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173B1 -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 - Google Patents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173B1
KR102488173B1 KR1020210186790A KR20210186790A KR102488173B1 KR 102488173 B1 KR102488173 B1 KR 102488173B1 KR 1020210186790 A KR1020210186790 A KR 1020210186790A KR 20210186790 A KR20210186790 A KR 20210186790A KR 102488173 B1 KR102488173 B1 KR 102488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nvex
sewer pipe
double
concav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금시
정미선
이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피앤피
주식회사 그린케미칼
주식회사 그린오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피앤피, 주식회사 그린케미칼, 주식회사 그린오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피앤피
Priority to KR1020210186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urface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583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for making tubular articles with particular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 상태로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장방형으로 배치되고, 선단과 후단에 각각 라운드 경로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선단과 후단의 라운드 경로부 사이에는 직선 경로부가 형성된 한 쌍의 이송라인이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이송라인 사이에 관이송로가 형성되며, 상기 관이송로의 선단과 후단에는 각각 인입구와 인출구가 마련된 몰드이송부재; 상기 몰드이송부재의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도록 체결 및 연속 배열되는 복수 개의 몰드; 및 상기 복수 개의 몰드를 상기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몰드는, 상기 한 쌍의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면서 관이송로를 통해 이동 경유하게 되는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제품인 관체의 사각프로파일 측 좌우측면에 접촉되어 4개의 외부평면 중 대향 위치에 있는 2개의 외부평면에 요철부를 성형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복수 개의 몰드 각각은, 좌우 대칭구조로 이루어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관이송로 상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성형공간의 내면에 요철성형부를 형성하되 몰드이송부재의 인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관체의 사각프로파일 측 좌우측면을 누름 가압하여 성형하도록 구성하는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Mould forming apparatus for double wall sewer pipe and Double wall sewer pipe manufacturing equipment included the same}
본 발명은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몰드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된 파이프형 사각프로파일의 양측면으로 접착성 및 부착성 강화를 위한 요철부를 성형하기 위한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내구성이 강화된 이중벽 하수관을 제조하기 위한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오수나 우수 등을 배출시키는 하수관은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바, 주로 지하에 매설하는 과정에서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고 폐수, 오수 및 해수 등에 부식이 잘 되지 않는 재질의 하수관을 사용하며, 이 중에서 폴리에틸렌을 이중벽으로 성형하여 내구성을 높인 하수관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PE) 이중벽 하수관은 폴리에틸렌 튜브를 나선형으로 감은 후, 그 사이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출 방식으로 상기 폴리에틸렌 튜브를 접착 고정시켜 제조한다.
폴리에틸렌(PE) 이중벽 하수관은 타관과 비교하여 부설 및 접합이 간편하여 자재비, 시공비, 사용연수를 감안할 때 경제성이 우수하며, 중량이 가볍고 연성관으로 유연하며, 충격에 강하므로 보급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종래 이중벽 하수관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조설비가 사용되는데, 압출기(1)에서 중공을 갖는 사각프로파일로 압출 성형하고, 상기 사각프로파일을 진공사이징기(2)로 보내 진공틀을 이용한 진공 사이징 및 냉각수조를 경유하여 냉각 처리한 후에 포밍기(3)에서 롤러 회전력을 이용하여 나선형으로 감아 말아 원형관 형태로 포밍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며, 이러한 포밍 과정에서는 사각프로파일을 롤러의 외측에서 감아 나선형태로 인출하면서 감겨지는 사각프로파일의 사이 사이에 접착제를 투입하여 이웃하는 사각 프로파일들을 접착시킴으로써 하나의 원형관 몸체이되 이중벽 구조를 형성하도록 제조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되는 종래 이중벽 하수관(100)은 원형의 관 형태를 갖되, 도 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은 사각프로파일(110)들이 접착층(200)에 의해 연속 결합되는 단면 결합구조를 형성한다.
