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1912A - 황토미장층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황토미장층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1912A
KR20030061912A KR1020020001922A KR20020001922A KR20030061912A KR 20030061912 A KR20030061912 A KR 20030061912A KR 1020020001922 A KR1020020001922 A KR 1020020001922A KR 20020001922 A KR20020001922 A KR 20020001922A KR 20030061912 A KR20030061912 A KR 20030061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layer
loess
install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8235B1 (ko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김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성 filed Critical 김진성
Priority to KR10-2002-0001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235B1/ko
Publication of KR20030061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2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 E04F13/04Bases for plas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미장층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아파트나 주택 등 주거공간의 벽면에 황토를 주재료로 하는 소정두께의 미장층을 시공할 수 있는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서 기존에 거주하고 실내를 황토환경으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룰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또한, 황토층에 다수의 한약재 및 원적외선 발산물질이 함유되어지게 됨으로서 시멘트 벽면으로 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방지함과 함께 거주자로 하여금 혈행 및 발한촉진·신진대사기능 향상, 나아가 생체내의 향상성을 유지하여 온몸의 방어활동을 강화시켜 주고, 인체내 유독물질을 배출시켜 질병을 낫게 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다수의 대나무를 반으로 쪼개서 가로,세로 방향으로 각각 고정 설치함으로서벽면크기에 대응되어지는 크기의 격자모양으로 대나무골조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대나무골조의 내외측에 황토를 주재료로 하는 가운데 다수의 한약재료가 첨가되어져 있는 황토재를 부착하여 황토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되어진 황토층에 대한 건조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건조되어지면서 균열이 발생되어진 황토층 표면을 고운 입자의 황토몰탈재를 이용하여 몰탈을 실시하는 단계;로 시공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황토미장층 시공방법{EXECUTION METHOD OF YELLOW OCHER LAYER}
본 발명은 황토미장층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거주하거나 시공되어진 주거공간에 별도의 황토로 미장되어진 미장층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주거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가옥에 대한 전통적인 건축재료로는 황토를 들 수 있다.
황토는 그 자체에서 인간에게 유익한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단열의 효과가 뛰어나서 인위적이 아닌 자연적인 항온/항습의 효과가 뛰어나고 향균의 효과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우리 조상들이 가옥의건축재료로서 황토를 이용한 것은 인간의 건강을 위한 주거환경을 조성한 매우 과학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요즘, 황토를 이용한 매트, 벽지, 장판지등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트, 벽지 및 장판지등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황토를 자연 그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화학처리등의 가공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상기의 유리한 효능을 발휘하는데에는 그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자연적인 상태의 황토 자체를 재료로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것이 다시 관심있게 대두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황토를 이용하여 가옥을 시공하고자 할 경우 먼저 황토를 반죽하여 틀에 넣고 일정크기의 벽돌 형태로 성형한 후 이를 건조시켜서 벽돌 쌓기 시공방법으로 하거나, 가옥의 벽을 만들 때 양 기둥에 대나무 등으로 엮어서 우선 벽의 골격을만들어놓고 그 위에 반죽한 황토를 덧붙여서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황토가옥은 그 시공함에 있어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져야 하고, 공사시간이 장기간 소요되며, 또한 황토집의 완성후에도 가옥의 견고성과 내구성에 떨어지며, 특히 황토가옥을 다양하게 설계하여 건축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현재 아파트나, 주택 등과 같은 대부분의 주거공간을 이루고 있는 시멘트 벽면에 황토층을 직접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인체에 유익한 주거환경을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황토층에 