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678B1 - 산화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화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8678B1 KR102488678B1 KR1020180079821A KR20180079821A KR102488678B1 KR 102488678 B1 KR102488678 B1 KR 102488678B1 KR 1020180079821 A KR1020180079821 A KR 1020180079821A KR 20180079821 A KR20180079821 A KR 20180079821A KR 102488678 B1 KR102488678 B1 KR 1024886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ron oxide
- lithium
- sulfur
- present
- dry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02—Oxides; Hydrox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0—Agglomerated partic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화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Fe(NO3)3·9H2O 를 건조하여 열처리하되, 건조 및 열처리의 온도와 시간을 제어하여 선택적이고 고순도의 산화철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튬-황 전지의 양극 첨가제로 적용 가능한 산화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1회 방전만 가능한 일차전지와 달리 지속적인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기저장기구로서 1990년대 이후 휴대용 전자기기의 중요 전자부품으로 자리를 잡았다. 특히, 리튬 이온 이차전지는 1992년 일본 소니(Sony)사에 의해 상용화된 이후,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핵심부품으로 정보화 시대를 이끌어 왔다.
근래에 리튬 이온 이차전지는 그 활용 영역을 더욱 넓혀가면서 청소기, 전동공구의 전원과 전기자전거, 전기스쿠터와 같은 분야에 사용될 중형전지에서,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각종 로봇 및 대형 전력저장장치(Electric Storage System; ESS)와 같은 분야에 사용되는 대용량 전지에 이르기까지 빠른 속도로 수요를 늘려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나와 있는 이차전지 중 가장 우수한 특성을 가진 리튬 이차전지도 전기자동차, PHEV와 같은 수송기구에 활발히 사용되기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으며, 그 중 가장 큰 문제점은 용량의 한계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기본적으로 양극, 전해질, 음극 등과 같은 소재들로 구성되며, 그 중에서 양극 및 음극 소재가 전지의 용량(capacity)을 결정하기 때문에 리튬 이온 이차전지는 양극과 음극의 물질적인 한계로 인해 용량의 제약을 받는다. 특히, 전기자동차, PHEV와 같은 용도에 사용될 이차전지는 한 번 충전 후 최대한 오래 사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이차전지의 방전용량이 매우 중요시된다. 전기자동차의 판매에 가장 큰 제약점으로 지적되는 것은 1회 충전 후 주행할 수 있는 거리가 일반 가솔린엔진의 자동차보다 매우 짧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리튬 이차전지의 용량 한계는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리튬 이차전지의 구조 및 재료적인 제약으로 인해 완전한 해결이 어렵다.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의 용량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이차전지 개념을 뛰어 넘는 신개념의 이차전지 개발이 요구된다.
리튬-황 이차전지는 기존의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기본원리인 리튬 이온의 층상구조의 금속산화물 및 흑연으로의 삽입/탈리(intercalation) 반응에 의해 결정되는 용량 한계를 뛰어넘고 전이금속 대체 및 비용 절감 등을 가져올 수 있는 새로운 고용량, 저가 전지 시스템이다.
리튬-황 이차전지는 양극에서 리튬 이온과 황의 변환(conversion) 반응(S8 + 16Li+ + 16e- → 8Li2S)으로부터 나오는 이론 용량이 1,675 mAh/g에 이르고 음극은 리튬 금속(이론용량: 3,860 mAh/g)을 사용하여 전지 시스템의 초고용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방전전압은 약 2.2 V이므로 이론적으로 양극, 음극 활물질의 양을 기준으로 2,600 Wh/kg의 에너지 밀도를 나타낸다. 이는 층상구조의 금속 산화물 및 흑연을 사용하는 상용 리튬 이차전지(LiCoO2/graphite)의 에너지 이론적 에너지 밀도인 400 Wh/kg보다도 6배 내지 7배 가량이 높은 수치이다.