하지만, 상술한 과정 및 단면 결합구조를 갖는 종래 이중벽 하수관(100)은 평평한 외면을 갖는 사각 프로파일(110)을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층(200)으로 단순 접착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제조공정 상 경화된 상태에 있는 사각 프로파일을 단순 접착시키므로 사각 프로파일(110) 간에 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중벽 하수관은 맨홀 내에 투입되는 자재로서, 맨홀 내에 투입시 휨 등 외부 요인이 작용하는데, 이러한 휨 작용력에 의해 휘면서 쉽게 접착력이 해제되고 사각 프로파일간 접착부분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하에 매설 후 사용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사각 프로파일간 접착부분 측 결합력이 쉽게 해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잦은 교체나 보수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 이중벽 하수관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설비는 압출기(1), 진공틀과 냉각수조를 갖는 진공사이징기(2), 포밍기(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설치면적이 크게 소요되고 생산성이 떨어지며 속도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726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953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등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몰드를 이용한 사각프로파일 측 요철부 성형을 통해 사각프로파일간 접착부분 측 결합력 및 부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내구성이 강화된 이중벽 하수관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각프로파일간 접착 결합력으로 제조되는 이중벽 하수관 측 압축강도 및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기존에 비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 제조방식에 비해 진공사이징기를 제거하는 등 설비운용에 따른 설치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속도 조절이 가능한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는, 수평 상태로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장방형으로 배치되고, 선단과 후단에 각각 라운드 경로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선단과 후단의 라운드 경로부 사이에는 직선 경로부가 형성된 한 쌍의 이송라인이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이송라인 사이에 관이송로가 형성되며, 상기 관이송로의 선단과 후단에는 각각 인입구와 인출구가 마련된 몰드이송부재; 상기 몰드이송부재의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도록 체결 및 연속 배열되는 복수 개의 몰드; 및 상기 복수 개의 몰드를 상기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몰드는, 상기 한 쌍의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면서 관이송로를 통해 이동 경유하게 되는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제품인 관체의 사각프로파일 측 좌우측면에 접촉되어 4개의 외부평면 중 대향 위치에 있는 2개의 외부평면에 요철부를 성형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복수 개의 몰드 각각은, 좌우 대칭구조로 이루어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관이송로 상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성형공간의 내면에 요철성형부를 형성하되 몰드이송부재의 인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관체의 사각프로파일 측 좌우측면을 누름 가압하여 성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 개의 몰드 각각은, 성형공간의 내면에 형성되는 요철성형부에 있어,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시킨 구조로 상부 요철성형부 및 하부 요철성형부를 형성함으로써 한 번의 성형공정을 통해 합성수지제품인 관체의 사각프로파일 2개에 요철부를 동시 성형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 개의 몰드 각각은, 상부 요철성형부와 하부 요철성형부에 있어, 서로 다른 크기(규격)로 형성함으로써 한 번의 성형공정을 통해 크기(규격)가 서로 다른 2개의 사각프로파일에 각각의 요철부를 동시 성형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성형대상인 관체의 사각프로파일 측 직경 30mm 내지 50mm 기준으로 하되, 분당 10m 내지 20m의 이송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요철성형부는, 성형대상인 사각프로파일의 좌우측면에 각각 요(凹)부와 철(凸)부를 교대로 형성하되, 상기 요(凹)부에 대해 0.5mm 내지 1.1mm의 깊이로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는, 합성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중공을 갖는 관체의 사각프로파일로 성형하는 압출기; 상기 압출기를 통해 압출 성형되어 이송 및 인입되는 사각프로파일의 좌우측면에 각각 요철 구조를 갖는 요철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상기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에 의해 요철부를 좌우측면에 형성시킨 사각프로파일을 감아 말아 인출하면서 사각프로파일간 좌우측면 경계부분으로 접착제를 투입하여 접착 연결함으로써 원형관의 형태를 갖는 이중벽 하수관으로 제조하는 포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일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 및 구성들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몰드를 이용한 사각프로파일 측 요철부 성형을 통해 사각프로파일간 접착부분 측 결합력 및 부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압축강도 및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내구성이 강화된 이중벽 하수관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비해 속도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몰드 성형방식을 접목함으로써 기존 제조방식에 사용되던 진공사이징기를 제거하는 등 설비운용에 따른 설치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비해 불량률을 줄일 수 있고, 현장에서의 안정된 사용에 따라 사용기한을 연장 및 유지보수기한을 연장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를 나타낸 개략적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이중벽 하수관의 단면 구조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를 나타낸 개략적 블록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에 있어 몰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 이중벽 하수관 몰드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요철부를 갖는 사각프로파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이중벽 하수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길이", "높이", "폭" 및 "두께"라는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대로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배치 및 배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사각프로파일(110) 상에 형성되는 요철부(111)는 접착제가 투입되어 사각프로파일간 경계부분이 접착 연결되는 부분으로 형성된다 할 것이며, 구성요소들은 그에 대응하는 배치를 갖는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1000)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출기(1),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1000), 및 포밍기(3)를 포함한다.