고유의 방향성이 복합되어 독특한 향기를 갖는 한약제성분을 첨가시킴으로서 주거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기 시공되어진 벽면에 황토미장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다수의대나무를 반으로 쪼개서 가로,세로 방향으로 각각 고정 설치함으로서벽면크기에 대응되어지는 크기의 격자모양으로 대나무골조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대나무골조의 내외측에 황토를 주재료로 하는 가운데 다수의 한약재료가 첨가되어져 있는 황토재를 부착하여 황토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되어진 황토층에 대한 건조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건조되어지면서 균열이 발생되어진 황토층 표면을 고운 입자의 황토몰탈재를 이용하여 몰탈을 실시하는 단계;로 시공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미장층 시공방법을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발명 시공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나 주택 등의 일반적인 주거공간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그 시공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벽면에 부착되어져 있던 벽지를 먼저 떼어내고난 후, 대나무인 가로대 및 세로대(제1세로대, 제2세로대)를 벽면에 격자모양으로 골조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대나무는 원통형태의 것을 반으로 가른 것으로서, 그 두께는 두꺼울수록 유리한데 바람직하기로는 약 50mm이상의 것이다. 이를 설치하기 전에 시공이 이루어질 벽체의 바닥에서 천정까지 길이를 먼저 잰 후 해당 크기에 맞게 대나무를 절단하게 되는데,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피스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대나무골조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먼저 각각의 제1세로대의 길이를 따라 드릴을 이용하여 못구멍을 소정 간격으로 뚫은뒤 제1세로대를 벽면상에 약 300mm간격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해당 못구멍이 형성되어져 있는 부위에 고정부재인 못을 박아 제1세로대를 벽면에 고정시킨다.
이후, 바닥부로 부터 가로대를 천정 높이의 중간까지만 약 150mm 간격으로 설치하여 제1세로대와 피스처리하여 150 ×300mm의 격자모양을 이룬 후, 기 설치되어져 있던 각각의 제1세로대 사이에 또다른 제2세로대를 설치하여 가로대와 피스고정하면 결국 각각의 격자모양은 150 ×150mm의 크기를 이루게 되며, 이후 중간높이에서 천정까지 나머지 구간에서 가로대를 고정 설치하게 된다.
상기 대나무골조 설치과정에서 제1세로대를 먼저 벽면에 고정설치후 가로대를 설치하는 중간에 다시 각각의 제1세로대 사이에 제2세로대를 추가로 설치하는 이유는, 시멘트 벽면에 세로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못을 박기가 어려우므로 교번하여 제1세로대만을 못으로 고정시키고 제2세로대는 피스로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상기에 있어서, 바닥부와 함께 시공시 바닥부의 황토바닥판넬부를 통해 시공되어 벽면을 타고 올라오는 동관(cupper tube)이 상기 세로대 사이에 직립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동관을 설치하는 이유는 동관에서 발열되는 것에 의하여 미장된 황토벽면에서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인체에 유익하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하여 대나무골조의 설치가 완료되어지면 대나무골조의 내외측에 황토를 주재료로 하는 가운데 다수의 생약재료가 첨가되어져 있는 황토재를 부착하여 황토층 초벽을 소정두께로 형성하게 된다.
이때, 황토재의 재료는 황토, 적토, 백토, 점토를 60∼70중량%, 당귀, 차울, 천궁, 감초, 계피, 황마와 같은 한약제를 15중량%, 밀가루 5∼10중량%, 단열성능 향상을 위한 미송소나무 대패밥을 3∼10중량%, 강도 증가를 위한 석회분말 및삼바(볏짚 종류)를 5∼10중량%, 참숯 0.5중량%, 원적외선 발산물질인 황운모, 견운모, 게르마늄 1∼5중량%, 그외 황토층의 접착성분으로 해초, 다시마, 우묵가사리, 노리, 닥나무, 소나무재를 5∼10중량%로 하여 분말상태로 토련기에서 혼합하여 진공기로 나온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 황토층 초벽이 완성되어지면 12시간 가량을 자연건조 시킨 후, 열풍기를 이용하여 30℃로 3시간, 40℃로 3시간동안 열풍건조를 시킴으로서 90%이상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의 열풍건조온도는 30∼40℃가 가장 적절하며, 30℃이하의 온도에서는 건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며, 40℃이상의 고온인 경우에는 황토층에 함유되어져 있는 한약제등의 재료들이 변질되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열풍건조과정에서는 황토층에 균열이 발생하게 됨으로, 고운 입자의 황토몰탈재를 이용하여 몰탈을 실시함으로서 표면의 마감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기존의 벽체에 황토층을 이루게 되면, 여러가지 장점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황토 자체가 수많은 미생물과 각종 이로운 광물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세정력·분해력·해독력을 갖고 있으며, 또한 그 속에 함유하고 있는 약성은 인체의 자연회복력을 돕는 효과가 있으며,
둘째, 황토층에 함유되어진 게르마늄, 황운모, 견운모 등의 물질은 열을 받으면 원적외선을 발산하게 됨으로서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없애는 줌과함께 탈취, 방균, 곰팡이 번식방지, 제습, 공기정화 등에 도움이 되고,
셋째, 다수의 한약제 성분이 첨가되어져 있음으로서 시멘트 벽체에서 발산되어지는 악취를 없애주어 주거환경을 보다 안락한 공간으로 개선시켜줄 수 있게된다.