리튬-황 이차전지는 2010년경 나노 복합체 형성을 통해 전지성능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진 이후 새로운 고용량, 친환경성, 저가의 리튬 이차전지로 주목받고 있으며 현재 차세대 전지 시스템으로 세계적으로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밝혀진 리튬-황 이차전지의 주요한 문제점 중에 하나는 황의 전기전도도가 5.0 x 10-14 S/cm 가량으로 부도체에 가까워 전극에서 전기화학반응이 용이하지 않고, 매우 큰 과전압으로 인해 실제 방전용량 및 전압이 이론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는 점이다. 초기 연구자들은 황과 카본의 기계적인 볼밀링이나 카본을 이용한 표면 코팅과 같은 방법으로 성능을 개선해보고자 하였으나 큰 실효가 없었다.
전기전도도에 의해 전기화학반응이 제한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른 양극 활물질 중의 하나인 LiFePO4의 예와 같이(전기전도도: 10-9 내지 10-10 S/cm) 입자의 크기를 수십 나노미터 이하의 크기로 줄이고 전도성 물질로 표면처리를 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여러 가지 화학적(나노 크기의 다공성 탄소 나노 구조체 혹은 금속산화물 구조체로의 melt impregnation), 물리적 방법(high energy ball milling) 등이 보고되고 있다.
다른 한 가지 리튬-황 이차전지와 관련된 주요 문제점은 방전도중 생성되는 황의 중간생성체인 리튬 폴리설파이드(lithium polysulfide)의 전해질로의 용해이다. 방전이 진행됨에 따라 황(S8)은 리튬 이온과 연속적으로 반응하여 S8 → Li2S8 → (Li2S6) → Li2S4 → Li2S2 → Li2S 등으로 그 상(phase)이 연속적으로 변하게 되는데 그 중 황이 길게 늘어선 체인형태인 Li2S8, Li2S4(리튬 폴리설파이드) 등은 리튬 이온전지에서 쓰이는 일반적인 전해질에서 쉽게 용해되는 성질이 있다. 이러한 반응이 발생하면 가역 양극용량이 크게 줄어들 뿐만 아니라 용해된 리튬 폴리설파이드가 음극으로 확산되어 여러 가지 부반응(side reaction)을 일으키게 된다.
리튬 폴리설파이드는 특히 충전과정 중 셔틀반응(shuttle reaction)을 일으키는데 이로 인하여 충전용량이 계속 증가하게 되어 충방전 효율이 급격히 저하된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었는데 크게 전해질을 개선하는 방법, 음극의 표면을 개선하는 방법, 양극의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전해질을 개선하는 방법은 신규 조성의 기능성 액체전해질, 고분자 전해질, 이온성 액체(ionic liquid) 등 새로운 전해질을 사용하여 폴리설파이드의 전해질로의 용해를 억제하거나 점도 등의 조절을 통하여 음극으로의 분산 속도를 제어하여 셔틀반응을 최대한 억제하는 방법이다.
