에 의거하여 내충격성 시험을 실시하여 파손여부를 검토하였다.
(내오염성)
표면 마감 코팅층을 구성하고, 이를 상온에서 500 시간 동안 노출시킨 폭로시험을 실시하여 오염상태를 측정하였다.
(내후성)
표면 마감 코팅층을 구성하고, 이를 자외선 조사기로 120 시간 동안 강한 자외선을 조사하여 황변발생 등의 변화가 있는지 검토하였다.
(열차단성)
표면 마감 코팅층을 구성하고, 이를 50℃의 열을 1시간 동안 가한 후, 건축물 표면에 미치는 온도변화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내산성)
표면 마감 코팅층을 구성하고, 이를 7% 염산에 500 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부풀음이나 크랙이 발생하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내알칼리성)
표면 마감 코팅층을 구성하고, 이를 10% 가성소다에 500 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색상변화나 용해현상이 발생하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실험결과는 상기 평가기준에 비추어 우수한지, 양호한지, 보통인지, 불량인지의 4가지 단계 (◎: 우수, ○: 양호, △: 보통, X: 불량)로 나누어 표시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접착성
방수성
내열성
내한성
방청성
노화방지성
유연성
내충격성
내오염성
내후성
열차단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실시예 1의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은 모든 실험항목에 있어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유해물질 방출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에 대하여 유해한 휘발성 화합물이 어느 정도 방출되는지 측정하였다. 이 측정은 사단법인 한국원적외선협회 부설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연구원에 의뢰하여 실시하였다.
Figure 112022054975198-pat00001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에서는 총 유해물질이 거의 방출되지 않거나 극히 미미하게 방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체의 유해물질 방출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 시험에 이어, 유해물질에 의한 5주령 ICR계 쥐(18 내지 22g 평균 무게) 행동정지 시간을 측정하여 가스 유해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온도는 20.0±15.0℃, 습도는 50±30%를 유지시켰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 기준 시험결과
1 2
가스 유해성 시험
(KS F2271)
실험용 쥐의 평균 행동정지 시간 9분 이상 14분 34초 14분 34초
상기 실험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은 실험용 쥐의 행동정지 시간이 5분 이상 증가하여 가스 유해성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항균성 시험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불활화시험은 조직 배양 감염 옹량(TCID50) 방법을 통해 항바이러스 결과를 도출하였다.
50% 조직배양 감염 용량은 감염성 바이러스 역가의 척도이다. 이 종말점 희석분석은 감염된 숙주의 50%를 사멸시키거나 접종된 배양세포의 50%에서 세포 변성 효과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바이러스의 양을 정량화한다. 이 분석은 치명적인 용량의 바이러스를 결정하거나 바이러스가 플라크를 형성하지 않는 임상연구 분야에서 더 일반적일 수 있다. 10배수 별로 바이러스를 접종시킨 세포단층을 관찰하여 CPE 유무를 판정하여 감염된 well의 %를 계산한다. TCID50 분석은 일반적으로 세포 배양에서 감염을 확립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은 최대 7일 정도 소요된다.
TCID50 분석은 10배수로 희석시킨 바이러스 부유액을 각 배수별로 5개 이상(대개 8-10 test units)의 동물세포에 접종시켜 50%를 감염시키니는 바이러스 희석배수를 titer로 나타낸 것이다. 각 배수별로 바이러스를 접종시킨 세포단층을 관찰하여 CPE 유무를 판정하여 감염된 well의 %를 계산한다. 50% endpoint는 Reed-Muench 법으로 계산하였다. 도 2는 TCID50 분석 공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시험방법: ISO 21702 준용
대상 바이러스: Human coronavirus (HCoV) OC43
세포주: HCT-8 cell
시험조건: 반응시간 2시간, 반응온도: (25 ± 1)℃
그 결과는 하기 표 4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체의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균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Figure 112022054975198-pat00002
이이서, 시험방법 KFIA-FI-1003에 따라 Escherichia coli ATCC 25922 및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을 사용하여 항균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 및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체의 대장균 및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Figure 112022054975198-pat00003
<시험예 4> 유해물질 제거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의 유해물질 제거율을 측정하였다. 제거율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측정하였다.
Figure 112022054975198-pat00004
공시험군 실시예 1
NH3 (mg/kg) 초기 농도 100 100
2시간 후 농도 99 3
제거율(%) 1 97
HCHO(mg/kg) 초기 농도 50 50
2시간 후 농도 49 1
제거율(%) 2 98
상기 표 6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은 유해물질의 제거율이 97% 이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라돈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의 라돈 함량을 측정하였다. 고순도 게르마늄 감마선 검출기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핵종 핵종의 농도 검출한계(MDA)
U-238 계열 Pb-214 2 Bq/kg -
Th-232 계열 Ac-228 불검출 (2 Bq/kg)
K K-40 불검출 (10 Bq/kg)
I-131 불검출 (0.3 Bq/kg)
Cs-134 불검출 (0.3 Bq/kg)
Cs-137 불검출 (0.3 Bq/kg)
상기 표 7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에서는 라돈이 검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6> 원적외선 방사율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사단법인 한국원적외선협회 부설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연구원에 의뢰하여 시험하였으며, 시험방법은 KFIA-FI-1005에 따라 시험하였으며, FT-IR Spectromeater를 이용한 BLACK BODY 대비 측정결과이다.