상기 압출기(1는 합성수지를 용융 압출하되, 압출다이의 형상에 따라 일정한 형상을 갖는 중공형 관체의 합성수지제품을 성형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압출기(1)는 중공을 갖는 관체인 사각타입의 사각프로파일로 압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1000)는 본 발명이 주요 특징으로 하는 구성으로서, 특히 몰드(1300)의 성형공간(1310) 내에 요철성형부(1330)를 갖는 구성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1000)는 도 3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100), 몰드이송부재(1200), 복수 개의 몰드(1300), 구동부(1500) 및 제어조작부(16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0)는 상측에 몰드이송부재(1200)가 수평으로 배치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몰드이송부재(1200)는 베이스플레이트(1100) 상에 장방형으로 배치되며, 선단과 후단에 각각 라운드 경로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선단과 후단의 라운드 경로부 사이에는 직선 경로부가 형성된 한 쌍의 이송라인(1210)이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이송라인(1210) 사이에 사각프로파일(110)의 이송을 위한 관이송로(1220)가 형성되며, 상기 관이송로(1220)의 선단과 후단에는 각각 인입구(1230)와 인출구(1240)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이송라인(1210)은 무한궤도의 형태로 구비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복수 개의 상기 몰드(1300)는 몰드이송부재(1200)의 이송라인(1210)을 따라 이송되도록 체결 조립 및 연속 배열되는 것으로서, 인입구(1230)를 통해 인입되는 사각프로파일(110) 측 좌우측면에 요철부(111)를 형성하여주기 위한 구성이다.
부연하여, 상기 복수 개의 몰드(1300)는 한 쌍의 이송라인(1210)을 따라 이송되면서 관이송로(1220)를 통해 이동 경유하게 되는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제품인 관체의 사각프로파일(110) 측 좌우측면에 접촉되어 4개의 외부평면 중 대향 위치에 있는 2개의 외부평면(예를 들어, 좌우측면)에 요철부(111)를 성형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상기 복수 개의 몰드(1300) 각각은 좌우 대칭구조로 이루어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관이송로(1220) 상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의 이송라인(1210) 상에 체결 조립되어 배치되고, 성형공간(1310)의 내면에 요철성형부(1330)를 형성하되 몰드이송부재(1200)의 인입구(1230)를 통해 인입되는 관체의 사각프로파일(110) 측 좌우측면을 누름 가압하여 요철부(111)를 성형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몰드(1300) 각각은 성형공간(13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요철성형부(1330)에 있어, 도 9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시킨 구조로 상부 요철성형부(1331) 및 하부 요철성형부(1332)를 형성함으로써 한 번의 성형공정을 통해 합성수지제품인 관체의 사각프로파일(110) 2개에 요철부(111)를 동시 성형 가능한 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몰드(1300) 각각은 상부 요철성형부(1331)와 하부 요철성형부(1332)에 있어, 동일한 크기(규격)로 형성할 수 있고, 때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규격)로 형성함으로써 한 번의 성형공정을 통해 크기(규격)가 서로 다른 2개의 사각프로파일(110)에 각각의 요철부(111)를 동시 성형 가능한 타입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요철성형부(1330)를 통해서는 성형대상인 사각프로파일(110)의 좌우측면에 각각 요(凹)부와 철(凸)부를 교대로 형성하되, 상기 요(凹)부에 대해 0.5mm 내지 1.1mm의 깊이로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0.5mm 깊이 미만일 경우 사각프로파일(110)간 경계부분 측 접착력 및 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1.1mm 깊이를 초과하는 경우 사각프로파일(110)간 경계부분 측 접착력 및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자체 내구성이 떨어지므로 제조되는 이중벽 하수관(100)이 쉽게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등 사용상 취약점을 갖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요철성형부(1330)를 통해서 성형되는 요철부(111) 측 요부에는 상술한 범위 내에서의 일정 깊이를 갖도록 하되, 접착제의 투입효율 및 사각프로파일(110) 측 자체 내구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게 한다.