음극표면에 형성되는 SEI의 특성을 개선하여 셔틀반응을 제어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LiNO3과 같은 전해질 첨가제를 투입하여 리튬 음극의 표면에 LixNOy, LixSOy 등의 산화막을 형성하여 개선하는 방법, 리튬 금속의 표면에 두꺼운 기능형 SEI 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양극의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은 폴리설파이드의 용해를 막을 수 있도록 양극입자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용해된 폴리설파이드를 잡을 수 있는 다공성 물질을 첨가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전도성 고분자로 황 입자가 들어있는 양극 구조체의 표면을 코팅하는 방법, 리튬 이온이 전도되는 금속산화물로 양극 구조체의 표면을 코팅하는 방법, 리튬 폴리설파이드를 다량 흡수할 수 있는 비표면적이 넓고 기공이 큰 다공성 금속산화물을 양극에 첨가하는 방법, 탄소 구조체의 표면에 리튬 폴리설파이드를 흡착할 수 있는 작용기(functional group)를 부착하는 방법, 그래핀 혹은 그래핀 옥사이드 등을 이용하여 황 입자를 감싸는 방법 등이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노력이 진행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방법이 다소 복잡할 뿐만 아니라 활물질인 황을 넣을 수 있는 양이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복합적으로 해결하고 리튬-황 전지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산화철의 원료물질로 Fe(NO3)3·9H2O 를 열처리하되, 열처리 온도와 공정 시간을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고순도의 산화철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소한 공정을 통해 높은 순도의 산화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Fe(NO3)3·9H2O 를 수성 용매에 용해하여 Fe(NO3)3·9H2O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Fe(NO3)3·9H2O 수용액을 건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건조된 Fe(NO3)3·9H2O 를 열처리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화철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산화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exO3 (단, 1.7 ≤ x <2)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상기 단계 (1)의 Fe(NO3)3·9H2O 수용액의 농도가 0.5 내지 5.0 M 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상기 단계 (2)의 건조가 70 내지 9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상기 단계 (2)의 건조가 4 내지 12 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상기 단계 (3)의 열처리가 120 내지 170 ℃에서 진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상기 단계 (3)의 열처리가 16 내지 36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상기 산화철의 1차 입자가 뭉쳐서 2차 입자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상기 1차 입자는 입경 10 내지 80 nm 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상기 2차 입자는 입경 1 내지 5 ㎛ 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Fe(NO3)3·9H2O 를 건조하고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소한 공정에 의해 선택적이며 고순도의 산화철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와 열처리의 온도 및 시간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제조되는 산화철의 형상 및 순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조된 산화철은 리튬-황 전지의 양극 첨가제로 적용할 경우 리튬-황 전지의 수명특성 및 방전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예 1에 따른 산화철(Fe1 . 766O3)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예 2에 따른 산화철(Fe1 . 766O3)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예 1에 따른 산화철(Fe1 . 766O3)의 X-선 회절분석(XRD)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예 2에 따른 산화철(Fe1 . 766O3)의 X-선 회절분석(XRD)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예 및 비교예에 따른 리튬 폴리설파이드 흡착 반응의 색도 변화를 UV 흡광도 측정 결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의 방전용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예 2에 따른 산화철(Fe1 . 766O3)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예 1에 따른 산화철(Fe1 . 766O3)의 X-선 회절분석(XRD)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예 2에 따른 산화철(Fe1 . 766O3)의 X-선 회절분석(XRD)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예 및 비교예에 따른 리튬 폴리설파이드 흡착 반응의 색도 변화를 UV 흡광도 측정 결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의 방전용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산화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리튬-황 전지의 양극 첨가제로 적용하여 전지의 방전용량 및 수명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형태 및 물성을 가지는 산화철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철의 제조방법은 (1) Fe(NO3)3·9H2O 를 증류수에 용해하여 Fe(NO3)3·9H2O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Fe(NO3)3·9H2O 수용액을 건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건조된 Fe(NO3)3·9H2O 를 열처리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화철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exO3 (단, 1.7 ≤ x <2)