이러한 장점을 갖는 주거공간으로의 변형이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통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됨으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단기간에 실시가 되어질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시공과정이 실시예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황토미장층 시공방법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일반 벽면에 바로 대나무골조를 설치하고 황토층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루바 등의 구조체를 조립하는 단계가 추가되어지거나, 각 대나무골조를 설치하는 간격크기가 변동되어질 수도 있게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발명은, 아파트나 주택 등 주거공간의 벽면에 소정두께의 황토를 주재료로 하는 미장층을 시공할 수 있는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서 기존에 거주하고 실내를 황토환경으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룰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황토층에 고유의 방향성이 복합되어 독특한 향기를 방출하는 다수의 한약재 및 원적외선 발산물질이 함유되어지게 됨으로서 시멘트 벽면으로 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방지함과 함께 혈행 및 발한촉진·신진대사기능 향상, 나아가 생체내의 향상성을 유지하여 온몸의 방어활동을 강화시켜 주고, 인체내 유독물질을 배출시켜 질병을 낫게 하고, 탈취, 방균, 곰팡이 번식방지, 제습, 공기정화 등의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Claims (4)

  1. 기 시공이 이루어져 있는 벽면에 황토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대나무를 반으로 쪼개서 가로,세로 방향으로 각각 고정 설치함으로서벽면크기에 대응되어지는 크기의 격자모양으로 대나무골조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대나무골조의 내외측에 황토를 주재료로 하는 가운데 다수의 한약재료가 첨가되어져 있는 황토재를 부착하여 황토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되어진 황토층에 대한 건조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건조되어지면서 균열이 발생되어진 황토층 표면을 고운 입자의 황토몰탈재를 이용하여 몰탈을 실시하는 단계;로 시공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미장층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골조를 설치하는 단계는, 벽면상에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일정 간격으로 제1세로대를 고정설치하는 제1과정;
    벽체 하부로 부터 가로대를 중단 높이까지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되, 상기 제1세로대에 피스를 이용해 고정시키는 제2과정;
    상기 설치되어져 있는 제1세로대간의 사이에 제2세로대를 설치하되 기 설치된 상기 가로대와 피스를 이용해 고정하여 설치하는 제3과정;
    중단 높이까지 설치되어져 있던 가로대를 계속하여 상단부까지 일정간격으로설치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미장층 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황토재 및 황토몰탈재는 황토, 적토, 백토, 점토, 석회, 삼바, 당귀, 창출, 천궁, 감초, 계피, 황마, 미송소나무 대패밥, 황운모, 견운모, 참숯, 게르마늄, 밀가루, 해초, 다시마, 우묵가사리, 노리, 닥나무, 소나무 재료를 소정의 배합비율로 토련기로 혼합시켜 진공기로 나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미장층 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황토층의 건조는 고온의 열풍을 가하여 실시되어지되, 30∼40℃의 열풍기를 이용하여 3시간∼6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미장층 시공방법.