Figure 112022054975198-pat00005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황토분말, 무기광물질, 항균나무 분말 및 변성전분 분말을 포함하는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은 황토 80 내지 120 중량부, 규조토 20 내지 50 중량부, 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부, 제올라이트 1 내지 5 중량부, 산화아연 5 내지 10 중량부, 일라이트 5 내지 15 중량부, 노랑황토 25 내지 45 중량부, 목풀 셀룰로오스 5 내지 20, 선학초 1 내지 5 중량부, 오배자 1 내지 5 중량부, 구연산 0.5 내지 8 중량부, 인산염 1.5 내지 8 중량부, 금운모 4.5 내지 25 중량부, 알루미나 5 내지 8 중량부, 붕사 1.5 내지 2.5 중량부, 붕산 1.5 내지 3.5 중량부, 무수석고 4 내지 15 중량부, 규사 15 내지 20 및 이산화티탄 0.5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은 황토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광물질 80 내지 120 중량부, 항균나무 분말 50 내지 80 중량부 및 변성전분 분말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광물질은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산화칼슘, 금운모, 구리, 규조토, 맥반석, 옥, 백토, 숯 및 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나무는 녹나무, 측백나무, 소나무, 삼나무, 드릅나무, 동백나무, 향나무, 장미, 허브, 물푸레나무, 은행나무, 인동나무, 아마, 벼과, 운향, 백합, 연잎, 꿀풀, 참나무, 선학초, 붉나무, 자초, 작약, 진피, 당귀, 라벤더, 로즈마리, 마취현, 목련, 박하, 병죽, 삼백초, 어성초, 쪽(창대), 황금, 황백, 편백, 계피나무, 페퍼민트, 감초, 강황, 백작약, 구절초, 사과나무 및 자몽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전분 분말은 송진, 콩단백, 해초, 우뭇가사리, 옥수수, 구아검, 아라비아검, 닥나무, 닥죽, 목풀 셀룰로오스 및 한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
  6. 삭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바이러스 복합재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 마감방법.
KR1020220063670A 2022-05-24 2022-05-24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표면마감방법 KR102488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670A KR102488779B1 (ko) 2022-05-24 2022-05-24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표면마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670A KR102488779B1 (ko) 2022-05-24 2022-05-24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표면마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779B1 true KR102488779B1 (ko) 2023-01-17

Family

ID=8511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670A KR102488779B1 (ko) 2022-05-24 2022-05-24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표면마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7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912A (ko) * 2002-01-12 2003-07-23 김진성 황토미장층 시공방법
KR20030072152A (ko) * 2002-03-05 2003-09-13 전효철 천연소재와 천연접착제를 이용한 천연도료
KR20080097728A (ko) * 2007-05-03 2008-11-06 황정식 천연소재를 이용한 액상 건축자재
KR20110086888A (ko) * 2010-01-25 2011-08-02 임기태 다기능 흡음퍼티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84809B1 (ko) * 2015-11-20 2017-10-13 (주)홍익바이오텍 친환경 바닥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912A (ko) * 2002-01-12 2003-07-23 김진성 황토미장층 시공방법
KR20030072152A (ko) * 2002-03-05 2003-09-13 전효철 천연소재와 천연접착제를 이용한 천연도료
KR20080097728A (ko) * 2007-05-03 2008-11-06 황정식 천연소재를 이용한 액상 건축자재
KR20110086888A (ko) * 2010-01-25 2011-08-02 임기태 다기능 흡음퍼티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84809B1 (ko) * 2015-11-20 2017-10-13 (주)홍익바이오텍 친환경 바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9581A (ko)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기능성 필름
KR20090097600A (ko) 환경친화형 수성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651265B1 (ko) 건축마감재용 코팅제
KR100605004B1 (ko) 일라이트 담체를 함유하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
KR101207843B1 (ko) 도어손잡이의 항균처리방법 및 그 처리방법에 따른 도어손잡이
KR20190012805A (ko) 항균 및 방충 효과를 갖는 기능성 도료 조성물
KR100853475B1 (ko) 친환경 도료 조성물
Peitzsch et al. Remediation of mould damaged building materials—efficiency of a broad spectrum of treatments
KR101343940B1 (ko) 천연접착제, 상기 천연접착제를 포함하는 천연내장재 접착제, 천연페인트, 이러한 천연내장재 접착제 및 천연페인트를 이용한 유해물질 차단 시공방법
KR102488779B1 (ko)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표면마감방법
KR20100138320A (ko) 도장용 도료조성물
KR101692421B1 (ko) 천연 항충 페인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천연 항충 페인트
KR100701632B1 (ko)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축용마감재
JP6836252B2 (ja) 水性塗料
KR101554027B1 (ko) 기능성 도료 조성물
Jerábková et al. Resistance of various materials and coatings used in wood constructions to growth of microorganisms
KR100939078B1 (ko) 건축물 마감재 조성물
KR20090114497A (ko) 대나무 활성탄 페인트
KR100858351B1 (ko) 친환경 및 기능성 수성 도료 조성물
WO2017203299A1 (en) Self-sanitising composition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2423141B1 (ko) 불연 및 항균성 친환경 건축마감용 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마감 시공방법
KR100611719B1 (ko) 왕겨숯 페인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60410B1 (ko) 콘크리트 유해물질 차단용 도료 조성물
KR20070072667A (ko) 항균과 항곰팡이가 가능한 결로방지용 바이오 세라믹코팅재 제조방법
KR101519335B1 (ko) 아파타이트가 피복된 이산화티탄을 함유하는 실내공기질 개선 기능성 가구 판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