상기 Fe(NO3)3·9H2O 는 수성 용매에 용해시켜 수용액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Fe(NO3)3·9H2O 를 DIW (deionized water)등에 용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용액의 농도는 0.5 내지 5.0 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M 일 수 있다. 만일 0.5 M 미만이면 수용액의 증발속도가 느리게 되어 제조되는 산화철의 결정이 커지거나 산화철의 제조 수율이 낮아질 수 있고, 5.0 M 초과이면 제조되는 산화철이 뭉칠 가능성이 있어 산화철의 물성이 리튬-황 전지의 양극 첨가제로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Fe(NO3)3·9H2O 수용액은 산화철 제조를 위한 열처리에 앞서 건조하는 전처리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70 내지 90 ℃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 ℃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는 상기의 온도 범위에서 4 내지 12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온도 미만이거나 건조 시간이 짧은 경우, 반응물인 Fe(NO3)3·9H2O 의 수분이 과량 잔존할 수 있고, 이후 상기 수분이 열처리 과정을 거치며 불균일하게 증발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화철이 합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를 초과하거나 건조 시간이 길 경우 반응물인 Fe(NO3)3·9H2O 의 수분이 모두 증발한 후 열처리에 의한 산화반응이 일부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열처리 과정을 통해 불균일한 산화반응이 일어날 수 있고,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물질이 합성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한다. 상기 건조 전처리 단계는 충분한 공기가 유입되는 환경에서 컨벡션 오븐을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상기 Fe(NO3)3·9H2O 는 건조 전처리 과정을 거친 뒤 열처리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화철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120 내지 170 ℃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60 ℃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는 상기의 온도 범위에서 16 내지 36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4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만일 열처리 온도가 120 ℃ 미만이거나 상기 열처리 시간보다 짧은 경우 반응이 종결되지 못하고 상기 화학식 1의 구조가 아닌 Fe(OH)2NO3 등과 같은 반응 잔여물이 남아있을 수 있다. 또한 열처리 온도가 170 ℃를 초과하거나 상기 열처리 시간보다 길 경우에는 생성되는 입자의 크기가 커지고 뭉치는 형태로 발현될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화철과 달리 Fe2O3 와 같은 안정한 물질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원하고자 하는 물성의 산화철을 합성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의 온도와 시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한다. 상기 열처리 단계는 충분한 공기가 유입되는 환경에서 컨벡션 오븐을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상기 Fe(NO3)3·9H2O 는 상기 열처리 단계를 거치면서 HNO3(g)가 탈기되고,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물질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화학식 1에서 철의 산화수는 열처리 시간 및 온도에 따라 다양한 산화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x가 1.7 ≤ x <1.9,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 x <1.8 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화학식 1에서 x=1.766일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산화철은 1차 입자가 뭉쳐 2차 입자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1차 입자는 입경이 10 내지 80 nm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nm 일 수 있다. 상기 1차 입자가 뭉쳐서 이루어지는 2차 입자는 그 입경이 1 내지 5 ㎛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2차 입자의 입경이 감소할수록 리튬-황 이차전지의 양극재로서 적합하고, 2차 입자의 입경이 상기 범위 초과이면 입자 크기가 커 리튬-황 전지의 양극 첨가제로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산화철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산화철을 리튬-황 전지에 적용할 경우, 리튬-황 전지의 충방전시 용출되는 리튬 폴리설파이드를 흡착할 수 있어 리튬-황 이차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제조예
1: 산화철의 제조 (1)
Fe(NO3)3·9H2O (Sigma-Aldrich 社)를 DIW(deionized water)에 용해시켜 2.0 M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수용액을 컨벡션 오븐에서 80 ℃, 6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이후, 컨벡션 오븐에서 155 ℃, 18 시간동안 열처리를 하여 Fe1 . 766O3로 표시되는 산화철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산화철의 제조 (2)
열처리 시간을 24 시간 동안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산화철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분석
제조예 1 및 2에서 각각 제조된 산화철인 Fe1 . 766O3에 대하여 SEM 분석(Hitachi社의 S-4800 FE-SEM)을 실시하였다. 도 1은 제조예 1에서 제조된 Fe1 . 766O3에 대한 SEM 분석결과이고, 도 2는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산화철에 대한 SEM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및 2을 참조하면, 배율을 100k로 하여 SEM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입경 수십 nm의 입자가 뭉쳐 1 내지 5 ㎛의 2차 입자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XRD
(X-ray Diffraction) 분석
제조예 1 및 2에서 각각 제조된 산화철인 Fe1 . 766O3에 대하여 XRD 분석(Bruker社의 D4 Endeavor)을 실시하였다.