여기에서, 경사면에 있어, 바람직하게는 수직면 기준으로 25도 내지 35도 범위로 형성되게 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몰드(1300)는 상면에 구동부(15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기어부(1320)가 형성되며, 구동부(150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수평운동으로 변환하여 몰드(1300)가 몰드이송부재(1200) 측 이송라인(1210)을 따라 이송 및 순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몰드이송부재(1200) 상에는 인출구(1240)에 이웃하는 좌우측면 상에 블로워팬을 고정 배치하여 요철부(111)가 성형된 사각프로파일(110) 측으로 에어를 배출하여줌으로써 냉각 및 건조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1500)는 구동모터를 가지며, 동력전달부재(1510)를 통해 몰드(1300) 측 기어부(1320)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조작부(1600)는 구동부(1500)의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몰드(1300)의 이동속도를 제어 및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술한 구성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1000)는 성형대상인 관체의 사각프로파일(110) 측 직경 30mm 내지 50mm 기준으로 하되, 분당 10m 내지 20m의 이송속도로 제어 및 조절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1000)를 통해서는 압출기(1)로부터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제품인 관체의 사각프로파일(110)을 인입 처리하되, 도 10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좌우측의 외부 평면 상에 요철부(111)를 용이하면서도 안정되게 성형하여줄 수 있다.
상기 포밍기(3)는 성형롤러와 접착제투입기를 포함하며, 성형롤러에서 회전을 통해 요철부(111)가 성형된 사각프로파일(110)을 롤 형태로 감아 말아 인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접착제투입기에서 롤 형태로 감아 말려 사각프로파일간이 인접되는 경계부분으로 접착제를 투입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포밍기(3)는 상술한 몰드(1300)에 있어 상부 요철성형부와 하부 요철성형부로 2개를 형성하여 구비하는 경우, 2대의 포밍기를 사용한다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밍기(3)는 상술한 몰드(1300)에 있어 상부 요철성형부와 하부 요철성형부가 서로 다른 크기(규격)로 구비되는 경우, 서로 다른 규격 제조를 위한 2대의 포밍기를 사용한다 할 수 있다.
즉, 상기 포밍기(3)를 경유함으로써 도 1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요철부(111)가 성형된 사각프로파일(110)로 이루어진 원형관 형태의 이중벽 하수관(100)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몰드(1300) 각각에는 몰드이송부재(1200) 상에서 순환 이송함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을 상쇄시키기 위한 구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부연하여, 상기 구름수단은 몰드(1300)가 이송되는 동안 몰드(1300)의 이송방향으로 구름 운동하는 원형의 바퀴와, 상기 바퀴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회전축이 됨과 동시에 바퀴를 지지하는 지지봉과, 지지봉의 일측과 타측에 연결되어 바퀴의 진동을 상쇄시키는 한 쌍의 탄성수단 및 한 쌍의 탄성수단 각각에 연결되는 베이스봉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1000)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에 대한 동작 및 사용 상태를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출기(1)에서는 합성수지를 용융 및 압출시킴에 의해 중공을 갖는 일정 형상의 관체로 합성수지제품을 압출하되, 일정 규격을 갖는 사각프로파일(110)로 압출 성형한다.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1300)에서는 인입구(1230)를 통해 압출 성형된 사각프로파일(110)을 몰드이송부재(1200) 내로 인입 처리하여 관이송로(1220)를 따라 인출 처리되게 한다.
몰드이송부재(1200) 측 인입구(1230)를 통해 인입된 사각프로파일(110)의 좌우측면으로 복수 개의 몰드(1300)가 접촉되고, 특히 성형공간(1310) 내에 갖는 요철성형부(1330)를 사각프로파일(110)의 좌우측면으로 접촉 및 누름 가압함에 의해 사각프로파일(10)의 좌우측면에 각각 요철부(111)를 성형한다.
이때, 몰드(1300) 측 요철성형부(1330)를 통해서는 사각프로파일(110) 상에 요철부(111)를 성형하되, 요(凹)부에 대해 0.5mm 내지 1.1mm의 깊이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하단부에 각각 경사면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요철부(111)가 형성된 사각프로파일(110)은 관이송로(1220)를 따라 이송되면서 블로워팬에서 배출되는 에어에 의해 냉각 및 건조 처리된다.