KR10-2002-0001922A 2002-01-12 2002-01-12 황토미장층 시공방법 KR100478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922A KR100478235B1 (ko) 2002-01-12 2002-01-12 황토미장층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922A KR100478235B1 (ko) 2002-01-12 2002-01-12 황토미장층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912A true KR20030061912A (ko) 2003-07-23
KR100478235B1 KR100478235B1 (ko) 2005-03-23

Family

ID=3221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922A KR100478235B1 (ko) 2002-01-12 2002-01-12 황토미장층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2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118B1 (ko) * 2006-08-09 2007-09-05 장윤효 황토 미장방법
KR20160066961A (ko) * 2014-12-03 2016-06-13 임복임 한지 질감의 표면 마감용 천연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장판 바닥 마감 공법
KR102488779B1 (ko) * 2022-05-24 2023-01-17 정정순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표면마감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981A (ko) * 2005-07-12 2007-01-17 정귀철 황토 바닥 시공방법
KR100975568B1 (ko) 2009-09-28 2010-08-13 황보경 황토와 닥나무 펄프를 혼합한 건축물 표면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1170130B1 (ko) 2012-02-28 2012-07-31 김윤창 황토방 구조
KR102489826B1 (ko) * 2022-04-08 2023-01-19 자연도시황토(주) 천연소재를 이용하는 다색상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883A (ko) * 1997-07-12 1999-02-05 김성호 약재가 함유된 건축용 황토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바닥재와 이를 이용한 온돌방의 시공방법
KR19990016358U (ko) * 1997-10-27 1999-05-25 김석재 약쑥과 솔잎을 내장한 토굴형태의 황토찜질방구조
KR100334156B1 (ko) * 2000-02-02 2002-04-25 조시대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
KR100374742B1 (ko) * 2000-08-30 2003-03-04 강혜영 건물 내벽 및 바닥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118B1 (ko) * 2006-08-09 2007-09-05 장윤효 황토 미장방법
KR20160066961A (ko) * 2014-12-03 2016-06-13 임복임 한지 질감의 표면 마감용 천연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장판 바닥 마감 공법
KR102488779B1 (ko) * 2022-05-24 2023-01-17 정정순 항균성 식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표면마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8235B1 (ko) 200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36357A (ko) 원적외선이 방사되게한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478235B1 (ko) 황토미장층 시공방법
KR101237015B1 (ko) 건축물의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와 그 제조방법
KR20110092053A (ko) 황토 패널용 천연 혼합풀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황토패널 제작방법
KR200222609Y1 (ko) 황토타일과 구조
KR200381632Y1 (ko) 황토판넬
KR200202713Y1 (ko) 황토가옥 벽체 구조
KR100479787B1 (ko) 황토판재 제조방법
KR100389945B1 (ko) 건강주택 시공방법 및 건축자재
KR100732407B1 (ko) 흙 혼합물을 이용한 건축물 신축공법
KR100972090B1 (ko)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140797B1 (ko) 코튼스프레이 컬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100528650B1 (ko)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판넬과 그 구조물
KR200389515Y1 (ko) 생황토보드
US20080034704A1 (en) Residential Building Complex
KR20020018921A (ko)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물질을 함유하는 황토흙의 제조방법및 그 황토흙으로 시공하는 방법.
KR200325527Y1 (ko)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판넬과 그 구조물
KR20060084096A (ko) 황토몰탈
KR100554106B1 (ko) 카오린을 이용한 원적외선 복사 건축재의 제조방법
KR200142273Y1 (ko) 원적외선을이용한흙벽체건조장치
KR20090126660A (ko) 허니컴판재와 그를 이용한 황토몰탈의 시공방법
KR20070075378A (ko) 천연내장재를 통해 향기가 발산되도록 건축물용 패널을구성하는 방법
KR200298914Y1 (ko) 건축용 쏘일스톤패널
KR200373408Y1 (ko) 건물실내의 미장구조
KR19980072873A (ko) 황토마감 온돌장치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