도 3은 제조예 1에서 제조된 Fe1 . 766O3에 대한 XRD 분석결과이고, 도 4는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산화철에 대한 XRD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안정한 상의 Fe2O3에 비해 산소의 포함량이 많은 Fe1.766O3가 제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의 2θ = 24.2±0.1°, 33.8±0.1°, 36.0±0.1°, 40.8±0.1°, 49.4±0.1° 및 53.8±0.1°의 XRD 피크를 확인하여 순수한 상의 산화철(Fe1 . 766O3)이 선택적으로 제조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폴리설파이드
흡착능력 실험
상기 제조예 1 및 2에 따른 Fe1 . 766O3 및 탄소나노튜브(CNT)의 리튬 폴리설파이드 흡착 능력을 자외선(UV, Agilent社의 Agilent 8453 UV-visible spectrophotometer) 흡광도 분석을 통해 확인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300 내지 700nm 파장의 범위에서 본 발명에 따 른 산화철인 Fe1 . 766O3 및 CNT가 리튬 폴리설파이드를 흡착한 결과 자외선 흡광도의 세기(intensity)가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으며, CNT에 비해 제조예 1 및 2의 산화철이 리튬 폴리설파이드의 흡착능력이 더욱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리튬-황 전지의 방전용량 비교 실험
양극재 종류에 따른 리튬-황 전지의 방전용량을 실험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리튬-황 전지의 양극 및 음극을 구성한 후 방전용량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의 양극은 황-탄소 복합체, 실시예 (1)의 양극은 황-탄소 복합체와 제조예 1의 Fe1 . 766O3를 포함하고, 실시예 (2)의 양극은 황-탄소 복합체와 제조예 2의 Fe1 . 766O3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이때, 측정전류는 0.1C, 전압 범위 1.8 내지 2.6V로 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을 통해 나타내었다.
리튬-황 전지 | ||
음극 | 양극 | |
비교예(1) | 금속 리튬 | 황-탄소 복합체 + 도전재 + 바인더 (90:5:5, 중량비) |
실시예(1) | 금속 리튬 | 황-탄소 복합체 + 도전재 + 바인더 + 제조예 1의 Fe1 . 766O3 (10중량부) (90:5:5:10, 중량비) |
실시예(2) | 금속 리튬 | 황-탄소 복합체 + 도전재 + 바인더 + 제조예 2의 Fe1 . 766O3 (10중량부) (90:5:5:10, 중량비) |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비하여 Fe1 . 766O3 가 첨가된 실시예가 초기 방전용량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조예 (2)에 따른 산화철인 Fe1.766O3를 포함하는 실시예 (2)의 경우가 실시예 (1)에 비해 초기 방전용량이 더욱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산화철이 리튬-황 전지의 초기 방전용량 증가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9)
- (1) Fe(NO3)3·9H2O 를 수성 용매에 용해하여 Fe(NO3)3·9H2O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Fe(NO3)3·9H2O 수용액을 건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건조된 Fe(NO3)3·9H2O 를 열처리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화철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3)의 열처리는 120 내지 170 ℃에서 16 내지 36 시간 동안 수행되며, 상기 산화철은 입경이 10 내지 80 nm 인 1차 입자가 뭉쳐서 입경이 1 내지 5 ㎛ 인 2차 입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철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exO3 (단, 1.7 ≤ x < 1.9)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Fe(NO3)3·9H2O 수용액의 농도는 0.5 내지 5.0 M 인 산화철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건조는 70 내지 9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철의 제조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건조는 4 내지 12 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철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9821A KR102488678B1 (ko) | 2018-07-10 | 2018-07-10 | 산화철의 제조방법 |
PCT/KR2019/007846 WO2020013488A1 (ko) | 2018-07-10 | 2019-06-28 | 산화철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9821A KR102488678B1 (ko) | 2018-07-10 | 2018-07-10 | 산화철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6282A KR20200006282A (ko) | 2020-01-20 |
KR102488678B1 true KR102488678B1 (ko) | 2023-01-13 |
Family
ID=6914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9821A KR102488678B1 (ko) | 2018-07-10 | 2018-07-10 | 산화철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8678B1 (ko) |
WO (1) | WO202001348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8465B1 (ko) | 2018-07-16 | 2021-10-0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산화철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
CN112919548B (zh) * | 2021-03-09 | 2023-08-08 | 晶瓷(北京)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紫色光泽氧化铁片状粒子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13572A (ja) | 2010-03-19 | 2011-10-27 | Toyota Central R&D Labs Inc | 酸化鉄多孔体、それを用いた空気浄化材料及び酸化鉄多孔体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2710B1 (ko) * | 2001-11-08 | 2004-08-02 | 오성근 | 철옥사이드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