이어서, 포밍기(3)에서는 회전하는 성형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요철부(111)가 형성된 사각프로파일(110)을 감아 말아주면서 밀어내 인출시키는데, 이때 상호간에 인접되는 사각프로파일(110)의 사이 사이(경계부분)로 접착제투입기를 통해 접착제를 투입하여 접착층(120)을 형성시킴으로써 사각프로파일(110)간 접착력 및 부착력을 갖게 하며, 도 1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접착층(120)에 의해 사각프로파일(110)이 연속 배열되어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진 이중벽 하수관(100)을 제조 및 완료하게 된다.
이때, 포밍기(3) 상에서는 접착제투입기를 통해 사각프로파일(110) 측 경계부분으로 접착수지를 투입함에 따라 요철부(111), 특히 요홈인 요부로 접착제가 투입 및 채워진 형태로 접착층(120)을 형성하여 주므로 기존에 비해 사각프로파일(110)간 접착력과 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내구성까지 향상시킨 이중벽 하수관(100)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통해서는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1000)를 통한 사각프로파일(110) 측 구조를 개선하여 최종적으로 포밍 처리함으로써 이중벽 하수관(100)의 제조에 따른 불량률을 줄일 수 있으면서 제품의 품질은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00 :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1100 : 베이스플레이트
1200 : 몰드이송부재
1300 : 몰드
1310 : 성형공간
1320 : 기어부
1330 : 요철성형부
1331 : 상부 요철성형부
1332 : 하부 요철성형부

Claims (7)

  1. 수평 상태로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장방형으로 배치되고, 선단과 후단에 각각 라운드 경로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선단과 후단의 라운드 경로부 사이에는 직선 경로부가 형성된 한 쌍의 이송라인이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이송라인 사이에 관이송로가 형성되며, 상기 관이송로의 선단과 후단에는 각각 인입구와 인출구가 마련된 몰드이송부재; 상기 몰드이송부재의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도록 체결 및 연속 배열되는 복수 개의 몰드; 및 상기 복수 개의 몰드를 상기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몰드는 상기 한 쌍의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면서 관이송로를 통해 이동 경유하게 되는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제품인 관체의 사각프로파일 측 좌우측면에 접촉되어 4개의 외부평면 중 대향 위치에 있는 2개의 외부평면에 요철부를 성형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복수 개의 몰드 각각은 좌우 대칭구조로 이루어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관이송로 상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성형공간의 내면에 요철성형부를 형성하되 몰드이송부재의 인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관체의 사각프로파일 측 좌우측면을 누름 가압하여 성형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요철성형부는 성형대상인 사각프로파일의 좌우측면에 각각 요(凹)부와 철(凸)부를 교대로 형성하되, 상기 요(凹)부에 대해 0.5mm 내지 1.1mm의 깊이로 형성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요철성형부를 통해서 성형되는 요철부 측 요부에는 접착제의 투입효율 및 사각프로파일 측 자체 내구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하되 수직면 기준으로 25도 내지 35도 범위로 형성되게 하는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몰드 각각은,
    성형공간의 내면에 형성되는 요철성형부에 있어,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시킨 구조로 상부 요철성형부 및 하부 요철성형부를 형성함으로써 한 번의 성형공정을 통해 합성수지제품인 관체의 사각프로파일 2개에 요철부를 동시 성형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몰드 각각은,
    상부 요철성형부와 하부 요철성형부에 있어, 서로 다른 크기(규격)로 형성함으로써 한 번의 성형공정을 통해 크기(규격)가 서로 다른 2개의 사각프로파일에 각각의 요철부를 동시 성형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성형대상인 관체의 사각프로파일 측 직경 30mm 내지 50mm 기준으로 하되, 분당 10m 내지 20m의 이송속도로 제어하는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5. 삭제
  6. 합성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중공을 갖는 관체의 사각프로파일로 성형하는 압출기와, 상기 압출된 사각프로파일을 감아 말아 인출하면서 사각프로파일간 좌우측면 경계부분으로 접착제를 투입하여 접착 연결함으로써 원형관의 형태를 갖는 이중벽 하수관으로 제조하는 포밍기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를 통해 압출 성형되어 이송 및 인입되는 사각프로파일의 좌우측면에 각각 요철 구조를 갖는 요철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밍기는 상기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에 의해 요철부를 좌우측면에 형성시킨 사각프로파일을 감아 말아 인출하면서 사각프로파일간 좌우측면 경계부분으로 접착제를 투입하여 접착 연결함으로써 원형관의 형태를 갖는 이중벽 하수관으로 제조하며,