JP4854233B2 (ja) | 2005-08-15 | 2012-01-18 |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 スイッチング素子 |
CN1332886C (zh) * | 2006-01-19 | 2007-08-22 | 清华大学 | 一种橄榄球状的α-氧化铁纳米颗粒的合成方法 |
WO2013177512A1 (en) * | 2012-05-25 | 2013-11-28 | Cerion Enterprises Llc | Iron oxide nanoparticle dispersions and fuel additives for soot combustion |
KR101446840B1 (ko) * | 2012-11-06 | 2014-10-08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철 분말 제조방법 |
-
2018
- 2018-07-10 KR KR1020180079821A patent/KR10248867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6-28 WO PCT/KR2019/007846 patent/WO202001348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13572A (ja) | 2010-03-19 | 2011-10-27 | Toyota Central R&D Labs Inc | 酸化鉄多孔体、それを用いた空気浄化材料及び酸化鉄多孔体の製造方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Proceedings of the Joint 6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Hydrothermal Reactions and 4th Conference on Solvo-Thermal Reactions (2000.07.2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013488A1 (ko) | 2020-01-16 |
KR20200006282A (ko) | 2020-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uo et al. | A facile method to prepare FeS/porous carbon composite as advanced an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 |
Bashir et al. | A review of the energy storage aspects of chemical elements for lithium-ion based batteries | |
KR102250814B1 (ko) | 탄소 코팅된 그래핀, 실리콘 나노입자,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음극재용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 |
KR102155694B1 (ko) | 전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한 전극 및 상기 전극을 포함한 리튬 전지 | |
Kong et al. | Enhanced sulfide chemisorption by conductive Al-doped ZnO decorated carbon nanoflakes for advanced Li–S batteries | |
KR101684645B1 (ko) | 바나듐 산화물 제로겔/카본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양극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478160B1 (ko) | 내부에 그래핀 네트워크가 형성된 나노입자-그래핀-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응용 | |
KR20130040541A (ko) | 리튬 이차전지 음극 활물질용 그라핀-금속산화물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US20190267615A1 (en) | Oxyfluoride cathodes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
Park et al. | High-coulombic-efficiency Si-based hybrid microspheres synthesized by the combination of graphene and IL-derived carbon | |
Leng et al. | Self-templated formation of hierarchical NiCo2O4 yolk-shell microspheres with enhanced electrochemical properties | |
KR101907240B1 (ko) | 전극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재료 | |
Cheng et al. | Preparation of carbon encapsulated Li 4 Ti 5 O 12 an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y through pre-coating method | |
KR102488678B1 (ko) | 산화철의 제조방법 | |
KR20210077071A (ko)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Li et al. | Rational synthesis of coaxial MoO3/PTh nanowires with improved electrochemical cyclability | |
KR102229456B1 (ko) | 옥시수산화질산철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 |
KR102229460B1 (ko) | 인화철(FeP)의 제조방법 | |
KR102671870B1 (ko) | 전기화학소자용 실리콘계 다공성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637952B1 (ko) | 일체형 핵-껍질 구조를 가진 코발트산화물-탄소나노복합체 양자점과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15383B1 (ko) | 이황화몰리브덴을 포함하는 탄소나노구조체의 제조방법 | |
Lee et al. | Fabrication of Nickel Sulfide/Nitrogen-Doped Reduced Graphene Oxide Nanocomposite as An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and its Electrochemical Performance | |
KR102617868B1 (ko) | 옥시수산화질산철의 제조방법 | |
JP7282116B2 (ja) | リン化鉄の製造方法、リン化鉄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及びこれを備えたリチウム二次電池 | |
KR102183665B1 (ko) | 인화철(FeP)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