    상기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의한 구성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인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
  7. 삭제
KR1020210186790A 2021-12-24 2021-12-24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 KR102488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790A KR102488173B1 (ko) 2021-12-24 2021-12-24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790A KR102488173B1 (ko) 2021-12-24 2021-12-24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173B1 true KR102488173B1 (ko) 2023-01-18

Family

ID=8510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790A KR102488173B1 (ko) 2021-12-24 2021-12-24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17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107Y1 (ko) * 2003-06-12 2003-09-19 이광희 코르게이트관의 제조장치
KR200327110Y1 (ko) * 2003-06-12 2003-09-19 이광희 코르게이트관 제조장치의 몰드 가이드 구조
KR200327106Y1 (ko) * 2003-06-12 2003-09-19 이광희 코르게이트관 제조장치
KR20050025406A (ko) * 2003-09-08 2005-03-14 김진예 코르게이트관 제조장치
JP2008272943A (ja) * 2007-04-25 2008-11-13 Kojima Press Co Ltd 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加飾樹脂成形品
KR101816009B1 (ko) * 2017-05-15 2018-02-21 황승하 프로파일을 분리 압출하여 형태를 유지하고 양쪽 측부면에서 결합력을 제공하는 강성 보강형 복층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1859532B1 (ko) 2017-11-28 2018-07-02 영진산업 주식회사 코러게이트관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107Y1 (ko) * 2003-06-12 2003-09-19 이광희 코르게이트관의 제조장치
KR200327110Y1 (ko) * 2003-06-12 2003-09-19 이광희 코르게이트관 제조장치의 몰드 가이드 구조
KR200327106Y1 (ko) * 2003-06-12 2003-09-19 이광희 코르게이트관 제조장치
KR20050025406A (ko) * 2003-09-08 2005-03-14 김진예 코르게이트관 제조장치
KR100567261B1 (ko) 2003-09-08 2006-04-07 김진예 코르게이트관 제조장치
JP2008272943A (ja) * 2007-04-25 2008-11-13 Kojima Press Co Ltd 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加飾樹脂成形品
KR101816009B1 (ko) * 2017-05-15 2018-02-21 황승하 프로파일을 분리 압출하여 형태를 유지하고 양쪽 측부면에서 결합력을 제공하는 강성 보강형 복층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1859532B1 (ko) 2017-11-28 2018-07-02 영진산업 주식회사 코러게이트관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08134C (zh) 一种钢带增强塑料排水管道及其制造方法和装置
US47103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extruding single-wall pipe of plastics or other mouldable material
US4562030A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glass fiber-reinforced cement non-plate article
KR102488173B1 (ko) 이중벽 하수관용 몰드 성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
AU6339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ibbed pipe
KR102050859B1 (ko) 제트 패킹 몰딩 중합체 파이프라인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2088631A (ja) 立体網目状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立体網目状構造体の製造装置
KR100894522B1 (ko) 차수막 이중벽 관 성형장치 및 성형 방법
KR102488172B1 (ko) 이중벽 하수관용 성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
KR101655084B1 (ko) 연속 순차형 다층 콘크리트 패널 제조장치
CN100441783C (zh) 缠绕成型的环保塑料检查井及其制造方法
CN107139440B (zh) 超高分子量聚合物管材有源驱动脉动形变成型方法及设备
CN102825807B (zh) 钢塑复合成型结构壁管的成型设备及成型工艺
CN210148677U (zh) 一种木塑共挤成型设备
CN113134957A (zh) 一种中空壁缠绕管生产加工方法
CN204209963U (zh) 一种新型克拉管加热成型自动流水线
KR200308082Y1 (ko) 합성수지관 성형장치
CN112497638A (zh) 硬软胶成型胶辊设备
KR102568004B1 (ko) 차수격벽을 갖는 다중벽관과 이의 제조장치
CN105799180A (zh) 一种连续聚乙烯缠绕结构壁管制造装备
CN210148676U (zh) 一种木塑共挤设备
CN112497637B (zh) 硬软胶成型胶辊设备
KR101675266B1 (ko) 주름관 성형장치
KR100701211B1 (ko) 나선형 고강도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CN215203433U (zh) 一种连续缠绕实壁管生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